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015B1 -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 Google Patents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015B1
KR102404015B1 KR1020210157034A KR20210157034A KR102404015B1 KR 102404015 B1 KR102404015 B1 KR 102404015B1 KR 1020210157034 A KR1020210157034 A KR 1020210157034A KR 20210157034 A KR20210157034 A KR 20210157034A KR 102404015 B1 KR102404015 B1 KR 102404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installation frame
high voltage
vehicle body
jun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장종일
나경운
정주희
Original Assignee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7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3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towing aircraft
    • B64F1/225Vehic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ircraft tow tractors
    • B64F1/227Vehic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ircraft tow tractors for direct connection to aircraft, e.g. tow tractors without towing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 본체부; 상기 차량 본체부의 전측에 결합된 캐빈; 상기 차량 본체부의 후측 상부에 구비되는 후방 설치 프레임; 상기 차량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후방 설치 프레임과 이웃하게 배치된 전방 설치 프레임; 상기 후방 설치 프레임에 구비된 탱크 고정부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수소탱크;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차량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고전압 배터리가 구비된 배터리 모듈부;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으며, 견인차의 바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 및 고전압 배터리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동력부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HYDROGEN FUEL CELL TUG CAR}
본 발명은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파워팩 및 고전압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진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에 관한 것이다.
수소차량을 작동시키는 연료전지는 수소탱크로부터 수소를 공급받는다. 이와 같은 수소탱크는 대개 차량의 후방 차체에 구비되며, 수소연료 공급 파이프를 통해 수소탱크 내에 수용된 수소는 연료전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수소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와 공기공급기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 중 산소는 연료전지 내에서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키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수소차량을 구동시키는 동력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예를 들어, 고전압 라인을 통해 정션박스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정션박스는 각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와 같은 정션박스는 연료전지와 인버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정션박스를 거쳐 인버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는 동력부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모터인 동력부는 인버터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수소차량을 구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수소차량은 수소탱크에 수소를 충전하는 수소 충전소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환경에서 이용되기에는 운행상 많은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수소차량에 연료전지 이외에 추가적인 전력 공급원이 마련된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10618호(1998.05.1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연료전지 파워팩 및 고전압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진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 본체부; 상기 차량 본체부의 전측에 결합된 캐빈; 상기 차량 본체부의 후측 상부에 구비되는 후방 설치 프레임; 상기 차량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후방 설치 프레임과 이웃하게 배치된 전방 설치 프레임; 상기 후방 설치 프레임에 구비된 탱크 고정부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수소탱크;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차량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고전압 배터리가 구비된 배터리 모듈부;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으며, 견인차의 바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 및 고전압 배터리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동력부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방 설치 프레임과 차량 본체부 사이에는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에 구비되는 제1 정션박스; 및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2 정션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션박스는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과 제1 정션박스에 연결된 고전압 라인의 단부를 접속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정션박스는 상기 제2 정션박스, 고전압 배터리 및 인버터에 연결된 고전압 라인의 단부를 접속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부는, 고전압 배터리; 상기 차량 본체부에 지지 고정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고전압 배터리가 안착 고정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는 안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 프레임이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차량 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될 시, 상기 고전압 배터리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부는 상기 인버터의 양측에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전부에 구비된 프레임 고정바에 설치되는 분리형 프레임; 상기 분리형 프레임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점검 도어; 상기 차량 본체부의 전방에 구비된 전방 견인부; 및 상기 차량 본체부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 견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부는 상기 차량 본체부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부는 상기 후방 설치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되, 고전압 라인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고전압 라인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 고전압 라인 보호 케이스;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덮는 전방 보호 커버부; 및 상기 후방 설치 프레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덮는 후방 보호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보호 커버부에는 복수개의 공기 이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에는 상기 인버터와 동력부를 미리 정해진 온도범위로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진 쿨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는 연료전지 파워팩 이외에 고전압 배터리가 함께 구비됨에 따라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의 주행 거리를 늘릴 수 있고,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의 주행 출력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에 구비된 고전압 라인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측에서 바라본 전방 설치 프레임과 후방 설치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측에서 바라본 전방 설치 프레임과 후방 설치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측에서 바라본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부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빈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으로부터 개폐 점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에 구비된 고전압 라인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측에서 바라본 전방 설치 프레임과 후방 설치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측에서 바라본 전방 설치 프레임과 후방 설치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측에서 바라본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부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부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빈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으로부터 개폐 점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는 차량 본체부(110), 캐빈(120), 전방 설치 프레임(200), 후방 설치 프레임(300), 수소탱크(400), 제1 정션박스(500), 연료전지 파워팩(600), 제2 정션박스(700), 인버터(800) 및 배터리 모듈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본체부(110)는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의 뼈대를 이룬다.
이러한 차량 본체부(110)의 전방에는 전방 견인부(111)가 구비되고, 차량 본체부(110)의 후방에는 후방 견인부(112)가 구비되어,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는 전방 견인부(111)와 후방 견인부(112)를 통해 항공기 및 수화물을 공항 내에서 요구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 본체부(110)의 전측에는 작업자가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를 운전할 수 있는 운전석인 캐빈(12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캐빈(120)은 차량 본체부(1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체가 아닌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캐빈(120)이 분리형인 경우,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의 제조시 캐빈(120)은 차량 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빈(120)이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의 디자인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후방 설치 프레임(300)은 차량 본체부(110)의 후측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후방 설치 프레임(300)에는 탱크 고정부(320)가 구비되며, 수소가 수용된 수소탱크(400)는 탱크 고정부(3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 보호 커버부(310)는 후방 설치 프레임(300)을 전체적으로 덮으며, 외부로부터 후방 설치 프레임(300) 내에 구비된 다양한 구성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탱크 고정부(320)는 복수개의 수소탱크(400)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탱크 고정부(320)의 외측면은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가 운행중에 덜컹거림 등의 충격이 발생될 시, 해당 충격이 수소탱크(40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후방 설치 프레임(300)의 하면과 차량 본체부(110)의 상면과 사이에는 제1 공간부(101)가 형성되도록, 후방 설치 프레임(300)은 차량 본체부(110)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정션박스(500)는 후방 설치 프레임(300)과 차량 본체부(110) 사이의 제1 공간부(101)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1 정션박스(500)는 메인 정션박스로, 연료전지 파워팩(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정션박스(700), 고전압 배터리(910) 및 인버터(800)에 연결된 고전압 라인(L)의 종단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정션박스(500)는 고전압 라인(L)의 종단부가 먼지 및 습기와 같은 외부 요인에 영향이 없도록 외부로부터 고전압 라인(L)의 종단부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정션박스(500)는 수소탱크(400)가 탱크 고정부(3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소탱크(400)에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복수의 고전압 라인(L)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정션박스(500)는 외부로부터 접근이 쉽지 않는 곳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 정션박스(500)는 예를 들어, 연료전지 파워팩(600) 및 배터리 모듈부(900)로부터 제공된 전기 에너지를 인버터(800)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전압 라인 보호 케이스(330)는 제1 공간부(101)에 구비되며, 고전압 라인 보호 케이스(330)의 하부는 차량 본체부(110)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부는 후방 설치 프레임(30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고전압 라인 보호 케이스(330)에는 관통홀(331)이 형성되어, 복수의 고전압 라인(L)은 관통홀(331)을 관통한 상태에서 제1 정션박스(5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전압 라인 보호 케이스(330)는 외부로부터 고전압 라인(L)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고전압 라인 보호 케이스(330)는 예를 들어, 작업자가 고전압 라인 보호 케이스(330)의 상부측에 배치된 부품을 스패너 등의 정비 공구를 이용하여 정비하는 과정에서, 해당 정비 공구가 낙하되어 고전압 라인(L)에 충격에 가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고전압 라인 보호 케이스(330)는 외부로부터 고전압 라인(L)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전방 설치 프레임(200)은 차량 본체부(1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전방 설치 프레임(200)은 후방 설치 프레임(300)과 이웃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전방 보호 커버부(210)는 전방 설치 프레임(200)을 전체적으로 덮으며, 외부로부터 전방 설치 프레임(200) 내에 구비된 다양한 구성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방 설치 프레임(200)에는 쿨러(2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쿨러(220)는 전방 설치 프레임(200)에 설치된 인버터(800)와 동력부(810)를 미리 정해진 온도범위로 유지시켜주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방 보호 커버부(210)에는 복수개의 공기 이동홀(h)이 형성되어, 쿨러(2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공기 이동홀(h)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설치 프레임(200)에는 저전압 직류 전환기(2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전압 직류 전환기(230)는 예를들어, 고전압 배터리(910)의 고전압을 12V급 저전압으로 바꾸어 전장품들이 작동될 수 있는 전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방 설치 프레임(200)에는 탑재 충전기(2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탑재 충전기(240)는 예를 들어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바꾸어 고전압 배터리(910)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방 설치 프레임(200)에는 연료전지 파워팩(60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 파워팩(600)은 수소탱크(400)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와 공기공급기(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 중 산소의 전기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연료전지 파워팩(600)은 수소를 연료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기이다.
이러한 연료전지 파워팩(600)으로부터 제공된 전기 에너지는 제2 정션박스(700)를 거쳐 제1 정션박스(5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정션박스(700)는 전방 설치 프레임(20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 정션박스(700)는 연료전지 파워팩(600)에 연결된 고전압 라인(L)과, 제1 정션박스(500)에 연결된 고전압 라인(L)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연료전지 파워팩(600)으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제2 정션박스(700)를 거쳐 제1 정션박스(5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정션박스(700)는 연료전지 파워팩(600)과 제1 정션박스(5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연료전지 파워팩(600)과 제1 정션박스(5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정션박스(700)는 보조 정션박스로,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의 주동력인 연료전지 파워팩(600)의 수리 및 교체 작업시, 작업의 편의를 위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는 연료전지 파워팩(600)의 수리 또는 교체가 이루어질 경우, 작업자는 제2 정션박스(700)에 결합된 연료전지 파워팩(600)의 고전압 라인(L)만을 분리하면 되기에, 연료전지 파워팩(600)의 수리 또는 교체 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료전지 파워팩(600)의 수리 또는 교체 작업이 완료된 후에도 연료전지 파워팩(600)에 연결된 고전압 라인(L)만 제2 정션박스(700)에 결합하면 되기에, 조립작업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에는 메인 정션박스인 제1 정션박스(500)와 보조 정션박스인 제2 정션박스(700)가 함께 구비되기에,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의 수리 및 교체 작업은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인버터(800)는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에 구비된 바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8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버터(800)는 연료전지 파워팩(600) 및 고전압 배터리(910)로부터 제공된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바꾸어 동력부(810)를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동력부(810)는 모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버터(800)는 전방 설치 프레임(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공간부(102)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는 예를 들어, 연료전지 파워팩(600)으로부터 제공되는 50kW의 출력으로 주행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고전압 배터리(910)로부터 제공되는 30kW의 출력으로 주행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연료전지 파워팩(600) 및 고전압 배터리(910)로부터 함께 제공되는 80kW의 출력으로 주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연료전지 파워팩(600)의 50kW의 출력과 고전압 배터리(910)의 30kW의 출력은 하나의 예일 뿐, 연료전지 파워팩(600)과 고전압 배터리(910)의 출력범위는 다양한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1000)는 연료전지 파워팩(600) 및 고전압 배터리(91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아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배터리 모듈부(900)는 전방 설치 프레임(20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부(900)는 인버터(800)의 양측에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 모듈부(900)는 고전압 배터리(910), 지지 프레임(920) 및 안착 프레임(9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전압 배터리(910)는 전기 에너지가 충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고전압 배터리(910)는 외부 전력 공급원을 통해 전기 에너지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연료전지 파워팩(600)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가 충전될 수도 있는 등. 고전압 배터리(910)에 충전되는 전기 에너지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전압 배터리(910)는 복수개의 배터리가 함께 마련된 배터리 팩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고전압 배터리(910)는 안착 프레임(930)에 안착 고정된다.
여기서 안착 프레임(930)은 차량 본체부(110)에 지지 고정된 지지 프레임(920)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안착 프레임(930)은 예를 들어, 차량 본체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될 수도 있고, 차량 본체부(110)의 외측에서 차량 본체부(110)의 중앙측으로 인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안착 프레임(930)이 차량 본체부(110)의 외측으로 인출된 경우, 안착 프레임(930)에 안착된 고전압 배터리(91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전압 배터리(910)는 안착 프레임(930)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간편하게 외부로 노출될 수 있기에, 예를 들어 고전압 배터리(910)의 수리 또는 교체가 이루어질 시, 작업자는 간편하게 해당 고전압 배터리(910)를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전압 배터리(910)의 수리 또는 교체 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자는 안착 프레임(930)을 차량 본체부(110)의 중앙측으로 입인시켜, 고전압 배터리(910)를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모듈부(900)는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안착 프레임(930)이 구비됨에 따라 고전압 배터리(910)의 수리 및 교체 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캐빈(120)은 분리형 프레임(121)과 개폐 점검 도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형 프레임(121)은 캐빈(120)의 전부 양측에 구비된 프레임 고정바(123)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형 프레임(121)은 내부에 배치되는 예를 들어 리저버 탱크, 전조등, 방향 지시등, 워셔액통, 브레이크 부스터 등의 다양한 부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개폐 점검 도어(122)는 분리형 프레임(121)의 상부에 구비되며, 분리형 프레임(121)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폐 점검 도어(122)는 분리형 프레임(121)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작업자는 예를 들어, 전조등의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개폐 점검 도어(122)를 분리형 프레임(121)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해당 구성품을 간편하게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제1 공간부
102: 제2 공간부
110: 차량 본체부
111: 전방 견인부
112: 후방 견인부
120: 캐빈
121: 분리형 프레임
122: 개폐 점검 도어
123: 프레임 고정바
200: 전방 설치 프레임
210: 전방 보호 커버부
220: 쿨러
230: 저전압 직류 전환기
240: 탑재 충전기
300: 후방 설치 프레임
310: 후방 보호 커버부
320: 탱크 고정부
330: 고전압 라인 보호 케이스
331: 관통홀
400: 수소탱크
500: 제1 정션박스
600: 연료전지 파워팩
700: 제2 정션박스
800: 인버터
810: 동력부
900: 배터리 모듈부
910: 고전압 배터리
920: 지지 프레임
930: 안착 프레임
1000: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Claims (7)

  1. 차량 본체부;
    상기 차량 본체부의 전측에 결합된 캐빈;
    상기 차량 본체부의 후측 상부에 구비되는 후방 설치 프레임;
    상기 차량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후방 설치 프레임과 이웃하게 배치된 전방 설치 프레임;
    하부는 상기 차량 본체부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부는 상기 후방 설치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되, 고전압 라인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고전압 라인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 고전압 라인 보호 케이스;
    상기 후방 설치 프레임에 구비된 탱크 고정부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수소탱크;
    상기 후방 설치 프레임과 차량 본체부 사이에는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에 구비되는 제1 정션박스;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2 정션박스;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차량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연료전지 파워팩;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고전압 배터리가 구비된 배터리 모듈부;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으며, 견인차의 바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 및 고전압 배터리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동력부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정션박스는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과 제1 정션박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과 제1 정션박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과 제1 정션박스에 연결된 고전압 라인의 단부를 접속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션박스는 상기 제2 정션박스, 고전압 배터리 및 인버터에 연결된 고전압 라인의 단부를 접속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부는,
    고전압 배터리;
    상기 차량 본체부에 지지 고정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고전압 배터리가 안착 고정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는 안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 프레임이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차량 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될 시, 상기 고전압 배터리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부는 상기 인버터의 양측에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전부에 구비된 프레임 고정바에 설치되는 분리형 프레임;
    상기 분리형 프레임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점검 도어;
    상기 차량 본체부의 전방에 구비된 전방 견인부; 및
    상기 차량 본체부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 견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덮는 전방 보호 커버부; 및
    상기 후방 설치 프레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덮는 후방 보호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보호 커버부에는 복수개의 공기 이동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설치 프레임에는 상기 인버터와 동력부를 미리 정해진 온도범위로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진 쿨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KR1020210157034A 2021-11-15 2021-11-15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KR102404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034A KR102404015B1 (ko) 2021-11-15 2021-11-15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034A KR102404015B1 (ko) 2021-11-15 2021-11-15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015B1 true KR102404015B1 (ko) 2022-06-02

Family

ID=8198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034A KR102404015B1 (ko) 2021-11-15 2021-11-15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0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618U (ko) 1996-08-09 1998-05-15 추호석 항공기 견인장치
KR100563279B1 (ko) * 2002-06-19 2006-03-27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전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5374409B2 (ja) * 2010-02-18 2013-12-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バッテリー格納装置
US20180339594A1 (en) * 2017-05-24 2018-11-2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uel cell vehicle with power modules
JP2021022449A (ja) * 2019-07-25 2021-02-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燃料電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618U (ko) 1996-08-09 1998-05-15 추호석 항공기 견인장치
KR100563279B1 (ko) * 2002-06-19 2006-03-27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전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5374409B2 (ja) * 2010-02-18 2013-12-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バッテリー格納装置
US20180339594A1 (en) * 2017-05-24 2018-11-2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uel cell vehicle with power modules
JP2021022449A (ja) * 2019-07-25 2021-02-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燃料電池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0357B2 (en) Vehicle having an energy storage means
WO2011152164A1 (ja) 車両の充電器搭載構造
CN107848386B (zh) 车辆
JP5499055B2 (ja) エンジン電気ハイブリッド車両のバッテリ及び燃料タンク搭載構造
KR101273080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장착구조
US9812685B2 (en)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US7854282B2 (en) Hybrid electric vehicle
JP5210500B2 (ja) 蓄電装置
WO2010150447A1 (ja) ハイブリッド型車両
CN102556240A (zh) 电动车辆
CN110014878B (zh) 电机驱动的车辆
GB2473715A (en) Vehicle with crash load pathways and energy accumulator area
WO2017022394A1 (ja) 電動車両
KR20170004028U (ko) 전기트럭용 배터리 팩 장착 구조
CN110254198A (zh) 用于电气化车辆电池组的保护性保持架组件
CN110785306A (zh) 电动车辆
CN111376742A (zh) 电动汽车
KR20110059353A (ko) 자동차
CN118103248A (zh) 带有电驱动装置的挂车车辆、带有挂车车辆的车辆组合和用于运行挂车车辆的方法
KR102404015B1 (ko)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KR102404014B1 (ko)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CN204488461U (zh) 一种换电式电动汽车动力电池系统
KR102404013B1 (ko) 수소 연료전지 공항 견인차
CN209904573U (zh) 用于车辆的电池结构和具有其的车辆
CN111391678A (zh) 电动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