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508B1 -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0508B1 KR102400508B1 KR1020210125195A KR20210125195A KR102400508B1 KR 102400508 B1 KR102400508 B1 KR 102400508B1 KR 1020210125195 A KR1020210125195 A KR 1020210125195A KR 20210125195 A KR20210125195 A KR 20210125195A KR 102400508 B1 KR102400508 B1 KR 1024005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anchor
- beams
- tunnel
- plate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에 삽입된 인장재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띠장(수평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그라운드 앵커를 적용한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a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to which a ground anchor is applied, which can stably support a wale (horizontal beam) installed to fix a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ground. It relates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건물과 같은 구조물의 기초나 지하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 할 때에는 굴착 배면의 지반이 토압에 의하여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막이를 하게 된다. 이 흙막이는 흙막이 벽체와 지지구조로 구성된다.When excavating the ground to construct the foundation or underground structure of a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a retaining wall is used to prevent the ground on the back of the excavation from collapsing due to earth pressure. This retaining wall is composed of a retaining wall and a supporting structure.
엄지말뚝과 토류판 공법은 흙막이 공법중 대표적인 공법으로써 공사비가 가장 저렴하여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공법이며, 상호 홈부가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엄지말뚝(H 빔)과, 상기 홈부에 삽입지지되어 후방의 흙더미 등이 전방을 향하여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토류판에 의해 구성된다.The thumb pile and earth plate construction method is a representative construction method among retaining methods, and is the most applied because of the lowest construction cost.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arth plates to prevent the piles of soil from collapsing toward the front.
흙막이 공법에 있어서 지보공 중 오랫동안 사용되어왔던 경사버팀대(Raker) 공법은 부지 폭이 50.0m이상 넓어 수평 버팀을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In the retaining method, the raker method, which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mong supports, has been mainly used in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apply a horizontal brace because the site width is more than 50.0m.
H빔(H-Beam)만으로는 배후토사의 토압에 저항할 수 없으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지보재(스트러트, 그라운드 앵커, 레이커 등)를 사용해야 한다. Since the H-beam alone cannot resist the earth pressure of the soil behind it, a large number of supporting materials (struts, ground anchors, rakers, etc.) must be used to reinforce it.
그라운드 앵커(Ground Anchor)는 대상구조물을 지반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고강도의 강재에 높은 긴장력을 도입하여 구조물에 횡방향 또는 연직방향의 구속력 및 선행하중을 가하기 위한 효과적인 공법으로 사용되고 있다.A ground anchor is used as an effective method to apply a transverse or vertical binding force and a preceding load to the structure by introducing a high tension force to high-strength steel to anchor the target structure to the ground.
그라운드 앵커공법은 토목이나 건축구조물을 지반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버팀대 대신 흙막이벽에 천공을 실시하고, 천공부에 인장재의 삽입과 함께 그라우트를 충전하여 경화시킨 후, 인장재에 인장력을 도입하여 토압을 지지하는 공법이다. In the ground anchor method, a hole is drilled in the retaining wall instead of a brace in order to fix civil engineering or building structures on the ground, and the grout is filled and hardened together with the insertion of a tension member into the hole, and then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tension member to support the earth pressure. it's a technique
그라운드 앵커공법은 가설 토류벽의 지보공, 영구앵커 토류벽, 송전탑 기초, 댐의 보강 지하구조물의 부력앵커, 사면 보강등에 적용된다. Ground anchor method is applied to support work of temporary earth wall, permanent anchor earth wall, transmission tower foundation, buoyancy anchor of reinforced underground structure of dam, slope reinforcement, etc.
그라운드 앵커공법에 사용되는 앵커체는 토목 현장에서 PC 강연선 등의 고강도 인장재를 구축물과 지반 내부 양쪽에 고정하고 선행하중(prestress)을 부여함으로써 지반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응력, 변형, 변위등으로부터 구조물을 안정화시킨다.The anchor body used in the ground anchor method stabilizes the structure from excessive stress, deformation, displacement, etc. occurring in the ground by fixing high-strength tensile members such as PC strands to both the structure and the inside of the ground and applying a prestress at the civil engineering site. make it
종래 기술에 따르면 지반으로 일정 깊이까지 천공하여 홀을 형성한 후 강재를 삽입한 다음 홀에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하중지지부를 시공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load supporting part is constructed by drilling a hole to a certain depth into the ground, inserting a steel material, and then injecting and hardening the concrete mortar into the hole.
이후 강재의 단부를 엄지말뚝에 연결하여 지지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것이다. After that, the end of the steel is connected to the thumb pile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is exer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강재의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홀의 직경을 크게 하고, 또한 깊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지반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고, 홀의 천공 과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is prior art, there is a risk of weakening the ground because the diameter of the hole must be enlarged and formed deeply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bearing capacity of the steel, and since the drilling process of the hole takes a lot of time, there is a problem of cost increase.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반에 대한 천공 깊이를 얕게 하여 지반 약화를 방지할 수 있되 강재(그라운드 앙카)의 지지력은 강화될 수 있도록 홀의 단부에 대구경으로 확장된 정착장을 형성함으로써 홀과 정착장에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하고 강재를 장입하여 견고한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weakening of the ground by making the depth of drilling for the ground shallow.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for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s in which concrete mortar is injected into halls and anchorages by forming a field, and steel material is charged so that strong bearing capacity can be exert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굴착하여 터파기를 수행하고, 굴착된 절토면에 근접되도록 다수의 H 빔을 박고, 상기 다수의 H 빔들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절토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다수의 토류판을 설치하는 1단계; 상기 다수의 H 빔을 연결하도록 횡으로 수평빔을 장착시키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수평빔에 관통하여 앙카를 박아넣고, 앙카가 상기 절토면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매설하는 3단계; 상기 절토면의 앙카가 매설된 주변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주입하고, 경화시켜 앙카가 고정되도록 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4단계는 상기 절토면에 대해 천공비트를 이용하여 일정 깊이로 천공시켜 터널을 형성하고, 상기 터널의 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확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터널과 확장부까지 앙카가 삽입되고, 상기 터널과 확장부에 시멘트 페이스트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excavation by excavating to a certain depth from the ground, driving a plurality of H-beams to be close to the excavated cut surface,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H-beams to be supported on the cut surface, so that a plurality of Step 1 of installing the earth plate; Step 2 of mounting a horizontal beam horizontally to connect the plurality of H-beams; A third step of inserting an anchor through the horizontal beam of the second step and burying the anchor so that the anchor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ut surface; Including; step 4 of injecting cement paste around the area where the anchors of the cut surface are embedded, and curing the anchors to fix the anchors; step 4 is to drill the tunnel to a certain depth using a drilling bit for the cut surface The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n exten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unnel so that the diameter is expanded, an anchor is inserted up to the tunnel and the extension, and cement paste is injected into the tunnel and the extension method can be achieved.
상기 4단계의 터널 및 확장부를 천공하는 천공비트는, 외면에 비트날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단부에 출몰되게 형성된 가변날과, 상기 바디의 단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가변날의 출몰작동을 유발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동력공급라인과, 바디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공급라인에 연결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unching bit for drilling the tunnel and extension of the fourth step includes a body having a bit blade on the outer surface, a variable blade formed to protrude and retract at the end of the body, and a variable blade to protrude and retract by being formed inside the end of the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ower supply line formed inside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actuator, and a power generator provided outside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본 발명에 따르면, 그라운드 앙카를 설치하기 위한 지반에 대한 천공 깊이를 얕게 하여 지반 약화를 방지할 수 있되 그라운드 앙카의 지지력은 강화시킬 수 있고, 터널의 길이를 짧게 하되 대구경으로 확장된 정착장을 형성함으로써 터널과 정착장에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하고 그라운드 앙카를 장입하여 견고한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여 비교적 터널의 길이를 단축시킴으로써 시공 비용과 기간을 절감할 수 있고, 지반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eakening of the ground by making the depth of drilling for the ground for installing the ground anchor shallow, but the bearing capacity of the ground anchor can be strengthened, and the length of the tunnel is shortened but a large-diameter extended anchorage is formed By doing this, concrete mortar is injected into the tunnel and anchorage, and a ground anchor is inserted so that strong bearing capacity can be exerted, there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tunnel relatively, reducing construction cost and period, and preventing the weakening of the ground.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을 나타낸 시공 도면,
도 3은 천공비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에 철골 구조물을 더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에 설치된 철골 구조물에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를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열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열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1 is a process flow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struction drawing showing a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unched bit;
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further installing a steel structure to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deck plate assembly to the steel structure installed in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first heat insul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second heat insul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may be chang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isclosure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Although 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meani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s not interpreted a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include', 'have', 'consist',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cases including the plural are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constru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Reference to an element or laye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ncludes any intervening layer or other element directly on or in the middle of another ele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illustrated component.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을 나타낸 시공 도면, 도 3은 천공비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에 철골 구조물을 더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에 설치된 철골 구조물에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를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열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열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process flow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struction drawing showing a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drilling bit,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further installing a steel structure to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deck plate assembly to the steel structure installed in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first insul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second insul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의 시공방법은,1 and 2,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굴착하여 터파기를 수행하고, 굴착된 절토면(L)에 근접되도록 다수의 H 빔(B)을 박고, 상기 다수의 H 빔(B)들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절토면(L)에 지지되도록 하여 다수의 토류판(110)을 설치하는 1단계(S1);Perform excavation by excavating to a certain depth from the ground, driving a plurality of H-beams (B) close to the excavated cut surface (L), and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H-beams (B) to the cut surface (L) a first step (S1)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다수의 H 빔을 연결하도록 횡으로 수평빔을 장착시키는 2단계(S2);Step 2 (S2) of mounting a horizontal beam horizontally to connect a plurality of H-beams;
2단계(S2)의 수평빔(120)에 관통하여 앙카(K)를 박아넣고, 앙카(K)가 상기 절토면(L)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매설하는 3단계(S3);A third step (S3) of inserting an anchor (K) through the horizontal beam (120) of the second step (S2) and embedding the anchor (K) to a predetermined depth into the cut surface (L);
절토면(L)의 앙카(K)가 매설된 주변에 시멘트 페이스트(100)를 주입하고, 경화시켜 앙카(K)가 고정되도록 하는 4단계(S4);를 포함한다. 4 step (S4) of injecting and curing the
상기 1단계(S1)는 굴착기로 지면을 일정 깊이로 파내어 터파기를 수행한다.The first step (S1) is to dig the ground to a certain depth with an excavator to perform excavation.
터파기에 의해 굴착된 절토면(L)에 근접되도록 하여 H 빔(B)을 일정 간격으로 근입하여 수직하게 매입되도록 시공한다. H 빔(B)은 다수개가 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The H-beam (B) is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it is close to the cut surface (L) excavated by excavation and is constructed so that it is vertically embedded. A plurality of H-beams B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다수의 H 빔(B)은 측면에 'ㄷ'자 형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양측 H 빔(B)의 홈에 토류판(110)의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다수의 토류판(110)이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토류판(110)이 절토면(L)을 지지하여 토압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A plurality of H-beams (B) has a 'C'-shaped groove formed on the side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상기 2단계(S2)는 H 빔(B)과 H 빔(B)을 연결하도록 수평빔(120)을 장착한다. 수평빔(120)은 용접 또는 볼트 체결 등의 연결방식으로 장착된다. In the second step ( S2 ), the
수평빔(120)은 H형의 단면을 갖는 빔이 적용되고, 수직면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한 후 각 통공을 통해 앙카(K)가 결합될 수 있다. A beam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is applied to the
3단계(S3)는 수평빔(120)에 관통하여 앙카(K)를 박아넣고, 앙카(K)가 상기 절토면(L)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매설한다. In step 3 (S3), the anchor (K) is inserted through the horizontal beam (120), and the anchor (K) is embedded so that the anchor (K)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ut surface (L).
4단계(S4)는 절토면(L)의 앙카(K)가 매설된 주변에 시멘트 페이스트(100)를 주입하고, 경화시켜 앙카(K)가 고정되도록 한다. Step 4 (S4) is to inject and harden the
4단계(S4)는 상기 절토면(L)에 대해 천공비트(160)를 이용하여 일정 깊이로 천공시켜 터널(132)을 형성하고, 상기 터널(132)의 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확장부(134)를 형성한다.Step 4 (S4) is to form a
이렇게 형성된 터널(132)과 확장부(134)까지 앙카(K)가 삽입된다.The anchor K is inserted up to the
이후 상기 터널(132)과 확장부(134)에 시멘트 페이스트(100)가 주입되고, 경화되어 일체가 되도록 한다. Thereafter, the
시멘트 페이스트(100)는 물과 시멘트를 혼합한 것으로, 터널(132)과 확장부(134)에 주입한 후 일정시간 경과되면 경화되어 단단한 경도를 갖는다. The
상기 4단계의 터널(132) 및 확장부(134)를 천공하는 천공비트(16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에 비트날(164)이 형성된 바디(162)와, 상기 바디(162)의 단부에 출몰되게 형성된 가변날(166)과, 상기 바디(162)의 단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가변날(166)의 출몰작동을 유발하는 액츄에이터(1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unching
바디(162)는 원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나사산 형상의 비트날(164)이 형성되고, 전단부의 외주면에 가변날(166)이 형성된다. The
가변날(166)은 바디(162)의 내부에 삽입되었다가 액츄에이터(168)의 작동에 의해 가변날(166)이 돌출되고, 이렇게 가변날(166)이 돌출된 상태에서 바디(162)가 고속 회전됨으로써 바디(162) 보다 더 큰 직경으로 천공되어 확장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The
또한 바디(162)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68)와 연결되는 동력공급라인(미도시)과, 바디(162)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공급라인에 연결되는 동력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 power supply line (not shown) formed inside the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유압에 의해 액츄에이터(168)가 구동되어 바디(162)를 고속 회전시키게 된다. The
바디(162)가 고속회전되면서 절토면(L)을 천공하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하향 경사지게 천공을 하여 터널(132)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As the
터널(132)이 일정 깊이로 천공된 후 가변날(166)이 인출된 상태로 천공하여 확장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After the
따라서 터널(132) 보다 확장부(134)의 직경이 확대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확장부(134)의 직경이 터널(132) 보다 더 크게 확대된 형상이고, 확장부(134) 내에 시멘트 페이스트(100)가 주입되어 경화됨으로써 일종의 무게추 역할을 하게 되고, 앙카(K)를 그 내부에 삽입시켜 시멘트 페이스트(100)와 일체로 경화되도록 하여 견고한 지지력을 갖게 된다. The diameter of the
앙카(K)에 대한 지지력은 터널(132)의 길이 및 직경과 비례하므로 터널(132)이 길거나 직경이 크게 형성될수록 앙카(K)에 대한 지지력이 월등히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bearing force for the anchor K is proportional to the length and diameter of the
그러나 지반의 특성에 의해 터널(132)을 길게 형성시키거나 또는 터널(132)을 크게 형성시키는 것은 제약을 받을 확률이 높아지게 되고, 또한 터널(132)을 길게 또는 크게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될 수 밖에 없다. Howeve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making the
이에 본 발명은 터널(132)은 짧게 형성하되 그 단부에 확장부(134)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되 앙카(K)에 대한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4단계(S4) 이후 터파기 지반에 철골 구조물(20)을 형성하는 5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After the fourth step (S4), a fifth step (S5) of forming 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5단계(S5)는 철골 구조물(20)이 설치될 지형의 위치 및 지형의 높낮이를 측량한다(S101).Referring to FIG. 4 , in step 5 ( S5 ), the location of the terrain on which the
지형의 위치 및 지형의 높낮이가 측량되면, 측량결과를 토대로 산출된 설정 깊이만큼 지면에 터파기를 수행한다(S102).When the location of the terrain and the height of the terrain are surveyed, the ground is dug by the set depth calcula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S102).
터파기가 수행되면, 터파기 위치에 잡석을 포설한다(S103).When excavation is performed, rubble is laid at the excavation location (S103).
잡석이 포설되면, 잡석 위에 PE 필름을 배치한다(S104).When rubble is installed, a PE film is placed on the rubble (S104).
PE 필름이 배치되면, PE 필름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버림층을 형성한다(S105).When the PE film is placed, concrete is poured on the PE film to form a discard layer (S105).
버림층이 형성되면, 버림층 위에 기초 구조물이 형성될 영역을 표시한다(S106).When the discarding layer is formed, a region in which the base structure is to be formed is marked on the discarding layer (S106).
영역이 표시되면, 영역 위에 제1 단열재(14)를 배치한다(S107).When the region is marked, the first insulating
도 6을 참조하면, 제1 단열재(14)는 버림층(13)의 상면에 다층으로 적층된 복수의 비드법 보온패널(141)과, 복수의 비드법 보온패널(141)의 상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비드법 보온패널(141)을 가압 및 지지하는 복수의 가압대(142)와, 복수의 비드법 보온패널(141)의 상면에 배치되는 고무재질의 탄성패널(143)과, 탄성패널(143)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락울(rock wool)패널(144)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insulating
다시 도 4를 참조해보면, 제1 단열재(14)가 배치되면, 제1 단열재(14) 위에 제1 철근들과 제2 철근들을 격자구조로 배치한다(S108).Referring back to FIG. 4 , when the first
제1 철근들과 제2 철근들이 격자구조로 배치되면, 내부에 제1 단열재, 제1 철근들 및 제2 철근들이 수용되도록 영역의 둘레를 따라 거푸집을 배치한다(S109).When the first reinforcing bars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are arranged in a grid structure, the formwork is arrang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area so that the first insulating material, the first reinforcing bars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are accommodated therein (S109).
거푸집이 배치되면, 위생설비 및 전기설비를 배치한다(S110).When the formwork is arranged, sanitary equipment and electrical equipment are arranged (S110).
위생설비 및 전기설비가 배치되면, 철골 기둥들이 설치될 위치에 각각 앵커볼트 조립체를 배치한다(S111).When the sanitary facilities and the electrical facilities are arranged, the anchor bolt assemblies are respectively arranged at the positions where the steel pillars are to be installed (S111).
앵커볼트 조립체가 배치되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구조물(10)을 형성한다(S112).When the anchor bolt assembly is arranged, the foundation structure 10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in the formwork (S112).
기초 구조물이 형성되면,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기초 구조물의 상부로 노출된 앵커볼트 조립체들에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를 결합한다(S113).When the base structure is formed, the base plate is coupled to each of the anchor bolt assemblie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structure using a fastening member (S113).
앵커볼트 조립체들에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면, 앵커볼트 조립체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앵커볼트 조립체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일체화한다(S114).When the base plate is coupled to each of the anchor bolt assemblies, a non-shrinkage mortar is poured between the anchor bolt assembly and the base plate to integrate the anchor bolt assembly and the base plate (S114).
앵커볼트 조립체와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체화되면, 베이스 플레이트에 철골 기둥들을 안착시키면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 노출된 앵커볼트 조립체에 철골 기둥들을 가체결한다(S115).When the anchor bolt assembly and the base plate are integrated, the steel columns are pre-fastened to the anchor bolt assembly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plate by using a fastening member while the steel columns are seated on the base plate (S115).
앵커볼트 조립체에 철골 기둥들이 가체결 되면,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철골 기둥(21)들에 연결보들(22)을 가체결한다(S116).When the steel posts are pre-fastened to the anchor bolt assembly, the connecting
철골 기둥들(21)에 연결보들(22)이 가체결되면, 기초 구조물의 상면에 대한 철골 기둥들(21)의 수직 상태 및 연결보들(22)의 수평 상태 여부를 확인한다(S117).When the connecting
철골 기둥들(21)의 수직 상태 및 연결보들(22)의 수평 상태에 이상이 없으면, 가체결된 체결부재를 조여 앵커볼트 조립체와 철골 기둥들(21)을 본체결한 후 용접을 통해 접합한다(S118).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vertical state of the
앵커볼트 조립체와 철골 기둥들(21)이 본체결되면, 가체결된 체결부재를 조여 철골 기둥들(21)과 연결보들(22)을 본체결한 후 용접을 통해 접합한다(S119).When the anchor bolt assembly and the
철골 기둥들(21)과 연결보들(22)이 본체결되면, 도장 장비를 이용하여 철골 구조물에 녹막이 도장을 수행한다(S120).When the
한편 도 5를 참조해보면, 연결보들(22)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를 설치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5 , the deck plate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beams 22 .
요철 구조의 데크 플레이트들을 연결보들(22)의 상부에 배치한다(S201).Arrange the deck plates of the uneven structure on top of the connecting beams 22 (S201).
데크 플레이트들이 연결보들(22)의 상면에 안착되면, 데크 플레이트들을 서로 연결하여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를 형성한다(S202).When the deck plates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가 형성되면,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를 연결보들(22)에 결합 및 접합한다(S203).When the deck plate assembly is formed, the deck plate assembly is coupled and bonded to the connecting beams 22 (S203).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가 연결보들(22)에 접합되면,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 사이로 배선 및 배관을 설치한다(S204).When the deck plate assembly is bonded to the connecting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 사이로 배선 및 배관이 설치되면,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의 상부에 격자 형태로 제3 철근들을 배근한다(S205).When wiring and piping are installed between the deck plate assembly, the third reinforcing bars are reinforced in a lattice form on the upper part of the deck plate assembly (S205).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의 상부에 제3 철근들이 배근되면, 제3 철근들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지층을 형성한다(S206).When the third reinforcing bars are reinforc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ck plate assembly, concrete is poured on top of the third reinforcing bars to form a support layer (S206).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의 상면에 지지층이 형성되면,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의 하면에 제2 단열재를 배치한다(S207).When the support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ck plate assembly, a second insulating material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k plate assembly (S207).
제2 단열재는,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의 하면에 접하는 방화우드 패널과, 방화우드 패널의 하면에 접하는 제2 락울패널과, 제2 락울패널에 결합되어 제2 락울패널의 하면에 접하는 금속재질의 주름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heat insulating material includes a fire wood panel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ck plate assembly, a second rock wool panel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e wood panel, and a metal corrugated panel coupled to the second rock wool panel a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rock wool panel. may include
또한, 제2 단열재는, 주름패널에 결합되어 주름패널의 하면에 접하는 복수의 결합용 브라켓과, 복수의 결합용 브라켓을 관통하여 제2 락울패널과 방화우드 패널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볼트와, 복수의 결합용 브라켓에 결합되어 복수의 결합용 브라켓의 하면에 배치되는 금속재질의 평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eat insulating material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coupled to the corrugated panel an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rrugated panel,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sequentially fastened to the second rock wool panel and the fire wood panel through the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and a flat panel of a metal material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and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또한, 제2 단열재는, 주름패널과 평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면은 주름패널의 하면에 접하고, 하면은 평패널의 상면에 접하는 압출법 보온패널과, 평패널의 하면에 접하는 그라스울 보온패널과, 그라스울 보온패널의 하면에 접하는 제3 락울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eat insulating material is disposed between the corrugated panel and the flat panel,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rrugated panel, and the low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panel, the extrusion method insulation panel, the glass wool insulation panel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panel; It may include a third rock wool panel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glass wool insulation panel.
주름패널은, 제2 락울패널의 하면에 접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 락울패널에 압입되면서 다단으로 걸려 지지되는 스크류 앵커와, 제2 락울패널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결합용 브라켓이 결합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rrugated panel includes a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rock wool panel, a screw ancho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supported by being caught in multiple stages while being press-fitted into the second rock wool panel,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ock wool panel, and a plurality of couplings It may include a depression to which the bracket is coupled.
복수의 결합용 브라켓은, 함몰부의 하면에 접하고, 내부에 평패널의 일부가 수용되어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브라켓 바디와, 브라켓 바디의 상면에 배치되고, 함몰부를 관통하여 함몰부의 상면에 걸려 지지되며, 내부로 체결볼트가 관통 가능한 관형 구조로 형성되는 결합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ar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pression, a bracket body configured to receive and hang a portion of the flat panel therein,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penetrate through the depression and are supported by being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pression. , it may include a coupling pin formed in a tubular structur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can penetrate.
평패널은, 브라켓 바디의 하면 및 압출법 보온패널의 하면에 접하는 패널 바디와, 패널 바디의 상면에 배치되어 브라켓 바디에 수용되고, 브라켓 바디에 걸려 지지되는 "T"형상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at panel may include a panel body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uded insulating panel, and a "T"-shaped hook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body, accommodated in the bracket body, and supported by the bracket body. there i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 : H 빔 L : 절토면
100 : 시멘트 페이스트 110 : 토류판
120 : 수평빔 K : 앙카
132 : 터널 134 : 확장부
160 : 천공비트 162 : 바디
164 : 비트날 166 : 가변날
168 : 액츄에이터 B : H beam L : cut surface
100: cement paste 110: earth plate
120: horizontal beam K: anchor
132: tunnel 134: extension
160: punched bit 162: body
164: bit blade 166: variable blade
168: actuator
Claims (3)
상기 다수의 H 빔을 연결하도록 횡으로 수평빔을 장착시키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수평빔에 관통하여 앙카를 박아넣고, 앙카가 상기 절토면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매설하는 3단계;
상기 절토면의 앙카가 매설된 주변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주입하고, 경화시켜 앙카가 고정되도록 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4단계는
상기 절토면에 대해 천공비트를 이용하여 일정 깊이로 천공시켜 터널을 형성하고, 상기 터널의 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확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터널과 확장부까지 앙카가 삽입되고, 상기 터널과 확장부에 시멘트 페이스트가 주입되는 것이며,
상기 4단계 이후 터파기 지반에 철골 구조물을 형성하는 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5단계는, 철골 구조물이 설치될 지형의 위치 및 지형의 높낮이를 측량하고,
지형의 위치 및 지형의 높낮이가 측량되면, 측량결과를 토대로 산출된 설정 깊이만큼 지면에 터파기를 수행하며,
터파기 위치에 잡석을 포설하는 과정;
상기 잡석 위에 PE 필름을 배치하는 과정;
상기 PE 필름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버림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버림층 위에 철골 기둥들을 다수개로 근입하는 과정;
상기 철골 기둥들을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연결보들을 설치하는 과정;
상기 연결보들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를 설치하는 과정은,
요철 구조의 데크 플레이트들을 상기 연결보들의 상부에 배치하는 과정;
상기 데크 플레이트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를 형성하는 과정;
상기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를 상기 연결보들에 결합 및 접합하는 과정;
상기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의 상부에 격자 형태로 제3 철근들을 배근하는 과정;
상기 제3 철근들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지층을 형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버림층 위에 제1 단열재를 배치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의 하면에 제2단열재를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열재는,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의 하면에 접하는 방화우드 패널;
상기 방화우드 패널의 하면에 접하는 제2 락울패널;
상기 제2 락울패널에 결합되어 제2 락울패널의 하면에 접하는 금속재질의 주름패널;
상기 주름패널에 결합되어 주름패널의 하면에 접하는 복수의 결합용 브라켓;
상기 복수의 결합용 브라켓을 관통하여 제2 락울패널과 방화우드 패널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볼트;
상기 복수의 결합용 브라켓에 결합되어 복수의 결합용 브라켓의 하면에 배치되는 금속재질의 평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패널과 평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면은 주름패널의 하면에 접하고, 하면은 평패널의 상면에 접하는 압출법 보온패널;
상기 평패널의 하면에 접하는 그라스울 보온패널과, 그라스울 보온패널의 하면에 접하는 제3 락울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의 시공방법. 1 step of excavating to a certain depth from the ground to perform excavation, driving a plurality of H beams to be close to the excavated cut surface,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earth plates by being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H beams to be supported on the cut surface;
Step 2 of mounting a horizontal beam horizontally to connect the plurality of H-beams;
A third step of inserting an anchor through the horizontal beam of the second step and burying the anchor so that the anchor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ut surface;
A fourth step of injecting cement paste around the cut surface where the anchors are embedded, and curing the anchors so that the anchors are fixed;
Step 4 above
A tunnel is formed by drilling the cut surface to a certain depth using a drilling bit, and an exten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unnel so that the diameter is expanded, an anchor is inserted up to the tunnel and the extension, and the tunnel and the extension Cement paste is injected into
Including; step 5 of forming a steel structure in the excavation ground after step 4
The 5th step is to measure the location of the terrain where the steel structure will be installed and the height of the terrain,
When the location of the terrain and the height of the terrain are surveyed, the ground is dug as much as the set depth calcul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process of laying rubble at the excavation site;
disposing a PE film on the rubble;
The process of forming a discard layer by pouring concrete on the PE film;
The process of reinforcing a plurality of steel pillars on the discard layer;
The process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beam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connect the steel pillars;
The process of installing a deck plate assembly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beams; includ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deck plate assembly,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deck plates of the concave-convex structure on top of the connecting beams;
connecting the deck plates to each other to form the deck plate assembly;
The process of coupling and bonding the deck plate assembly to the connecting beams;
The process of reinforcing the third reinforcement in the form of a gri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eck plate assembly;
forming a support layer by pouring concrete on top of the third reinforcing bars; including,
The process of disposing a first insulating material on the discard layer, and disposing a second insulating material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k plate assembly;
The second heat insulating material,
Firewood panel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ck plate assembly;
a second rock wool panel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fire wood panel;
a metal pleated panel coupled to the second rock wool panel and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rock wool panel;
a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coupled to the corrugated panel an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rrugated panel;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and sequentially fastened to the second rock wool panel and the fire wood panel;
A flat panel made of a metal material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and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an extrusion method insulation panel disposed between the corrugated panel and the flat panel,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rrugated panel, and the low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panel;
a glass wool insulation panel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panel, and a third rock wool panel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glass wool insulation panel;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comprising a.
상기 4단계의 터널 및 확장부를 천공하는 천공비트는,
외면에 비트날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단부에 출몰되게 형성된 가변날과, 상기 바디의 단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가변날의 출몰작동을 유발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동력공급라인과, 바디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공급라인에 연결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ll bit for drilling the tunnel and the extension of step 4 is,
A body having a bit blade formed on its outer surface, a variable blade formed to protrude and protrude from an end of the body, and an actuator formed inside the end of the body to induce a retracting operation of the variable bla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comprising: a power supply line formed inside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actuator; and a power generator provided outside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5195A KR102400508B1 (en) | 2021-09-17 | 2021-09-17 |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5195A KR102400508B1 (en) | 2021-09-17 | 2021-09-17 |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0508B1 true KR102400508B1 (en) | 2022-05-20 |
Family
ID=8180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5195A KR102400508B1 (en) | 2021-09-17 | 2021-09-17 |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0508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46676A (en) * | 2003-11-17 | 2005-06-09 | Shinsei Juki Kensetsu Kk | Apparatus for constructing dry columnar body in foundation ground |
KR20120076806A (en) * | 2010-12-30 | 2012-07-10 | 손일준 | Wall construction structure in which wale angle is adjustable and wale for fixing tension cable for the same |
KR20130018222A (en) | 2010-03-29 | 2013-02-20 |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 Polymer for use in a liquid-crystal alignment layer |
KR101845860B1 (en) * | 2016-05-12 | 2018-04-05 | 송병권 | Cold Storage Warehouse for Dehumidification and Preventing Frost Damage |
KR20210088850A (en) * | 2020-01-07 | 2021-07-15 | (주)한국건설공법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
-
2021
- 2021-09-17 KR KR1020210125195A patent/KR10240050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46676A (en) * | 2003-11-17 | 2005-06-09 | Shinsei Juki Kensetsu Kk | Apparatus for constructing dry columnar body in foundation ground |
KR20130018222A (en) | 2010-03-29 | 2013-02-20 |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 Polymer for use in a liquid-crystal alignment layer |
KR20120076806A (en) * | 2010-12-30 | 2012-07-10 | 손일준 | Wall construction structure in which wale angle is adjustable and wale for fixing tension cable for the same |
KR101845860B1 (en) * | 2016-05-12 | 2018-04-05 | 송병권 | Cold Storage Warehouse for Dehumidification and Preventing Frost Damage |
KR20210088850A (en) * | 2020-01-07 | 2021-07-15 | (주)한국건설공법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6916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ermanent wall with retaining wall combined PHC pile and steel pipe | |
KR100633796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mid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KR100698878B1 (en) | Y Type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s | |
KR20170005991A (en) | soil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241566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Cap Beam Combined Wale For Retaining Wall | |
WO2011114507A1 (en) | Method of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to be newly built | |
KR10207122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heathing temporary facility using steel sheet pile | |
JP3071402B2 (en) | Lifting method of structure, jack engaging structure and bracket used in the method | |
KR102234513B1 (en) |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 |
KR20140013497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block type reinforced retaining wall in cut site | |
KR102400508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installation structure | |
KR100862387B1 (en) | Tensional kit for top-down constructing of acupressure lasting anchor and top-down constructing method of acupressure lasting anchor using this | |
KR20100001516A (en) | Joint structure for connecting slant supporter and square steel strut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KR100984040B1 (en) |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cutting face through double reinforcing execution | |
KR100313721B1 (en) | Method for designing synthetic underground retaining wall by temporary soil protection structure and working process of underground retaining wall of structure | |
KR102039928B1 (en) | Arched Wale Structure with Improved Load-bearing Capacity and Rigidity | |
KR20180131042A (en) | Pile and method for constucting same | |
KR102150531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vertical underground inse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40031451A (en) | Prestressed scaffolding method | |
KR100808977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corner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KR20080059951A (en) | Underground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connecting member strengthening shearing force therefor | |
KR100327547B1 (en) | Composit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 |
KR100858712B1 (en) | Corner connecting apparatus of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KR200293048Y1 (en) | shoring structure using prestressed retaining wall | |
KR20040051182A (en) | Temporary soil sheathing using prestress and pil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