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939B1 -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 Google Patents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939B1
KR101147939B1 KR1020110137852A KR20110137852A KR101147939B1 KR 101147939 B1 KR101147939 B1 KR 101147939B1 KR 1020110137852 A KR1020110137852 A KR 1020110137852A KR 20110137852 A KR20110137852 A KR 20110137852A KR 101147939 B1 KR101147939 B1 KR 101147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ubstrate
patch
microstrip
pola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성
이석곤
김형주
이영기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아랫면에 접지가 구비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폼 기판 상에 적층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2 폼 기판 상에 적층되는 제3 기판과, 상기 제3 폼 기판 상에 적층되는 제4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의 윗면에 형성되는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X band microstrip patch)와,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기판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X 밴드 기생 패치(X band parasitic patch)와, 상기 제3 기판의 윗면에 형성되는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S band microstrip patch)와, 상기 제4 기판의 윗면 중 상기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와 평행한 위치에 형성되는 S 밴드 기생 패치(S band parasitic patch)와, 상기 제2 기판의 윗면에 형성되는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S band modified coupling feed patch)를 포함하고,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는 8 X 8의 배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는 2 X 2의 배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는 이중편파 급전을 위해 상기 S밴드 마이크로스립 패치의 하부 위치에 2개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대역 주파수 대역 특성과 안테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소형 및 경량의 장점을 보유한 채, 방사 패턴의 지향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종래에 비해 S 밴드 주파수의 대역폭을 좀 더 넓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X-BAND AND S-BAND DUAL-POLARIZED MICROSTRIP STACKED PATCH ARRAY ANTENNA}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microstrip patch)로 구성되는 안테나는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제조도 용이하므로, 다양한 통신 방식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는 패치의 형상이나 크기, 그리고 그에 형성되는 다양한 슬롯 등의 파라미터를 변형하여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는 이러한 많은 장점을 보유하고 있지만, Q값이 높아서 대역폭이 좁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득도 그다지 높은 편이 아니다.
현재 이동 통신, 위성 통신 또는 군 통신의 발전 추세는 광대역에서 운용 가능한 단말이나 그에 적합한 안테나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그리하여,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다양한 장점을 보유한 채 그의 협대역 특성을 좀 더 개선하기 위해, 스택(stack) 구조의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안테나(microstip stacked patch antenna)가 개선안의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는, 아랫면에 접지가 구비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폼 기판 상에 적층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2 폼 기판 상에 적층되는 제3 기판과, 상기 제3 폼 기판 상에 적층되는 제4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의 윗면에 형성되는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X band microstrip patch)와,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기판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X 밴드 기생 패치(X band parasitic patch)와, 상기 제3 기판의 윗면에 형성되는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S band microstrip patch)와, 상기 제 4 기판의 윗면 중 상기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가 형성된 상기 제3 기판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S 밴드 기생 패치(S band parasitic patch)와, 상기 제2 기판의 윗면에 형성되는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S band modified coupling feed patch)를 포함하고,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는 8 X 8의 배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는 2 X 2의 배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는 이중편파 급전을 위해 상기 S밴드 마이크로스립 패치의 하부 위치에 2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간에 적층되는 제1 폼(foam) 기판과,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3 기판 간에 적층되는 제2 폼 기판과, 상기 제3 기판과 상기 제4 기판 간에 적층되는 제3 폼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폼 기판 내지 상기 제3 폼 기판의 유전율은 1.06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 내지 상기 제4 기판의 각 변의 길이는 130 mm이고,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의 중심 간 거리는 15 mm이고, 상기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의 중심 간 거리는 6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간의 간격은 2.5 mm이고,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3 기판 간의 간격은 2 mm이고, 상기 제3 기판과 상기 제4 기판 간의 간격은 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및 상기 X 밴드 기생 패치가 마름모 형상으로 각각 배열되고, X 밴드 H 편파 급전점(X band H-polarization feed point)은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상에서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좌측에 형성되고, X 밴드 V 편파 급전점(X band V-polarization feed point)은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상에서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하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는, 정사각형 형상으로서 각각 4 개의 X 밴드 기생 패치와 평면상으로 포개어지도록 배열되고, 상기 4 개의 X 밴드 기생 패치와 평면상으로 포개어지는 부분이 천공되어 뚫려져 있고, 상기 S 밴드 기생 패치는, 정사각형 형상에서 네 모서리 부위가 이등변삼각형 형상으로 잘려져 나간 형상으로서, 상기 4 개의 X 밴드 기생 패치와 평면상으로 포개어지는 부분이 천공되어 뚫려져 있고, 상기 4 개의 천공되어 뚫려진 부분이 에워싸는 중심 부분이 마름모 형상으로 천공되어 뚫려져 있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는, 상기 S 밴드 기생 패치의 좌단과 하단에 각각 포개어지는 형상으로 2 개가 배열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1 기판의 유전율은 3.2이고, 두께는 0.762 mm이고, 상기 제2 기판의 유전율은 3.2이고, 두께는 0.762 mm이고, 상기 제3 기판의 유전율은 3.2이고, 두께는 0.762 mm이고, 상기 제4 기판의 유전율은 3.2이고, 두께는 0.508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에 따르면, 서로 다른 중심 주파수에서 이용되는 복수의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를 스택 구조로 형성하여 이용함으로써, 광대역 주파수 대역 특성과 안테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소형 및 경량의 장점을 보유한 채, 방사 패턴의 지향성(directivity)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패치 형상과 별도의 급전 패치에 의해, 종래에 비해 S 밴드 주파수의 대역폭을 좀 더 넓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안테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안테나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패치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패치 어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패치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X 밴드 패치의 반사계수와 편파분리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X 밴드 패치의 방사 패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X 밴드 패치의 교차 편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패치 어레이의 반사계수와 편파분리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패치 어레이의 방사 패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패치 어레이의 교차 편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S 밴드 패치의 반사계수와 편파분리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S 밴드 패치의 방사 패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S 밴드 패치의 교차 편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패치 어레이의 반사계수와 편파분리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패치 어레이의 방사 패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패치 어레이의 교차 편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및 X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안테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및 X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안테나의 전체 평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및 X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microstrip stacked patch array antenna)(100)(이하,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라 함)는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제3 기판(130) 및 제4 기판(140)이 적층 구조로 구성되고, 기판 상에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X band microstrip patch)(111), X 밴드 기생 패치(X band parasitic patch)(112),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S band microstrip patch)(131), S 밴드 기생 패치(S band parasitic patch)(132) 및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S band modified coupling feed patch)(133)가 배열 구조로 형성된다.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100)는 각 기판이나 패치의 형상, 크기, 두께, 유전율, 배열 구조 등의 구성에 의해 광대역 주파수 대역 특성과 향상된 안테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소형 및 경량의 장점을 보유한 채, 방사 패턴의 지향성을 얻을 수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과 같은 소형 통신 장치에 적합하다. 또한, 적층 구조에 의해 각 주파수 대역 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이중 급전 구조에 의해 이중 편파 특성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패치의 특이한 형상과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133)를 별도로 구성함에 의해 S 밴드 주파수의 대역폭을 좀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기판(110)은 아랫면에 접지가 구비되며, 제2 기판(120)은 제1 기판(110) 상에 적층되고, 제3 기판(130)은 제2 기판(120) 상에 적층되고, 제4 기판(140)은 제3 기판(130) 상에 적층된다. 여기에서, 제1 기판(110)의 유전율은 3.2, 두께는 0.762 mm, 제2 기판(120)의 유전율은 3.2, 두께는 0.762 mm, 제3 기판(130)의 유전율은 3.2, 두께는 0.762 mm, 제4 기판(140)의 유전율은 3.2, 두께는 0.508 mm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간의 간격은 2.5 mm, 제2 기판(120)과 제3 기판(130) 간의 간격은 2 mm, 제3 기판(130)과 제4 기판(140) 간의 거리는 5 mm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안테나 대역폭과 안테나 이득(gain)이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판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대역폭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유전율은 낮을수록 안테나 이득이 커진다. 한편, 적층 구조에서 기판 간 간격은 X 밴드와 S 밴드의 상호 간섭을 줄이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즉, 각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간의 공진이나 커플링 결합을 유도하여 다중 공진 특성을 갖도록 한다.
한편, 제1 폼(foam) 기판(미도시)이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간에 적층되고, 제2 폼 기판(미도시)이 제2 기판(120)과 제3 기판(130) 간에 적층되고, 제3 폼 기판(미도시)이 제3 기판(130)과 제4 기판(140) 간에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폼 기판 내지 제3 폼 기판은 스티로폼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며, 공기와 거의 유사한 유전율을 갖는 구성으로서, 유전율이 1.06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11)는 제1 기판(110)의 윗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00)는 대략 9-10 GHz 대역의 X 밴드용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X 밴드 기생 패치(112)는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11)와 대향하도록 제2 기판(120)의 아랫면에 형성된다. X 밴드 기생 패치(112)는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11)와 서로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며, 커플링에 의해 대역폭이 넓어지게 된다.
한편,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31)는 제3 기판(130)의 윗면에 형성된다. 이때,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31)는 2-4 GHz의 S 밴드용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S 밴드 기생 패치(132)는 제 4 기판(140)의 윗면 중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31)가 형성된 제3 기판(130)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S 밴드 기생 패치(132) 역시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31)와 커플링하여 대역폭을 넓히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133)는 제2 기판(120)의 윗면에 형성된다.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133)는 S 밴드용 급전을 위한 구성으로서, 종래와 달리 기판 상에 커넥터가 직접 연결되지 않고 기판 상의 패치를 통해서 급전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133)는 S 밴드의 대역폭을 좀 더 광대역으로 넓혀주는 기능을 한다. 이때, V 편파 급전 및 H 편파 급전에 의해 이중 편파가 형성된다.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11)에서는 별도의 급전 패치없이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10) 상에 V 편파 급전 및 H 편파 급전을 하여 이중 편파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100) 및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11)가 8 X 8로 배열되고, S 밴드 기생 패치(131) 및 S 밴드 기생 패치(132)가 2 X 2로 배열되고,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133)가 이중편파 급전을 위해 S밴드 마이크로스립 패치의 하부 위치에 2개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제1 기판(110) 내지 제4 기판(140)의 각 변의 길이가 130 mm일 때,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11)의 중심 간 거리는 15 mm,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31)의 중심 간 거리는 6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심 간 거리는 배열안테나의 이득, 빔폭, 복사패턴 특성을 결정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패치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패치 어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11)와 X 밴드 기생 패치(112)가 각각 마름모 형상으로 각각 배열됨을 알 수 있다.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11)는 그 형상이나, 길이, 폭 등의 파라미터에 따라 X 밴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X 밴드 H 편파 급전점(X band H-polarization feed point)(111a)은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11) 상에서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좌측에 형성되고, X 밴드 V 편파 급전점(X band V-polarization feed point)(111b)도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11) 상에서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급전점은 V 편파 및 H 편파의 이중 편파를 형성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패치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패치 어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4a의 (a) 및 도 4b를 참조하면,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31)는 정사각형 형상으로서 각각 4 개의 X 밴드 기생 패치와 평면상으로 포개어지도록 배열되고, 4 개의 X 밴드 기생 패치와 평면상으로 포개어지는 부분이 천공되어 뚫려져 있도록 구성된다.
도 4a의 (b) 및 도 4b를 참조하면, S 밴드 기생 패치(132)는 정사각형 형상에서 네 모서리 부위가 이등변삼각형 형상으로 잘려져 나간 형상으로서, 4 개의 X 밴드 기생 패치(112)와 평면상으로 포개어지는 부분이 천공되어 뚫려져 있고, 4 개의 천공되어 뚫려진 부분이 에워싸는 중심 부분이 마름모 형상으로 천공되어 뚫려져 있도록 구성된다.
도 4a의 (c) 및 도 4b를 참조하면,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133)는 S 밴드 패치(131)의 좌단과 하단에 각각 포개어지는 형상으로 2 개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좌단과 하단 각각 H 편파 급전과 V 편파 급전을 위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X 밴드 패치의 반사계수와 편파분리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111)가 단일 패치로서의 반사 계수 특성과 편파분리도를 나타낸다. 대략 8.8-10.7 GHz의 X 밴드에서 동작함을 알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X 밴드 패치의 방사 패턴도이다.
도 5b에서 보듯이, X 밴드 전파의 지향성(directivity)을 확인할 수 있다. 5.84 dBi의 이득 크기를 나타낸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X 밴드 패치의 교차 편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c에서는 교차 편파 특성이 17.4 dB 정도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는 9.4 GHz에서 H 평면 및 E 평면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패치 어레이의 반사계수와 편파분리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8 X 8의 X 밴드 패치 어레이의 경우 발생되는 안테나 특성을 알 수 있다. 8.7-12.7 GHz의 대역폭을 나타내며, 편파분리도는 13 dB 이상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패치 어레이의 방사 패턴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8 X 8의 X 밴드 패치 어레이의 경우 방사 패턴을 나타내며, 19.2 dBi 정도 이득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패치 어레이의 교차 편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8 X 8의 X 밴드 패치 어레이의 경우 21.7 dB 정도의 교차 편파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S 밴드 패치의 반사계수와 편파분리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에서 보듯이, 단일 S 밴드 패치는 2.9-3.53 GHz의 대역폭을 나타내며, 반사손실(S11)은 -10 dB 이하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역폭에서 편파분리도는 15 dB 이상으로 나타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S 밴드 패치의 방사 패턴도이다.
도 7b에서 보듯이, 3.25 GHz에서 H 평면 및 E 평면의 지향성 방사 특성이 나타나 있다. 8.29 dBi 정도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S 밴드 패치의 교차 편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c에서는 18.6 dB 정도의 교차 편파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패치 어레이의 반사계수와 편파분리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S 밴드 패치 어레이는 2.92-3.57 GHz 정도의 대역폭 특성을 나타내며, 반사손실(S11)은 -10 dB 이하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역폭에서의 편파분리도는 15 dB 이상으로 나타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패치 어레이의 방사 패턴도이다.
도 8b에서는, 3.25 GHz에서 13.2 dBi의 정도의 지향성을 나타낸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패치 어레이의 교차 편파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c를 참조하면, 3.25 GHz에서 21.4 dB의 교차 편파 특성을 나타낸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1 기판 101: 접지
111: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111a: X 밴드 H 편파 급전점 111b: X 밴드 V 편파 급전점
112: X 밴드 기생 패치 120: 제2 기판
130: 제3 기판 131: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132: S 밴드 기생 패치 133: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
133a: S 밴드 H 편파 급전점 133b: S 밴드 V 편파 급전점
140: 제4 기판

Claims (8)

  1. 아랫면에 접지가 구비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적층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상에 적층되는 제3 기판;
    상기 제3 기판 상에 적층되는 제4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윗면에 형성되는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X band microstrip patch);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기판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X 밴드 기생 패치(X band parasitic patch);
    상기 제3 기판의 윗면에 형성되는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S band microstrip patch) 및
    상기 제 4 기판의 윗면 중 상기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가 형성된 상기 제3 기판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S 밴드 기생 패치(S band parasitic patch)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의 윗면에 형성되는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S band modified coupling feed patch);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는 8 X 8의 배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는 2 X 2의 배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는 이중편파 급전을 위해 상기 S밴드 마이크로스립 패치의 하부 위치에 2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간에 적층되는 제1 폼(foam) 기판;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3 기판 간에 적층되는 제2 폼 기판;
    상기 제3 기판과 상기 제4 기판 간에 적층되는 제3 폼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폼 기판 내지 상기 제3 폼 기판의 유전율은 1.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내지 상기 제4 기판의 각 변의 길이는 130 mm이고,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의 중심 간 거리는 15 mm이고,
    상기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의 중심 간 거리는 6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간의 간격은 2.5 mm이고,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3 기판 간의 간격은 2 mm이고,
    상기 제3 기판과 상기 제4 기판 간의 간격은 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배치 배열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및 상기 X 밴드 기생 패치가 마름모 형상으로 각각 배열되고,
    X 밴드 H 편파 급전점(X band H-polarization feed point)은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상에서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좌측에 형성되고,
    X 밴드 V 편파 급전점(X band V-polarization feed point)은 상기 X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상에서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배치 배열 안테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 밴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는,
    정사각형 형상으로서 각각 4 개의 X 밴드 기생 패치와 평면상으로 포개어지도록 배열되고, 상기 4 개의 X 밴드 기생 패치와 평면상으로 포개어지는 부분이 천공되어 뚫려져 있고,
    상기 S 밴드 기생 패치는,
    정사각형 형상에서 네 모서리 부위가 이등변삼각형 형상으로 잘려져 나간 형상으로서, 상기 4 개의 X 밴드 기생 패치와 평면상으로 포개어지는 부분이 천공되어 뚫려져 있고, 상기 4 개의 천공되어 뚫려진 부분이 에워싸는 중심 부분이 마름모 형상으로 천공되어 뚫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 밴드 변형 커플링 급전 패치는,
    상기 S 밴드 기생 패치의 좌단과 하단에 각각 포개어지는 형상으로 2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유전율은 3.2이고, 두께는 0.762 mm이고,
    상기 제2 기판의 유전율은 3.2이고, 두께는 0.762 mm이고,
    상기 제3 기판의 유전율은 3.2이고, 두께는 0.762 mm이고,
    상기 제4 기판의 유전율은 3.2이고, 두께는 0.508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배치 배열 안테나.
KR1020110137852A 2011-12-20 2011-12-20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KR101147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852A KR101147939B1 (ko) 2011-12-20 2011-12-20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852A KR101147939B1 (ko) 2011-12-20 2011-12-20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939B1 true KR101147939B1 (ko) 2012-05-23

Family

ID=4627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852A KR101147939B1 (ko) 2011-12-20 2011-12-20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93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3245A (zh) * 2015-06-25 2015-10-21 常州吉赫射频电子技术有限公司 S波段动中通双频圆极化微带天线及其阵列
KR101606053B1 (ko) 2014-09-25 2016-03-24 국방과학연구소 이중대역 위상배열 레이더 안테나용 복사소자 및 이를 이용한 이중대역 위상배열 레이더용 안테나
KR101775607B1 (ko) * 2016-07-12 2017-09-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개구결합 급전 패치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17627B1 (ko) * 2017-03-15 2018-01-11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레이다 비콘 장치
WO2019013588A1 (en) * 2017-07-13 2019-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NETWORK ANTENNA
KR102071221B1 (ko) * 2018-12-20 2020-03-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상 배열 레이다의 복사 소자 구성 장치 및 방법
KR102095943B1 (ko) * 2019-03-28 2020-04-03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공통 개구면을 가지는 이중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KR102151120B1 (ko) * 2019-10-30 2020-09-02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십자 패치를 이용한 공통 개구부 이중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CN112151946A (zh) * 2019-06-26 2020-12-29 三星电机株式会社 天线设备
CN113594676A (zh) * 2021-07-07 2021-11-02 安徽大学 毫米波双频段双圆极化天线单元及其阵列、设计方法
KR102347529B1 (ko) * 2021-09-23 2022-01-04 국방과학연구소 S 및 x 대역의 이중 대역 반사형 능동 메타표면 단위 셀
KR102405623B1 (ko) * 2020-12-24 2022-06-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802A (ko) * 2001-10-01 2004-04-29 레이티언 캄파니 슬롯 커플링형 편광 방사기
KR20050069286A (ko) * 2003-12-31 2005-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층구조의 광대역 원형편파 안테나
KR20060048432A (ko) * 2004-06-21 2006-05-18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쌍지향성 안테나 장치 및 지향 특성 조정 방법
KR20110114267A (ko) * 2010-04-13 2011-10-1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성 통신용 복합재 지능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802A (ko) * 2001-10-01 2004-04-29 레이티언 캄파니 슬롯 커플링형 편광 방사기
KR20050069286A (ko) * 2003-12-31 2005-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층구조의 광대역 원형편파 안테나
KR20060048432A (ko) * 2004-06-21 2006-05-18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쌍지향성 안테나 장치 및 지향 특성 조정 방법
KR20110114267A (ko) * 2010-04-13 2011-10-1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성 통신용 복합재 지능 구조물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053B1 (ko) 2014-09-25 2016-03-24 국방과학연구소 이중대역 위상배열 레이더 안테나용 복사소자 및 이를 이용한 이중대역 위상배열 레이더용 안테나
CN104993245A (zh) * 2015-06-25 2015-10-21 常州吉赫射频电子技术有限公司 S波段动中通双频圆极化微带天线及其阵列
KR101775607B1 (ko) * 2016-07-12 2017-09-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개구결합 급전 패치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8012701A1 (ko) * 2016-07-12 2018-01-18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개구결합 급전 패치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17627B1 (ko) * 2017-03-15 2018-01-11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레이다 비콘 장치
WO2018169195A1 (ko) * 2017-03-15 2018-09-20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레이다 비콘 장치
US11081807B2 (en) 2017-07-13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rray antenna
KR20190007734A (ko) * 2017-07-13 201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013588A1 (en) * 2017-07-13 2019-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NETWORK ANTENNA
KR102352592B1 (ko) * 2017-07-13 2022-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71221B1 (ko) * 2018-12-20 2020-03-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상 배열 레이다의 복사 소자 구성 장치 및 방법
KR102095943B1 (ko) * 2019-03-28 2020-04-03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공통 개구면을 가지는 이중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CN112151946A (zh) * 2019-06-26 2020-12-29 三星电机株式会社 天线设备
KR102151120B1 (ko) * 2019-10-30 2020-09-02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십자 패치를 이용한 공통 개구부 이중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KR102405623B1 (ko) * 2020-12-24 2022-06-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CN113594676A (zh) * 2021-07-07 2021-11-02 安徽大学 毫米波双频段双圆极化天线单元及其阵列、设计方法
CN113594676B (zh) * 2021-07-07 2023-08-18 安徽大学 毫米波双频段双圆极化天线单元及其阵列、设计方法
KR102347529B1 (ko) * 2021-09-23 2022-01-04 국방과학연구소 S 및 x 대역의 이중 대역 반사형 능동 메타표면 단위 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939B1 (ko) X 밴드 및 s 밴드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KR101014347B1 (ko) 이중 대역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배열 안테나
KR101014352B1 (ko) 이중 대역 이중 편파의 구현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 안테나
EP2908380B1 (en) Wideband dual-polarized patch antenna array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US10547118B2 (e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rrays
US9461370B2 (e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tenna and broadband dipole radiating element therefore
EP1748516B1 (en) Plate board type mimo array antenna including isolation element
CN112164877B (zh) 天线
US9590313B2 (en) Planar dual polarization antenna
EP2493018B1 (en) Aperture mode filter
JP4571196B2 (ja) 偏波ダイバーシチアンテナ
US7994985B2 (en) Isolation enhancement technique for dual-polarized probe-fed patch antenna
JP2008178101A (ja) 二重偏波スロットモードアンテナ及び関連方法
US20130285865A1 (en) Printed slot-type directional antenna, and system comprising an array of a plurality of printed slot-type directional antennas
KR20210077808A (ko)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안테나 어레이, 및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제조 방법
TW201445815A (zh) 多頻帶天線及其有槽的接地板體
KR20050117316A (ko) 다층 원형 도체 배열을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평면 배열 안테나
JP7009031B2 (ja) 円偏波共用平面アンテナ
KR102095943B1 (ko) 공통 개구면을 가지는 이중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JP2007067596A (ja) 平面アンテナ
Saturday et al. Compact rectangular slot patch antenna for dual frequency operation using inset feed technique
Ma et al. Dual-polarized turning torso antenna array for massive MIMO systems
US20020089452A1 (en) Low cross-polarization microstrip patch radiator
TW200913375A (en) Wideband co-planar waveguide feeding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KR101862753B1 (ko) 다중대역 적층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