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645B1 - 자세 보정용 휠체어 - Google Patents

자세 보정용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645B1
KR102400645B1 KR1020200118105A KR20200118105A KR102400645B1 KR 102400645 B1 KR102400645 B1 KR 102400645B1 KR 1020200118105 A KR1020200118105 A KR 1020200118105A KR 20200118105 A KR20200118105 A KR 20200118105A KR 102400645 B1 KR102400645 B1 KR 102400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s
flat plate
coupl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024A (ko
Inventor
방문균
Original Assignee
방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문균 filed Critical 방문균
Priority to KR102020011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6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 A61G5/0833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folding front to back, e.g. reducing or expanding the overall depth of th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9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having rigid supports, e.g. seat or back supports which retain their shape after folding of th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1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자세 보정용 휠체어는 모듈형 자세유지 보조용구를 구비한 휠체어를 다른 구성부품들을 분리하지 않고 접을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접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세 보정용 휠체어{Wheelchair With Posture Correction}
본 발명은 자세 보정용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형 자세유지 보조용구를 구비한 휠체어를 다른 구성부품들을 분리하지 않고, 접을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자세 보정용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자세유지 보조용구는 몰딩형과 모듈형이 있다. 몰딩형은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재거나 복제한 후 이에 맞추어 폼을 만든 뒤 폴리우레탄으로 형을 뜨거나 절삭하여 만든 용구로서 신체에 맞추어 제작되므로 편안함을 가져다 줄 수 있는 반면 제작 기간이 길고 사용 과정에서 신체에 변화가 생길 경우 즉각적인 보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모듈형은 사용자의 신체 치수 및 장애 유형에 따라 각 부위(헤드레스트, 좌판, 등판, 흉부가드, 골반가드, 발판 등)의 길이나 각도 등을 조절하여 신체 변화에 따른 보정을 할 수 있다.
모듈형 자세유지 보조용구는 다양한 치수의 부품을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적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자세유지 보조용구는 신체 변화에 따라 각 부위별로 정해진 크기와 길이로 구성되는 장점이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휴대 및 보관이 어렵고, 특히 차량에 실어 이동하는 경우, 접히지 않거나, 접을 때 다른 구성부품들을 분리해야 하므로 접는 시간이 오래 걸려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모듈형 자세유지 보조용구는 접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힘이 많이 들어가면 노약자나 힘이 약한 여성들이 사용하기 더욱 불편하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607921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듈형 자세유지 보조용구를 구비한 휠체어를 다른 구성부품들을 분리하지 않고, 접을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자세 보정용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자세 보정용 휠체어는,
사용자의 등부위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몸통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상체 지지대를 탑재하는 등받이부(110);
상기 등받이부(110)의 상부에 머리 받쳐주는 헤드레스트(120);
상기 등받이부(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부(117);
상기 등받이부(110)의 양측면에서 상기 등받이부(110)의 전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지면에 닿는 제1 롤러바퀴(132)와 제2 롤러바퀴(133)를 장착한 제1 지지대(130) 및 제2 지지대(131);
상기 제1 지지대(130)와 상기 제2 지지대(131)의 상단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등받이부(110)의 후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지면에 닿는 제3 롤러바퀴(142)와 제4 롤러바퀴(143)를 장착한 제3 지지대(140) 및 제4 지지대(141); 및
상기 제3 지지대(140)와 상기 제4 지지대(141)의 사이에 연결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제1 지지대(130), 상기 제2 지지대(131)와 상기 제3 지지대(140), 상기 제4 지지대(141)의 사이의 공간을 좁히거나 넓히는 접이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대는 제1 지지대(130)와 제2 지지대(131)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의 외측면 일측을 스치면서 보조지지대(144)에 도달하기 전까지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접이대(150, 151)와, 상기 각각의 제1 접이대(150, 151)의 끝단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부재(152)를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152)는 중앙부에 푸쉬버튼(153)이 구비되고, 내부 중앙을 관통하는 슬라이드홀을 형성하고, 슬라이드홀에 슬라이드바(154)가 양쪽으로 배치되어 외부로 일부 돌출되어 있고, 푸쉬버튼(153)이 눌러져 슬라이드홀에 일부 삽입 시 푸쉬버튼(153)에 의해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양쪽의 슬라이드바(154)가 내부로 이동하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제2 접이대(155, 156)는 일측이 상기 각각의 제1 접이대(150, 151)의 외주면 일측에 축으로 회전 가능한 제2 회전축(157a, 157b)을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3 지지대(140)와 제4 지지대(141)의 일측에 축으로 회전 가능한 제3 회전축(158a, 158b)을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푸쉬버튼(153)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152)를 위로 잡아 당기면, 상기 제2 회전축(157a, 157b)과 제3 회전축(158a, 158b)이 회전하여 꺾이면서 상기 제1 접이대(150, 151)와 제2 접이대(155, 156)가 접혀지고, 상기 연결부재(152)를 계속 위로 들어올리면, 상기 제1 회전축(145a, 146a)이 회전하여 상기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가 꺾이면서 상기 제1 지지대(130)와 제2 지지대(131)가 수직으로 세워져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모듈형 자세유지 보조용구를 구비한 휠체어를 다른 구성부품들을 분리하지 않고 접을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접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보정용 휠체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부의 하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몸통 지지대, 제2 몸통 지지대 및 골반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보정용 휠체어의 접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봉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보정용 휠체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부의 하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몸통 지지대, 제2 몸통 지지대 및 골반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보정용 휠체어의 접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봉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보정용 휠체어(100)는 사용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부(110)와, 등받이부(110)의 상부에 머리 받쳐주는 헤드레스트(120)와, 등받이부(110)의 양측면에서 등받이부(110)의 전방으로 지면까지 직선 형태로 뻗어있고,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제1 지지대(130) 및 제2 지지대(131)와, 상기 제1 지지대(130) 및 제2 지지대(131)의 상부 일측에서 각각 연결되어 등받이부(110)의 후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지면까지 연장되는 제3 지지대(140) 및 제4 지지대(141)와, 등받이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부(117)를 포함한다.
제1 지지대(130)와 제2 지지대(131)의 사이의 공간에는 하부 부분에 사용자의 발을 안착시키는 발판(121)을 결합하는 발판 지지대(122)를 결합한다.
제1 지지대(130)와 제2 지지대(131)는 지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60도 각도로 형성되어 하부에서 중간 지점까지 직선 형태로 형성되다가 상부에서 곡선 형태로 굴곡된 구조이다.
제1 지지대(130)와 제2 지지대(131)는 하부 일측에 지면에 접촉하여 구동되는 제1 롤러바퀴(132)와 제2 롤러바퀴(133)를 결합한다. 제1 롤러바퀴(132)와 제2 롤러바퀴(133)는 제1 지지대(130)와 제2 지지대(131)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제1 거치대와 제2 거치대에 결합한다.
제3 지지대(140)와 제4 지지대(141)는 하단 일측에 지면에 접촉하여 구동되는 제3 롤러바퀴(142)와 제4 롤러바퀴(143)를 결합한다.
좌판부(117)는 하부면 일측으로부터 측면 일측까지 연장된 결합부재(119)에 결합되어 전방 가장자리의 중앙부에 사용자의 무릎 사이를 유지하는 센터 유지부재(118)를 설치된다.
등받이부(1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체를 지지하도록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평탄한 형태의 평면판(111)으로 구성되고, 평면판(111)의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슬라이드홈(112)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어 있다.
평면판(111)은 사용자의 척추, 요추의 허리 부분과 어깨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 받침대(113a)와 수평 받침대(113b)로 이루어진 ‘T’자 형태의 등판 지지대(113)를 중심부에 위치시킨다.
수직 받침대(113a)는 평면판(111)의 전면 중심부에 세워지고, 평면판(111)의 후면에서 슬라이드홈(112)을 통과하는 나사 형태의 체결부재에 의해 조임 결합되어 평면판(111)에 고정된다.
등판 지지대(113)는 성형틀 내에 고밀도 몰드폼을 충진 발포시켜 형성되고, 외측에 에어메쉬와 같은 땀이 잘 차지 않는 기능성 소재로 형성된 외부커버가 감싸진다.
평면판(111)은 수직 받침대(113a)를 기준으로 수직 받침대(113a)의 양쪽에서 몸통을 지지하는 상체 지지대를 각각 결합한다.
상체 지지대는 위에서 볼 때, ‘
Figure 112020097601683-pat00001
’ ‘
Figure 112020097601683-pat00002
’와 같은 엘보우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척추, 골반, 고관절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상체 지지대는 수직 받침대(113a)의 양쪽에 형성되어 평면판(111)의 상부 위치에 한 쌍의 제1 몸통 지지대(114)를 결합하고, 평면판(111)의 중간 위치에 한 쌍의 제2 몸통 지지대(115)를 결합하고, 평면판(111)의 하부 위치에 한 쌍의 골반 지지대(116)를 결합하며, 제1 몸통 지지대(114), 제2 몸통 지지대(115), 골반 지지대(116) 간의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몸통 지지대(114), 한 쌍의 제2 몸통 지지대(115) 및 한 쌍의 골반 지지대(116)는 사용자의 몸통과 골반을 감싸는 형태로서 엘보우 형상으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각각의 제1 몸통 지지대(114), 각각의 제2 몸통 지지대(115) 및 골반 지지대(116)는 평면판(111)의 설치 시 데칼코마니와 같이 대칭적으로 결합한다.
각각의 제1 몸통 지지대(114), 각각의 제2 몸통 지지대(115) 및 골반 지지대(116)는 내부에 성형틀 내에 고밀도 몰드폼을 충진 발포시켜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외측을 폴리우레탄의 합성섬유 재질의 커버(114a, 115a, 116a)로 감싸지며, 커버의 일측에 지퍼부재(114b, 115b, 116b)를 결합한다.
각각의 제1 몸통 지지대(114), 각각의 제2 몸통 지지대(115) 및 각각의 골반 지지대(116)는 평면판(111)에 맞닿는 일면을 길이 방향의 슬롯(114c, 115c, 116c)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2개 형성되고, 각각의 슬롯(114c, 115c, 116c)에는 직사각형의 금속판(114d, 115d, 116d)이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각각의 금속판(114d, 115d, 116d)에는 2개의 구멍이 뚫려 있고, 구멍 안쪽으로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1 몸통 지지대(114), 각각의 제2 몸통 지지대(115) 및 각각의 골반 지지대(116)는 등받이부(110)에 결합하는 경우, 평면판(111)의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홈(112)과 수평 방향의 슬롯(114c, 115c, 116c)을 서로 직각으로 배치하고, 등받이부(110)의 후면에서 슬라이드홈(112)을 통과하는 나사 형태의 조임볼트(114e, 115e, 116e)를 슬롯(114c, 115c, 116c)의 금속판(114d, 115d, 116d)에 삽입하여 조임 결합하여 평면판(111)에 고정된다. 이때, 조임볼트(114e, 115e, 116e)는 와샤(114f, 115f, 116f)를 이용하여 등받이부(110)의 후면에 좀 더 결합력을 높인다.
조임볼트(114e, 115e, 116e)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금속판(114d, 115d, 116d)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각각의 제1 몸통 지지대(114), 각각의 제2 몸통 지지대(115) 및 각각의 골반 지지대(116)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조임볼트(114e, 115e, 116e)를 다시 조임 결합하여 평면판(111)에 고정시킨다.
각각의 제1 몸통 지지대(114), 각각의 제2 몸통 지지대(115) 및 각각의 골반 지지대(116)는 조임볼트(114e, 115e, 116e)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후, 조임볼트(114e, 115e, 116e)를 다시 조임 결합하여 평면판(111)에 고정시킨다.
각각의 제1 몸통 지지대(114), 각각의 제2 몸통 지지대(115) 및 각각의 골반 지지대(116)는 금속판(114d, 115d, 116d)으로부터 조임볼트(114e, 115e, 116e)를 분리한 상태에서 슬라이드홈(112)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조임볼트(114e, 115e, 116e)를 다시 조임 결합하여 평면판(111)에 고정시킨다.
제3 지지대(140)와 제4 지지대(141)의 사이의 공간을 상호 연결하여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고, 후술하는 좌판부(117)가 결합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의 보조지지대(144)를 결합한다.
보조지지대(144)는 제1 지지대(130)와 상기 제2 지지대(131) 쪽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제1 좌판부 받침대(145, 146)를 일측에 결합한다.
각각의 제1 좌판부 받침대(145, 146)는 끝단 부분에 축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회전축(145a, 146a)을 매개로 좌판부(117)를 거치하는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를 결합한다.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는 제1 회전축(145a, 146a)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다가 다시 90도로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는 제1 지지대(130)와 제2 지지대(131)의 내측 일측을 스치면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돌출된다.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의 일측에서 제1 지지대(130)와 제2 지지대(131)의 일측까지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의 제1 부지지대(149a, 149b)를 결합한다.
제2 부지지대(149c)는 각각의 제1 부지지대(149a, 149b)의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여 벌어진 간격을 유지한다.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는 제2 부지지대(149c)와 절곡된 지점의 사이에서 ‘U’자 형태의 제3 부지지대(149d)를 연결하여 벌어진 간격을 유지한다.
한 쌍의 제1 접이대(150, 151)는 제2 부지지대(149c)의 위치보다 낮은 영역에서 제1 지지대(130)와 제2 지지대(131)의 일측에 결합되고,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의 외측면 일측을 스치면서 보조지지대(144)에 도달하기 전까지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1 접이대(150, 151)의 끝단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부재(152)를 결합한다.
연결부재(152)는 각각의 제1 좌판부 받침대(145, 146)의 위에 탑재된다.
연결부재(152)는 중앙부에 푸쉬버튼(153)이 구비되고, 내부 중앙을 관통하는 슬라이드홀을 형성하고, 슬라이드홀에 슬라이드바(154)가 양쪽으로 배치되어 외부로 일부 돌출되어 있고, 푸쉬버튼(153)이 눌러져 슬라이드홀에 일부 삽입 시 푸쉬버튼(153)에 의해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양쪽의 슬라이드바(154)가 내부로 이동하여 삽입되고, 푸쉬버튼(153)이 눌러지지 않으면, 슬라이드바(154)가 삽입될 공간이 없어지면서 푸쉬버튼(153)이 양쪽의 슬라이드바(154)를 양쪽으로 밀어내어 슬라이드홀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된다.
사용자가 푸쉬버튼(153)을 누르지 않으면, 푸쉬버튼(153)의 일측에 압축스프링이 연결되어 압축스프링이 해제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바(154)가 슬라이드홀의 양쪽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고, 푸쉬버튼(153)을 누르면, 압축스프링이 눌러지면서 압축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바(154)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양쪽의 슬라이드바(154)를 슬라이드홀의 내부로 이동하여 삽입된다.
각각의 제2 접이대(155, 156)는 일측이 각각의 제1 접이대(150, 151)의 외주면 일측에 축으로 회전 가능한 제2 회전축(157a, 157b)을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이 제3 지지대(140)와 제4 지지대(141)의 일측에 축으로 회전 가능한 제3 회전축(158a, 158b)을 매개로 결합된다.
각각의 제2 접이대(155, 156)는 연결부재(152)와 수평 방향에 위치하는 지점에 내측으로 돌출된 일정 형상의 결합뭉치(159a, 159b)를 각각 형성한다.
푸쉬버튼(153)을 누르지 않으면, 연결부재(152)의 양쪽으로 돌출된 슬라이드바(154)는 수평 방향으로 밀어 내는 힘으로 각각의 제2 접이대(155, 156)의 결합뭉치(159a, 159b)를 가압하여 지지된다.
푸쉬버튼(153)을 누르면, 연결부재(152)의 양쪽으로 돌출된 슬라이드바(154)는 각각의 결합뭉치(159a, 159b)로부터 분리되어 연결부재(152)의 슬라이드홀의 내부로 원상태로 삽입된다.
등받이부(110)의 평면판(111)은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후면으로 연장되어 90도로 절곡된 단면이 ‘ㄷ’ 형태의 끼움부재(125a, 125b)를 각각 형성한다.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는 상부면 일측에 결합하여 상부로 연장되어 평면판(111)의 각 끼움부재(125a, 125b)에 끼워지는 등받이부 지지대(123, 124)를 각각 결합한다.
각각의 등받이부 지지대(123, 124)는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평면판(111)의 각 끼움부재(125a, 125b)에 끼워져 평면판(111)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장되어 고정된다.
각각의 끼움부재(125a, 125b)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26a, 126b)를 결합한다. 손잡이부(126a, 126b)의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손잡이 지지대(126c)를 포함한다.
각각의 끼움부재(125a, 125b)는 손잡이부(126a, 126b)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여 지면을 향해 하방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한 위치 조절봉(127a, 127b)이 각각 결합된다.
각각의 위치 조절봉(127a, 127b)은 하부 부분에 일정 간격마다 삽입 구멍(128, 129)이 복수개 뚫려 있다. 위치 조절봉(127a, 127b)의 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봉(160)이 삽입 구멍(128, 129)에 결합된다.
연결봉(160)은 수평부재(161)와 수평부재(161)의 양쪽에 형성된 링부재(162, 163)가 각각의 위치 조절봉(127a, 127b)에 끼워져 결합된다.
수평부재(161)는 중앙부에 누름버튼(164)이 구비되고, 내부 중앙을 관통하는 슬라이드홀(미도시)을 형성하고, 슬라이드홀에 슬라이드바(154)가 양쪽에 배치되어 외부로 일부 돌출되고, 누름버튼(164)의 하부에 압축스프링이 결합된다.
수평부재(161)는 돌출된 양쪽의 슬라이드바(154)가 위치 조절봉(127a, 127b)의 삽입 구멍(128, 129)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수평부재(161)는 누름버튼(164)이 눌러져 슬라이드홀에 일부 삽입 시 누름버튼(164)에 의해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양쪽의 슬라이드바(154)가 내부로 이동하여 삽입되고, 누름버튼(164)이 눌러지지 않으면, 슬라이드바(154)가 삽입될 공간이 없어지면서 누름버튼(164)이 양쪽의 슬라이드바(154)를 양쪽으로 밀어내어 슬라이드홀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된다.
사용자가 누름버튼(164)을 누르지 않으면, 누름버튼(164)의 일측에 압축스프링이 연결되어 압축스프링이 해제된 상태에서 양쪽의 슬라이드바(154)가 슬라이드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고, 누름버튼(164)을 누르면, 압축스프링이 눌러지면서 압축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바(154)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양쪽의 슬라이드바(154)를 슬라이드홀의 내부로 이동하여 삽입된다.
사용자는 누름버튼(164)을 누른 상태에서 수평부재(161)를 각각의 위치 조절봉(127a, 127b)의 상하로 이동시킨 후, 누름버튼(164)을 놓으면, 양쪽의 슬라이드바(154)가 돌출되어 위치 조절봉(127a, 127b)의 삽입 구멍(128, 129)을 삽입되어 고정된다.
수평부재(161)는 위치 조절봉(127a, 127b) 상에서 이동시켜 등받이부(1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푸쉬버튼(153)을 누른 상태에서 연결부재(152)를 위로 잡아 당기면, 제2 회전축(157a, 157b)과 제3 회전축(158a, 158b)이 회전하여 꺾이면서 제1 접이대(150, 151)와 제2 접이대(155, 156)가 접혀지고, 연결부재(152)를 계속 위로 들어올리면, 제1 회전축(145a, 146a)이 회전하여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가 꺾이면서 제1 지지대(130)와 제1 지지대(130)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이에 따라 제1 지지대(130), 제2 지지대(131)와 제3 지지대(140), 제4 지지대(141)의 사이의 공간이 좁혀져 자세 보정용 휠체어(100)를 접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자세 보정용 휠체어 110: 등받이부
111: 평면판 112: 슬라이드홈
113: 등판 지지대 113a: 수직 받침대
113b: 수평 받침대 114: 제1 몸통 지지대
115: 제2 몸통 지지대 116: 골반 지지대
117: 좌판부 118: 센터 유지부재
119: 결합부재 120: 헤드레스트
121: 발판 122: 발판 지지대
123, 124: 등받이부 지지대 125a, 125b: 끼움부재
126a, 126b: 손잡이부 126c: 손잡이 지지대
127a, 127b: 위치 조절봉 128, 129: 삽입 구멍
130: 제1 지지대 131: 제2 지지대
132: 제1 롤러바퀴 133: 제2 롤러바퀴
140: 제3 지지대 141: 제4 지지대
142: 제3 롤러바퀴 143: 제4 롤러바퀴
144: 보조지지대 145, 146: 제1 좌판부 받침대
145a, 146a: 제1 회전축 147, 148: 제2 좌판부 받침대
149a, 149b: 제1 부지지대 149c: 제2 부지지대
149d: 제3 부지지대 150, 151: 제1 접이대
152: 연결부재 153: 푸쉬버튼
154: 슬라이드바 155, 156: 제2 접이대
157a, 157b: 제2 회전축 158a, 158b: 제3 회전축
159a, 159b: 결합뭉치 160: 연결봉
161: 수평부재 162, 163: 링부재
164: 누름버튼

Claims (7)

  1. 사용자의 등부위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몸통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상체 지지대를 탑재하는 등받이부(110);
    상기 등받이부(110)의 상부에 머리 받쳐주는 헤드레스트(120);
    상기 등받이부(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부(117);
    상기 등받이부(110)의 양측면에서 상기 등받이부(110)의 전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지면에 닿는 제1 롤러바퀴(132)와 제2 롤러바퀴(133)를 장착한 제1 지지대(130) 및 제2 지지대(131);
    상기 제1 지지대(130)와 상기 제2 지지대(131)의 상단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등받이부(110)의 후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지면에 닿는 제3 롤러바퀴(142)와 제4 롤러바퀴(143)를 장착한 제3 지지대(140) 및 제4 지지대(141); 및
    상기 제3 지지대(140)와 상기 제4 지지대(141)의 사이에 연결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제1 지지대(130), 상기 제2 지지대(131)와 상기 제3 지지대(140), 상기 제4 지지대(141)의 사이의 공간을 좁히거나 넓히는 접이대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110)는 상체를 지지하도록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평탄한 형태의 평면판(111)으로 구성되고, 상기 평면판(111)의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슬라이드홈(112)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고, 사용자의 척추, 요추의 허리 부분과 어깨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 받침대(113a)와 수평 받침대(113b)로 이루어진 ‘T’자 형태의 등판 지지대(113)를 상기 평면판(111)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보정용 휠체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지지대는 상기 수직 받침대(113a)의 양쪽에 형성되어 상기 평면판(111)의 상부 위치에 한 쌍의 제1 몸통 지지대(114)를 결합하고, 상기 평면판(111)의 중간 위치에 한 쌍의 제2 몸통 지지대(115)를 결합하고, 상기 평면판(111)의 하부 위치에 한 쌍의 골반 지지대(116)를 결합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몸통 지지대(114), 상기 한 쌍의 제2 몸통 지지대(115) 및 상기 한 쌍의 골반 지지대(116)는 위에서 볼 때, ‘
    Figure 112022039636140-pat00003
    ’ ‘
    Figure 112022039636140-pat00004
    ’와 같은 엘보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보정용 휠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몸통 지지대(114), 상기 각각의 제2 몸통 지지대(115) 및 상기 각각의 골반 지지대(116)는 상기 평면판(111)에 맞닿는 일면을 길이 방향의 슬롯(114c, 115c, 116c)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114c, 115c, 116c)은 사각형의 금속판(114d, 115d, 116d)이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평면판(111)의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홈(112)과 상기 수평 방향의 슬롯(114c, 115c, 116c)을 서로 직각으로 배치하고, 상기 등받이부(110)의 후면에서 상기 슬라이드홈(112)을 통과하는 나사 형태의 조임볼트(114e, 115e, 116e)를 상기 슬롯(114c, 115c, 116c)의 금속판(114d, 115d, 116d)에 삽입하여 조임 결합하여 상기 평면판(111)에 고정되며,
    상기 각각의 제1 몸통 지지대(114), 상기 각각의 제2 몸통 지지대(115) 및 상기 각각의 골반 지지대(116)는 상기 조임볼트(114e, 115e, 116e)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상기 금속판(114d, 115d, 116d)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슬라이드홈(112)을 따라 상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보정용 휠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대(140)와 상기 제4 지지대(141)의 사이의 공간을 수평 방향의 보조지지대(144)로 연결하고, 상기 보조지지대(144)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지지대(130)와 상기 제2 지지대(131) 쪽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제1 좌판부 받침대(145, 146)를 결합하고, 상기 각각의 제1 좌판부 받침대(145, 146)는 끝단 부분에 축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회전축(145a, 146a)을 매개로 상기 좌판부(117)를 거치하는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보정용 휠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대는 제1 지지대(130)와 제2 지지대(131)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의 외측면 일측을 스치면서 보조지지대(144)에 도달하기 전까지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접이대(150, 151)와, 상기 각각의 제1 접이대(150, 151)의 끝단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부재(152)를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152)는 중앙부에 푸쉬버튼(153)이 구비되고, 내부 중앙을 관통하는 슬라이드홀을 형성하고, 슬라이드홀에 슬라이드바(154)가 양쪽으로 배치되어 외부로 일부 돌출되어 있고, 푸쉬버튼(153)이 눌러져 슬라이드홀에 일부 삽입 시 푸쉬버튼(153)에 의해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양쪽의 슬라이드바(154)가 내부로 이동하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보정용 휠체어.
  7. 제6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각각의 제1 접이대(150, 151)의 외주면 일측에 축으로 회전 가능한 제2 회전축(157a, 157b)을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3 지지대(140)와 제4 지지대(141)의 일측에 축으로 회전 가능한 제3 회전축(158a, 158b)을 매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접이대(155, 156)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버튼(153)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152)를 위로 잡아 당기면, 상기 제2 회전축(157a, 157b)과 제3 회전축(158a, 158b)이 회전하여 꺾이면서 상기 제1 접이대(150, 151)와 제2 접이대(155, 156)가 접혀지고, 상기 연결부재(152)를 계속 위로 들어올리면, 상기 제1 회전축(145a, 146a)이 회전하여 상기 각각의 제2 좌판부 받침대(147, 148)가 꺾이면서 상기 제1 지지대(130)와 제2 지지대(131)가 수직으로 세워져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보정용 휠체어.
KR1020200118105A 2020-09-15 2020-09-15 자세 보정용 휠체어 KR102400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105A KR102400645B1 (ko) 2020-09-15 2020-09-15 자세 보정용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105A KR102400645B1 (ko) 2020-09-15 2020-09-15 자세 보정용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024A KR20220036024A (ko) 2022-03-22
KR102400645B1 true KR102400645B1 (ko) 2022-05-19

Family

ID=8099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105A KR102400645B1 (ko) 2020-09-15 2020-09-15 자세 보정용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6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85B1 (ko) 2012-12-12 2014-05-27 주식회사이지무브 장애인용 시트의 대퇴부 지지장치
KR101403555B1 (ko) 2013-06-12 2014-06-11 김규성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KR101594170B1 (ko) 2014-12-18 2016-02-16 주식회사 포트 자세 보조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시트백 구조
KR101607921B1 (ko) 2014-05-20 2016-04-01 주식회사 바쿠폼코리아 자세유지 보조 용구
KR200483642Y1 (ko) 2016-12-21 2017-06-09 신진숙 유아용 웨건
JP2018130385A (ja) * 2017-02-16 2018-08-23 株式会社松永製作所 フレーム構造、車椅子、ベビーカー及び椅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480A (ja) * 1996-03-12 1997-09-16 Combi Corp 折りたたみ式の着座装置
KR100854658B1 (ko) * 2007-01-11 2008-08-27 이호성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휠체어
KR20120027744A (ko) * 2010-09-13 2012-03-22 강종호 휠체어용 보조지지구
KR101482769B1 (ko) * 2012-07-10 2015-02-0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자세보조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WO2019101238A2 (en) * 2018-03-07 2019-05-31 Zhongshan Kingmoon Children Products Co., Ltd. Stroll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85B1 (ko) 2012-12-12 2014-05-27 주식회사이지무브 장애인용 시트의 대퇴부 지지장치
KR101403555B1 (ko) 2013-06-12 2014-06-11 김규성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KR101607921B1 (ko) 2014-05-20 2016-04-01 주식회사 바쿠폼코리아 자세유지 보조 용구
KR101594170B1 (ko) 2014-12-18 2016-02-16 주식회사 포트 자세 보조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시트백 구조
KR200483642Y1 (ko) 2016-12-21 2017-06-09 신진숙 유아용 웨건
JP2018130385A (ja) * 2017-02-16 2018-08-23 株式会社松永製作所 フレーム構造、車椅子、ベビーカー及び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024A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886B1 (ko) 착석에 기인한 문제를 제거하기 위한 의자
EP2559358B1 (en) Lumbar support seat
CN102271554B (zh) 脊椎保护用靠背调节椅子
US6186594B1 (en) Flexible contour wheelchair backrest
US7234768B2 (en) Reversible chair
US4617919A (en) Wheelchair with posture supports
US6158808A (en) Fully adjustable lounge chair
KR102400645B1 (ko) 자세 보정용 휠체어
US2482996A (en) Form and posture corrective chair
CN210842259U (zh) 一种分段调节式人体工学椅
US9687078B2 (en) Portable therapeutic seat device
JP2023169116A (ja) 脊椎弛緩用医療器具
JPS5841060B2 (ja) 手術台
KR101456970B1 (ko) 맞춤형 의자
EP1983956B1 (en) A chair for a disabled person
KR101436747B1 (ko) 자세교정 의자
US20120126513A1 (en) Adjustable Wheelchair
CZ297913B6 (cs) Stolice pro gynekologické a urologické vysetrování pacientu
EP1272071B1 (en) A chair
CN207604688U (zh) 一种折叠椅
KR101438755B1 (ko) 척추 직립 장치
CN211934085U (zh) 一种拍x片辅助站立装置
CN212090745U (zh) 一种患儿辅助坐站训练器
CN220778552U (zh) 一种可折叠式轮椅车
KR200197815Y1 (ko) 척추를 바르게하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