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431B1 -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431B1
KR102403431B1 KR1020200177116A KR20200177116A KR102403431B1 KR 102403431 B1 KR102403431 B1 KR 102403431B1 KR 1020200177116 A KR1020200177116 A KR 1020200177116A KR 20200177116 A KR20200177116 A KR 20200177116A KR 102403431 B1 KR102403431 B1 KR 102403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drones
display unit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론비즈
최종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론비즈, 최종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론비즈
Priority to KR102020017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64C2201/12
    • B64C2201/146
    • B64C2201/2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교통을 관제하는 시스템 및 드론을 이용하여 교통을 관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게시되는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영역의 상공을 비행하고, 상기 차량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드론과 상기 주행영역에서 벗어난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을 수용하는 드론 보관소 및 상기 드론의 비행제어 및 상기 표시부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관제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차량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입력된 상기 드론의 작업영역 및 작업시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시간을 연산하여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주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및 방법{TRAFFIC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교통을 관제하는 시스템 및 드론을 이용하여 교통을 관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론은 무인 비행기로 기체에 사람이 타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 조종한다는 점에서 무인항공기(UAV)라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종래에는 공군기나 고사포의 연습사격에 적기 대신 표적 구실로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상술한 군사적 성격 외에 민간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
드론을 이용한 물류와 교통관제 등의 혁신에 대해 논의되고 있지만, 실제 상용화를 위한 기술들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보안, 안전성, 소음 등의 문제로 도심 비행은 규제되어 있다. 또한 드론의 비행지속시간은 배터리, 드론의 중량 등의 다양한 이유로 충분히 확보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근래, 겨울철 도로에서 발생하는 블랙아이스로 인한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블랙아이스는 비나 눈이 먼지 등 오염 물질과 결합하여 빙결하게 되고, 얼음이 아주 얇고 투명하여 검은색 아스팔트 때문에 검은색으로 보이는데, 두께도 아주 얇고 아스팔트와 육안으로 구분이 잘 되지 않아 겨울철 교통 사고의 원인이 된다. 고속도로에서는 블랙아이스로 인해 고속으로 달리는 차량들이 미끄러져 추돌사고가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전면부에 설치된 감지부에서 노면상에 생성된 블랙아이스의 감지를 위해 노면온도와 대기온도를 측정하였으나, 이러한 측정방법으로는 블랙아이스의 생성여부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우며, 감지범위가 넓지 않고,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은 블랙아이스를 감지하더라도 이를 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사고방지를 위해서는 차량 이용자에게 이러한 노면 정보를 미리 알려주기 위한 표지판 등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도로의 전방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비나 눈과 같은 기상상태나 또는 밤과 같이 어두운 환경에서는 전방에 발생한 사고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연쇄적인 추돌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사고방지를 위해서는 차량 이용자에게 전방상황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려주기 위한 표지판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술한 노면의 상태 내지 도로상황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노면의 상태 내지 도로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도로 주변에 표지판 등을 설치하는 것은 인적자원 내지 설치시간에 많이 들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설치되는 표지판, 안내문구 등은 후속적인 조치가 될 수 밖에 없으며, 여전히 차량의 사고위험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교통관제 측면에서 드론을 접목시켜 실시간으로 빠르게 차량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드론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일예로써, 광고 기능을 수행하는 드론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옥외 광고는 건물 옥상이나 벽면에 현수막을 배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엘이디 패널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하여 대형 엘이디 광고판을 형성하고, 각각의 엘이디 패널을 통해 표출되는 광고의 영상정보를 버퍼링하고 있는 버퍼보드를 설치하고, 상기 버퍼보드를 컨트롤러와 연결하여, 특정 영상을 각각의 엘이디 패널의 사이즈에 맞게 조정하여 전체 광고 영상을 표출하여 줌으로써, 건물 주변을 지나가는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에게 광고 영상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옥외 광고는 장소, 크기, 시간, 비용적인 측면에서 제한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옥외 광고의 제한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종래 옥외 광고는 일정 높이 이상의 건물 옥상이나 벽면에 설치하여야만,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에게 노출될 수 있어 높은 건물이 없는 곳에서는 광고가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범위가 좁아질 수 있으며, 광고가 설치되는 대상이 되는 건물 옥상 또는 벽면의 크기에 따라 현수막이나 엘이디 광고판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으며,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가 거의 없는 심야시간에도 현수막이나 엘이디 광고판은 건물 옥상 또는 벽면에 지속적으로 설치되고 있으며, 건물 또는 토지의 소유자에게 상기 현수막 또는 엘이디 광고판을 개시하는 기간 동안 사용료를 지불해야 되는 실정이다.
선행특허 드론을 이용한 현수막 광고 시스템(KR 10-2016-0104689)의 경우 드론의 하부에 현수막을 장착할 수 있는 현수막 체결부를 개시하고 있으나, 현수막의 경우 외기 상황에 의해 광고의 효과가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드론의 하부에서 현수막 또는 벽면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기의 경우 레이저가 조사되는 현수막, 벽면 등의 상태에 따라 광고의 효과가 결정될 수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선행특허 광고용 드론(KR 10-2017-0053252)은 드론의 하부에 홀로그램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홀로그램 재생장치에서 빛을 조사하여 광고를 수행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빛을 조사하는 매질, 대상의 상태에 다라 광고의 효과가 결정될 수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교통관제 측면에서 드론을 접목시켜 실시간으로 빠르게 차량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기상상태, 빛의 조도, 매질, 대상의 상태 등에 강인한 성능을 가지는 영상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는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영역의 상공을 비행하고, 상기 차량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드론과 상기 주행영역에서 벗어난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을 수용하는 드론 보관소 및 상기 드론의 비행제어 및 상기 표시부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입력된 상기 드론의 작업영역 및 작업시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시간을 연산하여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주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주기를 설정하여 드론에게 작업수행을 지시한 후, 작업수행지시를 받은 드론의 이착륙 여부에 따라 상기 드론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미지를 구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각각의 블레이드의 반지름의 합은 상기 각각의 회전축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미지를 구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각각의 블레이드의 반지름의 합은 상기 각각의 회전축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드론 보관소에 수용되며,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영역의 상공을 비행하고, 상기 차량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드론의 작업영역 및 작업시간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시간을 연산하고, 상기 입력된 작업시간 동안 상기 드론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주기를 설정하여 작업수행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작업수행을 지시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개의 드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드론이 이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이 이륙한 경우, 상기 이륙한 드론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 받은 후, 상기 이륙한 드론이 복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이 복귀한 경우, 상기 드론 보관소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이용자에게 필요에 따라 노면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블랙아이스 등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도로의 전방에 예측하지 못한 비정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연쇄적인 추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교통관제 측면에서 드론을 접목시켜 실시간으로 빠르게 차량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행도로 주변의 기상상태, 빛의 조도, 매질, 대상의 상태 등에 영향받지 않고 강인한 성능을 가지는 영상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하여 차량 이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표현된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표현된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몸체부와 표시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지지부가 틸팅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로드부재가 틸팅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표시부와 몸체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표현된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드론을 이용한 관제 시스템은, 차량(41)이 주행하는 주행영역의 상공을 비행하고, 차량(41)에게 정보(i)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복수개의 드론(10)과 상기 주행영역에서 벗어난 영역에 설치되어, 드론(10)을 수용하는 드론 보관소(20) 및 드론(10)의 비행제어 및 표시부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관제센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41)은 도로(42)를 주행하며, 상기 주행영역은 상기 차량(41)이 주행하는 도로(42)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도로(42)는 고속도로, 국도 차량(41)이 주행할 수 있는 다양한 곳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영역의 상공이란, 본 실시예에서 도로(42)의 상공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 보관소(20)가 설치되는 영역은 상기 주행영역을 벗어난 지역을 의미하며 도로 주변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갓길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드론 보관소(20)는 드론(10a)을 수용한다. 드론 보관소(20)는 거치부(21)와 이착류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1)는 드론 보관소(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밀폐된 하우징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거치부(21)가 밀폐된 하우징 형태로 구비될 경우 하우징의 상부측은 상기 드론(10)의 이착륙을 위해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착류부(23)는 상기 거치부(21)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착류부(23)에 상기 드론(10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착류부(23)는 상기 드론(10a)의 충전을 위한 단자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착류부(23)의 내부에는 상기 드론(10a)의 충전을 위한 코일이 내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착류부(23)에 배치된 드론(10a)에 내장된 배터리는 별도의 커넥터 없이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드론(10)은 드론 보관소(20)에 배치되는 드론(10a)과, 차량(41)이 주행하는 주행영역의 상공을 비행하는 드론(1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론의 보관소(20)에 보관되어 있는 복수개의 드론(10a)은 관제센터(30)에서 전송되는 지시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41)의 주행영역 상공을 비행(10b)할 수 있다.
상기 차량(41)의 주행영역 상공을 비행하는 드론(10b)은 상기 차량(41)에게 표시부를 통해 정보(i)를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발광소자(1511)를 포함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미지를 구현하는 블레이드(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i)는, 블랙아이스의 유무 등을 포함하는 노면의 상태정보, 주행도로의 전방상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i)는 상기 표시부(1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정보(i)는 상기 관제센터(30)에 의해 입력 받은 데이터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정보(i)는 상기 표시부(150)가 관제센터(30)에 의해 직접 정보를 입력 받아 출력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드론(10)이 관제센터(30)에 의해 입력 받은 정보에 의해 출력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드론 보관소(20)가 관제센터(30)에 의해 입력 받은 정보에 의해 출력될 수도 있다.
즉, 관제센터(30)가 상기 드론 보관소(20)와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드론 보관소(20)에 수용되어 있는 드론(10a)에 정보를 전달하여, 드론(10)의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론 보관소(20)는 일종의 통신거리 증가를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제센터(30)는 차량(41)의 주행영역 상공을 비행하는 드론(10b)과 정보를 송수신하며 직접 비행중인 드론(10b)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2에서 표현된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은, 제어부(31), 위치추적부(32), 관제부(33), 기상측정부(34), 입력부(35), 출력부(36), 송신부(37), 수신부(38), 저장부(39), 표시부(150), 차량(41), 드론(10), 드론 보관소(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관제센터(30)는 상기 제어부(31), 위치추적부(32), 관제부(33), 기상측정부(34), 입력부(35), 출력부(36), 송신부(37), 수신부(38), 저장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는 상기 위치추적부(32)를 통해 드론(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드론(10)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드론(10)의 내부에는 GPS가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위치추적부(32)를 통해 드론(10a)이 드론 보관소(20)에 배치되어 있는지, 드론(10b)이 작업영역에서 비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작업영역은 차량(41)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역을 의미하며, 상술한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영역 상공 중 특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드론(10)의 실시간 모니터링은 출력부(36)와 관제부(33)와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다. 출력부(36)는 상기 드론(10)의 현재 위치, 드론(10)에 의해 수집되는 교통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관제부(33)는 드론(10)의 작업영역 및 작업시간에 따라 드론(10)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써, 관제부(33)는 드론 보관소(20)의 위치와 드론(10)의 위치와 드론(10)의 작업영역의 위치를 투영시켜 상기 출력부(36)에 나타낼 수 있다.
기상측정부(34)는 상기 차량(41)의 주행영역 또는 드론(10)의 작업영역에 대한 기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수집된 기상정보는 제어부(31)를 통해 출력부(36)에 출력될 수 있다.
수집된 기상정보에서 특정데이터가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송신부(37)를 통해 드론(10)의 복귀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드론(10)의 비행설계상 요구되는 수치들과 기상상태(풍속, 강우량, 강설량 등이 기준설정치 이상인 경우)를 고려하여 드론(10)이 드론 보관소(20)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송신부(37)와 수신부(38)를 통해 드론(10), 드론 보관소(20), 표시부(150)와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저장부(39)는 입력부(35)에서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수신부(38)를 통해 수집된 작업영역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를 송신부(37)를 통해 드론 보관소(2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를 송신부(37)를 통해 드론(10a,10b)에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를 송신부(37)를 통해 표시부(150)에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차량(41)과 드론 보관소(20)는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만약, 도로의 노면상태에 이상이 생기거나, 주행도로의 전방에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라도 주행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의 필요성이 적다. 따라서, 드론 보관소(20)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반경내에 차량(41)이 진입할 경우 상기 제어부(31)에 차량(41)의 진입을 알리고, 드론(10)을 통한 교통관제가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내용 등을 바탕으로 차량(41)은 직접 제어부(31)와 정보를 송수신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방법은 드론 보관소(20)에 수용되며 차량(41)이 주행하는 주행영역의 상공을 비행하고, 차량(41)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150)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드론(10)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는 입력부(35)를 통해 표시부(150)에 출력되는 정보(i)를 입력(S101)받을 수 있다. 상기 정보(i)는 경보문구, 이미지,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1)는 입력부(35)를 통해 드론(10)의 작업영역 및 작업시간을 입력(S102)받을 수 있다. 상기 표시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S101)와 상기 작업영역 및 작업시간을 입력 받는 단계(S102)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영역이란, 드론(10)을 통해 차량(41)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일 예로써 차량(41)이 주행하는 주행영역(42)의 상공 중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작업시간이란, 복수개의 드론을 통해 차량(41)에게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작업시간은 드론의 비행시간 중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론(10)의 비행시간은 입력 받은 작업영역으로 비행하는 제1 비행시간, 작업영역의 상공에서 정지비행(Hovering)하는 제2 비행시간, 및 상기 작업영역에서 드론 보관소(20)로 복귀하기 위해 비행하는 제3 비행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드론의 작업시간이란 상기 제2 비행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1)는 작업영역 및 작업시간을 입력 받은(S102) 후 드론의 운행시간을 연산(S201)할 수 있다. 상기 드론의 운행시간이란 상술한 제1 비행시간과 제2 비행시간 및 제3 비행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개의 드론을 통해 교통관제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운행시간은 각각의 드론들의 상기 제1 비행시간, 제2 비행시간 및 제3 비행시간의 합으로 연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운행시간은 드론(10)의 생산당시 정해지는 비행시간과 일치할 수도 있으나, 드론(10)의 배터리 충전율에 따라 각각의 드론(10)의 운행시간이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드론(10)의 운행시간을 연산(S201)한 후, 제어부(31)는 드론(10)이 입력된 작업시간동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S202)할 수 있다. 여기서 판단의 대상은 상술한 작업시간과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시간이다. 즉, 입력된 작업시간은 복수개의 드론의 제2 비행시간의 합으로 도출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시간은, 각각 드론들의 제1 비행시간, 제2 비행시간 및 제3 비행시간의 합으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01)에서 복수개의 드론이 입력된 작업시간 동안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제어부(31)는 출력부(36)를 통해 작업영역 및 작업시간의 입력을 다시 설정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31)는 복수개의 드론이 입력된 작업시간 동안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단계(S201)에서 연산된 드론의 운행시간에 대응하도록 작업시간을 수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계(S201)에서 복수개의 드론이 입력된 작업시간 동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경우, 제어부(31)는 상기 작업시간에 기반하여 드론의 운행주기를 설정(S203)할 수 있다.
상기 운행주기란, 복수개의 드론들의 순차적인 비행주기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드론들은 배터리의 충전상태, 배터리의 용량 등에 따라 비행시간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각각의 드론들이 가지는 서로 다른 비행시간을 고려하여 운행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드론들의 배터리의 용량을 고려하여 용량이 높은 순으로 운행주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왜냐하면 배터리의 용량이 낮은 드론이 먼저 비행을 할 경우 제2 비행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드론 보관소(20)에 배치되어 있는 드론 중 어느 하나의 드론이 작업영역으로 짧은 시간내에 투입되어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터리의 충전량이 많은 드론들이 순서대로 작업영역에 투입되는 것이 나머지 배터리의 충전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드론들이 상기 이착류부(23)를 통해 충전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드론의 운행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된 작업시간에 기반하여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주기를 설정(S203)한 후 드론의 작업수행을 지시(S300)할 수 있다. 상기 작업이란 드론(10b)이 작업영역내에서 정지비행(Hovering)을 하면서 차량(41)에게 정보(i)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작업수행이란, 상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개의 드론 중 어느 하나의 드론이 드론 보관소(20)로부터 이륙하여 작업을 수행한 후 드론 보관소(20)로 복귀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론의 작업수행을 지시(S300)한 후 제어부(31)는 상기 드론(10a)이 드론 보관소(20)의 이착륙부(23)로부터 이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401)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S401)에서 드론 보관소(20)에 수용되어 있는 복수개의 드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드론이 이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는 상기 수신부(38)를 통해 드론 보관소(2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착륙부(23)를 통해 드론 보관소(20)에 수용되어 있는 드론(10a)의 충전을 수행하므로 상기 드론(10a)의 충전이 물리적으로 중지될 경우 상기 드론이 이륙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착륙부(23)에 압력센서, 광센서 등이 설치되어 상기 드론의 이륙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단계(S401)이후 제어부(31)는 상기 드론(10b)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S402). 드론으로부터 수신 받는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드론의 위치정보, 드론의 배터리 양에 따른 잔여비행시간, 작업영역 내의 노면상태, 작업영역 내의 교통상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402)이후 제어부(31)는 상기 이륙한 드론이 복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403)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S403)에서는 상기 작업수행지시를 받은 드론들 중 이륙한 드론이 작업영역 내에서 정지비행을 수행한 뒤, 드론 보관소(20)로 복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착륙부(23)를 통해 드론 보관소(20)에 수용되어 있는 드론(10a)의 충전을 수행하므로 드론 보관소(20)로 복귀한 드론이 이착륙부(23)에 배치되어 드론의 충전이 시작될 경우 상기 드론이 복귀하여 착륙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착륙부(23)에 압력센서, 광센서 등이 설치되어 상기 드론의 착륙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S403)에서 드론이 복귀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어부(31)는 드론 보관소(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드론 보관소(20)의 작동은 이착륙부(23)를 통한 드론(10a)의 충전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또는 거치부(21)가 하우징 형태로 구비될 경우 착륙하는 드론의 수용을 위해 개방되어 있던 거치부(21)의 상면을 폐쇄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드론 보관소(20)의 작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드론 보관소(20)에 수용되어 있는 드론들의 관리를 위한 다양한 구성들의 작동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계(S404)이후 제어부(31)는 드론의 작업수행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405)할 수 있다. 드론의 작업수행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상술한 드론의 운행시간과 작업시간을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S402)에서 드론으로부터 수신 받은 데이터를 통해 복수개의 드론들의 상기 제2 비행시간(작업영역 내에 정지비행시간) 동안 비행한 경우 상기 제어부(31)는 작업수행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몸체부와 표시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지지부가 틸팅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5의 로드부재가 틸팅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술한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서 적용되는 드론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드론(10)은 몸체부(110), 프로펠러(130), 로드부재(131), 표시부(150), 지지부(170)를 포함하며, 몸체부(110)는 틸팅부(111), 송·수신부(113), 배터리(115), 제1부재(1111), 제2부재(1113),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는 제1플레이트(1113), 제2플레이트(1114)를 포함할 수 있고, 표시부(150)은 블레이드(151), 구동부(1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151)는 발광소자(1511)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170)는 틸팅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 내지 각 구성요소 간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몸체부(110)는 드론(10)의 구동에 필요한 각 구성요소가 결합할 수 있는 공간 내지 체결부위를 구비할 수 있으며, 프로펠러(130)는 몸체부(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몸체부(110)에 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프로펠러(130)는 몸체부(110)의 크기, 질량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대칭되는 위치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몸체부(110)의 중앙 상면에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드론(10)은 몸체부(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송·수신부(113)에 의해 별개의 컨트롤러에서 드론(10)의 이착륙, 체공, 위치변화 등의 신호를 송·수신하여 드론(10)의 자세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드론(10)의 자세제어와 표시부(150)의 구동제어는 서로 별개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드론(10)이 체공할 시에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표시부(150)의 제어를 수행하여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표시부(150)은 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발광소자(1511)를 포함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미지를 구현하는 블레이드(151)와 몸체부(110)의 하부와 블레이드(151) 사이에 구비되어 블레이드(151)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구동부(153)를 포함한다. 발광소자(1511)는 바람직하게 발광 다이오드가 채택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151)가 일정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2D, 3D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151)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511)는 각각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하나의 빛을 조사하거나 하나의 광원에서 서로 색이 양분된 필터를 투과하여 서로 다른 빛을 조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151)는 하나의 직선을 포함하는 일자형이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나타내고자 하는 이미지의 해상도, 크기 등을 고려하여 교차점을 가지는 십자형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3)는 몸체부(110)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151)의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은 몸체부(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나, 사용자가 나타내고자 하는 이미지의 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회전축은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표시부(150)은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일측이 연결되어 몸체부(110) 하부에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는 둘 이상의 제1부재(1111)와 제1부재(1111)들의 타측을 연결하며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1112) 및 표시부(150)을 몸체부(11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에 의해 몸체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부재(1111)는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몸체부(110)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각각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제2부재(1112)는 제1부재(1111) 각각의 타측을 연결하여 몸체부(110)에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부재(1111) 두 개와 제2부재(1112) 하나가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형상은 몸체부(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제1플레이트(1113)와 제2플레이트(11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플레이트(1113)는 제2부재(1112)와 몸체부(110)의 하부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플레이트(1114)는 제1플레이트(1113)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제1플레이트(1113)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플레이트(1113)는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제1부재(1111)가 연장되는 길이만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에 드론(10) 또는 표시부(15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15)가 구비될 수 있고, 제2플레이트(1114)는 표시부(150)의 구동부(153)와 연결되어 표시부(150)이 몸체부(11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드론(10)은 몸체부(11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170)가 몸체부(110)의 수평축(H)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 틸팅 가능할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안정된 지지를 위해 표시부(15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50)의 블레이드(151)는 회전하지 않을 시 블레이드(151)가 지지부(17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151)가 회전할 시에는 블레이드(151)에 의해 형성되는 원주의 외부로 지지부(170)가 위치하여 블레이드(151)가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70)의 일측은 틸팅부(171)를 구비하여 몸체부(110)의 수평축(H)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 틸팅할 수 있다. 즉 지지부(170)는 몸체부(110)를 지지될 시에는 수평축(H)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회전하여 지지부(170)는 지면과 맞닿으며, 블레이드(151)가 회전 시에는 수평축(H)을 향해 회전하여 블레이드(151)의 회전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드론(10)의 로드부재(131)는 몸체부(110)의 수평축(H)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틸팅 가능할 수 있으며, 드론(10)의 부피를 줄여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로드부재(131)는 드론(10)의 운용 시에는 몸체부(110)에 고정되어 프로펠러(13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드론(10)의 유지·관리 시에는 몸체부(110)의 수평축(H)을 기준으로 지면을 향해 회전함으로써 드론(10)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드론(10)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론(10)은 드론 보관소(20)에 보관될 시 상기 로드부재(131)가 몸체부(10)의 수평축(H)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틸팅하여 드론(10)의 부피를 줄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표시부와 몸체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드론은 상기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드론과 표시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유사한 바, 표시부(25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부(250)은 제1 표시부(251), 제2 표시부(252), 제3 표시부(2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표시부는 블레이드(2511,2521,2531)와 구동부(25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2511,2521,2531)는 발광소자(2501)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270)는 틸팅부(2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 내지 각 구성요소 간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몸체부(210)는 드론의 구동에 필요한 각 구성요소가 결합할 수 있는 공간 내지 체결부위를 구비할 수 있으며, 프로펠러(미도시)는 몸체부(2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몸체부(210)에 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프로펠러는 몸체부(210)의 크기, 질량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대칭되는 위치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몸체부(210)의 중앙 상면에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드론은 몸체부(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송·수신부에 의해 별개의 컨트롤러에서 드론의 이착륙, 체공, 위치변화 등의 신호를 송·수신하여 드론의 자세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드론의 자세제어와 표시부(250)의 구동제어는 서로 별개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드론이 체공할 시에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표시부(250)의 제어를 수행하여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표시부(250)은 몸체부(210)의 하부에 적어도 둘 이상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발광소자(2501)를 포함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미지를 구현하는 블레이드(2511,2521,2531)와 몸체부(210)의 하부와 블레이드(2511,2521,2531) 사이에 구비되어 블레이드(25111,2521,2531)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구동부(2503)를 포함한다.
표시부(250)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블레이드(2511,2521,2531)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회전하고 각각의 블레이드(2511,2521,2531)의 반지름의 합은 각각 구동부(2503)의 회전축 사이의 거리보다 더 커 각각의 블레이드(2511,2521,2531)이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원주 중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겹치는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입체적인 영상을 다수 구현할 수 있다.
표시부(250)은 제1 표시부(251), 제2 표시부(252), 제3 표시부(2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표시부(251)은 몸체부(210)의 하부로부터 제1높이(h1) 이격된 위치에 제1블레이드(2511)가 구비되며, 제2 표시부(252)은 제1블레이드(2511)보다 제2높이(h2) 이격된 위치에 제2블레이드(2521)가 구비되고, 제3 표시부(253)은 제1블레이드(2511)보다 제3높이(h3)이격된 위치에 제3블레이드(2531)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블레이드는 서로 다른 회전축을 형성하는 각각의 구동부를 포함함이 자명하며, 각각의 표시부는 몸체부의 하부에서 각각의 표시부가 형성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표시부(251)은 제1 표시부(251)가 형성하는 회전축이 제2 표시부(252)가 형성하는 회전축으로부터 제1거리(L1)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표시부(253)은 제3 표시부(253)가 형성하는 회전축이 제1 표시부(251)가 형성하는 회전축으로부터 제2거리(L2)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어 제2 표시부(252)가 형성하는 회전축으로부터 제3 표시부(253)가 형성하는 회전축은 제1거리(L1)와 제2거리(L2)의 합인 제3거리(L3)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블레이드(2511,2521,2531)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다른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각 블레이드가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원주는 일부분이 서로 다른 높이에서 겹쳐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블레이드(2511)의 지름과 제2블레이드(2521)의 반지름과 제3블레이드(2531)의 반지름의 합은 제3거리(L3)보다 더 클 수 있되, 제2블레이드(2521)의 반지름과 제3블레이드(2531)의 반지름의 합은 제3거리(L3)보다 작아 제1블레이드(2511)가 제2블레이드(2521)와 제3블레이드(2531)에 의해 가려지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표시부(250)는 다수개의 표시부(250)를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판 형상에 고정되어 있으나, 이러한 도면의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될 것은 아니고 표시부(250)와 몸체부(210)의 상대적인 크기에 의해 표시부(250)가 몸체부(210)의 하부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시부(250)는 3개가 구비되어 있으나, 필요에 의해 2개, 4개 등이 표시부(250)의 개수는 증감할 수 있으며 상술한 블레이드(2511,2521,2531)의 반지름, 지름과 회전축 간의 거리 관계는 표시부(250)의 증감에 맞춰 동일한 프로세스의 거리 계산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발광소자(2511)는 바람직하게 발광 다이오드가 채택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251)가 일정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2D, 3D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251)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2511)는 각각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하나의 빛을 조사하거나 하나의 광원에서 서로 색이 양분된 필터를 투과하여 서로 다른 빛을 조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2511,2521,2531)는 교차점을 가지는 십자형이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나타내고자 하는 이미지의 해상도, 크기 등을 고려하여 일자형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503)는 몸체부(210)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길이로 구비되어 블레이드(2511,2521,2531)의 회전축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 블레이드의 높이 차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은 몸체부(210)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나, 사용자가 나타내고자 하는 이미지의 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회전축은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표시부(250)는 몸체부(210)의 하부면과 일측이 연결되어 몸체부(210) 하부에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는 둘 이상의 제1부재(2111)와 제1부재(2111)들의 타측을 연결하며 몸체부(210)의 하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2112) 및 표시부(250)를 몸체부(21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에 의해 몸체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부재(2111)는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몸체부(210)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각각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제2부재(2112)는 제1부재(2111) 각각의 타측을 연결하여 몸체부(210)에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부재(2111) 두 개와 제2부재(2112) 하나가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형상은 몸체부(2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제1플레이트(2113)와 제2플레이트(21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플레이트(2113)는 제2부재(2112)와 몸체부(210)의 하부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플레이트(2114)는 제1플레이트(2113)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제1플레이트(2113)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플레이트(2113)는 몸체부(210)의 하부면과 제1부재(2111)가 연장되는 길이만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에 드론 또는 표시부(25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15)가 구비될 수 있고, 제2플레이트(2114)는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판 형상의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판 형상의 부재에 다수개의 표시부(250)이 일정간격 이격된 거리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210)와 표시부(250)의 상대적인 크기를 고려하여 표시부(250)는 몸체부(210)의 하부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드론
20: 드론 보관소
30: 관제센터
41: 차량

Claims (7)

  1.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영역의 상공을 비행하고, 상기 차량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드론;
    상기 주행영역에서 벗어난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을 수용하는 드론 보관소; 및
    상기 드론의 비행제어 및 상기 표시부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관제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센터는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작업영역 및 작업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드론이 상기 작업영역으로 비행하는 제1 비행시간, 상기 작업영역의 상공에서 정지비행(Hovering)하는 제2 비행시간 및 상기 작업영역에서 상기 드론 보관소로 복귀하기 위해 비행하는 제3 비행시간의 합으로 운행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상기 제2 비행시간의 합을 상기 작업시간에 대응시켜 상기 작업시간과 상기 운행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주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복수개의 드론들 중 상기 제2 비행시간이 긴 드론부터 상기 작업영역에 투입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주기를 설정하여 작업수행을 지시한 후, 작업수행지시를 받은 드론의 이착륙 여부에 따라 상기 드론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미지를 구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각각의 블레이드의 반지름의 합은 상기 각각의 회전축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5. 복수개의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드론에 포함되어 있는 표시부에 출력되는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작업영역 및 상기 복수개의 드론이 상기 작업영역의 상공에서 정지비행(Hovering)하는 제2 비행시간의 합에 대응하는 작업시간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드론이 상기 작업영역으로 비행하는 제1 비행시간, 상기 작업영역의 상공에서 정지비행(Hovering)하는 제2 비행시간 및 상기 작업영역에서 드론 보관소로 복귀하기 위해 비행하는 제3 비행시간의 합으로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시간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작업시간과 상기 연산된 운행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작업시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드론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드론들 중 상기 제2 비행시간이 긴 드론부터 상기 작업영역에 투입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드론의 운행주기를 설정하여 작업수행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드론은 상기 드론 보관소에 수용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차량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지시된 작업을 수행하는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수행을 지시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개의 드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드론이 이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이 이륙한 경우, 상기 이륙한 드론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 받은 후, 상기 이륙한 드론이 복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이 복귀한 경우, 상기 드론 보관소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방법.
KR1020200177116A 2020-12-17 2020-12-17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403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16A KR102403431B1 (ko) 2020-12-17 2020-12-17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16A KR102403431B1 (ko) 2020-12-17 2020-12-17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431B1 true KR102403431B1 (ko) 2022-06-02

Family

ID=81984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116A KR102403431B1 (ko) 2020-12-17 2020-12-17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06320A1 (en) * 2021-03-29 2022-09-29 The Boeing Company Vertical Air Vehicle Takeoff and Landing Stabilizat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20220306284A1 (en) * 2021-03-29 2022-09-29 The Boeing Company Vertical Air Vehicle Takeoff and Landing Stabilizat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860B1 (ko) * 2016-07-28 2018-11-12 주식회사 빅스 무인 비행체의 최적 경로 탐색 방법, 최적 경로 탐색 서버 및 시스템
KR20200012360A (ko) * 2018-07-27 2020-02-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9662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드론비즈 광고용 드론
KR102126989B1 (ko) * 2019-09-25 2020-06-26 조순식 미세먼지 포집용 드론 운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860B1 (ko) * 2016-07-28 2018-11-12 주식회사 빅스 무인 비행체의 최적 경로 탐색 방법, 최적 경로 탐색 서버 및 시스템
KR20200012360A (ko) * 2018-07-27 2020-02-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9662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드론비즈 광고용 드론
KR102126989B1 (ko) * 2019-09-25 2020-06-26 조순식 미세먼지 포집용 드론 운용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06320A1 (en) * 2021-03-29 2022-09-29 The Boeing Company Vertical Air Vehicle Takeoff and Landing Stabilizat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20220306284A1 (en) * 2021-03-29 2022-09-29 The Boeing Company Vertical Air Vehicle Takeoff and Landing Stabilizat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11987402B2 (en) * 2021-03-29 2024-05-21 The Boeing Company Vertical air vehicle takeoff and landing stabilizat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11993409B2 (en) 2021-03-29 2024-05-28 The Boeing Company Vertical air vehicle takeoff and landing stabilizat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0493B1 (en) Unmanned aerial vehicles utilized to collect updated travel related data for deliveries
US202104073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nergy use in automated vehicles
KR102403431B1 (ko) 드론을 이용한 교통관제 시스템 및 방법
US10543828B2 (en) Structured multivariate contextual vehicle operation with integrated semiotic control
US11195353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communicating autonomous-vehicle status
US20210269174A1 (en) Drone docking port and method of use
CN105551280A (zh) 无人机智能交通信号指示系统
CN111989724A (zh) 用于监控道路、基础设施和交通的状况的装置
JP2023508083A (ja) 自動化車両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220169254A1 (en) Systems and techniques for field-of-view improvements in autonomous trucking systems
EP3940144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ing emergency roadside signaling devices
WO2022110116A1 (zh) 一种飞行充电方法及系统、充电无人机
US11939057B2 (en) UAV enabled vehicle perimeters
US11538347B2 (en) UAV delivery control system for UAV delivery of packages
US10421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intentions to riders
CN116670609A (zh) 用于预测自主车辆的未来状态的系统
US20230002082A1 (en) Drone, drone docking port and method of use
KR20210115226A (ko) 제설제 살포 드론
CN217716438U (zh) 一种无人车、无人机协同导航装置
CN206671565U (zh) 一种利用激光传感器构建的前防撞预警和驾驶辅助系统
CN215643122U (zh) 一种新型辅助自动驾驶综合设备
KR20230121479A (ko) 유선 드론 스테이션을 활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CN116680854A (zh) 用于智能网联化自动驾驶车辆的封闭场景系统及构建方法
CN113888821A (zh) 一种用于机场的围界安防无人巡逻车
CN209921624U (zh) 一种基于垂直起降固定翼无人机的侦察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