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641B1 -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641B1
KR102403641B1 KR1020200094499A KR20200094499A KR102403641B1 KR 102403641 B1 KR102403641 B1 KR 102403641B1 KR 1020200094499 A KR1020200094499 A KR 1020200094499A KR 20200094499 A KR20200094499 A KR 20200094499A KR 102403641 B1 KR102403641 B1 KR 102403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film
parts
guide pin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637A (ko
Inventor
조원선
이광희
박진홍
고국종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641B1/ko
Priority to PCT/KR2021/009006 priority patent/WO2022025486A1/ko
Publication of KR2022001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 H05K3/4632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laminating thermoplastic or uncured resin sheets comprising printed circuits without added adhesive materials between the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에 필름부를 라미네이트할 수 있는 지그에 있어서, 하판부의 탄성회복력을 이용하여 완성된 제품의 취출이 용이하게 하고, 부품과 필름부를 고정하는 가이드핀 주위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JIG FOR MANUFACTURING LAMINATE PARTS}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에 필름부를 라미네이트 할 수 있는 지그에 있어서, 하판부의 탄성회복력을 이용하여 완성된 제품의 취출이 용이하게 하고, 부품과 필름부를 고정하는 가이드핀 주위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석탄, 석유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를 대체하여, 최근에는 친환경 에너지가 각광받고 있다. 특히, 운송수단에 있어서 전기, 수소를 원료로 한 운송수단이 기존 가솔린, 디젤 원료를 대체하고 있으며, 10년 내에는 대부분의 운송수단이 전기, 수소로 변경될 것이라는 예측도 심심치 않게 보고되고 있다.
전기차(electric car)의 경우, 구동되기 위해서는 배터리(battery)가 필요하다. 배터리는 다양한 부품이 결합되어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필름을 부품에 라미네이트(laminate)하여 절연 및 보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부품에 필름을 라미네이트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프레스 공정이 수행된다. 상판과 하판 사이에 필름과 부품을 적층한 뒤, 상판을 하강시켜 필름 및 부품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부품에 필름이 라미네이트 된다. 열을 가하는 공정 등을 공지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종래의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된 지그 및 이에 따른 문제점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지그의 하판에 필름 및 부품이 적층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종래의 지그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지그는 하판(10), 상판(20)이 구비된다.
하판(10) 및 상판(20)은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닌 플레이트(plate) 형상이다. 필름(1, 2) 및 부품(3)이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하게 되면, 흔들리거나 이탈되어 원활하게 라미네이트가 되지 않게 되므로, 필름(1, 2) 및 부품(3)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에, 하판(10)은 베이스(11)와 가이드핀(12, 13)으로 구성된다. 베이스(11) 위에 필름(1, 2) 및 부품(3)이 적층되며, 가이드핀 중 일부(12)는 필름(1, 2) 및 부품(3)을 관통하여 고정하며, 가이드핀 중 다른 일부(13)는 필름(1, 2)만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하판(10)에 적층된 필름(1, 2) 및 부품(3)은 가이드핀(12, 13)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며, 고정 및 지지된 상태에서 상판(20)이 하강하여 가압하게 되면, 부품(3)에 필름(1, 2)이 라미네이트 된다. 제품(여기서, 제품이라 하면, 부품에 필름이 라미네이트 된 상태의 것)이 완성되면 상판(20)이 승강하여 하판(10)으로부터 제품을 취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그에 의해 제품을 제작하는 경우, 취출이 용이하지 않아 제품 완성도가 현격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3은 가이드핀(12, 13) 부근의 필름(1, 2) 및 부품(3)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가이드 핀 중 필름(1, 2)을 관통하는 가이드핀(13) 주변에는 가이드핀(13) 주변으로 응력이 집중되므로, 제품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가이드핀(13) 주변의 필름(1, 2)이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3) 중 일부는 필름(1, 2)이 라미네이트 되지 않고, 가이드핀(12)만이 관통되어 고정 및 지지되는 경우가 배터리 구조 상 발생될 수가 있는데, 부품(3)과 필름(1, 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응력이 집중된다. 이로 인해, 제품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부품(3) 주변의 필름(1, 2)이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볼 때, 위로 인해 라미네이트 된 필름(1, 2)에 변형이 발생되는 등 완성된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가이드핀(12, 13)이 필름(1, 2) 및 부품(3)을 고정시키기 위해 필연적으로 필름(1, 2) 및 부품(3)을 관통시켜 가이드핀(12, 13)이 돌출된 상태여야하며, 취출 과정에서 가이드핀(12, 13)의 수직 방향을 따라 제품을 들어 올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구조에 기인하는 문제이다.
KR 20-0240110호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에 필름부를 라미네이트할 수 있는 지그에 있어서, 하판부의 탄성회복력을 이용하여 완성된 제품의 취출이 용이하게 하고, 부품과 필름부를 고정하는 가이드핀 주위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는 하판부; 및 상기 하판부와 맞닿는 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부는, 부품 및 상기 부품에 라미네이트 되는 필름부가 수용되는 제1 하판; 및 상기 제1 하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이격되는 제2 하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하판은 제2 하판을 기준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의 상기 하판부는 상기 제1 하판 및 상기 제2 하판에 동시에 결합되어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가 하강하여 상기 하판부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가 수축되고, 상기 상판부가 승강하는 경우 상기 제1 하판이 탄성 회복력에 의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는 상기 제2 하판의 일 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하판과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는 상기 제1 하판 및 상기 제2 하판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부품 및 필름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는 라미네이트 시 노출되는 상기 부품을 주위를 감싸되, 상기 제1 하판 및 상기 제2 하판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블럭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는 라미네이트 시 노출되는 상기 부품과 상기 필름부 사이에 상기 가이드블럭부가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는 상기 필름부에는 상기 제1 하판의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핸들링 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하판에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그루브에 상기 핸들링 필름부의 일부가 수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의 상기 필름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필름부 사이에 상기 부품이 위치되어 라미네이트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의 상기 상판부에는, 상기 가이드핀부 및 상기 가이드블럭부가 관통되어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부가 부품에 라미네이트된 제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응력 집중을 분산시켜 필름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제품 취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품 취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제품 품질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지그의 하판에 필름 및 부품이 적층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지그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가이드핀 부근의 필름 및 부품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의 하판부에 부품 및 필름부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가이드핀부 및 보조 가이드핀부에 관통된 필름부 및 부품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상판부의 가압을 통한 라미네이트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라미네이트 시 필름부가 결합되지 않고 노출되는 부품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부, 보조 가이드핀부 및 가이드블럭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부, 보조 가이드핀부 및 가이드블럭부의 형상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필름부 및 부품이 적층된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4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이고, '폭 방향'이라 함은 도 4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 이루는 면과 수직되는 방향이다. 이하에서는 지정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의 하판부에 부품 및 필름부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는 하판부(100), 상판부(200), 탄성부(300), 가이드핀부(400), 가이드블럭부(500) 및 스토퍼부(6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필름부(1, 2) 및 부품(3)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필름부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설명의 편의상 상부 필름부(1) 및 하부 필름부(2)로 구분한다. 상부 필름부(1) 및 하부 필름부(2) 사이에 부품(3)이 위치되며, 하판부(100)에 하부 필름부(2), 부품(3) 및 상부 필름부(1)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도 5에 도시된 한 쌍의 필름부(1, 2) 및 부품(3)의 형상은 일 예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름부(1, 2)는 절연 및 보호 역할을 하는 것으로, PI 필름, PET 필름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부품(3)은 일 예로 미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와 결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부품(3)의 모든 면에 한 쌍의 필름부(1, 2)가 결합되지 않으며, 일부는 한 쌍의 필름부(1, 2)가 결합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노출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한 쌍의 필름부(1, 2)에는 각각 천공홀(1a, 2a)가 형성되며, 적층 시 천공홀(1a, 2a)에 부품(3)의 일 부분이 위치되어 노출된다.
이때, 부품(3)에는 부품홀(3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부품홀(3a)은 한 쌍의 필름부(1, 2)가 결합되지 않고, 노출되는 부분의 부품(3)에 형성된 홀이라 지칭한다. 후술할 가이드핀부(400)는 일 예로 하판부(100), 부품홀(3a) 및 상판부홀(23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라미네이트 과정에서 노출된 부품(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필름부(1, 2)에는 후술할 복수 개의 보조 가이드핀부(410)가 관통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1b, 2b)가 형성된다. 보조 가이드핀부(410)는 일 예로 하판부(100), 하부 가이드홀(2b), 상부 가이드홀(1b) 및 상판부(200)에 형성된 보조홀(21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라미네이트 과정에서 한 쌍의 필름부(1, 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필름부(1, 2)에는 각각 복수 개의 핸들링 필름부(1c, 2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완성된 제품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세한 내용은 하판부(100)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하판부(100)는 제1 하판(110), 제2 하판(120) 및 탄성부(300)를 구비한다.
제1 하판(110) 및 제2 하판(120)은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닌 플레이트 형상이다. 제1 하판(110)은 제2 하판(120)보다 수직 방향으로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제1 하판(110)에는 부품(3) 및 필름부(1, 2)가 수용 및 적층된다. 제2 하판(120)은 제1 하판(110)과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이때, 제1 하판(110) 및 제2 하판(120)은 탄성부(300)에 동시에 결합된다. 또한, 제1 하판(110)은 탄성부(300)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하게 된다.
탄성부(300)는 탄성축(310) 및 탄성체(320)를 구비한다. 탄성축(31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 예로 도 5와 같이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탄성축(310)은 제1 하판(110), 제2 하판(120) 및 상판부(200)에 형성된 수용홀(220)을 동시에 관통한다. 이로 인해, 하판부(100) 및 상판부(200)는 탄성축(310)을 기준으로 승하강을 하게 되므로 라미네이트 과정에서 필름부(1, 2) 및 부품(3)의 위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탄성체(320)는 탄성축(310)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수직 방향으로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체(320)는 제1 하판(110) 및 제2 하판(12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탄성체(320)의 상부는 제1 하판(110)과 맞닿고, 탄성체(320)의 하부는 제2 하판(120)과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체(320)는 일 예로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제2 하판(120)은 고정된 바, 제1 하판(110)은 상판부(200)의 가압에 따라 제2 하판(120)을 향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때, 라미네이트 후 상판부(200)가 승강하게 되면, 탄성체(320)의 이완 및 탄성 회복력으로 인해 제1 하판(110)은 승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취출이 용이하여 진다.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에서 상세히 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6은 가이드핀부(400) 및 보조 가이드핀부(410)에 관통된 필름부(1, 2) 및 부품(3)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가이드핀부(40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핀이다.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핀이지만, 필름부(1, 2)가 결합되지 않은 부품(3)을 관통하는 핀을 가이드핀부(400)라 지칭하고, 그 외에 형성된 핀을 보조 가이드핀부(410)라 지칭한다.
가이드핀부(400)는 제1 하판(110) 및 제2 하판(120)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부품(3)에 형성된 부품홀(3a)에 가이드핀부(400)가 관통된다. 따라서, 부품(3)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부품홀(3a)은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핀부(400)에 관통되며, 이로 인해 부품(3)이 제1 하판(110)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핀부(400)의 상단부는 상판부홀(230)을 관통한다. 따라서, 상판부(200)가 하강하여 하판부(10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보조 가이드핀부(410)는 필름부(1, 2)를 관통하며, 부품(3)의 위치에 따라 부품(3)을 선택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핀부(400) 및 보조 가이드핀부(410)의 구성으로 인해, 상판부(200)의 가압 과정에서 필름부(1, 2) 및 부품(3)의 위치를 고정 및 지지하게 되어 완성된 제품 품질이 향상된다.
가이드블럭부(500)는 라미네이트 시 필름부(1, 2)가 결합되지 않고 노출되는 부품(3) 주위를 감싼다. 가이드블럭부(50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하판(110) 및 제2 하판(120)을 관통한다. 또한, 필름부에 형성된 천공홀(1a, 2a)의 내측면을 따라서 배치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부품(3)의 외측면과 천공홀(1a, 2a)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채우게 된다.
가이드블럭부(500)는 단면이 'ㄷ'자 형상인 것으로 일면이 개방된 기둥 형상이며, 노출된 부품(3) 주변을 감싸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0은 라미네이트 시 필름부(1, 2)가 결합되지 않고 노출되는 부품(3)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과 비교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부품(3) 중 일부는 필름(1, 2)이 라미네이트 되지 않고, 가이드핀(12)만이 관통되어 고정 및 지지되는 경우가 배터리 구조 상 발생될 수가 있는데, 부품(3)과 필름(1, 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응력이 집중된다. 이로 인해, 제품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부품(3) 주변의 필름(1, 2)이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부품(3)과 필름(1, 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가이드블럭부(500)가 배치되므로, 가이드블럭부(500)가 응력의 집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필름부(1, 2)의 변형이 최소화되며, 인접한 보조 가이드핀부(410) 부근에 위치된 필름부(1, 2)의 변형까지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라미네이트 후 완성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상판부(200)의 가압을 통한 라미네이트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1 하판(110)에 하부 필름부(2), 부품(3) 및 상부 필름부(1)를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이때, 도 7과 같이 적층 과정에서 가이드핀부(400) 및 보조 가이드핀부(410)를 관통하게 하여 필름부(1, 2) 및 부품(3)의 위치를 설정하고 고정시킨다. 이후, 상판부(200)를 하방으로 가압시킨다. 상판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축(310), 가이드핀부(400) 및 보조 가이드핀부(410)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상판부(20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도 8과 같이 제1 하판(110)이 압력에 의해 제2 하판(120)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므로, 제1 하판(110)과 제2 하판(120) 사이에 위치된 탄성체(320)가 수축하게 된다. 이때, 제1 하판(110)이 한계없이 내려가게 된다면, 탄성체(320)에 휨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스토퍼부(6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부(600)는 제2 하판(120)의 일 지점에서 복수 개 형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하판(110)과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제1 하판(110)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의 확보를 위함이다.
라미네이트 후 상판부(200)가 승강하게 되면, 탄성체(320)는 더 이상 가압이 되지 않으므로 이완됨과 동시에 탄성회복력으로 인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하판(110)은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승강하게 된다.
이때, 필름부(1, 2) 및 부품(3)의 수직 방향의 위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라미네이트 후 필름부(1, 2) 및 부품(3)의 수직 방향의 위치는 가이드핀부(400) 및 보조 가이드핀부(410)의 상단부 부근에 위치된다.
도 4 및 도 6에서 도시된 필름부(1, 2) 및 부품(3)의 수직 방향의 위치가 가이드핀부(400) 및 보조 가이드핀부(410)의 상단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하방에 위치되어 있도록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필름부(1, 2) 및 부품(3)이 가이드핀부(400) 및 보조 가이드핀부(410)에 관통되며, 라미네이트 시 제1 하판(110)에 수용됨을 표현하기 위해 위와 같이 표현한 것이며, 필름부(1, 2) 및 부품(3)을 최초 적층할 때에는 필름부(1, 2) 및 부품(3)의 수직 방향의 위치는 가이드핀부(400) 및 보조 가이드핀부(410)의 상단부 부근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 설정이 가능한 것은 종래와는 달리 하판부(100)가 2개로 구분되어 있으며, 필름부(1, 2) 및 부품(3)을 수용하는 제1 하판(110)이 승하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하판(110)이 탄성체(32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는 경우, 도 9와 같이 필름부(1, 2) 및 부품(3)의 수직 방향의 위치는 가이드핀부(400) 및 보조 가이드핀부(410)의 상단부 부근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라미네이트 후 완성된 제품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가이드핀(12, 13)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 시 가이드핀(12, 13)으로 인해 발생되는 제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품질 향상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부(400), 보조 가이드핀부(410) 및 가이드블럭부(500)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부(400), 보조 가이드핀부(410) 및 가이드블럭부(500)의 형상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필름부(1, 2) 및 부품(3)이 적층된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부(400)는 제1 가이드핀부(401) 및 제2 가이드핀부(402)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핀부(401)는 제2 가이드핀부(402)의 상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가이드핀부(410)는 제1 보조 가이드핀부(411) 및 제2 보조 가이드핀부(412)를 구비한다. 제1 보조 가이드핀부(411)는 제2 보조 가이드핀부(412)의 상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블럭부(500)는 제1 가이드블럭부(501) 및 제2 가이드블럭부(502)를 구비한다.
이때, 제1 가이드핀부(401)는 제2 가이드핀부(402)와 인접하는 지점에서 제1 가이드핀부(401)의 상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제2 가이드핀부(402)는 폭이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최초에 필름부(1, 2) 및 부품(3)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판부(200)에 의해 가압될 때, 필름부(1, 2) 및 부품(3)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가이드핀부(400) 중 제1 가이드핀부(401)는 필름부(1, 2) 및 부품(3)이 제1 하판(110)에 맞닿기 전 이동하는 통로 역할 및 최초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이며, 라미네이트 될 때에는 필름부(1, 2) 및 부품(3)은 제2 가이드핀부(402)에 위치된 상태에서 라미네이트 된다. 따라서, 제2 가이드핀부(402)는 폭을 일정하게 하여 라미네이트 과정에서 필름부(1, 2) 및 부품(3)의 변형 방지를 최소화하고, 제1 가이드핀부(401)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제작하여 오차 범위를 확보하여 최초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보조 가이드핀부(410) 및 가이드블럭부(500) 또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보조 가이드핀부(411)는 제2 보조 가이드핀부(412)와 인접하는 지점에서 제1 보조 가이드핀부(411)의 상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제2 보조 가이드핀부(412)는 폭이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가이드블럭부(501)는 제2 가이드블럭부(502)와 인접하는 지점에서 제1 가이드블럭부(501)의 상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제2 가이드블럭부(502)는 폭이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부(1, 2)에는 핸들링 필름부(1c, 2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링 필름부(1c, 2c)는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하판(1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되는 핸들링 필름부(1c, 2c)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제1 하판(110)에는 그루브(111)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완성 제품은 하판(10) 내측에 위치되므로 취출할 때 용이하지 않으며, 작업 시간이 다수 소요됨과 동시에 취출 과정에서 제품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링 필름부(1c, 2c)가 외부로 돌출되고,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111)가 형성되므로, 라미네이트 후 핸들링 필름부(1c, 2c)만 들어올리게 되면 제품 전체를 취출할 수 있어 취출이 용이하며,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품 손상 가능성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지그로부터 취출 후, 핸들링 필름부(1c, 2c)는 별도의 컷팅 장치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 필름부,
3 : 부품,
100 : 하판부,
200 : 상판부,
300 : 탄성부,
400 : 가이드핀부,
500 : 가이드블럭부,
600 : 스토퍼부.

Claims (9)

  1. 하판부; 및
    상기 하판부와 맞닿는 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부는,
    부품 및 상기 부품에 라미네이트 되는 필름부가 수용되는 제1 하판; 및
    상기 제1 하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이격되는 제2 하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하판은 상기 제2 하판을 기준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고,
    상기 하판부는,
    상기 제1 하판 및 상기 제2 하판에 동시에 결합되어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가 하강하여 상기 하판부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가 수축되고,
    상기 상판부가 승강하는 경우 상기 제1 하판이 탄성 회복력에 의해 승강하고,
    상기 제1 하판 및 상기 제2 하판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부품 및 필름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핀부;를 더 포함하고,
    라미네이트 시 노출되는 상기 부품을 주위를 감싸되, 상기 제1 하판 및 상기 제2 하판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블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핀부 및 상기 가이드블럭부는 고정되고,
    상기 필름부 및 상기 부품을 상기 제1 하판에 적층 시, 상기 필름부 및 상기 부품의 수직 방향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핀부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라미네이트 후 완성된 제품을 취출하는 동작 시, 상기 가이드핀부의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제품을 들어올리는 과정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2. 삭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판의 일 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하판과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시 노출되는 상기 부품과 상기 필름부 사이에 상기 가이드블럭부가 위치되는 것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에는 상기 제1 하판의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핸들링 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하판에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그루브에 상기 핸들링 필름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것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필름부 사이에 상기 부품이 위치되어 라미네이트 되는 것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에는,
    상기 가이드핀부 및 상기 가이드블럭부가 관통되어 수용되는 것인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KR1020200094499A 2020-07-29 2020-07-29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KR102403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99A KR102403641B1 (ko) 2020-07-29 2020-07-29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PCT/KR2021/009006 WO2022025486A1 (ko) 2020-07-29 2021-07-14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99A KR102403641B1 (ko) 2020-07-29 2020-07-29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37A KR20220014637A (ko) 2022-02-07
KR102403641B1 true KR102403641B1 (ko) 2022-05-27

Family

ID=8003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499A KR102403641B1 (ko) 2020-07-29 2020-07-29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3641B1 (ko)
WO (1) WO20220254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4817A (ja) * 1992-10-05 1994-04-26 Ibiden Co Ltd ラミネート用治具及びグリーンシートのラミネート方法
KR200240110Y1 (ko) 2001-03-16 2001-10-08 안성초 더미 플레이트를 구비한 라미네이이션 기구
KR20090010425U (ko) * 2008-04-09 2009-10-14 정필호 카바레이 양면동시가접기
JP5602439B2 (ja) * 2010-01-22 2014-10-0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加熱装置および実装体の製造方法
KR101129133B1 (ko) * 2010-05-03 2012-03-23 주식회사 디에스이 연성회로기판 탑재장치
KR102043597B1 (ko) * 2019-07-11 2019-11-11 황만수 적층형 전자부품 압착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37A (ko) 2022-02-07
WO2022025486A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204172A (ja) 組電池の製造システム
KR102392788B1 (ko) 폴더블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304980A1 (en)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y
KR102258176B1 (ko) 전극 리드를 버스바에 밀착시키는 자동 가압 지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JP7049549B2 (ja) 電極リードをバスバーに密着させる自動加圧ジグ装置
CN103119750A (zh) 用于电池单元以及电池模块的框架系统
CN108352470B (zh) 组电池的组装方法及组电池
KR101941415B1 (ko) 조전지
DE112007000569T5 (de) Brennstoffzelle, Brennstoffzellenstape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Brennstoffzellenstapels
CN104741433B (zh) 冲裁模具装置和层叠铁芯的制造方法
CN105226317A (zh) 燃料电池组装方法和燃料电池组装设备
KR102403641B1 (ko) 라미네이트 부품 제작용 지그
KR20150059542A (ko) 연료전지 적층 장치
US9716253B2 (en)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y
US20130252081A1 (en)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y
KR100667891B1 (ko) 파우치형 2차전지용 폴딩장치
KR20170072063A (ko) 연료전지 스택용 적층 장치
JP5141340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装置
JP6003812B2 (ja) 燃料電池の製造方法
DE102015219915A1 (de) Vorrichtung zum Aktivieren eines Membranelektrodenaufbaus für Brennstoffzellen
CN212970292U (zh) 一种高多层板定位导向预压机
CN218677239U (zh) 一种治具
KR20140016723A (ko) 이차 전지용 다중 삽입 적층 장치
KR102303444B1 (ko) 배터리 셀 팔레트 장치
CN211806687U (zh) 一种加压浸渍式阻燃式胶合板的压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