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798B1 - 다중 축열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축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798B1
KR102401798B1 KR1020200157774A KR20200157774A KR102401798B1 KR 102401798 B1 KR102401798 B1 KR 102401798B1 KR 1020200157774 A KR1020200157774 A KR 1020200157774A KR 20200157774 A KR20200157774 A KR 20200157774A KR 102401798 B1 KR102401798 B1 KR 102401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heat
unit
heat exchang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철
고광수
장재철
김부철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7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4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8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축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매체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 저장공간이 복수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온도가 다른 상기 열매체가 구획되어 저장되는 축열조, 펌프가 배치된 일단이 상기 축열조의 제1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밸브가 배치된 타단이 제1 열교환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공급 유동부, 제2 제어밸브가 배치된 일단이 상기 제1 제어밸브와 상기 제1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3 제어밸브가 배치된 타단이 제2 열교환부를 경유하여 상기 축열조의 제2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제1 강하유동부 및 제4 제어밸브가 배치된 일단이 상기 제1 강하유동부의 일단과 상기 제1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5 제어밸브가 배치된 타단이 제3 열교환부를 경유하여 상기 축열조의 제3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강하유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축열 장치{Multi-heat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다중 축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열은 저장되는 열의 온도에 따라 저온, 중온, 고온 열저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열저장 기간에 따라 단기, 장기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열저장 방법을 분류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저장하는 열에너지의 형태에 따라 현열축열, 잠열축열, 그리고 화학축열로 구분하는 방법이 있다.
축열의 활용방법에는 축열조 방식, 태양열 방식, 집단에너지 같은 방법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축열조 방식은 물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고온수와 저온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저장한다. 온도차에 따른 물의 비중차로 축열조 아래에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저온수(Return Water)가 저장되고, 위에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고온수가가 저장된다. 축열조에는 배관이 연결되며 배관을 통해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게 되었다. 이때 온수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도에 맞춰 공급하지 못하고 랜덤 형태로 공급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8465호 (2012.05.1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2917호 (2016.05.16.)
본 발명은 하나의 축열조에 저장된 온수를 복수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도에 맞춰 공급할 수 있는 다중 축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축열장치는 열매체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 저장공간이 복수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온도가 다른 상기 열매체가 구획되어 저장되는 축열조, 펌프가 배치된 일단이 상기 축열조의 제1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밸브가 배치된 타단이 제1 열교환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공급 유동부, 제2 제어밸브가 배치된 일단이 상기 제1 제어밸브와 상기 제1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3 제어밸브가 배치된 타단이 제2 열교환부를 경유하여 상기 축열조의 제2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제1 강하유동부 및 제4 제어밸브가 배치된 일단이 상기 제1 강하유동부의 일단과 상기 제1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5 제어밸브가 배치된 타단이 제3 열교환부를 경유하여 상기 축열조의 제3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강하유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와 상기 제1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차단밸브, 상기 제1 차단밸브와 상기 제1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차단밸브, 제6 제어밸브가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펌프와 상기 제1 차단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4 제어밸브와 상기 제3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강하유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직접유동부, 제7 제어밸브가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제1 차단밸브와 상기 제2 차단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2 제어밸브와 상기 제2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강하유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직접유동부 및 제8 제어밸브가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제2 열교환부와 상기 제3 제어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강하유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4 제어밸브와 상기 제3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강하유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3 강하유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유동부에 배치된 하나의 펌프와 조절밸브, 차단밸브 등의 제어로 축열조에 저장된 열매체의 유동을 제어하게 되면서 열교환부들이 요구하는 온도의 열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하나의 펌프가 각 열교환부로 열매체를 공급하므로 펌프 구동에 따른 소비전력이 감소되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축열조 내부가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구획되고 각 저장공간마다 온도가 다른 열매체가 저장되므로 축열조 배치에 따른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간활용이 높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열교환부를 경유한 열매체를 배수하지 않고 축열조의 각 저장공간으로 유입되어 저장되므로 열매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축열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다중 축열 장치의 사용자들 요구 온도가 동일한 경우를 나타낸 열매체 흐름도.
도 3은 도 1의 다중 축열 장치의 사용자들 중 일부 사용자들의 요구 온도가 동일한 경우를 나타낸 열매체 흐름도.
도 4는 도 1의 다중 축열 장치의 사용자들의 요구 온도가 모두 다른 경우를 나타낸 열매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축열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축열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축열장치(1)는 가열부(10), 축열조(20), 공급유동부(30), 제1 강하유동부(40) 및 제2 강하유동부(50)를 포함한다. 다중 축열 장치는 제1 차단밸브(34), 제2 차단밸브(35), 제1 직접유동부(60), 제2 직접유동부(70) 및 제3 강하유동부(8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다중 축열 장치는 하나의 축열조(20)에 저장된 온수를 복수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도에 맞춰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가열부(10)는 물 따위의 열매체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10)는 히팅코일, 히트펌프 시스템 따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10)는 열매체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것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가열부(10)를 히팅코일, 히트펌프 시스템 따 따위 한정하지 않는다.
축열조(20)에는 가열부(10)에서 가열된 열매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21, 22, 23)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저장공간(21, 22, 23)은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다. 복수의 저장공간(21, 22, 23)의 열매체는 온다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에 위치한 제1 저장공간(21)의 열매체 온도는 60℃, 제2 저장공간(22)의 열매체 온도는 55℃, 제3 저장공간(23)의 열매체 온도는 50℃일 수 있다. 복수의 저장공간(21, 22, 23)의 열매체 온도는 복수의 사용자 요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축열조(20)의 외부 둘레에는 단열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도 1에서 저장공간(21, 22, 23)을 3개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저장공간(21, 22, 23)의 개수는 다중 축열 장치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저장공간(21, 22, 23)의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공급유동부(30)는 제1 열교환부(33)를 경유하며 일단과 타단이 제1 저장공간(21)과 연결되어 제1 저장공간(21)의 열매체가 유동할 수 있다. 공급유동부(30)의 일단에는 펌프(31)가 배치되어 있다. 펌프(31)의 구동으로 제1 저장공간(21)의 열매체는 공급유동부(30)를 따라 유동하며 제1 열교환부(33)에서 다른 매체와 열교환할 수 있다.
공급유동부(30)의 타측에는 제1 제어밸브(36)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제어밸브(36)는 제1 열교환부(33)를 경유한 열매체가 제1 저장공간(21)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한다. 그리고 펌프(31)와 제1 열교환부(33) 사이의 공급유동부(30) 부분에는 제1 차단밸브(3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차단밸브(34)와 제1 열교환부(33)의 사이에 제2 차단밸브(35)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펌프(31)와 제1 차단밸브(34)의 사이에는 유량조절밸브(32)가 배치되어 있다. 유량조절밸브(32)의 유량조절로 열교환부에 공급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제1 강하유동부(40)는 제2 열교환부(41)를 경유하며 일단은 제1 제어밸브(36)와 제1 열교환부(33)의 사이에서 공급유동부(3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강하유동부(40)의 일단에는 제2 제어밸브(42)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제어밸브(42)는 제1 열교환부(33)를 경유하여 온도가 낮아진 열매체가 제1 강하유동부(40)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강하유동부(40)의 타단은 제2 저장공간(22)과 연결되어 있다. 제1 강하유동부(40)의 타단에는 제3 제어밸브(43)가 배치되어 있다. 제3 제어밸브(43)는 제2 열교환부(41)를 경유하여 온도가 낮아진 열매체가 제2 저장공간(22)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강하유동부(50)의 제3 열교환부(51)를 경유하며 일단은 제1 강하유동부(40)의 일단과 제1 열교환부(33)의 사이에서 공급유동부(30)와 연결되어 있다. 제2 강하유동부(50)의 일단에는 제4 제어밸브(52)가 배치되어 있다. 제4 제어밸브(52)는 제1 열교환부(33)를 경유하여 온도가 낮아진 열매체가 제2 강하유동부(50)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강하유동부(50)의 타단은 제3 저장공간(23)과 연결되어 있다. 제2 강하유동부(50)의 타단에는 제5 제어밸브(53)가 배치되어 있다. 제5 제어밸브(53)는 제3 열교환부(51)를 경유하여 온도가 낮아진 열매체가 제3 저장공간(23)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직접유동부(60)는 열매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6 제어밸브(61)가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은 펌프(31)와 제1 차단밸브(34)의 사이에서 공급유동부(3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직접유동부(60)의 타단은 제4 제어밸브(52)와 제3 열교환부(51)의 사이에서 제2 강하유동부(5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차단밸브(34)와 제6 제어밸브(61)의 제어에 따라 열매체는 제1 직접유동부(60)를 유동하여 제2 강하유동부(50)로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열매체는 제6 제어밸브(61)의 제어로 제1 직접유동부(60)를 유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 직접유동부(70)는 열매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7 제어밸브(71)가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은 제1 차단밸브(34)와 제2 차단밸브(35)의 사이에서 공급유동부(30)와 연결되어 있다. 제2 직접유동부(70)의 타단은 제2 제어밸브(42)와 제2 열교환부(41)의 사이에서 제1 강하유동부(4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차단밸브(34), 제2 차단밸브(35) 및 제7 제어밸브(71)의 제어에 따라 열매체는 제2 직접유동부(70)를 유동하여 제1 강하유동부(40)로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열매체는 제7 제어밸브(71)의 제어로 제2 직접유동부(70)를 유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3 강하유동부(80)는 열매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8 제어밸브(81)가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은 제2 열교환부(41)와 제3 제어밸브(43)의 사이에서 제1 강하유동부(40)와 연결되어 있다. 제3 강하유동부(80)의 타측은 제4 제어밸브(52)와 제3 열교환부(51)의 사이에서 제2 강하유동부(5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강하유동부(40)를 유동하는 열매체는 제8 제어밸브(81)의 제어에 따라 제3 강하유동부(80)를 유동하여 제2 강하유동부(50)로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강하유동부(40)의 열매체는 제8 제어밸브(81)의 제어로 제1 강하유동부(40)를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각 열교환부를 경유한 열매체가 축열조의 각 저장공간으로 유입되어 다시 저장되므로 열매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에너지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위 설명과 도면에서 열교환부가 3개이고, 공급유동부와 강하유동부의 합이 3개 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들의 개수는 다중 축열장치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먼저, 도면 도 2를 참고하면, 3개의 열교환부가 60℃의 열매체를 동일하게 요구하는 경우 제1 차단밸브(34), 제2 차단밸브(35) 및 제1 제어밸브(36)는 개방된다. 그리고 제6 제어밸브(61), 제7 제어밸브(71), 제3 제어밸브(43) 및 제5 제어밸브(53)는 개방된다. 제2 제어밸브(42), 제4 제어밸브(52) 및 제8 제어밸브(81)는 닫힌다.
펌프(31)의 구동으로 제1 저장공간(21)에서 60℃를 유지하고 있는 열매체는 공급유동부(30)를 유동하여 제1 열교환부(33)를 경유하여 제1 저장공간(21)으로 다시 유입된다.
공급유동부(30)를 유동하는 열매체 중 일부는 제6 제어밸브(61)와 제7 제어밸브(71)의 개방으로 제1 직접유동부(60)와 제2 직접유동부(70)로 유동한다. 제1 직접유동부(60)의 열매체는 제2 강하유동부(50)를 유동하여 제3 열교환부(51)를 경유한 후 제5 제어밸브(53)를 통해 제3 저장공간(23)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2 직접유동부(70)의 열매체는 제1 강하유동부(40)를 유동하여 제2 열교환부(41)를 경유한 후 제3 제어밸브(43)를 통해 제2 저장공간(22)으로 유입된다.
공급유동부(30)에 배치된 하나의 펌프(31)를 이용하여 공급유동부(30), 제1 강하유동부(40) 및 제2 강하유동부(50)를 유동하는 60℃의 동일한 열매체 제1 내지 제3 열교환부(33, 41, 51)에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도면 도 3을 참고하면, 열교환부들 중 2개는 동일한 온도의 열매체를 요구하고 1개는 다른 온도의 열매체를 요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열교환부(33)는 60℃의 열매체를 요구하고, 제2 열교환부(41)와 제3 열교환부(51)는 55℃의 열매체를 요구하는 경우 제1 차단밸브(34), 제2 차단밸브(35), 제3 제어밸브(43) 및 제5 제어밸브(53)는 열리고 제1 제어밸브(36), 제6 제어밸브(61), 제7 제어밸브(71) 및 제8 제어밸브(81)는 닫힌다.
펌프(31)의 구동으로 제1 저장공간(21)에서 60℃를 유지하고 있는 열매체는 공급유동부(30)를 유동한다. 제6 제어밸브(61)와 제7 제어밸브(71)는 닫힌 상태이므로 공급유동부(30)의 60℃의 열매체는 제1 직접유동부(60)와 제2 직접유동부(70)를 유동하지 않는다. 공급유동부(30)의 60℃의 열매체는 제1 열교환부(33)를 경유하면서 다른 매체와 열교환을 할 수 있다. 60℃의 열매체는 열교환으로 온도가 하강하여 55℃가 될 수 있다. 55℃의 열매체는 공급유동부(30)를 따라 제1 제어밸브(36)의 방향으로 유동한다. 제1 제어밸브(36)가 닫혀 있고 제2 제어밸브(42) 및 제4 제어밸브(52)가 열려 있으므로 55℃의 열매체는 제1 강하유동부(40)와 제2 강하유동부(50)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제1 강하유동부(40)로 유입된 55℃의 열매체는 제2 열교환부(41)를 경유하여 다른 매체와 열교환한 후 제3 제어밸브(43)의 개방으로 제2 저장공간(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강하유동부(50)로 유입된 55℃의 열매체는 제3 열교환부(51)를 경유하여 다른 매체와 열교환한 후 제5 제어밸브(53)의 개방으로 제3 저장공간(23)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급유동부(30)에 배치된 하나의 펌프(31)로 제1 열교환부(33)가 요구하는 60℃의 열매체를 공급하고, 제1 열교환부(33)를 경유하면서 55℃로 낮아진 열매체를 제2 제어밸브(42) 및 제4 제어밸브(52)의 제어로 제2 열교환부(41)와 제3 열교환부(51)를 유동하도록 하여 요구하는 온도의 열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 도 4를 참고하면, 열교환부들이 모두 다른 온도의 열매체를 요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열교환부(33)는 60℃의 열매체를, 제2 열교환부(41)는 55℃의 열매체를 제3 열교환부(51)는 50℃의 열매체를 요구할 수 있다. 이때 제1 차단밸브(34), 제2 차단밸브(35), 제2 제어밸브(42), 제5 제어밸브(53) 및 제8 제어밸브(81)는 열매체가 유동하도록 개방된다. 그러나 제6 제어밸브(61), 제7 제어밸브(71), 제1 제어밸브(36) 및 제3 제어밸브(43)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펌프(31)의 구동으로 제1 저장공간(21)에서 60℃를 유지하고 있는 열매체는 공급유동부(30)를 유동한다. 제6 제어밸브(61)와 제7 제어밸브(71)는 닫힌 상태이므로 공급유동부(30)의 60℃의 열매체는 제1 직접유동부(60)와 제2 직접유동부(70)를 유동하지 않는다. 공급유동부(30)의 60℃의 열매체는 제1 열교환부(33)를 경유하면서 다른 매체와 열교환을 할 수 있다. 60℃의 열매체는 열교환으로 온도가 하강하여 55℃가 될 수 있다. 55℃의 열매체는 공급유동부(30)를 따라 제1 제어밸브(36)의 방향으로 유동한다.
제1 제어밸브(36)와 제4 제어밸브(52)가 닫혀 있고 제2 제어밸브(42)가 열려 있으므로 55℃의 열매체는 제1 강하유동부(40)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제1 강하유동부(40)의 55℃의 열매체는 제2 열교환부(41)를 경유하면서 다른 매체와 열교환을 할 수 있다. 55℃의 열매체는 열교환으로 온도가 하강하여 50℃가 될 수 있다.
제3 제어밸브(43)가 닫혀 있고 제8 제어밸브(81)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2 열교환부(41)를 경유한 열매체는 제3 강하유동부(80)를 통해 제2 강하유동부(50)로 유동할 수 있다. 제2 강하유동부(50)의 50℃의 열매체는 제3 열교환부(51)를 경유하면서 다른 매체와 열교환을 할 수 있다. 제3 열교환부(51)에 열교환으로 온도가 강하된 열매체는 개방된 제5 제어밸브(53)를 통해 제3 저장공간(23)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급유동부(30)에 배치된 하나의 펌프(31)로 제1 열교환부(33)가 요구하는 60℃의 열매체를 공급하고, 제1 열교환부(33)를 경유하면서 55℃로 낮아진 열매체를 제2 제어밸브(42)의 제어로 제2 열교환부(41)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2 열교환부(41)를 경유하면서 50℃로 낮아진 열매체를 제3 열교환부(51)로 공급하므로 각 열교환부로 온도가 상이한 열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유동부(30)의 유량조절밸브(32)의 이용하여 열매체의 유동량을 제어하여 열매체의 온도차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열교환부(33)가 열매체의 공급을 요구하지 않을 경우 제2 차단밸브(35)는 닫히며, 제2 열교환부(42)가 열매체의 공급을 요구하지 않을 경우 제7 제어밸브(71)와 제2 제어밸브(42)는 닫힐 수 있다. 제3 열교환부(51)가 열매체의 공급을 요구하지 않을 경우 제6 제어밸브(61)와 제4 제어밸브(52)는 닫힐 수 있다.
이에 공급유동부(30)에 배치된 하나의 펌프(31)와 조절밸브, 차단밸브 등의 제어로 축열조에 저장된 열매체의 유동을 제어하게 되면서 열교환부들이 요구하는 온도의 열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하나의 펌프(31)가 각 열교환부로 열매체를 공급하므로 펌프 구동에 따른 소비전력이 감소되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축열조(20) 내부가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구획되고 각 저장공간마다 온도가 다른 열매체가 저장되므로 축열조 배치에 따른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간활용이 높다.
또한 각 열교환부(33, 41, 51)를 경유한 열매체를 배수하지 않고 축열조의 각 저장공간으로 유입되어 저장되므로 열매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다중 축열장치 10: 가열부
20: 축열조 21: 제1 저장공간
22: 제2 저장공간 23: 제3 저장공간
30: 공급유동부 31: 펌프
32: 유량조절밸브 33: 제1 열교환부
34: 제1 차단밸브 35: 제2 차단밸브
36: 제1 제어밸브 40: 제1 강하유동부
41: 제2 열교환부 42: 제2 제어밸브
43: 제3 제어밸브 50: 제2 강하유동부
51: 제3 열교환부 52: 제4 제어밸브
53: 제5 제어밸브 60: 제1 직접유동부
61: 제6 제어밸브 70: 제2 직접유동부
71: 제7제어밸브 80: 제3 강하유동부
81: 제8 제어밸브

Claims (2)

  1. 열매체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
    저장공간이 복수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온도가 다른 상기 열매체가 구획되어 저장되는 축열조,
    펌프가 배치된 일단이 상기 축열조의 제1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밸브가 배치된 타단이 제1 열교환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공급 유동부,
    제2 제어밸브가 배치된 일단이 상기 제1 제어밸브와 상기 제1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3 제어밸브가 배치된 타단이 제2 열교환부를 경유하여 상기 축열조의 제2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제1 강하유동부 및
    제4 제어밸브가 배치된 일단이 상기 제1 강하유동부의 일단과 상기 제1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5 제어밸브가 배치된 타단이 제3 열교환부를 경유하여 상기 축열조의 제3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강하유동부
    를 포함하는 다중 축열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펌프와 상기 제1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차단밸브,
    상기 제1 차단밸브와 상기 제1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차단밸브,
    제6 제어밸브가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펌프와 상기 제1 차단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4 제어밸브와 상기 제3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강하유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직접유동부,
    제7 제어밸브가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제1 차단밸브와 상기 제2 차단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유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2 제어밸브와 상기 제2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강하유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직접유동부 및
    제8 제어밸브가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제2 열교환부와 상기 제3 제어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강하유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4 제어밸브와 상기 제3 열교환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강하유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3 강하유동부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축열장치.
KR1020200157774A 2020-11-23 2020-11-23 다중 축열 장치 KR102401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774A KR102401798B1 (ko) 2020-11-23 2020-11-23 다중 축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774A KR102401798B1 (ko) 2020-11-23 2020-11-23 다중 축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798B1 true KR102401798B1 (ko) 2022-05-26

Family

ID=8181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774A KR102401798B1 (ko) 2020-11-23 2020-11-23 다중 축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79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330B1 (ko) * 1993-06-07 1998-08-17 김광호 축열.축냉시스템의 복수 축열조
JP2004125289A (ja) * 2002-10-02 2004-04-22 Taikisha Ltd 潜熱蓄熱式冷熱源設備、及び、潜熱蓄熱式温熱源設備
JP2005147494A (ja) * 2003-11-14 2005-06-09 Osaka Gas Co Ltd 多温度蓄熱槽およびそれを用いた蓄熱システム
JP2007271163A (ja) * 2006-03-31 2007-10-18 Noritz Corp 戻り温水の回収方法および給湯システム
JP2008082688A (ja) * 2006-08-31 2008-04-10 Osaka Gas Co Ltd 蓄放熱装置、及び、熱供給システム
JP2011242088A (ja) * 2010-05-20 2011-12-01 Hitachi Appliances Inc 給湯機
KR101148465B1 (ko) 2011-10-12 2012-05-23 김진목 지역난방 축열조에서 동심원 다중 원통형 격실 구조를 갖는 부유식 오리피스 유닛
KR101622917B1 (ko) 2014-05-09 2016-05-20 주식회사 포스메이트 유체 분리형 축열방식을 이용한 지역난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330B1 (ko) * 1993-06-07 1998-08-17 김광호 축열.축냉시스템의 복수 축열조
JP2004125289A (ja) * 2002-10-02 2004-04-22 Taikisha Ltd 潜熱蓄熱式冷熱源設備、及び、潜熱蓄熱式温熱源設備
JP2005147494A (ja) * 2003-11-14 2005-06-09 Osaka Gas Co Ltd 多温度蓄熱槽およびそれを用いた蓄熱システム
JP2007271163A (ja) * 2006-03-31 2007-10-18 Noritz Corp 戻り温水の回収方法および給湯システム
JP2008082688A (ja) * 2006-08-31 2008-04-10 Osaka Gas Co Ltd 蓄放熱装置、及び、熱供給システム
JP2011242088A (ja) * 2010-05-20 2011-12-01 Hitachi Appliances Inc 給湯機
KR101148465B1 (ko) 2011-10-12 2012-05-23 김진목 지역난방 축열조에서 동심원 다중 원통형 격실 구조를 갖는 부유식 오리피스 유닛
KR101622917B1 (ko) 2014-05-09 2016-05-20 주식회사 포스메이트 유체 분리형 축열방식을 이용한 지역난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425B1 (ko) 급가열 및 급냉각을 위한 칠러 시스템
US4143814A (en) Control and transfer of energy
JP5097624B2 (ja) 温水供給システム
CN104236355A (zh) 设备装置藉自然蓄温体均温的系统
BR112018008605B1 (pt) Conjunto de consumidores de energia térmica locais e método para controlar um permutador de calor de consumidor de energia térmica
RU2010151421A (ru) Сеть для нагревания и охлаждения зданий
EP3726146B1 (en) Combined heating and cooling system
CA2455582A1 (en) Passive back-flushing thermal energy system
KR102614152B1 (ko) 히트펌프 시스템
KR102401798B1 (ko) 다중 축열 장치
US20150027659A1 (en) Controllable variable inertia fluid heating and storage system
CN112414192B (zh) 一种变热源梯级相变储能调控装置
ZA200400275B (en) Unit and method for supply of users with heat energy or chilling energy
JP2008064404A (ja) 蓄熱媒体直接混入式温調方法
JP2010286144A (ja) 蓄熱式給湯空調システム
JP5037985B2 (ja) 風呂装置
KR20200031951A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JP4889438B2 (ja) 熱供給システム
JP3891486B2 (ja) 潜熱蓄熱式冷熱源設備、及び、潜熱蓄熱式温熱源設備
US20130019858A1 (en) Solar heated water distribution system
ES2784956B2 (es) Sistema autonomo para calefaccion
CN209460660U (zh) 汽车试验用冷却介质低温高温切换控制装置
JP5982636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JP4953436B2 (ja) 蓄熱放熱システム
KR20230086034A (ko) 냉난방 신속대응 열원 히트펌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