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541B1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541B1
KR102401541B1 KR1020167027461A KR20167027461A KR102401541B1 KR 102401541 B1 KR102401541 B1 KR 102401541B1 KR 1020167027461 A KR1020167027461 A KR 1020167027461A KR 20167027461 A KR20167027461 A KR 20167027461A KR 102401541 B1 KR102401541 B1 KR 10240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eader
receptacle
housing
in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0445A (ko
Inventor
존 마크 마이어
헐리 체스터 몰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30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는 중간 벽에 의해 분리된 제1 리셉터클 및 제2 리셉터클(134)을 갖는 본체(130)를 갖는 헤더(120), 및 중간 벽에 의해 보유된 복수의 컨택트(140)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는 제1 리셉터클 내부에 위치한 제1 핀 및 제2 리셉터클 내부에 위치한 제2 핀(144)을 갖는다. 제1 플러그(110)는 제1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다. 상기 제1 플러그는 제1 리셉터클 내의 대응하는 제1 핀과 합치된 소켓(210)을 갖는 대응하는 와이어에 종단된 복수의 단자(156)를 보유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은 헤더에 의해 보유된 컨택트에 의해 제2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 제2 플러그(112)의 소켓(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명세서의 주제는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 기술에서는, 제1 커넥터에 부착된, 예를 들면 하니스(harness) 구성의 복수의 와이어, 및 또 다른 상보형 제2 커넥터의 다른 하니스에 부착된 다른 복수의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1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핀 단자를 포함하는 한편, 제2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리셉터클(receptacle) 또는 소켓 단자를 포함한다. 특히 커넥터가 대상이 되는 적용예가 고려될 때에는, 이러한 단자를 설계하고 제조함에 있어서 다수의 고려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분야에서, 전기 커넥터가 복수의 하니스 연결에서 요구될 때, 핀 및 리셉터클은 다수의 악조건을 받게 된다. 우선, 엔진으로부터의 진동 또는 도로 조건은 때때로 핀 및 소켓 연결에 대한 열화를 제공한다. 궂은 기후 조건에서 자동차가 작동해야 할 필요로 인해, 대부분의 자동차 커넥터가 또한 밀봉되어, 물, 염수 또는 다른 오염물이 커넥터 하우징 내로 침입하는 것과 핀과 리셉터클 간의 전기 연결을 열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밀봉 목적을 위해, 전기 커넥터의 후방부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 또는 평면형 밀봉부를 통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단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의 전체 크기가 감소하고/하거나 단자의 원하는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자는 점점 더 작게 제조되고 있다. 단자의 견고성(robustness)은, 특히 취약하고 민감하여 조립 및 합치(mating) 동안에 손상을 입는 핀에 대하여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와이어 하니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견고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중간 벽에 의해 분리된 제1 리셉터클 및 제2 리셉터클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헤더, 및 중간 벽에 의해 보유된 복수의 컨택트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는 제1 리셉터클 내부에 위치한 제1 핀 및 제2 리셉터클 내부에 위치한 제2 핀을 갖는다. 제1 플러그는 제1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다. 상기 제1 플러그는 제1 리셉터클 내의 대응하는 제1 핀과 합치된 소켓을 갖는 대응하는 와이어에 종단된 복수의 단자를 보유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은 헤더에 의해 보유된 컨택트에 의해 제2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 제2 플러그의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제,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헤더 및 그의 제1 플러그를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일부분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조립된 상태에 있고 헤더 내에 장전할 준비가 된 제1 플러그를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헤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헤더 및 제1 플러그를 포함하는 하위 조립체(sub-assembly)를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제2 플러그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헤더와 합치된 제1 및 제2 플러그를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를 도시하고 있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는 제1 와이어 하니스(102) 및 제2 와이어 하니드(104)를 상호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와이어 하니스(102, 104)는 각각 복수의 와이어(106, 108)를 갖는다. 제1 전기 커넥터(110)는 제1 와이어 하니스(102)의 와이어(106)의 단부에 종단된다. 제2 전기 커넥터(112)는 제2 와이어 하니스(104)의 와이어(108)의 단부에 종단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는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110, 112)를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는 헤더(120)를 포함한다. 제1 전기 커넥터(110)의 일부분은 헤더(120)의 제1 단부(122) 내에 플러깅되고, 제2 전기 커넥터(112)의 일부분은 헤더(120)의 제2 단부(124) 내에 플러깅된다. 제1 전기 커넥터(110)의 일부분이 헤더(120) 내에 플러깅되기 때문에, 제1 전기 커넥터(110)는 이하에서 제1 플러그(110)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2 전기 커넥터(112)의 일부분이 헤더(120) 내에 플러깅되기 때문에, 제2 전기 커넥터(112)는 이하에서 제2 플러그(112)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의 제1 플러그(110), 헤더(120) 및 제2 플러그(112)는 제1 와이어 하니스(102) 및 제2 와이어 하니스(10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선택사항으로, 제1 및 제2 플러그(110, 112)의 외부 프로파일은 서로 다를 수 있다(예를 들면, 제2 플러그(112)는 헤더(120)의 제2 단부(124)의 외부 주위로 연장된다). 선택사항으로, 제1 및 제2 플러그(110, 112)의 내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하고 제1 및 제2 플러그(110, 112) 양쪽에서 사용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를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총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플러그(112)보다도 작은 제1 플러그(110)를 갖는 것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가 더욱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헤더(120) 및 제1 플러그(110)는 사전에 조립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가 사용되는 장치 또는 차량 내부의 제 위치로 보내지거나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더(120) 및 제1 플러그(110)의 더 작은 프로파일은 헤더(120) 및 제1 플러그(110)가, 제2 플러그(112)가 헤더(120)에 결합된 경우에는 더욱 어렵거나 불가능했을 개구를 통해 또는 공간 내로 유도될 수 있게 한다. 제2 플러그(112)는 헤더(120) 및 제1 플러그(110)가 장치 또는 차량 내부에 위치한 후에 헤더(120)에 합치될 수 있다.
도 2는 헤더(120) 및 제1 플러그(110)를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의 일부분의 분해도이다. 헤더(120)는 제1 및 제2 단부(122, 124) 사이에서 연장되는 본체(130)를 포함한다. 본체(130)는 제1 단부(122)에서 제1 리셉터클(132)(도 3에 나타냄)을 그리고 제2 단부(124)에서 제2 리셉터클(134)을 정의한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132, 134)은 중간 벽(136)(도 4에 나타냄)에 의해 분리된다.
헤더(120)는 본체(130)의 내부 내에서 중간 벽(136)에 의해 보유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컨택트(140)를 포함한다. 컨택트(140)는 이 컨택트(140)의 일 단부에서 제1 핀(142)을 그리고 컨택트(140)의 타 단부에서 제2 핀(144)을 갖는다. 제1 핀(142)은 제1 리셉터클(132) 내에 보유되도록 구성된다. 제2 핀(144)은 제2 리셉터클(134) 내에 보유되도록 구성된다. 컨택트(140)는 제1 플러그(110)를 제2 플러그(112)(도 1에 나타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플러그(110)는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150)은 내부 하우징(152) 및 외부 하우징(154)에 의해 정의된 2 부분의 하우징이다. 외부 하우징(154)은 내부 하우징(152)에 결합되어 하우징(150)을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150)은 단일 부분의 하우징일 수 있다.
하우징(150)은 제1 와이어 하니스(102)(도 1에 나타냄)의 대응하는 와이어(106)(도 1에 나타냄)에 종단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자(156)(도 5에 나타냄)를 보유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110)는 독립형 2차 로크(independent secondary lock: ISL)(160)를 포함한다. ISL(160)은 내부 하우징(152)의 합치 단부(162)에서 내부 하우징(15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ISL(160)은 내부 하우징(152) 내에 단자(156)를 잠그는 데에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ISL(160)은 하우징(150) 내에 단자(156)를 잠그는 데에 사용되는 핑거(164)를 포함한다(도 5 참조). 핑거(164)는 단자(156)가 내부 하우징(152) 내에 완전히 장전되는 것을 보장하는 단자 위치 보장(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 장치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자(156)가 내부 하우징(152) 내에 완전히 장전되지 않은 경우, 핑거(164)는 폐쇄 또는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 핑거(164)가 폐쇄 또는 잠금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제1 플러그(110)는 제1 리셉터클(132) 내에 장전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 동안, 설치자가 제1 플러그(110)를 헤더(120) 내에 플러깅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예를 들어 핑거(164)를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단자(156)로 인해 핑거(164)가 개방되어 있을 때, 설치자는 단자(156)가 완전히 장전되어 핑거(164)가 단자(156) 뒤쪽에서 잠겨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보장하는 제1 플러그(110)를 재조립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110)는 내부 하우징(152)의 합치 단부(16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주변 밀봉부(170)를 포함한다. 주변 밀봉부(170)는 내부 하우징(152)의 외부 주위로 연장된다. 주변 밀봉부(170)는 본체(130)의 내부 표면 내에 수용되고 그것과 맞물려서 제1 플러그(110)를 제1 리셉터클(132) 내부에 밀봉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110)는 내부 하우징(152)의 종단 단부(174)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밀봉부(172)를 포함한다. 종단 단부(174)는 내부 하우징(152)의 후방부에 제공된다. 와이어 밀봉부(172)는 내부 하우징(15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와이어 밀봉부(172)는 내부 하우징(152)의 후방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 와이어 밀봉부(172)는 외부 하우징(154)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와이어 밀봉부(172)는 이를 통과하는 복수의 개구(176)를 포함한다. 와이어(106)(도 1에 나타냄) 및 대응하는 단자(156)(도 5에 나타냄)는 대응하는 개구(176)를 통해 장전된다. 와이어 밀봉부(172)는 대응하는 와이어(106)에 대하여 밀봉해서 수분 또는 오염물이 내부 하우징(152)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사항으로, 와이어 밀봉부(172)의 외부는 내부 하우징(152)에 대하여 밀봉해서 수분 또는 오염물이 내부 하우징(152)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조립된 상태에 있고 헤더(120)의 제1 리셉터클(132) 내에 장전할 준비가 된 제1 플러그(110)를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조립되었을 때, 주변 밀봉부(170)는 하우징(150)의 합치 단부(162)에 결합되고, ISL(160)은 하우징(150)의 합치 단부(162)에 결합된다. 외부 하우징(154)은 내부 하우징(152)의 종단 단부(174)에 결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하우징(154)은 내부 하우징(152) 상의 대응하는 탭과 맞물려서 외부 하우징(154)을 내부 하우징(152)에 고정하는 래치(180)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154)은 이 외부 하우징(154)의 후방부(184)를 통과하는 개구(182)를 포함한다. 와이어(106)는 대응하는 개구(182)를 통해 연장된다. 외부 하우징(154)은 후방부(184)에서 와이어 밀봉부(172)(도 2에 나타냄)를 보유할 수 있다.
헤더(120)는 제1 단부(122)로부터 연장되는 래치(190)를 포함한다. 래치(190)는 제1 플러그(110)를 헤더(120) 내부에 고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래치(190)는 외부 하우징(154)으로부터 연장되는 대응하는 캐치(catch)(192)와 맞물린다. 래치(190)는 편향 가능하고, 헤더(120)로부터 제1 플러그(110)를 제거하도록 해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110)의 외부 프로파일은 제1 플러그(110)가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의 전체 크기에 현저하게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헤더(120)의 외부 프로파일과 유사하다. 예를 들면, 제1 단부(122)에서, 헤더(120)는 헤더 엔벨로프(header envelope)(198)를 정의하는 높이(194) 및 폭(196)을 갖는다. 제1 플러그(110)의 높이 및 폭은 헤더(120)의 높이(194) 및 폭(196)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 제1 플러그(110)는 헤더 엔벨로프(198)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러그(110)는 높이(194) 이하인 높이 및 폭(196) 이하인 폭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플러그(110)가 헤더(120)에 결합되었을 때, 제1 플러그(110) 및 헤더(120)의 하위 조립체는 헤더 엔벨로프(198)를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로 된 개구를 통해 또는 공간 내로 보내질 수 있다(헤더 엔벨로프(198)는 헤더(120)의 래치(190)를 수용할 수 있다).
도 4는 헤더(12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헤더(120)의 중간 벽(136)에 의해 보유된 컨택트(140)를 도시하고 있다. 중간 벽(136)은 이를 통해 연장되는 채널(200)을 포함한다. 컨택트(140)는 채널(200) 내에 장전된다. 컨택트(140)는 이로부터 연장되는 바브(barb)를 포함하고, 상기 바브는 중간 벽(136) 내로 찔러넣어져서 컨택트(140)를 채널(200) 내에 고정시킨다. 제1 핀(142)은 중간 벽(136)으로부터 제1 리셉터클(132) 내로 연장된다. 제2 핀(144)은 중간 벽(136)으로부터 제2 리셉터클(134) 내로 연장된다. 제1 핀(142)은 제1 플러그(110)(도 1에 나타냄)와 합치할 준비가 되어 있다. 제2 핀(144)은 제2 플러그(112)(도 1에 나타냄)와 합치할 준비가 되어 있다.
헤더(120)는 본체(130)와 제1 핀(142)에 의해 정의된 제1 합치 인터페이스(146) 및 본체(130)와 제2 핀(144)에 의해 정의된 제2 합치 인터페이스(148)를 포함한다. 합치 인터페이스(146, 148)는 리셉터클(132, 134)의 크기 및 형상뿐만 아니라, 리셉터클(132, 134) 내의 핀(142, 144)의 위치에 의해 정의된다. 합치 인터페이스(146, 148)는 리셉터클(132, 134) 내의 플러그(110, 112)와 상호 작용하고/하거나 이들을 고정하는 데에 사용된 본체(130) 및 특징부의 크기 및 형상에 의해 정의된다. 선택사항으로, 제1 및 제2 합치 인터페이스(146, 148)는 동일할 수 있다.
컨택트(140)는 헤더(120)의 제1 단부(122)에 결합된 제1 플러그(110)를 헤더(120)의 제2 단부(124)에 결합된 제2 플러그(112)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중 핀 컨택트(140)는 제1 전기 커넥터(110) 또는 제2 전기 커넥터(112)가 핀을 포함할 필요를 없앤다. 이중 핀 컨택트(140)는 제1 및 제2 플러그(110, 112)가 모두 소켓형 단자를 포함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제1 플러그(110) 및 제2 플러그(112) 모두는 암형(female) 플러그일 수 있다.
도 5는 헤더(120) 및 제1 플러그(110)를 포함하는 하위 조립체를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내부 하우징(152) 내부에 보유된 제1 플러그(110)의 단자(156)를 도시하고 있다. 단자(156)는 대응하는 와이어(106)의 단부에 종단된다. 예를 들면, 단자(156)는 대응하는 와이어(106)에 크림핑될 수 있다. 단자(156)는 이러한 단자(156)의 합치 단부에서 소켓(210)을 포함한다. 소켓(210)은 대응하는 컨택트(140)의 대응하는 제1 핀(142)을 수용한다. 선택사항으로, 단자(156)는 소켓(210) 내로 연장되어 대응하는 제1 핀(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편향가능 빔(212)을 갖는 소켓(210)을 정의하는 박스 형상의 단자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자(156)의 원위 단부(214)는 내부 하우징(152)의 전방으로 그리고 ISL(160)의 대응하는 포켓(216) 내로 연장된다. 내부 하우징(152)의 전방에 있는 아암(218)은 단자(156)의 원위 단부(214)와 맞물려서 하우징(150)에 대하여 단자(156)를 보유하게 한다. ISL(160)의 핑거(164)는 내부 하우징(152)을 통해 연장되고 단자(156)의 일부분의 뒤쪽에 위치해서 하우징(150) 내부에서 단자를 잠근다. 아암(218)은 단자(156)에 대한 1차 로크를 정의하고 핑거(164)는 단자(156)에 대한 2차 로크를 정의한다.
제1 플러그(110)가 헤더(120) 내에 장전되었을 때, 주변 밀봉부(170)는 본체(130)의 내부 표면(220)과 맞물린다. 주변 밀봉부(170)는 제1 리셉터클(132) 내부에 제1 플러그(110)를 밀봉한다. 주변 밀봉부(170)는 수분 및 오염물이 제1 리셉터클(132)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플러그(110)가 헤더(120) 내에 플러깅되었을 때, 래치(190)는 캐치(192)와 맞물려서 제1 리셉터클(132) 내부에 제1 플러그(110)를 고정시킨다. 제1 플러그(110)는 래치(190)에 의해 제1 리셉터클(132)로부터 후퇴되는 것이 방지된다. 래치(190)는 바깥쪽으로 편향될 수 있어 제1 플러그(110)가 제1 리셉터클(132)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제2 플러그(112)의 전방 사시도이다. 제2 플러그(112)는 하우징(250)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250)은 내부 하우징(252) 및 외부 하우징(254)에 의해 정의된 2 부분의 하우징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하우징(252)은 내부 하우징(152)(도 2에 나타냄)과 동일한 반면에, 외부 하우징(254)은 외부 하우징(154)(도 2에 나타냄)과 다르다. 예를 들면, 외부 하우징(254)은 제2 플러그(112)의 구성요소를 보호하고 헤더(120)(도 2에 나타냄)의 단부 주위에 끼워맞추도록 덮여 있는 반면에, 외부 하우징(154)은 헤더(120) 내부에 끼워맞추도록 덮여 있지 않다. 외부 하우징(254)은 내부 하우징(252)에 결합되어 하우징(250)을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250)은 단일 부분의 하우징일 수 있다.
하우징(250)은 제2 와이어 하니스(104)(도 1에 나타냄)의 대응하는 와이어(108)(도 1에 나타냄)에 종단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자(256)(도 7에 나타냄)를 보유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플러그(112)는 독립형 2차 로크(ISL)(260)를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 ISL(260)은 ISL(160)(도 2에 나타냄)과 동일하다. ISL(260)은 내부 하우징(252)의 합치 단부에서 내부 하우징(25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ISL(260)은 내부 하우징(252) 내에 단자(256)를 잠그는 데에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ISL(260)은 단자(256)를 하우징(250) 내에 잠그는 데에 사용되는 핑거(264)를 포함한다. 핑거(264)는 단자(256)가 내부 하우징(252) 내에 완전히 장전되는 것을 보장하는 단자 위치 보장(TPA) 장치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자(256)가 내부 하우징(252) 내에 완전히 장전되지 않은 경우, 핑거(264)는 폐쇄 또는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 핑거(264)가 폐쇄 또는 잠금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제2 플러그(112)는 헤더(120) 내에 장전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플러그(112)는 내부 하우징(252)의 합치 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주변 밀봉부(270)를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 주변 밀봉부(270)는 주변 밀봉부(170)(도 2에 나타냄)와 동일하다. 주변 밀봉부(270)는 내부 하우징(252)의 외부 주위로 연장된다. 외부 하우징(254)은 주변 밀봉부(270)를 둘러싸고 보호해서, 예를 들어 운송, 취급, 조립 등의 동안에 주변 밀봉부(270)가 손상되는 것을 보호한다. 예를 들면, 외부 하우징(254)은 덮여 있고, 내부 하우징(252) 및 주변 밀봉부(270) 주위로 연장되는 슈라우드(shroud)(258)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254)의 슈라우드(258)는 주변 밀봉부(270)를 보호한다. 주변 밀봉부(270)는 헤더(120)와 맞물려서 제2 플러그(112)를 헤더(120) 내부에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플러그(112)는 내부 하우징(252)의 종단 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밀봉부(272)(도 7에 나타냄)를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 와이어 밀봉부(272)는 와이어 밀봉부(172)(도 2에 나타냄)와 동일하다. 와이어 밀봉부(272)는 내부 하우징(25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와이어 밀봉부(272)는 내부 하우징(252)의 후방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 와이어 밀봉부(272)는 외부 하우징(254)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와이어(108)(도 1에 나타냄) 및 대응하는 단자(256)(도 7에 나타냄)는 와이어 밀봉부(272)를 통해 장전된다. 와이어 밀봉부(272)는 대응하는 와이어(108)에 대하여 밀봉해서 수분 또는 오염물이 내부 하우징(252)의 내부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사항으로, 와이어 밀봉부(272)의 외부는 내부 하우징(252)에 대하여 밀봉해서 수분 또는 오염물이 내부 하우징(252)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헤더(120)와 합치된 제1 및 제2 플러그(110, 112)를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내부 하우징(252) 내부에 보유된 제2 플러그(112)의 단자(256)를 도시하고 있다. 단자(256)는 대응하는 와이어(108)의 단부에 종단된다. 예를 들면, 단자(256)는 대응하는 와이어(108)에 크림핑될 수 있다. 단자(256)는 이러한 단자(256)의 합치 단부에서 소켓(310)을 포함한다. 소켓(310)은 대응하는 컨택트(140)의 대응하는 제2 핀(144)을 수용한다. 선택사항으로, 단자(256)는 소켓(310) 내로 연장되어 대응하는 제2 핀(14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편향가능 빔(312)을 갖는 소켓(310)을 정의하는 박스 형상의 단자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자(256)의 원위 단부(314)는 내부 하우징(252)의 전방으로 그리고 ISL(260)의 대응하는 포켓(316) 내로 연장된다. 내부 하우징(252)의 전방에 있는 아암(318)은 단자(256)의 원위 단부(314)와 맞물려서 하우징(250)에 대하여 단자(256)를 보유한다. ISL(260)의 핑거(264)는 내부 하우징(252)을 통해 연장되고 단자(256)의 일부분의 뒤쪽에 위치해서 단자를 하우징(250) 내부에 잠근다. 아암(318)은 단자(256)에 대한 1차 로크를 정의하고, 핑거(264)는 단자(256)에 대한 2차 로크를 정의한다.
제2 플러그(112)가 헤더(120) 내에 플러깅되었을 때, 외부 하우징(254)의 슈라우드(258)는 헤더(120)의 제2 단부(124)를 수용한다. 헤더(120)의 일부분은 외부 하우징(254)과 내부 하우징(252) 사이에 정의된 공간 사이에서 외부 하우징(254) 내에 장전된다. 주변 밀봉부(270)는 본체(130)의 내부 표면(220)과 맞물린다. 주변 밀봉부(270)는 제2 플러그(112)를 제2 리셉터클(134) 내부에 밀봉한다. 주변 밀봉부(270)는 수분 및 오염물이 제2 리셉터클(134)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헤더(120)의 래치(320)는 외부 하우징(254)과 맞물려서 제2 플러그(112)를 제2 리셉터클(134) 내부에 고정한다. 제2 플러그(112)는 래치(320)에 의해 제2 리셉터클(134)로부터 후퇴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가 조립되었을 때, 밀봉 연결이 와이어 하니스(102, 104) 사이에 제공된다. 와이어(106, 108)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의 대향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전기 경로는 단자들(156, 256) 사이의 양단(double ended) 컨택트(140)에 의해 정의된다. 컨택트(140)는 제1 및 제2 플러그(110, 112)의 소켓(210, 310)과 각각 합치하기 위한 헤더(120)의 본체(130) 내부에 모두 배열된 제1 및 제2 합치 인터페이스(330, 332)를 갖는다. 합치 인터페이스(330, 332)는 플러그(110, 112)가 헤더(1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11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제2 플러그(112)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 플러그(110, 112)는 동일한 내부 하우징(152, 252), 동일한 단자(156, 256), 동일한 ISL(160, 260), 동일한 주변 밀봉부(170, 270), 및/또는 동일한 와이어 밀봉부(172, 272)를 포함할 수 있다. 양 플러그(110, 112)는, 예를 들어 플러그(110, 112)의 외부 주변부를 변경하고/하거나 플러그(110, 112)의 소정의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해서, 상이한 외부 하우징(154, 254)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은 외부 하우징(154)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일 단부가 이러한 단부를 치밀한 공간 내에 그리고/또는 작은 개구를 통해 위치시키기 위해 작거나 낮은 프로파일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큰 외부 하우징(254)은 주변 밀봉부(270) 주위에 슈라우드를 제공함으로써 주변 밀봉부(270)가 손상되는 것을 보호한다.
상기 설명은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고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및/또는 그들의 양태들)은 서로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서 본 발명의 교시들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맞추도록 많은 변형예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치수, 재료 유형, 다양한 구성요소의 배향, 및 다양한 구성요소의 수 및 위치는 소정 실시예들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하고자 하는 것이고,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일 뿐이다.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많은 다른 실시예 및 변형예가 상기 설명의 검토 시에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권리가 부여되어 있는 등가물들의 전체 범주와 함께, 이러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로서,
    중간 벽(136)에 의해 분리된 제1 리셉터클(132) 및 제2 리셉터클(134)을 갖는 본체(130)를 포함하는 헤더(120);
    상기 중간 벽에 의해 보유되고, 상기 제1 리셉터클 내부에 위치한 제1 핀(142) 및 상기 제2 리셉터클 내부에 위치한 제2 핀(144)을 갖는 복수의 컨택트(140); 및
    상기 제1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 제1 플러그(11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러그는 대응하는 와이어(106)에 종단된 복수의 단자(156)를 보유하는 하우징(150)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제1 리셉터클 내의 대응하는 제1 핀과 합치된 소켓(210)을 갖고, 상기 소켓은 상기 헤더에 의해 보유된 상기 컨택트에 의해 상기 제2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 제2 플러그(112)의 소켓(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50)은 내부 하우징(152) 및 외부 하우징(154)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154)은 상기 내부 하우징(15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제1 플러그(110)가 내부 하우징(152)의 종단 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밀봉부(172)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밀봉부(172)는 내부 하우징(15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120) 및 컨택트(140)는, 상기 제1 플러그(110) 및 대응하는 소켓(210)이 상기 제2 플러그(112) 및 상기 제2 플러그(112)의 대응하는 소켓(310)과 합치할 수 있게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140)는 상기 헤더(120)의 상기 본체(130)의 내부에 모두 배열된 제1 및 제2 합치 인터페이스(330, 332)를 갖고, 상기 제1 합치 인터페이스는 상기 소켓(210)과 합치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합치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플러그의 상기 소켓(310)과 합치하기 위해 구성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120)는 제1 단부(122) 및 제2 단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리셉터클에 개방되고, 상기 제1 플러그(110)는 상기 제1 단부를 통해 상기 제1 리셉터클 내에 장전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리셉터클(134)에 개방되고, 상기 제2 플러그(112)는 상기 제2 단부를 통해 상기 제2 리셉터클 내에 장전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120)는 상기 본체(130) 및 제1 핀(142)에 의해 정의된 제1 합치 인터페이스(146) 및 상기 본체 및 제2 핀(144)에 의해 정의된 제2 합치 인터페이스(148)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합치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110)는 상기 하우징(150)의 합치 단부(162)에 결합되는 독립형 2차 로크(independent secondary lock)(160) 및 주변 밀봉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독립형 2차 로크는 상기 단자와 맞물려서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단자를 보유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164)를 갖고, 상기 주변 밀봉부는 상기 본체(130)와 맞물려서 상기 제1 리셉터클(132) 내부에 상기 제1 플러그를 밀봉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헤더(120)에 제거 가능하게 래칭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154)은 상기 주변 밀봉부(17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30)는 높이(194) 및 폭(196)을 갖는 헤더 엔벨로프(header envelope)(198)를 정의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154)은 상기 헤더 엔벨로프 내부에 수용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10. 제1항에 있어서,
    제2 플러그(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러그는 대응하는 와이어(108)에 종단된 복수의 제2 단자(256)를 보유하는 내부 하우징(25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2 리셉터클(134) 내의 대응하는 제2 핀(144)과 합치되도록 구성된 소켓(310)을 갖고, 상기 제2 플러그는 상기 제2 플러그의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합치 단부에 결합된 독립형 2차 로크(260) 및 주변 밀봉부(27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플러그는 상기 제2 플러그의 상기 내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외부 하우징(254)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헤더(120)에 제거 가능하게 래칭되며, 상기 제2 플러그의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제1 플러그의 상기 내부 하우징과 동일하고, 상기 제2 플러그의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제2 플러그의 주변부를 덮는 슈라우드(shroud)(258)를 포함하며, 상기 슈라우드는 상기 헤더의 상기 본체(130)의 외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플러그의 상기 외부 하우징은 덮여 있지 않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KR1020167027461A 2014-03-07 2015-03-03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401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01,390 2014-03-07
US14/201,390 US9209584B2 (en) 2014-03-07 2014-03-07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CT/US2015/018420 WO2015134447A1 (en) 2014-03-07 2015-03-03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445A KR20160130445A (ko) 2016-11-11
KR102401541B1 true KR102401541B1 (ko) 2022-05-24

Family

ID=5268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461A KR102401541B1 (ko) 2014-03-07 2015-03-03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09584B2 (ko)
JP (1) JP6513696B2 (ko)
KR (1) KR102401541B1 (ko)
CN (1) CN106068585B (ko)
DE (1) DE112015000653T5 (ko)
MX (1) MX2016011615A (ko)
WO (1) WO2015134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98218A1 (en) * 2014-11-10 2018-07-12 Rhythmlink International, Llc Electrode cable system for neurological monitoring and imaging
JP6477527B2 (ja) * 2016-01-29 2019-03-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6107169A1 (de) * 2016-04-18 2017-10-19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kontaktset und Verfahren zum Prüfen einer Verrastung des Steckkontaktsets
DE102016125029B4 (de) * 2016-12-20 2019-03-1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inrichtung und Kontaktsystem
CN108616017B (zh) 2018-03-26 2020-07-2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转接连接器
JP2020080269A (ja) * 2018-11-14 2020-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1435772A (zh) * 2019-01-15 2020-07-21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连接器组件和包括连接器组件的家用电器
DE102021117732A1 (de) 2021-07-08 2023-01-12 Rolf Prettl Steckverbinder und S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6222A (ja) * 2003-10-03 2005-04-28 Yazaki Corp 中継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間の接続構造
JP2013004257A (ja) * 2011-06-15 2013-01-07 Jst Mfg Co Ltd 防水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4180U (ko) * 1987-04-15 1988-10-26
JPS63164181U (ko) * 1987-04-15 1988-10-26
JPH07106033A (ja) * 1993-09-30 1995-04-21 Sumitomo Wiring Syst Ltd 待ち受けコネクタ
US5542856A (en) * 1994-04-11 1996-08-06 Tescorp Seismic Products, Inc. Field repairable electrical connector
JPH08125360A (ja) * 1994-10-20 1996-05-17 Fujitsu Ltd パッケージへの給電装置
US5911600A (en) * 1997-07-25 1999-06-1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Three port connector
JP3501063B2 (ja) * 2000-02-01 2004-02-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TW452253U (en) * 2000-05-23 2001-08-21 Hon Hai Prec Ind Co Ltd Adaptor
US20020076995A1 (en) 2000-12-20 2002-06-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2003197312A (ja) * 2001-12-27 2003-07-11 Jst Mfg Co Ltd ロック付き電気コネクタ
JP2004179032A (ja) * 2002-11-28 2004-06-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5251686A (ja) * 2004-03-08 2005-09-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TWM258436U (en) * 2004-03-17 2005-03-01 Topower Computer Ind Co Ltd An improvement of adapter terminal for power supply
JP4285318B2 (ja) * 2004-04-28 2009-06-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R2881584B1 (fr) * 2005-02-03 2007-04-27 Souriau Soc Par Actions Simpli Module pour l'assemblage de deux ensembles de connexion
US7128616B1 (en) * 2005-08-15 2006-10-31 Woven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cable connector system
US7601024B2 (en) * 2007-05-07 2009-10-13 Ortronics, Inc. Shielded connector assembly for preterminated systems
KR20080108822A (ko) * 2007-06-11 2008-1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더미캡
US20090247011A1 (en) 2008-03-27 2009-10-01 John Mark Myer Connector assembly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locking featu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6222A (ja) * 2003-10-03 2005-04-28 Yazaki Corp 中継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間の接続構造
JP2013004257A (ja) * 2011-06-15 2013-01-07 Jst Mfg Co Ltd 防水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09584B2 (en) 2015-12-08
JP2017507461A (ja) 2017-03-16
MX2016011615A (es) 2016-12-14
US20150255939A1 (en) 2015-09-10
KR20160130445A (ko) 2016-11-11
CN106068585A (zh) 2016-11-02
CN106068585B (zh) 2019-06-11
WO2015134447A1 (en) 2015-09-11
JP6513696B2 (ja) 2019-05-15
DE112015000653T5 (de)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541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8597043B2 (en)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US11056836B2 (en) Shield terminal compatible with multiple housings and shield connector using the same
JP6265803B2 (ja) コネクタ
US984759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aling structure
WO2016121566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9287649B2 (en) Connector and housing
JP5417954B2 (ja) 防水コネクタ
KR101556484B1 (ko) 전력 단자 커넥터 및 시스템
CN103650249B (zh) 具有端子位置保证的电连接器
US9438000B2 (en) Shield connector for a shield cable
CN110383592B (zh) 屏蔽端子及屏蔽连接器
US10116084B2 (en) Connector
JP3674767B2 (ja) コネクタ
JP6372428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9431750B2 (en) Connector
JP7236034B2 (ja) 分岐用コネクタ
US10381778B2 (en) Connector and wire harness
JP7140712B2 (ja) ハウジング
WO2013171982A1 (en) Connector
US20200358238A1 (en) Terminal Extraction Jig
US11196201B2 (en) Male terminal and connector pair
US964089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PA
JP7089674B2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コネクタ
JP2017199617A (ja) コネクタ組立方法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