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906B1 - 우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우수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906B1
KR102400906B1 KR1020210053738A KR20210053738A KR102400906B1 KR 102400906 B1 KR102400906 B1 KR 102400906B1 KR 1020210053738 A KR1020210053738 A KR 1020210053738A KR 20210053738 A KR20210053738 A KR 20210053738A KR 102400906 B1 KR102400906 B1 KR 102400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eel pipe
nut
sensing rod
electrod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수
Original Assignee
하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수 filed Critical 하태수
Priority to KR102021005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8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which is flowing continuous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이 지나는 강관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감지된 빗물의 상태를 외부에 신속하게 알려줌으로써 빗물 처리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된 우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수 감지장치는 하부에 강관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전자기기가 수용되고, 상부 일측에 케이블 인출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몸체에 삽입되어 강관 바닥부에 인접 배치됨으로써 강관을 흐르는 빗물을 감지하는 감지봉, 및 상기 감지봉의 빗물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그 신호를 알려주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전극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우수 감지장치{RAINWATER DETECTOR}
본 발명은 우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상 상황 중 하나인 강우 상황에서, 우수(雨水)를 감지하여 강우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는 과거부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우수 감지장치는 비가 오는 것을 감지하여 알려주거나, 정해진 다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로, 빗물 처리 시스템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빗물 처리 시스템은 우수 저장설비에 적용되어 우기(雨期)에 집중호우가 발생되었을 때 빗물을 대량으로 저장하여 하수관으로 흐르는 빗물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하천이 범람하거나 하수도가 역류되는 등의 피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우수 감지장치는 초기에 내리는 빗물을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것으로, 주로 빗물이 흐르는 강관이나 빗물이 모이는 저수조 등에 우수 감지장치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우수 감지장치에는 각종 전자 장비가 연결되어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우수 감지장치의 설치 및 설치해제가 까다롭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9736호(발명의 명칭: 전선을 사용하여 우수를 감지하는 우수감지장치, 2020. 09. 2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0391호(발명의 명칭: 강우 감지를 이용한 우수 처리 및 사용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2011. 01. 2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빗물이 지나는 강관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감지된 빗물의 상태를 외부에 신속하게 알려줌으로써 빗물 처리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된 우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우수 감지장치는 하부에 강관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전자기기가 수용되고, 상부 일측에 케이블 인출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몸체에 삽입되어 강관 바닥부에 인접 배치됨으로써 강관을 흐르는 빗물을 감지하는 감지봉, 및 상기 감지봉의 빗물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그 신호를 알려주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전극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기판을 통한 빗물 감지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고, 상기 빗물 감지신호를 통해 외부 알람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커버와의 결합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습기를 차단하는 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봉은 상부에 상기 전극기판의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감지봉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에 체결되는 제1 너트, 상기 제1 너트의 상부에 체결되는 제2 너트, 및 상기 제1 너트와 상기 제2 너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봉은 하부에 상기 강관의 직경에 따라 신장 또는 축소되는 길이 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가변부는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안테나 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 감지장치에 따르면, 부품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빗물을 감지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감지된 빗물의 상태를 외부에 신속하게 알려줌으로써 빗물 처리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빗물을 감지하는 감지봉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빗물을 감지하는 강관의 직경과 상관없이 편리하게 우수 감지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감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감지장치의 케이블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감지장치의 감지봉 길이 가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우수 감지장치가 강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수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감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우수 감지장치(1)는 몸체(11)와 커버(12)로 이루어진 하우징(10), 감지봉(20), 및 전극기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우수 감지장치(1)는 감지봉(20)을 빗물이 흐르는 강관(2)이나 빗물이 모이는 저수조에 설치하여 빗물을 감지한 후, 상기 전극기판(30)을 통해 감지된 신호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수 감지장치(1)의 하우징(10)은 하부에 강관(2)에 결합되는 나사부(13)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전자기기가 수용되고, 상부 일측에 케이블 인출홀(14)이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커버(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1)에서 커버(12)를 제거하여 몸체 내부의 설비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봉(20)은 하우징(10)의 몸체(11)에 삽입되어 강관(2) 바닥부에 인접 배치됨으로써 강관(2)을 흐르는 빗물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봉(20)은 전극기판(30)과 연결되어 전극 감지를 통해 빗물을 감지하여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즉, 상기 전극기판(30)은 감지봉(20)의 빗물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그 신호를 알려주도록 상기 몸체(11)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극기판(30)에는 케이블(3) 및 전기설비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수 감지장치(1)는 전극기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극기판(30)을 통한 빗물 감지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고, 상기 빗물 감지신호를 통해 외부 알람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강관(2) 또는 저수조의 밸브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밸브를 잠궈 빗물을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한 다음, 상기 제어부(40)의 신호를 통해 밸브를 개방하여 모여진 빗물을 외부로 방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를 통해 상기 우수 감지장치(1)를 빗물 처리 시스템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는 상기 커버(12)와의 결합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습기를 차단하는 씰링(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씰링(15)은 커버(12)와 결합되는 몸체(11)에 설치되어 외부의 물기나 습기나 몸체(11) 내부에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몸체(11) 내부의 전극기판(30) 및 전기설비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감지장치의 케이블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우수 감지장치(1)의 감지봉(20) 상부에 전극기판(30)의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3)이 연결되는 연결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50)는 감지봉(20)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에 체결되는 제1 너트(51), 상기 제1 너트(51)의 상부에 체결되는 제2 너트(52), 및 상기 제1 너트(51)와 제2 너트(52)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3)과 연결되는 연결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봉(20)에 케이블(3)을 설치하기 위하여 감지봉(20)의 상부에 상기 제1 너트(51)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너트(51)의 상부에 케이블(3)이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53)를 고정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53)의 상부에 제2 너트(52)를 체결함으로써 연결부재(53)를 감지봉(20) 상부에 설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감지장치의 감지봉 길이 가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우수 감지장치가 강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우수 감지장치(1)의 감지봉(20)은 하부에 상기 강관(2)의 직경에 따라 신장 또는 축소되는 길이 가변부(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길이 가변부(60)는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안테나 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봉(20)에 제1 안테나(61)와 제2 안테나(6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는 바, 상기 제1 안테나(61)는 감지봉(2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2 안테나(62)는 제1 안테나(6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강관(2)의 직경이 최소인 경우(D1), 상기 제1 안테나(61)와 제2 안테나(62)의 인출없이 상기 감지봉(20) 만으로 빗물을 감지할 수 있고, 강관(2)의 직경이 중간 정도인 경우(D2), 상기 감지봉(20)에서 제1 안테나(61)를 인출하여 빗물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강관(2)의 직경이 최대인 경우(D3), 상기 제1 안테나(61)에서 제2 안테나(62)를 인출하여 빗물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우수 감지장치(1)는 부품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빗물을 감지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감지된 빗물의 상태를 외부에 신속하게 알려줌으로써 빗물 처리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빗물을 감지하는 감지봉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빗물을 감지하는 강관(2)의 직경과 상관없이 편리하게 우수 감지장치(1)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우수 감지장치
2: 강관
3: 케이블
10: 하우징
11: 몸체
12: 커버
13: 나사부
14: 케이블 인출홀
15: 씰링
20: 감지봉
30: 전극기판
40: 제어부
50: 연결부
51: 제1 너트
52: 제2 너트
53: 연결부재
60: 길이 가변부
61: 제1 안테나
62: 제2 안테나

Claims (5)

  1. 하부에 강관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전자기기가 수용되고, 상부 일측에 케이블 인출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몸체에 삽입되어 강관 바닥부에 인접 배치됨으로써 강관을 흐르는 빗물을 감지하는 감지봉; 및
    상기 감지봉의 빗물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그 신호를 알려주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전극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봉은 상부에 상기 전극기판의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감지봉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에 체결되는 제1 너트, 상기 제1 너트의 상부에 체결되는 제2 너트 및 상기 제1 너트와 상기 제2 너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너트의 상부에 케이블이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 상기 제2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감지봉 상부에 설치하며,
    상기 전극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기판을 통한 빗물 감지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고, 상기 빗물 감지신호를 통해 외부 알람장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강관 또는 저수조의 밸브를 동작시키고,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밸브를 잠궈 빗물을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한 다음,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통해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 모여진 빗물을 외부로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감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커버와의 결합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습기를 차단하는 씰링을 포함하는 우수 감지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은 하부에 상기 강관의 직경에 따라 신장 또는 축소되는 길이 가변부를 포함하는 우수 감지장치.
KR1020210053738A 2021-04-26 2021-04-26 우수 감지장치 KR102400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38A KR102400906B1 (ko) 2021-04-26 2021-04-26 우수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38A KR102400906B1 (ko) 2021-04-26 2021-04-26 우수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906B1 true KR102400906B1 (ko) 2022-05-23

Family

ID=8180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738A KR102400906B1 (ko) 2021-04-26 2021-04-26 우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90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1885A (ja) * 1993-12-07 1996-02-27 エンドレス ウント ハウザー フローテツク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流体測定センサ
KR19990015838U (ko) * 1997-10-21 1999-05-15 엄병윤 예열플러그 및 체결방법
KR200311504Y1 (ko) * 2003-02-04 2003-05-01 (주)한울인텍스 감온 유량센서
JP2003194612A (ja) * 2001-12-26 2003-07-09 Toho Gas Co Ltd 水位監視装置及び水位監視システム
KR100930791B1 (ko) * 2009-07-21 2009-12-09 정지환 고온, 고압보강구조를 갖는 수위감지용 전극봉센서
KR101010391B1 (ko) 2010-09-15 2011-01-21 조선환 강우 감지를 이용한 우수 처리 및 사용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401356B1 (ko) * 2014-01-03 2014-06-13 지귀봉 수위감지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114428A (ko) * 2016-04-04 2017-10-16 (주)성진지오텍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측정장치
KR102159736B1 (ko) 2020-03-05 2020-09-24 대한민국 전선을 사용하여 우수를 감지하는 우수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1885A (ja) * 1993-12-07 1996-02-27 エンドレス ウント ハウザー フローテツク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流体測定センサ
KR19990015838U (ko) * 1997-10-21 1999-05-15 엄병윤 예열플러그 및 체결방법
JP2003194612A (ja) * 2001-12-26 2003-07-09 Toho Gas Co Ltd 水位監視装置及び水位監視システム
KR200311504Y1 (ko) * 2003-02-04 2003-05-01 (주)한울인텍스 감온 유량센서
KR100930791B1 (ko) * 2009-07-21 2009-12-09 정지환 고온, 고압보강구조를 갖는 수위감지용 전극봉센서
KR101010391B1 (ko) 2010-09-15 2011-01-21 조선환 강우 감지를 이용한 우수 처리 및 사용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401356B1 (ko) * 2014-01-03 2014-06-13 지귀봉 수위감지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114428A (ko) * 2016-04-04 2017-10-16 (주)성진지오텍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측정장치
KR102159736B1 (ko) 2020-03-05 2020-09-24 대한민국 전선을 사용하여 우수를 감지하는 우수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509B1 (ko) 빗물 배수구 오염물질 여과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US4380243A (en) Overflow control system
US8297119B2 (en) Liquid leve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CA2124907C (en) Water-sensing alarm for water control systems
US3757316A (en) Alarm assembly combined with cleanout plug structure
US9227279B2 (en) Protective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a lift station water level sensor
US20120062384A1 (en) Roof drain overflow sensor
KR102400906B1 (ko) 우수 감지장치
US7336190B2 (en) Early detection and advanced warning “waste is backing up” apparatus and method
US6786091B1 (en) Gutter overflow detection device and system
US20060033629A1 (en) Over flow sensor
US4703313A (en) Picket barrier and intrusion sensing system
US20090152480A1 (en) Fluid backup preven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604017B2 (en) Water ingress detection system
CN210072885U (zh) 一种跑水报警装置
JP5580612B2 (ja) 冠水検出センサ
WO2008056387A1 (en) System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blockage of pipes particularly for siphons of discharge ducts.
JP2018087814A (ja) 冠水検知センサの取付構造
GB2267513A (en) Water supply apparatus incorporating an overflow sensing devices
KR100583886B1 (ko) 센서케이블 절곡 감지장치
KR101482238B1 (ko)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
KR20090026968A (ko) 교통정보 측정 장치
CA2312207A1 (en) Liquid sensing alarm for liquid level control systems
EP1443208A1 (en) Wind turbine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20027993A (ko)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