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130B1 -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130B1
KR102401130B1 KR1020200080209A KR20200080209A KR102401130B1 KR 102401130 B1 KR102401130 B1 KR 102401130B1 KR 1020200080209 A KR1020200080209 A KR 1020200080209A KR 20200080209 A KR20200080209 A KR 20200080209A KR 102401130 B1 KR102401130 B1 KR 102401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trip
strip
lever
protrusion
blood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815A (ko
Inventor
조상범
표지훈
신성일
장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80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13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8Strips for collecting blood, e.g. absorb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0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means for indicating when used correctly or incorrectly; means for alarm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를 최소화한 레버 방식의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는, 통전용의 복수의 단자를 내부에 구비하고 센서 스트립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스트립 소켓; 상기 스트립 소켓의 상면에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 및 배출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 소켓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센서 스트립의 선단과 접촉하는 스트립 지지돌기 및 적어도 하나의 면에서 돌출되는 푸시 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이젝터; 및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푸시 수단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 돌기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Apparatus for ejecting a sensor strip for blood glucose meter}
본 발명은 혈당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혈당 측정기에 삽입되는 센서 스트립을 수용하고 사용 완료 후 센서 스트립을 배출하는 혈당 측정기용 스트립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로부터 정보를 얻을 때 그 정보를 생물학적 요소를 이용하여 색, 형광, 전기적 신호 등과 같이 인식 가능한 유용한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시스템을 바이오 센서라 한다. 바이오 센서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혈액 내의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혈당 측정기가 있다. 혈당 측정기는 일반적으로 센서 스트립, 커넥터, 분석 장치 및 채혈기로 구성된다. 센서 스트립을 혈당 측정기에 있는 투입구에 끼워 넣고, 채혈기를 이용하여 손가락 끝을 채혈하여 손가락 끝에 채혈된 소량의 혈액을 혈당 측정기에 삽입된 센서 스트립에 대면 혈액이 센서 스트립의 투입구로 자동으로 빨려들어가 혈당 측정 값이 혈당 측정기의 화면에 표시된다.
혈당 측정기에서 혈당 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사용한 센서 스트립을 제거하고 폐기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센서 스트립을 손으로 제거할 경우 감염 및 위생의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이젝터라고도 함)를 혈당 측정기에 구비한다.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는 사용자가 센서 스트립에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고 별도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혈당 측정기에서 센서 스트립이 배출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는 스프링 등을 이용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원가가 상승하며 생산의 어려움이 있는 등 여러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23785호(2017.04.19.)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5197호(2011.08.24.)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82219호(2016.01.0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를 최소화한 레버 방식의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는, 통전용의 복수의 단자를 내부에 구비하고 센서 스트립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스트립 소켓; 상기 스트립 소켓의 상면에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 및 배출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 소켓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센서 스트립의 선단과 접촉하는 스트립 지지돌기 및 적어도 하나의 면에서 돌출되는 푸시 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이젝터; 및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푸시 수단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 돌기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립 지지돌기는,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 소켓의 저면에는, 상기 한 쌍의 스트립 지지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이젝터는,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푸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양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푸시 수단 각각에 접촉하는 한 쌍의 회전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이젝터는, 상기 레버를 향하는 상면에 돌출되는 하나의 푸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중앙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나의 푸시 수단에 접촉하는 하나의 회전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조작부의 반대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회전 방지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방지용 돌기는, 혈당 측정기의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용 돌기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레버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센서 스트립이 삽입되기 전에는 상기 하우징에 매립되고,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 후에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레버의 회전축은, 상기 푸시 수단의 최대 이동 거리의 수직 이등분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 전에,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 돌기의 끝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푸시 수단까지의 최단 거리 보다 크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 돌기의 끝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먼 상기 푸시 수단의 끝점이 이동하는 수평축까지의 수직 거리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삽입구의 방향 및 상기 스트립 소켓의 내부 아랫면을 향하여 사선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은,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며,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 단자의 끝단과 상기 스트립 소켓의 내부 아랫면 사이에 상기 센서 스트립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에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시, 상기 센서 스트립이 상기 스트립 지지돌기를 밀어 상기 슬라이드 이젝터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푸시 수단이 상기 회전 돌기를 밀러 상기 레버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작부의 조작시,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돌기가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시와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푸시 수단을 밀어 상기 슬라이드 이젝터를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시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스트립 지지돌기가 이동하여 상기 센서 스트립을 상기 삽입구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스트립이 삽입되고 배출되는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하는 레버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구현하여 직선 운동하는 조작 방식 대비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한의 부품 수(슬라이드 이젝터, 레버)를 사용하여 구현함으로서 종래의 센서 스트립 이젝터 기능을 보유한 제품 대비 생산성 및 원가 개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 및 센서 스트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 삽입 전의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 삽입 후의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이젝터 및 스트립 소켓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센서 스트립의 삽입/배출시의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 삽입 전의 스트립 지지돌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 삽입 후의 스트립 지지돌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 배출시의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수단과 회전 돌기 및 회전축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의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의 설치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의 삽입 전후의 레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 및 센서 스트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혈당 측정기(100)는, 연산 장치, 배터리, 메모리, 디스플레이, 충전 단자, 그리고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200)를 포함한다. 혈당 측정기(100)의 하우징(120)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200)의 삽입구로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되며, 혈당 측정 완료 후에 센서 스트립(110)은 사용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200)로부터 배출된다.
센서 스트립(110)은, 혈액으로부터 혈당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으로서, 공급된 혈액의 혈당량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한다. 센서 스트립(110)은 혈당 측정시마다 교체하는 소모품이다. 센서 스트립(110)은,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대상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대상 전극부 위에 시약이 도포된다. 측정 대상 전극부는 작동 전극과 기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스트립(110)의 구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200)는, 상기 센서 스트립(110)의 삽입 및 배출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상기 센서 스트립(110)과 혈당 측정기(100)의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역할을 위해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200)는, 상기 센서 스트립(110)의 측정 대상 전극부로 전압을 인가하는 단자와, 상기 측정 대상 전극부로부터 수신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는 인터페이스 역할 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센서 스트립(110)을 배출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한다.
혈당 측정기(100)의 연산 장치는, 암페로메트리 테크닉을 사용하여 혈당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전압을 센서 스트립(110)에 인가할 때 발생하는 전류를 이용하여 혈당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 스트립(110)에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면 혈당 농도에 비례하는 전류가 발생하고, 이 전류 값을 혈당 농도 및 전류 간의 관계식에 적용함으로써 혈당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메모리는 연산 장치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는 혈당 측정값 등을 디지털 숫자나, LED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 삽입 전의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 삽입 후의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이젝터 및 스트립 소켓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200)는, 레버(210), 스트립 소켓(220) 및 슬라이드 이젝터(230)를 포함한다.
레버(2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수단으로서,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10)는, 회전축(211), 레버 몸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212), 레버 몸체의 양 측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굴곡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 돌기(214), 그리고 회전 방지 돌기(21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11)은 레버(210)의 회전 운동의 축이다. 상기 조작부(212)는 센서 스트립(110)을 배출할 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상기 회전 돌기(214)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슬라이드 이젝터(230)의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푸시 수단(231)의 일면에 맞닿아 있고, 상기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 방지 돌기(213)는, 레버(210)의 몸체 중 조작부(212)의 반대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혈당 측정기(100)의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용 돌기와 맞물려, 레버(210)의 수평 상태에서 의도치 않게 레버(2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트립 소켓(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되는 방향에는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되는 삽입구(2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트립 소켓(220)은, 육면체 형상의 내부에 센서 스트립(110)과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222)가 센서 스트립(110)이 배출되는 방향, 즉 삽입구(221)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열되어 있고, 특히 아래 방향으로 사선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222)의 끝단은, 센서 스트립(110)의 삽입시 센서 스트립(110)이 걸리지 않고 잘 삽입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굴곡되어 있고, 삽입된 센서 스트립(110)이 움직이지 않도록 위에서 아래로 눌러주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 이젝터(230)는, 'ㄷ'자 형상으로, 센서 스트립(110)의 삽입/배출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립 소켓(220)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젝터(230)는,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푸시 수단(231)과, 상면으로부터 스트립 소켓(22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스트립 지지돌기(232)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 수단(231)은, 상기 레버(210)의 회전 돌기(214)에 맞닿아, 회전 돌기(214)를 센서 스트립(110)의 삽입 방향으로 밀거나, 회전 돌기(214)에 의해 센서 스트립(11)의 배출 방향으로 밀린다. 상기 스트립 지지돌기(232)는, 스트립 소켓(220)에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될 때 센서 스트립(110)의 선단과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젝터(2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사용자의 레버(210) 조작시 센서 스트립(110)과 접촉하여 센서 스트립(110)을 밀어내 배출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스트립 지지돌기(232)는, 상기 스트립 소켓(220)의 내부에서 복수의 단자(222)의 바깥쪽에 각각 위치한다.
도 5 내지 도 7은 센서 스트립의 삽입/배출시의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센서 스트립(110)의 삽입 전 상태이고, 도 6은 센서 스트립(110)의 삽입 상태이며, 도 7은 센서 스트립(110)의 배출 상태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되기 전에 레버(21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스트립(110)이 사용자에 의해 스트립 소켓(220)의 삽입구(221)에 삽입되면, 센서 스트립(110)은 슬라이드 이젝터(230)의 스트립 지지돌기(232)에 접촉하여 스트립 지지돌기(232)를 뒤로 밀고, 이 힘에 의해 슬라이드 이젝터(230)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 이젝터(230)의 푸시 수단(231)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푸시 수단(231)에 맞닿아 있는 레버(210)의 회전 돌기(214)도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10)는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 상태가 된다.
혈당 측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레버(210)를 다시 수평이 되도록 조작하고,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10)는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 돌기(214)도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이젝터(230)의 푸시 수단(231)을 전방으로 밀어낸다. 푸시 수단(231)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드 이젝터(230)의 스트립 지지돌기(232)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스트립 지지돌기(232)에 맞닿아 있는 센서 스트립(110)도 전방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 삽입 전의 스트립 지지돌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 삽입 후의 스트립 지지돌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저면도이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소켓(220)의 저면에는 슬라이드 이젝터(230)의 스트립 지지돌기(232)가 삽입되어 스트립 지지돌기(232)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길이 방향, 즉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한 쌍의 가이드 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223)은 개방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되기 전에는 스트립 지지돌기(232)는 전방에 위치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된 후에는 스트립 지지돌기(232)는 센서 스트립(110)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가이드 홈(223)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 배출시의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소켓(2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222)는, 스트립 소켓(220)의 하면 방향으로 사선으로 연장되어 있고 삽입구(221)의 방향을 향하는 끝단이 상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즉 벤딩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될 때, 일부 단자(222)의 상기 끝단과 스트립 소켓(220)의 내부 하면 사이로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되고, 그 일부 단자(222)의 끝단은 탄성력으로 센서 스트립(110)이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센서 스트립(110)이 배출될 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 단자(222)의 상기 끝단이 탄성력에 의해 센서 스트립(110)을 튕겨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수단과 회전 돌기 및 회전축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스트립(110)의 삽입시, 슬라이드 이젝터(230),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이젝터(230)의 푸시 수단(231)의 최대 이동 거리는 'W'이다. 혈당 측정기(100)의 하우징 내 설치 구조상, 레버(210)의 회전축(211)은, 푸시 수단(231)의 최대 이동 거리(W)의 수직 이등분선 상(도 13의 y축)에 설치되지 않고, 그보다는 오른쪽에 편향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이점을 고려하여 레버(210)의 회전축(211)으로부터 회전 돌기(214)의 끝점까지의 거리(r)를 설계해야 한다.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되기 전에, 레버(21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수평 상태에서 레버(210)는 혈당 측정기의 하우징에 걸려 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을 못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푸시 수단(231)은 스트립 소켓(220)의 삽입구(221) 측에 가깝게 위치한다. 즉 도 13의 가장 왼쪽 위치이다. 이 상태에서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될 때 푸시 수단(231)이 회전 돌기(214)를 뒤로 밀어내기 위해서는, 회전 돌기(214)의 끝점은 푸시 수단(231)에 접촉해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회전축(211)의 중심으로부터 회전 돌기(214)의 끝점(즉, 푸시 수단(231)과의 접촉점)까지의 거리 r은 회전축(211)의 중심으로부터 푸시 수단(231)의 상단 끝점까지의 거리, 즉 회전축(211)의 중심으로부터 푸시 수단(231)까지의 최단 거리 d1 보다 커야 한다.
그리고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회전 돌기(214)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 돌기(214)의 끝점(즉, 푸시 수단(231)과 접촉하는 점)이 푸시 수단(231)의 하단 끝점(즉, 회전축(211)으로부터 가장 먼 푸시 수단(231)의 끝점)의 이동선, 즉 수평축(도 13의 x 축)을 이탈하면 안 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1)의 중심으로부터 회전 돌기(214)의 끝점까지의 거리 r은, 회전축(21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수평축까지의 수직 거리 d2 보다 작아야 한다.
위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회전축(211)은 푸시 수단(231)의 최대 이동 거리(W)의 수직 이등분선 상(도 13의 y축)에 설치되지 않고, 그보다는 오른쪽에 편향되어 설치되므로, 센서 스트립(110)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도 13의 가장 오른쪽 위치와 같이, 회전 돌기(214)는 푸시 수단(231)에 항상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200)에 센서 스트립(110)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도치 않게 레버(210)가 수직 방향으로, 즉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의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의 설치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10)의 몸체 중 조작부(212)의 반대 측면의 모서리에는 회전 방지 돌기(213)가 형성되고, 혈당 측정기의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 방지 돌기(213)를 고정하는 고정용 돌기(121)가 형성된다. 회전 방지 돌기(213)와 고정용 돌기(121)의 배치 위치, 크기, 곡률 등은, 소정의 약한 힘에 의해, 회전 방지 돌기(213)가 고정용 돌기(121)를 이탈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센서 스트립(110)이 상기 약한 힘보다 더 큰 힘에 의해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200)에 삽입될 때, 회전 방지 돌기(213)가 고정용 돌기(121)를 이탈하게 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의 삽입 전후의 레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스트립(110)이 삽입되기 전에는, 레버(210)가 혈당 측정기(100)의 하우징(120)에 매립되어 있다. 따라서, 의도치 않게 레버(2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스트립(110)이 혈당 측정기(100)에 삽입되면, 레버(210)의 조작부(212)가 하우징(120)의 외부로 돌출되고, 따라서, 센서 스트립(110)의 배출을 위해 사용자가 레버(210)의 조작부(212)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레버(210)의 회전 돌기(214)는, 레버 몸체의 양 측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한 쌍의 푸시 수단(231)이 슬라이드 이젝터(230)의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반면, 도 17을 참조한 본 실시예에서, 레버(210)의 중앙에 하나의 회전 돌기(1701)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푸시 수단(1702)이 슬라이드 이젝터(230)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혈당 측정기
110 : 센서 스트립
120 : 하우징
200 :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210 : 레버
211 : 회전축
212 : 조작부
213 : 회전 방지용 돌기
214, 1701 : 회전 돌기
220 : 스트립 소켓
221 : 삽입구
222 : 단자
230 : 슬라이드 이젝터
231, 1702 : 푸시 수단
232 : 스트립 지지돌기

Claims (9)

  1.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에 있어서,
    통전용의 복수의 단자를 내부에 구비하고 센서 스트립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스트립 소켓;
    상기 스트립 소켓의 일면에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 및 배출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 소켓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센서 스트립의 선단과 접촉하는 스트립 지지돌기 및 적어도 하나의 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푸시 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이젝터; 및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푸시 수단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 돌기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조작부의 반대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회전 방지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방지용 돌기는, 상기 센서 스트립의 미삽입시 혈당 측정기의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용 돌기에 접촉하여 상기 레버의 수직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시 상기 고정용 돌기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레버의 수직 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지지돌기는,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 소켓의 저면에는, 상기 한 쌍의 스트립 지지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이젝터는,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푸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양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푸시 수단 각각에 접촉하는 한 쌍의 회전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이젝터는, 상기 레버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는 하나의 푸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중앙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나의 푸시 수단에 접촉하는 하나의 회전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센서 스트립이 삽입되기 전에는 상기 하우징에 매립되고,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 후에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축은, 상기 푸시 수단의 최대 이동 거리의 수직 이등분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 전에,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 돌기의 끝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푸시 수단까지의 최단 거리 보다 크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 돌기의 끝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먼 상기 푸시 수단의 끝점이 이동하는 수평축까지의 수직 거리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삽입구의 방향 및 상기 스트립 소켓의 내부 아랫면을 향하여 사선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은, 상부 방향으로 굴곡되며,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 단자의 끝단과 상기 스트립 소켓의 내부 아랫면 사이에 상기 센서 스트립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에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시, 상기 센서 스트립이 상기 스트립 지지돌기를 밀어 상기 슬라이드 이젝터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푸시 수단이 상기 회전 돌기를 밀러 상기 레버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작부의 조작시,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돌기가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시와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푸시 수단을 밀어 상기 슬라이드 이젝터를 상기 센서 스트립의 삽입시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스트립 지지돌기가 이동하여 상기 센서 스트립을 상기 삽입구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KR1020200080209A 2020-06-30 2020-06-30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KR102401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09A KR102401130B1 (ko) 2020-06-30 2020-06-30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09A KR102401130B1 (ko) 2020-06-30 2020-06-30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15A KR20220001815A (ko) 2022-01-06
KR102401130B1 true KR102401130B1 (ko) 2022-05-25

Family

ID=7934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209A KR102401130B1 (ko) 2020-06-30 2020-06-30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1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219B1 (ko) * 2014-07-07 2016-01-04 최인상 바이오센서 스트립 인출장치
KR101723785B1 (ko) * 2016-02-01 2017-04-19 주식회사 아이센스 혈당 측정기용 스트립 배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410B1 (ko) 2010-02-16 2014-01-07 최인상 혈당 측정용 스트립 수납 장치 및 스트립 보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219B1 (ko) * 2014-07-07 2016-01-04 최인상 바이오센서 스트립 인출장치
KR101723785B1 (ko) * 2016-02-01 2017-04-19 주식회사 아이센스 혈당 측정기용 스트립 배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15A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6704B2 (en) Strip connectors for measurement devices
US8016154B2 (en) Sensor dispenser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90108013A1 (en) Test strip ejection mechanism
US20060099703A1 (en) Devic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s
EP2375241A1 (en) A testing piece reader provided with a removable firmware
US1010134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onic analyte assaying
US20060152207A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an electrochemical analysis system
CN111065989B (zh) 用户输入设备、用于与用户输入设备使用的面板及计算机外围装置
CN104144645B (zh) 血液分析仪
US11940388B2 (en) Method for improving usability and accuracy for physiological measurement
KR100504766B1 (ko) 양방향 혈당측정기
WO2008016137A1 (fr) Dispositif de mesure et procédé d'éjection de capteur
CN204542154U (zh) 可快速测量血糖参数的一体式血糖仪
JP5855103B2 (ja) 生体試料測定装置
KR102401130B1 (ko) 혈당 측정기용 센서 스트립 배출 장치
CN104792995A (zh) 用于多功能血糖仪的试纸针
CN102914660A (zh) 样品分析设备
CN103907024B (zh) 用于流体测试条的盒和计量装置
WO2013105508A1 (ja) 生体情報測定装置
CN201382916Y (zh) 血糖血脂测试仪接口
JP2018528402A (ja) 液体サンプルの分析装置
CN217886694U (zh) 具有血糖检测功能的药物注射笔
CN112485412B (zh) 用以读取试片的生理感测装置
US20220219161A1 (en) Analyte meters, test strip ejector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449714B1 (ko) 이젝팅 버튼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