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512B1 - 외부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512B1
KR102402512B1 KR1020150110255A KR20150110255A KR102402512B1 KR 102402512 B1 KR102402512 B1 KR 102402512B1 KR 1020150110255 A KR1020150110255 A KR 1020150110255A KR 20150110255 A KR20150110255 A KR 20150110255A KR 102402512 B1 KR102402512 B1 KR 102402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sound
electronic device
volum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760A (ko
Inventor
미카엘 키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512B1/ko
Priority to US14/954,063 priority patent/US10678495B2/en
Priority to PCT/KR2015/013362 priority patent/WO2017022899A1/en
Priority to CN201580082168.4A priority patent/CN107925692B/zh
Priority to EP18159083.7A priority patent/EP3346682B1/en
Priority to EP16157621.0A priority patent/EP3128727B1/en
Publication of KR20170016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마이크,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sound)에 기초하여 소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리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부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외부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변 상황에 기초하여 외부장치의 음량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복수의 전자장치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동일한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전자장치들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전자장치가 다른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복수의 주변 기기들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복수의 주변기기들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전화를 수신하면 스마트폰이 주변기기들의 음량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전화를 수신하고 주변기기들의 음량을 조정하는 경우, 스마트폰과 연결된 주변기기들의 음량이 일괄적으로 조정되어 불편함을 초래한다. 특히 댁내의 거실에서 TV 시청 중에 스마트폰으로 전화가 오면 스마트폰이 거실에 있는 TV뿐만 아니라 안방에 있는 음향기기의 음량까지 조정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장치와 주변기기를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들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전자장치가 녹음함으로써 각각의 주변 기기들의 음량을 차등적으로 조정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마이크;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sound)에 기초하여 소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리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외부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가 식별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에게 상태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소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가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은 상기 외부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가 발생하는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은 상기 외부장치의 모터의 회전 수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외부장치의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전자장치의 전화벨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가 제1 외부장치에서 제2 외부장치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재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외부장치에 포함된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소리로부터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마이크;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sound)에서 상기 외부장치의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리를 발생한 외부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장치로 상기 외부장치가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외부장치 및 하위계층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하위계층 장치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생성된 소리 데이터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하위계층 장치로부터 상기 소리를 발생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리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하위계층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하위계층 장치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을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외부장치 음량 조정 방법은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에 기초하여 소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외부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리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가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소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장치의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전자장치의 벨이 울리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외부장치 음량 조정 방법은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에서 상기 소리를 발생한 외부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리를 발생한 외부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로 상기 외부장치가 발생하는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외부장치 음량 조정 방법은, 하위계층 장치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소리 데이터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위계층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리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하위계층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하위계층 장치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를 조장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외부장치 음량 조정 방법은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에 기초하여 소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복수의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리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외부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의 상태정보는,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의 상태정보는,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가 제 1 외부장치에서 제 2 외부장치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1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재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외부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스피커가 없는 외부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전자장치에서 외부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전자장치가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전자장치가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간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계층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마이크가 없는 상위계층 장치가 하위계층 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마이크가 없는 상위계층 장치가 하위계층 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소리 레벨 정보가 포함된 계층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전자장치가 스피커가 없는 외부장치에서 발생한 소리의 음량을 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전자장치가 스피커가 없는 외부장치에서 발생한 소리의 음량을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식별정보가 삽입되는 주파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외부장치 식별정보가 포함된 소리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전자장치의 이동에 따라 식별되는 외부장치가 변경되는 경우 외부장치의 음량을 재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전자장치의 이동에 따라 식별되는 외부장치가 변경되는 경우 외부장치의 음량을 재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TV,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소리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리를 나타내는 음향 파일 및 소리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0)는 마이크(107), 통신부(101), 제어부(103) 및 저장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07)는 전자장치 주변의 소리(Sound)를 입력 받아 입력된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되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저장부(105)에 저장될 수 있다. 소리는 소리 데이터로 변환되어 레코딩 과정을 거쳐 저장부(105)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107)는 전자장치(100)에 내장되거나 또는 별도의 액세서리 형태로 제공되어 전자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01)는 전자장치(100)와 외부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01)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는 통신 기능이 있는 다른 전자장치 일 수 있다. 통신부(101)는 외부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1)는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 및 RF(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0)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제어부(103)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5)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105)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소리 데이터가 레코딩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5)에는 외부장치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전자장치(100)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외부장치의 ID(Identification) 데이터 및 상태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외부장치의 상태정보는 예를 들면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에 대한 정보 및 외부장치의 동작 모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5)에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05)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 미들웨어, 또는 API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에 기초하여 소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소리 데이터를 레코딩하여 저장부(105)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통신부(101)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리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장치를 식별하고, 외부장치가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통신부(101)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외부장치가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은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외부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외부장치는 전자장치(100)로부터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줄이거나 또는 줄어든 소리를 원래의 크기로 재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가 TV인 경우, TV의 소리를 줄이거나 또는 높일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의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은 외부장치의 모터의 회전 수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가 세탁기 또는 청소기와 같이 모터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장치는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줄이기 위해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103)는 외부장치가 식별되는 경우, 식별된 외부장치에게 상태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통신부(101)를 통해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전자장치(100) 주변의 소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외부장치의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한 이후에, 전자장치(100)의 전화벨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TV 시청 중에 스마트폰으로 전화가 오면 스마트폰은 전화벨을 울리기 전에 마이크를 통해 주변의 소리를 레코딩하고, TV의 음량을 줄이는 명령을 전송한 이후에 전화벨을 울리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외부장치(200)의 블록도이다. 도 2의 외부장치(200)는 스피커(20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장치(200)는 통신부(201), 저장부(205), 스피커(207) 및 제어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는 전자장치(100)와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통신부(201)는 전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외부장치(20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자장치(100)로 송신하거나 또는 전자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는 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방송국, 서버부터 수신될 수 있다. 통신부(201)는 도 1에서 설명한 통신부(101)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스피커(207)는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저장부(205)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05)는 외부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태정보에는 외부장치(200)가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 및 외부장치(200)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3)는 외부장치(200)의 각 블록 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통신부(201)를 통해 전자장치(10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외부장치(2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로부터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203)는 외부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3)는 소리의 크기를 재조정하는 명령을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외부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원래의 크기로 재조정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는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207)를 통해 소리로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부(201)를 통해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없는 외부장치(200)의 블록도이다. 외부장치(200)는 통신부(401), 저장부(405), 마이크(407), 제어부(403) 및 모터(409)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는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는 없지만 외부장치(200)에 포함된 모터의 회전으로 인해 외부장치(200)로부터 소리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200)는 청소기 또는 세탁기일 수 있다. 외부장치(200)가 청소기의 경우 스피커는 없지만 청소기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에 의한 진동으로 인하여 청소기로부터 소리가 발생될 수 있으며, 발생된 소리로 인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통화를 하는 경우 통화에 방해가 될 수 있다.
통신부(401)는 전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전자장치(100)에게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전자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01)는 도 1에서 설명한 통신부(101)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405)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외부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마이크(407)를 통해 전기 신호로 변환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는 저장부(405)에 저장될 수 있다. 그 외 저장부(405)는 도 1에서 설명한 저장부(105)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403)는 외부장치(200)의 각 블록 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통신부(401)를 통해 전자장치(1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외부장치(2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3)는 모터(409)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200)로부터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외부장치(200)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저소음 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외부장치(200) 내의 모터의 회전수를 줄일 수 있다.
외부장치(200)는 제어부(403)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저소음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외부장치(200)가 저소음 모드로 동작 하는 경우 외부장치(200) 내의 모터의 회전수가 줄어들어 모터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모터(409)는 제어부(405)의 제어에 따라 회전수가 조정될 수 있다.
마이크(407)는 모터(409)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405)는 전기 신호로 변환된 외부장치(200)의 소리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레코딩하여 저장부(40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5)는 전자장치(100)의 요청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부(401)를 통해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마이크(407)는 외부장치(200)에 내장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00)는 외부장치(200)와는 별도로 제공되는 마이크(미도시)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는 전자장치(100)가 외부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전자장치(200)가 외부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4 및 도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장치 및 복수의 외부장치(510, 520, 5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외부장치(200)는 외부장치(510, 520 또는 530)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는 스마트폰 일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마이크(107)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107)를 통해 전자장치(100) 주변의 소리(513, 523, 533)를 레코딩할 수 있다. 소리(513, 523, 533)는 복수의 외부장치(510, 520, 530)로부터 각각 발생될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01)를 통해 외부장치(510, 520, 530)에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511, 521, 531)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는 전자장치(100) 주변에 위치하며 외부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전자장치(100) 또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통화를 하는 경우 스마트폰 주변에 위치한 TV, 오디오 장치 및 랩탑(Laptop) 컴퓨터로부터 발생된 소리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화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때 전자장치(100)와 외부장치(200) 간의 거리에 따라 외부장치(200)가 전자장치(100)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TV는 전자장치(100) 또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지만 전자장치(100)와 멀리 떨어져 있는 오디오 장치는 전자장치(100) 또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외부장치(200)가 전자장치(100)와 다른 방에 위치한 경우에는, 외부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전자장치(100) 또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에게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와 외부장치(200) 간의 거리가 작더라도 외부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작은 경우에는 외부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전자장치(100) 또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랩탑 컴퓨터의 스피커는 출력이 작으므로 전자장치(100)와 거리가 가까워도 랩탑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전자장치(100) 또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에게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전자장치(100)는 마이크(107)로 입력되는 주변의 소리를 레코딩하여 전자장치(100) 또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는 외부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3)는 마이크(107)로 입력된 소리에 기초하여 소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501). 전자장치(100) 주변에 복수의 외부장치(200)가 존재하는 경우 마이크(107)를 통해 복수의 외부장치(200)로부터 발생된 소리가 입력될 수 있지만, 전자장치(100)는 소정 크기 이상으로 입력되는 소리를 발생시킨 외부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 주변에 TV 및 랩탑 컴퓨터가 존재하는 경우, 마이크(107)를 통해 TV 및 랩탑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전자장치(100)로 입력되지만, 랩탑 컴퓨터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는 작기 때문에 무시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는 TV에서 발생하는 소리만 처리하여 소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마이크(107)로 입력된 소리를 발생한 외부장치(200)를 식별하기 위해, 외부장치(200)가 전자장치(100)에게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S503), 생성된 소리 데이터 및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S505).
전자장치(100)는 마이크(107)를 통해 입력된 소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소리 데이터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하여 외부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00)는 마이크(107)로 입력된 소리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소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레코딩하여 저장부(10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장치(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는 외부장치(200)에서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외부장치(200)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207)로 출력하여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200)는 외부장치(200)의 마이크(407)를 통하여 외부 장치(200)에서 물리적으로 발생되는 소리를 녹음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207)를 통해 출력된 소리 또는 외부장치(200)에서 물리적으로 발생된 소리는 마이크(107)를 통해 전자장치(100)로 입력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마이크(107)를 통해 입력된 소리 데이터와 외부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가 동일한지를 비교하고 동일한 경우 전자장치(100)는 외부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명령을 외부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507). 외부장치(200)는 전자장치(100)로부터 소리를 조정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200)의 음량을 줄이거나 또는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장치(200)가 스피커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모터의 회전에 의해 소리를 발생하는 경우, 외부장치(200)는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외부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200)가 세탁기 또는 청소기인 경우, 외부장치(200)는 전자장치(100)로부터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세탁기 또는 청소기에 포함된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전화가 오면 전화벨 소리를 울리기 전에 외부장치(200)의 음량을 조정하고, 외부장치(200)의 화면 상에 전화 수신을 알리는 객체(예를 들어, 아이콘, 텍스트,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마이크(107)를 통해 입력된 소리로부터 소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100)는 전화 수신 신호에 트리거되어 마이크(107)를 통해 주변의 소리를 레코딩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3)는 통신부(101)를 통해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마이크(107)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를 레코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장치(107)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외부장치(200)를 식별하고, 외부장치(200)가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명령을 식별된 외부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는 식별된 외부장치(200)로 현재 출력하는 음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하고, 외부장치(200)로부터 전송 받은 음량 정보를 저장부(105)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외부장치(200)가 스피커(207)를 통해 소리를 발생하는 장치인 경우에는 외부장치(200)는 외부장치(200)의 음량을 줄일 수 있다. 외부장치(200)가 스피커 없이 모터(409)의 회전에 의해 소리를 발생하는 장치인 경우에는 외부장치(200)는 모터(409)의 회전수를 줄일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외부장치(200)로 외부장치(200)가 발생하는 소리를 조정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한 이후에, 전자장치(200)의 전화벨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장치(200)의 소리가 줄어든 상태에서 전화벨 소리를 듣고 전자장치(100)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는 통화가 끝나면 외부장치(200)의 음량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제어 명령을 외부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00)는 저장부(105)에 저장된 외부장치(200)의 음량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장치(200)의 음량을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의 음량정보는 외부장치(200)의 음량을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TV의 음량을 10으로 설정하고 TV를 시청하는 중에 전화가 오면 전자장치(100)는 전화벨 소리를 울리기 전에 TV의 음량을 0으로 조정하고 벨 소리를 울릴 수 있다. 통화가 끝나면 전자장치(100)는 TV의 음량을 다시 10으로 되돌릴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전자장치(100)가 외부장치(200)의 음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장치(100)는 전자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향(예를 들어, 전화벨 및 통화음)의 크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가 외부장치(200)의 음량을 조정할 수 없는 경우에, 전자장치(100)는 전자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00)는 주변의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소음 크기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하나의 전자장치(100)가 외부장치(200)의 음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1 전자장치(미도시)를 이용하고, 제2 사용자가 제2 전자장치(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는 모두 주변의 소음으로부터 방해받고 싶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자장치(미도시)와 제2 전자장치(미도시)의 외부장치(200) 제어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외부장치(200)의 음량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장치(미도시)의 우선 순위가 제2 전자장치(미도시)의 우선순위보다 앞서는 경우에, 제1 전자장치(미도시) 또는 제1 사용자가 주변의 소음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외부장치(200)의 음량 및 제2 전자장치(미도시)의 음량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자장치(미도시), 제2 전자장치(미도시) 및 외부장치(200)는 서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장치들의 우선 순위는, 예를 들어, 후술할 도 6의 계층 구조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전자장치(100) 및 외부장치(200) 간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계층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의 전자장치(100) 및 외부장치(200)가 동시에 소리를 발생하는 경우 계층 리스트에서 상위 계층에 있는 장치가 하위 계층에 있는 장치의 음량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층 구조가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TV, 오디오장치 순서로 구성된 경우 스마트폰은 하위 계층에 있는 랩탑 컴퓨터, TV 및 오디오 장치의 음량을 조정할 수 있다. 랩탑 컴퓨터는 TV 및 오디오장치의 음량을 조정할 수 있다. TV는 오디오 장치의 음량을 조정할 수 있다. 계층 리스트는 전자장치(100) 및 외부장치(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100) 및 외부장치(200)는 자신의 계층 순서를 알 수 있으며 자신이 제어할 수 있는 외부장치(200)가 어떤 장치인지 알 수 있다.
상위 계층에 있는 장치는 하위 계층에 있는 외부장치(200)가 소리를 발생하는 경우 마이크를 이용하여 하위 계층의 외부장치(200)가 발생하는 소리를 레코딩하고 하위 계층의 외부장치(200)를 식별하며 하위 계층의 외부장치(200)의 음량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랩탑 컴퓨터에서 영화를 보고 있는 경우, 랩탑 컴퓨터는 내장된 마이크를 사용하여 TV 또는 오디오장치에서 발생한 소리를 레코딩한다. 랩탑 컴퓨터는 레코딩한 소리를 분석하여 랩탑에 영향을 주는 외부장치(200)가 TV인 것으로 식별하고 TV에게 음량을 줄이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위 계층의 장치가 마이크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마이크를 가지고 있는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하위 계층의 외부장치(200)가 발생하는 소리를 레코딩하고 하위 계층의 외부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마이크가 없는 상위계층 장치(610)가 하위계층 장치(620)의 음량을 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마이크가 없는 상위계층 장치(610)가 하위계층 장치(620)의 음량을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마이크가 없는 상위 계층 장치(610)는 마이크가 있는 외부장치(600)을 이용하여, 하위계층 장치(620)를 식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위계층 장치(610), 하위계층 장치(620) 및 외부장치(600)가 도시되어 있다. 상위계층 장치는 하위계층 장치(620)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소리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6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801). 상위계층 장치(610)는 주변의 하위계층 장치(620)를 검색하고, 검색된 하위계층 장치(620)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녹음할 외부장치(600)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위계층 장치(610)는 검색된 외부장치(600)에게 하위계층 장치(620)의 소리를 녹음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외부장치(600)는 상위계층 장치(61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하위계층 장치(620)에서 발생된 소리를 외부장치(600)의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함으로써 소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소리 데이터를 상위계층 장치(6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위계층 장치(610)는 하위계층 장치(62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803). 상위계층 장치(610)는 하위계층 장치(620)로부터 직접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장치(60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위계층 장치(610)는 소리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위계층 장치(620)를 식별하고(S805), 하위계층 장치(620)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명령을 하위계층 장치(620)에게 전송할 수 있다(S807). 상위계층 장치(610)는 제어 명령을 하위계층 장치(620)에게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위계층 장치(610)는 제어 명령을 외부장치(600)를 통하여 하위계층 장치(6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위계층 장치(610)는 하위계층 장치(620)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명령을 외부장치(600)로 전송하여, 외부장치(600)가 하위계층 장치(620)의 소리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장치(600)는 하위계층 장치(620)의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명령을 하위계층 장치(620)에게 전송하기 전에, 상위계층 장치(610)의 소리 및 하위계층 장치(620)의 소리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60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위계층 장치(610)의 소리 및 하위계층 장치(620)의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위계층 장치(610)의 소리를 듣고 싶어하고 하위계층 장치(620)의 소리를 듣기 싫어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착용된 외부장치(600)는 상위계층 장치(610)의 소리 및 하위계층 장치(620)의 소리를 비교할 수 있으며, 외부장치(600)는 상위계층 장치(610)의 음량을 증가시키고, 하위계층 장치(620)의 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위계층 장치(610)는 예컨대 TV일 수 있으며 마이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하위계층 장치(620)는 예컨대 오디오장치 일 수 있다. 외부장치(600)는 예컨대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TV와 같이 마이크가 없는 상위계층 장치(610)는, 하위계층 장치(620)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할 수 없으므로 마이크가 있는 외부장치(600), 예컨대 스마트워치를 이용하여 하위계층 장치(620)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거나 또는 조정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위계층 장치(610)는 TV, 하위계층 장치(620)는 오디오장치, 외부장치(600)는 스마트워치를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주변의 소리를 레코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주변의 소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는 바이오 센서를 내장하고 있으며 바이오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위계층 장치(610)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 중인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하위계층 장치(62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TV의 전원을 켜면 TV는 소리를 발생하는 다른 장치를 네트워크에서 검색하기 위해 다른 장치가 응답 신호를 TV에게 보낼 것을 다른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에 연결된 오디오 장치 및 스마트워치는 TV 요청에 응답하여 TV가 오디오 장치 및 스마트워치를 검색할 수 있도록 오디오 장치 및 스마트워치의 고유정보를 TV로 전송할 수 있다. TV는 오디오 장치 및 스마트워치의 고유정보를 수신하고 오디오장치 및 스마트워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TV는 스마트워치로부터 수신한 고유정보로부터 스마트워치의 속성을 식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에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TV는 스마트워치가 주변의 소리를 레코딩하여 소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소리 데이터를 TV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TV는 스마트워치에서 전송된 소리 데이터 및 오디오 장치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즉, TV는 수신한 소리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하고, 수신한 소리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수치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오디오 장치가 소리를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TV는 오디오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명령을 오디오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는 TV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오디오 장치의 음량을 작게하거나 또는 크게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600)는 상위계층 장치(610) 및 하위계층 장치(620)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하위계층 장치(620)의 음량을 조정하는 제어 명령을 하위계층 장치(6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위계층 장치(610)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에 따라, 조정되어야 할 하위계층 장치(620)의 음량의 크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워치는 TV 및 오디오장치로 오디오 데이터를 요청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워치는 TV 및 오디오장치에서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워치는 TV 및 오디오장치에서 스피커를 통해 발생하는 소리로부터 소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레코딩할 수 있다. 스마트워치는 소리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TV 및 오디오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스마트워치는 TV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와 오디오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비교하고, 오디오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가 TV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오디오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명령을 오디오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워치는 TV로 오디오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명령을 보내고 TV는 수신된 명령에 따라 오디오장치로 음량을 조정하는 명령을 보냄으로써 오디오장치의 음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9는 소리 레벨 정보가 포함된 계층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계층리스트(900)에는 계층을 구성하는 전자장치(100) 및 외부장치(200)의 계층 순서 및 소리 레벨의 상대적인 크기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계층 리스트에는 스마트폰(901), 랩탑(903), TV(905) 및 오디오장치(907)가 기록될 수 있다. 계층 순서는 스마트폰(901), 랩탑(903), TV(905) 및 오디오장치(907) 순일 수 있다. 계층 리스트에는 전자장치(100) 및 외부장치(200)의 상대적인 소리 레벨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901)은 소리 레벨이 ‘1’ 일 수 있다. 랩탑(903)은 신호레벨이 ‘0.5’ 일 수 있다. TV(905)는 소리 레벨이 ‘0.25’일 수 있다. 오디오장치(907)는 소리 레벨이 ‘0.125’일 수 있다.
소리 레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계층 순서에 따라 상대적인 레벨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층 순위 1위는 소리 레벨이 ‘1.0’이고, 계층 순위 2위는 소리 레벨이 계층 순위 1위의 소리 레벨의 절반인 ‘0.5’이고, 계층 순위 3위는 소리 레벨이 계층 순위 2위의 소리 레벨의 절반인 ‘0.25’이고, 계층 순위 4위는 소리 레벨이 계층 순위 3위의 소리 레벨의 절반인 ‘0.125’일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계층 리스트에 포함된 소리 레벨의 크기로부터 외부장치(200)의 음량을 결정하고, 외부장치(200)의 음량을 조정하는 명령을 외부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전자장치가 스피커가 없는 외부장치(1001)에서 발생한 소리의 음량을 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전자장치(1007)가 스피커가 없는 외부장치(1001)에서 발생한 소리의 음량을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07) 및 외부장치(100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전자장치(1007)은 전자장치(100)일 수 있으며, 외부장치(1001)는 외부장치(200)일 수 있다. 전자장치(1007)는 예컨대 스마트폰일 수 있다. 외부장치(1001)는 예컨대 세탁기이거나 또는 청소기일 수 있다. 외부장치(1001)는 별도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있지는 않지만 모터의 회전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며, 상기 소리는 전자장치(1007) 또는 전자장치(1007)의 사용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전자장치(1007)는 외부장치(1001)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줄이기 위해서 외부장치(1001) 내의 모터의 회전 수를 줄이거나 또는 외부장치(1001)를 저소음 모드로 동작시켜야 한다. 저소음 모드는 외부장치(1001)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줄이기 위해 모터의 회전 수를 줄여서 외부장치(1001)를 동작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외부장치(1001)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1001)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1001)에서 발생한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단계 S1101) 레코딩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외부장치(1001)는 오디오 데이터(1003)를 전자장치(1007)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오디오 데이터는 무선 통신, 예컨대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7)는 외부장치(1001)에서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1003)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7)는 마이크를 통해 주변 소리(1005)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소리 데이터를 생성하고(단계 S1103) 레코딩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7)는 소리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고(단계 S1105), 소리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장치(1001)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조정하는 제어 명령을 외부장치(1001)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107).
도 12는 외부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식별정보가 삽입되는 주파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전자장치(100)가 외부장치(200)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소리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외부장치(200)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소리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가청 주파수 대역(1201, 1203)이 도시되어 있다. 외부장치(200)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역 부분(1203)에 외부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삽입하여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청 주파수 대역의 저역 부분(1201)에는 소리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역 부분(1203)에 삽입되는 외부장치(200)의 식별 정보가 소리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식별 정보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리의 평균 크기가 ‘1’일 때 식별 정보의 크기는 ‘0.5’로 설정해서 출력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에서 외부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301). 외부장치(200)의 식별 정보는 단일 주파수의 정현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장치(200)의 식별 정보의 크기는 소리 정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소리를 발생한 외부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S1303).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00)는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신호를 고역 필터(High Pass Filter)를 사용하여 필터링함으로써, 고역에 있는 식별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외부장치(200)가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명령을 외부장치(200)로 전송하여(S1305) 외부장치(200)의 소리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00)는 외부장치(200)의 음량을 작게하거나 또는 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V는 식별 정보로 19KHz의 신호를 전송하고, 오디오 장치는 식별 정보로 20KHz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스마트폰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에서 19KHz의 신호가 검출되면 주변의 소리가 TV에서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TV의 소리가 통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하고, TV의 음량을 줄이는 명령을 TV로 전송할 수 있다.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가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스피커에서 출력된 소리에 스피커의 식별정보가 삽입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는 소리에 삽입된 스피커의 식별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가 어떤 스피커에서 출력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1채널 스피커는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데, 각각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스피커의 식별정보가 각각 삽입되면 전자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스피커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4는 전자장치의 이동에 따라 식별되는 외부장치가 변경되는 경우 외부장치의 음량을 재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전자장치의 이동에 따라 식별되는 외부장치가 변경되는 경우 외부장치의 음량을 재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14 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401), 제1 외부장치(1403), 제2 외부장치(1421), 제3 외부장치(144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의 전자장치(1401)은 전자장치(100)일 수 있으며, 도 14의 제1 외부장치(1403), 제2 외부장치(1421) 또는 제3 외부장치(1441)는 외부장치(200)일 수 있다. 제1 외부장치(1403)는 제1 영역(1400)에 있고, 제 2 외부장치(1421)는 제 2 영역(1420)에 있고, 제3 외부장치(1441)는 제3 영역(1440)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1400)은 거실일 수 있고, 제2 영역(1420)은 주방일 수 있고, 제3 영역(1440)은 침실일수 있다.
전자장치(1401)는 예컨대 스마트폰일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제1 영역(1400), 제2 영역(1420) 및 제3 영역(1440)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마트폰 주변에서 식별되는 외부장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한 상태로 이동하는 상황을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복수의 외부장치(1403, 1421, 1441)는 소리(1407, 1425, 1445)를 발생하고 전자장치(1401)는 전자장치(1401)의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1407, 1425, 1445)를 이용하여 소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501). 제1 외부장치(1403)는 소리(1407)를 발생하고, 제2 외부장치(1421)는 소리(1425)를 발생하고, 제3 외부장치(1441)는 소리(1445)를 발생할 수 있다.
전자장치(1401)의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1407, 1425, 1445)는 전자장치(1401)와 외부장치(1403, 1421, 1441)간의 거리에 따라 소리 데이터로 생성되지 않을 수 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401)는 가까이 있는 제1 외부장치(1403)에서 발생한 소리는 소리 데이터로 생성하지만,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제3 외부장치(1441)에서 발생한 소리는 소리 데이터로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장치(1401)와 외부장치(1403, 1421, 1441)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소리가 마이크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소리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외부장치(1403, 1421, 1441)는 오디오 데이터(1405, 1423, 1445)를 전송하고 전자장치(1401)는 복수의 외부장치(1403, 1421, 1441)로부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1405, 1423, 1445)를 수신할 수 있다(S1503). 제1 외부장치(1403)는 오디오 데이터(1405)를 전송하고, 제2 외부장치(1421)는 오디오 데이터(1423)를 전송하고 제3 외부장치(1441)는 오디오 데이터(1443)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1401)는 소리 데이터 및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1405, 1423, 1445)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1403, 1421, 1441)를 식별할 수 있다(S1505).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401)는 소리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1405, 14023, 1445)를 비교할 수 있다. 전자장치(1401)는 소리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1405)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외부장치(1403)가 식별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1401)는 소리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1423)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2외부장치(1421)가 식별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1401)는 소리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1443)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3외부장치(1441)가 식별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1401)는 식별된 외부장치(1403, 1421, 1441)로부터 외부장치(1403, 1421, 1441)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509). 외부장치(1403, 1421, 1441)의 상태정보는 외부장치(1403, 1421, 1441)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1403, 1421, 1441)의 상태정보는 외부장치(1403, 1421, 1441)가 현재 발생하는 음량 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량 레벨 정보는 예컨대 0부터 10사이의 자연수일 수 있다. 외부장치(1403, 1421, 1441)의 상태정보는 외부장치(1403, 1421, 1441)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1403, 1421, 1441)가 예컨대 청소기이고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 현재의 동작 모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401)는 외부장치(1403, 1421, 1441)가 식별되면 식별된 외부장치(1403, 1421, 1441)로 현재의 상태정보를 요청하여 식별된 외부장치(1403, 1421, 1441)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장치(1401)는 식별된 외부장치(1403, 1421, 1441)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1511). 전자장치(1401)는 제1 외부장치(1403)가 식별되면 제1 외부장치(1403)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하고, 제1 외부장치(1403)는 이를 수신하여 소리의 크기를 낮추거나 또는 높이거나 또는 소리의 발생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1401)는 제2 외부장치(1421)가 식별되면 제2 외부장치(1421)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하고, 제2 외부장치(1421)는 이를 수신하여 소리의 크기를 낮추거나 또는 높이거나 또는 소리의 발생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1401)는 제3 외부장치(1441)가 식별되면 제3 외부장치(1441)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하고, 제3 외부장치(1441)는 이를 수신하여 소리의 크기를 낮추거나 또는 높이거나 도는 소리의 발생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1401)는 식별된 외부장치가 제1 외부장치(1403)에서 제2 외부장치(1421)로 변경되는 경우 제1 외부장치(1403)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재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영역(1400)에 있는 경우 전자장치(1401)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1407) 및 오디오 데이터(1405)에 기초하여 식별된 외부장치가 제1 외부장치(1403)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 때 제1 외부장치(1403)는 제1 외부장치(1403)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전자장치(1401)로 전송하고 전자장치(1401)로부터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소리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1401)를 소지한 상태에서 영역(1420)으로 이동하면 전자장치(1401)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1425) 및 오디오 데이터(1423)에 기초하여 식별된 외부장치가 제2 외부장치(1421)인 것으로 판단한다. 전자장치(1401)는 식별된 장치가 제1 외부장치(1403)에서 제2 외부장치(1421)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외부장치(1403)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외부장치(1403)의 소리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제1 외부장치(1403)는 이를 수신하여 제1 외부장치(1403)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원래의 크기로 재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401)는 제2 외부장치(1421)가 식별됨에 따라 제2 외부장치(1421)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하고 제2 외부장치(1421)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장치(1403)가 음량 레벨 ‘5’로 동작하는 중에 전자장치(1401)로부터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음량 레벨 ‘0’으로 조정한 후, 전자장치(1401)로부터 음량 레벨을 재조정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1 외부장치(1403)는 원래의 음량 레벨을 ‘5’로 재조정 한다.
또한 전자장치(1401)는 식별된 외부장치(1403, 1421, 1441)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지 않고도 외부장치(1403, 1421, 1441)의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 또는 동작모드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외부장치(1403, 1421, 1441)는 전자장치(1401)로부터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현재의 상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소리의 크기를 조정한다. 외부장치(1403, 1421, 1441)가 전자장치(1401)로부터 소리의 크기를 재조정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장치(1403, 1421, 1441)는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소리의 크기 또는 동작 모드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은 단일의 프로세서에 의해 그 동작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단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이나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기지국 또는 릴레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자장치
101 : 통신부
103 : 제어부
105 : 저장부
107 : 마이크

Claims (20)

  1. 마이크;
    복수의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sound)에 기초하여 소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외부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각 소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리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외부장치 중,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소리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외부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가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에게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소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은 상기 외부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가 발생하는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은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의 모터의 회전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의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전자장치의 전화벨이 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가 제1 외부장치에서 제2 외부장치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재조정하는 명령을 상기 제1 외부장치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에 포함된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소리로부터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삭제
  10. 외부장치 및 하위계층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하위계층 장치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생성된 소리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하위계층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리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하위계층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하위계층 장치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명령은 상기 외부장치를 통하여 상기 하위계층 장치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2.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에 기초하여 소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복수의 외부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각 소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리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장치 중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소리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외부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외부장치가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외부장치 음량 조정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소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외부장치 음량 조정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장치의 소리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전자장치의 전화벨이 울리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외부장치 음량 조정 방법.
  15. 삭제
  16. 하위계층 장치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소리 데이터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위계층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리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하위계층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하위계층 장치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를 조장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외부장치 음량 조정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110255A 2015-08-04 2015-08-04 외부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KR102402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55A KR102402512B1 (ko) 2015-08-04 2015-08-04 외부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US14/954,063 US10678495B2 (en) 2015-08-04 2015-11-30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intensity of sound of an external device
PCT/KR2015/013362 WO2017022899A1 (en) 2015-08-04 2015-12-08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intensity of sound of an external device
CN201580082168.4A CN107925692B (zh) 2015-08-04 2015-12-08 用于调整外部设备的声音的强度的电子装置和方法
EP18159083.7A EP3346682B1 (en) 2015-08-04 2016-02-26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intensity of sound of an external device
EP16157621.0A EP3128727B1 (en) 2015-08-04 2016-02-26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intensity of sound of an exter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55A KR102402512B1 (ko) 2015-08-04 2015-08-04 외부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760A KR20170016760A (ko) 2017-02-14
KR102402512B1 true KR102402512B1 (ko) 2022-05-27

Family

ID=5552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255A KR102402512B1 (ko) 2015-08-04 2015-08-04 외부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78495B2 (ko)
EP (2) EP3346682B1 (ko)
KR (1) KR102402512B1 (ko)
CN (1) CN107925692B (ko)
WO (1) WO2017022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7316B2 (en) 2016-02-22 2018-04-17 Sonos, Inc. Voice control of a media playback system
US9965247B2 (en) 2016-02-22 2018-05-08 Sonos, Inc. Voice controlled media playback system based on user profile
US10509626B2 (en) 2016-02-22 2019-12-17 Sonos, Inc Handling of loss of pairing between networked devices
US10095470B2 (en) 2016-02-22 2018-10-09 Sonos, Inc. Audio response playback
US10264030B2 (en) 2016-02-22 2019-04-16 Sonos, Inc. Networked microphone device control
US9820039B2 (en) 2016-02-22 2017-11-14 Sonos, Inc. Default playback devices
US9978390B2 (en) 2016-06-09 2018-05-22 Sonos, Inc. Dynamic player selection for audio signal processing
US10152969B2 (en) 2016-07-15 2018-12-11 Sonos, Inc. Voice detection by multiple devices
US10134399B2 (en) 2016-07-15 2018-11-20 Sonos, Inc. Contextualization of voice inputs
US10115400B2 (en) 2016-08-05 2018-10-30 Sonos, Inc. Multiple voice services
US9942678B1 (en) 2016-09-27 2018-04-10 Sonos, Inc. Audio playback settings for voice interaction
CN106357913A (zh) * 2016-09-28 2017-01-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提醒方法及装置
US9743204B1 (en) 2016-09-30 2017-08-22 Sonos, Inc. Multi-orientation playback device microphones
US10181323B2 (en) 2016-10-19 2019-01-15 Sonos, Inc. Arbitration-based voice recognition
KR102398390B1 (ko) * 2017-03-22 2022-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183181B2 (en) 2017-03-27 2021-11-23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multiple voice services
US10475449B2 (en) 2017-08-07 2019-11-12 Sonos, Inc. Wake-word detection suppression
US10048930B1 (en) 2017-09-08 2018-08-14 Sonos, Inc. Dynamic computation of system response volume
US10446165B2 (en) 2017-09-27 2019-10-15 Sonos, Inc. Robust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coustic echo cancellation during audio playback
US10051366B1 (en) 2017-09-28 2018-08-14 Sonos, Inc. Three-dimensional beam forming with a microphone array
US10621981B2 (en) 2017-09-28 2020-04-14 Sonos, Inc. Tone 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482868B2 (en) 2017-09-28 2019-11-19 Sonos, Inc. Multi-channel acoustic echo cancellation
US10466962B2 (en) 2017-09-29 2019-11-05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with voice assistance
US10880650B2 (en) 2017-12-10 2020-12-29 Sonos, Inc. Network microphone devices with automatic do not disturb actuation capabilities
US10818290B2 (en) 2017-12-11 2020-10-27 Sonos, Inc. Home graph
WO2019152722A1 (en) 2018-01-31 2019-08-08 Sonos, Inc. Device designation of playback and network microphone device arrangements
KR102493163B1 (ko) * 2018-03-19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US11175880B2 (en) 2018-05-10 2021-11-16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assisted media content selection
US10847178B2 (en) 2018-05-18 2020-11-24 Sonos, Inc. Linear filtering for noise-suppressed speech detection
US10959029B2 (en) 2018-05-25 2021-03-23 Sonos, Inc. Determining and adapting to changes in microphone performance of playback devices
US10681460B2 (en) 2018-06-28 2020-06-09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playback devices with voice assistant services
US10461710B1 (en) 2018-08-28 2019-10-29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with maximum volume setting
US11076035B2 (en) 2018-08-28 2021-07-27 Sonos, Inc. Do not disturb feature for audio notifications
US10587430B1 (en) 2018-09-14 2020-03-10 Sonos, Inc. Network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playback devices based on sound codes
US10878811B2 (en) 2018-09-14 2020-12-29 Sonos, Inc. Network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 deactivating wake-word engines
US11024331B2 (en) 2018-09-21 2021-06-01 Sonos, Inc. Voice detection optimization using sound metadata
US10811015B2 (en) 2018-09-25 2020-10-20 Sonos, Inc. Voice detection optimization based on selected voice assistant service
US11100923B2 (en) 2018-09-28 2021-08-24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wake word detection using neural network models
US10692518B2 (en) 2018-09-29 2020-06-23 Sonos, Inc. Linear filtering for noise-suppressed speech detection via multiple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11899519B2 (en) 2018-10-23 2024-02-13 Sonos, Inc. Multiple stage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and processing load
EP3654249A1 (en) 2018-11-15 2020-05-20 Snips Dilated convolutions and gating for efficient keyword spotting
US11183183B2 (en) 2018-12-07 2021-11-23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media playback systems having multiple voice assistant services
US11132989B2 (en) 2018-12-13 2021-09-28 Sonos, Inc. Networked microphon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localized arbitration
US10602268B1 (en) 2018-12-20 2020-03-24 Sonos, Inc. Optimization of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ing noise classification
US10867604B2 (en) 2019-02-08 2020-12-15 Sono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voice processing
US11315556B2 (en) 2019-02-08 2022-04-26 Sono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voice processing by transmitting sound data associated with a wake word to an appropriate device for identification
US11120794B2 (en) 2019-05-03 2021-09-14 Sonos, Inc. Voice assistant persistence across multiple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10586540B1 (en) 2019-06-12 2020-03-10 Sonos, Inc.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command keyword conditioning
US11200894B2 (en) 2019-06-12 2021-12-14 Sonos, Inc.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command keyword eventing
US11361756B2 (en) 2019-06-12 2022-06-14 Sonos, Inc. Conditional wake word eventing based on environment
US11138969B2 (en) 2019-07-31 2021-10-05 Sonos, Inc. Locally distributed keyword detection
US10871943B1 (en) 2019-07-31 2020-12-22 Sonos, Inc. Noise classification for event detection
US11138975B2 (en) 2019-07-31 2021-10-05 Sonos, Inc. Locally distributed keyword detection
US11189286B2 (en) 2019-10-22 2021-11-30 Sonos, Inc. VAS toggle based on device orientation
US11200900B2 (en) 2019-12-20 2021-12-14 Sonos, Inc. Offline voice control
US11562740B2 (en) 2020-01-07 2023-01-24 Sonos, Inc. Voice verification for media playback
US11556307B2 (en) 2020-01-31 2023-01-17 Sonos, Inc. Local voice data processing
US11308958B2 (en) 2020-02-07 2022-04-19 Sonos, Inc. Localized wakeword verification
US11308962B2 (en) 2020-05-20 2022-04-19 Sonos, Inc. Input detection windowing
US11727919B2 (en) 2020-05-20 2023-08-15 Sonos, Inc. Memory allocation for keyword spotting engines
US11482224B2 (en) 2020-05-20 2022-10-25 Sonos, Inc. Command keywords with input detection windowing
US11698771B2 (en) 2020-08-25 2023-07-11 Sonos, Inc. Vocal guidance engines for playback devices
CN112261225A (zh) * 2020-10-16 2021-0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量调节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984123B2 (en) 2020-11-12 2024-05-14 Sonos, Inc. Network device interaction by range
US11551700B2 (en) 2021-01-25 2023-01-10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efficient keyword detection
KR20230009109A (ko) * 2021-07-08 202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소리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2251A1 (en) * 2011-09-20 2013-03-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mobile terminal and system
KR101289732B1 (ko) * 2012-01-18 2013-07-2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소리 신호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tv음량을 조절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22B1 (ko) 1998-12-30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 기기 제어방법
KR100787982B1 (ko) 2007-03-02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신호의 에프엠 전송 장치 및 방법
US8797465B2 (en) 2007-05-08 2014-08-05 Sony Corporation Applications for remote control devices with added functionalities
KR100980581B1 (ko) 2008-05-28 2010-09-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폰을 이용한 사용자 인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방법
US8848930B2 (en) * 2008-08-06 2014-09-30 Sony Corporation Adaptive ring level
TWI487385B (zh) 2008-10-31 2015-06-01 Chi Mei Comm Systems Inc 音量調節裝置及其調節方法
CN101742138A (zh) 2008-11-07 2010-06-16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视音量控制系统及方法
US8731475B1 (en) 2009-12-30 2014-05-20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called communication device
JP5146885B2 (ja) * 2010-02-17 2013-02-20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テレビ電話装置及びその音量制御方法
US8699723B2 (en) * 2010-07-20 2014-04-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dio device volume manager using measured volume perceived at a first audio device to control volume generation by a second audio device
US20120045990A1 (en) * 2010-08-23 2012-02-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telligent Audio Routing for Incoming Calls
CN102833505A (zh) * 2012-09-14 2012-12-19 高亿实业有限公司 电视音量自动调节方法及其系统,电视机及电视遥控器
US20160132046A1 (en) * 2013-03-15 2016-05-12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ocess plant with wearable mobile control devices
KR20140137265A (ko) 2013-05-22 201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이들의 제어 방법
CN103795787A (zh) * 2014-01-20 2014-05-1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电话状态控制设备端音量的移动终端、设备端及系统
US9747924B2 (en) * 2014-04-08 2017-08-29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Sound verification
US10057699B2 (en) * 2014-10-01 2018-08-21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Audio identification device, audio identification method and audio identification system
KR20160142528A (ko) * 2015-06-03 201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2251A1 (en) * 2011-09-20 2013-03-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mobile terminal and system
KR101289732B1 (ko) * 2012-01-18 2013-07-2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소리 신호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tv음량을 조절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8727B1 (en) 2018-04-25
US20170039025A1 (en) 2017-02-09
EP3346682A1 (en) 2018-07-11
CN107925692B (zh) 2020-10-27
US10678495B2 (en) 2020-06-09
WO2017022899A1 (en) 2017-02-09
CN107925692A (zh) 2018-04-17
KR20170016760A (ko) 2017-02-14
EP3346682B1 (en) 2019-05-15
EP3128727A1 (en)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512B1 (ko) 외부장치의 음량을 조정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EP3379853B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audio data to multiple external devices
CN107852437B (zh) 用于在电子设备中输出音频的方法和装置
JP6615760B2 (ja) お知らせを提供する方法及びその電子装置
KR102447179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EP295285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KR102300583B1 (ko)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25710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beacon signal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860359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neighbor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24734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일시적 언락 방법
KR20150026650A (ko) 전자 기기간 연동 방법 및 장치
US10027301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olume
KR20150106233A (ko) 복수의 전자 장치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292908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03450A (ko) 전자장치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19902B1 (ko)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20160137254A (ko) 전자 장치 및 게이트웨이와 그 제어 방법
KR102131626B1 (ko) 미디어 데이터 싱크 방법 및 장치
KR102312316B1 (ko) 외부 장치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60004712A (ko)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US20180248412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KR2017002924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관리 방법
KR20150086808A (ko) 폴더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29185A (ko)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128476A (ko) 라디오 프로그램 공유 방법 및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