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474B1 -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474B1
KR102403474B1 KR1020190175447A KR20190175447A KR102403474B1 KR 102403474 B1 KR102403474 B1 KR 102403474B1 KR 1020190175447 A KR1020190175447 A KR 1020190175447A KR 20190175447 A KR20190175447 A KR 20190175447A KR 102403474 B1 KR102403474 B1 KR 102403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ait
cognitive
level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972A (ko
Inventor
홍성선
조효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가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가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가든
Publication of KR20210074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Neur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ntistr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conomics (AREA)
  • Neuro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rs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측정 정보를 생성하고, 측정 정보로부터 보행 정보를 생성하여, 보행 단계 정보에 따라 평가하여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고, 보행 수준 정보를 저장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점수에 따라 생성되는 인지 수준 정보를 저장하거, 훈련 목록 정보를 구비하여, 훈련 목록 정보로부터 보행 수준 정보와 인지 수준 정보에 따라 훈련 정보를 선택하고, 훈련 정보를 출력하는,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및 방법{COGNITIVE IMPAIRMENT REHABILITATION JUDGMENT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보행 수준 및 사용자의 인지 수준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재활훈련을 판단하는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치매 등의 인지장애는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관련하여, 치매국가책임제가 실시되어, 지역 사회에 치매안심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나,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체계적인 치매 관리가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치매 관리는 비전문가에 의해 수행되는 체조, 노래 등으로, 획일적인 노인 복지 서비스 수준의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경도인지장애는 발생 직후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경우에, 1년 이내에 10% 확률로 치매가 발병할 수 있고, 5년 이내에는 20% ~ 50% 확률로 치매가 발병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경도인지장애는 적절한 관리 등의 조치가 취해질 경우에, 14% ~ 44% 확률로 회복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치매 등의 인지장애는 조기에 진단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나, 기존의 인지장애의 진단 도구는 검사자와 대상자의 주관적인 의견에 따라 진단되어, 객관적인 진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인지장애를 보다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적합한 재활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05274호(2008.02.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보행 수준 및 사용자의 인지 수준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재활훈련을 판단하는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전에 설정되는 거리 구간 동안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을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사용자가 보행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상기 측정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보행 형태를 나타내는 보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행 정보를 사전에 설정되는 보행 단계 정보에 따라 평가하여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보행 수준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생성되는 인지 수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보행 수준 정보와 상기 인지 수준 정보가 평가되는 각 단계에 따라 설정된 훈련 목록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훈련 목록 정보로부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보행 수준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지 수준 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훈련 정보를 선택하는 훈련 판단부; 및 상기 훈련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 판단부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행 수준 정보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평균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지 수준 정보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평균 인지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보행 정보의 대한 수치 범위를 마련하는 상기 보행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정보가 매칭되는 상기 보행 단계 정보의 수치 범위에 따라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 수준 정보는,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되는 인지 점수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인지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지 점수가 매칭되는 상기 인지 단계 정보의 수치 범위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 정보는, 정지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되는 이동 방향으로 상기 센서부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추진 정보, 이동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정보, 상기 센서부에 상기 이동 방향 외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수평 가속도에 따른 보행의 균형을 나타내는 보행 상태 정보, 상기 센서부에 작용하는 수직 가속도의 변화 주기에 따른 걸음의 주기를 나타내는 보행 주기 정보, 상기 변화 주기에서의 상기 센서부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보폭의 크기를 나타내는 보폭 정보 및 상기 센서부에 작용하는 회전에 따른 신체의 균형을 나타내는 균형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 수준 정보는, 상기 추진 정보와 상기 속도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속도 수준 정보, 상기 보행 주기 정보와 상기 보폭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자세 수준 정보 및 상기 보행 상태 정보와 상기 균형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균형 수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를 이용하여 인지장애 수준에 적합한 훈련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전에 설정되는 거리 구간 동안 외부로부터 센서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을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가 보행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상기 측정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보행 형태를 나타내는 보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행 정보를 사전에 설정되는 보행 단계 정보에 따라 평가하여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보행 수준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생성되는 인지 수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보행 수준 정보와 상기 인지 수준 정보가 평가되는 각 단계에 따라 설정된 훈련 목록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훈련 목록 정보로부터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보행 수준 정보와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인지 수준 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훈련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훈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행 수준 정보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평균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지 수준 정보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평균 인지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보행 정보의 대한 수치 범위를 마련하는 상기 보행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정보가 매칭되는 상기 보행 단계 정보의 수치 범위에 따라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 수준 정보는,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되는 인지 점수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인지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지 점수가 매칭되는 상기 인지 단계 정보의 수치 범위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 정보는, 정지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되는 이동 방향으로 상기 센서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추진 정보, 이동 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정보, 상기 센서에 상기 이동 방향 외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수평 가속도에 따른 보행의 균형을 나타내는 보행 상태 정보, 상기 센서에 작용하는 수직 가속도의 변화 주기에 따른 걸음의 주기를 나타내는 보행 주기 정보, 상기 변화 주기에서의 상기 센서에 작용하는 수평 가속도에 따른 보폭의 크기를 나타내는 보폭 정보 및 상기 센서에 작용하는 회전에 따른 신체의 균형을 나타내는 균형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 수준 정보는, 상기 추진 정보와 상기 속도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속도 수준 정보, 상기 보행 주기 정보와 상기 보폭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자세 수준 정보 및 상기 보행 상태 정보와 상기 균형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균형 수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 수준 및 사용자의 인지 수준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재활훈련을 판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가 이용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3은 도2의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보행 수준 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도2의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인지 수준 정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에서 훈련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7은 도6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가 이용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의 팔목, 발목, 머리, 허리 등 여러 부위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는 사전에 설정되는 거리 구간 동안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을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은 사용자가 보행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측정될 수 있다.
한편,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는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행 형태에 대한 수준을 나타내는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생성되는 인지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인지 점수는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되는 점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인지훈련시스템은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되는 사람의 치매, 인지장애 등을 평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인지기능검사, 치매선별검사, 치매진단검사, 신경인지검사, 치매감별을 위한 혈액검사, 뇌 영상촬영 등의 검사에 따라 피험자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시스템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지훈련시스템은 의사, 간호사, 상담사 등의 전문인으로부터 인지 점수를 평가받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인지훈련시스템은 전용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인지훈련시스템의 전용 장치에 입력되는 문장, 반응 등으로부터 인지 점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보행 수준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생성되는 인지 수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는 보행 수준 정보와 인지 수준 정보가 평가되는 각 단계에 따라 설정된 훈련 목록 정보에 따라, 저장된 보행 수준 정보와 저장된 인지 수준 정보가 매칭되는 훈련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훈련 목록 정보는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에 구비되어,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에 저장된 보행 수준 정보와 인지 수준 정보가 매칭되는 훈련 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나, 훈련 목록 정보는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서버 장치(200)에 저장되어, 서버 장치(200)가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로부터 보행 수준 정보와 인지 수준 정보를 전달받고, 이에 따라, 훈련 목록 정보로부터 매칭되는 훈련 정보를 선택할 수 있고, 서버 장치(200)는 훈련 정보를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훈련 목록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보행 수준 정보와 인지 수준 정보에 따른 훈련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는 훈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훈련 정보는 사용자에게 권장하는 운동, 활동 등의 명칭 및 실시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훈련 정보는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의 종류 및 힘의 수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를 착용하고 훈련 정보에 따른 물리적인 힘이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에 구비되는 센서에 작용하도록 임의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는 입력부(110), 센서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훈련 판단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의 측정을 시작하는 시점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행을 시작하기 전에 입력부(110)에 물리적인 힘의 측정을 시작하도록 마련되는 입력을 입력하고, 보행을 시작하여, 센서부(120)에서 물리적인 힘이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외부로부터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되는 인지 점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센서부(120)는 사전에 설정되는 거리 구간 동안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을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20)는 측정을 시작하는 시점으로부터 센서부(120)에 사전에 설정되는 이동 방향으로 10m 만큼 이동한 시점까지 센서부(120)에 작용된 물리적인 힘을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방향은 센서부(120)에 사전에 설정되는 축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이동 방향은 센서부(120)에 작용되는 가속도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20)는 3축으로 작용하는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회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회전은 센서부(120)에 3축으로 작용하는 가속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2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보행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측정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보행 형태를 나타내는 보행 정보를 생성하고, 보행 정보를 사전에 설정되는 보행 단계 정보에 따라 평가하여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행 정보는 정지 상태로부터 측정되는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추진 정보, 이동 상태에서 측정되는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정보, 보행의 균형을 나타내는 보행 상태 정보, 보행 중의 걸음 주기를 나타내는 보행 주기 정보, 보폭의 크기를 나타내는 보폭 정보 및 기울어짐 등의 균형을 나타내는 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추진 정보는 정지 상태에서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이동 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수평 가속도는 센서부(120)에 사전에 설정되는 이동 방향에 따라 측정되는 가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속도 정보는 이동 상태에서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 상태는 제1 수평 가속도가 사전에 설정되는 범위를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상태는 가속도가 0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보행 상태 정보는 센서부(120)에 이동 방향 외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수평 가속도에 따른 보행의 균형을 나타낼 수 있다.
보행 주기 정보는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수직 가속도의 변화 주기에 따른 걸음의 주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때, 수직 가속도는 중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측정되는 가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주기 정보는 수직 가속도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복수의 변화 주기 중 하나의 변화 주기를 나타내는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보폭 정보는 변화 주기에서의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보폭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폭 정보는 수직 가속도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복수의 변화 주기 중 하나의 변화 주기 동안 측정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의한 이동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균형 정보는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회전에 따른 신체의 균형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보행 단계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고려하여, 보행 정보에 대한 수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보행 정보를 보행 단계 정보에 나타나는 수치 범위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보행 단계 정보에 따라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나이, 키, 몸무게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한편, 보행 수준 정보는 추진 정보와 속도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속도 수준 정보, 보행 주기 정보와 보폭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자세 수준 정보 및 보행 상태 정보와 균형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균형 수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보행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은 보행 정보와 비교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설정된 보행 정보에 더 큰 수치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일 수 있으며, 가중치가 부여된 보행 정보만을 이용하여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인지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인지 수준 정보는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되는 인지 점수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인지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인지 점수가 매칭되는 인지 단계 정보의 수치 범위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인지 점수의 최고 점수가 30점이며, 인지 단계 정보에 설정된 수치 범위가 0점으로부터 6점 간격으로 설정되고, 입력부(110)에서 인지 점수로 15점을 입력 받은 경우에, 인지 수준 정보를 3 수준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행 단계 정보와 인지 단계 정보는 각각 5 단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보행 수준 정보와 인지 수준 정보는 각각 5 단계로 평가되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보행 단계 정보와 인지 단계 정보는 각각의 단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는 형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보행 단계 정보와 인지 단계 정보는 평가된 단계에 따른 점수를 나타내도록 생성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보행 수준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생성되는 인지 수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행 수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지 수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훈련 판단부(150)는 보행 수준 정보와 인지 수준 정보가 평가되는 각 단계에 따라 설정된 훈련 목록 정보를 구비하고, 훈련 목록 정보로부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보행 수준 정보와 저장부(140)에 저장된 인지 수준 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훈련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훈련 목록 정보는 보행 수준 정보와 인지 수준 정보가 나타내는 수준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훈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훈련 판단부(15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행 수준 정보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평균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에 저장된 보행 수준 정보가 각각 2단계, 3단계, 1단계이고, 보행 단계 정보에 따라 각각의 단계에 설정되는 점수가 각각의 단계와 동일한 점수로 설정되는 경우에, 평균 보행 수준 정보는 2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훈련 판단부(15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지 수준 정보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평균 인지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훈련 판단부(150)는 훈련 목록 정보로부터 평균 보행 수준 정보와 평균 인지 수준 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훈련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출력부(160)는 훈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출력부(160)는 훈련 정보가 형성되는 방식에 따라 사용자에게 권장하는 운동, 활동 등의 명칭 및 실시 횟수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6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의 종류 및 힘의 수준 등을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만족되도록 사전에 설정되는 동작을 그림, 사진 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3은 도2의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보행 수준 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보행 수준 정보(131)는 보행 정보(121)를 사전에 설정되는 보행 단계 정보(141)에 따라 평가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보행 정보(121)는 센서부(120)에서 측정되는 측정 정보로부터 생성될 수 있으며, 보행 정보(121)는 추진 정보, 속도 정보, 보행 상태 정보, 보행 주기 정보, 보폭 정보 및 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추진 정보는 정지 상태에서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이동 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수평 가속도는 센서부(120)에 사전에 설정되는 이동 방향에 따라 측정되는 가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속도 정보는 이동 상태에서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 상태는 제1 수평 가속도가 사전에 설정되는 범위를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상태는 가속도가 0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보행 상태 정보는 센서부(120)에 이동 방향 외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수평 가속도에 따른 보행의 균형을 나타낼 수 있다.
보행 주기 정보는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수직 가속도의 변화 주기에 따른 걸음의 주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때, 수직 가속도는 중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측정되는 가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주기 정보는 수직 가속도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복수의 변화 주기 중 하나의 변화 주기를 나타내는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보폭 정보는 변화 주기에서의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보폭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폭 정보는 수직 가속도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복수의 변화 주기 중 하나의 변화 주기 동안 측정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의한 이동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균형 정보는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회전에 따른 신체의 균형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보행 수준 정보(131)는 사전에 설정되는 보행 단계 정보(141)에 따라 보행 정보(121)를 평가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보행 수준 정보(131)는 속도 수준 정보, 자세 수준 정보 및 균형 수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속도 수준 정보는 추진 정보와 속도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될 수 있고, 자세 수준 정보는 보행 주기 정보와 보폭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될 수 있으며, 균형 수준 정보는 보행 상태 정보와 균형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 단계 정보(141)는 각각의 보행 정보(121)에 대한 수치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4는 도2의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인지 수준 정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인지 수준 정보(136)는 인지 점수(111)를 사전에 설정되는 인지 단계 정보(146)에 따라 평가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인지 점수(111)는 입력부에서 입력될 수 있으며, 인지 점수(111)는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된 점수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지 단계 정보(146)는 인지 점수(111)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수치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인지 수준 정보(136)는 인지 점수가 매칭되는 인지 단계 정보의 수치 범위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에서 훈련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입력부(110)는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의 측정을 시작하는 시점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행을 시작하기 전에 입력부(110)에 물리적인 힘의 측정을 시작하도록 마련되는 입력을 입력하고, 보행을 시작하여, 센서부(120)에서 물리적인 힘이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20)는 사전에 설정되는 거리 구간 동안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을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보행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측정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보행 형태를 나타내는 보행 정보를 생성하고, 보행 정보를 사전에 설정되는 보행 단계 정보에 따라 평가하여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행 정보는 정지 상태로부터 측정되는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추진 정보, 이동 상태에서 측정되는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정보, 보행의 균형을 나타내는 보행 상태 정보, 보행 중의 걸음 주기를 나타내는 보행 주기 정보, 보폭의 크기를 나타내는 보폭 정보 및 기울어짐 등의 균형을 나타내는 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행 단계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고려하여, 보행 정보에 대한 수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보행 정보를 보행 단계 정보에 나타나는 수치 범위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보행 단계 정보에 따라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보행 수준 정보는 추진 정보와 속도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속도 수준 정보, 보행 주기 정보와 보폭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자세 수준 정보 및 보행 상태 정보와 균형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균형 수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0)는 외부로부터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되는 인지 점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인지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인지 수준 정보는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되는 인지 점수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인지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인지 점수가 매칭되는 인지 단계 정보의 수치 범위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4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보행 수준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생성되는 인지 수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훈련 판단부(150)는 보행 수준 정보와 인지 수준 정보가 평가되는 각 단계에 따라 설정된 훈련 목록 정보를 구비하고, 훈련 목록 정보로부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보행 수준 정보와 저장부(140)에 저장된 인지 수준 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훈련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훈련 목록 정보는 서버 장치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사전에 전달받아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부(160)는 훈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출력부(160)는 훈련 정보가 형성되는 방식에 따라 사용자에게 권장하는 운동, 활동 등의 명칭 및 실시 횟수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6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센서부(120)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의 종류 및 힘의 수준 등을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만족되도록 사전에 설정되는 동작을 그림, 사진 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1의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방법은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00),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10),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20), 훈련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630) 및 훈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64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00)는 사전에 설정되는 거리 구간 동안 외부로부터 센서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을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00)는 3축으로 작용하는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00)는 센서에 작용하는 회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에 작용하는 회전은 센서에 3축으로 작용하는 가속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10)는 사용자가 보행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측정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보행 형태를 나타내는 보행 정보를 생성하고, 보행 정보를 사전에 설정되는 보행 단계 정보에 따라 평가하여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10)는 보행 정보를 보행 단계 정보에 나타나는 수치 범위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보행 단계 정보에 따라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보행 수준 정보는 추진 정보와 속도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속도 수준 정보, 보행 주기 정보와 보폭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자세 수준 정보 및 보행 상태 정보와 균형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균형 수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10)에서 각각의 보행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은 보행 정보와 비교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설정된 보행 정보에 더 큰 수치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일 수 있으며, 가중치가 부여된 보행 정보만을 이용하여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방법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인지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지 수준 정보는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되는 인지 점수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인지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인지 점수가 매칭되는 인지 단계 정보의 수치 범위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2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보행 수준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생성되는 인지 수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행 수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지 수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훈련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63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20)에서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행 수준 정보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평균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훈련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6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20)에서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지 수준 정보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평균 인지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훈련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630)는 훈련 목록 정보로부터 평균 보행 수준 정보와 평균 인지 수준 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훈련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훈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640)는 훈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훈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640)는 훈련 정보가 형성되는 방식에 따라 사용자에게 권장하는 운동, 활동 등의 명칭 및 실시 횟수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훈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64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센서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의 종류 및 힘의 수준 등을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만족되도록 사전에 설정되는 동작을 그림, 사진 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7은 도6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방법은 인지 점수를 입력 받는 단계(660) 및 인지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지 점수를 입력 받는 단계(660)는 센서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의 측정을 시작하는 시점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인지 점수를 입력 받는 단계(660)는 외부로부터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되는 인지 점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지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7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인지 수준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인지 수준 정보는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되는 인지 점수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인지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인지 점수가 매칭되는 인지 단계 정보의 수치 범위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20)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보행 수준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생성되는 인지 수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행 수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6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지 수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200: 서버 장치

Claims (12)

  1. 사전에 설정되는 거리 구간 동안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을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사용자가 보행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상기 측정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보행 형태를 나타내는 보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행 정보를 사전에 설정되는 보행 단계 정보에 따라 평가하여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보행 수준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생성되는 인지 수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보행 수준 정보와 상기 인지 수준 정보가 평가되는 각 단계에 따라 설정된 훈련 목록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훈련 목록 정보로부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보행 수준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지 수준 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훈련 정보를 선택하는 훈련 판단부; 및
    상기 훈련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훈련 판단부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행 수준 정보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평균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지 수준 정보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평균 인지 수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행 정보는,
    정지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되는 이동 방향으로 상기 센서부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추진 정보, 이동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정보, 상기 센서부에 상기 이동 방향 외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수평 가속도에 따른 보행의 균형을 나타내는 보행 상태 정보, 상기 센서부에 작용하는 수직 가속도의 변화 주기에 따른 걸음의 주기를 나타내는 보행 주기 정보, 상기 변화 주기에서의 상기 센서부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보폭의 크기를 나타내는 보폭 정보 및 상기 센서부에 작용하는 회전에 따른 신체의 균형을 나타내는 균형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행 수준 정보는,
    상기 추진 정보와 상기 속도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속도 수준 정보, 상기 보행 주기 정보와 상기 보폭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자세 수준 정보 및 상기 보행 상태 정보와 상기 균형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균형 수준 정보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보행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은,
    보행 정보와 비교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설정된 보행 정보에 더 큰 수치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거나, 가중치가 부여된 보행 정보만을 이용하여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보행 정보의 대한 수치 범위를 마련하는 상기 보행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정보가 매칭되는 상기 보행 단계 정보의 수치 범위에 따라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수준 정보는,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되는 인지 점수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인지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지 점수가 매칭되는 상기 인지 단계 정보의 수치 범위에 따라 생성되는,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5. 삭제
  6. 삭제
  7.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를 이용하여 인지장애 수준에 적합한 훈련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전에 설정되는 거리 구간 동안 외부로부터 센서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을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가 보행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상기 측정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보행 형태를 나타내는 보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행 정보를 사전에 설정되는 보행 단계 정보에 따라 평가하여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보행 수준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 점수에 따라 생성되는 인지 수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보행 수준 정보와 상기 인지 수준 정보가 평가되는 각 단계에 따라 설정된 훈련 목록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훈련 목록 정보로부터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보행 수준 정보와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인지 수준 정보에 따라 매칭되는 훈련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훈련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훈련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는,
    사전에 설정되는 시간 주기에 따라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행 수준 정보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평균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지 수준 정보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평균 인지 수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행 정보는,
    정지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되는 이동 방향으로 상기 센서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추진 정보, 이동 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작용하는 제1 수평 가속도에 따른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정보, 상기 센서에 상기 이동 방향 외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수평 가속도에 따른 보행의 균형을 나타내는 보행 상태 정보, 상기 센서에 작용하는 수직 가속도의 변화 주기에 따른 걸음의 주기를 나타내는 보행 주기 정보, 상기 변화 주기에서의 상기 센서에 작용하는 수평 가속도에 따른 보폭의 크기를 나타내는 보폭 정보 및 상기 센서에 작용하는 회전에 따른 신체의 균형을 나타내는 균형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행 수준 정보는,
    상기 추진 정보와 상기 속도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속도 수준정보, 상기 보행 주기 정보와 상기 보폭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자세 수준 정보 및 상기 보행 상태 정보와 상기 균형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되는 균형 수준 정보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보행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은,
    보행 정보와 비교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설정된 보행 정보에 더 큰 수치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거나, 가중치가 부여된 보행 정보만을 이용하여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보행 정보의 대한 수치 범위를 마련하는 상기 보행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정보가 매칭되는 상기 보행 단계 정보의 수치 범위에 따라 보행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수준 정보는,
    인지훈련시스템에 의해 평가되는 인지 점수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인지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지 점수가 매칭되는 상기 인지 단계 정보의 수치 범위에 따라 생성되는,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175447A 2019-12-12 2019-12-26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2403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763 2019-12-12
KR20190165763 2019-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972A KR20210074972A (ko) 2021-06-22
KR102403474B1 true KR102403474B1 (ko) 2022-06-10

Family

ID=7660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447A KR102403474B1 (ko) 2019-12-12 2019-12-26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4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5033A (ja) * 2008-06-25 2010-01-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歩行動作分析装置
JP2015180933A (ja) * 2014-03-07 2015-10-15 国立大学法人鳥取大学 認知症予防システム
JP6390698B2 (ja) * 2014-03-25 2018-09-19 株式会社安川電機 認知度推定装置、認知度推定システム、認知度推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274B1 (ko) 2007-01-16 2008-02-20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게임을 이용한 인지 장애 치료 방법 및 그 기록 매체,게임을 이용한 인지 장애 치료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5033A (ja) * 2008-06-25 2010-01-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歩行動作分析装置
JP2015180933A (ja) * 2014-03-07 2015-10-15 国立大学法人鳥取大学 認知症予防システム
JP6390698B2 (ja) * 2014-03-25 2018-09-19 株式会社安川電機 認知度推定装置、認知度推定システム、認知度推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972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4224B1 (ja) ランニングフォーム診断システムおよびランニングフォームを得点化する方法
KR102107379B1 (ko) 3축 동작측정기를 이용한 노쇠 예측 방법, 3축 동작측정기를 이용한 노쇠 예측 시스템 및 웨어러블 노쇠 예측 장치
US201500388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Concussion Injuries
US20130110011A1 (en) Method of monitoring human body movement
US11589781B2 (en) Assessing diseases by analyzing gait measurements
KR102245338B1 (ko) 웨어러블 기반 셀프형 운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Millor et al. Automatic evaluation of the 30-s chair stand test using inertial/magnetic-based technology in an older prefrail population
Jagos et al. A multimodal approach for insole mo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JP6876986B2 (ja) 認知機能評価装置、認知機能評価システム、認知機能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44598A (ja) 運動機能診断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7012362B (zh) 一种适配数据识别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Albert et al. Using machine learning to predict perceived exertion during resistance training with wearable heart rate and movement sensors
Seo et al. Fall prediction of the elderly with a logistic regression model based on instrumented timed up & go
Bruyneel et al. Best quantitative tools for assessing static and dynamic standing balance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lsubaie The postural stability measures most related to aging, physical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in healthy adults
KR102403474B1 (ko)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2403472B1 (ko) 인지장애 재활훈련 판단 장치 및 방법
WO2021186709A1 (ja) 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システム、運動支援方法およ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JP2020151470A (ja) 歩行評価装置、歩行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Mascia et al. Machine learning aided jump height estimate democratization through smartphone measures
CN113303765A (zh) 一种检测感兴趣对象的特定种类肌肉问题的系统
JP6486200B2 (ja) 移動運動解析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633380B1 (ko) 어지럼 관련 질환 예측 방법 및 시스템
EP4324391A1 (en) Gait evaluation system and gait evaluation method
JP5059906B2 (ja) 体調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