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256B1 - Providing method for spatial imaging system - Google Patents
Providing method for spatial imag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0256B1 KR102400256B1 KR1020210136490A KR20210136490A KR102400256B1 KR 102400256 B1 KR102400256 B1 KR 102400256B1 KR 1020210136490 A KR1020210136490 A KR 1020210136490A KR 20210136490 A KR20210136490 A KR 20210136490A KR 102400256 B1 KR102400256 B1 KR 1024002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tographing
- connector
- drone
- fluid
- central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간영상 도화 기술 분야 중 신속하게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 도심지에 집중된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 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의 텀(term)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한 항공촬영 대신 비용이 저렴하고 짧은 텀(term)으로 주기적인 촬영이 용이한 드론을 이용하여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improves the precision of drawing using drones that quickly draw video images of features in the field of spatial image drawing technology and aerial surveying images, and more specifically, topographical features concentrated in downtown areas It is possible to draw the landmark images of various buildings, which are waters, according to the actual features and apply them to the exact location in the drawing image, but the cost of aerial photography is lower than that of aerial photography, which is expensive and has a long term. And it relates to a spatial imaging system that enables the completion of a drawing image that can guarantee reliability by quickly reflecting the changing topographical image image using a drone that is easy to shoot periodically in a short term.
통상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도화이미지는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 시각적인 거부감을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하다면 간단한 이미지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general, the drawing image used for making a numerical map is made as a simple image if possible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user using the map and to minimize the visual objection.
예컨대,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사용자가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도화이미지를 쉽고 빠르게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기기의 경우에는 도화이미지의 배경이 실제 모습과는 확연한 차이를 가질 수 밖에 없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evice in which a user can quickly and easily check and understand a drawing image being output on a monitor, such as a navigation device, the background of the drawing image is inevitably different from the actual appearance.
도 1의 (a)는 지형 정보를 최대한 단순화시킨 도화이미지이고, (b)는 실제 지형의 모습을 보인 도화이미지인데,도 1의 (a)의 경우에는 해당 지형의 도로 상태와 지형물이미지(B)의 배치모습 등이 이용자에 의해 쉽고 빠르게이해될 수 있을 것이나, 도 1의 (b)의 경우와 같이 실제 현장에서 해당 도화이미지와 지형을 비교할 경우, 서로 상이한 지형물이미지(B, B')와 지형물 간의 모습으로 인해 이용자는 실제 현장과 도화이미지의 동일성 여부에혼란을 느낄 것이다. (a) of FIG. 1 is a drawing image that has simplified topographic inform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b) is a drawing image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actual terrain. The arrangement of B) can be easily and quickly understood by the user, but when comparing the corresponding drawing image with the topography in the actual field as in the case of FIG. ) and the features, users will feel confused about whether the actual site and the drawing image are identical.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화이미지에 대한 수정 및 갱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된 바있다. 공간영상 도화 수정 및 갱신 시스템은 현장의 실제 지형물에 위치측정기를 설치해서 지형물의 이미지를확인하고, GPS에서 위치측정기의 좌표값과 위치정보를 별도로 수집하며, 영상도화기는 이렇게 확인된 지형물의이미지와, 별도로 측정된 좌표값 및 위치정보를 서로 결합시켜서 수치지도DB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 도화이미지를 갱신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ystem that can correct and update the drawing image has been developed. The spatial image drawing correction and update system installs a location measuring device on an actual feature on the site to check the image of the feature, and separately collects the coordinate value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measuring device from the GPS, It can be said that the existing drawing image stored in the numerical map DB is updated by combining the image with the separately measured coordinate values and location information.
그런데, 공간영상 도화 수정 및 갱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위치측정기는 현장에서 GPS와 결합된 상태로 작업이 진행되므로, 각종 지형물에 의한 가림이 없는 광야 또는 상대적으로 한적한 도외지 전용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However, since the position measuring device used in the spatial image drawing correction and update system works in a state in which it is combined with the GPS at the site, it was common to be produced exclusively for the wilderness or relatively secluded outlying areas that are not obscured by various landforms. .
그러므로, 고층건물이 집중된 도심에서는 GPS위성과의 통신이 곤란하고, 수많은 방해 전파가 범람하며, 이로 인한 각종 센서의 오작동 발생이 빈번한 도심지에서는 지형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측정이 불가능하였고, 매 건물마다 위치측정기를 설치하는 것도 한계가 있었으며, 그리고, 항공촬영은 고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빈번하게 촬영할 수 없어서 지형지물의 변화를 신속하게 반영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in the city center where high-rise buildings are concentrated,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GPS satellites, and numerous jammers are flooded. There was also a limit to installing a measuring instrument, and since aerial photography requires high cost, it is difficult to quickly reflect changes in topographical features because it cannot be taken periodically and repeatedly.
더 나아가, 항공촬영은 항공기가 촬영지점을 고속으로 지나가 버리기 때문에 촬영지역에 머무를 수 없어 필요하다면 항공기를 선회시켜 매번 재촬영해야 하는 번거로움, 그에 따른 시간상, 비용상 매우 큰 낭비가 초래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Furthermore, in aerial photography, since the aircraft passes the filming point at high speed, it is impossible to stay in the filming area, so if necessary, the aircraft must be turned and re-photographed every time. Have.
그렇다면, 항공기를 이용한 항공촬영을 대체할 비행 수단이 요구되는 바, 저비용이 소요되면서도 짧은 텀(term)의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하고 또한 비행의 안정성을 담보하면서도 정밀한 촬영이 가능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Then, a flight means to replace aerial photography using an aircraft is required. A means capable of taking low-cost, short-term periodic photographing and ensuring flight stability and precise photographing is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심지에 집중된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의 텀(term)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항 항공촬영 대신 값싸고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 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raw a feature image of various buildings, which is a feature concentrated in a downtown area, according to an actual feature,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n accurate location in the drawing image, but the term of aerial photography is long and high cost Instead of using this expensive airplane for aerial photography, use drones that are inexpensive and capable of periodic shooting, and use drones and aerial survey images to quickly reflect the image of changing features and complete reliable drawing image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maging system with improved drawing precis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드론 내부에 장착되는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 및 축전지와, 드론 몸체간 진동의 전달을 감쇄함으로써 보다 더 정밀한 지형물 이미지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확성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enuating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between the micro-gas turbine generator and storage battery mounted inside the drone, and the drone body, it is possible to take a more precise terrain image, so that an accurate drawing image can be completed.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improves the precision of drawing using drones and aerial survey images.
또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의 제작, 테스트 및 운용에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와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관리수단이 구비되는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production, testing and operation of the spatial imaging system, a drone equipped with a management means that enables continuous monitoring and immediate respons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maging system with improved accuracy of drawing using aerial surveying images are provided. will do
또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초기 관리와 이후의 지속적 관리가 다수의 대상대해 실시가 가능한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patial imaging system, initial management and subsequent continuous management can be carried out for a large number of targets, providing a method of providing a spatial imaging system with improved accuracy of drawing using drones and aerial survey images. will be.
또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초기 관리와 이후의 지속적 관리를 다양한 구도와 형태로 가능하도록 구축하 다양한 구조적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하며 검증 및 유지관리를 할 수 있는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patial imaging system, the initial management and subsequent continuous management are built to be possible in various compositions and forms, so that they can be flexibly dealt with in various structural environments, and for drones and aerial surveying that can be verified and maintained.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with improved precision of drawing using images.
또한, 시스템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다양한 형태로 촬영 관련구성에 치한 조건과 효율성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외부 노출이 되도록 운용하며, 외부의 오염원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며 촬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ystem, it is operated so that it is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s and the need for efficiency in various forms of shooting-related configuration,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shooting while protecting it from external contamination sources and impacts.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improves the precision of drawing using drones and aerial survey images.
또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다양한 형태로 촬영 관련구성의 거치되는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하여 진동과 떨림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관리유닛을 가지는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patial imaging system, drones and aerial surveying systems having a management unit having structural features to protect from vibration and vibration damage by more stably realizing the mounted state of the shooting-related configuration in various forms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with improved precision of drawing using image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이 제작되는 단계; 상기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이 운용을 위하여 테스트되는 단계; 및 상기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이 운용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상황감시유닛에 의하여 제작과정이 검증되고, 상기 테스트과정이 검증되고 상기 운용이 지속적으로 검증되며, 상기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좌표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한 적어도 3대의 이동가능한차량(100,102,104)과; 상기 RF발신기(R1,R2,R3)로부터 수신된 RF를 통해 각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하고GPS수신기(G1,G2,G3)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R1,R2,R3)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200)과; 상기 드론(200)이 생성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도화를 수행하는 도화모듈(310)을 갖춘 관리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몸체(220)의 상면 중앙에는 원통형상으로 요입된 축전지설치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축전지설치홈(250)의 양측에는 부력챔버(260)가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어 공기가 채워지며, 상기 부력챔버(260)의 일측에는 상기 드론제어기(210)가 설치되고, 상기 축전지설치홈(250)에는 축전지(270)가 장착되는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maging system with improved drawing accuracy using drones and aerial surveying image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manufacturing the spatial imaging system; testing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operation; and the step of operating the spatial imaging system, wherein the spatial imaging system has a manufacturing process verified by a situation monitoring unit, the test process is verified, and the operation is continuously verified, the spatial imag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three movable vehicles (100,102,104) equipped with RF transmitters (R1, R2, R3) and GPS receivers (G1, G2, G3) to perform a coordinate reference point function; Each RF transmitter (R1, R2, R3) is identified through the RF received from the RF transmitters (R1, R2, R3), and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s (G1, G2, G3) is matched to the shooting zone. a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이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도심지에 집중된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의 텀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항 항공촬영 대신 값싸고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 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raws the features images of various buildings, which are features concentrated in the downtown area, according to the actual features so that they can be applied to the exact location in the drawing image. Instead of taking pictures, it is effective to use drones that are inexpensive and capable of taking periodic pictures to quickly reflect the images of changing features and complete reliable drawing imag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드론 내부에 장착되는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 및 축전지와, 드론 몸체간 진동의 전달을 감쇄함으로써 보다 더 정밀한 지형물 이미지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확성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enuating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between the micro-gas turbine generator and storage battery mounted inside the drone, and the drone body, it is possible to take a more precise terrain image, so that an accurate drawing image can be completed. has the effect of
또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의 제작, 테스트 및 운용에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와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관리수단이 구비되는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duction, testing and operation of the spatial imaging system, a drone equipped with a management means that enables continuous monitoring and immediate respons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maging system with improved accuracy of drawing using aerial surveying images are provided. can do.
또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초기 관리와 이후의 지속적 관리가 다수의 대상대해 실시가 가능한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patial imaging system, the initial management and subsequent continuous management can be carried out for a large number of targets. A method of providing a spatial imaging system that improves the precision of drawing using drones and aerial survey images. can
또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초기 관리와 이후의 지속적 관리를 다양한 구도와 형태로 가능하도록 구축하 다양한 구조적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하며 검증 및 유지관리를 할 수 있는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patial imaging system, the initial management and subsequent continuous management are built to be possible in various compositions and forms, so that they can be flexibly dealt with in various structural environments, and for drones and aerial surveying that can be verified and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maging system in which the precision of drawing using an image is improved.
또한, 시스템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다양한 형태로 촬영 관련구성에 치한 조건과 효율성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외부 노출이 되도록 운용하며, 외부의 오염원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며 촬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ystem, it is operated so that it is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s and the need for efficiency in the shooting-related configuration in various forms, and it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contamination sources and impacts, and shooting can b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improves the precision of drawing using drones and aerial survey images.
또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다양한 형태로 촬영 관련구성의 거치되는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하여 진동과 떨림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관리유닛을 가지는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patial imaging system, drones and aerial surveying systems having a management unit having structural features to protect from vibration and vibration damage by more stably realizing the mounted state of the shooting-related configuration in various form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maging system in which the precision of drawing using an image is improved.
도 1은 종래 방식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도화된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산기의 연산예를 보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드론의 모식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와 무진동부간 결합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와 무진동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진동부가 구비하는 감쇠부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진동부가 구비하는 감쇠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진동부가 구비하는 유체완충부의 구성 분해도.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ra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in which the precision of drawing using a drone and an aerial survey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3 is an exemplary view of a vehicle constitut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with improved drawing precision using drones and aerial survey im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calculator constitut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with improved drawing precision using drones and aerial surveying im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one compos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with improved drawing precision using a drone and aerial surveying im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attery and the vibration-fre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battery and the vibration-fre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amping unit provided with the vibration-fre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amping unit provided with the vibration-fre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luid buffer provided in the non-vib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4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main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좌표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RF발신기(R1, R2, R3)와 GPS수신기(G1, G2, G3)를 탑재한 적어도 3대의 이동가능한 차량(100, 102, 104)과, 상기 RF발신기(R1, R2,R3)로부터 수신된 RF를 통해 각 RF발신기(R1, R2, R3)를 식별하고 GPS수신기(G1, G2, G3)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R1, R2, R3)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200)과, 상기 드론(200)이 생성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도화를 수행하는 도화모듈(330)을 갖춘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he spatial im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RF transmitters (R1, R2, R3) and GPS receivers (G1, G2, G3) to perform a coordinate reference point function. At least three movable vehicles ( 100, 102, 104) and each RF transmitter (R1, R2, R3) through the RF received from the RF transmitters (R1, R2, R3), and coordinates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s (G1, G2, G3) A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100, 102, 104)에 대해 살펴보면, 도 3의 예시와 같이, 메모리가 실장된 차량제어기(110)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제어기(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RF를 발신하는 RF발신기(R1, R2, R3)가 각 차량에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그리고, 상기 차량(100, 102, 104) 각각에는 상기 차량제어기(110)의 제어신호 하에 위성과 통신하여 위치정보, 즉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GPS수신기(G1, G2, G3)도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100, 102, 104) 각각의 지붕에는 차량용 스테레오카메라(120)가 더 설치되어 입체 영상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높이가 높은 건물의 경우 그 직상방에서 드론(200)이 촬영할 경우 측면 이미지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측면 이미지를 입체 영상이미지로 획득한 후 평면이미지와 합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외관이미지를 3차원 입체 이미지로 변환시키는 경우 활용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each of the
본 발명에서 상기 RF발신기(R1, R2, R3)는 RF를 발진시켜 드론(200)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발진된 신호는 RF발신기(R1, R2, R3) 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갖는 고유한 RF를 포함하므로 드론(200)은 수신한RF를 통해 당해 RF를 발진한 RF발신기(R1, R2, R3)를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RF발신기(R1, R2, R3)는 드론(200)이 촬영대상 지면, 즉, 촬영존에 진입하면 각 차량(100, 102,104)에 설치된 차량제어기(110)에 의해 각각 제어되어 단발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연발로 지속해서 발신하도록제어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F transmitter (R1, R2, R3) oscillates RF so that the
본 발명에서 상기 드론(200)은 관리서버(300) 및 차량(100,102,104)과의 무선통신을 비롯한 기능 구현에 필요한 제어를 위해 드론제어기(210)를 탑재한다. 이때, 상기 드론제어기(210)는 촬영존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211)와, RF발신기(R1, R2, R3)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RF수신기(212)와, 드론(200)이 위치한 고도를 측정하는 고도계(213)와,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드론(200)이 현재 위치한 지점의 지피에스 좌표를 확인하는 좌표계(214)와, RF수신기(212)가 수신한 RF신호와 좌표계(214)가 확인한 위치정보 및 고도계(213)에서 확인된 고도정보를 이용하여 각 RF발신기까지의 지면상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기(215)와, 상기 연산기(215)가 연산한 거리정보와 좌표계(214)가 확인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촬영존의 촬영이미지 상에 위치정보를 합성하는 위치정보합성기(216)와, 합성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드론메모리(2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상기 카메라(211)은 촬영존의 촬영을 위한 기기로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이 적용될 수있지만, 입체영상 이미지 확보를 위해 드론용 스테레오카메라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드론(200)의 하단에 설치되는 상기 카메라 (211)는 티타늄에톡사이드, 또는 티타늄부톡사이드와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탄올아민을 반응시켜 제조되는 제1 용액과,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lsiloxane) 및 파릴렌(parylene)을 반응시켜 제조되는 제2 용액 및 실란커플링제와 이소프로필알코올, 물 및 p-톨루엔 술폰산을 반응시켜 제조되는 제3 용액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반응시켜 형성되는 코팅액을 그 카메라 렌즈에 도포하여 형성되는 코팅층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상기와 같은 코팅용액을 카메라(211)의 렌즈에 도포하고 가열처리하면 고굴절률 및 고경도의 보호피막을 얻을수 있다. 이는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의 성질로 인함이다. 위 코팅액의 도포 방법은 스프레이 코팅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경화조건은 건조오븐에서 40℃에서 45분간 1차 경화한 후 160℃에서 1시간 동안 2차 경화함으로써 고굴절률 및 고경도의 코팅막을 획득할 수 있다. When the coating solution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lens of the
상기 카메라(211) 렌즈 코팅층의 조성물 중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lsiloxane)은 가시광선의 투광율을 높여 정밀한 영상 이미지 확보가 가능하도록 조력할 수 있으며, 상기 파릴렌(parylene)은 내식성, 내화학성이 강한 물질로서 카메라부(410) 렌즈의 부식을 방지하고 장수명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RF수신기(212)는 RF발신기(R1, R2, R3)가 발신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여 발진신호에 포함된 RF를 확인하여 구별하며, 구별 정보는 드론제어기(210)가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mong the composition of the lens coating layer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산기(215)는 촬영존의 둘레중 적어도 3곳에 배치된 RF발신기(R1, R2, R3)와 GPS수신기(G1, G2, G3)를 탑재한 차량(100, 102, 104)과, 촬영존 내의 상부 일정높이에서 호버링하고 있는 드론(200)이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촬영존, 즉 드론(200)에 장착된 카메라(211)가 한번에 촬영할 수 있는 단위공간의 크기에 대한 영상이미지에 좌표값, 다시 말해 위치정보를 삽입하여 도화모듈(330)이 도화할 때 정확한 도화가 가능하도록 차량(100, 102, 104)의 위치정보를 정확히 하기 위해 드론(200)을 기준으로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4, the
이때, 드론(200)의 위치는 좌표계(214)를 통해 알고 있고, 또한 촬영존의 드론(200) 직하방 지면 지점은 고도계(213)를 통해 알고 있으며, 각 RF발신기(R1, R2, R3)까지의 거리는 RF의 속도와 RF수신기(212)가 수신한 시간을통해 알 수 있으므로 결국 촬영존 내의 드론(200) 직하방 지면 지점으로부터 각 RF발신기(R1, R2, R3)까지의 거리는 직각삼각형을 형성하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이와 같이 촬영존 내의 드론(200) 직하방 지면 지점을 기준으로 각 GPS수신기(G1, G2, G3)가 획득한 좌표값과, 기준점으로부터 RF발신기(R1, R2, R3)까지의 거리정보를 알기 때문에 결국 촬영된 촬영존의 영상이미지에 RF발신기(R1, R2, R3)의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촬영존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할 때 각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도화하게 되면 정확한 도화가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based on the ground point directly below the
본 발명에서 상기 드론메모리(217)는 위치정보가 합성된 촬영이미지를 저장물 형태로 기록한 후 드론제어기(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화모듈(3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드론메모리(217)는 RAM과 같이 임시저장기능을 갖는 외장형 디스크(USB방식으로 탈부착되는 기록매체, 또는 SD 카드 형태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으며, 이외 일반적인 디스크 또는 탈부착이 가능한 하드드라이브가 적용될 수도 있다.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드론(200)은 장시간, 이를 테면 적어도 6시간 이상 비행할 수 있도록 부력상승 기능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드론(200)은 원반형태의 드론몸체(220)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몸체(220)의 하면에는 엔진챔버(230)가 고정되고, 상기 엔진챔버(230)의 저면 중심에는 카메라(211)가 장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엔진챔버(230)의 저면 외곽에는 랜딩기어(240)가 설치되어 상기 드론(200)이 비행, 착륙 등을 수행할 때 드론몸체(2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드론암, 드론로터, 드론로터모터 등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도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한편, 본 발명에서는 드론(200)의 비행시간을 늘리기 위해 엔진챔버(230) 내부에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1)는 손바닥 크기의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터빈에 초고속 발전기를 일체로결합시킨 형태로서 포일베어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완전한 오일프리 구조를 가지며, 분당 40만 회전, 최대 400와 트의 발전능력을 가진 터빈형 발전기를 채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flight time of the
특히, 상기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1)의 구동시 많은 열과 진동이 발생되므로 엔진냉각을 위해 상기 엔진챔버(230)의 내부 천정면에는 냉각팬(242)이 구비되고, 엔진챔버(230)의 둘레에는 다수의 통기공(232)이 천공 형성되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a lot of heat and vibration are generated when the micro
또한,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1)는 그 하면에 복수의 하부다리를 형성하고 그 하부다리가 무진동부(800)에 결합되어 엔진챔버(230) 및 드론 몸체(220)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종국적으로는 카메라(211)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정밀한 영상 이미지의 획득을 가능하게 기능한다. In addition, the miniature
상기 드론몸체(210)의 상면 중앙에는 원통형상으로 요입된 축전지설치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축전지설치홈(250)의 양측에는 부력챔버(260)가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어 공기가 채워진다. 물론, 공기는 빠져나갈 수 있고 유입될 수 있도록 둘레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챔버(260)의 일측에는 앞서 설명한 드론제어기(21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축전지설치홈(250)에는 축전지(270)가 장착되고, 상기 축전지(270)는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1)와 연결되어 전기를 축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축전지설치홈(250)의 측면과 축전지(270) 사이에는 단열패드(272)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드(272)는 상기 축전지(270)가 상기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1)에서 발생된 열을 차단하여 축전지(270)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case, a
그리고, 상기 축전지설치홈(250)을 포함한 상기 드롬몸체(220)의 상면은 드론커버(280)에 의해 밀폐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드론(200)은 엔진인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1)에 의해 지속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축전지(270)에 축전하게 되므로 드론(200)이 장시간 동안 비행할 수 있는 충분한 전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에서 상기 드론몸체(220)는 노볼락계 비닐에스테르 수지와 비스페놀 A계 비닐에스테르 수지를 배합한 수지 100 중량부와, 충전제로서 탄산칼슘 12~52 중량부 및 충전제로서 수산화알루미늄 8~48중량부와, 경화제 3~9중량부와, 이형제로서 지방산염 1~4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의 조성물로 형성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드론의 몸체(220)를 구성하면, 경량이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높아서 내부에 보이드, 크랙이 적고 또한 내수성, 내식성, 내약품성 등의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위의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드론의 몸체(220)를 구성할 경우, 그 무게가 가벼워서 운반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외부에서 드론(200)의 운용시 장시간 초기의 고품질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본 발명에서 관리서버(300)는 원격지에 설치되고, 메인제어부인 서버제어기(310)를 포함하며, 서버제어기(310)에는 드론(200)과 무선통신하여 도화에 필요한 영상이미지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320)와, 서버통신부(320)를 통해 수신한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도화하는 도화모듈(330)과, 서버제어기(310)에 연결되고 송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메모리(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엔진챔버(230)의 하면에 복수의 초음파발생기(9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초음파발생기(900)는 AC 전원을 인가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전 원을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구형파로 변환하며, 상기 구형파를 위상 변경하여 신호를 증폭하고 발진시켜 출력하되,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는 소정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상기 초음파발생기(900)는 그 구동시 8Khz ~ 13Khz의 주파수, 8Khz ~ 25Khz의 주파수, 15Khz ~ 25Khz의 주파수 및 27Khz ~ 44Khz의 주파수가 30초 단위로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다만, 발명의 필요에 따라 위의 주파수들을 10초 내지 60초의 범위에서 랜덤하게 반복하여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When the
상기 8Khz ~ 13Khz의 주파수는 지표면에서 낮게 날아다니는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유효하고, 상기 8Khz ~ 25Khz의 주파수는 모기 등 여름해충의 접근 방지용으로 유효하며, 상기 15Khz ~ 25Khz의 주파수는 높게 날아다니는 해충의 접근 방지용으로 유효하고, 상기 27Khz ~ 44Khz의 주파수는 작은 종류의 해충의 접근 방지용으로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The frequency of 8Khz ~ 13Khz is effective to prevent access of pests flying low on the ground, and the frequency of 8Khz ~ 25Khz is effective for preventing access of summer pests such as mosquitoes, and the frequency of 15Khz ~ 25Khz is high Effective for preventing the access of pests, the frequency of 27Khz ~ 44Khz can be said to be useful for preventing the access of small types of pests.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발생기(900)를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다른 주파수대역을 갖는 주파 수들을 반복하여 출력함으로써 카메라(211)에 각종 해충 또는 벌레의 접근을 막아 그 표면에의 부착방지 및 정밀한 영상이미지의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와 무진동부간 결합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와 무진동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6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attery and the vibration-fre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torage battery and the vibration-fre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1)와 축전지(270)는 각각 그 하부에 복수의 하부다리를 구비하여 무진동부(800)에 안착 결합하되, 상기 무진동부(800)는, 엔진챔버(230) 내부 하면 또는 축전지설치홈(250) 상에 적어도 둘 이상 고정 설치되는 감쇠부(500)와, 상기 감쇠부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유체완충부(600)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micro
상기 무진동부(800)는 엔진챔버(230) 내부 하면 또는 축전지설치홈(250) 상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또는 드론으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 가해지게 되면, 해당 충격과 진동은 무진동부(800)의 감쇠부(500) 및 유체완충부(600)에 의해 2 차로 충격이나 진동이 흡수, 완충되어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1) 또는 축전지(270)의 하부다리를 통해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1) 또는 축전지(27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The vibration-
물론, 그 역의 경우로서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1) 또는 축전지(270)의 구동시 전달되는 진동을 드론 몸체(220) 또는 엔진챔버(23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결과적으로는 드론(200)의 비행시 안정적인 운행 및 드론의 저면에 장착된 카메라(211)의 촬영시 흔들림 없는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정밀한 영상이미지 확보에 기여하게 된다.Of course, in the reverse case, the vibration transmitted when the micro
도 6a 및 도 6b에서는 축전지(270)의 하부다리(271)에 결합되는 무진동부(800)의 모습을 도시하였다. 6A and 6B illustrate the vibration-
이하, 상기 무진동부(8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인 감쇠부(500) 및 유체완충부(600)에 대해 각각 자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Hereinafter, the damping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쇠부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쇠부의 단면도이다.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amp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amp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감쇠부(500)는 엔진챔버(230) 내부 하면 또는 축전지설치홈(250) 상에 형성되며, 그 중앙에 삽입공간(511)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감쇠케이스(510), 감쇠케이스의 측면에 횡방향으로 천공된 다수의 감쇠홀(512), 다수의 감쇠홀에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감쇠탄성부(520) 및 감쇠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어 감쇠탄성부가 감쇠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감쇠잠금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damping
상기 축전지(270)의 하부다리(271)는 상기 삽입공간(511)으로 인입되어 고정 결합되게 된다.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1)의 하부다리도 마찬가지로 상기 삽입공간(511)으로 인입되어 고정 결합되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감쇠케이스(510)의 내부 상단에는 횡방향으로 레일(513)이 설치되고, 이러한 레일(513)에는 다수의 탄성링(514)이 활주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다수의 탄성링(514)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오므라들거나 펼쳐질 수 있다.The
상기 다수의 탄성링(514)은 삽입공간(511)에 삽입된 유체완충부(600)가 전후좌우로 강하게 흔들릴 때 레일(513)을 따라 활주하며 서로 부딪혀서 유체완충부(60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감쇠홀(512)은 4개의 감쇠홀이 한 세트를 이루어 감쇠케이스(510)의 전후좌우 4방향에 형성된다. The plurality of
한 세트를 이루는 4개의 감쇠홀(512)은 상하로 적층되어 있으며, 이러한 감쇠홀(512)을 가릴 수 있도록 감쇠잠금부(530)가 종방향으로 결합된다. 감쇠잠금부(530)는 통상적인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쇠탄성부(520)는, 감쇠홀(5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막대 형태의 감쇠삽입부(521), 일단이 감쇠삽입부에 결합되며 탄성을 가지는 감쇠스프링(522) 및 감쇠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되는 감쇠커버(5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our damping
상기 감쇠탄성부(520)는 선택적으로 감쇠홀(512)에 삽입되거나 감쇠홀(5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16개의 감쇠홀(512) 중 원하는 감쇠홀에만 감쇠탄성부(520)를 삽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감쇠부(500)의 전체적인 완충력이 조절될 수 있다.The damping
상기 감쇠삽입부(521)는 금속 등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감쇠홀(512)의 내부 끝단에는 영구자석(515)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감쇠탄성부(520)를 감쇠홀(512)에 삽입하였을 때 감쇠삽입부(521)는 자연스럽게 감쇠홀(512)의 내부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The damping
상기 감쇠커버(523)는 감쇠홀(512)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감쇠케이스(510)에 종방향으로 결합된 감쇠잠금부(530)가 감쇠커버(523)를 가로막음에 따라 감쇠탄성부(520)가 감쇠홀(51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후술되는 유체완충부(600)를 삽입공간(511)에 삽입하였을 때 감쇠부(500)가 유체완충부(600)를 전후좌우에서 감싸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유체완충부(600) 및 그 상부에 결합된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1) 또는 축전지(270)를 보호할 수 있다. The damping
또한, 본 발명은 주변의 상황이나 각 부품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다수의 감쇠홀(512) 중 원하는 감쇠홀에만 감쇠탄성부(520)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추어 사용자가 자유롭게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ert the damping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완충부의 구성 분해도이다.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fluid buff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유체완충부(600)는 감쇠부(500)의 삽입공간(511)에 삽입되며, 유체공급부(610), 유체상판(620), 유체회전판(630), 유체회전부(640), 유체하판(650), 유체수용부(660) 및 유체연결부(6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유체공급부(610)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유체공급홀(611)이 천공된다.상기 유체공급부(610)의 상부면은 고무 등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유체공급부(610)의 상부에 결합된 승강부(700)가 상하로 흔들리면 내부의 유체가 압력에 의해 유체공급홀(611)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The
상기 유체상판(620)은 유체공급부(6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상판관통홀(621)이 상하로 천공된다. 유체상판(62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판관통홀(621)은 유체공급홀(6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fluid
상기 유체회전판(630)은 유체상판(6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회전관통홀(631)이 상하로 천공된다. 유체회전판(630)의 중앙 부분에는 중공(633)이 형성되어 유체회전판은 전체적으로 링 형태로 형성된다. The fluid
상기 유체회전판(630)의 상면에는 회전관통홀(631)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회전연통홈(632)이 함몰 형성된다. 유체회전판(630)은 회전 가능하므로 상판관통홀(621)로부터 하부로 전달된 유체는 회전관통홀(631)을 통해 바로아래로 전달되거나, 또는 회전연통홈(632)을 통해 회전관통홀(631)로 전달된 후 아래로 전달될 수 있다. A ring-shaped
상기 유체하판(650)은 유체회전판(6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하판관통홀(651)이 상하로 천공된다. 유체하판(65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유체하판(650)의 상면에는 하판관통홀(651)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하판연통홈 (652)이 함몰 형성된다. 유체회전판(630)이 회전 가능하므로 회전관통홀(631)을 통해 하부로 전달된 유체는 하판관통홀(651)을 통해 바로 아래로 전달되거나, 또는 하판연통홈(652)을 통해 하판관통홀(651)로 전달된 후 아래로 전달될 수 있다.The fluid
상기 유체회전부(640)는 유체회전판(630)의 중공(633) 내부에 배치되며, 유체하판(650)의 상면에 결합되어 유체회전판(630)을 회전시킨다. The fluid
상기 유체회전부(640)는 유체회전모터(641) 및 유체회전기어(642)로 구성되는데, 유체회전기어(642)의 직경은 중공(633)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체회전모터(641)는 중앙제어부(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으며, 유체회전모터(641)가 작동함에 따라 유체회전기어(642)가 회전하여 유체회전판(630)이 유체회전부(64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유체수용부(660)는 유체하판(650)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원통형으로 형성된다. The fluid
유체수용부(660)의 상부면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유체수용홀(661)이 천공된다. 상기 유체연결부(670)는 유체수용부(660)와 유체공급부(610) 사이를 연결한다. 즉, 유체공급부(610)로부터 공급되어 아래로 전달된 유체는 유체수용부(660)에 수용되어 있다가, 유체연결부(670)를 통해 다시 유체공급부(610)로 전달될 수 있다. A fluid
상기 유체연결부(670)의 중앙 부분에는 일방향밸브(671)가 결합된다. 상기 일방향밸브(671)는 유체공급부(610)의 상부에 결합된 승강부(700) 및 정보부(30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흔들려서 유체공급부(610) 내부의 유체 압력이 높아지고 유체가 아래로 전달될 때, 유체연결부(670)를 통해 전달되지 않고 유체상판(620), 유체회전판(630) 및 유체하판(650)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A one-
다시 말하자면,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유체는 유체공급부(610), 유체상판(620), 유체회전판(630), 유체하판(650) 및 유체수용부(660)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회전판(630)이 유체회전부(6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므로 유체공급부(610)로부터 유체수용부(660)로 전달되는 유체의 이동 거리를 상황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luid is transferred from top to bottom through the
즉, 도면에서 예시로 도시한 것과 같이, 유체회전판(630)의 회전관통홀(631)이 상판관통홀(621) 및 하판관통홀(651)과 180도를 이루도록 회전(최장거리)되었을 때, 유체공급부(610)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상판관통홀(621), 회전연통홈(632), 회전관통홀(631), 하판연통홈(652) 및 하판관통홀(65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유체수용부 (660)에 수용된다.That is, 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the rotation through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체회전판(630)의 회전관통홀(631)이 상판관통홀(621) 및 하판관통홀(651)과 0도를 이루도록 동일축상에 배치(최단거리)되었을 때, 유체공급부(610)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상판관통홀(621), 회전관통홀(631) 및 하판관통홀(65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유체수용부(660)에 수용된다.Although not shown, when the rotation through
만약, 유체회전판(630)의 회전관통홀(631)이 상판관통홀(621) 및 하판관통홀(651)과 0 도 초과 180 도 미만을 이루도록 회전(중간거리)된다면, 유체의 이동 거리 역시 이에 맞추어 가변된다. If, the rotation through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가해지는 주파수는 유체의 이동 거리에 반비례하는 관계에 있다. 즉, 고주파수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체의 이동 거리를 짧게 설정하여야 하고, 저주파수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체의 이동 거리를 길게 설정하여야 한다.The frequency applied by external shock or vibration i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uid. That is, in order to control the high-frequency vibration,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uid must be set short, and in order to control the low-frequency vibration,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uid must be set long.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이 제작되는 단계; 상기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이 운용을 위하여 테스트되는 단계; 및 상기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이 운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9 to 14 ,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 imaging system with improved drawing accuracy using drones and aerial surveying images, the method comprising: manufacturing the spatial imaging system; testing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operation; and operating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또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상황감시유닛에 의하여 제작과정이 검증되고, 상기 테스트과정이 검증되고 상기 운용이 지속적으로 검증되며, 상기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좌표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한 적어도 3대의 이동가능한차량(100,102,104)과; 상기 RF발신기(R1,R2,R3)로부터 수신된 RF를 통해 각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하고GPS수신기(G1,G2,G3)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R1,R2,R3)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200)과; 상기 드론(200)이 생성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도화를 수행하는 도화모듈(310)을 갖춘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The spatial imaging system (or spatial imaging system), which has improved the precision of drawing using drones and aerial surveying images, is verified by the situation monitoring unit, the production process is verified, the test process is verified, and the operation is continuously verified. , The spatial imaging system, RF transmitters (R1, R2, R3) and GPS receivers (G1, G2, G3) to perform a coordinate reference point function is mounted at least three mobile vehicles (100, 102, 104) and; Each RF transmitter (R1, R2, R3) is identified through the RF received from the RF transmitters (R1, R2, R3), and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s (G1, G2, G3) is matched to the shooting zone. a
아울러 상기 드론몸체(220)의 상면 중앙에는 원통형상으로 요입된 축전지설치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축전지설 치홈(250)의 양측에는 부력챔버(260)가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어 공기가 채워지며, 상기 부력챔버(260)의 일측에 는 상기 드론제어기(210)가 설치되고, 상기 축전지설치홈(250)에는 축전지(270)가 장착된다.In addition, a cylindrically recessed storage
한편 상기 상황감시유닛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하부로 설치되는 지지연결체(121’)와, 상기 지지연결체(121’)를 매개로 상기 중앙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중앙몸체(110’)를 지지하는 지지패널(122’)과, 상기 지지연결체(121’)의 일측면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일측촬영체(123’)와, 상기 지지연결체(121’)의 타측면으로 위치되며 상기 일측촬영체(123’)와 반전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타측촬영체(124’)를 포함하는 하부감시파츠(12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좌측으로 설치되는 좌측연결체(131’)와, 상기 좌측연결체(131’)의 상부면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제1-1촬영체(133’)와, 상기 좌측연결체(131’)의 하부면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1-1촬영체(133’)와 반전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제1-2촬영체(134’)와, 상기 좌측연결체(131’)를 매개로 상기 중앙몸체(110’)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1유동체(132’)를 포함하는 제1감시파츠(13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situation monitoring unit includes a
또한 상기 중앙몸체(110’)의 우측으로 설치되는 우측 연결체(141’)와, 상기 우측 연결체(141’)의 상부면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제2-1촬영체(143’)와, 상기 우측 연결체(141’)의 하부면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2-1촬영체(143’)와 반전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제2-2촬영체(144’)와, 상기 우측 연결체(141’)를 매개로 상기 중앙몸체(110’)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2유동체(142’)를 포함하는 제2감시파츠(1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right connector 141'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ral body 110', and a plurality of second-first photographing bodies 143'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connector 141' and a plurality of 2-2 photographing bodies 144'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ight connector 141' and installed to be reversed from the 2-1 photographing body 143', and the right connector It includes a second monitoring part 140' including a second fluid 142'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ral body 110' via (141').
또한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상측 연결체(151’)와, 상기 상측 연결체(151’)의 일측면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제3-1촬영체(153’)와, 상기 상측 연결체(151’)의 타측면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3-1촬영체(153’)와 반전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제3-2촬영체(154’)와, 상기 상측 연결체(151’)를 매개로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3유동체(152’)를 포함하는 제3감시파츠(150’)를 포함한다.In addition, an upper connector 151' installed above the central body 110', and a plurality of 3-1 photographing bodies 153'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upper connector 151' and a plurality of 3-2 photographing bodies 154'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connector 151' and installed to be reversed from the 3-1 photographing body 153', and the upper connector It includes a third monitoring part 150' including a third fluid 152'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body 110' via (151').
여기서 상기 좌측연결체(131’)는 상기 중앙몸체(110’) 내부로 진입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제1출몰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우측연결체(141’)는 상기 중앙몸체(110’) 내부로 진입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제2출몰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상측연결체(151’)는 상기 중앙몸체(110’) 내부로 진입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제3출몰동작이 수행된다.Here, the
아울러 상기 제1-1촬영체(133’) 내지 상기 제3-2촬영체(154’)는, 상기 제1출몰동작 내지 상기 제3출몰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몸체(110’)의 내부로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보관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1 - 1 photographing body 133' to the 3 - 2 photographing body 154' are moved to the inside of the central body 110' based on the first appearing/extending motion to the third appearing/disappearing motion. It can be accommodated and stored to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
상기 상황감시유닛은, 상기 제1-1촬영체(133’) 내지 상기 제3-2촬영체(154’)들 중 상기 제1-1촬영체(133’), 상기 제1-2촬영체(134’)가 상기 중앙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1-1촬영체(133’) 내지 상기 제3-2촬영체(154’)들 중 상기 제2-1촬영체(143’), 상기 제2-2촬영체(144’)가 상기 중앙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2동작모드와, 상기 제1-1촬영체(133’) 내지 상기 제3-2촬영체(154’)들 중 상기 제3-1촬영체(153’), 상기 제3-2촬영체(154’)가 상기 중앙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3동작모드로 동작 가능하다.The situation monitoring unit includes the 1-1 photographing body 133' and the 1-2 photographing body among the 1-1 photographing body 133' to the 3-2 photographing
이러한 상기 상황감시유닛은 상기 제1감시파츠(130’)와 상기 제2감시파츠(140’) 및 상기 제3감시파츠(150’)에 대한 지지고정과 오염관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복합관리모듈을 더 포함한다.The situation monitoring unit is a complex management module for performing the fixing and contamination control operations for the
아울러 상기 복합관리모듈은 최하부의 하부몸체(210’)와, 상기 하부몸체(210’)의 상부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일측수직패널부(211’)와, 상기 일측수직패널부(211’)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1일측수평체(212’)와, 상기 제1-1일측수평체(212’)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촬영체(123’)에 대한 세정액을 토출하여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1일측세정체(213’)와, 상기 제1-1일측수평체(212’)와 상기 제1-1일측세정체(213’) 사이에 구비되고 상부로 위치하는 상기 제1-2촬영체(134’)에 대한 세정액을 토출하여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1보조세정체(214’)와, 상기 일측수직패널부(211’)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1일측수평체(212’)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2일측수평체(215’)와, 상기 제1-2일측수평체(215’)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1촬영체(153’)에 대한 세정액을 토출하여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2일측세정체(216’)와, 상기 제1-2일측수평체(215’)와 상기 제1-2일측세정체(216’) 사이에 구비되고 하부로 위치하는 상기 제1-1촬영체(133’)에 대한 세정액을 토출하여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2보조세정체(217’)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mplex management module includes a lower body 210' of the lowermost portion, a one-side vertical panel part 211' that is vertically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210', and the one-side vertical panel part 211') The first 1-1 side
또한, 상기 하부몸체(210’)의 상부 타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타측수직패널부(221’)와, 상기 타측수직패널부(221’)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2-1일측수평체(222’)와, 상기 제2-1일측수평체(222’)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타측촬영체(124’)에 대한 세정액을 토출하여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2-1일측세정체(223’)와, 상기 제2-1일측수평체(222’)와 상기 제2-1일측세정체(223’) 사이에 구비되고 상부로 위치하는 상기 제2-2촬영체(144’)에 대한 세정액을 토출하여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2-1보조세정체(224’)와, 상기 타측수직패널부(221’)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1일측수평체(222’)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2일측수평체(225’)와, 상기 제1-2일측수평체(215’)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2촬영체(154’)에 대한 세정액을 토출하여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2-2일측세정체(226’)와, 상기 제2-2일측수평체(225’)와 상기 제2-2일측세정체(226’) 사이에 구비되고 하부로 위치하는 상기 제2-1촬영체(143’)에 대한 세정액을 토출하여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2-2보조세정체(227’)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vertical panel part 221' vertically installed on the other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210', and the 2-1 one side horizontal body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vertical panel part 221' ( 222') and the 2-1 one-
이때 상기 복합관리모듈은, 상기 하부몸체(210’)의 상부에서 상기 일측수직패널부(211’)와 상기 타측수직패널부(2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중앙몸체(110’)를 거치고정시키는 중앙고정부(310’)와, 상기 하부몸체(210’)의 상부에서 상기 일측수직패널부(211’)의 외곽으로 설치되며 상기 일측수직패널부(211’)을 지지고정시키는 제1외곽고정부(411’)와, 상기 하부몸체(210’)의 상부에서 상기 타측수직패널부(221’)의 외곽으로 설치되며 상기 타측수직패널부(221’)을 지지고정시키는 제2외곽고정부(511’)를 더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complex management module is positioned between the one side vertical panel part 211' and the other side vertical panel part 221'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210' and is fixed through the central body 110'. The central fixing part 310', which is installed outside the one side vertical panel part 211' from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210', and the first external height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one side vertical panel part 211' A second outer fixing part ( 511').
상기 중앙고정부(310’)는, 상기 하부몸체(2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지지패널(122’)이 거치되면 상부에 구비된 한 쌍의 이동형고정체(3111’,3112’)로 상기 지지패널(122’)의 양측을 가압 고정시키는 중앙고정모듈(311’)과, 상기 하부몸체(210’)의 좌측상부에 구비되고 제1연동체(312’)를 통해 상기 중앙고정모듈(311’)과 연결되며 상기 일측수직패널부(211’)를 눌러 고정시키는 일측고정모듈(313’)과, 상기 하부몸체(210’)의 우측상부에 구비되고 제2연동체(314’)를 통해 상기 중앙고정모듈(311’)과 연결되며 상기 타측수직패널부(221’)를 눌러 고정시키는 타측고정모듈(315’)을 더 포함한다.The central fixing part 31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210', and when the support panel 122'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a pair of
여기서 상기 제1외곽고정부(411’)는,상기 하부몸체(210’)에 일부가 삽입장착되는 제1삽입몸체(4111’)와, 상기 제1삽입몸체(4111’)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기 일측수직패널부(211’)와 대향하여 접하는 제1대향몸체(4112’)와, 상기 제1대향몸체(4112’)의 상부에 구비되고 저면부로 상기 일측수직패널부(211’)의 상방에 접하는 제1상방패널(4113’)을 포함한다.Here, the first outer fixing
이러한 상기 제1삽입몸체(4111’)는 상기 일측고정모듈(313’)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기 일측수직패널부(211’)을 반대방향에서 지지고정시키며, 상기 제1대향몸체(4112’)는 높이방향상에 다수로 구비되는 다수의 제1진입구조체(P11’)를 매개로 상기 일측수직패널부(211’)에 장착고정되며, 상기 제1상방패널(4113’)은 하부에 구비되는 제1하방진입구조체(P12’)를 매개로 상기 일측수직패널부(211’)의 상방으로 장착고정된다.The
아울러 상기 제2외곽고정부(511’)는, 상기 하부몸체(210’)에 일부가 삽입장착되는 제2삽입몸체(5111’)와, 상기 제2삽입몸체(5111’)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기 타측수직패널부(221’)와 대향하여 접하는 제2대향몸체(5112’)와, 상기 제2대향몸체(5112’)의 상부에 구비되고 저면부로 상기 타측수직패널부(221’)의 상방에 접하는 제2상방패널(5113’)을 포함한다. 상기 제2삽입몸체(5111’)는 상기 타측고정모듈(315’)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기 타측수직패널부(221’)을 반대방향에서 지지고정시키며, 상기 제2대향몸체(5112’)는 높이방향상에 다수로 구비되는 다수의 제2진입구조체(P12’)를 매개로 상기 타측수직패널부(221’)에 장착고정되며, 상기 제2상방패널(5113’)은 하부에 구비되는 제2하방진입구조체(P22’)를 매개로 상기 타측수직패널부(221’)의 상방으로 장착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진입구조체(P11’), 상기 제2진입구조체(P12’), 상기 제1하방진입구조체(P12’) 및 상기 제2하방진입구조체(P22’)는 각각 장착고정된 상태에서 정방향 혹은 역방향 회전방식을 기반으로 각기 상기 일측수직패널부(211’)와 상기 타측수직패널부(221’)에 대한 고정력을 재차 가한다.In addition, the second outer fixing part 511'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inserting body 5111' and the second inserting body 5111', a part of which i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lower body 210'. A second opposing body 5112' facing and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vertical panel part 221' is provided on the second opposing body 5112'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vertical panel part 221' as a bottom surface. and a second upper panel 5113' in contact with the . The second insertion body 5111' supports and fixes the other side vertical panel part 221' pressed by the other side fixing module 315'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second opposing body 5112' has a height A plurality of second entry structures (P12')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direction are mounted and fixed to the other side vertical panel part 221' via a medium, and the second upper panel 5113' is a second It is mounted and fixed upward of the other vertical panel part 221' via the downward entry structure P22'. In addition, the first entry structure (P11'), the second entry structure (P12'), the first downward entry structure (P12'), and the second downward entry structure (P22') are respectively mounted and fixed in the forward direction. Alternatively, the fixing force to the one side vertical panel part 211' and the other side vertical panel part 221' is applied again based on the reverse rotation method, respectively.
한편 상기 상황감시유닛은, 소정의 설치대상부상에서 상하로 대칭으로 다수 설치되는 제1설치모드와, 좌우 대칭으로 다수 설치되는 제2설치모드와, 상하좌우 대칭으로 다수 설치되는 제3설치모드로 각기 설치 가능하다.Meanwhile, the situation monitoring unit includes a first installation mode in which a plurality of symmetrical installations are installed vertically on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target portion, a second installation mode in which a plurality of symmetrical installations are installed horizontally, and a third installation mode in which a plurality of symmetrical installations are instal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Each can be installed.
이러한 상기 일측수직패널부(211’)와 상기 타측패널부(221’)는, 상기 좌측열결체(131’)와 상기 우측연결체(141’) 상기 상측연결체(151’)가 상부 중앙몸체(110’)로 후퇴하고, 상기 지지연결체(121’)상에 상기 일측촬영체(123’)와 상기 타측촬영체(124’)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제1-1일측수평체(212’)와 상기 제2-1일측수평체(222’)를 통해 상기 지지연결체(121’)를 각각 가압고정하며, 상기 제1-2일측수평체(215’)와 상기 제2-2일측수평체(225’)를 통해 상기 제3유동체(152’)의 양측을 각각 가압고정한다. The one side vertical panel part 211' and the other side panel part 221' include the left heat coupling body 131', the right coupling body 141', and the upper side coupling body 151' of the upper central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one side photographing body 123' and the other side photographing body 124' are removed on the support connecting body 121', the 1-1 side horizontal body ( 212') and the 2-1 one-side horizontal body 222' by pressing and fixing the support connector 121', respectively, and the 1-2 one-side horizontal body 215' and the 2-2 Both sides of the third fluid 152' are pressed and fixed through one horizontal body 225', respectively.
100: 차량 110: 차량제어기
120: 차량용 스테레오카메라 200: 드론
210: 드론제어기 211: 카메라100: vehicle 110: vehicle controller
120: vehicle stereo camera 200: drone
210: drone controller 211: camera
Claims (2)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이 제작되는 단계;
상기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이 운용을 위하여 테스트되는 단계; 및
상기 공간영상 도화시스템이 운용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상황감시유닛에 의하여 제작과정이 검증되고, 상기 테스트과정이 검증되고 상기 운용이 지속적으로 검증되며,
상기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좌표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한 적어도 3대의 이동가능한차량(100,102,104)과; 상기 RF발신기(R1,R2,R3)로부터 수신된 RF를 통해 각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하고GPS수신기(G1,G2,G3)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R1,R2,R3)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200)과; 상기 드론(200)이 생성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도화를 수행하는 도화모듈(310)을 갖춘 관리서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감시유닛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하부로 설치되는 지지연결체(121’)와, 상기 지지연결체(121’)를 매개로 상기 중앙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중앙몸체(110’)를 지지하는 지지패널(122’)과, 상기 지지연결체(121’)의 일측면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일측촬영체(123’)와, 상기 지지연결체(121’)의 타측면으로 위치되며 상기 일측촬영체(123’)와 반전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타측촬영체(124’)를 포함하는 하부감시파츠(12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좌측으로 설치되는 좌측연결체(131’)와, 상기 좌측연결체(131’)의 상부면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제1-1촬영체(133’)와, 상기 좌측연결체(131’)의 하부면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1-1촬영체(133’)와 반전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제1-2촬영체(134’)와, 상기 좌측연결체(131’)를 매개로 상기 중앙몸체(110’)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1유동체(132’)를 포함하는 제1감시파츠(13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우측으로 설치되는 우측 연결체(141’)와, 상기 우측 연결체(141’)의 상부면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제2-1촬영체(143’)와, 상기 우측 연결체(141’)의 하부면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2-1촬영체(143’)와 반전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제2-2촬영체(144’)와, 상기 우측 연결체(141’)를 매개로 상기 중앙몸체(110’)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2유동체(142’)를 포함하는 제2감시파츠(14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상측 연결체(151’)와, 상기 상측 연결체(151’)의 일측면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제3-1촬영체(153’)와, 상기 상측 연결체(151’)의 타측면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3-1촬영체(153’)와 반전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제3-2촬영체(154’)와, 상기 상측 연결체(151’)를 매개로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3유동체(152’)를 포함하는 제3감시파츠(150’)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연결체(131’)는 상기 중앙몸체(110’) 내부로 진입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제1출몰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우측연결체(141’)는 상기 중앙몸체(110’) 내부로 진입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제2출몰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상측연결체(151’)는 상기 중앙몸체(110’) 내부로 진입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제3출몰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제1-1촬영체(133’) 내지 상기 제3-2촬영체(154’)는,
상기 제1출몰동작 내지 상기 제3출몰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몸체(110’)의 내부로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보관가능하며,
상기 상황감시유닛은,
상기 제1-1촬영체(133’) 내지 상기 제3-2촬영체(154’)들 중 상기 제1-1촬영체(133’), 상기 제1-2촬영체(134’)가 상기 중앙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1-1촬영체(133’) 내지 상기 제3-2촬영체(154’)들 중 상기 제2-1촬영체(143’), 상기 제2-2촬영체(144’)가 상기 중앙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2동작모드와,
상기 제1-1촬영체(133’) 내지 상기 제3-2촬영체(154’)들 중 상기 제3-1촬영체(153’), 상기 제3-2촬영체(154’)가 상기 중앙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3동작모드로 동작 가능하며,
상기 상황감시유닛은,
상기 제1감시파츠(130’)와 상기 제2감시파츠(140’) 및 상기 제3감시파츠(150’)에 대한 지지고정과 오염관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복합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In the method of provid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with improved drawing precision using drones and aerial survey images,
Spatial imaging system is produced;
testing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operation; and
Including the step of operating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In the spatial imaging system, the production process is verified by the situation monitoring unit, the test process is verified, and the operation is continuously verified,
The spatial imaging system,
At least three movable vehicles (100,102,104) equipped with an RF transmitter (R1, R2, R3) and a GPS receiver (G1, G2, G3) to perform a coordinate reference point function; Each RF transmitter (R1, R2, R3) is identified through the RF received from the RF transmitters (R1, R2, R3), and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s (G1, G2, G3) is matched to the shooting zone. a drone 200 that generates coded captured images for each (R1, R2, R3); and a management server 300 equipped with a drawing module 310 for performing drawing by receiving the captured image generated by the drone 200,
The situation monitoring unit,
The central body 110 'and,
A support connector 121' instal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entral body 110', and the support connector 121' are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central body 110' through the support connector 121', and the central body 110' ), a support panel 122' supporting the support connector 121', a plurality of one-side photographing bodies 123'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connector 121',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connector 121' and lower monitoring parts 120' including a plurality of other side photographing bodies 124' which are positioned as and are installed to be reversed from the one side photographing body 123';
A left connector 131 ′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ral body 110 ′, and a plurality of 1-1 photographing bodies 133 ′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connector 131 ′; , a plurality of first-second photographing bodies 134'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connector 131' and installed to be inverted from the first-first photographing body 133', and the left connector ( 131'), and the first monitoring parts 130' including a first fluid 132'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ral body 110',
A right connector 141'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ral body 110', and a plurality of second-first photographing bodies 143'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connector 141'; , a plurality of second-second photographing bodies 144'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ight connector 141' and installed to be reversed from the second-first photographing body 143', and the right connector ( 141') and a second monitoring part 140' including a second fluid 142'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ral body 110' through the medium;
An upper connector 151' installed above the central body 110', and a plurality of 3-1 photographing bodies 153'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upper connector 151'; , a plurality of 3-2 photographing bodies 154'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connector 151' and installed to be reversed from the 3-1 photographing body 153', and the upper connector ( 151 ') and includes a third monitoring part 150' including a third fluid 152'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body 110',
The left connecting body 131 'is the central body 110', the first intrusion operation of entering or exposing to the outside is performed,
The right connecting body 141 'is the central body 110', the inside of the inside or exposed to the outside, the second appearance and exit operation is performed,
The upper connection body 151 ′ is subjected to a third intrusion operation that enters into the inside of the central body 110 ′ o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1-1 photographing body 133' to the 3-2 photographing body 154' are,
It can be stored so as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central body 110 ′ and protected from the outside based on the first appearance and withdrawal operation to the third appearance and withdrawal operation,
The situation monitoring unit,
Among the first-first photographing body 133' to the third-second photographing body 154', the first-first photographing body 133' and the first-second photographing object 134' are the A first operation mode for performing photographing by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entral body 110';
Among the first-first photographing body 133' to the third-second photographing body 154', the second-first photographing body 143' and the second-second photographing object 144' are the A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by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entral body 110';
The 3-1 photographing body 153' and the 3-2 photographing body 154' among the 1 - 1 photographing body 133' to the 3-2 photographing object 154' are the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the thir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by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entral body 110',
The situation monitoring unit is
The drone further comprising a complex management module for fixing the support and performing pollution control operations for the first monitoring parts 130 ′, the second monitoring parts 140 ′, and the third monitoring parts 150 ′. And a method of provid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improved the precision of drawing using images for aerial survey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6490A KR102400256B1 (en) | 2021-10-14 | 2021-10-14 | Providing method for spatial imag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6490A KR102400256B1 (en) | 2021-10-14 | 2021-10-14 | Providing method for spatial imag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0256B1 true KR102400256B1 (en) | 2022-05-23 |
Family
ID=8180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6490A KR102400256B1 (en) | 2021-10-14 | 2021-10-14 | Providing method for spatial imag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0256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1476B1 (en) * | 2023-04-10 | 2023-07-31 | 주식회사포앤텍 |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digitally maps captured video images |
KR102568099B1 (en) * | 2023-03-27 | 2023-08-18 | 주식회사포앤텍 | Digital map correction system with improved precision based on GIS |
KR102590779B1 (en) * | 2023-04-10 | 2023-10-19 | 주식회사포앤텍 | Digital map drawing system for ultra-precision digital map production |
KR102590778B1 (en) * | 2023-03-27 | 2023-10-19 | 주식회사포앤텍 | Numerical map update system according to reference points |
KR102592181B1 (en) * | 2023-01-09 | 2023-10-20 | (주)동광지엔티 | Numerical map update system for improving accuracy of refrence point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11921A (en) * | 2016-03-30 | 2017-10-12 | 팅크웨어(주)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unmanned air vehicle |
KR101901673B1 (en) * | 2018-06-01 | 2018-09-28 | 삼아항업(주) | A spatial image-drawing system that visualizes the image of the target terrain |
KR102221348B1 (en) * | 2020-11-30 | 2021-03-02 | 제일항업(주) | Digital map making system) |
KR102246548B1 (en) * | 2020-12-11 | 2021-05-03 |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 A spatial image-drawing system for visualizing image by feature |
KR102307616B1 (en) * | 2021-07-02 | 2021-10-05 | 주식회사 지오앤 | 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image pictured by drone and vehicle |
KR102309193B1 (en) | 2020-09-14 | 2021-10-06 | 김은경 | A spatial image-drawing system that maps chang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reference points |
-
2021
- 2021-10-14 KR KR1020210136490A patent/KR10240025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11921A (en) * | 2016-03-30 | 2017-10-12 | 팅크웨어(주)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unmanned air vehicle |
KR101901673B1 (en) * | 2018-06-01 | 2018-09-28 | 삼아항업(주) | A spatial image-drawing system that visualizes the image of the target terrain |
KR102309193B1 (en) | 2020-09-14 | 2021-10-06 | 김은경 | A spatial image-drawing system that maps chang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reference points |
KR102221348B1 (en) * | 2020-11-30 | 2021-03-02 | 제일항업(주) | Digital map making system) |
KR102246548B1 (en) * | 2020-12-11 | 2021-05-03 |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 A spatial image-drawing system for visualizing image by feature |
KR102307616B1 (en) * | 2021-07-02 | 2021-10-05 | 주식회사 지오앤 | 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image pictured by drone and vehicl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2181B1 (en) * | 2023-01-09 | 2023-10-20 | (주)동광지엔티 | Numerical map update system for improving accuracy of refrence points |
KR102568099B1 (en) * | 2023-03-27 | 2023-08-18 | 주식회사포앤텍 | Digital map correction system with improved precision based on GIS |
KR102590778B1 (en) * | 2023-03-27 | 2023-10-19 | 주식회사포앤텍 | Numerical map update system according to reference points |
KR102561476B1 (en) * | 2023-04-10 | 2023-07-31 | 주식회사포앤텍 |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digitally maps captured video images |
KR102590779B1 (en) * | 2023-04-10 | 2023-10-19 | 주식회사포앤텍 | Digital map drawing system for ultra-precision digital map produ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00256B1 (en) | Providing method for spatial imaging system | |
KR102246548B1 (en) | A spatial image-drawing system for visualizing image by feature | |
KR101846519B1 (en) | Compensation System for Spatial Image Dissipation of Setting the base point of the feature | |
KR101835516B1 (en) | A spatial image-drawing system for visualizing image by feature | |
EP3702731A1 (en) | Method for configuring navigation chart, obstacle avoidance method and device, terminal, unmanned aerial vehicle | |
CN109460066B (en) | Virtual reality system for an aircraft | |
KR101815260B1 (en) | Spatial image-drawing system applying reference point location and topographic information | |
KR101815261B1 (en) | Space image drawing system for upgrade of digital map based on aerial shooting video | |
KR101929846B1 (en) | Photoflight device for acquiring precise image using gps and ins | |
JP5767731B1 (en) | Aerial video distribution system and aerial video distribution method | |
EP2772725B1 (en) | Aerial Photographing System | |
US6933965B2 (en) | Panoramic aerial imaging device | |
US9883348B1 (en) | Indoor navigation and orientation determination system | |
KR102174827B1 (en) | Photoflight system for acquiring precise image using gps and ins | |
CN109196305A (en) | monitoring method, monitoring system and program | |
KR101893078B1 (en) | 3D Image Drawing System for Processing Measured Numerical Data | |
KR101830901B1 (en) | Spatial Image Renewal System for Real-Time Editing with Feature Changes | |
KR102246549B1 (en) |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by the Precision Aerial Work Image | |
CN107405527A (en) | Unmanned vehicle with detachable computing device | |
KR102035044B1 (en) | Image processing system having function of distortion image correction | |
WO2018193574A1 (en) | Flight path gener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light path generation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KR102334839B1 (en) | Image map making system | |
KR101816213B1 (en) | Image Space Mapping System with Geographic Information Change | |
CA3032939A1 (en) | Law enforcement drone | |
CN212206068U (en) | Low-altitude unmanned aerial vehicle photogrammetr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