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687B1 - 정량제어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정량제어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687B1
KR102401687B1 KR1020200083943A KR20200083943A KR102401687B1 KR 102401687 B1 KR102401687 B1 KR 102401687B1 KR 1020200083943 A KR1020200083943 A KR 1020200083943A KR 20200083943 A KR20200083943 A KR 20200083943A KR 102401687 B1 KR102401687 B1 KR 102401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quantitative
housing
piston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6232A (ko
Inventor
조성윤
추현욱
Original Assignee
랩앤피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랩앤피플주식회사 filed Critical 랩앤피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6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05C17/011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piston driving means
    • B05C17/012Stepwise advancing mechanism, e.g. pawl and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34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conducting intermittent application of small quantities, e.g. drops, of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5Pen-like spr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량제어 디스펜서는 충진재가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충진재를 가압하여 토출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가압부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정량토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량제어 디스펜서는 가압부에 형성된 톱니기어와 정량토출부의 걸림체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하여, 가압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충진재를 토출시킨 후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정확성이 높은 정량토출이 가능하다. 또한 토출량 조절부재의 나사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가압부가 충진재를 가압하는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어 충진재의 토출량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높다.

Description

정량제어 디스펜서{Dispenser with controlling quantitative}
본 발명은 정량제어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액상의 충진재를 정량으로 토출할 수 있는 정량제어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는 내부에 충진재를 저장하고 필요시에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인 것으로, 앰플, 로션, 크림과 같은 화장품에 사용되거나 세제, 샴푸 등과 같은 생활용기, 기판의 표면실장기술, 반도칩 제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펜서는 각각의 충진재를 일정 유량으로 토출하도록 개발되어 있으나, 지속적으로 정확한 유량의 충진재가 토출되도록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종래의 디스펜서 중 제어기와 펌프, 모듈제어 등을 이용하여 충진재가 정량으로 토출되도록 개발된 디스펜서가 개발된 바 있으나, 정량 토출을 위한 부가적인 제어장치들이 요구되어 장치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간편한 구조로 충진재의 정량 토출이 가능하며 토출량 제어의 정확성을 높여 사용효율성을 높인 디스펜서가 요구된다.
종래의 정밀토출 제어 디스펜서와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914166호가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간편한 구조로 충진재의 정량토출이 가능하며 토출량 제어의 정확성 및 사용효율성이 높은 정량토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제어 디스펜서에 따르면 충진재가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충진재를 가압하여 토출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가압부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정량토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량토출부는, 외부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가압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충진재가 저장되는 충진공간과, 상기 충진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정량토출부가 구비되는 토출제어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토출제어공간에서 상기 충진공간이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충진재를 가압 토출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마련되며, 제1수직면과 제1경사면이 형성된 톱니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량토출부는,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톱니기어와 접촉되는 걸림체와,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토출제어공간 사이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체는, 상기 하우징이 외부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이동되면, 상기 톱니기어의 제1수직면을 가압하여 상기 피스톤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톱니기어의 제1경사면 및 제1수직면과 접촉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체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피스톤에 배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프레임과, 상기 탄성프레임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1수직면과 접촉되는 제2수직면과,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정량제어 디스펜서는 상기 정량토출부의 직선 왕복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이동거리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거리 제한부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정량토출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동홈과, 상기 정량토출부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는 이동제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량제어 디스펜서는 상기 정량토출부의 직선 왕복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캡 형태의 토출량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량 조절부재는, 상기 정량토출부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가공부와, 상기 나사가공부에 나사결합된 채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토출량 조절부재는, 상기 나사가공부와 상기 캡부가 결합되는 나사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충진재의 토출량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량제어 디스펜서는 가압부에 형성된 톱니기어와 정량토출부의 걸림체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하여, 가압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충진재를 토출시킨 후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정확성이 높은 정량토출이 가능하다.
또한 토출량 조절부재의 나사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가압부가 충진재를 가압하는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어 충진재의 토출량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제어 디스펜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정량제어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정량제어 디스펜서의 몸체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정량제어 디스펜서의 가압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정량제어 디스펜서의 정량토출부와 토출량 조절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정량제어 디스펜서의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정량제어 디스펜서의 가압부와 정량토출부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8는 도 7에 도시한 정량제어 디스펜서에서 걸림체가 탄성변형한 모습을 도시한 상태단면도,
도 9 도 1에 도시한 정량제어 디스펜서의 피스톤이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정량제어 디스펜서의 토출량 조절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정량제어 디스펜서의 토출량 조절부재의 캡부의 나사결합 위치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제어 디스펜서(10)는, 디스펜서 내부에 저장된 충진재를 토출시킬 시, 매회 토출되는 충진재의 토출량이 정량이 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충진재는 점성을 가진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량제어 디스펜서(10)는 몸체(100), 가압부(200), 정량토출부(300), 이동거리 제한부(400), 토출량 조절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충진재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충진공간(110)과, 토출제어공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공간(110)은 충진재가 저장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몸체(100)의 내부 일측에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충진공간(110)의 일단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토출구(101)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01)를 통하여 충진재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충진공간(110)내에 충진되어있던 충진재가 상기 토출구(101) 측으로 가압되는 힘을 받아 상기 토출구(101)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구(101)의 직경은 상기 충진공간(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구(101)의 직경이 상기 충진공간(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액상의 충진재가 토출 될시, 상기 토출구(101)에 충진재가 맺히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정량의 충진재가 토출되어 토출량 제어의 정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제어공간(120)은 상기 충진공간(110)에 저장되는 충진재를 토출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충진공간(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채로 상기 충진공간(110)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토출제어공간(120)은 상기 몸체(100)의 내부 타측에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충진공간(110)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제어공간(120)이 상기 충진공간(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토출제어공간(120)의 일단에는 단턱(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제어공간(120)에는 후술(後述) 할 가압부(200)와 정량토출부(30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토출제어공간(120)에는 가이드로드(122)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로드(122)는 상기 정량토출부(300)의 왕복직선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토출제어공간(120)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로드(122)는 상기 토출제어공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200)는 충진재를 가압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가압부(200)는, 피스톤(210)과 톱니기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210)은 상기 토출제어공간(120)에서 상기 충진공간(110)이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충진재를 가압 토출시킨다. 즉, 상기 피스톤(210)은 상기 토출제어공간(120)에 구비되며, 힘을 전달받아 상기 충진공간(110)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충진재를 가압함으로써 충진재가 토출구(101)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210)의 일단은 상기 충진공간(110)의 일단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단의 외주면을 따라 실링(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230)은, 상기 피스톤(210)이 상기 충진공간(110)의 내주면에 면밀착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충진재를 가압시키기에 용이하다. 또한 상기 피스톤(210)이 힘을 인가받아 토출구(101) 측으로 이동할 시, 상기 실링(230)이 상기 충진공간(110)의 내주면에 면밀착함으로써 상기 충진공간(110)의 내주면과 상기 실링(230)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210)의 이동된 위치를 용이하게 유지 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피스톤(230)의 일단의 외주면에 실링(230)을 구비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단이 상기 충진공간(110)의 내주면에 면밀착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210)과 상기 충진공간(110)의 내주면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210)의 이동된 위치가 유지되도록 적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톱니기어(220)는 상기 피스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마련된다. 상기 톱니기어(220)는 제1수직면(221)과 제1경사면(2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면(221)은 상기 피스톤(2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222)은 상기 충진공간(110)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톱니기어(220)는 상기 정량토출부(300)와 맞물려 상기 피스톤(210)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량토출부(300)는 상기 가압부(200)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정량의 충진재를 토출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서 힘을 인가받아 상기 가압부(200)에 힘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가압부(200)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정량토출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몸체(100)의 상기 토출제어공간(120) 내에 배치되어 직선 왕복이동함으로써 상기 가압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정량토출부(300)는, 외부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가압부(200)를 일방향으로만 이동시키고,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정량토출부(300)는, 하우징(310)과 걸림체(320)와 탄성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피스톤(210)을 수용하는 중공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310)의 내주면에 상기 피스톤(210)의 외주면이 맞닿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토출제어공간(120) 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구비되며, 상기 토출제어공간(120)에서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31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슬릿(3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311)은 상기 가이드로드(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슬릿(311)에 상기 가이드로드(122)가 삽입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슬릿(311)에 상기 가이드로드(122)가 삽입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우징(310)이 왕복직선 운동 시 안정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가이드슬릿(311)은 상기 하우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체(320)는 상기 하우징(310)에 마련되어 상기 톱니기어(220)와 접촉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체(320)는 상기 하우징(310)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310)의 일단의 일부에 탄성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체(320)는 상기 탄성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체(320)는, 상기 하우징(310)이 외부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충진공간(110)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톱니기어(220)의 제1수직면(221)을 가압하여 상기 피스톤(210)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후 상기 하우징(310)으로 전달되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톱니기어(220)의 제1경사면(222) 및 제1수직면(221)과 접촉되어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피스톤(210)이 이동된 상태에서 그 위치를 유지시킨다. 상기 걸림체(320)는, 탄성프레임(321)과 걸림돌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프레임(321)은 상기 탄성공간 내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3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피스톤(210)이 배치되는 방향인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탄성프레임(321)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에 의하여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즉 상기 탄성프레임(321)은, 타단이 상기 피스톤(21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톱니기어(220)에 맞닿은 타단에 힘이 인가되면 상기 탄성공간을 통하여 몸체(100)측으로 탄성 변형 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322)는 상기 탄성프레임(321)의 타단에 마련된다. 상기 걸림돌기(322)는 상기 톱니기어(22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톱니기어(220)의 사이에 걸림배치 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322)는 상기 제1수직면(221)과 접촉되는 제2수직면(3221)과 상기 제1경사면(222)과 접촉되는 제2경사면(32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수직면(3221)은 상기 제1수직면(221)에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3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3222)은 상기 제1경사면(222)에 맞닿도록 상기 충진공간(110)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탄성체(330)는 상기 하우징(310)을 탄성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충진공간(110)과 상기 토출제어공간(120) 사이에 형성된 단턱(121)과 상기 하우징(310)의 사이에 마련된다. 즉 상기 탄성체(330)는 상기 하우징(310)을 탄성지지함으로써 외부에서 힘을 인가받아 상기 충진공간(110) 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하우징(310)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왕복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피스톤(210)과 상기 정량토출부(300)의 작동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310)에 힘이 인가되면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충진공간(110)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322)는 상기 피스톤(210)의 상기 톱니기어(220)사이에 배치되어 있던 상태에서 힘을 인가받아 상기 제2수직면(3221)을 통하여 상기 제1수직면(221)에 힘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210)은 상기 충진공간(110)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충진공간(110)내에 저장된 충진재를 가압 도출시키게 된다.
충진재를 토출 시킨 후 상기 하우징(310)에 인가되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체(33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몸체(100)의 타단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제1경사면(222)이 상기 제2경사면(3222)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탄성프레임(321)이 상기 몸체(100)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제1경사면(222)과 상기 제2경사면(3222)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탄성프레임(321)은 다시 탄성변형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면서 상기 걸림돌기(322)가 상기 톱니기어(220) 사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돌기(322)의 상기 제2경사면(3222)과 상기 톱니기어(220)의 제1경사면(222)이 맞닿고, 상기 걸림돌기(322)의 상기 제2수직면(3221)이 상기 톱니기어(220)의 제1수직면(221)과 맞닿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톱니기어(220)의 사이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210)이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210)이 상기 충진공간(110) 측으로 이동된 위치는 유지시키고, 상기 하우징(310)은 제자리로 복귀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210)이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1회당 정량의 충진재가 토출가능하다.
부연하면 상기 하우징(310)에 힘이 인가되어 상기 걸림돌기(322)의 제2수직면(3221)이 상기 톱니기어(220)의 제1수직면(221)을 가압하는 힘은, 상기 실링(230) 또는 상기 피스톤(210)과 상기 충진공간(110)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피스톤(210)을 상기 충진공간(11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하우징(310)에 인가되는 힘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실링(230) 또는 상기 피스톤(210)과 상기 충진공간(110)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210)은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탄성체(330)에 의하여 상기 몸체(110)의 타단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프레임(321)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기(322)는 상기 피스톤(210)이 이동된 상태에서 배치된 톱니기어(220)의 사이에 걸림배치되어, 상기 제 1경사면(222)과 상기 제 2경사면(3222)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수직면(221) 과 상기 제 2수직면(3221)이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322)의 제2경사면(3222)이 상기 톱니기어(220)의 제1경사면(222)과 접촉되면서 가압되는 힘은 상기 하우징(310)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210)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프레임(321)의 형상과 상기 제1경사면(222) 및 상기 제2경사면(3222)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210)은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일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거리 제한부(400)는 상기 하우징(310)의 최대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홈(410)과 이동제한돌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홈(410)은 상기 몸체(100)에서 상기 정량토출부(3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홈(410)은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제어공간(120)의 일부와 연통되어 후술(後述) 할 이동제한돌기(420)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동제한돌기(420)는 상기 정량토출부(300)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이동홈(410)에 삽입된다. 부연하면 상기 이동제한돌기(420)는 상기 하우징(310)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41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10)이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홈(4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돌기(420)가 상기 이동홈(410)에 구속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10)의 최대이동거리가 제한될 수 있어, 외부에서 힘을 인가받은 상기 하우징(310)이 상기 충진공간(110)측으로 이동할 때의 최대이동거리를 제한하고, 외부의 힘이 해제되고 상기 탄성체(33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310)이 제자리로 복귀할 때 상기 하우징(310)을 기존의 위치로 안정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량 조절부재(500)는 충진재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타측에 구비된다. 상기 토출량 조절부재(500)는 상기 정량토출부(300)의 직선 왕복 이동거리를 제어하며, 캡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토출량 조절부재는(500) 나사가공부(510)와 캡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가공부(510)는 상기 정량토출부(30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나사가공부(510)는 상기 하우징(310)의 타단 외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부(520)는 상기 나사가공부(5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캡부(520)의 내주면과 상기 나사가공부(510)가 서로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부(520)는 일부가 상기 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상기 캡부(52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하우징(310)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토출량 조절부재(500)는, 상기 나사가공부(510)와 상기 캡부(520)가 나사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서 충진재의 토출량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캡부(520)에 힘을 인가하면 상기 캡부(520)는 상기 몸체(10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캡부(520)의 일단이 캡 제한턱(102)에 맞닿는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캡부(520)가 이동된 거리에 따라 상기 하우징(310) 및 상기 가압부(200)의 이동거리가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진재의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도 11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가공부(510)와 상기 캡부(520)가 나사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캡부(520)의 이동거리가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충진재의 토출량을 조절가능하다. 부연하면 상기 캡부(520)의 일면에는 토출량 표시수단(521)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토출량 표시수단(521)에 대응하여 상기 캡부(520)의 결합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량 표시수단(520)에 따라 토출량을 선택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사용효율이 놓다.
본 발명에 따른 정량제어 디스펜서(10)는 가압부(200)에 형성된 톱니기어(220)와 정량토출부(300)의 걸림체(320)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하여 가압부(20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충진재를 토출시킨 후,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정확성이 높은 정량토출이 가능하다.
또한 토출량 조절부재(500)의 나사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가압부(200)가 충진재를 가압하는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어 충진재의 토출량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높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정량제어 디스펜서
100 : 몸체 101 : 토출구
102 : 캡 제한턱 110 : 충진공간
120 : 토출제어공간 121 : 단턱
122 : 가이드로드 200 : 가압부
210 : 피스톤 220 : 톱니기어
221 : 제1수직면 222 : 제1경사면
230 : 실링 300 : 정량토출부
310 : 하우징 311 : 가이드슬릿
320 : 걸림체 321 : 탄성프레임
322 : 걸림돌기 3221 : 제2수직면
3222 : 제2경사면 330 : 탄성체
400 : 이동거리 제한부 410 : 이동홈
420 : 이동제한돌기 500 : 토출량 조절부재
510 : 나사가공부 520 : 캡부
521 : 토출량표시수단

Claims (11)

  1. 충진재가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충진재를 가압하여 토출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가압부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정량토출부; 및
    상기 정량토출부의 직선 왕복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캡 형태의 토출량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량 조절부재는,
    상기 정량토출부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가공부와,
    상기 나사가공부에 나사결합된 채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가공부와 상기 캡부가 결합되는 나사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충진재의 토출량이 제어되는 정량제어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량토출부는,
    외부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가압부를 이동시키는 정량제어 디스펜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충진재가 저장되는 충진공간과,
    상기 충진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정량토출부가 구비되는 토출제어공간을 포함하는 정량제어 디스펜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토출제어공간에서 상기 충진공간이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충진재를 가압 토출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마련되며, 제1수직면과 제1경사면이 형성된 톱니기어를 포함하는 정량제어 디스펜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량토출부는,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톱니기어와 접촉되는 걸림체와,
    상기 충진공간과 상기 토출제어공간 사이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정량제어 디스펜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체는,
    상기 하우징이 외부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이동되면, 상기 톱니기어의 제1수직면을 가압하여 상기 피스톤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톱니기어와 접촉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위치를 유지시키는 정량제어 디스펜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체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피스톤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프레임과,
    상기 탄성프레임의 타단에 마련되고, 톱니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정량제어 디스펜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량토출부의 직선 왕복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이동거리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정량제어 디스펜서.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제한부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정량토출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동홈과,
    상기 정량토출부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는 이동제한돌기를 포함하는 정량제어 디스펜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083943A 2020-07-08 2020-07-08 정량제어 디스펜서 KR102401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43A KR102401687B1 (ko) 2020-07-08 2020-07-08 정량제어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43A KR102401687B1 (ko) 2020-07-08 2020-07-08 정량제어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232A KR20220006232A (ko) 2022-01-17
KR102401687B1 true KR102401687B1 (ko) 2022-05-25

Family

ID=8005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943A KR102401687B1 (ko) 2020-07-08 2020-07-08 정량제어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6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2250A (ja) * 2001-12-05 2003-06-20 Tac Seiko:Kk 加圧装置および吐出装置
JP2008119075A (ja) * 2006-11-09 2008-05-29 Shinko Chemical Co Ltd シリンジ
JP2018532475A (ja) 2015-09-25 2018-11-08 ズルツァー ミクスパック アーゲーSulzer Mixpac AG 複数用量の流動性コンポーネントを放出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2250A (ja) * 2001-12-05 2003-06-20 Tac Seiko:Kk 加圧装置および吐出装置
JP2008119075A (ja) * 2006-11-09 2008-05-29 Shinko Chemical Co Ltd シリンジ
JP2018532475A (ja) 2015-09-25 2018-11-08 ズルツァー ミクスパック アーゲーSulzer Mixpac AG 複数用量の流動性コンポーネントを放出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232A (ko)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72808A1 (en) Pump with function of measuring fixed amount
US4865231A (en) Button type dispensing package
RU2201121C2 (ru) Дозирующая упаковка
US11203482B2 (en) Pump dispenser with actuating collar
KR101957305B1 (ko) 점성 제품용 디스펜서
KR100228660B1 (ko) 피스턴 주출장치
KR20130047603A (ko) 포지티브 변위 디스펜서 및 개별 액체량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US5566865A (en) Manual atomizing pump with adjustable dosage
US8261949B2 (en) Adjustable-volume liquid dispensing pump
KR102401687B1 (ko) 정량제어 디스펜서
KR102122160B1 (ko)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US10906055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product comprising a moveable piston
US4515293A (en) Dispenser for collapsible containers with hydraulic actuation
CN210455795U (zh) 泵送装置
US11162831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product, notably a pharmaceutical or cosmetic product
KR20220041123A (ko) 펌핑장치
KR100682421B1 (ko) 다중 피스톤 래칫식 분배 장치
KR102383637B1 (ko) 화장품 용기
JP6285510B2 (ja) 液体材料の吐出装置および方法
KR101600900B1 (ko) 이중 디스펜서를 구비한 토출량 조절용 용기
KR20230105192A (ko) 가압식 유체 토출 용기
US5622287A (en) Double action liquid dispenser
KR102679451B1 (ko)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EP4392341A1 (en) A refillable fluid dispenser apparatus with improved dosing
WO2023107032A1 (en) A refillable fluid dispenser apparatus with improved do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