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624B1 -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624B1
KR102404624B1 KR1020210133222A KR20210133222A KR102404624B1 KR 102404624 B1 KR102404624 B1 KR 102404624B1 KR 1020210133222 A KR1020210133222 A KR 1020210133222A KR 20210133222 A KR20210133222 A KR 20210133222A KR 102404624 B1 KR102404624 B1 KR 102404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late
guide plate
body plate
midd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우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타브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타브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타브이알
Priority to KR1020210133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624B1/ko
Priority to PCT/KR2022/015181 priority patent/WO20230591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18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04N5/24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와 카메라 간의 이상적인 IOD(Interocular Distance)의 조절이 가능하되 휴대가 용이한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형상을 갖되 상부에 HDMI 분배기가 장착되는 미들축과, 상기 미들축 외면에 고정되게 관통 삽입되는 본체플레이트 및 HDMI 분배기와 케이블 연결되는 한 쌍의 카메라가 장착되되 상기 본체플레이트와 이동가능하게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되는 카메라 장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상기 본체플레이트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방사상으로 다수가 삽입 설치되는 카메라플레이트, 상기 카메라플레이트와 직교를 이루도록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카메라가 장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CAMERA FIXING RIG FOR THREE-DIMENSIONAL IMAGE PHOTOGRAPHING}
본 발명은 피사체와 카메라 간의 이상적인 IOD(Interocular Distance)의 조절이 가능하되 휴대가 용이한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시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카메라를 리그 장치에 고정하고, 리그 장치를 조정하여 각 카메라 간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입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들이 촬영 대상으로부터 모두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고, 각 카메라가 등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때, 각 카메라의 간격은 카메라와 촬영 대상간의 거리에 따라는 달라져야 한다. 일 예로, 근거리의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경우 각 카메라의 간격을 좁게 조정해야한다. 한편, 원거리의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각 카메라의 간격을 넓게 조정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리그 장치는 각 카메라별로 위치를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촬영 대상의 변경 시 마다 각 카메라 간의 간격을 조정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개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각 카메라에 대응하는 리그 장치를 모두 조정해야 하기에 리그 장치를 조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피사체와 카메라 간의 이상적인 IOD(Interocular Distance)를 조절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리그 장치는 구조적으로 휴대가 불편하여 이동을 위해 분해 후, 재조립하는 시간이 상당하여 촬영의 지연을 가져오게 되는 불편함도 함께 갖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65223호(공고일:2012.07.16.) 국내공개특허 제10-2020-0076222호(공개일:2020.06.29.)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카메라에 대한 위치 제어가 간편하여 리그 장치의 조정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이동 또는 보관 등을 실행시에 분해 후, 재조립이 용이한 리그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는 기둥형상을 갖되 상부에 HDMI 분배기(30)가 장착되는 미들축(100)과, 상기 미들축(100) 외면에 고정되게 관통 삽입되는 본체플레이트(200) 및 HDMI 분배기(30)와 케이블 연결되는 한 쌍의 카메라(40)가 장착되되 상기 본체플레이트(200)와 이동가능하게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되는 카메라 장착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장착부재(300)는 상기 본체플레이트(200)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방사상으로 다수가 삽입 설치되는 카메라플레이트(310), 상기 카메라플레이트(310)와 직교를 이루도록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320), 카메라(40)가 장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20)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플레이트(310)는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고정수단(311)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311)은 상기 카메라플레이트(310)가 상기 본체플레이트(200)에 소정 길이를 갖도록 천공 형성된 거리조절공(210)을 관통하여 그 조임 정도에 따라 상호 간의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카메라플레이트(310)의 이동거리는 상기 본체플레이트(200) 외면에 표시된 눈금(20)을 기반으로 이동거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20)는 상기 거치대(33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간격조절공(321)을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절공(321) 내에서 이동하는 각각의 상기 거치대(330) 이동거리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20) 외면에 표시된 눈금(20)을 기반으로 이동거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330)는 카메라(40)가 삽입 거치되는 중공부(333)를 갖는 삽입체(331)와, 상기 삽입체(331)와 이어지게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20)와 면접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절공(321)과 대향되는 면에 체결공(337)이 천공 형성된 이동편(335) 및 상기 간격조절공(321)과 상기 체결공(337)을 관통하여 그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거치대(330)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20)와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나사(340)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체(331)는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회전체(331a)와 제2회전체(331b)를 포함하며, 중공부(333)는 상기 제1회전체(331a)의 회전을 통해 개폐되고, 상기 고정나사(340)는 눈금(20)과 근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동편(335)의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들축(100)은 상부가 관통삽입된 상기 본체플레이트(200) 하부와 체결되어 지지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기둥형상의 브릿지(110) 및 상부가 상기 브릿지(110) 하부와 체결되되 하부에는 삼각대(10)가 체결되는 결합플레이트(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설치바닥면 등에 수직되게 설치된 미들축 외면에 고정되게 관통 삽입된 본체플레이트에 다수 형성된 거리조절공을 따라 총 8대의 카메라로 구성된 카메라 장착부재가 상기 미들축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은 물론, 거치대에 구비된 카메라의 간격이 조절되어 피사체의 360°촬영이 가능해져 이상적인 IOD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과는 차별되게 본 발명인 리그장치는 분해 및 설치가 용이하여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에 대한 본체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본체플레이트 상면에 다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카메라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에 대한 카메라 장착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카메라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대한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에 대한 작용관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에 삼각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이하, 간략하게 '리그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그장치(1)는 크게 미들축(100), 본체플레이트(200) 및 카메라 장착부재(3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미들축(1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후에 설명하는 카메라 장착부재(30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본체플레이트(200)가 설치되어 360°방향으로 다수의 카메라(40)가 장착 및 촬영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브릿지(110) 및 결합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예컨대 미들축(100)은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부에는 카메라(40)와 케이블 등에 연결되는 마이크 등이 포함된 HDMI 분배기(30)가 장착되며, 외면에는 본체플레이트(200)가 관통 삽입되게 고정 설치된다.
브릿지(110)는 본체플레이트(200)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부가 볼트나 나사 등과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그 하부는 또 다른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플레이트(120)와 고정 결합하여 상기 본체플레이트(200)의 유동이 방지되게 고정시킨다.
브릿지(110) 하부와 체결된 결합플레이트(120) 하부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바닥면에 지지되는 삼각대(10) 등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리그장치(1)가 해당 설치바닥면을 기준으로 소정 높이를 갖게 배치되게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결합플레이트(120)는 삼각대(10) 이외에 또 다른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차량 등에 장착되어 다수의 카메라(40)를 이용한 360°촬영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플레이트(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에 설명하는 카메라 장착부재(300)가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되어 카메라(40)를 통한 360°촬영이 가능하게 하되 해당 카메라(4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체플레이트(2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면적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미들축(100)에 관통 삽입되어 결합플레이트(120) 상부에 구비된 브릿지(110)에 의해 상기 미들축(100) 외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체플레이트(200) 외면에는 각각의 카메라 장착부재(300)가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거리조절공(210)이 관통공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태로 다수 천공형성되며, 상기 거리조절공(2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카메라 장착부재(300)는 풀림과 조임이 가능한 고정수단(311)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311)의 가압에 차이가 발생하여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본체플레이트(200) 외면에는 각각의 거리조절공(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카메라 장착부재(300)의 이동거리를 식별하기 위한 눈금(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눈금(20)은 후에 설명하는 간격조절공(321)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카메라가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는 거치대(330)의 이동거리를 식별할 수 있게 가이드플레이트(320)에도 형성된다.
나아가, 본체플레이트(200)에 다수 형성되는 거리조절공(2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사선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플레이트(200)의 전체 체적은 줄이면서도 카메라 장착부재(300)의 이동거리가 길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장착부재(3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본체플레이트(200)에 다수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총 8대의 카메라(40)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거리에 따른 해당 카메라(40) 간의 가장 이상적인 IOD(Interocular Distance)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카메라플레이트(310), 가이드플레이트(320) 및 거치대(330)를 포함한다.
예컨대 카메라플레이트(3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플레이트(200) 상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안착하되 그 외면에는 다수 천공형성된 조절공(313) 중 어느 하나가 고정수단(311)에 의해 거리조절공(210)과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플레이트(310)가 이동 이후에 상기 본체플레이트(2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카메라플레이트(310) 상면에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플레이트(320)가 삽입되어 서로 직교를 갖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기 위한 안착홈(315)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플레이트(3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되 그 외면에는 눈금(20)과 근접하게 한 쌍의 간격조절공(321)이 서로 이웃하게 천공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간격조절공(321)에는 관통 삽입되는 고정나사(340)에 의해 거치대(3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간격조절공(321)을 통해 각각 카메라(40)가 장착된 한 쌍의 거치대(330)가 하나의 가이드플레이트(320) 외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총 2대로 구성된 해당 카메라(40)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의 리그장치(1)는 총 8대의 카메라(40)로 360°촬영이 가능하게 된다.(도 8 참조)
또한, 거치대(330)는 하나의 가이드플레이트(320)를 기준으로 간격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카메라(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삽입체(331) 및 이동편(335)을 포함한다.
삽입체(331)는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카메라(40)가 안착되는 중공부(333)가 형성되게 전체적으로 링(RING)의 형상을 갖되 해당 링의 형상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제1회전체(331a)와 제2회전체(331b)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제2회전체(331b)는 이동편(335) 상부와 이어지게 형성되어 중공부(333)에 삽입된 카메라(40)아 간착될 수 있도록 하며, 제1회전체(331a)는 그 일측이 상기 제2회전체(331b) 일측과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회전체(331a)의 회전에 따라 중공부(333)의 개폐를 이루어 카메라(40)의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서로 축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제1 및 제2회전체(331b) 각각의 타측은 서로 면접한 상태에서 체결수단 등을 통해 고정되어 중공부(333)에 관통 삽입된 카메라(40)가 삽입체(331)의 가압을 통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편(335)은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으로 성형되되 간격조절공(321)과 대향되는 외면에는 상기 간격조절공(321)을 관통하는 고정나사(340)가 삽입되는 체결공(337)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고정나사(340)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간격조절공(321)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그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설치바닥면 등에 수직되게 설치된 미들축(100) 외면에 고정되게 관통 삽입된 본체플레이트(200)에 다수 형성된 거리조절공(210)을 따라 총 8대의 카메라(40)로 구성된 카메라 장착부재(300)가 상기 미들축(100)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은 물론, 거치대(330)에 구비된 카메라(40)의 간격이 조절되어 피사체의 360°촬영이 가능해져 이상적인 IOD(Interocular Distance)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과는 차별되게 분해 및 설치가 용이하여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100: 미들축
110: 브릿지 120: 결합플레이트
200: 본체플레이트
210: 거리조절공
300: 카메라 장착부재
310: 카메라플레이트 311: 고정수단
313: 조절공 315: 안착홈
320: 가이드플레이트 321: 간격조절공
330: 거치대 331: 삽입체
331a: 제1회전체 331b: 제2회전체
333: 중공부 335: 이동편
337: 체결공 340: 고정나사
10: 삼각대
20: 눈금
30: HDMI 분배기
40: 카메라

Claims (5)

  1. 기둥형상을 갖되 상부에 HDMI 분배기(30)가 장착되는 미들축(100);
    상기 미들축(100) 외면에 고정되게 관통 삽입되는 본체플레이트(200); 및
    HDMI 분배기(30)와 케이블 연결되는 한 쌍의 카메라(40)가 장착되되 상기 본체플레이트(200)와 이동가능하게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되는 카메라 장착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장착부재(300)는
    상기 본체플레이트(200)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방사상으로 다수가 삽입 설치되는 카메라플레이트(310), 상기 카메라플레이트(310)와 직교를 이루도록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320), 카메라(40)가 장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20)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330)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플레이트(310)는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고정수단(311);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311)은 상기 카메라플레이트(310)가 상기 본체플레이트(200)에 소정 길이를 갖도록 천공 형성된 거리조절공(210)을 관통하여 그 조임 정도에 따라 상호 간의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카메라플레이트(310)의 이동거리는 상기 본체플레이트(200) 외면에 표시된 눈금(20)을 기반으로 이동거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20)는
    상기 거치대(33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간격조절공(321);을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절공(321) 내에서 이동하는 각각의 상기 거치대(330) 이동거리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20) 외면에 표시된 눈금(20)을 기반으로 이동거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330)는
    카메라(40)가 삽입 거치되는 중공부(333)를 갖는 삽입체(331);
    상기 삽입체(331)와 이어지게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20)와 면접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절공(321)과 대향되는 면에 체결공(337)이 천공 형성된 이동편(335); 및
    상기 간격조절공(321)과 상기 체결공(337)을 관통하여 그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거치대(330)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20)와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나사(340);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체(331)는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회전체(331a)와 제2회전체(331b)를 포함하며, 중공부(333)는 상기 제1회전체(331a)의 회전을 통해 개폐되고, 상기 고정나사(340)는 눈금(20)과 근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동편(335)의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축(100)은
    상부가 관통삽입된 상기 본체플레이트(200) 하부와 체결되어 지지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기둥형상의 브릿지(110); 및
    상부가 상기 브릿지(110) 하부와 체결되되 하부에는 삼각대(10)가 체결되는 결합플레이트(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KR1020210133222A 2021-10-07 2021-10-07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KR102404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222A KR102404624B1 (ko) 2021-10-07 2021-10-07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PCT/KR2022/015181 WO2023059147A1 (ko) 2021-10-07 2022-10-07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222A KR102404624B1 (ko) 2021-10-07 2021-10-07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624B1 true KR102404624B1 (ko) 2022-06-02

Family

ID=8198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222A KR102404624B1 (ko) 2021-10-07 2021-10-07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4624B1 (ko)
WO (1) WO20230591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147A1 (ko) * 2021-10-07 2023-04-13 주식회사 벤타브이알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68A (ja) * 1996-07-02 1998-01-23 Ikegami Tsushinki Co Ltd 立体カメラの位置決め調整装置
KR101165223B1 (ko) 2010-10-22 2012-07-16 주식회사 레드로버 수평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KR101494871B1 (ko) * 2013-06-18 2015-02-23 대윤통신(주)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20160087293A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제일기획 매장에서의 중앙 통제식 컨텐츠 재생이 가능한 쌍방향 통신장치
JP2017521897A (ja) * 2014-05-20 2017-08-03 ネクストブイアー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1つ以上のカメラを含む、または、1つ以上のカメラ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200076222A (ko)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트라이앵글랩 360도 카메라 리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624B1 (ko) * 2021-10-07 2022-06-02 주식회사 벤타브이알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68A (ja) * 1996-07-02 1998-01-23 Ikegami Tsushinki Co Ltd 立体カメラの位置決め調整装置
KR101165223B1 (ko) 2010-10-22 2012-07-16 주식회사 레드로버 수평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KR101494871B1 (ko) * 2013-06-18 2015-02-23 대윤통신(주)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JP2017521897A (ja) * 2014-05-20 2017-08-03 ネクストブイアー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1つ以上のカメラを含む、または、1つ以上のカメラ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60087293A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제일기획 매장에서의 중앙 통제식 컨텐츠 재생이 가능한 쌍방향 통신장치
KR20200076222A (ko)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트라이앵글랩 360도 카메라 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147A1 (ko) * 2021-10-07 2023-04-13 주식회사 벤타브이알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9147A1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5090B2 (en) Camera apparatus and methods
US10495949B2 (en) Gimbal
KR102404624B1 (ko)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DE60202389T2 (de) Linsenmontierung für eine hochauflösende Videokamera
KR101660309B1 (ko) 영상촬영기 슬라이딩 거치대
US10401709B2 (en) Weight component, a weight mechanism having the weight component, and a gimbal
JP6726747B2 (ja) 支持機構ならびにこの支持機構を用いた調整装置および雲台
US20160245621A1 (en) Picatinny rail line of sight weapon scope camera mount
US9736376B1 (en) Tilt head, camera stage, multi-post monitor mount and camera stabilizer encompassing the same
CN1893789B (zh) 成像装置的柔性印刷线路板装置
US9989836B1 (en) Optical mounting device
CN105074314B (zh) 光学支柱安装座系统及使用方法
US20080194911A1 (en) Camera Imaging Apparatus With an Endoscope
US8662763B2 (en) L-shaped holder for optical devices
US20070012843A1 (en) Device for levelling a support, particularly a support for cameras and cinecameras
US9706187B2 (en) Camera rig for shooting multi-view images and videos and image and video processing method for use with same
AU2015280888B2 (en) Monocular stereoscopic camera
JP2020170092A5 (ja) 取付装置、撮影システム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US2776102A (en) Camera support
FR3097542B1 (fr)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KR20080074807A (ko) 이동촬영 보조장치
KR101297836B1 (ko) 입체영상 촬영용 휴대폰 장착리그
KR100944214B1 (ko) 도브테일 방식을 이용한 파노라마 촬영 장치
KR101873027B1 (ko) 촬영용 리그
KR102112841B1 (ko) 촬상유닛을 포함하는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