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759B1 -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759B1
KR102400759B1 KR1020200058468A KR20200058468A KR102400759B1 KR 102400759 B1 KR102400759 B1 KR 102400759B1 KR 1020200058468 A KR1020200058468 A KR 1020200058468A KR 20200058468 A KR20200058468 A KR 20200058468A KR 102400759 B1 KR102400759 B1 KR 102400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groove
frame
rai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1164A (ko
Inventor
표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759B1/ko
Publication of KR2021014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는 저장공간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에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과, 상기 레일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레일 프레임에 걸쳐져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바퀴 및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구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될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위로 들려 상기 바퀴가 상기 레일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Sliding Rolle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는 저장공간에 있어서, 슬라이딩 롤러를 레일 프레임에 장착한 후, 상기 슬라이딩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탈방지부를 조작하여, 상기 슬라이딩 롤러가 상기 레일 프레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는 저장공간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의 상단에는 레일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단에는 상기 레일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슬라이딩 롤러가 설치된다. 상기 레일 프레임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는 바퀴가 상기 슬라이딩 롤러에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상기 레일 프레임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며 열리거나 닫힌다.
상기 저장공간은 붙박이장, 옷장, 서랍 등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들리면 상기 슬라이딩 롤러의 바퀴가 상기 레일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827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827호'의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는 인도어에서는 이탈방지구의 상단이 레일의 하단에 걸리도록 회전시켜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고, 아웃도어에서는 이탈방지구의 상단이 레일에 걸리도록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도어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이탈방지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상기 인도어의 이탈방지구의 경우에는, 90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단방향으로만 쓸 수 있으며, 댐퍼 장치가 설치된 레일에 상기 댐퍼 장치와 연동되게 사용할 수 없다.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구의 경우에는, 상기 이탈방지구 상부의 공간이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을만큼 좁을 경우 상기 이탈방지구를 해제하기 어려워진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82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는 저장공간에 있어서, 레일 프레임에 설치된 댐퍼 장치와 연동 가능하며 상기 댐퍼 장치와의 연동 유무에 따라 양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도어용 이탈방지구를 제공하고, 이탈방지구 상부의 공간이 좁을 때에도 공구를 이용하여 쉽게 이탈방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아웃도어용 이탈방지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는,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는 저장공간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에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과, 상기 레일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레일 프레임에 걸쳐져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바퀴 및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구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될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위로 들려 상기 바퀴가 상기 레일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인도어와, 상기 인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아웃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인도어의 이탈방지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삽입되고,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인도어의 이탈방지부는 상기 인도어의 내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본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도어의 이탈방지부의 양측에는 상기 인도어의 내측에서 상기 인도어의 외측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손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도어의 이탈방지부의 외측부는 상기 인도어의 내측에서 상기 인도어의 외측으로 갈수록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도어의 이탈방지부의 외측에는 상기 인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이는 누름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는 특정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아웃도어의 상하방향 유동폭이 넓어지고,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 상기 아웃도어의 상하방향 유동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레일 프레임에는 댐핑 장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댐핑 장치는 상기 레일 프레임에 설치되는 댐퍼 프레임과, 상기 댐퍼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와 연결되어 상기 집게부의 이동을 억제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에는 상기 도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게부와 결합가능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측이 상기 댐퍼 프레임에 가깝게 설치되면 상기 걸림부와 상기 집게부가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타측이 상기 댐퍼 프레임에 가깝에 설치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집게부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는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제1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는 상기 아웃도어의 내외측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관통홈을 통해 상기 본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며 상기 아웃도어의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관통홈과,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며 상기 아웃도어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에는 나사가 삽입되고,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관통홈을 통해 상기 본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나사는 상기 제2관통홈을 통과한 공구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체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를 조작하여, 상기 이탈방지부와 레일 사이의 간격이 바퀴의 하면과 상기 바퀴의 이탈을 방지하는 턱의 상면 사이의 간격보다 좁아지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바퀴가 상기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부를 도어의 내외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손쉽게 상기 바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의 양쪽에 형성되는 손삽입홈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부를 손쉽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상기 손삽입홈이 도어의 내측에서 상기 도 어의 외측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손삽입홈에 공구를 삽입하여 손쉽게 상기 이탈방지부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를 도어의 내외방향을 축으로 회전되게 형성하여 손쉽게 상기 바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에 상기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레일에 설치되는 댐퍼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부를 회전시켜 상기 댐퍼와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의 이탈방지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의 이탈방지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가 이탈방지 해제 상태일 때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가 이탈방지 상태일 때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가 이탈방지 해제 상태일 때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가 이탈방지 상태일 때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의 이탈방지부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의 이탈방지부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가 이탈방지 해제 상태일 때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가 이탈방지 상태일 때의 사시도(댐퍼기능 사용시)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가 이탈방지 상태일 때의 사시도(댐퍼기능 미사용시)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가 이탈방지 해제 상태일 때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가 이탈방지 상태일 때의 사시도(댐퍼기능 사용시)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가 이탈방지 상태일 때의 사시도(댐퍼기능 미사용시)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를 댐퍼 장치와 같이 설치했을 때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고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은 저장공간(20)의 내외방향이고, 좌우방향은 저장공간(20)의 좌우방향이고, 상하방향은 저장공간(20)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저장공간(20)에는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아웃도어(30)와 아웃도어(30)보다 내측에 설치되어, 열리면 아웃도어(30)의 내측에 겹쳐지게 되는 인도어(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20)의 아웃도어(30)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의 본체(1100)는 아웃도어(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측 브라켓(1300)과, 도어측 브라켓(1300)에 결합되는 레일측 브라켓(1200)을 포함하고, 레일측 브라켓(1200)에는 붙박이장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1500)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1210)와, 바퀴(1210)가 레일 프레임(15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1400)가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체(110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측 브라켓(1300)은 아웃도어(30)의 전방에 설치된다.
도어측 브라켓(1300)은 아웃도어(30) 상부의 양 모퉁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측 브라켓(1300)은 상부가 전방으로 절곡된 'L'자형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도어측 브라켓(1300)은 아웃도어(30)에 결합되는 후방판(1310)과, 후방판(13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판(1320)을 포함한다.
도어측 브라켓(1300)은 도어측 브라켓(1300)이 설치된 모퉁이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도어측 브라켓(1300)이 아웃도어(30)의 좌측 상부에 설치되면 도어측 브라켓(1300)의 좌측이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도어측 브라켓(1300)이 아웃도어(30)의 우측 상부에 설치되면 도어측 브라켓(1300)의 우측이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어측 브라켓(1300)이 보다 견고하게 아웃도어(30)에 고정될 수 있고, 이러한 도어측 브라켓(1300)으로 인해 아웃도어(30)의 모퉁이가 휘어지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이하에서는 아웃도어(30)의 좌측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측 브라켓(130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측 브라켓(1300)의 후방판(131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나사홈이 형성되어, 도어측 브라켓(1300)의 후방판(1310)은 상기 나사홈을 통과하는 나사에 의해 아웃도어(30)에 결합된다.
도어측 브라켓(1300)의 상판(1320)의 중앙에는 전방이 개방되고, 상항방향으로 관통되게 가이드홈(1301)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301)의 후방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홈(1301)의 전방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홈(1301)에는 후술할 이탈방지부(1400)의 하부가 삽입된다. 이탈방지부(1400)의 하부는 가이드홈(1301)에 의해 전후방향 슬라이딩이 가이드 된다.
가이드홈(1301)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슬롯(1302)이 각각 배치된다.
레일측 브라켓(1200)은 상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L'자형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레일측 브라켓(1200)은 도어측 브라켓(1300)에 결합되는 상판(1220)과, 상판(122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전방판(1230)을 포함한다.
레일측 브라켓(1200)의 상판(1220)과 전방판이(1230) 연결되는 부위에는 이탈방지부 관통홈(1201)이 형성된다.
이탈방지부 관통홈(1201)은 레일측 브라켓(1200) 상판(1220)의 후방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레일측 브라켓(1200) 전방판(1230)의 상부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레일측 브라켓(1200) 상판(122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 관통홈(1201)과 레일측 브라켓(1200) 전방판(123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 관통홈(1201)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탈방지부 관통홈(1201)의 좌우방향 길이는 도어측 브라켓(1300)의 가이드홈(1301)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레일측 브라켓(1200)의 상판(1220)에는 이탈방지부 설치나사(1202)를 설치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이탈방지부 설치나사(1202)는 이탈방지부 관통홈(1201)의 후방에 설치된다.
레일측 브라켓(1200) 상판(1220)의 좌측 및 우측에는 도어측 브라켓(1300)의 슬롯(1302)을 통과한 나사(10)가 설치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나사(10)는 슬롯(1302)당 2개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10) 머리의 지름은 슬롯(130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나사(10)에 의해 레일측 브라켓(1200)과 도어측 브라켓(1300)은 서로 결합된다.
슬롯(1302)의 길이는 나사(10) 2개의 지름을 합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나사(10)가 설치된 레일측 브라켓(1200)은 도어측 브라켓(130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레일측 브라켓(1200)의 전방판(1230)의 중앙에는 바퀴(1210)가 설치된다.
바퀴(1210)의 일부는 레일측 브라켓(1200)의 전방판(1230)보다 하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이로 인해 바퀴(1210)가 레일 프레임(1500)을 따라 이동할 때, 레일 프레임(1500)과 본체(1100)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 내지 4에는 이탈방지부(1400)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탈방지부(1400)는 이탈방지부 설치나사(1202)에 의해 레일측 브라켓(1200) 및 도어측 브라켓(1300)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1410)와, 사용자가 이탈방지부(140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접촉하는 조작부(142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1410)는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부(1410)는 도어측 브라켓(1300)의 상면에 걸쳐지는 걸림판(1411)과, 걸림판(1411) 하부에 형성되며 도어측 브라켓(1300)의 가이드홈(1301)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판(1412)과, 가이드판(1412)의 하부에 형성되며 레일측 브라켓(1200)의 이탈방지부 관통홈(1201)에 삽입되는 지지판(1413)을 포함한다.
걸림판(1411)은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판(1411)의 좌우방향 길이는 도어측 브라켓(1300)의 가이드홈(1301)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걸림판(1411)은 가이드홈(1301) 내측에 삽입되지 않고, 도어측 브라켓(1300)의 상면에 걸쳐진다.
가이드판(1412)은 걸림판(1411)의 전방에 형성된다.
가이드판(1412)의 전면은 걸림판(1411)의 전면과 동일한 면에 배치된다.
가이드판(1412)은 가이드홈(1301)과 유사하게 동일하게 후방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판(1412)의 좌우방향 길이는 가이드홈(1301)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짧게 형성되어, 가이드판(1412)은 가이드홈(130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판(1412)은 가이드홈(1301)에 의해 좌측과 우측이 가이드 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지지판(1413)은 가이드판(1412)의 전방에 형성된다.
지지판(1413)의 전면은 가이드판(1412)의 전면과 동일한 면에 배치된다.
지지판(1413)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판(1413)의 좌우방향 길이는 레일측 브라켓(1200)의 이탈방지부 관통홈(1201)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짧게 형성되어, 지지판(1413)은 이탈방지부 관통홈(1201)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판(1413)은, 지지판(1413)의 하면이 레일측 브라켓(1200)의 전방판(123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 관통홈(1201)의 하면에 닿을 수 있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지지판(1413)은 이탈방지부 관통홈(1201)에 삽입되어 레일측 브라켓(1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410)의 중앙부에는 이탈방지부 설치나사(1202)가 삽입되는 걸림부(1414)가 형성된다.
걸림부(1414)는 슬라이딩부(141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함몰홈(1417)과, 함몰홈(1417)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의 좌측 및 우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탄성홈(1416)을 포함한다.
함몰홈(1417)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함몰홈(1417)은 전방과 후방이 호 형상이고 호의 양 끝을 각각 직선으로 이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1417)의 깊이는 이탈방지부 설치나사(1202)의 머리 부분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깊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홈의 전방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걸림홈(1415a)과 상기 걸림홈의 후방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걸림홈(1415b)이 겹쳐진 형태로 형성된다.
제1,2걸림홈(1415a,1415b)의 내주면은 함몰홈(1417)의 내주면에서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걸림홈(1415a)과 제2걸림홈(1415b)이 겹쳐지는 부분의 좌우방향 폭은 제1,2걸림홈(1415a,1415b)의 지름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홈은 땅콩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이탈방지부 설치나사(1202)가 제1걸림홈(1415a) 또는 제2걸림홈(1415b)에 위치해 있을 때, 충분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제1걸림홈(1415a)에서 제2걸림홈(1415b)으로 또는 제2걸림홈(1415b)에서 제1걸림홈(1415a)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탄성홈(1416)은 제1걸림홈(1415a)과 제2걸림홈(1415b)이 겹쳐지는 부분의 내주면과 함몰홈(1417)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홈(1416)으로 인해 이탈방지부 설치나사(1202)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때 걸림부(1414)가 탄성변형 되어, 보다 쉽게 이탈방지부 설치나사(1202)가 이동될 수 있다.
조작부(1420)는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작부(1420)는 슬라이딩부(1410)의 후방에 연결되는 제1조작판(1421)과, 제1조작판(1421)의 후방에 연결되는 경사판(1422)과, 경사판(1422)의 후방에 연결되는 제2조작판(1423)을 포함한다.
제1조작판(1421)과 제2조작판(1423)은 슬라이딩부(1410)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경사판(142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조작판(1421)의 좌우방향 길이는 슬라이딩부(1410)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경사판(1422)의 좌측 및 우측에는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손삽입홈(1425)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경사판(1422)과 제2조작판(1423)이 도어측 브라켓(1300)에서 이격되므로, 이탈방지부(1400)와 도어측 브라켓(130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게 된다.
손삽입홈(1425)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판(1422)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다가 경사판(1422)의 외측으로 꺾어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손삽입홈(1425)에 손을 넣어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조작부(1420)를 포함한 이탈방지부(1400) 전체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손삽입홈(1425)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이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만큼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손삽입홈(1425)에 삽입하여 이탈방지부(140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삼각형 형태로 인해, 손삽입홈(1425)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었을 때보다 보다 수월하게 이탈방지부(140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경사판(1422)의 우측에 형성되는 손삽입홈(1425)에 삽입되는 공구를 기준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손삽입홈(1425)이 사각형 형태일 경우 손삽입홈(1425)의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부분이 생기므로, 손삽입홈(1425)의 내측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 공구를 후방으로 당기면 손삽입홈(1425)을 따라 후방으로 미끄러지며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제2조작판(1423)에 제대로 힘이 가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손삽입홈(1425)이 상술한 삼각형 형태일 경우에는 상기 공구가 경사면을 따라 좌측 후방으로 미끄러지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손삽입홈(1425)이 사각형 형태일 때에 비해 손삽입홈(1425) 내측면과 상기 공구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보다 수월하게 손삽입홈(1425)을 당길 수 있다.
제2조작판(1423)의 후방의 중앙부에는 누름홈(1424)이 형성된다. 누름홈(1424)은 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누름홈(1424)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누름홈(1424)을 이용하여 보다 편안하게 이탈방지부(1400)를 전방으로 밀 수 있다.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0)는 아웃도어(30)에 설치되고, 레일 프레임(1500)은 저장공간(20)에 설치된다.
레일 프레임(1500)의 상부는 전방으로 90도 절곡되게 형성되어, 저장공간(20)의 상면과 전면에 걸쳐 설치된다.
레일 프레임(1500)은 저장공간(20)의 상면에 접하는 가림판 프레임(1540)과, 가림판 프레임(1540)과 연결되고 저장공간(20)의 전면에 접하는 연결 프레임(1530)과, 연결 프레임(1530)의 상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1520)과, 연결 프레임(1530)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1510)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1510)에는 아웃도어(30)에 설치된 본체(1100)의 바퀴(1210)가 설치되는 제1레일(1512)과, 제1레일(1512)보다 후방에 배치되며 인도어에 설치된 본체의 바퀴가 설치되는 제2레일(1514)이 형성된다.
제1레일(1512)과 제2레일(1513) 사이에는 위쪽으로 돌출되게 턱(1511)이 형성된다.
바퀴(1210)는 조립 후 하부 프레임(1510)과 상부 프레임(1520)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 프레임(1510)에 걸쳐진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의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140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바퀴(1210)를 하부 프레임(1510)의 제1레일(1512)에 설치한다.
이 때 이탈방지부(1400)는 상부 프레임(1520)에서 벗어나게 위치한다. 이로 인해 상부 프레임(1520)과 본체(1100) 사이의 간격은 상부 프레임(1520) 하면과 레일측 브라켓(1200)의 상면 사이의 간격인 제1간격과 동일해진다.
상기 제1간격은 하부 프레임(1510)에서 제1레일(1512)의 하면과 턱(1511)의 상면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바퀴(1210)를 제1레일(1512)에 설치하기 쉬워지지만 바퀴(1210)가 1레일(1512)에서 이탈되기도 쉬워진다.
그 다음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140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탈방지부(1400)의 누름홈(1424)에 전방으로 힘을 주어 이탈방지부(140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탈방지부(140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이탈방지부(1400)의 일부는 상부 프레임(1520) 하부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상부 프레임(1520)과 본체(1100) 사이의 간격은 상부 프레임(1520) 하면과 이탈방지부(1400) 상면 사이의 간격인 제2간격과 동일해진다.
상기 제2간격은 하부 프레임(1510)에서 제1레일(1512)의 하면과 턱(1511)의 상면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바퀴(1210)가 제1레일(1512)에서 이탈되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손쉽게 바퀴(1210)가 하부 프레임(1510)에서 이탈되지 않게 방지할 수 있다.
바퀴(1210)를 하부 프레임(1510)에서 제거해야할 때는, 이탈방지부(140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탈방지부(1400)의 손삽입홈(1425)에 손을 삽입하여 후방으로 힘을 줄 수도 있고, 손삽입홈(1425)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하여 후방으로 힘을 줄 수도 있다.
이탈방지부(140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이탈방지부(1400)는 상부 프레임(1520)에서 벗어난 자리에 위치하게 되고, 바퀴(1210)를 손쉽게 하부 프레임(1510)에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서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20)의 인도어(40)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의 본체(2100)는 인도어(40)의 상부에 설치되는 브라켓(2200)을 포함하고, 브라켓(2200)에는 붙박이장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2500)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2210)와, 바퀴(2210)가 레일 프레임(25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2400)가 결합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체(210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라켓(2200)은 인도어(40)의 전방에 설치된다.
브라켓(2200)은 인도어(40) 상부의 양 모퉁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2200)은 좌측 또는 우측이 아래쪽으로 돌출된 'L'자형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브라켓(2200)은 브라켓(2200)이 설치된 모퉁이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브라켓(2200)이 인도어(40)의 좌측 상부에 설치되면 브라켓(2200)이 좌측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브라켓(2200)이 보다 견고하게 인도어(40)에 고정될 수 있고, 이러한 브라켓(2200)으로 인해 인도어(40)의 모퉁이가 휘어지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이하에서는 아웃도어(30) 우측 상부에 설치되는 브라켓(220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브라켓(220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나사홈이 형성되어, 브라켓(2200)은 상기 나사홈을 통과하는 나사에 의해 인도어(40)에 결합된다.
브라켓(2200)의 우측 하부에는 상부나사홈(2201)과, 중심나사홈(2202)과, 하부나사홈(2203)이 상하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형성된다.
중심나사홈(2202)은 상부나사홈(2201)의 아래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배치되고, 하부나사홈(2203)은 중심나사홈(2202)의 아래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배치된다.
상부나사홈(2201)과, 중심나사홈(2202)과, 하부나사홈(2203)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부나사홈(2201)에는 제1나사(2402)가 삽입되고, 중심나사홈(2202)에는 중심나사(2401)가 삽입되고, 하부나사홈(2203)에는 제2나사(2403)가 삽입된다.
브라켓(2200) 상부의 중앙에는 바퀴(2210)가 설치된다.
바퀴(2210)는 바퀴 축에 의해 브라켓(2200)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로 인해 바퀴(2210)가 레일 프레임(2500)을 따라 이동할 때 레일 프레임(2500)과 본체(2100)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탈방지부(2400)는 도 11 내지 도 12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탈방지부(2400)는 브라켓(2200)에 설치되는 고정부(2410)와 고정부(2410)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2420)를 포함한다. 즉, 이탈방지부(2400)는 전체적으로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L자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부(2410)는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부(2410)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나사관통홈(2411)이 형성된다. 제1나사관통홈(2411)은 브라켓(2200)의 상부나사홈(2201)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고정부(2410)의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중심나사관통홈(2412)이 형성된다. 중심나사관통홈(2412)은 브라켓(2200)의 중심나사홈(2202)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고정부(2410)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나사관통홈(2413)이 형성된다. 제2나사관통홈(2413)은 브라켓(2200)의 하부나사홈(2203)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걸림부(2420)는 전체적으로 사각바의 형태로 형성된다.
걸림부(2420)의 후방에는 하부가 개방되게 개구부(2422)가 형성된다.
개구부(2422)는 고정부(2410)의 제2나사관통홈(2413)과 연통된다. 이로 인해 제2나사(2403)는 개구부(2422)로 삽입된 후 제2나사관통홈(2413)을 통해 브라켓(2200)의 하부나사홈(2203)에 삽입된다.
걸림부(2420)의 전방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렌치관통홈(2421)이 형성된다.
렌치관통홈(2421)은 개구부(2422)와 연통된다.
사용자는 렌치관통홈(2421)을 통해 렌치를 넣어, 개구부(2422)에 삽입된 제2나사(2403)를 풀거나 조일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해진다.
걸림부(2420)의 전방에는 오링(2423)이 설치된다.
오링(2423)으로 인해 걸림부(2420)가 후술할 댐퍼레일(2600)의 집게부(2610)에 삽입될 때 진동 및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0)는 인도어(40)에 설치되고, 레일 프레임(2500)은 저장공간(20)에 설치된다.
레일 프레임(2500)의 상부는 전방으로 90도 절곡되게 형성되어, 저장공간(20)의 상면과 전면에 걸쳐 설치된다.
레일 프레임(2500)은 저장공간(20)의 상면에 접하는 가림판 프레임(2540)과, 가림판 프레임(2540)과 연결되고 저장공간(20)의 전면에 접하는 연결 프레임(2530)과, 연결 프레임(2530)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2510)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2510)의 상부에는 바퀴(2210)가 설치되는 제2레일(2513)이 형성된다. 제2레일(25153)의 전방에는 아웃도어(30)의 바퀴(1210)가 설치되는 제2레일(2512)이 형성된다.
제2레일(2513)은 제2레일(2513)의 폭방향에서 봤을 때, 제2레일(2513)의 전방 및 후방보다 제2레일(2513)의 중앙부의 높이가 낮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즉, 제2레일(2513)에 설치되는 바퀴(2210)의 후방에는 턱(2511)이 형성되어 바퀴(2210)가 쉽게 제2레일(251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의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3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나사(2401)를 이용하여 이탈방지부(2400)를 브라켓(2200)의 중심나사홈(2202)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걸림부(2420)가 우측을 향하게 회전시킨다.
즉, 이탈방지부(240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놓여진다. 이를 제1상태라고 한다.
상기 제1상태에서 제1나사(2402)와 제2나사(2403)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이탈방지부(2400)의 상면과 하부 프레임(2510)의 하면 사이의 간격인 제3간격이, 하부 프레임(2510)의 제2레일(2513)의 하면과 턱(2511)의 상면 사이의 간격인 제4간격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바퀴(2210)는 손쉽게 하부 프레임(2510)의 제2레일(25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바퀴(2210)가 제2레일(2513)에서 이탈되기도 쉬워진다.
그 다음 도 14 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420)가 위쪽을 향하게 회전시킨 다음, 제1나사(2402)는 이탈방지부(2400)의 제1나사관통홈(2411) 및 브라켓(2200)의 하부나사홈(2203)에 끼우고, 제2나사(2403)는 이탈방지부(2400)의 제2나사관통홈(2413) 및 브라켓(2200)의 상부나사홈(2201)에 끼워 이탈방지부(2400)를 브라켓(2200)에 고정시킨다.
즉, 이탈방지부(24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놓여진다. 이를 제2상태라고 한다.
이탈방지부(2400)의 상면과 하부 프레임(2510)의 하면 사이의 간격인 제3간격은 상기 제4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바퀴(2210)가 제2레일(2513)에서 이탈되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손쉽게 바퀴(2210)가 하부 프레임(2510)에서 이탈되지 않게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15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420)가 위쪽을 향하게 회전시킨 다음, 제1나사(2402)는 이탈방지부(2400)의 제1나사관통홈(2411) 및 브라켓(2200)의 하부나사홈(2203)에 끼우고, 제2나사(2403)는 이탈방지부(2400)의 제2나사관통홈(2413) 및 브라켓(2200)의 상부나사홈(2201)에 끼워 이탈방지부(2400)를 브라켓(2200)에 고정시킨다.
즉, 이탈방지부(24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놓여진다. 이를 제3상태라고 한다. 상기 제3상태에서의 이탈방지부(2400)는 상기 제2상태에서의 이탈방지부(2400)와 상하가 반대방향이 된다.
이탈방지부(2400)의 상면과 하부 프레임(2510)의 하면 사이의 간격인 제3간격은 상기 제4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바퀴(2210)가 제2레일(2513)에서 이탈되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손쉽게 바퀴(2210)가 하부 프레임(2510)에서 이탈되지 않게 방지할 수 있다.
바퀴(2210)를 하부 프레임(2510)에서 제거해야할 때는 이탈방지부(2400)를 상기 제1상태와 같이 회전시킨다. 상기 제3간격이 넓어지면 바퀴(2210)를 손쉽게 하부 프레임(251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상태와 상기 제3상태는 저장공간(20)에서 인도어(40)의 위치 또는, 인도어(40)에 본체(2100)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세팅된다.
인도어(40)가 열리거나 닫힐 때 부드럽게 닫히도록,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프레임(2500)에 댐퍼레일(2600)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레일(2600)은 레일 프레임(2500)의 하부에 설치된다.
댐퍼레일(2600)에는 집게부(2610)가 설치된다. 댐퍼레일(2600)에는 좌우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집게부(2610)는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댐퍼레일(2600)의 하부로 돌출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때 집게부(2610)는 댐퍼 기능을 하는 부재와 연동되어 움직인다.
집게부(2610)는 이탈방지부(2400)의 걸림부(2420)를 잡을 수 있는 집게 형태로 형성된다.
집게부(2610)의 일측은 걸림부(2420)가 인도어(4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잡아주기 위해 고정된 형태로 형성되고, 집게부(2610)의 타측은 걸림부(2420)가 집게부(2610)의 안쪽에 삽입될 수 있게 탄성변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인도어(40)의 슬라이딩에 의해 집게부(2610)에 걸림부(2420)가 삽입되면, 인도어(40)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걸림부(2420)의 이동에 따라 집게부(2610)는 댐퍼레일(2600)을 따라 슬라이딩 된다. 집게부(2610)의 이동이 댐퍼레일(2600)의 가이드홈의 단부에 의해 막히면, 집게부(2610)의 타측은 댐퍼레일(2600)에 의해 탄성변형된다. 이로 인해 걸림부(2420)가 집게부(2610)에서 벗어나게 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2610a,2610b)는 인도어(40)의 좌측과 인도어(40)보다 우측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인도어(40)의 좌측 및 우측에는 본체(2100a,2100b)가 설치된다.
인도어(40)가 닫혀있을 때 인도어(40)의 좌측에 설치되는 본체(2100a)의 걸림부(2420a)가 상기 제2상태라면, 좌측에 형성되는 집게부(2610a)에 걸리게 된다.
이 때, 인도어(40)를 열면(우측으로 슬라이딩 하면) 인도어(40)는 걸림부(2420a)와 결합되어 있는 집게부(2610a)를 따라 이동하며 부드럽게 열린다.
인도어(40)가 일정 이상 이동하면 걸림부(2420a)는 집게부(2610a)에서 이탈한 후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인도어(40)가 거의 다 열리면 본체(2100a)의 걸림부(2420a)는 우측에 형성되는 집게부(2610b)에 걸린 후, 집게부(2610b)를 따라 이동하다가 부드럽게 멈춘다.
이 때, 인도어(40)의 우측에 설치되는 본체(2100b)의 걸림부(2420b)가 상기 제2상태라면, 좌측의 걸림부(2420a)가 집게부(2610b)에 걸리기 전에 우측의 걸림부(2420b)가 집게부(2610b)에 걸리게 되므로 인도어(40)가 열리다가 도중에 멈춰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인도어(40)의 우측에 설치되는 본체(2100b)의 걸림부(2420b)는 상기 제3상태로 회전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달리 인도어(40)가 저장공간(20)의 우측에 설치된다면, 인도어(40)의 좌측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2400a)를 상기 제3상태로 회전시키고, 인도어(40)의 우측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2400b)를 상기 제2상태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로 인해 인도어(40)가 저장공간(20)의 좌측에 설치되는지, 저장공간(20)의 우측에 설치되는지와 관계없이, 이탈방지부(2400a,2400b)를 위치에 맞게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인도어(40)를 댐퍼레일(2600)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나사 20: 붙박이장
30: 아웃도어 40: 인도어
1100: 본체 1200: 레일측 브라켓
1201: 이탈방지부 관통홈 1202: 이탈방지부 설치나사
1210: 바퀴 1300: 도어측 브라켓
1301: 가이드홈 1302: 슬롯
1400: 이탈방지부 1410: 슬라이딩부
1411: 걸림판 1412: 가이드판
1413: 지지판 1414: 걸림부
1415: 걸림홈 1416: 탄성홈
1417: 함몰홈 1420: 조작부
1421: 제1조작판 1422: 경사판
1423: 제2조작판 1424: 누름홈
1425: 손삽입홈 1500: 레일 프레임
1510: 하부 프레임 1511: 턱
1512: 제1레일 1513: 제2레일
1520: 상부 프레임 1530: 연결 프레임
1540: 가림판 프레임
2100: 본체 2200: 브라켓
2201: 상부나사홈 2202: 중심나사홈
2203: 하부나사홈 2210: 바퀴
2400: 이탈방지부 2401: 중심나사
2402: 제1나사 2403: 제2나사
2410: 고정부 2411: 제1나사관통홈
2412: 중심나사관통홈 2413: 제2나사관통홈
2420: 걸림부 2421: 렌치관통홈
2422: 나사삽입홈 2423: 오링
2500: 레일 프레임 2510: 하부 프레임
2511: 턱 2512: 제1레일
2513: 제2레일 2530: 연결 프레임
2540: 가림판 프레임 2600: 댐퍼 프레임
2610: 집게부

Claims (11)

  1. 아웃도어가 설치되는 저장공간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에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
    상기 레일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상기 아웃도어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레일 프레임에 걸쳐져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바퀴; 및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아웃도어가 위로 들려 상기 바퀴가 상기 레일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프레임에는 댐핑 장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댐핑 장치는 상기 레일 프레임에 설치되는 댐퍼 프레임과, 상기 댐퍼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와 연결되어 상기 집게부의 이동을 억제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에는 상기 아웃도어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게부와 결합가능한 걸림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는 특정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아웃도어의 상하방향 유동폭이 넓어지고,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 상기 아웃도어의 상하방향 유동폭이 좁아지는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측이 상기 댐퍼 프레임에 가깝게 설치되면 상기 걸림부와 상기 집게부가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타측이 상기 댐퍼 프레임에 가깝에 설치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집게부에 결합되지 않는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는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제1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는 상기 아웃도어의 내외측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관통홈을 통해 상기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며 상기 아웃도어의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관통홈과,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며 상기 아웃도어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에는 나사가 삽입되고,
    상기 아웃도어의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관통홈을 통해 상기 본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나사는 상기 제2관통홈을 통과한 공구에 의해 조작되는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





KR1020200058468A 2020-05-15 2020-05-15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 KR10240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468A KR102400759B1 (ko) 2020-05-15 2020-05-15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468A KR102400759B1 (ko) 2020-05-15 2020-05-15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164A KR20210141164A (ko) 2021-11-23
KR102400759B1 true KR102400759B1 (ko) 2022-05-24

Family

ID=7869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468A KR102400759B1 (ko) 2020-05-15 2020-05-15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7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12222U1 (de) * 2002-08-08 2002-10-02 Hettich Heinze Gmbh & Co Kg Laufrollenträger für Schiebetüren
KR101068926B1 (ko) * 2011-06-17 2011-10-04 (주)메탈프린스 붙박이장의 내측도어용 롤러 이탈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827Y1 (ko) 2007-04-19 2008-03-06 신정철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12222U1 (de) * 2002-08-08 2002-10-02 Hettich Heinze Gmbh & Co Kg Laufrollenträger für Schiebetüren
KR101068926B1 (ko) * 2011-06-17 2011-10-04 (주)메탈프린스 붙박이장의 내측도어용 롤러 이탈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164A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478B1 (en) Guide fittings for pulling out drawers
US8783799B2 (en) Sliding rail assembly auto-opening mechanism
US4482175A (en) Locking devices
US11486176B2 (en) Furniture fitting
EP1731057B1 (en) Closing device
JPH035802B2 (ko)
MX2012012391A (es) Mecanismo de deslizamiento mejorado para gaveta.
KR20130131356A (ko) 커넥팅 피팅
KR102077531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CA2375523A1 (en) Clamp for mounting storage accessories
KR102400759B1 (ko) 슬라이딩 롤러 이탈 방지 장치
EP1336709B8 (de) Ausziehsperre für übereinander angeordnete Schubladen
EP1228721B1 (en) Ouick-on shelf support for furniture and the like
KR20200044417A (ko)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브라켓 결합 장치
TWI651459B (zh) 家具鉸鏈
US20210015257A1 (en) Pull-out guide
US20100090570A1 (e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furniture part, mounting fixture for said device and piece of furniture
WO2018230143A1 (ja) 受け具
JP2867587B2 (ja) 引出し装置
KR102405567B1 (ko) 슬라이딩 롤러 두께 조절 장치
CN215565273U (zh) 闭门辅助装置
CN215169076U (zh) 滑轮支架机构及推拉门滑轮
KR102420371B1 (ko) 슬라이딩 롤러 높이 조절 장치
JP2797600B2 (ja) 引出し装置
JPH0716110B2 (ja) スライドパネルの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