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915B1 -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915B1
KR102404915B1 KR1020200129028A KR20200129028A KR102404915B1 KR 102404915 B1 KR102404915 B1 KR 102404915B1 KR 1020200129028 A KR1020200129028 A KR 1020200129028A KR 20200129028 A KR20200129028 A KR 20200129028A KR 102404915 B1 KR102404915 B1 KR 102404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auze
support surface
eye patch
out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504A (ko
Inventor
박은옥
Original Assignee
박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옥 filed Critical 박은옥
Priority to KR1020200129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9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 A61F13/12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specially adapted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8Appliances for wound protecting, e.g. avoiding contact between wound and band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97Plasters use eye p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9Sanitary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대를 끝이 날카롭지 않은 탄성의 사출 성형물로 형성하고, 거즈로 감싸지는 지지대는 착용자의 눈쪽으로 외대와 최대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하며, 지지대의 거즈를 유동되지 않게 외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통공을 갖는 곡면돌출부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곡면돌출부 외곽 지지면 사방에 끈연결공이 형성된 실리콘 재질의 외대와; 상기 외대의 안쪽에 위치하고, 외부가 거즈로 감싸지는 실리콘 재질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외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되, 상기 지지대가 외대의 외곽 지지면에서 착용자의 눈쪽으로 이격공간을 갖고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지지대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Soft safty cleanliness eye pa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프트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대를 끝이 날카롭지 않은 탄성의 사출 성형물로 형성하고, 거즈로 감싸지는 지지대는 착용자의 눈쪽으로 외대와 최대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하며, 지지대의 거즈를 유동되지 않게 외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안대는 눈병이 났을 때 아픈 눈을 보호하고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안대는 눈에 거즈를 대고 거즈 위에,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외대를 덧대어 거즈를 고정하며, 외대는 양쪽 끈을 이용해 귀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대는 외대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시 곡면을 이루는 눈을 압박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착용의 불편함과 함께 눈병으로 인한 고통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208707호(20001017) " 안대"가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에 수개의 통공(10)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띠(12)가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양측에 괘지구(14)(14')가 형성되어 거즈(16)내에 결합된 사각형 지지대(18)의 양측 괘지돌기(20)(20')가 삽입되는 외대(22)로 구성되는 안대에 있어서, 외대(22)의 중앙 부분에 반구형에 가까운 곡면돌출부(24)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안대는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필름을 프레스기로 블랭킹 및 절단, 천공 작업을 하여 만들어지므로 두께가 얇고 끝이 날카로워 착용하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부분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해 긁혀 상처나기 쉽고, 안대 착용시 외대와 지지대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이역시 착용자의 눈을 외대가 압박함으로써 착용이 불편하고 통기성 떨어져 눈병을 오히려 악화시키는 비위생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08707호(2014.09.02.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대를 끝이 날카롭지 않은 탄성의 사출 성형물로 형성하고, 거즈로 감싸지는 지지대는 착용자의 눈쪽으로 외대와 최대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하며, 지지대의 거즈를 유동되지 않게 외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의 한 형태는, 다수의 통공을 갖는 곡면돌출부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곡면돌출부 외곽 지지면 사방에 끈연결공이 형성되게 사출 성형된 외대와; 상기 외대의 안쪽에 위치하고, 외부가 거즈로 감싸지며, 사출 성형된 실리콘 재질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외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되, 상기 지지대가 외대의 외곽 지지면에서 착용자의 눈쪽으로 이격공간을 갖고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지지대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제조 방법의 한 형태는, 알갱이 형태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6:4의 비율로 혼합하여 원료를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준비된 혼합원료를 사출기의 실린더 속에 투입하여 용융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용융된 혼합원료를 외대 또는 지지대 형태의 금형에 주입하여 성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 의해서 성형된 외대 또는 지지대를 냉각한 후 탈형시켜 수거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대를 끝이 날카롭지 않은 탄성의 사출 성형물로 형성함에 따라 기존에 외대의 날카로운 끝부분이 피부에 닿아 긁혀 상처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즈로 감싸지는 지지대는 착용자의 눈쪽으로 외대와 최대한 이격 거리를 가짐으로써 안대 착용시 착용자의 눈에 외대가 밀착되지 않아 눈의 압박감이 전혀 없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보다 위생적이면서도 편안하고 안전한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안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의 외대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의 외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외대에 지지대를 걸어 끼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의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의 외대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의 외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외대에 지지대를 걸어 끼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는 외대(110)와 지지대(120), 및 지지대 고정수단(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대(110)는 다수의 통공(111a)을 갖는 곡면돌출부(111)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곡면돌출부(111) 외곽 지지면(112) 사방에 끈연결공(113)이 형성되게 사출 성형된 것으로 끝이 날카롭지 않아 피부에 접촉해도 긁히거나 상처가 나지 않고 탄성을 가져 변형 후 복원도 빠르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0)는 외대(110)의 안쪽에 위치하고 외부가 거즈로 감싸지는 링 형태의 띠 몸체(120a)로 형성된 것으로 이역시 사출로 성형되고, 거즈는 외대(110)의 내측에 형성된 거즈 고정돌기(114)에 끼어 고정되므로 좌.우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상기 거즈 고정돌기(114)는 외대(110)의 곡면돌출부(111) 외곽 상.하부측 지지면(112a)(112b) 상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좌.우 2개 이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즈 고정돌기(114)는 외대(110)에 결합된 지지대(120)의 위쪽 상부측 지지면(112a) 또는 지지대(120)의 아래쪽 하부측 지지면(112b) 상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130)은 지지대(120)를 착탈가능하게 외대(110)에 걸어 끼울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여기서 특징은 외대(110)와 지지대(120)의 사이에 이격공간(131)을 갖도록 하여 안대 착용시 착용자의 눈에 외대(110)가 밀착되지 않게 함은 물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측면 삽입공(132a)을 갖는 걸이대(132)를 외대(110)의 외곽 지지면(112) 중간 양측, 즉 좌.우측 지지면(112c)(112d)에 형성하고, 상기 걸이대(132)의 측면 삽입공(132a)에 삽입 고정되는 걸이구(133)를 지지대(120)의 중간 양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걸이구(133)는 지지대(120)의 양단에서 전방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이격부(133a), 및 상기 이격부(133a) 단부측에서 외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삽입부(133b)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지대(120)의 양측 걸이구(133)의 삽입부(133b)를 외대(110)의 양측 걸이대(132)의 측면 삽입공(132a)에 삽입함으로써 지지대(120)를 외대(110)에 결합 및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거즈는 외대(110)의 거즈 고정돌기(114)에 끼여 고정됨으로써 지지대(120) 상에서 좌.우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대(110)와 지지대(120)의 사이에 이격공간(131)이 형성되고, 그 이격공간(131) 만큼 착용자의 눈도 외대(110)로부터 멀어지게 됨으로써 안대 착용시 착용자의 눈이 외대(110)에 닿지 않게 됨은 물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는 사출 성형에 의해 외대 및 지지대가 제조되므로 기존에 두께가 얇고 경질의 PVC 필름을 절단함에 따라 끝에 생기는 날카로운 부분이 없는 것이 특징으로 그 제조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총 4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단계는 알겡이 형태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6:4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렇게 혼합된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0.9 중량부의 비율로 살색 안료가 포함된 콤파운드를 혼합하여 원료를 준비하는 것이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은 결정화도가 높고 고밀도인 폴리에틸렌으로 기계적 성질, 내열성, 내한성(耐寒性)이 뛰어난 반면에 투명도는 낮다. 각종 용기, 절연 재료 등에 이용된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은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로서 상온에서 투명한 고체(밀도가 0.91~0.94의 것임)로 결정화가 낮아 가공성과 유연성, 투명성이 우수해 농업용·포장용 투명필름, 전선피복, 각종 랩 등의 원료로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정화도가 높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유연성이 우수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6:4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외대가 너무 단단해지거나 유연해지는 것이 없이 안대 착용에 적합한 경질성와 유연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제2 단계는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준비된 혼합원료를 사출기의 실린더 속에 투입하여 용융시키는 것이고, 제3 단계는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용융된 혼합원료를 외대 또는 지지대 형태의 금형에 주입하여 성형하는 것이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 의해서 성형된 외대 또는 지지대를 냉각한 후 탈형시켜 수거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외대를 끝이 날카롭지 않은 탄성의 사출 성형물로 형성함에 따라 기존에 외대의 날카로운 끝부분이 피부에 닿아 긁혀 상처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즈로 감싸지는 지지대는 착용자의 눈쪽으로 외대와 최대한 이격 거리를 가짐으로써 안대 착용시 착용자의 눈에 외대가 밀착되지 않아 눈의 압박감이 전혀 없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보다 위생적이면서도 편안하고 안전한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 지고 한정되어 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 기재 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10: 외대
111: 곡면돌출부 111a: 통공
112: 지지면 112a,112b, 112c, 112d: 상.하.좌.우측 지지면
113: 끈연결공 114: 거즈 고정돌기
120: 지지대 120a: 띠 몸체
130: 지지대 고정수단
131: 이격공간 132: 걸이대
132a: 측면 삽입공 133: 걸이구
133a: 이격부 133b: 삽입부

Claims (6)

  1. 다수의 통공(111a)을 갖는 곡면돌출부(111)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곡면돌출부(111) 외곽 지지면(112) 사방에 끈연결공(113)이 형성되게 사출 성형된 외대(110)와;
    상기 외대(110)의 안쪽에 위치하고, 외부가 거즈로 감싸지며, 사출 성형된 지지대(120)와;
    상기 지지대(120)를 외대(1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되, 상기 지지대(120)가 외대(110)의 외곽 지지면(112)에서 착용자의 눈쪽으로 이격공간(131)을 갖고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지지대 고정수단(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130)은 상기 외대(110)의 외곽 지지면(112) 중간 양측에 형성되고 측면 삽입공(132a)을 갖는 걸이대(132)와, 상기 지지대(120)의 중간 양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이대(132)의 측면 삽입공(132a)에 삽입 고정되는 걸이구(133)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구(133)는 지지대(120)의 양단에서 전방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이격부(133a), 및 상기 이격부(133a) 단부측에서 외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삽입부(133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대(110)는 상부측 지지면(112)과 하부측 지지면(112) 각각의 내측에 복수개로 형성된 거즈 고정돌기(1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즈 고정돌기(114)는 지지대(120)의 위쪽 상부측 지지면(112) 또는 지지대(120)의 아래쪽 하부측 지지면(112)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29028A 2020-10-06 2020-10-06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 KR102404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028A KR102404915B1 (ko) 2020-10-06 2020-10-06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028A KR102404915B1 (ko) 2020-10-06 2020-10-06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504A KR20220055504A (ko) 2022-05-04
KR102404915B1 true KR102404915B1 (ko) 2022-06-02

Family

ID=8158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028A KR102404915B1 (ko) 2020-10-06 2020-10-06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9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707Y1 (ko) 2000-07-15 2001-01-15 이귀남 안대
KR200480631Y1 (ko) * 2014-05-28 2016-06-17 이성권 안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504A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961B2 (en) Moldable earpiece system
US4872219A (en) Self-supporting ear protector
US9179211B2 (en) Double seal moldable earpiece system
US10966868B2 (en) Hearing protector with curved segments
US7530355B2 (en) Mouth guard for braces
JP2009505790A (ja) 多孔性イヤーマフを包含する聴覚保護装置
US11771589B2 (en) Molded cooling and heating face mask
AU2021266221B2 (en) Reconfigurable intra-auricular support
US20090312796A1 (en) Pacifier
KR102404915B1 (ko)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
CA2880521A1 (en) Ear warmer
JP2017108788A (ja) 耳掛け紐付きカバー
US20180021660A1 (en) Oral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CN220158549U (zh) 一种人工耳蜗用透气耳模
KR101164504B1 (ko) 방한용 귀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