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089B1 -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 Google Patents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089B1
KR102405089B1 KR1020200042229A KR20200042229A KR102405089B1 KR 102405089 B1 KR102405089 B1 KR 102405089B1 KR 1020200042229 A KR1020200042229 A KR 1020200042229A KR 20200042229 A KR20200042229 A KR 20200042229A KR 102405089 B1 KR102405089 B1 KR 102405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ase
vivo
vitro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149A (ko
Inventor
최정석
김철홍
유일재
조미성
김회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시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시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시티엠
Priority to KR1020200042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08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25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1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toxic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비보 시험 유닛과 인비트로 시험 유닛을 구비하고, 하나의 테스트 물질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테스트 물질을 인비보 시험 유닛 및 인비트로 시험 유닛에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테스트 물질을 공급하는 시험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로 2가지 시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테스트 물질에 대한 독성 평가 시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2가지 시험 방식에 대한 비교 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고, 인비트로 시험 유닛에 복수개의 세포 조직을 배치하고 각 세포 조직마다 서로 다른 농도로 테스트 물질을 공급함으로써, 1회의 시험에서 서로 다른 농도의 테스트 물질에 노출된 세포 조직의 변화를 상호 비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비보 시험 방식의 결과와 다양한 방식으로 비교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비교 분석 및 결과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In-vivo and In-vitro Type Exposure Chamber for Testing Inhalation Toxicity of Particles}
본 발명은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비보 시험 유닛과 인비트로 시험 유닛을 구비하고, 하나의 테스트 물질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테스트 물질을 인비보 시험 유닛 및 인비트로 시험 유닛에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테스트 물질을 공급하는 시험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로 2가지 시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테스트 물질에 대한 독성 평가 시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2가지 시험 방식에 대한 비교 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고, 인비트로 시험 유닛에 복수개의 세포 조직을 배치하고 각 세포 조직마다 서로 다른 농도로 테스트 물질을 공급함으로써, 1회의 시험에서 서로 다른 농도의 테스트 물질에 노출된 세포 조직의 변화를 상호 비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비보 시험 방식의 결과와 다양한 방식으로 비교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비교 분석 및 결과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세기가 마이크로로 대별되는 시대였다면 21세기는 나노 시대라 할 수 있는데, 나노기술은 그 응용분야에 따라 나노소재와 나노소자, 그리고 환경 및 생명공학 기반기술 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나노기술은 원자나 분자단위의 극미세 물질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성질과 기능을 갖는 물질이나 장치를 만드는 것으로, 이는 오늘날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 IT) 및 기타 생명공학기술(biotechnology : BT)을 실현시키기 위한 하나의 최첨단 기술로 추앙받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나노기술은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새로운 기술혁명이라 인식될 정도로 많은 이로움과 유익함을 제공하는 것이기는 하나, 그 반면에 잠재적 위험성을 지니고 있는 것 또한 주지의 사실인 바, 이러한 잠재적 위험성은 바로 나노기술의 특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작은 입자일수록 비표면적비는 넓어지고, 이와 같이 비표면적비가 넓어진 작은 입자는 생체조직과 반응시 독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그 일 예로서 이산화티타늄, 탄소분말, 디젤입자 등과 같은 몇 가지 나노입자는 크기가 줄어들수록 염증을 유발하는 등 독성이 강해진다는 것이 그동안의 학문적 실험을 통해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또한, 초미세 나노입자는 기도나 점막에 걸러지지 않고 폐포 깊숙이 박히거나 뇌로 이동할 수도 있고, 더욱이 최근 여러 연구에 의하면 나노입자가 체내에 축적될 경우 질병이나 중추신경 장애를 일으킨다는 이론들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나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나노 기술에 대한 안정성 평가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나노 입자가 인체에 흡입 축적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독성에 대해 평가하는 나노 입자 흡입 독성 평가 시험이 다양한 실험 동물들을 상대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나노 입자 흡입 독성 평가 시험을 통해 얻어진 인체 유해성 자료들은 나노 섬유, 화장품, 반도체, 약물 전달체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나노 입자에 대한 다양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나노 입자에 대한 흡입 독성 평가 뿐만 아니라 각종 유해 물질, 예를 들면, 미스트, 분진, 가스, 증기, 미세 입자, 초미세 입자, 스모그 등 호흡을 통해 신체에 유입되는 다양한 물질들에 대한 흡입 독성 평가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흡입 독성 평가 시험은 대부분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나노 입자를 포함한 다양한 유해물질 입자들을 모두 통칭하여 유해물질 입자라고 기술한다.
이러한 유해물질 입자에 대한 흡입 독성 평가 시험은 일반적으로 유해물질 입자를 에어로졸 상태로 발생시켜 일정 크기의 흡입 챔버를 갖는 노출 챔버 장치에 공급하고, 노출 챔버 장치의 흡입 챔버에 실험 동물을 투입시켜 실험 동물이 호흡기를 통해 유해물질 입자를 흡입하도록 노출시킨 후 실험 동물의 다양한 변화 상태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시험 대상체인 실험 동물의 체내에서 수행되는 시험을 인비보(in-vivo) 시험이라 하고, 시험 대상체의 일부 조직 세포를 절개하거나 세포를 배양하여 별도의 시험관에서 조건을 조절하여 행하는 시험을 인비트로(in-vitro) 시험이라 하는데, 최근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살아있는 생명체에 대한 실험을 규제하는 법안이 강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물에 대한 보호 차원에서 인비보 방식의 시험보다는 인비트로 방식의 시험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인비트로 방식으로 나노 입자에 대한 독성 평가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인비트로 방식 전용 나노 입자 노출 장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인비트로 방식의 시험은 인비보 방식의 시험에 비해 그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아직까지 시험 환경 등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나 통계가 마련되지 않아 인비트로 방식의 시험이 전면적으로 적용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현재 인비트로 방식의 시험은 일종의 예비적인 시험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인비트로 시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기초로 다시 인비보 시험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나노 입자에 대한 독성 평가 시험이 진행되거나 또는 인비트로 시험의 결과와 인비보 시험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비교하는 방식으로 나노 입자에 대한 독성 평가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이 경우 인비보 시험과 인비트로 시험은 동일한 시험 조건을 유지하며 수행되어야 하는데, 각각의 시험이 별도로 수행되는 경우 동일한 시험 조건을 유지하기가 어려워 2가지 시험 결과에 대해 동등한 조건에서 정확한 비교 작업이 어렵고, 각 시험을 별도로 진행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88864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스트 물질에 대한 인비보 방식의 독성 평가 시험이 가능한 인비보 시험 유닛과, 인비트로 방식의 독성 평가 시험이 가능한 인비트로 시험 유닛을 구비하고, 하나의 테스트 물질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테스트 물질을 인비보 시험 유닛 및 인비트로 시험 유닛에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테스트 물질을 공급하는 시험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로 2가지 시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테스트 물질에 대한 독성 평가 시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2가지 시험 방식에 대한 비교 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비트로 시험 유닛에 복수개의 세포 조직을 배치하고 각 세포 조직마다 서로 다른 농도로 테스트 물질을 공급함으로써, 1회의 시험에서 서로 다른 농도의 테스트 물질에 노출된 세포 조직의 변화를 상호 비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비보 시험 방식의 결과와 다양한 방식으로 비교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비교 분석 및 결과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비트로 시험 유닛에서 세포 배양 모듈의 삽입 작업이 용이하여 오염 발생을 최소화하고, 복수개의 인서트 내부 공간을 분리 구획하여 각각의 세포 조직에 대해 상호 영향 없이 독립적인 시험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더욱 정확한 시험 결과 도출 및 비교 시험이 가능한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험 동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흡입 챔버가 형성되고, 테스트 물질을 발생시키는 별도의 테스트 물질 발생기와 제 1 유입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흡입 챔버에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인비보 시험 케이스를 포함하는 인비보 시험 유닛; 및 세포 조직을 배양할 수 있는 세포 배양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고, 내부 공간에는 상기 인비보 시험 케이스에 공급되는 테스트 물질의 농도와 동일 농도로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도록 제 2 유입 배관을 통해 상기 인비보 시험 유닛과 연결되는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를 포함하는 인비트로 시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물질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테스트 물질은 상기 인비보 시험 유닛에 공급된 테스트 물질의 농도와 동일 농도로 상기 인비보 시험 유닛을 통과하여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인비보 시험 유닛에는 복수개의 인비보 시험 케이스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인비보 시험 케이스는 상기 테스트 물질 발생기와 연결되는 별도의 메인 파이프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급 포트에 각각 결합되어 내부 공간으로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고,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는 상기 제 2 유입 배관을 통해 상기 메인 파이프의 공급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는 복수개 구비되고, 각각의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에 상기 제 2 유입 배관이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제 2 유입 배관의 일단이 상기 메인 파이프의 공급 포트 중 일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에 각각 테스트 물질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은, 세포 배양액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양웰이 형성된 웰 플레이트와, 바닥면에 세포 조직을 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양웰에 각각 삽입 안착되는 복수개의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는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이 내부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각각의 인서트 내부 공간을 각각 밀봉되게 분리 구획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유입 배관에는 분배기가 연결되고,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에 수용된 각각의 인서트 내부 공간에는 상기 분배기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테스트 물질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에 수용된 각각의 인서트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테스트 물질의 농도를 각각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에는 각각의 인서트 내부 공간에 테스트 물질을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입 포트가 결합되고, 각각의 인서트 내부 공간을 각각 독립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흡입 배출 포트가 결합되고, 상기 유입 포트에 상기 제 2 유입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는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이 삽입 안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 포트 및 흡입 배출 포트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이 상기 케이스 본체에 삽입 안착된 후, 상기 케이스 커버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하도록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서트의 위치를 고정 가이드하도록 상기 케이스 커버의 하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수평 단면 형상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면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오목한 내측면이 상기 인서트의 측면 일측에 밀착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오목한 내측면과 대향되는 위치에 하향 돌출되는 단턱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 돌기는 상기 케이스 커버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의 측면 타측에 밀착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의 상단 가장자리 둘레와 밀착 접촉하며 상기 인서트의 내부 공간을 각각 밀봉하는 실링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벽체 내부 및 상기 케이스 커버의 벽체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별도의 온수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온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스트 물질에 대한 인비보 방식의 독성 평가 시험이 가능한 인비보 시험 유닛과, 인비트로 방식의 독성 평가 시험이 가능한 인비트로 시험 유닛을 구비하고, 하나의 테스트 물질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테스트 물질을 인비보 시험 유닛 및 인비트로 시험 유닛에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테스트 물질을 공급하는 시험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로 2가지 시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테스트 물질에 대한 독성 평가 시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2가지 시험 방식에 대한 비교 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비트로 시험 유닛에 복수개의 세포 조직을 배치하고 각 세포 조직마다 서로 다른 농도로 테스트 물질을 공급함으로써, 1회의 시험에서 서로 다른 농도의 테스트 물질에 노출된 세포 조직의 변화를 상호 비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비보 시험 방식의 결과와 다양한 방식으로 비교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비교 분석 및 결과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비트로 시험 유닛에서 세포 배양 모듈의 삽입 작업이 용이하여 오염 발생을 최소화하고, 복수개의 인서트 내부 공간을 분리 구획하여 각각의 세포 조직에 대해 상호 영향 없이 독립적인 시험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더욱 정확한 시험 결과 도출 및 비교 시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커버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도 4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는 실험 동물(T1)이 테스트 물질을 흡입하도록 테스트 물질을 실험 동물(T1)에게 노출시키는 인비보 시험 유닛(10)과, 일부 세포 조직(T2)을 추출하여 내부에 배양하고 배양된 세포 조직(T2)에 테스트 물질을 노출시키는 인비트로 시험 유닛(20)을 포함하고, 인비보 시험 유닛(10)과 인비트로 시험 유닛(20)은 각각 제 1 유입 배관(31)과 제 2 유입 배관(32)을 통해 하나의 테스트 물질 발생기(30)에 연결되어 테스트 물질이 동시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인비보 시험 및 인비트로 시험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인비보 시험 유닛(10)은, 실험 동물(T1)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흡입 챔버(501)가 형성되는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는 테스트 물질을 발생시키는 테스트 물질 발생기(30)와 제 1 유입 배관(31)을 통해 연결되어 흡입 챔버(501)에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인비보 시험 유닛(10)은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전신 노출 챔버 장치(whole body exposure chamber)와 비부 노출 챔버 장치(nose only exposure chamber) 등이 있다. 전신 노출 챔버 장치는 실험 동물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투입되고 투입된 공간 내에서 생활하며 유해 물질 입자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데 반해, 비부 노출 챔버 장치는 실험 동물이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투입되어 위치 고정되고 투입된 공간 내에서 코를 통해 유해 물질 입자를 흡입하도록 형성된다. 비부 노출 챔버 장치로는 실험 동물로 마우스를 투입하여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마우스 홀더 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도 1에는 인비보 시험 유닛(10)의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로서, 비부 노출 챔버 장치인 마우스 홀더 장치가 적용된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인비보 시험 유닛(10)은 테스트 물질 발생기(30)로부터 테스트 물질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중심부에 하나의 메인 파이프(510)가 배치되고, 메인 파이프(510)에는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공급 포트(520)가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파이프(510)의 복수개 공급 포트(520)에 복수개의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가 각각 연통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 내부에는 실험 동물(T1)이 투입되는 흡입 챔버(501)가 형성되고, 메인 파이프(510)와 연통되는 연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테스트 물질을 내부의 실험 동물(T1)이 강제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메인 파이프(5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테스트 물질이 공급 및 배출되도록 메인 공급 포트(511) 및 메인 배출 포트(5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는 예시적인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신 노출 챔버 장치의 노출 챔버 케이스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케이지형 노출 챔버 케이스 등 테스트 물질을 실험 동물에게 노출시켜 흡입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인비트로 시험 유닛(20)은 세포 조직(T2)을 배양할 수 있는 세포 배양 모듈(400)을 내부에 수용하는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는 제 2 유입 배관(32)이 연결되어 내부 공간으로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고, 이를 통해 내부의 세포 조직(T2)이 테스트 물질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2 유입 배관(32)은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으로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에 공급되는 테스트 물질의 농도와 동일 농도로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도록 인비보 시험 유닛(1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 2 유입 배관(32)의 일단은 인비보 시험 유닛(10)의 메인 파이프(510) 공급 포트(5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 연결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비보 시험 유닛(10)은 하나의 메인 파이프(510)에 복수개의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가 결합되며, 복수개의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에는 일부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마다 각각 테스트 물질의 농도가 고농도, 중농도 및 저농도로 서로 다르게 공급되고, 일부는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대조군)로 배치된다.
인비트로 시험 유닛(10)의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는 제 2 유입 배관(32)을 통해 메인 파이프(510)의 공급 포트(520)에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메인 파이프(510)의 복수개 공급 포트(520) 중 일부는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가 결합되지 않고,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가 결합되지 않는 공급 포트(520)에 제 2 유입 배관(32)이 결합되어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테스트 물질 발생기(30)로부터 발생된 테스트 물질은 제 1 유입 배관(31)을 통해 인비보 시험 유닛(10)의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에 공급됨과 동시에 인비보 시험 유닛(10)의 공급 포트(520)를 통과하여 제 2 유입 배관(32)을 통해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 공급된다. 따라서, 인비보 시험 케이스(500)에 공급되는 테스트 물질의 농도와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 공급되는 테스트 물질의 농도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특히, 제 2 유입 배관(32)을 메인 파이프(510)의 공급 포트(520) 중 고농도 공급 포트에 연결하면,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도 고농도의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고, 마찬가지로, 중농도 공급 포트 또는 저농도 공급 포트에 연결하면,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도 중농도 또는 저농도의 테스트 물질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인비보 시험 유닛(10)과 인비트로 시험 유닛(20)에 동일한 조건의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어 인비보 및 인비트로 시험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할 수 있고, 분석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를 복수개 구비하고, 복수개의 제 2 유입 배관(32)을 통해 각각의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 2 유입 배관(32)은 각각 고농도, 중농도, 저농도 및 대조군 공급 포트에 결합되고, 각각의 제 2 유입 배관(32)에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가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 고농도, 중농도 및 저농도 농도의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며, 하나의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는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지 않는 대조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되는 세포 배양 모듈(400)은, 세포 배양액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양웰이 형성된 웰 플레이트(410)와, 바닥면에 세포 조직(T2)을 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양웰에 각각 삽입 안착되는 복수개의 인서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는 세포 배양 모듈(400)이 내부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각각의 인서트(420) 내부 공간을 각각 밀봉되게 분리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는 각 인서트(420) 내부 공간에 독립적으로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도록 복수개의 유입 포트(200)가 결합되고, 각 인서트(420) 내부 공간을 독립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흡입 배출 포트(300)가 결합된다. 각각의 유입 포트(200)에 제 2 유입 배관(32)이 연결되며, 제 2 유입 배관(32)으로부터 각각의 유입 포트(200)를 통해 복수개의 인서트(420) 내부 공간에 각각 독립적으로 테스트 물질이 공급된다.
이때, 제 2 유입 배관(32)에는 별도의 분배기(5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 수용된 각각의 인서트(420) 내부 공간에는 분배기(50)를 통해 다시 한번 분배된 테스트 물질이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도 6 참조).
분배기(50)는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 수용된 각각의 인서트(420)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테스트 물질의 농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농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분배기(50)를 통해 다수개로 분배되는 테스트 물질의 농도는 분배기(50)의 작동 조절에 의해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되거나 일부만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등 다양한 농도 조합을 갖도록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농도 공급 포트(520)와 연결되는 제 2 유입 배관(32)에 분배기(50)가 장착되고, 제 2 유입 배관(32)은 분배기(50)로부터 2개로 분기되어 2개의 유입 포트(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분배기(50)의 작동 조절에 의해 2개의 분기된 제 2 유입 배관(32)에 서로 다른 고농도(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농도가 더 큰 고농도와 상대적으로 농도가 더 작은 고농도)의 테스트 물질이 흘러가고, 2개의 유입 포트(200)를 통해 각각의 인서트(4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고농도 공급 포트(520)에 연결된 제 2 유입 배관(32) 및 분배기(50)를 통해 고농도 범위에서 서로 다른 농도의 테스트 물질을 좀더 세분하여 인서트(420) 내부 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인비트로 시험 유닛(20)에서는 일부 세포 조직(T2)에 대해 인비보 시험 유닛(10)에 공급되는 테스트 물질의 농도와 동일 농도로 테스트 물질을 공급하고, 일부 세포 조직(T2)에 대해서는 인비보 시험 유닛(10)에 공급되는 테스트 물질의 농도와 다른 농도로 테스트 물질을 공급할 수 있고, 이러한 서로 다른 농도의 테스트 물질 공급을 통해 1회의 시험에서 다양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인비보 시험 결과와의 다양한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의 구성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커버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비트로 시험 유닛(20)은 세포 조직이 각각 배치된 복수개의 인서트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고 각각의 세포 조직에 테스트 물질을 노출시키는 장치로서,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와,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유입 포트(200)와 흡입 배출 포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비트로 시험 유닛(20)에 적용되는 세포 배양 모듈(400)은, 세포 배양액(S)을 각각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양웰(411)이 형성된 웰 플레이트(410)와, 바닥면에 세포 조직(T)을 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복수개의 배양웰(411)에 각각 삽입 안착되는 복수개의 인서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웰 플레이트(410)에 6개의 배양웰(411)이 형성되며, 6개의 배양웰(411)에 각각 세포 조직(T)이 배치된 인서트(420)가 삽입 안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인서트(420)에 배치된 세포 조직(T)은 배양웰(411)에 삽입 안착된 상태에서 배양웰(411)에 저장된 세포 배양액(S)을 통해 배양되고, 이 상태로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삽입 수용된다. 이때, 작업자는 하나의 웰 플레이트(410)를 운반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세포 조직(T)을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삽입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세포 배양 모듈(400)의 노출 챔버 장치에 대한 삽입 수용 작업이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오염 가능성이 최소화되어 독성 시험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는 세포 배양 모듈(400)이 내부에 삽입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세포 배양 모듈(400)이 내부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각각의 인서트(420) 내부 공간을 각각 밀봉되게 분리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유입 포트(200)는 복수개 구비되어 복수개의 인서트(420) 내부 공간에 테스트 물질(P)을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 결합되며, 흡입 배출 포트(300) 또한 복수개 구비되어 복수개의 인서트(420) 내부 공간을 각각 독립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복수개의 인서트(420)에 배치된 세포 조직(T)에 각각 독립적으로 테스트 물질(P)을 노출시킬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는 세포 배양 모듈(400)이 삽입 안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의 케이스 본체(110)와, 케이스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10)와 케이스 커버(120)는 내부 공간이 밀봉 상태가 되도록 상호 결합된다.
유입 포트(200) 및 흡입 배출 포트(300)는 각각 복수개씩 구비되어 케이스 커버(120)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게 결합된다. 각각의 유입 포트(200) 및 흡입 배출 포트(300)는 복수개의 인서트(420) 내부 공간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통되게 배치된다.
유입 포트(200)에는 테스트 물질 발생기(30)로부터 발생된 테스트 물질(P)이 인서트(420) 내부 공간으로 유입 공급되도록 별도의 테스트 물질 주입관(210)이 인서트(420)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관통 결합된다. 이러한 테스트 물질 주입관(210)은 하단으로 갈수록 내부 유로가 증가하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테스트 물질 주입관(210)의 하단과 인서트(420)의 바닥면과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케이스 커버(12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물질 주입관(210)을 통해 인서트(420)의 세포 조직(T)을 향해 공급되는 테스트 물질(P)은 흡입 배출 포트(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흡입 배출 포트(300)는 케이스 커버(120)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케이스 커버(120)의 하면에는 테스트 물질 주입관(210)의 주변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흡입홀(311)이 형성되고, 케이스 커버(120)의 벽체 내부에는 복수개의 흡입홀(311)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어 흡입 배출 포트(300)에 연결되는 흡입 유로(31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테스트 물질 주입관(210)을 통해 공급되는 테스트 물질(P)은 균일한 분포로 확산되어 세포 조직(T)을 향해 공급되고, 이후 복수개의 흡입홀(311) 및 흡입 유로(310)를 통해 균일하고 원활하게 흡입되어 흡입 배출 포트(300)를 거쳐 외부 배출된다. 따라서, 테스트 물질(P)이 세포 조직(T)에 더욱 균일한 분포 상태로 노출되므로, 독성 평가 시험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한편, 세포 배양 모듈(400)을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삽입 수용하는 과정은, 케이스 커버(120)를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분리 제거한 상태로 세포 배양 모듈(400)을 케이스 본체(110)에 삽입 안착하고, 이 상태에서 케이스 커버(120)를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케이스 커버(120)를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세포 배양 모듈(400)의 복수개 인서트(420)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으면, 케이스 커버(120)에 장착된 유입 포트(200)와 인서트(420)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게 되므로, 유입 포트(200)를 통한 테스트 물질(P)의 주입 상태가 변화하게 되어 시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는 세포 배양 모듈(400)이 케이스 본체(110)에 삽입 안착된 후,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하도록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서트(420)의 위치를 고정 가이드하도록 케이스 커버(120)의 하면에 가이드 플레이트(150)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인서트(420)의 외부 직경은 배양웰(411)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인서트(420)가 배양웰(4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서트(420)는 일정 구간 이동할 수 있는데,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 본체(110)와 결합을 위해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50)가 인서트(420)의 측면에 접촉하며 인서트(420)를 정위치에 가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단면 형상이 케이스 본체(110)의 측면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오목한 내측면이 인서트(420)의 측면 일측에 밀착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150)가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서트(420)의 측면과 접촉하며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 플레이트(150)의 하단부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케이스 본체(110)의 측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15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150)는 인서트(420)의 일측 방향 측면과 접촉하도록 하나의 인서트(420)에 대해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인서트(4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단턱 돌기(160)가 케이스 커버(12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턱 돌기(160)는 케이스 커버(120)의 하면에 가이드 플레이트(150)의 오목한 내측면과 대향되는 위치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 인서트(420)의 타측 방향 측면과 밀착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턱 돌기(160)는 케이스 커버(120)의 결합을 위한 하향 이동 과정에서 인서트(420)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50)와 함께 인서트(4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50)와 비교하여 하향 돌출 높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50)와 단턱 돌기(160)가 형성됨에 따라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 완료되면, 복수개의 배양웰(411)에 각각 삽입 안착된 인서트(420)는 가이드 플레이트(150)와 단턱 돌기(160)에 의해 양측면이 접촉되며 정위치에 고정된다.
한편, 가이드 플레이트(150)는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 그 끝단이 웰 플레이트(410)의 배양웰(411)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가이드 플레이트(150)의 내부에는 배양웰(411)에 세포 배양액(S)을 주입할 수 있도록 배양액 주입 유로(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세포 배양 모듈(400)의 배양웰(411)에 세포 배양액(S)을 추가로 주입할 수 있어 노출 시험을 중단하거나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를 개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세포 배양액(S)을 추가할 수 있다.
케이스 커버(120)의 벽체 내부에는 이러한 배양액 주입 유로(151)와 연통되게 내부 연통 유로(152)가 형성되며, 내부 연통 유로(152)는 일단이 외부 공간에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 연통 유로(152)의 외부 개방된 일단에는 별도의 마감캡(153)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 연통 유로(152)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양웰(411)에 세포 배양액(S)을 추가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 마감캡(153)을 분리하여 내부 연통 유로(152)를 개방하고, 별도의 배양액 주입 장치(미도시)를 내부 연통 유로(152)에 연결하여 세포 배양액(S)을 주입하면, 세포 배양액(S)이 내부 연통 유로(152)를 통해 가이드 플레이트(150)의 배양액 주입 유로(151)를 거쳐 배양웰(411) 내부 공간으로 주입된다.
한편, 케이스 커버(120)의 하면에는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 인서트(420)의 상단 가장자리 둘레와 밀착 접촉하며 인서트(420)의 내부 공간을 각각 밀봉하는 실링 부재(140)가 장착된다. 실링 부재(140)는 인서트(420)의 형상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 완료하면, 실링 부재(140)가 인서트(420)의 상단 가장자리 둘레와 밀착 접촉하며 각 인서트(420) 내부 공간을 밀봉하게 되므로, 복수개의 인서트(420) 내부 공간이 각각 밀봉된 상태로 분리 구획된다.
따라서, 유입 포트(200)를 통해 인서트(420) 내부 공간에 테스트 물질(P)을 노출시키게 되면, 각각의 인서트(420) 내부 공간에 대해 테스트 물질(P)이 독립적으로 공급되므로, 각 인서트(420)의 세포 조직(T)에 대해 상호 영향 없이 독립적인 독성 평가 시험이 가능하다.
한편, 세포 배양 모듈(400)을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테스트 물질(P)을 세포 조직(T)에 노출시키는 시험 과정을 일정 시간 동안 진행하는 과정에서, 세포 배양 모듈(400)에 존재하는 세포 조직(T)이 체내 환경과 다른 환경에 노출되므로, 시험 과정에서 세포 조직(T)이 괴사하거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 내부 공간의 환경이 체내 환경과 유사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벽체 내부 및 케이스 커버(120)의 벽체 내부에 별도의 온수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온수 유로(130)가 형성된다.
온수 유로(130)는 벽체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긴 유로를 갖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온수 유로(130)의 일단에는 온수 유입 포트(131)가 장착되고, 타단에는 온수 배출 포트(132)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 벽체 내부에 온수 유로(130)가 형성되고, 온수 유로(130)를 통해 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 내부 공간의 온도를 체온과 유사한 온도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세포 배양 모듈(400)의 세포 조직(T)의 괴사 및 변형을 방지하여 더욱 정확한 시험 결과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인비보 시험 유닛
20: 인비트로 시험 유닛
30: 테스트 물질 발생기
31: 제 1 유입 배관
32: 제 2 유입 배관
50: 분배기
100: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
110: 케이스 본체
120: 케이스 커버
130: 온수 유로
140: 실링 부재
150: 가이드 플레이트
151: 배양액 주입 유로
160: 단턱 돌기
200: 유입 포트
210: 테스트 물질 주입관
300: 흡입 배출 포트
400: 세포 배양 모듈
410: 웰 플레이트
411: 배양웰
420: 인서트
500: 인비보 시험 케이스
501: 흡입 챔버
510: 메인 파이프
520: 공급 포트

Claims (11)

  1. 실험 동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흡입 챔버가 형성되고, 테스트 물질을 발생시키는 별도의 테스트 물질 발생기와 제 1 유입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흡입 챔버에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인비보 시험 케이스를 포함하는 인비보 시험 유닛; 및
    세포 조직을 배양할 수 있는 세포 배양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고, 내부 공간에는 상기 인비보 시험 케이스에 공급되는 테스트 물질의 농도와 동일 농도로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도록 제 2 유입 배관을 통해 상기 인비보 시험 유닛과 연결되는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를 포함하는 인비트로 시험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물질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테스트 물질은 상기 인비보 시험 유닛에 공급된 테스트 물질의 농도와 동일 농도로 상기 인비보 시험 유닛을 통과하여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에 공급되고,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은, 세포 배양액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양웰이 형성된 웰 플레이트와, 바닥면에 세포 조직을 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양웰에 각각 삽입 안착되는 복수개의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는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이 내부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각각의 인서트 내부 공간을 각각 밀봉되게 분리 구획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유입 배관에는 분배기가 연결되고,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에 수용된 각각의 인서트 내부 공간에는 상기 분배기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며,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는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이 삽입 안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면에는 각각의 인서트 내부 공간에 테스트 물질을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유입 배관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유입 포트와, 각각의 인서트 내부 공간을 각각 독립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복수개의 흡입 배출 포트가 상향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이 상기 케이스 본체에 삽입 안착된 후, 상기 케이스 커버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하도록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서트의 위치를 고정 가이드하도록 상기 케이스 커버의 하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비보 시험 유닛에는 복수개의 인비보 시험 케이스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인비보 시험 케이스는 상기 테스트 물질 발생기와 연결되는 별도의 메인 파이프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급 포트에 각각 결합되어 내부 공간으로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고,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는 상기 제 2 유입 배관을 통해 상기 메인 파이프의 공급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는 복수개 구비되고, 각각의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에 상기 제 2 유입 배관이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제 2 유입 배관의 일단이 상기 메인 파이프의 공급 포트 중 일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에 각각 테스트 물질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인비트로 시험 케이스에 수용된 각각의 인서트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테스트 물질의 농도를 각각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수평 단면 형상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면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오목한 내측면이 상기 인서트의 측면 일측에 밀착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오목한 내측면과 대향되는 위치에 하향 돌출되는 단턱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 돌기는 상기 케이스 커버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의 측면 타측에 밀착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의 상단 가장자리 둘레와 밀착 접촉하며 상기 인서트의 내부 공간을 각각 밀봉하는 실링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벽체 내부 및 상기 케이스 커버의 벽체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별도의 온수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온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KR1020200042229A 2020-04-07 2020-04-07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KR102405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229A KR102405089B1 (ko) 2020-04-07 2020-04-07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229A KR102405089B1 (ko) 2020-04-07 2020-04-07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149A KR20210125149A (ko) 2021-10-18
KR102405089B1 true KR102405089B1 (ko) 2022-06-08

Family

ID=7827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229A KR102405089B1 (ko) 2020-04-07 2020-04-07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0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864B1 (ko) * 2010-12-10 2011-12-06 (주)에이치시티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나노 입자 노출 장치
KR101463908B1 (ko) 2013-11-13 2014-11-27 (주)에이치시티 흡입 독성 시험용 다층 케이지형 챔버 장치
JP2015198619A (ja) * 2014-04-09 2015-11-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細胞培養容器、細胞培養装置および細胞構造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8640B1 (en) * 1993-08-12 2000-03-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ulture vessel
KR101302884B1 (ko) * 2011-10-07 2013-09-05 한국화학연구원 마우스 홀더 장치
KR101642143B1 (ko) * 2014-12-23 2016-07-29 주식회사 에이치시티엠 복수 농도 나노 입자 흡입 독성 시험 챔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864B1 (ko) * 2010-12-10 2011-12-06 (주)에이치시티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나노 입자 노출 장치
KR101463908B1 (ko) 2013-11-13 2014-11-27 (주)에이치시티 흡입 독성 시험용 다층 케이지형 챔버 장치
JP2015198619A (ja) * 2014-04-09 2015-11-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細胞培養容器、細胞培養装置および細胞構造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149A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148B1 (ko) 인비트로 독성 시험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EP3239714B1 (en) Inhalation toxicity testing chamber device for nanoparticles having multiple concentrations
US20020151813A1 (en) Flow based incentiv spirometer
CN103648566B (zh) 可控流体样品分配器及其使用方法
KR101463908B1 (ko) 흡입 독성 시험용 다층 케이지형 챔버 장치
WO2010107204A2 (ko) 나노 입자 흡입 독성 평가용 노출 챔버 장치
KR100784763B1 (ko) 이중노출챔버수단 및 이를 구비한 나노입자 흡입 독성평가용 장치
US11237074B2 (en) Aerosol distribution in filter testing systems
KR102405089B1 (ko)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KR20190061546A (ko) 미세먼지 동물노출실험장치
US20200132671A1 (en) Exposure system
EP4046504A1 (en) Atomizer and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KR20210117502A (ko) 혈액 채취가 가능한 마우스 홀더 장치
KR20170054636A (ko)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KR101088864B1 (ko)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나노 입자 노출 장치
KR102404140B1 (ko)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US11253666B2 (en) Masks,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respiration including scattering chamber
WO2014017825A1 (ko) 영장류에 대한 나노 입자 흡입 독성 평가 시험용 노출 챔버 장치
KR102148394B1 (ko) 소변 수집이 가능한 마우스 홀더 장치
CN106233118A (zh) 细胞抹片装置与细胞抹片方法
KR102438355B1 (ko) 공기 중 바이러스 수집 장치
KR101216589B1 (ko) 휴대용 나노 입자 노출 장치
JPS59168337A (ja) 搾乳装置のミルク量測定器のための試料取出し装置
KR20210036159A (ko) 세포 배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비트로 방식의 유해물질 독성 다중 평가 장치
KR20150083551A (ko) 미세 입자 흡입 실험용 챔버 및 이를 구비한 실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