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339B1 - 가축의 젖 생산량 산출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축의 젖 생산량 산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339B1
KR102404339B1 KR1020190167006A KR20190167006A KR102404339B1 KR 102404339 B1 KR102404339 B1 KR 102404339B1 KR 1020190167006 A KR1020190167006 A KR 1020190167006A KR 20190167006 A KR20190167006 A KR 20190167006A KR 102404339 B1 KR102404339 B1 KR 102404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milking
contact
livestock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281A (ko
Inventor
박성민
기광석
최희철
이현정
김태일
임동현
김언태
박창규
박지후
소병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업회사법인디에프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업회사법인디에프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90167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3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5/00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5/007Monitoring milking processes; Control or regulation of milking machines
    • A01J5/01Milkmeters; Milk flow sens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간편한 방식을 구현하는 가축의 젖 생산량을 측정하고 산출하는 기술에 대한 것으로, 가축의 착유량의 측정 변수인 유속, 착유하는 가축의 체온, 호르몬분비등의 내외부 환경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하는 착유량의 측정을 구현하기 위해, 착유된 젖에 포함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부로 이동시키며, 자연스럽게 곡률을 가지는 가이드몸체를 따라 유도하며, 착유된 젖의 전극접촉면적에 따라 변동하는 전류, 전압값을 산출함과 동시에 온도지수를 반영하여 실시간 착유된 젖의 유속을 산출하여 착유량을 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가축의 젖 생산량 산출시스템{Milking quantitynic detector system}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간편한 방식을 구현하는 가축의 젖 생산량을 측정하고 산출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착유 기술의 발달로 로봇 착유기의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 로봇 착유기의 경우에 다양한 착유 보조 장치들의 사용이 늘고 있다.
또한, 우유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까다로운 우유 검사 공정을 도입함으로써, 불량 우유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우유의 질을 검사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는 근적외선분광분석(NIR)시스템을 통해 유지방과 유단백, 유당, 총고형분, 비단백태 질소화합물체세포 수 등을 측정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우유의 흐름 및 유량과는 별도의 측정시스템에 의해 측정하게 되므로 실제 축산 농가에서 착유와 동시에 실시간으로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점이 있다.
축산농가에서 착유되는 우유에 대한 착유 상태 및 착유되는 우유에 대한 착유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것은 농가의 소득측면에서 중요한 경제지표이다.
특히, 착유량은 젖을 착유하는 가축의 건강 이상 유무에 따라 즉각적으로 변하는 건강 상태 지표가 되며, 따라서 축산현장에서는 정확한 젖 생산량을 측정하고자 무게를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합산하는 방식의 젖 생산량 측정장치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젖 생산량 측정장치는 크고 복합한 구조로 관리가 어렵고, 고가이며 지속적인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게 되어, 축산 현장에서 활용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젖 이송 통로에 주유소 유량계 및 수도계량기에 적용되는 계량 장치 방식을 적용하는 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나, 동물의 비유특성 등의 이유로 적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젖 짜는 장치의 가동 특성상 음압 발생을 위해 젖 이송 통로에 젖(우유)뿐만 아니라 공기가 상시적으로 통과해야 하므로 물이나 기름 등의 계량 방식과는 다른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나아가, 젖이 흐르는 양(유속) 또한 착유 중 가축의 호르몬 분비 등 내부 및 외부 환경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하게 되므로,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효율적인 착유량을 산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8101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의 착유량의 측정 변수인 유속, 착유하는 가축의 체온, 호르몬 분비 등의 내외부 환경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하는 착유량의 측정을 구현하기 위해, 착유된 젖에 포함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부로 이동시키며, 자연스럽게 곡률을 가지는 가이드몸체를 따라 유도하며, 착유된 젖의 전극접촉면적에 따라 변동하는 전류, 전압값을 산출함과 동시에 온도지수를 반영하여 실시간 착유된 젖의 유속을 산출하여 착유량을 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축으로 부터 착유되는 착유기구에 접속하여, 착유량을 산출하는 센싱모듈(200)로 가이드하는 착유 가이드 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착유 가이드 모듈(100)은,
착유기구와 결합하여 착유된 젖을 하부로 유도하는 유입관(110);
상기 유입관(110)이 결합되는 상부판(A)과, 상기 상부판(A)의 대응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하부판(B) 및
상기 상부판(A)에 연장되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판(B)과 연결되는 가이드몸체(130);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몸체(130)는,
상기 상부판(A)의 일단(a1)과 상기 하부판(B)의 일단(b1)이 연결되는 제1곡률부(L1)와,
상기 상부판(A)의 타단(a2)과 상기 하부판(B)의 타단(b2)이 연결되는 제2곡률부(L2)를 구비하며,
상기 착유 가이드 모듈(100)의 상기 유입관(110)과 상기 가이드몸체(130) 및 상기 배출관(120)이 상부에서 하부로 연통하는 구조로 배치되어,
착유된 젖이 우선적으로 상기 제2곡률부(L2)에 접촉하여 이동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제1곡률부(L1)에 비해 상기 제2곡률부(L2)가 상대적으로 길게 구현되는 구조의,
가축의 젖 생산량 산출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축의 착유량의 측정 변수인 유속, 착유하는 가축의 체온, 호르몬분비등의 내외부 환경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하는 착유량의 측정을 구현하기 위해, 착유된 젖에 포함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부로 이동시키며, 자연스럽게 곡률을 가지는 가이드몸체를 따라 유도하며, 착유된 젖의 전극접촉면적에 따라 변동하는 전류, 전압값을 산출함과 동시에 온도지수를 반영하여 실시간 착유된 젖의 유속을 산출하여 착유량을 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바탕으로, 착유되는 우유의 온도, 전기전도도의 수집데이터를 복합순석하여 젖 이송 통로 내의 젖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추정할 수 있도록 해, 가축의 총 젖 생산량을 효율적으로 추정 가능하도록 하여 가축 관리 효율성을 제고하여 축산농가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젖 생산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젖 생산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에서의 센서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착유 가이드 모듈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이 결합된 단면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4를 경유하는 착유시의 젖의 흐름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P-P'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젖 생산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에서의 우유의 유량에 따른 흐름을 시뮬레이션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접촉 전극부에서 측정되는 전압 및 전류의 출력변환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8의 결과에 따라 유량을 환산한 결과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접촉전극과 우유의 접촉면에 따른 유속 그래프(적색)를 도시한 것이며, 이에 따른 유량 산출하는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젖 생산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젖 생산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에서의 센서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착유 가이드 모듈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이 결합된 단면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4를 경유하는 착유시의 젖의 흐름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P-P'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가축의 젖 생산량 산출시스템에 있어서, 가축으로 부터 착유되는 착유기구에 접속하여, 착유량을 산출하는 센싱모듈(200)과, 착유된 젖을 상기 센싱모듈(200)으로 가이드하는 착유 가이드 모듈(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센싱모듈(200)과 상기 센싱모듈(200)의 삽입홀(H)에 결합하는 도 3의 착유 가이드 모듈(100)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착유 가이드 모듈(100)을 경유하는 착유된 젖이 거품과 공기를 최소화시키는 흐름을 유지하며 상기 센싱모듈(200)로 젖을 가이드하는 구조와, 가이드된 젖이 센싱모듈(200)에 유입되어 전극에 접촉하는 면적에 따라 변동하는 전기전도도(전류, 전압의 변동사항)을 산출하고, 온도센싱값을 반영하여 프로그래밍된 산출알고리즘에 따라 실시간 유량을 예측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의 상기 착유 가이드 모듈(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착유기구와 결합하여 착유된 젖을 하부로 유도하는 유입관(110)과 상기 유입관(110)이 타단(a2)에 근접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상부판(A)과, 상기 상부판(A)의 대응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하부판(B) 및 상기 상부판(A)에 연장되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판(B)과 연결되는 가이드몸체(130)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몸체(130)는, 상기 상부판(A)의 일단(a1)과 상기 하부판(B)의 일단(b1)이 연결되는 제1곡률부(L1)와, 상기 상부판(A)의 타단(a2)과 상기 하부판(B)의 타단(b2)이 연결되는 제2곡률부(L2)를 구비하며, 상기 착유 가이드 모듈(100)의 상기 유입관(110)과 상기 가이드몸체(130) 및 상기 배출관(120)이 상부에서 하부로 연통하는 구조로 배치되어, 착유된 젖은 우선적으로 상기 제2곡률부(L2)에 접촉하여 이동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제1곡률부(L1)에 비해 상기 제2곡률부(L2)가 상대적으로 길게 구현되어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몸체(130)의 경우, 커버기능을 수행하는 상부판(A)과 하부판(B)과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판(A)과 하부판(B)을 연결하는 구조로 가이드몸체(130)가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몸체(130)의 경우, 상호 상이한 길이를 가지도록 내측면의 곡률과 외측면의 곡률을 가지는 곡률관 구조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착유된 젖이 우선적으로 상기 제2곡률부(L2)에 접촉하여 이동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제1곡률부(L1)에 비해 상기 제2곡률부(L2)가 상대적으로 길게 구현되는 구조로 구현되도록 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곡률부(L1)와 상기 제2곡률부(L2)의 길이 비율은 1:2~1:3의 비율을 구비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착유된 젖은 일정한 점도와 온도를 가지는 유체에 해당하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착유된 젖이 본 발명의 착유 가이드 모듈(100)에 도입되는 경우, 상부에서 하부로 이어지는 수직 방향의 배치 구조를 따라 가이드되게 되며, 이 경우, 자연스럽게 하부인 상기 제2곡률부(L2)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곡률 범위를 구현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1곡률부(L1)와 상기 제2곡률부(L2)의 길이 비율은 1:2~1:3의 비율을 넘어서는 경우, 즉 1:4의 길이비율의 경우에는 유체의 흐름이 너무 느려져 정확한 유량 산출에 오류를 가져오게 되며, 비율 미만의 경우 즉 1:1의 길이비율과 같은 곡률에서는 젖의 흐름이 하부와 상부에 동시에 닿을 비율이 높아져 정확한 산출이 어렵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유입관(110)은 상기 상부판(A)에 연통하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몸체(130)의 상기 제2곡률부(L2)가 생성되는 면에 배출관(120)이 배치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직방향에서 유입관(110)을 경우하고, 제2곡률부(L2)가 생성되는 면을 경유하며 흐르는 젖의 경우, 하부판(B)에 부딪치기 전에 제2곡률부(L2)에 연결 생성되는 배출관(120)을 따라 자연스럽게 흐름을 유도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구조는 젖에 포함되는 공기가 하부판(B)에 충돌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기포나 거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4에서 상술한 구조에서, 착유된 젖의 흐름(X)을 예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5의 P-P'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착유된 젖은 내측 표면에 배치된 접촉 전극부(210)에 접촉을 하며 진행하게 되며, 착유된 량은 불연속적이고 비정량적인 경우가 대부분인바, 실시간 접촉 전극에 의해 산출되는 전압과 전류는 상이하게 측정되게 된다. 아울러, 젖의 온도 역시 가축의 상태(내부환경)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게 된다.
이상의 변수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젖(우유)의 흐름의 여부(유무), 젖의 전극 접촉면에 따라 측정되는 전압 및 전류에 따라 유량을 환산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상술한 접촉 전극부(210)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면에 따라 측정되는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한 것임, 이에 따라 도 9는 상술한 접촉 전극부(210)에서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면에 따라 측정되는 전압 및 전류에 따라 유량을 환산(10cc단위)한 결과를 선형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따른 결과로 전극과 전류에 따라 유량을 환산하게 되는 경우, 접촉 전극부와 우유의 접촉면에 따른 유속그래프(적색)를 도시한 것이며,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유속분석을 통한 총 우유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센싱모듈(200)은,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하우징부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배출관(120)과 연결되는 입력관(220)과, 상기 입력관(220)을 통해 입력되는 착유된 젖과 접촉하는 접촉 전극부(210)를 구비하고, 동시에 상기 접촉 전극부를 통해 접촉되는 젖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부(230)와, 상기 전촉전극에 접촉하는 접촉 면적에 따라 변동하는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는 전류산출부(240) 및 전압산출부(250)를 구비하도록 하며, 특히 산출된 온도, 전류, 전압을 반영하여 실시간 흐름을 가지는 착유된 착유량을 산출하는 유량산출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량산출부(260)의 경우, 프로그램화된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적으로 결과값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전기 전도도는 저항의 역수이고 전기의 통과하기 쉬움을 표현한다. 전기 전도도의 측정은 물질을 흐르는 전기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일반적으로 전해질 용액의 전기 저항은 1입방센티미터의 입방체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전기 전도도의 단위는 지멘스(siemens)를 사용한다. 정상 우유의 전기 전도도는 25℃에서 4.0 ~ 5.5mS/㎝ 범위로 나타난다. 그리고 전기 전도도는 우유의 온도에도 영향을 받아 1 ℃ 상승에 대해 0.113mS/㎝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전기 전도도를 착유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정확하게 측정되면, 전기 전도도 측정 정보로부터 착유되는 우유가 정상 범위에 있는지, 착유된 우유의 존재 및 유속에 따른 유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의 전기 전도도는 전류와 전압값의 변동으로 본 발명에서는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우유는 물처럼 연속적으로 흐르지 않고 진공압에 의해 일정량이 버블과 혼합된 상태로 전도도 센서를 지나가는 형태를 갖게 되는데, 물처럼 수평공간에 가득 차 있지 않고 간헐적으로 소량이 배관을 지나기 때문에, 수평공간에서 흐르는 우유에 대한 전기 전도도를 오류없이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즉, 흐르는 우유의 전기 전도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거품과 흐름의 연속성이 부족하여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은 착유 가이드 모듈(100)을 경유하는 착유된 젖이 거품과 공기를 최소화시키는 흐름을 유지하며 상기 센싱모듈(200)로 젖을 가이드하여, 전극접촉 면적을 극대화하여 이러한 오류를 바로잡아 신뢰성 있는 예측치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착유된 우유에 거품에 포함되어 관로를 이동하는 경우에 거품은 가벼운 관계로 우유의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착유관은 진공압에 의해서 우유가 빨려가는 구조에 의해 우유의 흐름이 발생되는데, 가벼운 거품은 상대적으로 빨리 이동하게 된다. 우유와 거품이 동시에 이동하는 도중,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유 가이드 모듈(100)과 같이 같은 굴곡을 만나게 되면 거품은 굴곡 윗부분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우유는 하부로 이어지는 배출관(120)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하부로 흐름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자연스러운 흐름은 도 8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이미지와 같이 공기와 거품을 상부로 유도하면서, 하부의 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유량이 유도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유량산출부(260)의 경우 착유된 젖이 상기 센싱모듈(200)에 배치되는 접촉 전극부(210)에 접촉하는 접촉이벤트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온도와 전압, 전류값을 센싱하고, 분석하여, 상기 가이드몸체 내를 이동하는 젖의 실시간 수위를 추정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 젖의 유량을 추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의 과정 중 유량산출부(260)의 분석과정의 경우,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착유 가이드모듈 110: 유입관
120: 배출관 130: 가이드 몸체
200: 센싱모듈 210: 접촉 전극부
220: 입력관 230: 온도측정센서부
240: 전류산출부 250: 전압산출부
260: 유량산출부 270: 배출관

Claims (5)

  1. 가축의 젖 생산량 산출시스템에 있어서,
    가축으로부터 착유되는 착유기구에 접속하여 착유량을 산출하는 센싱모듈(200)로 젖을 가이드하는 착유 가이드 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착유 가이드 모듈(100)은,
    상기 착유기구와 결합하여 착유된 젖을 하부로 유도하는 유입관(110);
    상기 유입관(110)이 타단(a2)에 근접하여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부판(A)과, 상기 상부판(A)의 대응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하부판(B), 상기 상부판(A)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판(B)과 연결되어 있고 내측면의 제1곡률부(L1)와 상기 제1곡률부(L1)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구현된 외측면의 제2곡률부(L2)을 가지는 곡률관 구조의 가이드몸체(130); 및
    상기 제2곡률부(L2)가 생성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모듈(200)과 연결된 배출관(120)을 구비하며,
    상기 제1곡률부(L1)와 상기 제2곡률부(L2)의 길이 비율은 1:2~1:3이고,
    상기 제1곡률부(L1)는 상기 상부판(A)의 일단(a1)과 상기 하부판(B)의 일단(b1)을 연결하고, 상기 제2곡률부(L2)는 상기 유입관(110)이 결합된 상기 상부판(A)의 타단(a2)과 상기 하부판(B)의 타단(b2)을 연결하며, 상기 유입관(110)은 상기 상부판(A)에 연통하는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몸체(130)의 상기 제2곡률부(L2)가 생성되는 면에 배출관(120)이 배치되며,
    상기 착유 가이드 모듈(100)의 상기 유입관(110), 상기 가이드몸체(130) 및 상기 배출관(120)은 상부에서 하부로 연통하는 구조로 배치되어 착유된 젖이 우선적으로 상기 제2곡률부(L2)에 접촉하여 상기 하부판(B)에 부딪치기 전에 상기 제2곡률부(L2)에 연결 생성되는 배출관(120)을 따라 상기 센싱모듈(200)로 유입되며, 상기 센싱모듈(200)에 배치되는 접촉 전극부(210)에 접촉하는 접촉이벤트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온도와 전압, 전류값을 센싱하고, 분석하여, 상기 가이드몸체 내를 이동하는 젖의 실시간 수위를 추정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 젖의 유량을 추정하는,
    가축의 젖 생산량 산출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200)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배출관(120)과 연결되는 입력관(220);
    상기 입력관을 통해 입력되는 착유된 젖과 접촉하는 접촉 전극부(210);
    상기 접촉 전극부를 통해 접촉되는 젖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부(230);
    상기 접촉 전극부에 접촉하는 접촉 면적에 따라 변동하는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는 전류산출부(240) 및 전압산출부(250); 및
    산출된 온도, 전류, 전압을 반영하여 실시간 흐름을 가지는 착유된 착유량을 산출하는 유량산출부(260);
    를 포함하는,
    가축의 젖 생산량 산출시스템.
KR1020190167006A 2019-12-13 2019-12-13 가축의 젖 생산량 산출시스템 KR102404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006A KR102404339B1 (ko) 2019-12-13 2019-12-13 가축의 젖 생산량 산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006A KR102404339B1 (ko) 2019-12-13 2019-12-13 가축의 젖 생산량 산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281A KR20210076281A (ko) 2021-06-24
KR102404339B1 true KR102404339B1 (ko) 2022-06-08

Family

ID=7660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006A KR102404339B1 (ko) 2019-12-13 2019-12-13 가축의 젖 생산량 산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3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987A (ja) 2001-09-20 2003-04-03 Orion Mach Co Ltd 乳の流量検出装置
WO2006037589A1 (de) 2004-10-05 2006-04-13 Westfaliasurge Gmbh Vorrichtung zur messung des milchmassenstroms insbesondere während des melkvorgangs
JP2013034458A (ja) * 2011-08-11 2013-02-21 Orion Machinery Co Ltd 乳量計
KR101590302B1 (ko) 2015-07-28 2016-02-01 (주)데어리텍 기포 제거 장치 및 집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5186B2 (ja) * 1994-08-12 1998-09-30 オリオン機械株式会社 乳の流量検出装置
KR20000024127A (ko) * 2000-01-24 2000-05-06 윤충섭 착유 유량 측정 및 유량기 세척을 위한 방법
KR100481011B1 (ko) 2002-01-07 2005-04-07 최영경 전자식 착유량 측정기
KR102015026B1 (ko) * 2017-10-31 2019-09-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착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987A (ja) 2001-09-20 2003-04-03 Orion Mach Co Ltd 乳の流量検出装置
WO2006037589A1 (de) 2004-10-05 2006-04-13 Westfaliasurge Gmbh Vorrichtung zur messung des milchmassenstroms insbesondere während des melkvorgangs
US20090025485A1 (en) * 2004-10-05 2009-01-29 Otto Krone Device for measuring the mass flow of milk in particular during the milking process
JP2013034458A (ja) * 2011-08-11 2013-02-21 Orion Machinery Co Ltd 乳量計
KR101590302B1 (ko) 2015-07-28 2016-02-01 (주)데어리텍 기포 제거 장치 및 집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281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192967U (zh) 土壤水解性氮测定仪
CN105973295A (zh) 管线内测量装置
KR102404339B1 (ko) 가축의 젖 생산량 산출시스템
CN100526811C (zh) 特别是在挤奶时测量出奶量的装置和方法
CN108051037A (zh) 一种注射泵流量检定装置及检定方法
Munoz-Tamayo et al. A parsimonious software sensor for estimating the individual dynamic pattern of methane emissions from cattle
CN108006894A (zh) 一种便携式中央空调能效监测预警方法
US10292360B2 (en) Milk meter
CN111695735B (zh) 一种基于流计算的铁路弓网实时预警方法、系统及装置
CN107860443A (zh) 气体脉动流标准试验装置
CN211424010U (zh) 多量程水质分析仪流路系统
CN116955045A (zh) 一种远程jtag多路复用测试方法及系统
CN109765282A (zh) 医用镁合金植入器件体外多因素动态降解性能分析装置
CN206756208U (zh) 用于测量至少一个被测量的装置和包括用于外部单个或多个传感器装置的集中装置的系统
CN108732226A (zh) 硫醚类气体检测装置及方法
Zaninelli et al.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free-flow” conductimetric milk meter
CN104345159A (zh) 液体分析装置
CN211824647U (zh) 一种湿式气体流量计自动校准装置
US202102630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a Fluid
WO20050068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 health condition of a milking animal
CN209910768U (zh) 一种烟气so2浓度分析用气体计量装置
CN208296947U (zh) 一种水表检定装置
EP1443313A2 (en) Direct passage milk meter
CN207351519U (zh) 一种自动馏程液位测量装置
CN207851031U (zh) 一种用于火电厂仪表自动化检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