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153B1 -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153B1
KR102405153B1 KR1020200186844A KR20200186844A KR102405153B1 KR 102405153 B1 KR102405153 B1 KR 102405153B1 KR 1020200186844 A KR1020200186844 A KR 1020200186844A KR 20200186844 A KR20200186844 A KR 20200186844A KR 102405153 B1 KR102405153 B1 KR 10240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
sensor
communication device
microscale
resonant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445A (ko
Inventor
이정훈
김우중
한상훈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ublication of KR20220053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 G01N5/02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by absorbing or adsorbing components of a material and determining change of weight of the adsorbent, e.g.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되는 외부 물질로 인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질량 변화에 따른,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주파수 측정부; 및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신호 중, 상기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COMMUNICATION USING QUARTZ CRYSTAL MICROBALANCE}
본 발명은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로봇들은 라디오 주파수(RF: Radio Frequency) 통신을 이용하여 로봇간의 정보를 교신하는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깊은 동굴 속이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 교란 등의 라디오 주파수(RF) 기반 통신이 불가능한 특수 상황에서 로봇이 임무를 수행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주파수(RF) 기반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 또는 테러나 전시상황과 같은 특수 상황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통신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290262호 (2013.07.22. 등록)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정미소저울 센서에 흡착되는 외부 물질로 인한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질량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공진 주파수의 특성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RF) 기반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에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 등이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되는 외부 물질로 인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질량 변화에 따른,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주파수 측정부; 및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신호 중, 상기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 값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공진 주파수 값 중, 상기 주파수 측정부에서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는,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전하를 띄는 박막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박막이 코팅되어 있는 부분에 상기 박막에 흐르는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는 상기 외부 물질이 흡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흡착될 수 있는 상기 외부 물질을 방사하는 방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송신하기 위한 신호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 값을 확인하고,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에서 상기 확인된 공진 주파수 값이 측정될 수 있는 상기 외부 물질의 양을 계산하고, 상기 방사부에서 상기 계산된 외부 물질의 양이 방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물질은,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흐르는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는 물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되는 외부 물질로 인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질량 변화에 따른,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신호 중, 상기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 값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공진 주파수 값 중, 상기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는,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전하를 띄는 박막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박막이 코팅되어 있는 부분에 상기 박막에 흐르는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는 상기 외부 물질이 흡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흡착될 수 있는 상기 외부 물질을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물질을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송신하기 위한 신호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에서 상기 확인된 공진 주파수 값이 측정될 수 있는 상기 외부 물질의 양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외부 물질의 양이 방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물질은,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흐르는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는 물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되는 외부 물질로 인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질량 변화에 따른,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신호 중, 상기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되는 외부 물질로 인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질량 변화에 따른,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신호 중, 상기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되는 외부 물질로 인한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질량이 변화됨에 따라 변화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공진 주파수의 특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는 주파수(RF) 기반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 또는 테러나 전시상황과 같은 특수 상황에서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통신 수행 시에 적군에게 감청되지 않을 수 있으며, 주파수(RF) 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간의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100)는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질량변화에 의해 변화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공진 주파수의 특성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100)는 수정미소저울 센서(110), 주파수 측정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방사부(150) 및 전원 공급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러한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100) 및 이에 포함된 구성 각각은 소프트웨어 모듈이나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 예컨대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 등에서 구현될 수 있고, 각각의 구성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정미소저울 센서(110)(QCM: Quartz Crystal Microbalance)는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전하를 띄는 박막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로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표면 전체에 전하를 띄는 박막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표면 중, 박막이 코팅되어 있는 부분에는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박막에 흐르는 전하과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는 외부 물질이 흡착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물질은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흐르는 전하(코팅되어 있는 박막에 흐르는 전하일 수 있음)과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는 물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미세먼지가 외부 물질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어 있는 박막에 흐르는 전하과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는 외부 물질(예를 들어, 미세먼지)이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와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할 경우, 외부 물질은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에 코팅된 박막에 흡착될 수 있다. 이때,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질량은 미세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질량이 미세하게 변화될 경우,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공진 주파수도 함께 변화될 수 있다.
주파수 측정부(120)는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되는 외부 물질로 인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질량 변화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주파수 측정부(120)는 주파수 카운터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신호 중, 주파수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신호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보다 상세히 저장부(140)는 복수 개의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 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저장부(14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신호는 기 설정된 암호 코드에 관한 신호로서, 복수 개의 신호 각각은 기 설정된 암호 메시지를 의미하는 신호일 수 있다.
저장부(140)는 복수 개의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 값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공진 주파수 값 중, 주파수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100)는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에 흡착되는 외부 물질(예를 들어, 미세먼지)로 인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질량 변화에 따른 공진 주파수의 변화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암호 코드에 관한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30)는 주파수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공진 주파수의 값이 임계값을 넘을 경우에만 저장부(140)에 저장된 공진 주파수 값 중, 주파수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저장부(140)에 저장된 공진 주파수 값 각각은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 값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방사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될 수 있는 외부 물질을 방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송신하기 위한 신호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 값을 확인하고,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에서 상기 확인된 공진 주파수 값이 측정될 수 있는 외부 물질의 양을 계산하고, 방사부(150)에서 계산된 외부 물질의 양만큼 외부 물질이 방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물질의 양은,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에서 박막이 코팅된 부분의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는 외부 물질(예를 들어, 미세먼지)의 질량일 수 있다.
즉, 방사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외부 물질을 방사하고, 방사된 외부 물질은 방사부(150)를 포함하고 있는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100)와는 다른 장치에 흡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방사부(150)에서 외부 물질이 방사될 경우, 방사된 외부 물질은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외부 장치에 포함된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장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100)로부터 방사된 외부 물질에 기초하여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60)는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간의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1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제 1 통신 장치(200)와 제 2 통신 장치(300)를 가정한 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 1 통신 장치(200)의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제 2 통신 장치(300)에 송신하기 위한 신호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의 값을 확인하고,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에서 상기 확인된 공진 주파수 값이 측정될 수 있는 외부 물질(예를 들어, 미세먼지)의 양을 계산하고, 방사부(150)에서 계산된 외부 물질의 양이 방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 1 통신 장치(200)에서 외부 물질이 방사되면, 제 1 통신 장치(200)에서 방사된 외부 물질이 제 2 통신 장치(300)에 포함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되고, 이로 인해 제 2 통신 장치(300)에 포함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질량이 변화됨에 따라 제 2 통신 장치(300)에 포함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공진 주파수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통신 장치(300)는 변화된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고, 제 2 통신 장치(300)에 포함된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 값 중,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제 1 통신 장치(200)에서 송신한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100)에 의해 수행 가능하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주파수 측정부(120)는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되는 외부 물질로 인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질량 변화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단계 S100).
구체적으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전하를 띄는 박막이 코팅되어 있으며,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박막이 코팅된 부분에 상기 박막에 흐르는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는 외부 물질(예를 들어, 미세먼지)가 흡착될 수 있다.
이때,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에서 박막이 코팅된 부분에 외부 물질이 흡착되게 되면,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질량이 변화되며, 질량이 변화됨에 따라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공진 주파수가 변화될 수 있는데, 주파수 측정부(120)는 이러한 공진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신호 중, 주파수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200).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공진 주파수 값 중, 주파수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수정미소저울 센서(110)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되는 외부 물질로 인한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질량이 변화됨에 따라 변화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공진 주파수의 특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는 주파수(RF) 기반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 또는 테러나 전시상황과 같은 특수 상황에서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통신 수행 시에 적군에게 감청되지 않을 수 있으며, 주파수(RF) 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110: 수정미소저울 센서
120: 주파수 측정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150: 방사부
160: 전원 공급부

Claims (14)

  1. 수정미소저울 센서;
    송신측 통신 장치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된 외부 물질로 인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질량 변화에 따른,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주파수 측정부; 및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신호 중, 상기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외부 물질을 이용한 통신의 수신신호로서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 값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공진 주파수 값 중, 상기 주파수 측정부에서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는,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전하를 띄는 박막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박막이 코팅되어 있는 부분에 상기 박막에 흐르는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는 상기 외부 물질이 흡착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신측 통신 장치에 포함된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될 수 있는 상기 외부 물질을 방사하는 방사부를 더 포함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상기 수신측 통신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 값을 확인하고, 상기 수신측 통신 장치에 포함된 수정미소저울 센서에서 상기 확인된 공진 주파수 값이 측정될 수 있는 상기 외부 물질의 양을 계산하고, 상기 방사부에서 상기 계산된 외부 물질의 양이 방사되도록 제어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물질은,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흐르는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는 물질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7.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통신 장치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된 외부 물질로 인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질량 변화에 따른,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신호 중, 상기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외부 물질을 이용한 통신의 수신신호로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 값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공진 주파수 값 중, 상기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는,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전하를 띄는 박막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박막이 코팅되어 있는 부분에 상기 박막에 흐르는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는 상기 외부 물질이 흡착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수신측 통신 장치에 포함된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흡착될 수 있는 상기 외부 물질을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물질을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상기 수신측 통신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통신 장치에 포함된 수정미소저울 센서에서 상기 확인된 공진 주파수 값이 측정될 수 있는 상기 외부 물질의 양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외부 물질의 양이 방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물질은,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흐르는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는 물질인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방법.
  13.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송신측 통신 장치로부터 방사되어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된 외부 물질로 인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질량 변화에 따른,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신호 중, 상기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외부 물질을 이용한 통신의 수신신호로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송신측 통신 장치로부터 방사되어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흡착된 외부 물질로 인한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질량 변화에 따른, 상기 수정미소저울 센서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신호 중, 상기 측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외부 물질을 이용한 통신의 수신신호로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86844A 2020-10-22 2020-12-29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05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7247 2020-10-22
KR1020200137247 2020-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45A KR20220053445A (ko) 2022-04-29
KR102405153B1 true KR102405153B1 (ko) 2022-06-07

Family

ID=8142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844A KR102405153B1 (ko) 2020-10-22 2020-12-29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1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0630A (ja) * 2008-12-03 2012-05-10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水晶振動子を利用した圧力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018128552A (ja) * 2017-02-08 2018-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粉体質量測定装置,および,電子写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262B1 (ko) 2011-03-31 2013-07-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구획홈을 구비한 다채널 수정 결정 미소 저울.
KR20200076580A (ko) * 2019-10-30 2020-06-29 주식회사 라온즈 통합 전극 구조를 갖는 전기화학적 수정결정미소저울의 반응셀, 이를 구비하는 전기화학적 수정결정미소저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적 수정결정미소저울 네트워크 분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0630A (ja) * 2008-12-03 2012-05-10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水晶振動子を利用した圧力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018128552A (ja) * 2017-02-08 2018-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粉体質量測定装置,および,電子写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45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53136A1 (en) Welding asset tracking with heartbeat monitoring
US202101730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fid tag locating using constructive interference
US9696343B2 (en) Asset management system for HF sensitive measurement devices
US20130069760A1 (en) Method to increase accuracy of locating unit in wireless vehicle system
KR102333178B1 (ko) 무선전력전송의 시험에 활용하기 위한 시험시스템 및 이와 관련된 시험장치와 방법
CA2913708C (en) Method for indicating proximity, corresponding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9501820A (ja) 自動車の使用の承認
CN106370094A (zh) 用于车辆的利用磁场传感器的位置确定
EP3611668B1 (en) Moisture sensors
KR102405153B1 (ko) 수정미소저울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0530258C (zh) 收发器以及用于收发器的调整系统
US976660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ynthesis of a waveguide array antenna
CN109089221B (zh) 用于经由wi-fi指纹和电磁指纹进行室内跟踪的系统和方法
JP2019501821A (ja) 自動車の使用の承認
US20170108589A1 (en) Measuring and controll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mitted by electronic components
JP2019506326A (ja) 自動車の使用の承認
US11336333B2 (en) NFC device, reader/writer device and methods for authorizing and performing an update
JP6346466B2 (ja) 磁気データ補正装置
CN109983477A (zh) 用光激活rfid应答器
JP2019513199A (ja) 自動車の使用の承認
US2010003931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communication apparatus
JP698238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60261B1 (ko) 근거리 통신망 및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관리 장치, 서버 및 시스템
EP3799981A1 (en) Systems and method of welding asset tracking
KR101793637B1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위치 측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