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048B1 -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 - Google Patents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048B1
KR102399048B1 KR1020210186925A KR20210186925A KR102399048B1 KR 102399048 B1 KR102399048 B1 KR 102399048B1 KR 1020210186925 A KR1020210186925 A KR 1020210186925A KR 20210186925 A KR20210186925 A KR 20210186925A KR 102399048 B1 KR102399048 B1 KR 10239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unlocking
wedge
slid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석훈
김정한
Original Assignee
권석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석훈 filed Critical 권석훈
Priority to KR1020210186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1Ground anchors driven by scre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연선에 앵커방향으로 소정의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앵커의 웨지가 언록킹되어 강연선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THE REMOVABLE ANCHOR FOR THE GROUND REINFORCEMENT CONSTRUCTION}
이 건 발명은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연선에 앵커방향으로 소정의 가압력이 작용됨과 동시에 앵커의 웨지가 언록킹되어 강연선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개면의 붕괴방지 및 사면안정, 빌딩 또는 댐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지하수에 의한 부상방지, 대형 건물의 지하층 토목 공사시 굴착벽면의 붕괴방지 등에 사용되며, 지진 발생지 등의 건축물이나 대형 철탑 시공시 구축물의 이동이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가 사용된다.
앵커는 소요응력을 발휘하는 정착부, 정착부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전달하는 자유부 및 소요응력이 구조체에 작용되도록 하는 고정구로 구비된 것으로서, 정착부는 지반과 그라우트, 그라우트와 인장재의 부착저항에 의해 결정되고, 자유부는 주로 다수의 강선이 꼬여있는 와이어 로프가 피복된 인장재로 구비된다.
앵커는 목적에 따라 영구식 앵커와 제거식 앵커로 구분되고, 제거식 앵커는 가설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시공 후 지중에서 제거되는 것이며, 가설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지중에 매설된 앵커를 그대로 방치하면 환경오염, 자재의 낭비를 초래할 뿐 아니라, 도심지에서의 건축물 공사시 인접 대지의 침범에 따른 분쟁, 앵커가 설치된 대지의 지중 공사시 장애물로의 작용 등 많은 문제점을 초래함으로써, 이를 제거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앵커의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2329997호(2021.11.18.)의 제거식 앵커의 정착헤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정착헤드는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들의 관계를 통해 강선을 누르면서 회전시킴으로써 강선의 락킹상태와 언락상태를 번갈아 이루어지게 구비됨으로써, 시공과정에서 강선에 충격이나 회전이 가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강선이 분리되지 않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락킹상태를 유지되도록 하였으나, 구성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하여 생산성이 낮아지는 가운데 비용이 증가되고,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329997호(2021.11.18.)
이 건 발명은 강연선에 결합된 앵커가 지반에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도록 한 후 그라우트가 주입 경화되어 지반이 보강된 상태에서 앵커의 웨지에 록킹된 상태로 있는 강연선에 외부로부터 앵커방향으로 소정의 가압력이 작용되어 웨지가 언록킹됨으로써, 앵커로부터 강연선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지반의 천공홀에 삽입되며, 그라우트가 주입 경화되어 지반이 보강된 후 외부로 분리 제거되게 구비된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A)에 있어서, 상기 제거식 앵커(A)는 앵커 몸체(10)의 상부로 결합된 앵커 헤드(20)에 강연선(ST)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관통되게 삽입되어지고, 상기 강연선(ST)이 물려 고정되어지게 웨지(30)가 상기 앵커 헤드(2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삽입되어지고, 상기 웨지(30)의 하부에 언록킹 슬라이더(4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는 앵커 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 캡(50)에 록킹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 몸체(1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부 내주면에 상기 앵커 헤드(20)의 하부가 나사결합되는 상부 암나사부(110)가 구비되어지고, 하부 내주면에 상기 앵커 캡(50)의 상부가 나사결합되는 하부 암나사부(1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 헤드(20)는 상부에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 결합 가이드(220)가 구비되어지고, 하부 외주면에 상기 앵커 몸체(10)의 상부 암나사부(110)가 나사결합되는 숫나사부(21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호스 결합 가이드(220)는 앵커 헤드(2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관통홀(221)이 연장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관통홀(221)의 하부에 원뿔통의 형태를 갖는 웨지 가압홈부(2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지(30)는 3개로 분할된 분할 웨지 부재(310)로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분할 웨지 부재(310)는 내주연부에 일방향의 요철 가압부(311)가 구비되어 강연선(ST)의 표면에 가압되게 구비되어지고, 외주연부에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 웨지 가압철부(312)가 구비되며, 하부의 내주연부에 요부형 걸림단턱(320)이 구비되어 언록킹 슬라이더(40)에 구비된 철부형 걸림단턱(420)에 걸려지게 구비되고, 상기 웨지 가압 철부(312)의 하부 외주연부에 링삽입홈(330)이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링삽입홈(330)에 링(340)이 끼워져 상기 웨지(30)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는 원기둥 형태를 갖는 슬라이더 몸체(410)의 상부 중앙에 링형태를 갖는 철부형 걸림단턱(420)이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걸림단턱(420)의 중앙에 하부를 향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강연선 삽입홈(421)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더 몸체(410)의 하부 중앙에 제1언록킹부(430)가 구비되어 상기 앵커 캡(50)에 구비된 제2언록킹부(531)에 억지끼워맞춤으로 끼워져 록킹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몸체(410)의 제1언록킹부(430)는 원통형태를 갖는 제1언록킹 끼움부(431)의 하부로부터 소정 깊이를 갖는 내주연부에 제1언록킹홈부(43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 캡(50)은 원기둥 형태를 갖는 보강부재(510)의 상부 외주면에 캡 숫나사부(520)가 구비되어 상기 앵커 몸체(10)의 하부 내주면에 구비된 하부 암나사부(120)에 나사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캡 숫나사부(520)의 상부 중앙에는 제2언록킹부(531)에 구비되어지되,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의 제1언록킹 홈부(432)가 상기 앵커 캡(50)의 제2언록킹부(531)에 가압되어 억지끼워맞춤으로 끼워져 록킹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언록킹 홈부(432)는 상기 제1언록킹 끼움부(431)의 하부 내주연부에서 하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수평되는 형태를 갖는 제1웹부(43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웹부(432-1)의 단부에 수직되는 형태를 갖는 제1플랜지부(432-2)가 상부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제1플랜지부(432-2)의 상부에 내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제1경사웹부(432-3)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 캡(50)의 제2언록킹부(531)는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의 제1언록킹 홈부(432)에 대응되어지도록 하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수평되는 형태를 갖는 제2웹부(531-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웹부(531-1)의 단부에 수직되는 형태를 갖는 제2플랜지부((531-2)가 상부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제2플랜지부(531-2)의 상부에 내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제2경사웹부(531-3)로 구비되어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의 제1언록킹 홈부(432)가 상기 앵커 캡(50)의 제2언록킹부(531)에 가압되어 억지끼워맞춤으로 끼워져 록킹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8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의 슬라이더 몸체(410)의 제1언록킹부(430)는 원기둥의 하단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철부링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앵커 캡(50)의 제3언록킹부(532)는 원통형태를 갖는 내주연부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요부링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건 발명은 강연선에 앵커방향으로 소정의 가압력이 작용됨과 동시에 강연선의 단부에 구비된 언록킹 슬라이더의 하부가 보강부재의 상단에 끼워짐으로써, 언록킹 슬라이더의 상부에 구비된 강연선을 가압시키고 있던 웨지의 가압력이 해제되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언록킹 슬라이더의 하부가 보강부재의 상단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요부와 철부형태를 갖는 언록킹부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강연선을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강연선의 표면에 웨지의 내측면이 다시 맞대어져 록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보강부재의 상단에 구비된 제2언록킹부의 상부측 모서리가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언록킹 슬라이더의 하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일정량 이상의 가압력만으로도 충분하게 언록킹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앵커 몸체에 보강부재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평상시 언록킹 슬라이더와 웨지가 앵커 몸체의 상부측으로 가압되도록 하여 웨지가 강연선의 표면에 가압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작업 과정에서 강연선이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를 분리하여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를 분리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에 있어 강연선이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에 있어 강연선이 언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8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를 분리하여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를 분리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에 있어 강연선이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에 있어 강연선이 언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A)는 지반의 천공홀(H)에 삽입되며, 그라우트(G)가 주입 경화되어 지반(E)이 보강된 후 외부로 분리 제거되게 구비된 것으로, 강연선(ST)에 앵커방향으로 소정의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앵커의 웨지(30)가 언록킹되도록 하고, 앵커의 앵커 웨지(30)가 언록킹된 상태에서 다시 록킹되는 것을 방지하여 강연선(ST)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언록킹에 소요되는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언록킹 작동의 신뢰성도 높일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거식 앵커(A)는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몸체(10), 앵커 헤드(20), 웨지(30), 언록킹 슬라이더(40) 및 앵커 캡(50)이 포함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앵커 몸체(1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앵커 헤드(20)와 앵커 캡(50)이 결합되도록 하는 가운데 내부로 제공되는 공간에 웨지(30)와 언록킹 슬라이더(40)가 구비되어 천공홀(H)의 내부로 주입되는 그라우트(G)의 일부가 앵커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웨지(30)와 언록킹 슬라이더(40)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앵커 몸체(10)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태를 갖는 상부에 상기 앵커 헤드(20)와 나사결합되는 상부 암나사부(110)가 소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하부에 상기 앵커 캡(50)이 나사결합되는 하부 암나사부(120)가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부 암나사부(110)와 하부 암나사부(120)는 왼나사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강연선(ST)이 삽입된 호스(HS)를 천공홀(H)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별도의 전동 공구를 이용하여 호스(HS)를 천공홀(H)에 삽입할 경우,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오른나사일 경우 앵커 몸체(10), 앵커 헤드(20) 및 보강부재(510)가 풀려지게 되지만, 왼나사일 경우 더 잠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앵커 헤드(20)는 그라우팅액이 앵커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강연선(ST)이 앵커 몸체(10)의 내부에서 웨지(30)에 의하여 조여져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하부측 외주연부에 상기 앵커 몸체(10)의 상부 암나사부(110)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부(210)를 가지며, 상부에 강연선(ST)이 그라우트(G)에 매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호스(HS)가 결합되는 호스 결합 가이드(2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호스 결합 가이드(220)는 앵커 헤드(2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관통홀(221)이 연장되게 구비되어 호스(HS)의 단부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게 구비되는 가운데 호스(HS)의 내부를 관통한 강연선(ST)이 앵커 몸체(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관통홀(221)의 하부에는 원뿔통의 형태를 갖는 웨지 가압홈부(23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웨지(30)가 강연선(ST)의 표면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강연선(ST)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인장력에 의하여 외부로 당겨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웨지(30)가 강연선(ST)의 표면에 가압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웨지(30)는 강연선(ST)이 앵커 몸체(10)의 내부에서 앵커 헤드(20)를 경유하여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강연선(ST)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비례하여 강연선(ST)이 조여지게 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웨지(30)는 3개로 분할된 분할 웨지 부재(310)로 구비된다.
상기 분할 웨지 부재(310)는 내주연부에 일방향의 요철 가압부(311)가 구비되어 강연선(ST)의 표면에 가압되는 과정에서 역방향으로 미끄러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외주연부에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 웨지 가압철부(312)가 구비되어 앵커 헤드(20)의 웨지 가압홈부(230)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분할 웨지 부재(310)의 하부측 내주연부에는 요부형 걸림단턱(320)이 구비되어 언록킹 슬라이더(40)에 구비된 철부형 걸림단턱(420)에 걸려지게 구비되어 언록킹 슬라이더(4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웨지 가압 철부(312)의 하부 외주연부에 링삽입홈(330)이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링삽입홈(330)에 링(340)이 끼워져 하나의 원뿔형태를 갖는 웨지(30)로 구비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는 3개로 분활된 형태를 갖는 각각의 분할 웨지 부재(310)가 하나의 원뿔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강연선(ST)에 압축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상기 웨지(30)를 앵커 캡(50)이 있는 부분을 향하여 끌어 내리는 기능이 제공되어 강연선(ST)의 표면에 작용하던 웨지(30)의 조임력이 해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이해,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는 원기둥 형태를 갖는 슬라이더 몸체(410)의 상부 중앙에 링형태를 갖는 철부형 걸림단턱(420)이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웨지(30)에 형성된 요부형 걸림단턱(320)이 걸려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걸림단턱(420)의 중앙에 하부를 향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강연선 삽입홈(421)이 구비되어 호스(HS)와 앵커 헤드(20)를 관통한 강연선(ST)의 하부가 소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 몸체(410)의 하부 중앙에는 제1언록킹부(430)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상기 앵커 캡(50)에 구비된 제2언록킹부(531)에 억지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가 상부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록킹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언록킹부(430)는 원통형태를 갖는 제1언록킹 끼움부(431)의 하부로부터 소정 깊이를 갖는 내주연부에 제1언록킹홈부(43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언록킹 홈부(432)는 제1언록킹 끼움부(431)의 내주연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수평되는 형태를 갖는 제1웹부(43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웹부(432-1)의 단부에 수직되는 형태를 갖는 제1플랜지부(432-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1플랜지부(432-2)의 상부에 내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제1경사웹부(432-3)로 구비되어 상기 제2언록킹부(531)가 억지끼워맞춤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역방향을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강연선(ST)을 앵커 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웨지(30)에 의하여 다시 록킹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앵커 캡(50)은 평상시 웨지(30)가 구비된 언록킹 슬라이더(40)가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천공홀(H)로 주입된 그라우트(G)의 일부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언록킹 슬라이더(40)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다시 상부로 역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앵커 캡(50)은 원기둥 형태를 갖는 보강부재(510)의 상부에 상기 앵커 몸체(10)의 하부 내주면에 구비된 하부 암나사부(120)에 나사결합되는 캡 숫나사부(5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캡 숫나사부(520)의 상부 중앙에 상기 슬라이더 몸체(410)의 제1언록킹 홈부(432)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언록킹부(53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언록킹부(531)는 외측를 향하여 수평되는 형태를 갖는 제2웹부(531-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웹부(531-1)의 단부에 수직되는 형태를 갖는 제2플랜지부((531-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2플랜지부(531-2)의 상부에 내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제2경사웹부(531-3)로 구비됨으로써, 평상시 도6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경사플랜지부(532-3)의 중간부분이 슬라이더 몸체(410)의 하부에 구비된 제1언록킹 홈부(432)의 입구측에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제1언록킹 홈부(432)의 내부로 제2언록킹부(531)가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강연선(ST)에 축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가압력에 의하여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언록킹부(531)가 제1언록킹 홈부(432)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지는 과정에서 제2언록킹부(531)가 제1언록킹 홈부(432)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록킹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거식 앵커(A)는 앵커 몸체(10)의 상부로 결합된 앵커 헤드(20)에 강연선(ST)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관통되게 삽입되어지고, 앵커 몸체(10)의 내부로 삽입된 강연선(ST)은 앵커 헤드(2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삽입된 웨지(30)에 의하여 물려진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웨지(30)의 하부에 언록킹 슬라이더(40)가 결합되고,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는 강연선(ST)에 축방향의 하중이나 충격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앵커 몸체(10)의 하부로 밀려 이동됨과 동시에 앵커 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 캡(50)의 제2언록킹부(531)에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의 제1언록킹 홈부(432)가 록킹됨에 따라 웨지(30)의 조임력이 해제되어 강연선(ST)이 외부로 인출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고, 강연선(ST)을 쉽게 뽑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8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한편, 이 건 발명에서는 언록킹 슬라이더(40)에 홈부의 형태를 갖는 제1언록킹 홈부(432)가 구비되도록 하고, 앵커 캡(50)에 철부의 형태를 갖는 제2언록킹부(531)가 구비되도록 하여 끼워져 록킹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의 슬라이더 몸체(410)에 구비된 제1언록킹 홈부(432)는 원기둥의 하단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철부링의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앵커 캡(50)의 제3언록킹부(532)는 원통형태를 갖는 내주연부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요부링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어 록킹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모서리에는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하여 평상시 걸려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강연선(ST)에 축방향 하중이나 충격이 작용하게 될 경우,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앵커 몸체 20:앵커 헤드
30:웨지 40:언록킹 슬라이더
50:앵커 캡 110:상부 암나사부
120:하부 암나사부 210:숫나사부
220:호스 결합 가이드 221:관통홀
230:웨지 가압홈부 310:분할 웨지 부재
311:요철 가압부 312:웨지 가압철부
320:요부형 걸림단턱 330:링삽입홈
340:링 410:슬라이더 몸체
420:철부형 걸림단턱 421:강연선 삽입홈
430:제1언록킹부 431:제1언록킹 끼움부
432:제1언록킹 홈부 510:보강부재
520:캡 숫나사부 531:제2언록킹부

Claims (7)

  1. 지반의 천공홀에 삽입되며, 그라우트가 주입 경화되어 지반이 보강된 후 외부로 분리 제거되게 구비된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A)에 있어서,
    상기 제거식 앵커(A)는 앵커 몸체(10)의 상부로 결합된 앵커 헤드(20)에 강연선(ST)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관통되게 삽입되어지고, 상기 강연선(ST)이 물려 고정되어지게 웨지(30)가 상기 앵커 헤드(2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삽입되어지고, 상기 웨지(30)의 하부에 언록킹 슬라이더(4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는 앵커 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 캡(50)에 록킹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는 원기둥 형태를 갖는 슬라이더 몸체(410)의 상부 중앙에 링형태를 갖는 철부형 걸림단턱(420)이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걸림단턱(420)의 중앙에 하부를 향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강연선 삽입홈(421)이 구비되어지며, 상기 슬라이더 몸체(410)의 하부 중앙에 제1언록킹부(430)가 구비되고, 상기 상기 슬라이더 몸체(410)의 제1언록킹부(430)는 원통형태를 갖는 제1언록킹 끼움부(431)로 구비되고, 상기 제1언록킹 끼움부(431)의 내주연부에 하부로부터 소정 깊이를 갖는 제1언록킹 홈부(432)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제1언록킹 홈부(432)는 상기 제1언록킹 끼움부(431)의 하부 내주연부에서 하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수평되는 형태를 갖는 제1웹부(43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웹부(432-1)의 단부에 수직되는 형태를 갖는 제1플랜지부(432-2)가 상부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제1플랜지부(432-2)의 상부에 내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제1경사웹부(432-3)로 구비되고, 상기 앵커 캡(50)은 원기둥 형태를 갖는 보강부재(510)의 상부 외주면에 캡 숫나사부(520)가 구비되어 상기 앵커 몸체(10)의 하부 내주면에 구비된 하부 암나사부(120)에 나사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캡 숫나사부(520)의 상부 중앙에는 제2언록킹부(531)에 구비되어지되, 상기 앵커 캡(50)의 제2언록킹부(531)는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의 제1언록킹 홈부(432)에 대응되어지도록 하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수평되는 형태를 갖는 제2웹부(531-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웹부(531-1)의 단부에 수직되는 형태를 갖는 제2플랜지부(531-2)가 상부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제2플랜지부(531-2)의 상부에 내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제2경사웹부(531-3)로 구비되어, 상기 언록킹 슬라이더(40)의 제1언록킹 홈부(432)가 상기 앵커 캡(50)의 제2언록킹부(531)에 가압되어 억지끼워맞춤으로 끼워져 록킹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몸체(1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부 내주면에 상기 앵커 헤드(20)의 하부가 나사결합되는 상부 암나사부(110)가 구비되어지고, 하부 내주면에 상기 앵커 캡(50)의 상부가 나사결합되는 하부 암나사부(1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헤드(20)는 상부에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 결합 가이드(220)가 구비되어지고, 하부 외주면에 상기 앵커 몸체(10)의 상부 암나사부(110)가 나사결합되는 숫나사부(21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호스 결합 가이드(220)는 앵커 헤드(2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관통홀(221)이 연장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관통홀(221)의 하부에 원뿔통의 형태를 갖는 웨지 가압홈부(2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30)는
    3개로 분할된 분할 웨지 부재(310)로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분할 웨지 부재(310)는 내주연부에 일방향의 요철 가압부(311)가 구비되어 강연선(ST)의 표면에 가압되게 구비되어지고, 외주연부에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 웨지 가압철부(312)가 구비되며, 하부의 내주연부에 요부형 걸림단턱(320)이 구비되어 언록킹 슬라이더(40)에 구비된 철부형 걸림단턱(420)에 걸려지게 구비되고, 상기 웨지 가압 철부(312)의 하부 외주연부에 링삽입홈(330)이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링삽입홈(330)에 링(340)이 끼워져 상기 웨지(30)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86925A 2021-12-24 2021-12-24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 KR10239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925A KR102399048B1 (ko) 2021-12-24 2021-12-24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925A KR102399048B1 (ko) 2021-12-24 2021-12-24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048B1 true KR102399048B1 (ko) 2022-05-17

Family

ID=8179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925A KR102399048B1 (ko) 2021-12-24 2021-12-24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0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519Y1 (ko) * 2005-07-29 2005-10-12 김정한 인장부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0699015B1 (ko) * 2005-09-28 2007-03-23 김용만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장치
KR102329997B1 (ko) 2021-07-01 2021-11-23 주식회사 지인건설 제거식 앵커의 정착헤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519Y1 (ko) * 2005-07-29 2005-10-12 김정한 인장부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0699015B1 (ko) * 2005-09-28 2007-03-23 김용만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장치
KR102329997B1 (ko) 2021-07-01 2021-11-23 주식회사 지인건설 제거식 앵커의 정착헤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642B1 (ko) 사면보강공사용 앵커네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공법
KR101201829B1 (ko) 마이크로파일
KR20130095153A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CN210766754U (zh) 一种可回收预应力锚索锚杆支护结构
KR102399048B1 (ko) 지반보강 공사용 제거식 앵커
KR200462047Y1 (ko) 이형철근을 이용한 마이크로파일
KR200352267Y1 (ko) 배수와 보강기능을 동시에 갖는 소일네일링 사면보강구조
KR20060100790A (ko) 사면보강공사용 스크루 앵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1471487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KR200450097Y1 (ko) 비배수 비배토 어스앵커 천공드릴
KR100505329B1 (ko) 지반 보강용 텐션 네일공법
KR102076246B1 (ko) 원추형 비트 경사면에 음압을 형성하여 토사 및 물을 배출하는 방식을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
KR100696309B1 (ko)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
CN115182344A (zh) 一种基于岩土工程基坑用打桩设备
KR200308379Y1 (ko) 회수가 용이한 해체 제거식 네일 장치
KR101674811B1 (ko) 지하공간굴착 취약부 지반 보강방법
KR100799328B1 (ko) 제거식 네일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강철근 회수공법
RU72986U1 (ru) Свая
KR101083836B1 (ko) 제거식 어스 앵커
CN211368728U (zh) 一种可回收锚杆的基坑支护结构
KR100505330B1 (ko) 지반 보강용 텐션 네일
JP2017066836A (ja) 土留め壁用の芯材、及び、上側芯材の撤去方法
JP2008208597A (ja) 後施工アンカー工法
KR101076695B1 (ko) 그라운드 앵커체를 위한 인장재 호스의 방수재 고정용 지그 어셈블리
KR100612731B1 (ko) 제거형 앵커 겸용 록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