KR102405623B1 -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623B1
KR102405623B1 KR1020200183908A KR20200183908A KR102405623B1 KR 102405623 B1 KR102405623 B1 KR 102405623B1 KR 1020200183908 A KR1020200183908 A KR 1020200183908A KR 20200183908 A KR20200183908 A KR 20200183908A KR 102405623 B1 KR102405623 B1 KR 102405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ntenna
patch
antenna module
bi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익모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제1 기판, 제1 기판을 대향하는 제2 기판, 및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3 기판을 포함하며, 제1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가 제1 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와 정반대의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치가 제2 면에 부착됨으로써, 양방향에서 전달되는 편파를 모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ANTENNA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 편파를 전달하는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방향 복사 패턴을 가진 안테나는 마이크로 셀 기지국, 초고속 무선 근거리 무선 통신망, 마이크로파 센서 네트워크, 탄광, 거리 마이크로 셀 및 실내 무선 접속 장소와 같은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의 평면 형태의 안테나 모듈의 경우, 한쪽의 편파 방향이 반대쪽의 편파 방향과 반대로 설계된다. 이와 같이 편파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경우, 한쪽에서만 수신되는 편파를 수신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안테나 모듈에서 양쪽 방향의 편파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명세서는 안테나 모듈의 양쪽 방향에서 모두 편파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모듈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메타 서페이스(metasurface)를 이용한 양방향, 동일한 분별력의 원형 편파(Circular Polarization, CP) 안테나의 설계를 제안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의 동일 편파를 형성하는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을 대향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3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가 제1 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와 정반대의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치가 제2 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치는 메타 서페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치는 각각 모서리에 절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의 절단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치의 절단면과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기판이 상기 제2 기판을 바라보는 제3 면의 반대면이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기판이 상기 제1 기판을 바라보는 제4 면의 반대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기판은 전기적으로 접지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2 X 4의 패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치 각각의 길이는 11.5 mm 이상 11.7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기판은 두 개의 슬롯 및 하나의 급전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개의 슬롯 각각의 길이는 15 mm 이상 21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치는 주기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양방향에서 전달되는 편파를 모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동일한 분별력으로 양쪽 방향의 편파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양방향 안테나의 기하학적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안테나의 시뮬레이션된 반사 계수를 도시한다.
도 6은 슬롯 길이(Ls)와 슬롯 폭(Ws)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7은 스텁 길이(Lo)의 변화에 다른 임피던스 일치 효과를 도시한다.
도 8은 안테나 패치 크기 변화에 따른 공진 주파수 변화를 도시한다.
도 9는 안테나의 전면과 후면의 축비(AR) 특성을 도시한다.
도 10은 메타 표면 패치 크기에 따른 축비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1은 절단 크기의 변화에 따른 축비 대역폭 변화를 도시한다.
도 12는 안테나의 이득을 도시한다.
도 13은 x-y 평면 및 y-z 평면 상의 복사 패턴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안테나의 측정 및 시뮬레이션된 반사 계수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안테나의 전면과 후면에 대한 측정 및 시뮬레이션 게인을 도시한다.
도 17 및 도 18은 축비 및 복사 패턴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discloser)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명세서(discloser)의 용어는 document, specification, description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
양방향 복사 패턴이 있는 안테나는 마이크로 셀룰러 기지국, 고속 무선 지역 네트워크, 마이크로파 센서 네트워크, 탄광, 스트릿 마이크로 셀 및 실내 무선 액세스 장소와 같은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된다.
원형 편파(Circular Polarization, CP) 안테나는 안테나 방향과 상관없이 송신 단자와 수신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하기 때문에 채널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CP를 생성하는 기존의 방법으로, 동일한 진폭과 90도 위상 차이를 가진 두 개의 직교 선형 편파 (LP) 안테나를 활성화하는 방법이 있다.
기존의 경우, 양방향 복사 패턴이 있는 CP 안테나는 큰 신호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다중 경로 왜곡은 물론 편파 불일치를 완화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LP 및 CP 복사와 함께 몇 개의 양방향 안테나가 개발되었다.
CP 복사가 있는 양방향 안테나는 양쪽 반구에서 동일한 편파 분별력을 위해 의도적으로 설계되지 않은 한 대부분 다른 편파 분별력 를 형성한다. 즉, 우측(RH) CP 안테나가 한쪽에서 방사할 때, 반대쪽의 회전 분별력은 불가피하게 좌측(LH) CP가 된다.
많은 연구에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분별력의 CP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슬롯 결합 패치는 종래 기술에서 앞뒤로 동일한 분별력의 CP 복사를 얻기 위해 연속해서 사용되었다. CP 복사를 얻기 위해 Copplanar 도파관(CPW)이 공급하는 양방향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도 종래 기술에서 제안되었다. 종래 기술의 연구자들은 CP가 반대 방사 방향으로 동일한 분별력을 갖는 새로운 양방향 도파관 안테나 설계를 제안했다. 종래 기술에 동일한 분별력의 양방향 CP 복사를 가진 단일 레이어 단일 피드 안테나가 제시되었다. 종래 기술에서 같은 분별력의 양방향 CP 복사를 달성하기 위해 μo/4(여기서 μo는 자유 공간에서 작동 주파수의 파장) 간격으로 두 개의 직교 와이어 쌍극자 배열을 공급하기 위해 복합 좌측 송전선이 사용되었다. 종래 기술의 연구자들은 편파 변환 표면을 이용한 양방향 동일 분별력의 CP 슬롯 안테나를 제시했다.
본 명세서는 메타 서페이스(표면)을 이용한 양방향, 동일한 분별력의 CP 안테나 설계를 제시한다. 안테나는 두 개의 동일한 2 × 4 잘린 패치(메타 표면)로 구성되며, 하나는 상단에, 다른 하나는 하단에 배치된다. 동일한 분별력의 CP는 상단 및 하단 측면에 있는 메타 표면 패치를 반대 방향으로 잘라냄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그 결과 양방향 안테나는 다음과 같은 성능 특성을 보여준다:
- 임피던스 대역폭 5.21~6.26 GHz(18.4%), 축비 대역폭 5.36~6.0 GHz(11.2%), 피크 이득 5.29 dBbic, 축비 대역폭 내에서 96% 이상의 복사 효율. 여기서, 안테나 치수는 48 mm × 24 mm × 3.048 mm (5.7 GHz에서 0.91 × 0.45 × 0.05 μo)이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분별력 CP를 가진 양방향 안테나가 제안되었다. 양방향 안테나는 두 개의 2 × 4 잘린 메타 표면 패치로 구성되며, 하나는 안테나 상단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안테나 하단에 배치되며, 앞뒤 방향 모두에서 동일한 분별력 RHCP 파동을 방사한다. 안테나는 양호한 대칭 양방향 RHCP 복사 패턴을 생성한다. 안테나의 임피던스 대역폭은 5.21~6.26GHz(18.4%), 축비 대역폭은 5.36~6GHz(11.2%), 축비 대역폭 내에서 3~5.29 dBic의 양방향 이득 및 96% 이상의 높은 복사 효율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제안된 안테나가 터널, 장거리 및 탄광과 같은 환경에서 무선 통신에 적합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의 안테나 모듈의 구조
도 1 내지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양방향 안테나의 기하학적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제1 기판(101)의 상단에 인쇄된 전면 메타 표면과, 제2 기판(102)의 하단에 인쇄된 후면 메타 표면이라는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에칭 슬롯이 있는 접지면(121)은 공극 없이 상기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에 끼여 있다.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RO4003(εr = 3.38, tanδ = 0.0027)이며 두께는 h1 = h2 = 1.524 mm이다.
메타 표면(201)은 주기 P를 가지며, 2 × 4 레이아웃으로 배열된 8개의 정사각형 패치(금속판)을 가진 주기적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치(202)는 Wp × Wp 크기를 가지며, Lc만큼 잘린다.
안테나의 일차 복사 소자는 도 3과 같이 지면에 길이 L과 너비 W를 세팅한 슬롯(302)이다. 상기한 슬롯(4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 기판 사이에 끼여 있다.
50Ω 동일 평면 도파관 급전 라인(303, 4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구조의 중앙에 인쇄되어 있다. 급전 라인 특성 임피던스는 폭 Wf를 변경하여 제어할 수 있다. 스텁 길이는 안테나 임피던스와 일치시키는 데 사용된다.
연속 메타 표면의 각 패치는 잘린 모서리 정사각형 패치로 형상화되어 CP 복사를 생성한다. 동일한 분별력의 CP를 얻기 위해, 메타 표면 하단의 잘린 패치는 메타 표면 상단의 잘린 패치에 대해 90o 회전하여 반대 방향으로 될 수 있다. 상단과 하단 측면의 절단 방향이 동일해야 하는 경우, CP 복사의 다른 분별력이 반대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넓은 임피던스와 축비 대역폭 및 양방향 동일 분별력 CP 복사 패턴에 대한 안테나의 최적화된 설계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 P = 12mm, Wp = 11.6mm, Ls = 18mm, Wf = 0.5mm, h1 = h2 = 1.524mm, Ws = 1.5mm, Lc = 2.9mm, Lo = 0.3mm, g = 0.4mm, Wo = 2.4 mm, Wb = 48mm, Lb = 24mm.
본 명세서의 안테나 모듈의 기능적 특성
양방향 CP 안테나의 시뮬레이션과 최적화는 유한 요소 방법을 사용하는 전자파 시뮬레이터인 Ansys 고주파 구조 시뮬레이터(HFSS)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안테나 모듈의 기하학적 구조가 안테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첫째, 모든 매개변수가 최적의 값으로 고정되었을 때 안테나의 응답이 결정되었다. 둘째, 모수 연구 중에 한 번에 하나의 설계 모수가 변경되었다.
도 5는 안테나의 시뮬레이션된 반사 계수를 도시한다.
안테나는 5.21~6.26 GHz를 포함하는 18.4%의 |S11| < -10 dB 임피던스 대역폭을 나타낸다.
도 6은 슬롯 길이(Ls)와 슬롯 폭(Ws)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길이가 15 mm에서 18 mm로 증가하면, 공진 주파수가 낮은 주파수로 이동하고, 마찬가지로 슬롯 폭이 1.5 mm에서 2.5 mm로 증가하면, 공진 주파수가도 낮은 주파수로 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스텁 길이(Lo)의 변화에 다른 임피던스 일치 효과를 도시한다.
스텁 길이 Lo × 5.3 mm일 경우, 안테나의 임피던스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o가 4.3 mm 및 3.3 mm로 감소하면, 공진 주파수가 낮아지고 임피던스 일치가 양호해진다. Lo × 3.3 mm에서는 안테나의 임피던스가 완전히 일치한다.
도 8은 안테나 패치 크기 변화에 따른 공진 주파수 변화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패치 크기가 증가하면 공진 주파수도 낮은 주파수로 이동한다.
도 9는 안테나의 전면과 후면의 축비 특성을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가 전면(theta 0o)과 후면(theta 180o) 모두에 대해 거의 동일한 축비 특성을 나타낸다. 축비 대역폭은 5.36~6.0GHz로 11.2%의 부분 대역폭이다.
도 10은 메타 표면 패치 크기에 따른 축비 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 표면 패치 크기 Wp가 11.6 mm에서 11.7 mm로 증가하면, 도 9와 같이 축비 대역폭이 더 낮은 주파수로 이동하고, 패치 크기가 11.6 mm에서 11.5 mm로 감소하면, 도 10과 같이 더 높은 주파수로 축비 대역폭이 이동된다.
도 11은 절단 크기의 변화에 따른 축비 대역폭 변화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절단 크기 Lc가 2.7 mm에서 2.9 mm로 증가하면 축비 성능이 개선된다. 그림 8과 같이 절단 크기를 2.9 mm에서 3.1 mm로 추가로 증가시키면 축비 대역폭이 좁아진다.
도 12는 안테나의 이득을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이득은 앞면과 뒷면 모두에서 거의 동일하다. 안테나는 축비 대역폭 내에서 평균 4.6 dB의 이득으로 안정적인 이득을 보인다.
도 13은 x-y 평면 및 y-z 평면 상의 복사 패턴을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5.7 GHz에서 RHCP(즉, 오른손 방향 원형편파)와 LHCP(왼손 방향 원형편파)에 대한 x-z 및 y-z 평면의 시뮬레이션 복사 패턴이 나타나며, 이는 좋은 대칭 RHCP 양방향 복사와 낮은 교차 편파를 나타낸다.
RHCP는 안테나의 상단과 하단 측면에 있는 메타 표면 패치를 반대 방향으로 잘라내어 달성된다.
본 명세서의 안테나 모듈에 대한 실험 결과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CP 안테나는 제안된 설계 개념을 확인하기 위해 제작되고 측정되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형태를 도시한다.
S-매개 변수 측정에는 애질런트 N5230A 네트워크 분석기와 3.5 mm 동축 보정 표준 GCS35M이 사용되었다. 원거리 측정은 대한민국 인천 RFID/USN 센터에서 수행되었다. 복사 패턴 측정에는 전체 무반향 챔버와 애질런트 E8362B 네트워크 분석기가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양방향 안테나는 수신에 사용되었고 표준 광대역 경음기 안테나는 전송에 사용되었다. 안테나 사이에 10 m의 전송 거리가 설정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안테나는 경음기 안테나를 고정한 상태에서 -180도에서 180도로 3도/s에서 1도 스캔 각도로 회전하였다.
검토한 결과, 전반적으로, 제안된 안테나는 시뮬레이션 및 측정 데이터가 잘 일치한다. 측정과 HFSS 시뮬레이션 사이에는 최소한의 차이가 존재하며, 이는 제작 중 약간의 정렬 오류 때문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안테나의 측정 및 시뮬레이션된 반사 계수를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 < -10 dB에 대해 측정된 임피던스 대역폭은 5.21-6.26GHz(18.4%)이며, 이는 5.21-6.25GHz(18.2%)의 시뮬레이션 임피던스 대역폭과 상당히 유사하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안테나의 전면과 후면에 대한 측정 및 시뮬레이션 이득을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평균 이득 4.6 dBic와 4.27 dBic의 측정 평균 이득으로 양방향 안테나의 전면과 후면에 대한 측정 및 시뮬레이션 이득이 나타난다.
도 17 및 도 18은 축비 및 복사 패턴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5.7 GHz에서 제작된 프로토타입의 축비 및 복사 패턴이 측정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면과 후면 모두에 대해 측정 및 시뮬레이션된 축비 대역폭이 나타난다. 시뮬레이션된 축비 대역폭은 5.44-6.10 GHz(11.5%)이고 측정된 축비 대역폭은 5.36-6 GHz(11.2%)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RHCP와 LHCP 모두에 대해 x-z 및 y-z 평면에서 안테나의 측정 및 시뮬레이션 복사 패턴을 보여준다. 측정 및 시뮬레이션된 복사 패턴은 양호한 대칭 RHCP 양방향 복사와 낮은 교차 편파를 보여준다.
아래의 표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안테나의 성능을 종래 기술에 기술된 다른 양방향 안테나 설계와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141340942-pat00001
본 명세서의 안테나는 넓은 임피던스 대역폭, 넓은 3 dB 축비 대역폭, 양호한 대칭 양방향 복사 및 높은 이득을 보여준다. 종래 기술 3에 보고된 구조가 설계보다 넓은 임피던스 대역폭을 달성하지만, 낮은 이득은 상당한 단점이다. 종래기술 1, 2, 및 4-6에 보고된 설계는 모두 제안된 안테나에 비해 이득이 낮고 작동 대역폭이 상당히 작다.
본 명세서의 안테나 모듈의 특성 요약
본 명세서는 메타 표면을 사용하는 양방향 동일 분별력 원형 편파(CP) 안테나 설계를 제시한다.
안테나는 전면과 후면 기판 사이에 에칭 슬롯이 있는 지면면과 함께 안테나 상단과 하단에 연속 배치되는 2 × 4 모서리의 잘린 패치로 구성된 두 개의 메타 표면은 두 개의 메타 표면으로 구성된다.
안테나의 공급 라인은 50Ω 코플레인 도파관이다. 안테나는 프론트 및 리어 방향 모두에서 동일한 분별력 우측 CP 파형을 방사한다.
전체 치수는 48 mm × 24 mm × 3.048 mm (0.91 × 0.45 × 5.7 GHz)이다. |S11| < -10 dB에 대해 측정된 반사 계수는 전후방향 모두에서 임피던스 대역폭 5.21-6.26 GHz(18.4%)와 축비 대역폭 5.36-6 GHz(11.2%)를 산출한다. 안테나 이득은 양방향 모두에서 3-5.29 dBb이고 그 복사 효율은 축비 대역폭 내에서 96% 이상이다.
본 명세서의 해석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양방향의 동일 편파를 형성하는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을 대향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3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가 제1 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와 정반대의 구조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치가 제2 면에 부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치는 메타 서페이스(Meta Surfac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치는 각각 모서리에 절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의 절단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치의 절단면과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기판이 상기 제2 기판을 바라보는 제3 면의 반대면이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기판이 상기 제1 기판을 바라보는 제4 면의 반대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판은 전기적으로 접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2 X 4의 패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치 각각의 길이는 11.5 mm 이상 11.7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판은 두 개의 슬롯 및 하나의 급전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개의 슬롯 각각의 길이는 15 mm 이상 21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치는 주기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KR1020200183908A 2020-12-24 2020-12-24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5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908A KR102405623B1 (ko) 2020-12-24 2020-12-24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908A KR102405623B1 (ko) 2020-12-24 2020-12-24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623B1 true KR102405623B1 (ko) 2022-06-07

Family

ID=8198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908A KR102405623B1 (ko) 2020-12-24 2020-12-24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62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739A (ko) * 1996-12-16 1998-09-15 양승택 챠량 탑재용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평판 안테나
KR20030013739A (ko) * 2001-08-09 2003-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효율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KR20040008983A (ko) * 2002-07-20 2004-01-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수신용 원형 편파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및 이를순차 회전 급전 배열한 배열 안테나
KR20070040847A (ko) * 2003-05-12 2007-04-17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무선 통신 rf 신호 전송 장치
KR101147939B1 (ko) * 2011-12-20 2012-05-23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KR101745961B1 (ko) * 2016-01-12 2017-06-14 한국과학기술원 다수의 원형 편파 패치 안테나를 이용한 oam 안테나
KR20190089955A (ko) * 2016-12-21 2019-07-31 인텔 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기술, 장치 및 방법
JP2019530387A (ja) * 2016-09-22 2019-10-17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ビーム・ステアリング・アンテナのための液晶調整可能メタサーフェス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739A (ko) * 1996-12-16 1998-09-15 양승택 챠량 탑재용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평판 안테나
KR20030013739A (ko) * 2001-08-09 2003-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효율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KR20040008983A (ko) * 2002-07-20 2004-01-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수신용 원형 편파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및 이를순차 회전 급전 배열한 배열 안테나
KR20070040847A (ko) * 2003-05-12 2007-04-17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무선 통신 rf 신호 전송 장치
KR101147939B1 (ko) * 2011-12-20 2012-05-23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KR101745961B1 (ko) * 2016-01-12 2017-06-14 한국과학기술원 다수의 원형 편파 패치 안테나를 이용한 oam 안테나
JP2019530387A (ja) * 2016-09-22 2019-10-17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ビーム・ステアリング・アンテナのための液晶調整可能メタサーフェス
KR20190089955A (ko) * 2016-12-21 2019-07-31 인텔 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기술,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ibi et al. Gain enhancement of wideband circularly polarized UWB antenna using FSS
CN111937237B (zh) 单极化和双极化双谐振背腔式缝隙天线(d-cbsa)元件
US7215284B2 (en) Passive self-switching dual band array antenna
US20140062822A1 (en) Dual frequency coupling feed antenna and adjustable wave beam module using the antenna
CN109687125B (zh) 一种基于多模融合的超低剖面双频宽波束微带天线
CN112072294B (zh) 一种宽带低剖面高隔离度双圆极化二维宽角扫描稀疏阵列
US20220407231A1 (en) Wideban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microstrip patch antenna for 60 ghz millimeter wave phased array
Karthikeya et al. CPW fed wideband corner bent antenna for 5G mobile terminals
Nosrati et al. A single feed dual-band, linearly/circularly polarized cross-slot millimeter-wave antenna for future 5G networks
Liang et al. Compact folded slot antenna and its endfire arrays with high gain and vertical polarization
Nkimbeng et al. Coplanar waveguide-fed bidirectional same-sense circularly polarized metasurface-based antenna
CN213845512U (zh) 基于人工磁导体的宽带圆极化天线
Fu et al. A Low Cross-Polarization Microstrip Antenna Array for Millimeter Wave Applications
Jagtap et al. Gain and bandwidth enhancement of circularly polarized MSA using PRS and AMC layers
Alam et al. Design of array and circular polarization microstrip antenna for LTE communication
KR102405623B1 (ko)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CN116404414A (zh) 一种结构复用的微波/毫米波双频宽带共口径天线
CN114883796A (zh) 一种天线结构
Zhang et al. A broadband circularly polarized substrate integrated antenna with dual magnetoelectric dipoles coupled by crossing elliptical slots
CN110707425A (zh) 一种基于siw的大频率比背腔天线
Qiu et al. A compact wideband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on the purpose of sub-6 GHz
CN116759816B (zh) 基于基片集成波导的双频双极化天线
CN114725662B (zh) 一种基于磁振子和电振子的微带馈电平面圆极化天线
CN114498048B (zh) 一种宽带宽角扫描低剖面双极化相控阵天线
CN112467345B (zh) 一种基于高阻抗表面的宽带低剖面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