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783B1 -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783B1
KR102401783B1 KR1020180002220A KR20180002220A KR102401783B1 KR 102401783 B1 KR102401783 B1 KR 102401783B1 KR 1020180002220 A KR1020180002220 A KR 1020180002220A KR 20180002220 A KR20180002220 A KR 20180002220A KR 102401783 B1 KR102401783 B1 KR 102401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signal
image
processing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448A (ko
Inventor
송원석
김신행
정유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783B1/ko
Priority to US16/960,405 priority patent/US11282237B2/en
Priority to PCT/KR2019/000123 priority patent/WO2019135625A1/ko
Publication of KR20190084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2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global image properties
    • G06T5/00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5/0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82Noise reduction or smoothing in the temporal domain; Spatio-temporal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 신호 처리 과정에서의 비트 수의 확장없이 입력 영상의 비트 수 대비 복원 영상의 비트 수의 확장만으로 영상 신호의 양자화 에러를 복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및 처리된 영상 신호의 비교를 통해 영상 처리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상 처리 종류에 따라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복원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복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리맵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에러를 복원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에러가 복원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Image Displaying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복원(Image Restoration)에 관한 것이다.
영상의 양자화(Image Quantization)는 영상 함수 f(x, y)의 값을 공간 좌표계에 디지털화하는 작업으로 신호의 강도에 따라 각 화소에 적절한 밝기 값의 범위를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양자화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함수 f(x, y)를 이산적인 양자화 레벨로 변경시키는 과정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정수 값 0, 1, 2,… n-1로 구성된 n개의 양자화 레벨로 영상의 값이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단순히 0과 1로 구성된 이진 영상(binary image)의 경우 양자화된 화소의 값은 단순히 0 또는 1을 갖게 되는 반면, 0을 가장 어두운 값으로 그리고 255를 가장 밝은 값으로 표현하는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 영상의 경우 화소의 양자화 범위는 0부터 255에 이른다.
양자화 과정은 입력 값을 양자화 스텝으로 나눈 후 정수화 함으로써 양자화된 값을 얻는다. 양자화된 값은 입력 값이 갖는 원래 범위에서 '1/양자화 스텝'만큼의 범위 내의 정수 값이 되므로, 양자화 과정에서 영상의 손실이 발생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신호 처리 과정에서의 비트 수의 확장없이 입력 영상의 비트 수 대비 복원 영상의 비트 수의 확장만으로 영상 신호의 양자화 에러를 복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및 처리된 영상 신호의 비교를 통해 영상 처리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상 처리 종류에 따라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복원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복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리맵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에러를 복원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에러가 복원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는, 상기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과; 상기 복원 정보 추출 및 상기 에러 복원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복원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 처리 블록에서는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비트 수가 확장되지 않고; 상기 신호 복원 블록에서는 상기 복원된 영상 신호의 비트 수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복원 블록에서의 영상 신호의 비트 수의 확장은 상기 신호 처리 블록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 신호의 비트 수보다 상기 신호 복원 블록의 출력 영상 신호의 비트 수가 더 크거나 같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 복원 블록은,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및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복원 정보를 추출하는 분석 로직과; 상기 복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에러를 복원하는 복원 로직을 포함한다.
입력 영상에서 동일한 값을 가졌던 픽셀들을 대상으로 신호 처리된 영상 화소 값의 평균, 분산,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영상 처리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 처리 종류는 글로벌(Global) 처리와 로컬(Local) 처리, 랜덤(Random) 처리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처리 종류가 상기 글로벌 처리일 때,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각 픽셀 별로 상기 신호 처리에 의해 변화한 어떤 픽셀 값으로부터 맵핑 함수를 추정한다.
상기 신호 처리 종류가 상기 랜덤 처리일 때,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내의 동일한 픽셀 값을 가진 픽셀들이 신호 처리된 영상에서 해당 픽셀들의 변화한 픽셀 값의 평균으로부터 상기 맵핑 함수를 추정한다.
상기 신호 처리 종류가 상기 랜덤 처리일 때, 상기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매핑 함수를 추정한다.
상기 복원 정보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맵핑 함수를 포함한다.
상기 다대일 맵핑 발생 영역을 상기 일대일 맵핑으로 변환하기 위해 선형 보간법을 이용한다.
상기 에러의 복원은, 상기 일대일 맵핑으로 변환된 상기 맵핑 함수를 스무딩 처리하고, 변환된 상기 맵핑 함수를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참조하여 리맵핑하여 복원된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에러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양자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자화 에러이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입력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단계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의 비교를 통해 영상 처리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상 처리 종류에 따라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복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리맵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에러를 복원하는 영상 복원 단계와; 상기 에러가 복원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처리 블록에서는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비트 수가 확장되지 않고; 상기 신호 복원 블록에서는 상기 복원된 영상 신호의 비트 수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복원 블록에서의 영상 신호의 비트 수의 확장은 상기 신호 처리 블록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 신호의 비트 수보다 상기 신호 복원 블록의 출력 영상 신호의 비트 수가 더 크거나 같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 복원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및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복원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분석 단계와; 상기 복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에러를 복원하는 영상 복원 단계를 포함한다.
입력 영상에서 동일한 값을 가졌던 픽셀들을 대상으로 신호 처리된 영상 화소 값의 평균, 분산,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영상 처리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 처리 종류는 글로벌(Global) 처리와 로컬(Local) 처리, 랜덤(Random) 처리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처리 종류가 상기 글로벌 처리일 때,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각 픽셀 별로 상기 신호 처리에 의해 변화한 어떤 픽셀 값으로부터 맵핑 함수를 추정한다.
상기 신호 처리 종류가 상기 랜덤 처리일 때,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내의 동일한 픽셀 값을 가진 픽셀들이 신호 처리된 영상에서 해당 픽셀들의 변화한 픽셀 값의 평균으로부터 상기 맵핑 함수를 추정한다.
상기 신호 처리 종류가 상기 랜덤 처리일 때, 상기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매핑 함수를 추정한다.
상기 복원 정보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맵핑 함수를 포함한다.
상기 다대일 맵핑 발생 영역을 상기 일대일 맵핑으로 변환하기 위해 보간법을 이용한다.
상기 에러의 복원은, 상기 일대일 맵핑으로 변환된 상기 맵핑 함수를 스무딩 처리하는 단계와; 변환된 상기 맵핑 함수를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참조하여 리맵핑하여 복원된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에러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양자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자화 에러이다.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신호 처리 과정에서의 비트 수의 확장없이 입력 영상의 비트 수 대비 복원 영상의 비트 수의 확장만으로 영상 신호의 양자화 에러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 복원 블록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복원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원본 입력 영상이 신호 처리 블록(402)에서 지수(exponential) 형태의 변환 커브를 통과한 뒤 정수화 과정에서 다대일 맵핑이 발생하고 일부 스텝이 손실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다대일 맵핑 발생 영역을 일대일 맵핑으로 변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원 로직에서 맵핑 함수에 스무딩을 적용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복원 블록(450)의 최종 영상 복원 결과를 입력 영상 신호 및 손실 영상 신호와 비교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입력 케이블(102)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영상 신호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서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친 후 디스플레이(104)를 통해 영상으로 표출된다. 영상 신호의 수신은 입력 케이블(102)을 대신하여 무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텔레비전으로 한정되지 않고, 데스크탑 모니터와 노트북, 감시 카메라, 프로젝터 등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영상 신호는 신호 입력부(210)와 영상 신호 처리부(250), 출력부(290)를 거쳐 출력 영상 신호로서 최종 출력된다. 영상 신호 처리부(250)에는 저장부(270)가 연결된다. 저장부(270)에는 영상 신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영상 신호 처리 시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전반에 관여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입력 영상 신호가 최종 출력되기까지의 신호 처리 과정의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200)에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연결된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신호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250)에서 일련의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출력부(290)를 통해 출력된다.
출력부(290)는 디스플레이(도 1의 1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영상 신호 수신(310)과 신호 처리 및 복원(350), 영상 출력(390)을 포함한다.
영상 수신(310)은, 도 1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처럼, 입력 케이블(102)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입력 케이블(102)을 대신하여 무선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신호 처리 및 복원(350)은, 입력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고, 입력 영상 신호 및 영상 처리된 신호로부터 복원 정보를 추출하며, 복원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처리된 신호의 양자화 에러를 복원한다.
영상 출력(390)은, 신호 처리 및 복원이 완료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104)를 통해 표출하여 사용자(시청자)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영상 신호 처리부(250)는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신호 처리 및 복원(350)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 신호 처리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402)과 적어도 하나의 신호 복원 블록(450)을 포함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250)에는 복수의 신호 처리 블록(402)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402)은 입력 영상 신호를 대상으로 일련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신호 처리 과정에서는 신호 처리 속도를 높이고 연산량을 줄이기 위해 입력 영상 신호의 양자화가 이루어진다. 양자화 과정은 영상 신호의 손실을 수반하기 때문에, 신호 복원 블록(450)에서는 양자화 과정에서 발생한 손실 즉 양자화 에러를 복원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250)에서, 입력 영상 신호가 신호 복원 블록(450)에 입력되기까지의 신호 처리 과정에서는 예를 들면 N비트의 영상 신호를 취급한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402)에서 취급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 N은 입력 영상 신호의 비트 수(Ni) 및 출력 영상 신호의 비트 수(No)에 반드시 종속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402)에서의 신호 처리 시에는 비트 수의 확장 없이 미리 정해진 N비트 범위 내에서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다. 비트 수의 확장은 오직 신호 복원 블록(450)에서만 이루어진다. 만약 신호 복원 블록(450)이 복수 개일 때에는 신호 흐름 상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신호 복원 블록(450)에서만 비트 수의 확장이 이루어진다. 이 때, 신호 처리 블록(402)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N)와 신호 복원 블록(45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No)는 'N ≤ No'의 관계를 갖는다. 즉, 신호 복원 블록(45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No)가 신호 처리 블록(402)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N)보다 크거나 같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250)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402)에서는 할당 비트 수가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할당 비트 수의 증가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 복원 블록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 복원 블록(450)은 분석 로직(552)과 복원 로직(554)을 포함한다. 분석 로직(552)에는 두 개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분석 로직(552)에 입력되는 첫 번째 영상 신호는 신호 흐름 상 분석 로직(552)의 앞 단에 위치하는 신호 처리 블록(402)(예를 들면 도 4의 신호 처리 블록 #k)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이다. 신호 처리 블록(402)이 복수 개일 때 k번째 신호 처리 블록(402)은 최종 단계에 배치된 신호 처리 블록(402)이다. 분석 로직(552)에 입력되는 두 번째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250)의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원본 입력 영상 신호이다. 분석 로직(552)은 첫 번째 영상 신호와 두 번째 영상 신호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해 복원 정보를 추출한다.
즉, 분석 로직(552)은 앞 단의 k번째 신호 처리 블록(402)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와 신호 처리를 거치지 않는 원본 입력 영상 신호를 서로 비교하고, 두 영상 신호 사이의 차이를 통해 원본 입력 영상 신호가 k 단계의 신호 처리를 거치면서 변화된 정도를 추출한다. 이와 같은 입력 영상 신호의 변화 정도는 후술하는 복원 로직(554)에서 양자화 에러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 정보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복원 정보는 원본 입력 영상 신호와 신호 처리 영상의 비교를 통해 구할 수 있는 모멘트와 히스토그램, 맵핑 함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원 로직(554)은 분석 로직(552)에서 추출한 복원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402)의 신호 처리 시 발생하는 양자화 에러를 복원한다. 이를 위해 복원 로직(554)은 신호 처리 블록(402)에서 신호 처리 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또 분석 로직(552)으로부터 복원 정보를 전달받는다. 원본 입력 영상 신호가 k 단계의 신호 처리를 거치면서 발생한 변화 정도를 복원 정보를 통해 알 수 있으므로, 복원 로직(554)은 복원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원본 입력 영상에 근접하도록 복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원 로직(554)은, 복원 정보의 맵핑 함수로부터 다대일 맵핑 발생 영역을 검출하고, 보간법을 이용하여 다대일 맵핑 발생 영역을 일대일 맵핑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맵핑 함수를 스무딩 처리하고, 변환된 맵핑 함수를 원본 입력 영상 신호를 참조하여 리맵핑하여 복원된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맵핑 함수는 각 픽셀 별로 대응하는 픽셀 값을 나타낸다. 원본 영상 신호의 맵핑 함수와 양자화된 영상 신호의 맵핑 함수를 비교하여 그 차이(양자화 에러)가 제거되도록 리맵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대일 맵핑 발생 영역을 일대일 맵핑으로 변환한 다음, 변환된 맵핑 함수를 스무딩 처리할 수 있다. 맵핑 함수를 스무딩 처리함으로써 전체 신호 처리 과정을 포괄하면서도 부드러운 특성을 가지는 이상적인 형태에 가까운 맵핑 함수를 얻을 수 있다. 스무딩 과정은 선택 요소로서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복원 방법을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복원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앞서 설명한 도 3의 신호 처리 및 복원 단계(350)에서 이루어지는 영상 복원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602 단계에서는 입력 영상 신호의 신호 처리가 이루어지고, 622 내지 624 단계에서는 복원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영상 분석이 이루어지며, 642 내지 648 단계에서는 복원 정보를 참조하여 양자화 에러를 복원하는 영상 복원이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402)에서는 수신된 입력 영상 신호를 대상으로 k 단계의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402)에 의해 k 단계의 신호 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양자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자화 에러로 인해 영상 신호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에 설명하는 영상 분석 단계 및 영상 복원 단계에서는 이 양자화 에러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 작업이 이루어진다.
신호 복원 블록(450)의 분석 로직(552)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402)에 의해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와 원본 입력 영상 신호를 비교 및 분석하여 신호 처리 영상으로부터 복원 정보를 추출한다(622). 복원 정보는 원본 입력 영상 신호와 신호 처리 영상의 비교를 통해 구할 수 있는 모멘트와 히스토그램, 맵핑 함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의 모멘트는 영상의 통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입력 영상 내 같은 값을 가졌던 픽셀들을 대상으로 신호 처리된 영상 화소 값의 평균, 분산, 표준 편차 등을 포함한다. 영상 신호의 모멘트를 이용하면 상기 신호 처리 블록에서 글로벌(Global), 지역적(Local) 또는 랜덤한 신호 처리 과정이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또 글로벌, 지역적 또는 랜덤한 신호 처리 과정 각각의 고유의 신호 처리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히스토그램은 입력 영상의 신호 값 별로 신호 처리된 영상의 화소 값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맵핑 함수는 원본 입력 영상의 픽셀 값과 대응하는 신호 처리 영상의 픽셀 값의 변화로부터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처리가 영상의 전 영역에 걸쳐 전역적(Global)으로 이루어지고 또 신호 처리에 의한 변화가 결정성(Deterministic)을 가질 때(즉 랜덤하지 않을 때), 원본 입력 영상의 각 픽셀 별로 해당 픽셀 값이 신호 처리에 의해 어떤 픽셀 값으로 변화했는지를 통해 맵핑 함수를 추정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영상 처리 과정이 디더링(Dithering)과 같은 랜덤한 과정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입력 영상 신호 내의 동일한 픽셀 값을 가진 픽셀들이 신호 처리된 영상에서 해당 픽셀들의 변화한 픽셀 값의 평균으로부터 맵핑 함수를 추정할 수 있다. 맵핑 함수는 각 픽셀 별로 대응하는 픽셀 값을 나타내는데, 랜덤한 과정을 포함하는 영상 신호 처리를 거친 영상 신호의 경우에는 픽셀 값의 평균을 구하여 랜덤한 요소를 제거한 후 맵핑 함수를 추정할 수 있다. 만약 신호 처리가 영상의 일부 영역에 대해 지역적(Local)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전체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영역 각각을 대상으로 맵핑 함수를 추정할 수 있다.
복원 정보가 추출되면, 추출된 복원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 영상을 양자와 에러가 없는 이상적인 영상 처리 결과에 가깝게 복원한다. 영상 복원의 첫 번째 단계로서, 복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맵핑 함수로부터 영상 내에 존재하는 다대일(Many-to-One) 맵핑 발생 영역을 검출한다(642).
도 7은 원본 입력 영상이 신호 처리 블록(402)에서 지수(exponential) 형태의 변환 커브를 통과한 뒤 정수화 과정에서 다대일 맵핑이 발생하고 일부 스텝이 손실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x축은 픽셀 컬럼이고 y축은 픽셀 값이다. 도 7의 (I)은 원본 입력 영상 및 x축의 단면이다. 도 7의 (II)는 신호 처리 영상 및 x축 단면이다. 도 7의 (I)에서는 50픽셀 컬럼마다 그라데이션이 구분 가능하도록 잘 표현되어 있지만, 도 7의 (II)에서는 신호 처리 블록(402)에서의 영상 처리 시 발생하는 스텝 손실로 인해 0-50 픽셀 컬럼 및 51-100 픽셀 컬럼은 구분이 어려운 상태이다. 또한 도 7의 (II)에서 101-150 픽셀 컬럼 및 151-200 픽셀 컬럼 역시 스텝 손실로 인해 구분이 어려운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복원에서는 도 7의 (II)에 나타낸 것과 같은 영상 신호의 손실을 복원하고자 한다. 단, 신호 처리 블록(402)에서는 지수 형태의 변환 커브 외에 다른 형태의 신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지수 형태의 변환 커브 이외의 다른 신호 처리 결과에 대해서도 영상 신호의 복원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6으로 돌아와서, 복원 로직(554)에서는 다대일 맵핑 발생 영역을 일대일 맵핑으로 변환한다(644).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복원 로직(554)에서는 다대일 맵핑 발생 영역을 일대일 맵핑으로 변환하기 위해 다양한 보간법(Interpolation)을 이용할 수 있다. 보간법의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선형 보간법(Linear Interpolation)을 이용할 수 있다.
선형 보간법은 직선을 활용한 보간법이다. 주어진 점들을 직선으로 이어서 곡선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2개의 점이 주어졌을 때, 2점을 지나는 함수 f(x)를 직선의 방정식으로 구한다. 즉, y=f(x)의 곡선 상의 두 점(xi, yi)(xi +1, yi 1)이 주어진 경우, 임의의 점 x에 대해 f(x)의 근사값 P(x)를 이 두 점(xi, yi)(xi +1, yi 1)을 직선으로 연결한 x의 1차 함수로서 구하는 방법이다. 두 점을 맺는 직선은 아래의 식 1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것을 y에 관하여 풀고, y=p(x)로 놓으면 아래의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1)
Figure 112018002051449-pat00001
(식 2)
Figure 112018002051449-pat00002
예를 들면, 최초 맵핑 함수 f의 경우 f(1)=0이지만, 선형 보간법을 적용하면 f(1)=(f(0)+f(2))/2=0.5가 된다. 선형 보간법에서는 데이터로 주어지는 점들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더 좋은 근사값을 얻을 수 있다.
도 8은 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다대일 맵핑 발생 영역을 일대일 맵핑으로 변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도 7의 (II)에서는 스텝 손실로 인해 0-100 픽셀 컬럼 구간과 101-200 픽셀 컬럼 구간에서 구분이 어려운 상태임을 나타낸 바 있다. 도 8에서는 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다대일 맵핑 발생 영역을 일대일 맵핑으로 변환함으로써 0-50 픽셀 컬럼과 51-100 픽셀 컬럼, 101-150 픽셀 컬럼, 151-200 픽셀 컬럼 사이의 구분이 명확하다. 도 7의 (I)과 도 7의 (II), 도 8을 차례로 비교하면 신호 처리 영상의 스텝 손실이 복원되어 원본 입력 영상 신호에 가까운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6으로 돌아와서, 복원 로직(554)은 변환된 맵핑 함수를 스무딩(Smothing) 처리한다(646). 스무딩 과정은 선택 요소로서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처리 과정의 맵핑 함수는 부드러운 특성을 가진다. 맵핑 함수가 급격히 변화하는 경우에는, 영상 처리 과정에서 의사 윤곽(False Contour)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여러 단계의 신호 처리를 거친 결과 영상을 이용하여 맵핑 함수를 구해 보면 양자화로 인하여 급격히 변하는 지점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맵핑 함수를 스무딩함으로써 전체 신호 처리 과정을 포괄하면서도 부드러운 특성을 가지는 이상적인 형태에 가까운 맵핑 함수를 얻을 수 있다.
스무딩을 위한 필터로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실시예로는 평균 필터(Mean Filter)와 가우시안 필터(Gaussian Filter)를 예로 들 수 있다. 평균 필터에서는 모든 픽셀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한다. 가우시안 필터에서는 마스크 중앙으로 갈수록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원 로직에서 맵핑 함수에 스무딩을 적용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원 로직(554)에서는, 각 다대일 맵핑 발생 영역마다 보간법을 적용하여 얻어낸 변환된 일대일 맵핑이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형태를 갖도록 스무딩을 적용한다.
다시 도 6으로 돌아와서, 복원 로직(554)은 변환된 맵핑 함수를 원본 입력 영상 신호를 참조하여 리맵핑하여 복원된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648).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복원 블록(450)의 최종 영상 복원 결과를 입력 영상 신호 및 손실 영상 신호와 비교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I)은 부동 소수점 연산을 이용한 이상적인 출력 영상 신호이고, (II)는 양자화 에러로 인해 스텝 손실이 발생한 영상 신호이며, (III)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원된 영상 신호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복원 블록(450)의 복원 작업을 통해 손실 영상의 스텝이 복원됨으로써, 픽셀의 변화가 부동 소수점을 이용하는 이상적인 경우에 가깝게 복원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영상 신호 처리부(250)는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신호 처리 및 복원(350)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다만, 도 11의 영상 신호 처리부(250)는 복수의 신호 복원 블록(1150)를 포함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 신호 처리부(250)는 복수의 신호 처리 블록(1102)와 복수의 신호 복원 블록(1150)를 포함한다. 복수의 신호 복원 블록(1150) 가운데 마지막 신호 복원 블록(1150)는 마지막 신호 처리 블록(1102)의 다음에 위치한다. 나머지 신호 복원 블록(1150)는 복수의 신호 처리 블록(1102)의 중간에 배치되어 일정 수준의 영상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 영상 신호에 대해 복원 작업을 수행한 후 복원된 영상 신호를 다음 신호 처리 블록(1102)로 전달한다.
도 11에서, 복수의 신호 복원 블록(1150) 각각에는 원본 입력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즉, 복수의 신호 복원 블록(1150) 각각에서는 앞 단의 신호 처리 블록(1102)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와 원본 입력 영상 신호의 두 개의 신호를 입력 신호로서 수신한다.
영상 신호 처리를 위해 매우 많은 단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영상 신호 처리의 중간에 적어도 하나의(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신호 복원 블록(1150)를 배치함으로써 양자화 에러로 인한 영상 왜곡이 복원이 불가능한 수준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250)에서, 입력 영상 신호가 신호 복원 블록(1150)에 입력되기까지의 신호 처리 과정에서는 예를 들면 N비트의 영상 신호를 취급한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1102)에서 취급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 N은 입력 영상 신호의 비트 수(Ni) 및 출력 영상 신호의 비트 수(No)에 반드시 종속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1102)에서의 신호 처리 시에는 비트 수의 확장 없이 미리 정해진 N비트 범위 내에서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다. 비트 수의 확장은 오직 신호 복원 블록(1150)에서만 이루어진다. 만약 신호 복원 블록(1150)가 복수 개일 때에는 신호 흐름 상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신호 복원 블록(1150)에서만 비트 수의 확장이 이루어진다. 이 때, 신호 처리 블록(1102)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N)와 신호 복원 블록(115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No)는 'N ≤ No'의 관계를 갖는다. 즉, 신호 복원 블록(115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No)가 신호 처리 블록(1102)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N)보다 크거나 같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250)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1102)에서는 할당 비트 수가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할당 비트 수의 증가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영상 신호 처리부(250)는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신호 처리 및 복원(350)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다만, 도 12의 영상 신호 처리부(250)는 복수의 신호 복원 블록(1150)를 포함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 신호 처리부(250)는 복수의 신호 처리 블록(1202)와 복수의 신호 복원 블록(1250)를 포함한다. 복수의 신호 복원 블록(1250) 가운데 마지막 신호 복원 블록(1250)는 마지막 신호 처리 블록(1202)의 후단에 마련된다. 나머지 신호 복원 블록(1250)는 복수의 신호 처리 블록(1202)의 중간에 배치되어 일정 수준의 영상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 영상 신호에 대해 복원 작업을 수행한 후 복원된 영상 신호를 다음 신호 처리 블록(1202)로 전달한다.
도 12에서, 복수의 신호 복원 블록(1250) 가운데 첫 번째 신호 복원 블록(#1)(1250)에만 원본 입력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두 번째 이후에 배치된 신호 복원 블록(1250)에는 선행하는 신호 복원 블록의 출력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영상 신호 처리를 위해 매우 많은 단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영상 신호 처리의 중간에 적어도 하나의(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신호 복원 블록(1250)를 배치함으로써 양자화 에러로 인한 영상 왜곡이 복원이 불가능한 수준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12에 나타낸 구조에서는 선행하는 신호 복원 블록(1250)의 출력 영상 신호를 다음 단에 배치되는 신호 복원 블록(1250)의 입력으로 전달함으로써,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250)에서, 입력 영상 신호가 신호 복원 블록(1250)에 입력되기까지의 신호 처리 과정에서는 예를 들면 N비트의 영상 신호를 취급한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1202)에서 취급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 N은 입력 영상 신호의 비트 수(Ni) 및 출력 영상 신호의 비트 수(No)에 반드시 종속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1202)에서의 신호 처리 시에는 비트 수의 확장 없이 미리 정해진 N비트 범위 내에서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다. 비트 수의 확장은 오직 신호 복원 블록(1250)에서만 이루어진다. 만약 신호 복원 블록(1250)가 복수 개일 때에는 신호 흐름 상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신호 복원 블록(#m)(1250)에서만 비트 수의 확장이 이루어진다. 이 때, 신호 처리 블록(1202)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N)와 신호 복원 블록(125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No)는 'N ≤ No'의 관계를 갖는다. 즉, 신호 복원 블록(125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No)가 신호 처리 블록(1202)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비트 수(N)보다 크거나 같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부(250)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1202)에서는 할당 비트 수가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할당 비트 수의 증가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02 : 입력 케이블
104 : 디스플레이
200 : 제어부
210 : 신호 입력부
230 : 사용자 입력부
250 : 영상 신호 처리부
270 : 저장부
290 : 출력부
402, 1102, 1202 : 신호 처리 블록
450, 1150, 1250 : 신호 복원 블록
552 : 분석 로직
554 : 복원 로직

Claims (25)

  1. 입력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처리 영상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및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비교를 통해 영상 처리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상 처리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및 상기 처리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영상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해당하는 복원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에러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복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영상 신호를 리맵핑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리맵핑된 처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와 상기 처리 영상 신호를 비교하여 다대일 매핑이 수행되는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다대일 매핑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영역에서 선형 보간을 수행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는,
    상기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블록과;
    상기 복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리맵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복원 블록을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블록에서는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비트 수가 확장되지 않고;
    상기 신호 복원 블록에서는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비트 수가 확장될 수 있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복원 블록에서의 영상 신호의 비트 수의 확장은 상기 신호 처리 블록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 신호의 비트 수보다 상기 신호 복원 블록의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비트 수가 더 크거나 같은 것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복원 블록은,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및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복원 정보를 추출하는 분석 로직과;
    상기 복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 영상 신호를 리맵핑하는 복원 로직을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서 동일한 값을 가졌던 픽셀들을 대상으로 신호 처리된 영상 화소 값의 평균, 분산,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영상 처리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 처리 종류는 글로벌(Global) 처리와 로컬(Local) 처리, 랜덤(Random) 처리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종류가 상기 글로벌 처리일 때,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각 픽셀 별로 상기 신호 처리에 의해 변화한 어떤 픽셀 값으로부터 맵핑 함수를 추정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종류가 상기 랜덤 처리일 때,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내의 동일한 픽셀 값을 가진 픽셀들이 신호 처리된 영상에서 해당 픽셀들의 변화한 픽셀 값의 평균으로부터 맵핑 함수를 추정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종류가 상기 랜덤 처리일 때, 상기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을 대상으로 매핑 함수를 추정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정보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맵핑 함수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정보를 이용한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리맵핑은,
    일대일 맵핑으로 변환된 맵핑 함수를 스무딩 처리하고, 변환된 상기 맵핑 함수를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참조하여 리맵핑하여 복원된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양자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자화 에러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4. 입력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처리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처리 단계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및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비교를 통해 영상 처리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상 처리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및 상기 처리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영상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해당하는 복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에러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복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영상 신호를 리맵핑하는 영상 복원 단계와;
    상기 리맵핑된 처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리맵핑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와 상기 처리 영상 신호를 비교하여 다대일 매핑이 수행되는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다대일 매핑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영역에서 선형 보간을 수행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행에서는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비트 수가 확장되지 않고;
    상기 복원 정보 획득에서는 상기 리맵핑된 처리 영상 신호의 비트 수가 확장될 수 있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복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리맵핑된 처리 영상 신호의 비트 수의 확장은, 상기 처리 영상 신호의 비트 수보다 크거나 같은 것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및 상기 처리 영상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복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영상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서 동일한 값을 가졌던 픽셀들을 대상으로 신호 처리된 영상 화소 값의 평균, 분산,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영상 처리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 처리 종류는 글로벌(Global) 처리와 로컬(Local) 처리, 랜덤(Random) 처리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종류가 상기 글로벌 처리일 때,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각 픽셀 별로 상기 신호 처리에 의해 변화한 어떤 픽셀 값으로부터 맵핑 함수를 추정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종류가 상기 랜덤 처리일 때,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내의 동일한 픽셀 값을 가진 픽셀들이 신호 처리된 영상에서 해당 픽셀들의 변화한 픽셀 값의 평균으로부터 맵핑 함수를 추정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종류가 상기 랜덤 처리일 때, 상기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을 대상으로 매핑 함수를 추정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정보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맵핑 함수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3. 삭제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의 리맵핑은,
    일대일 맵핑으로 변환된 맵핑 함수를 스무딩 처리하는 단계와;
    변환된 상기 맵핑 함수를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참조하여 리맵핑하여 상기 리맵핑된 처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양자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자화 에러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80002220A 2018-01-08 2018-01-08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1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220A KR102401783B1 (ko) 2018-01-08 2018-01-08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960,405 US11282237B2 (en) 2018-01-08 2019-01-04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9/000123 WO2019135625A1 (ko) 2018-01-08 2019-01-04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220A KR102401783B1 (ko) 2018-01-08 2018-01-08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448A KR20190084448A (ko) 2019-07-17
KR102401783B1 true KR102401783B1 (ko) 2022-05-26

Family

ID=6714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220A KR102401783B1 (ko) 2018-01-08 2018-01-08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82237B2 (ko)
KR (1) KR102401783B1 (ko)
WO (1) WO2019135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643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96396B1 (ko) * 2019-10-21 2020-12-30 (주)에스비네트워크 유동적인 디스플레이 패널 글래스의 표면 결함 검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2341A1 (en) * 2002-03-20 2003-09-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iffusing clipping error
JP2009282977A (ja) * 2008-05-19 200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入力ガンマディザ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1010834A2 (ko) * 2009-07-21 2011-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630B1 (ko) * 1996-10-09 1999-06-15 윤종용 밝기 보상 기능을 가진 양자화된 평균-매칭 히스토그램 등화를 이용한 화질 개선방법 및 그 회로
KR100456017B1 (ko) * 2002-02-06 2004-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히스토그램 매칭을 이용한 콘트라스트 향상 장치 및 방법
JP2013106333A (ja) * 2011-11-17 2013-05-30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20140022122A (ko) * 2012-08-10 2014-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율―왜곡 최적화를 이용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2341A1 (en) * 2002-03-20 2003-09-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iffusing clipping error
JP2009282977A (ja) * 2008-05-19 200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入力ガンマディザ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1010834A2 (ko) * 2009-07-21 2011-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34865A1 (en) 2020-10-22
WO2019135625A1 (ko) 2019-07-11
US11282237B2 (en) 2022-03-22
KR20190084448A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76B1 (ko) 이미지/비디오 처리를 위한 선형 인코더
JP522923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伸張装置、画像圧縮装置、画像伝送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
CN109146813B (zh) 一种多任务图像重建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1784570A (zh) 一种视频图像超分辨率重建方法及设备
CN109191411B (zh) 一种多任务图像重建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4868401A (zh) 使用下采样/上采样和深度图非线性滤波对视频数据的编码方案
US2012032121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105581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2401783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4140346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装置
CN112967207A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80067781A (ko) 분할영상의 병렬 처리를 이용한 고화질 영상의 초고해상도 업스케일링 방법
CN105723416B (zh) 图像降噪方法
CN111083478A (zh) 一种视频帧重构方法、装置及终端设备
JP3924032B2 (ja) 輪郭線符号化方法及び輪郭線符号化装置
JP2009157449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
CN115861048A (zh) 图像超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190170B2 (ja) 空間・階調削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469513B1 (ko) 영상여기신호를 이용한 다중 텍스쳐 이미지 기반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Liu et al. Soft-IntroVAE for Continuous Latent Space Image Super-Resolution
CN110335286B (zh) 灰度阈值的获取方法、计算机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JP5934031B2 (ja) 階調削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469515B1 (ko) 영상센서여기신호를 이용한 다중 텍스쳐 기반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22268236A1 (en) Image compression and associated color approximation
JP3456617B2 (ja) 領域分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