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282B1 -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게이트웨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게이트웨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0282B1 KR102400282B1 KR1020210156015A KR20210156015A KR102400282B1 KR 102400282 B1 KR102400282 B1 KR 102400282B1 KR 1020210156015 A KR1020210156015 A KR 1020210156015A KR 20210156015 A KR20210156015 A KR 20210156015A KR 102400282 B1 KR102400282 B1 KR 1024002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teway
- wireless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controlling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와 무선통신단말 간에서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게이트웨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 무선통신단말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 및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게이트웨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관제 시스템은 보안이 요구되는 구역에 관제 대상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을 구비하여, 관제 대상의 상태나 관제 대상에 발생된 상황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관제 대상의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관제 대상에 관한 다양한 정보들을 획득해야 하며, 관제 상황에 따라 요구되는 상기 정보의 종류나 정밀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 무선통신단말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 및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게이트웨이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와 무선통신단말 간에서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센싱 데이터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의해 직접 수집된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적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레벨 또는 신호전송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전원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영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영역의 보안 등급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영역의 보안 등급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상기 송신기의 신호전송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영역의 보안 등급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레벨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소지자의 관리등급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판단된 상기 관리등급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관리등급은, 병원시설 내의 환자의 중증도 또는 교정시설 내의 수용자의 위험도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소지자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판단된 상기 이상상황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거나, 상기 송신기의 신호전송레벨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이상상황의 종류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정의 제어가 필요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위치가 설정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였을 때에 설정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설정 가능 영역은, 상기 게이트웨이의 통신 가능 영역보다 좁게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은,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위치가 상기 게이트웨이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지만, 상기 설정 가능 영역 밖에 있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하여 인접 게이트웨이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와 무선통신단말 간에서 통신하는 게이트웨이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 및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설정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processor)와 결합되어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 및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과 장치들은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 무선통신단말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 및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함으로써 무선통신단말을 관제상황에 최적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과 장치들은 게이트웨이 단에서 직접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황에 맞추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의 관제 시스템에서 무선통신단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설정 제어의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의 관제 시스템에서 무선통신단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설정 제어의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PU(Accelerate Processor Unit), DSP(Drive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과 같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memory)와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10)은 서버(100), 복수의 게이트웨이들(200-1, 200-2),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들(210-1, 210-2), 복수의 음성 수집 장치들(220-1, 220-2), 및 복수의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관제 시스템(10)에 의해 관제되는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관제 상황들을 전체적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관제 상황에 관한 다양한 정보들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웨이들(200-1, 200-2) 각각은 서버(100)와 복수의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간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웨이들(200-1, 200-2) 각각은 복수의 게이트웨이들(200-1, 200-2) 각각의 통신 가능 영역(RG1, RG2), 즉 통신 커버리지 내에 속한 무선통신단말(300-1, 300-2, 또는 300-3)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통신단말(300-1, 300-2, 또는 300-3)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통신신호를 복수의 게이트웨이들(200-1, 200-2) 각각이 수신하는 형태의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 가능 영역(RG1, RG2)은 무선통신단말(300-1, 300-2, 또는 300-3)의 통신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범위 또는 무선통신단말(300-1, 300-2, 또는 300-3)의 신호전송레벨에 의해 그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통신단말(300-1, 300-2, 또는 300-3)에 포함된 비콘(beacon)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 가능 영역(RG1, RG2)은 비콘에 의해 송신되는 블루투스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범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게이트웨이(200-1)는 제2게이트웨이(200-2)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들(210-1, 210-2) 각각은 복수의 영상 수집 장치들(210-1, 210-2) 각각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200-1 또는 200-2)와 통신할 수 있으며, 해당 게이트웨이(200-1 또는 200-2)로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영상 수집 장치(210-1)는 제1게이트웨이(200-1)의 통신 가능 영역(RG1) 범위 내의 영상을 수집하고, 제2영상 수집 장치(210-2)는 제2게이트웨이(200-2)의 통신 가능 영역(RG2) 범위 내의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제1영상 수집 장치(210-1)는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제1게이트웨이(200-1)로 전송하고, 제2영상 수집 장치(210-2)는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제2게이트웨이(200-2)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음성 수집 장치들(220-1, 220-2) 각각은 복수의 음성 수집 장치들(220-1, 220-2) 각각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200-1 또는 200-2)와 통신할 수 있으며, 해당 게이트웨이(200-1 또는 200-2)로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음성 수집 장치(220-1)는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제1게이트웨이(200-1)로 전송하고, 제2음성 수집 장치(220-2)는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제2게이트웨이(200-2)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음성 수집 장치(220-1)는 제1게이트웨이(200-1)의 통신 가능 영역(RG1) 범위 내의 음성을 수집하고, 제2음성 수집 장치(220-2)는 제2게이트웨이(200-2)의 통신 가능 영역(RG2) 범위 내의 음성을 수집할 수 있다.
영상 수집 장치(210-1 또는 210-2)에 의해 수집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수집 장치(220-1 또는 220-2)에 의해 수집된 음성 데이터는, 이상 상황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형태로 휴대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은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에 포함된 센서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은 위치 데이터와 움직임 센싱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 착용여부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은 다양한 방식(예컨대, 수신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RSS)), 신호 도달 시간(Time of Flight(TOF)), 신호 도래각(Angle of Arrival), 실내 지자기장 분포 패턴 등)을 이용하여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의 위치 데이터를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은 통신 가능 범위(예컨대, RG1, RG2) 내에 위치한 게이트웨이(200-1 또는 200-2) 측으로 통신 신호(예컨대,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통신 신호(예컨대,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200-1 또는 200-2)의 위치를 통하여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의 위치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데이터는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이 전송하는 통신 신호(예컨대, 블루투스 신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은 움직임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예컨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은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의 소지자와의 접촉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은 수집된 센싱 데이터와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의 식별정보를 게이트웨이(200-1 또는 200-2)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의 식별정보는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내의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는 무선통신단말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등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의 관제 시스템에서 무선통신단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설정 제어의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들(200-1, 200-2) 중에서 제1게이트웨이(200-1) 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2게이트웨이(200-2)는 제1게이트웨이(20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1게이트웨이(200-1)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서버(100)와 제1게이트웨이(200-1) 간의 통신,제2게이트웨이(200-2)와 제1게이트웨이(200-1) 간의 통신,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 300-2)와 제1게이트웨이(200-1)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싱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싱 과정에서 송수신 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30)의 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 프로세서(230)의 처리 과정 중 또는 처리 완료 후에 생성된 데이터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이상상황 판단기(232), 설정 가능 영역 판단기(234), 및 설정 제어기(2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상황 판단기(232), 설정 가능 영역 판단기(234), 및 설정 제어기(236) 각각은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 단위 또는 집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상황 판단기(232), 설정 가능 영역 판단기(234), 및 설정 제어기(236) 각각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반드시 구성들 각각이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분되거나 별도의 코드로 작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상황 판단기(232)는 무선통신단말(300-1~300-3)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통신단말(300-1~300-3)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는 무선통신단말(300-1~300-3)에 의해 직접 수집된 센싱 데이터 또는 제1게이트웨이(200-1)와 통신적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예컨대, 영상 수집 장치(210-1), 음성 수집 장치(220-1))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상 상황은 무선통신단말(300-1~300-3)의 동작 자체에 문제가 발생하여 무선통신단말(300-1~300-3)을 활용한 추가 인증에 장애가 있거나, 무선통신단말(300-1~300-3)이 최초 소지자가 아닌 타인에 의해 소지되어 남용될 수 있는 경우 등을 폭넓게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상 상황은 무선통신단말(300-1~300-3)의 소지자가 최초 인증 과정에서 부여받은 인증 권한이 소멸 또는 만기되었거나, 부여받은 인증 권한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해당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상 상황은 무선통신단말(300-1~300-3)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예컨대, 움직임 센싱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통신단말(300-1~300-3)이 비정상적인 위치(또는 인증 권한 밖의 위치)에 위치해 있거나, 무선통신단말(300-1~300-3)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예컨대, 장시간 한 곳에 머물러 있고 움직임이 없음 또는 비정상적으로 급격한 움직임이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는 이상 상황으로 판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상 상황은 무선통신단말(300-1~300-3)의 미착용, 파손, 분실, 또는 도난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상 상황은 영상 수집 장치(예컨대, 210-1)에 의해 수집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수집 장치(예컨대, 220-1)에 의해 수집된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이상상황 판단기(232)에 의해 판단된 이상 상황에 대한 결과는 설정 제어기(236)로 전달될 수 있으며, 설정 제어기(236)는 이상 상황의 발생 여부에 따라 이상 상황이 발생한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제어기(236)는 이상상황 판단기(232)로부터 전달된 이상상황의 종류에 따라 해당 이상 상황이 발생한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의 설정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설정 가능 영역 판단기(234)는 설정의 제어가 필요한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의 위치를 확인하고, 설정의 제어가 필요한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의 위치가 설정 가능 영역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1게이트웨이(200-1)의 제1통신 가능 영역(RG1)과 제2게이트웨이(200-2)의 제2통신 가능 영역(RG2)가 함께 도시되고 있다.
제1게이트웨이(200-1)가 제2무선통신단말(300-2)의 설정을 제어하는 경우, 제2무선통신단말(300-2)이 일정시간 동안 제1게이트웨이(200-1)의 통신 가능 영역(RG1)의 범위 내에 위치하여야 정상적인 설정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제2무선통신단말(300-2)의 위치는 계속하여 변하며 설정 제어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제1게이트웨이(200-1)의 제1통신 가능 영역(RG1)을 벗어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사람의 도보 이동 속도(또는 기준 속도)와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2)의 설정 제어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 제어가 시작된 이후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2)이 이동하더라도 설정 제어가 완료될 때까지 통신 가능 영역(예컨대, RG1)을 벗어나지 않을 수 있는 영역에 대하여 설정 가능 영역(예컨대, RG1-S)이 설정될 수 있다.
설정 가능 영역(예컨대, RG1-S)은 통신 가능 영역(예컨대, RG1)보다 좁게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게이트웨이(200-2)의 제2통신 가능 영역(RG2)에 대해서도 통신 가능 영역(예컨대, RG2-S)이 설정될 수 있다.
설정 가능 영역 판단기(234)는 설정의 제어가 필요한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2)의 위치를 확인하고, 설정의 제어가 필요한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2)의 위치가 설정 가능 영역(예컨대, RG1-S)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설정 가능 영역 판단기(234)는 판단 결과를 설정 제어기(236)로 전달할 수 있으며, 설정 제어기(236)는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2)가 설정 가능 영역(예컨대, RG1-S) 내에 위치하였을 때에 설정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2)의 위치가 게이트웨이(예컨대, 200-1)의 통신 가능 영역(예컨대, RG1) 내에 있지만, 설정 가능 영역(예컨대, RG1-S) 밖에 있는 경우, 게이트웨이(예컨대, 200-1)는 해당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2)의 이동패턴에 기초하여, 인접 게이트웨이(예컨대, 200-2)로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2)의 설정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예컨대, 제어 대상 정보(신호전송레벨, 신호전송주기, 대상센서 등), 또는 설정 제어값 등)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예컨대, 200-1)는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2)의 이동패턴에 기초하여, 복수의 인접 게이트웨이들 중에서 이동패턴 상 설정 가능 영역(예컨대, RG2-S) 범위 내로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인접 게이트웨이(예컨대, 200-2)를 선택하여, 선택된 인접 게이트웨이(예컨대, 200-2) 측으로 설정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로 돌아와서, 설정 제어기(236)는 제1게이트웨이(200-1)의 식별정보와,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의 식별정보 및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제어기(236)는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레벨 또는 신호전송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제어기(236)는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전원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게이트웨이(예컨대, 200-1)의 식별정보는 게이트웨이(예컨대, 200-1)가 설치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웨이(예컨대, 200-1)가 설치된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영역의 보안 등급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예컨대, 200-1)의 식별정보는 메모리(220)에 직접 저장되거나, 서버(100)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제어기(236)는 게이트웨이(예컨대, 200-1)가 설치된 영역의 보안 등급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제어기(236)는 게이트웨이(예컨대, 200-1)가 설치된 영역의 보안 등급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레벨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제어기(236)는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 소지자의 관리 등급을 판단하고, 판단된 관리 등급에 따라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 소지자의 관리 등급은 메모리(220)에 직접 저장되거나, 서버(100)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 소지자의 관리 등급은 병원시설 내의 환자의 중증도, 또는 교정시설 내의 수용자의 위험도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제어기(236)는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 소지자의 관리 등급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제어기(236)는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 소지자의 관리 등급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레벨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제어기(236)는 이상상황 판단기(232)에 의해 판단된 이상 상황에 따라,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설정 제어기(236)는 이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거나,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레벨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제어기(236)는 이상상황 판단기(232)에 의해 판단된 이상 상황의 종류에 따라,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의 설정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설정 제어기(236)는 발생한 이상 상황의 종류별 심각도에 따라 심각도가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거나,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레벨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제어기(236)는 이상상황 판단기(232)에 의해 판단된 이상 상황의 종류에 따라,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의 센서의 전원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통신단말(300-1~300-3)의 배터리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무선통신단말(300-1~300-3)을 활용한 추가 인증에 장애가 있는 이상 상황인 경우에, 설정 제어기(236)는 해당 무선통신단말에서 일부 센서의 전원이 꺼지도록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은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의 식별정보와,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510).
무선통신단말(예컨대, 300-1~300-3)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는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에 포함된 센서들로부터 수집되거나, 게이트웨이(예컨대, 200-1, 200-2)와 통신적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예컨대, 영상 수집 장치(210-1, 210-2), 음성 수집 장치(220-1,220-2))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센싱 데이터는 무선통신단말들(300-1, 300-2, 300-3) 각각의 위치 데이터, 움직임 센싱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 착용여부에 관한 센싱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은 S410 단계에서 수신된 무선통신단말(300-1, 300-2, 300-3)의 식별정보 및 센싱 데이터와, 이를 수신한 게이트웨이(예컨대, 200-1, 200-2)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통신단말(300-1, 300-2, 300-3)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S520).
실시 예에 따라, 게이트웨이(예컨대, 200-1, 200-2)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통신단말(300-1, 300-2, 300-3)의 설정은 무선통신단말(300-1, 300-2, 300-3)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레벨, 신호전송주기, 또는 센서의 전원 설정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은 S510 단계 내지 S52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매체와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관제 시스템
100 : 서버
200-1, 200-2 : 게이트웨이
300-1~300-3 : 무선통신단말
100 : 서버
200-1, 200-2 : 게이트웨이
300-1~300-3 : 무선통신단말
Claims (18)
- 서버와 무선통신단말 간에서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센싱 데이터 모두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의해 직접 수집된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적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인,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레벨 또는 신호전송주기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전원 설정을 제어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영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영역의 보안 등급에 따라 구분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영역의 보안 등급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송신기의 신호전송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영역의 보안 등급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레벨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소지자의 관리등급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판단된 상기 관리등급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등급은,
병원시설 내의 환자의 중증도 또는 교정시설 내의 수용자의 위험도인,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소지자의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판단된 상기 이상상황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포함된 송신기의 신호전송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거나, 상기 송신기의 신호전송레벨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이상상황의 종류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정의 제어가 필요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위치가 설정 가능 영역 내에 위치하였을 때에 설정 제어를 시작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가능 영역은,
상기 게이트웨이의 통신 가능 영역보다 좁게 설정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은,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위치가 상기 게이트웨이의 통신 가능 영역 내에 있지만, 상기 설정 가능 영역 밖에 있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하여 인접 게이트웨이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 서버와 무선통신단말 간에서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 및 센싱 데이터 모두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설정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 프로세서(processor)와 결합되어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정보 및 센싱 데이터 모두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6015A KR102400282B1 (ko) | 2021-11-12 | 2021-11-12 |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게이트웨이 및 프로그램 |
US18/054,833 US11778425B2 (en) | 2021-11-12 | 2022-11-11 | Method of operating a gateway, and a gateway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6015A KR102400282B1 (ko) | 2021-11-12 | 2021-11-12 |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게이트웨이 및 프로그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0282B1 true KR102400282B1 (ko) | 2022-05-23 |
KR102400282B9 KR102400282B9 (ko) | 2023-04-12 |
Family
ID=8180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6015A KR102400282B1 (ko) | 2021-11-12 | 2021-11-12 |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게이트웨이 및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778425B2 (ko) |
KR (1) | KR102400282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30033A (ja) * | 2009-07-28 | 2011-02-10 | Hitachi Ltd |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センサ情報収集装置 |
KR20120004747A (ko) * | 2010-07-07 | 2012-01-13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능동적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및 그의 동작방법,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방법, 엑세스 포인트 서버 및 그의 동작방법 |
KR20150062586A (ko) * | 2013-11-29 | 2015-06-08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무선 환경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70062312A (ko) * | 2015-11-27 | 2017-06-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장치의 관리 방법과 장치 |
KR20170069693A (ko) * | 2015-12-11 | 2017-06-21 | 주식회사 케이티 | 보안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외장형 주변 장치 |
JP2019507998A (ja) * | 2016-01-12 | 2019-03-22 |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電子装置設置装置及び方法 |
KR20190076382A (ko) * | 2017-12-22 | 2019-07-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보안 위협 탐지 게이트웨이, 보안 통제 서버 및 IoT 단말의 보안 위협 탐지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282438A1 (en) * | 2012-04-24 | 2013-10-24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for delivering relevant user information based on proximity and privacy controls |
US10740995B2 (en) * | 2016-04-22 | 2020-08-11 | e-Smart Systems Pvt. Ltd | Access control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
US10602339B2 (en) * | 2017-05-17 | 2020-03-24 | Hand Held Product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lert messaging us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US10019769B1 (en) * | 2017-07-17 | 2018-07-10 | Global Tel*Link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fencing within a controlled environment |
US11763111B2 (en) * | 2018-05-04 | 2023-09-19 | Rowan Compan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personnel at muster station on offshore unit |
US20220225947A1 (en) * | 2021-01-20 | 2022-07-21 | HLFIP Holding, Inc. | Smart wearable device for tracking and monitoring individuals in a correctional facility |
US11265827B1 (en) * | 2021-06-22 | 2022-03-01 | Cisco Technology, Inc. | Conserving battery life during Bluetooth device localization |
-
2021
- 2021-11-12 KR KR1020210156015A patent/KR1024002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11-11 US US18/054,833 patent/US1177842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30033A (ja) * | 2009-07-28 | 2011-02-10 | Hitachi Ltd |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センサ情報収集装置 |
KR20120004747A (ko) * | 2010-07-07 | 2012-01-13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능동적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및 그의 동작방법,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방법, 엑세스 포인트 서버 및 그의 동작방법 |
KR20150062586A (ko) * | 2013-11-29 | 2015-06-08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무선 환경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70062312A (ko) * | 2015-11-27 | 2017-06-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장치의 관리 방법과 장치 |
KR20170069693A (ko) * | 2015-12-11 | 2017-06-21 | 주식회사 케이티 | 보안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외장형 주변 장치 |
JP2019507998A (ja) * | 2016-01-12 | 2019-03-22 |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電子装置設置装置及び方法 |
KR20190076382A (ko) * | 2017-12-22 | 2019-07-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보안 위협 탐지 게이트웨이, 보안 통제 서버 및 IoT 단말의 보안 위협 탐지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778425B2 (en) | 2023-10-03 |
KR102400282B9 (ko) | 2023-04-12 |
US20230156430A1 (en) | 2023-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96951B1 (en) | Contraband detection through smart power components | |
JP6430016B2 (ja) | 移動体識別システムおよび識別方法 | |
EP318840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ty authentication and user equipment | |
KR20200054721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 운용 방법 | |
US20170245314A1 (en) |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KR102527868B1 (ko) | Nan 프로토콜에 기반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1518929B1 (ko) | 텔레매틱스 원격 제어 차량의 외부 해킹 차단 방법 및 시스템 | |
EP3266237A1 (en) |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CN106453329B (zh) | 一种无线加密的智能家居远程监控方法及系统 | |
EP4066522B1 (en) |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 |
KR20210078245A (ko) |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출입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
CN109257793A (zh) | 网络连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KR20220048440A (ko) | 다중 송수신 지점의 빔 실패 복구 방법 및 장치 | |
WO2010131484A1 (ja) |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パラメーター決定装置 | |
US11432214B2 (en) | Method for network state identif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
KR101927866B1 (ko) | 통합 안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 |
WO2018116494A1 (ja) | 監視カメラ、監視システム、監視カメラ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2400282B1 (ko) |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게이트웨이 및 프로그램 | |
US20160267780A1 (en) | Mobile user interface for security panel | |
KR20200073811A (ko) | 세컨더리 노드 추가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
US2022014131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relocation in edge computing environment | |
US20130275494A1 (en) | Method For Real-Time Synchronization Between A Device And Host Servers | |
CN109040457B (zh) | 一种屏幕亮度调节方法及移动终端 | |
CN108541003B (zh) | 一种VoWiFi通话的控制方法和装置 | |
KR20200010642A (ko) |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