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206B1 - 유류 방제용 부착재와 유류 방제용 부착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유류 방제용 부착재와 유류 방제용 부착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206B1
KR102404206B1 KR1020190012886A KR20190012886A KR102404206B1 KR 102404206 B1 KR102404206 B1 KR 102404206B1 KR 1020190012886 A KR1020190012886 A KR 1020190012886A KR 20190012886 A KR20190012886 A KR 20190012886A KR 102404206 B1 KR102404206 B1 KR 102404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ntrol
adsorption member
oil
manufacturing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148A (ko
Inventor
김주환
김광대
이민석
Original Assignee
신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2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2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32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bsorbing liquids to remove pollution, e.g. oil, gasoline, fa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by ultrason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 방제용 부착재와 유류 방제용 부착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은 수용 공간부로 투과되지 않도록 하는 가운데 기름만 수용 공간부로 투과되어 모이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식발수 코팅단계와; 습식발수 코팅단계 및; 유류 방제용 부착재 성형단계를 통해 하부 흡착부재; 및 상기 하부 흡착부재의 상부로 수용 공간부가 제공되도록 융착되어 소정 길이로 절단됨으로써, 해양 방제시 기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생산성을 높이고, 양질의 유류 방제용 부착재를 더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류 방제용 부착재와 유류 방제용 부착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MANUFACTURING METHOD OF OIL COTROLLABLE BOND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DEIVCE OF THE SAME}
본 발명은 유류 방제용 부착재와 유류 방제용 부착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수 코팅된 모세기공을 갖는 하부 흡착부재와 상부 흡착부재 사이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물은 수용 공간부로 투과되지 않도록 하는 가운데 기름만 수용 공간부로 투과되어 모이도록 하여 해양 방제시 기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 누유 오염 사고는 대부분 연근해의 암초 지역이나 섬이 있는 지역에서 일어나므로, 이곳에서 유출된 오일은 조류, 포유류, 어패류 등 해양생물이 가장 다양하게 서식하고 있는 조간대 지역, 즉 해안가로 이동하게 되어 그 일대의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방제 비용을 제외하더라도 어패류 양식장이 많이 있는 곳은 집단폐사가 발생하여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출된 오일을 초기에 신속하게 방제할 수 있는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해양에 유출된 오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태워서 없애는 방법, 봉쇄와 방향전환에 의한 방법, 기계적인 제거에 의한 방법, 화학적인 분산제에 의한 방법 및 생분해적인 방법 등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태워서 없애는 방법(In situ burning)은 지형적인 열세로 다른 방법이 난해할 때 적용하는 방법으로 소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막의 두께가 2mm 이상이고, 기름이 풍화되기 이전 상태이어야 하며, 유화되지 않는 상태의 상황이어야 한다.
봉쇄와 방향전환에 의한 방법(Containment and diversion)은 유출된 오일을 특별한 지역으로 가두거나 방제재료를 사용하여 유출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기름의 표면확산을 막기 위해 오일펜스를 설치한다. 이러한 봉쇄와 방향전환에 의한 방법은 오일 누출 초기에 사용되며, 조치 후에 다른 방제 방법이 함께 동반되어야 한다.
기계적인 제거에 의한 방법(Mechanical removal)은 2차 오염이 비교적 적은 방제 방법으로 크게 유류 회수기술과 유흡착기술로 나눌 수 있고, 유류 회수기술로는 크게 흡수성이 좋은 물질을 이용하여 기름을 흡착 회수하는 방식으로 벨트식, 디스크식, 로프식, 브러시식 등의 흡착식(Oleophilic) 기술, 비중의 차이에 의해서 기름이 수면에 뜨는 성질을 이용하여 기름만 회수기 안으로 흘러들게 하여 회수하는 방식으로 원심분리식, 스크류식 등의 위어식(Weir) 기술,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기름을 흡입하는 방식으로 비치크리너가 대표적인 진공식(Vacuum) 기술, 기름을 물과 함께 흡입한 후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과 기름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싸이클론식과 워터제트식이 있는 원심력식(Hydrocyclone)기술 등이 있다.
화학적인 분산제에 의한 방법(Chemical agents, Dispersants)은 해상에 유출된 기름을 화학 및 생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처리하는 약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기름을 미립자화하여 유화분산시켜 해수와 섞이기 쉬운 상태로 만듦 으로써 자정작용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나, 화학적인 분산제에 의한 방법은 해안선 보호, 생태계의 파괴, 유독한 냄새로 인한 해양오염, 어떤 경우에는 일부만 제거됨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유흡착기술에서 유흡착제는 기름을 흡착 회수하는 물질로서 유출량이 적거나 엷은 유막을 회수할 때 사용한다. 이러한 흡착제는 표면에 기름을 묻히는 종류와 기름을 흡수하는 종류가 있는데, 흡착제는 방제작업 마무리 단계에서 사용하거나, 선박 접근이 곤란한 해역의 엷은 유막 회수에 사용하며, 산란장이나 습지 같은 환경민감 해역에서 다른 방법으로 방제하기 곤란한 경우에 사용하기도 한다.
유흡착재의 종류로는 석유고분자체로 만들어져 점도가 낮은 기름에서 고점유도까지 흡수가 가능하게 제조되는 합성물질과 식물섬유, 펄프, 석탄 등을 넷트에 포장하여 사용하는 유기물질, 그리고 글라스울 및 표면처리한 운모, 경석등의 광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무기물질이 있다.
흡착재 형태는 사각형, 롤형, 붐형, 쿠션형, 한 묶음으로 되어 있지 않은 재질로서 기름의 유출 정도나 장소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한다.
흡착형은 다시 퍼얼라이트, 실리카, 점토 및 석회 등으로 대표되는 무기계 흡착제,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폼(form), 부직포 등으로 대표되는 유기계 흡착제로 분류된다.
무기계 흡착형은 자연산으로 흡착속도는 빠르고 값이 싸나 흡착율이 좋지 않으며, 유기계 흡착제는 그의 작용기구가 세공이나 섬유의 공극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기름을 유지하기 때문에 기름의 유지력이 약하고, 다소의 외압에 의해 흡착한 기름을 쉽게 재 방출하여 후처리가 번잡하며, 유처리자체의 부피가 커지고, 물을 흡수해버리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0811878호(2008.03.03)의 기름 흡착제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기름 흡착장치가 제안되어 누설된 기름의 흡착력을 높이는 가운데 기름을 장시간 포유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물의 흡수력이 떨어져 가라앉지 않도록 하였으나, 내부로 물과 기름이 같이 흡착되어 공존하게 됨에 따라 그 만큼의 기름 흡착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11878호(2008.03.03)
본 발명은 발수 코팅된 모세기공을 갖는 하부 흡착부재와 상부 흡착부재 사이로 제공되는 수용 공간부로 물은 투과되지 않도록 하는 가운데 기름만 투과되어 모이도록 하여 해양 방제시 기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간단한 제조 장치와 공정을 통해 고품질의 유류 방제용 부착재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 흡착부재와; 상기 하부 흡착부재의 상부로 수용 공간부가 제공되도록 융착되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부 흡착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흡착부재와 상부 흡착부재는 발수코팅된 모세기공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부는 반원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부의 양측단부는 오픈된 형태를 갖는 개방부 또는 닫혀진 형태를 갖는 폐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분말형태를 갖는 다공성 실리카를 챔버의 내부에 다단으로 적재되도록 하고, 이어 실리콘이 포함된 고분자 전구체 용액이 챔버의 내부로 주입되록 한 후 히터로 가열시켜 기화되면서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나노미터의 두께를 갖는 소수성 박막이 코팅된 발수코팅 분말소재를 얻은 건식발수 코팅단계와; 상기 건식으로 소수성 박막이 코팅된 발수코팅 분말소재가 분산된 용액에 접착용액을 배합하여 발수용액을 얻고, 발수용액에 흡착부재 원단을 침지시킨 후 건조시켜 발수코팅된 흡착부재 원단을 얻는 습식발수 코팅단계 및; 상기 습식발수 코팅된 흡착부재 원단이 2겹으로 성형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길이 방향으로 1차 초음파 융착과 커팅이 이루어진 후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다시 2차 초음파 융착과 커팅을 통해 소정 길이의 유류 방제용 부착재가 얻어지고, 이후, 다수의 유류 방제용 부착재가 로프에 묶여지는 스테이플링을 포함하는 유류 방제용 부착재 성형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식발수 코팅단계 중 발수용액에 침지되는 흡착부재 원단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로울러에 감겨진 흡착부재 원단이 일정한 속도로 풀리면서 공급되도록 구비된 원단 공급부와; 상기 원단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흡착부재 원단 중 하부는 평판형태를 가지며, 상부는 상부로 볼록한 만곡형태가 각각 반복되게 유지되도록 구비된 튜브형 가이드부와; 상기 튜브형 가이드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초음파 융착 후 바로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1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와; 상기 길이방향으로 융착, 커팅 후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다시 초음파 융착이 이루어진 후 커팅되어 유류 방제용 부착재가 구비되는 2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와; 상기 2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에 의하여 커팅된 유류 방제용 부착재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배출된 유류 방제용 부착재를 다발로 모아 로프에 묶여지는 스테이블링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단 공급부는 로울러가 프레임의 일측 상하부로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2겹의 흡착부재 원단이 공급되도록 구비되되, 축지지구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울러축이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형 가이드부는 하부는 평평한 형태를 가지며, 상부는 상부로 볼록한 만곡형태를 갖는 다수열의 가이드부재가 일정간격을 갖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1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는 1차 초음파 성형 가이드 로울러와 연동되도록 1,2차 가이드 로울러가 구비되고, 상기 1차 초음파 성형 가이드 로울러의 후방으로 구비된 1차 초음파 커팅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수 코팅된 모세기공을 갖는 하부 흡착부재와 상부 흡착부재 사이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해양 방제 과정에서 물은 수용 공간부로 투과되지 않도록 하는 가운데 기름만 수용 공간부로 투과되어 모이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해양 방제시 기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류 방제용 부착재가 발수 코팅된 모세기공을 갖는 하부 흡착부재와 상부 흡착부재가 자동으로 공급되는 가운데 초음파 융착과 커팅 공정을 통해 얻어지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양질의 유류 방제용 부착재를 더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가 스테이블링을 통해 로프에 묶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에 있어 원단 공급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에 있어 튜브형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에 있어 1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에 있어 커팅된 유류 방제용 부착재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에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는 발수 코팅된 모세기공을 통해 기름만 투과되에 수용 공간부로 모이도록 함으로써, 해양 방제 과정에서 충분한 기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A)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흡착부재(100)의 상부로 기름이 투과되에 저장 또는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부(200)가 제공되도록 상부 흡착부재(300)가 마주보는 길이 방향으로 초음파 융착으로 융착된 상태에서 초음파 절단을 통해 소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되어 있다. 즉, 소정의 길이를 갖는 튜브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 흡착부재(100)와 상부 흡착부재(300)는 발수코팅된 모세기공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흡착부재(100)와 상부 흡착부재(300) 사이로 제공되는 수용 공간부(200)는 반원형태를 갖도록 하여 직사각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 보다 더 넓은 단면적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 공간부(200)가 반원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반원형태 이외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부(200)의 양측단부는 오픈된 형태를 갖는 개방부(210) 또는 닫혀진 형태를 갖는 폐쇄부(22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픈된 형태를 갖는 개방부(210) 또는 닫혀진 형태를 갖는 폐쇄부(220)가 구비된 수용 공간부(200)를 갖는 하부 흡착부재(100)와 상부 흡착부재(300)로 구비된 유류 방제용 부착재(A)에 대하여 발수코팅 횟수에 따른 흡수량와 흡유량을 특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1]에 나타낸 것으로 평판형 유류 방제용 부착재는 가로 8mm, 길이 150mm를 갖도록 하고, 반원형 유류 방제용 부착재는 가로 8mm, 길이 150mm, 높이 5mm를 갖도록 하고, 양측이 오픈된 형태와 양측이 닫혀진 상태의 각 형태 조건에 따라 침지식 발수 코팅을 0~3회 실시하였다.
Figure 112019011661807-pat00001
발수코팅은 흡수량을 감소와 동시에 흡유량을 소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가운데 반원형태는 내부의 빈 공간이 존재함에 따라 기름뿐만 아니라 물 또한 침투하여 흡유량과 흡수량 모두 증가시키고, 닫힌형태는 외부에서 내부로 혹은 내부에서 외부로 양쪽 구멍으로 물질의 침투를 억제한 효과를 갖는다. 즉, 닫힘 형태는 흡수량을 저감시키는 효과, 반원형은 흡유량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가 스테이블링을 통해 로프에 묶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스테이블링된 유류 방제용 부착재(A)는 해상에 띠의 형태를 갖도록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많은 량의 기름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류 방제용 부착재(A)의 길이는 80cm의 전후의 길이를 갖도록 하며, 유류 방제용 부착재(A)와 다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A) 사이의 간격은 10cm의 간격을 갖도록 하는 가운데 전체 로프의 길이는 10m 길이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에 있어 원단 공급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에 있어 튜브형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에 있어 1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에 있어 커팅된 유류 방제용 부착재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와 같은 유분 흡착보 제조장치는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0)의 일측으로 로울러(511)에 감겨진 흡착부재 원단(512)이 일정한 속도로 풀리면서 공급되도록 원단 공급부(510)가 구비되어 있고, 튜브형 가이드부(52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원단 공급부(510)로부터 공급된 흡착부재 원단(512) 중 하부는 평판형태를 가지며, 상부는 상부로 볼록한 만곡형태가 각각 반복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원단 공급부(510)는 로울러(511)가 프레임(500)의 일측 상하부로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2겹의 흡착부재 원단이 공급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축지지구(51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울러축(514)이 구동모터(515)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록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튜브형 가이드부(520)는 하부는 평평한 형태를 가지며, 상부는 상부로 볼록한 만곡형태를 갖는 다수열의 가이드부재(521)가 일정간격을 갖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됨에 따라 1회에 걸쳐 많은 량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500)의 상부에는 1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530)와 2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540)가 구비되어 상기 튜브형 가이드부(520)를 통과하는 흡착부재 원단(512)의 길이방향으로 초음파 융착 후 바로 커팅되어지며, 이후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다시 초음파 융착이 이루어진 후 커팅되어 튜브형태를 갖는 유류 방제용 부착재(A)을 얻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1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530)는 1차 초음파 성형 가이드 로울러(531)와 연동되도록 1,2차 가이드 로울러(532,533)가 구비되고, 상기 1차 초음파 성형 가이드 로울러(531)의 후방으로 구비된 1차 초음파 커팅부(534)로 구비되어 융착 이음 이후에 바로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2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540)는 1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530)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프레임(500)의 타측에는 배출부(550)가 구비되어 2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540)에 의하여 커팅된 유류 방제용 부착재(A)가 배출되도록 하고, 배출된 유류 방제용 부착재(A)를 다발로 모아 로프에 묶여지는 스테이블링부(560)가 프레임(500)으로부터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에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류 방제용 부착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건식발수 코팅단계(S100)로 분말형태를 갖는 다공성 실리카를 챔버의 내부에 다단으로 적재되도록 하고, 이어 실리콘이 포함된 고분자 전구체 용액이 챔버의 내부로 주입되록 한 후 히터로 가열시켜면 전구체 용액이 가열로 인해 기화되면서 챔버의 내부에 다단으로 적재된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나노미터의 두께를 갖는 소수성 박막이 코팅된 발수코팅 분말소재를 얻는다.
다음, 습식발수 코팅단계(S200)로 상기 건식발수 코팅단계(S100)를 통해 얻어진 건식으로 소수성 박막이 코팅된 발수코팅 분말소재가 분산된 용액에 접착용액을 배합하여 발수용액을 얻고, 발수용액에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착부재 원단을 침지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발수코팅된 흡착부재 원단을 얻는다.
그리고 유류 방제용 부착재 성형단계(S300)로 상기 습식발수 코팅단계(S200)에서 얻어진 습식발수 코팅된 흡착부재 원단이 원단 공급부(510)에 의하여 2겹으로 성형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1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530)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1차 초음파 융착과 커팅이 이루어진 후 2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540)에 의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다시 커팅되어 소정 길이의 유류 방제용 부착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후, 다수의 유류 방제용 부착재(A)가 로프에 묶여지는 스테이플링을 통해 라인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하부 흡착부재 200:수용 공간부
210:개방부 220:폐쇄부
300:상부 흡착부재 500:프레임
510:원단 공급부 520:튜브형 가이드부
530:1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 540:2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
550:배출부 560:스테이블링부
S100:건식발수 코팅단계 S200:습식발수 코팅단계
S300:유류 방제용 부착재 성형단계

Claims (10)

  1. 분말형태를 갖는 다공성 실리카를 챔버의 내부에 다단으로 적재되도록 하고, 이어 실리콘이 포함된 고분자 전구체 용액이 챔버의 내부로 주입되록 한 후 히터로 가열시켜 기화되면서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나노미터의 두께를 갖는 소수성 박막이 코팅된 발수코팅 분말소재를 얻은 건식발수 코팅단계와;
    상기 건식으로 소수성 박막이 코팅된 발수코팅 분말소재가 분산된 용액에 접착용액을 배합하여 발수용액을 얻고, 발수용액에 흡착부재 원단을 침지시킨 후 건조시켜 발수코팅된 흡착부재 원단을 얻는 습식발수 코팅단계 및;
    상기 습식발수 코팅된 흡착부재 원단이 2겹으로 성형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길이 방향으로 1차 초음파 융착과 커팅이 이루어진 후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다시 2차 초음파 융착과 커팅을 통해 소정 길이의 유류 방제용 부착재가 얻어지고, 이후, 다수의 유류 방제용 부착재가 로프에 묶여지는 스테이플링을 포함하는 유류 방제용 부착재 성형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발수 코팅단계 중 발수용액에 침지되는 흡착부재 원단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방법.
  3.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로울러에 감겨진 흡착부재 원단이 일정한 속도로 풀리면서 공급되도록 구비된 원단 공급부와;
    상기 원단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흡착부재 원단 중 하부는 평판형태를 가지며, 상부는 상부로 볼록한 만곡형태가 각각 반복되게 유지되도록 구비된 튜브형 가이드부와;
    상기 튜브형 가이드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초음파 융착 후 바로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1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와;
    상기 길이방향으로 융착, 커팅 후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다시 초음파 융착이 이루어진 후 커팅되어 유류 방제용 부착재가 구비되는 2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와;
    상기 2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에 의하여 커팅된 유류 방제용 부착재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배출된 유류 방제용 부착재를 다발로 모아 로프에 묶여지는 스테이블링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공급부는 로울러가 프레임의 일측 상하부로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2겹의 흡착부재 원단이 공급되도록 구비되되, 축지지구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울러축이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가이드부는 하부는 평평한 형태를 가지며, 상부는 상부로 볼록한 만곡형태를 갖는 다수열의 가이드부재가 일정간격을 갖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초음파 융착 커팅부는 1차 초음파 성형 가이드 로울러와 연동되도록 1,2차 가이드 로울러가 구비되고, 상기 1차 초음파 성형 가이드 로울러의 후방으로 구비된 1차 초음파 커팅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방제용 부착재 제조장치.
  7.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며,
    하부 흡착부재; 및
    상기 하부 흡착부재의 상부로 수용 공간부가 제공되도록 융착되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부 흡착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방제용 부착재.
  8. 제3항의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되며,
    하부 흡착부재; 및
    상기 하부 흡착부재의 상부로 수용 공간부가 제공되도록 융착되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부 흡착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방제용 부착재.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12886A 2019-01-31 2019-01-31 유류 방제용 부착재와 유류 방제용 부착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404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86A KR102404206B1 (ko) 2019-01-31 2019-01-31 유류 방제용 부착재와 유류 방제용 부착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86A KR102404206B1 (ko) 2019-01-31 2019-01-31 유류 방제용 부착재와 유류 방제용 부착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148A KR20200095148A (ko) 2020-08-10
KR102404206B1 true KR102404206B1 (ko) 2022-06-02

Family

ID=7204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886A KR102404206B1 (ko) 2019-01-31 2019-01-31 유류 방제용 부착재와 유류 방제용 부착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2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202B1 (ko) * 1996-06-27 1999-07-15 노귀영 유,수선택분리투과성이 우수한 환경오염방지용 포지
KR101903145B1 (ko) * 2017-04-28 2018-10-01 신우산업주식회사 유분 흡착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878B1 (ko) 2007-01-05 2008-03-10 (주)태봉 기름 흡착제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기름 흡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202B1 (ko) * 1996-06-27 1999-07-15 노귀영 유,수선택분리투과성이 우수한 환경오염방지용 포지
KR101903145B1 (ko) * 2017-04-28 2018-10-01 신우산업주식회사 유분 흡착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148A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5347B2 (en) Gulf oil spill underwater oleophilic hydrophobic oil-capturing water permeable drag-net
US5229006A (en) Method of recovering oil-based fluid and apparatus
US3679058A (en) Oil collection boom
US8042696B2 (en) Contaminant-reactive geocomposite mat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US5885451A (en) Oil spill containment and recovery apparatus
US83485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bsorptive boom
US5403478A (en) Oil-based fluid absorbent article
US4052306A (en) Oil sweep
NO315982B1 (no) Artikkel omfattende en matte av geotekstil-fibre med innlagt materiale, samt fremgangsmåte for dets fremstilling
JPH06158631A (ja) 水体の表面から油状物質を吸収するモジュールエレメントおよびそのエレメントを使用する浄化システム
US5779392A (en) Systems for containing and collecting oil spills
CN104874232A (zh) 一种海上除油专用吸油毡布及其制备吸油毡布的方法
US20120006761A1 (en) Absorbent material and method for using same
US10077537B2 (en) Inflatable pollution containment rim system
DE102006033810A1 (de) Kohlenstoff-Absorptionsmittel, Wasserreiniger, Wasserreinigungstasche, Wasserreinigungssubstrat und Verfahren zur Entfernung eines Ölfilms
KR102404206B1 (ko) 유류 방제용 부착재와 유류 방제용 부착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90099742A (ko) 회전형 이물질 회수 장치
KR100811878B1 (ko) 기름 흡착제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기름 흡착장치
US20210316237A1 (en) Oil-water separation filter structure and oil-water separator comprising the same
US20110284450A1 (en) Reusable Pads For Removing Liquid Contaminants
KR101989677B1 (ko) 사람의 머리카락과 동물의 털을 상호 혼합한 흡착제가 구비된 필터 및 기름방지막
JPH08505671A (ja) 油バリヤ
KR101007991B1 (ko) 유화제가 담지된 카폭부직포
JP3195852U (ja) 放射性物質拡散防止装置
US20160031723A1 (en) Water filtration devic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