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864B1 -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접합 금형소재를 이용한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 - Google Patents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접합 금형소재를 이용한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864B1
KR102398864B1 KR1020200160702A KR20200160702A KR102398864B1 KR 102398864 B1 KR102398864 B1 KR 102398864B1 KR 1020200160702 A KR1020200160702 A KR 1020200160702A KR 20200160702 A KR20200160702 A KR 20200160702A KR 102398864 B1 KR102398864 B1 KR 102398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mold
mold material
heterojunction
chill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864B9 (ko
Inventor
신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테크
Priority to KR102020016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864B1/ko
Publication of KR10239886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86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4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rolling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14Machines with evacuated die cavity
    • B22D17/145Ve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01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extrusion or dra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접합 금형소재를 이용한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열간압연에 의해 금형공구강(SKD61종)과 구리합금(Cu-Be)을 이종접합하여, 물성이 우수한 칠 벤트 이종접합 소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금형공구강(SKD61종)내에 구리합금(Cu-Be)이 삽입설치된 조립체에 덮개가 겹침설치된 후, 열간압연에 의해 금형공구강(SKD61종)내에 구리합금(Cu-Be) 소재가 일체로 접합된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80)가 제조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접합 금형소재를 이용한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method of manufactruing dissimilar materials for chill vent and, chill vent comprising dissimilar material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접합 금형소재를 이용한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에 관한 것으로, 금형공구강(SKD61종)과 구리합금(Cu-Be)을 열간압연에 의해 일체로 접합하여, 우수한 전단강도 및 고상확산 접합부가 구비된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접합 금형소재를 이용한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에 관한 것이다.
다이캐스팅법은 금속을 주조하는 방법의 하나로, 금형에 형성된 캐비티(cavity) 내에 용융된 금속(용탕)을 고압으로 주입하여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생산하는 주조법이다. 다이캐스팅 제품은 제품의 치수 정밀도와 표면의 평활도가 우수하고 후가공 공정이 다른 주조방식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다량의 제품을 단시간 내에 제조하는 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다이캐스팅용 금형 장치는, 금속 용탕을 캐비티(cavity) 내에 압입할 때, 플래시(flash)라 불리우는 용탕의 취출(吹出)을 발생시키지 않고, 캐비티 내에 잔류하는 공기나 가스를 캐비티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칠 벤트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칠 벤트는 금형의 오버플로우에 연통되어 용탕과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요철 형상의 통로인 벤트 유출구를 통해 오버플로우로부터 유입되는 용탕의 흐름을 늦추면서 용탕을 냉각시켜 응고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칠 벤트는 다이 캐스팅용 금형과 동일하게 SKD61 강과 같은 재료로 제조되었으나, 상기 SKD61로 제조된 칠 벤트의 경우, 열전도도가 낮아 칠 벤트의 벤트 유출구를 형성하는 간격을 좁게 유지해야 하므로 가스 벤트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이캐스팅 과정에서 사출 압력을 높여 고압으로 주조하는 경우에 용탕이 응고되기 전에 높은 사출 압력으로 인해 용탕이 칠 벤트의 외부로 비산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우수한 구리-베릴륨(Cu-Be) 합금을 석출경화시켜서 칠 벤트를 제조하거나, 기존 금형소재인 금형공구강(SKD61)에 동 또는 동합금을 조립한 후, 폭발용접 접합 또는, 진공로내에서 지그에 의해 고정한 후 장시간 하중을 가하여 접합시키는 고상확산 접합 등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합방법은 이종접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접합계면에 다수의 기공결함이 분포되거나, 미접합부분이 다수 발생되어 불량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이종접합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칠 벤트는, 그 접합부위에 대한 전단강도가 10∼60㎫ 정도에 불과하여, 내구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SKD61 소재로 된 칠 벤트는 짧은 수명으로 인해 잦은 교체가 이루어지고, 알루미늄 용탕의 유출로 인한 제품 불량율이 증대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공기와 가스 및 알루미늄 용탕의 동시 유출현상이 발생되어, 작업환경을 열악하게 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271899(2000.08.2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299361(2001.06.08)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24500(2018.01.26)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87215(2015.01.22)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간압연에 의해 금형공구강(SKD61종)과 구리합금(Cu-Be)을 이종접합하여, 물성이 우수한 칠 벤트 이종접합 소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간압연에 의해 이종접합된 칠벤트용 이종접합 소재의 가공에 의해 제조된 다이캐스트용 칠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금형공구강(SKD61종)내에 구리합금(Cu-Be)이 삽입설치된 조립체에 덮개가 겹침설치된 후, 열간압연에 의해 금형공구강(SKD61종)내에 구리합금(Cu-Be) 소재가 일체로 접합된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80)가 제조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금형공구강(SKD61종)내에 구리합금(Cu-Be) 소재가 삽입되어 조립설치되고, 열간압연에 의해 금형공구강(SKD61종)내에 구리합금(Cu-Be) 소재가 일체로 접합되어 종래 이종접합방법에 비해 작업공정의 단순화 및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금형공구강(SKD61종)내에 구리합금(Cu-Be) 소재의 접합계면에,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되지 않아 전단강도 70㎫ 이상의 고강도 및,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금형공구강(SKD61종)내에 구리합금(Cu-Be)가 조립된 조립체에 연강 또는 스테인레스강(SUS304) 재질로 이루어진 덮개가 진공용접된 후 열간압연되도록 되어 있어, 열간압연 시, 조립체에 파손 또는 터짐 또는 손상이 발생되지 않고, 금형공구강(SKD61종)과 구리합금(Cu-Be) 간의 이종접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금형공구강(SKD61종)내에 구리합금(Cu-Be)가 이종접합된 소재에 의해 칠 벤트가 가공되도록 되어 있어, 열전도도가 우수한 구리합금(Cu-Be)에 의해, 다이캐스팅 과정에서 금형 캐비티 내부의 공기 및 반응가스의 효율적 제거와 동시에, 알루미늄 용탕의 빠른 응고로 인한 누출방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칠 벤트는 SKD61로 제조되는 칠 벤트보다 우수한 열전도 특성을 가지며, 전체가 베릴륨동합금으로 제작된 칠 벤트보다 제조 가격이 낮으면서도 동등한 특성을 구비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 벤트에 대한 사진 예시도
본 발명은, 금형공구강(SKD61종)내에 구리합금(Cu-Be)이 삽입설치된 조립체에 덮개가 겹침설치된 후, 열간압연에 의해 금형공구강(SKD61종)내에 구리합금(Cu-Be) 소재가 일체로 접합된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80)가 제조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80)는, 금형공구강(SKD61종)의 설치홈내에 조립설치된 구리합금(Cu-Be) 소재가 열간압연에 의해 금형공구강(SKD61종)과 일체로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금형공구강(SKD61종)을 제1금형소재(10)로, 구리합금(Cu-Be)을 제2금형소재(20)로 각각 지칭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1금형소재의 조립면에, 제2금형소재가 삽입설치되기 위한 설치홈(11)이 소정깊이로 가공되는 소재가공단계;
제1,2금형소재(10,20)가 알콜세척되는 세척단계;
세척단계 후, 제1금형소재의 설치홈(12)내로 제2금형소재(20)가 삽입되어 조립체(30)가 형성되는 조립단계;
덮개(40)의 양면에 이형제가 도포 및 건조되어 이형제층이 형성되는 이형제 도포단계;
조립체(30)에 덮개의 이형제층이 밀착되도록 덮개(40)가 설치되는 덮개 설치단계;
덮개(40) 상에 또다른 조립체(30`)가 겹침되어 덮개(40)를 중심으로 2개의 조립체가 대칭설치되는 조립체 적층단계;
덮개(40)와 2개의 조립체(30,30`)에 대한 테두리가 진공용접되어 압연대상체(50)가 형성되는 용접단계;
용접단계 후, 압연대상체(50)가 850℃∼950℃로 가열되고 압연롤에 의해 압연되는 열간압연단계;
열간압연단계 후, 2개의 조립체(30,30`)와 덮개(40)가 분리되는 분리단계;를 통해, 제1,2금형소재가 일체로 접합된 한 쌍의 칠 벤트용 이종접합 소재가 동시에 제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재가공단계는 제1금형소재의 조립면(11) 즉, 덮개가 조립설치되는 일면에 제2금형소재의 조립을 위한 설치홈(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홈(12)은 제1금형소재의 조립면 중앙에 위치하도록 가공되며, 설치홈의 깊이(D)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제1금형소재의 두께(T)에 대하여 약 0.2(T)∼0.5(T) 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홈의 깊이(D)는 설치홈내에 조립된 제2금형소재에 의해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칠 벤트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세척단계는 제1금형소재(10)와 제2금형소재(20) 간의 열간압연 접합을 위한 표면처리단계로, 알콜류, 바람직하게는 아세톤에 의해 제1,2금형소재가 각각 세척건조된다. 이때, 제1금형소재의 설치홈(12)에 대한 세척도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조립단계는, 세척이 완료된 제1금형소재의 설치홈(12)내로 제2금형소재(20)가 끼움조립된다. 이때, 제2금형소재의 표면(21)은, 제1금형소재의 조립면(11)과 동일평면상에 위치되거나, 제1금형소재의 조립면 보다 약 1㎜ 이하의 범위내에서 낮도록 즉, 제2금형소재의 표면이 설치홈내에 위치되도록 조립설치된다.
일 예로, 제2금형소재(20)는 제1금형소재의 조립면(11)에 대하여 표면(21)이 약 0∼1㎜의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제1금형소재의 조립면(11)과 제2금형소재의 표면(21)이 약 0∼0.5㎜의 높이차(d)를 구비하도록 제1금형소재의 설치홈내에 제2금형소재가 끼움설치되어 조립체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이형제 도포단계는, 덮개(40)에 이형제가 도포 및 건조되어 이형제층(41)이 형성된다.
상기 이형제는 열간압연 단계 후, 압연대상체에서 덮개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제외한 덮개의 나머지 부분에 모두 도포되어 이형제층을 형성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이형제는 덮개의 테두리(B) 둘레를 따라 약 10∼25㎝ 의 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도포되어 이형제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이형제는 2,000℃ 이상의 내열성을 구비하고, 스프레이 또는 롤러 도포에 의해 덮개의 일면에 피막이 형성되어지는 것이 사용된다. 일 예로 상기 이형제는 붕소 질화물(BN)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덮개(40)는 열간압연단계 시, 압연대상체(50)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 고온가열과 압연 및 냉각으로 인한 제1,2금형소재의 손상(또는 크랙 등의 파괴) 및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 및, 고온가열과 압연시, 제1,2금형소재간의 소성변형량 차이를 최소화하여, 제1금형소재와 제2금형소재간의 양호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덮개는 제1금형소재와의 전자빔용접시 용접크랙이 발생되지 않고, 열간압연에 의해 제1,2금형소재간 접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연강 또는 스테인레스강(SUS304)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된다.
즉, 덮개를 제1금형소재와 동일한 재질(SKD61)로 하여 전자빔용접할 경우, 담금질효과가 큰 재질특성으로 인하여 용접크랙이 발생되나, 연강 또는 스테인레스강(SUS304) 재질의 경우 낮은 탄소량을 구비하고 있어, 용접크랙 발생이 현저하게 저감되며, 이로 인해 압연에 의한 제1,2금형소재간 접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는 그 두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제1금형소재와의 전자빔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5㎜ 이상의 것이 사용되며, 열간압연에 의한 접합을 고려할 경우, 약 5㎜∼20㎜의 두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 설치단계는, 제2금형소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조립체(30)의 조립면 상에 덮개가 겸침설치된다. 즉, 상기 덮개(40)는 제1금형소재의 조립면과 제2금형소재의 표면에 겸침설치된다.
상기 조립체 적층단계는, 덮개(40)를 중심으로 조립체(30)에 대칭되어지도록 덮개(40) 상에 또다른 조립체(30`)가 겹침 조립된다. 즉, 덮개(40)를 중심으로 2개의 조립체(30,30`)가 상호 대칭되어지는 구조로 겹침조립된다.
상기 용접단계는, 2개의 조립체(30,30`)와 덮개(40)가 진공용접에 의해 일체화되어 압연대상체(50)가 형성되는 단계로, 압연대상체(50)의 내부 즉, 조립체(30)와 덮개(40) 사이가 진공패킹되어지게 된다.
상기 용접단계는 전자빔 용접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용접단계는 조립체(30,30`)에 덮개(40)가 겹침 적층된 후, 이형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덮개의 테두리(B)가 전자빔에 의해 조립체(30,30`)에 가접 된 후, 덮개(40)와 조립체(30,30`)의 전체 둘레가 전자빔에 의해 본용접되어 조립체(30,30`)와 덮개(40)가 일체화된 압연대상체(50)가 제조된다.
이때, 압연대상체(50)의 내부는 진공상태가 유지되며, 이와 같은 진공용접에 의한 진공상태유지는 열간압연시, 제1금형소재(10)와 제2금형소재(20)의 접합부위에 대한 산화발생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접합부위에 대한 품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조립체(30,30`) 사이에 덮개(40)가 배치된 상태에서 전자빔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조립체(30)에 덮개(40)가 배치된 후 전자빔용접이 이루어지고, 또다른 조립체(30`)가 덮개(40)상에 조립설치된 후 전자빔 용접되어 압연대상체가 이루어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열간압연단계는 압연대상체(50)가 고온가열되는 가열단계; 가열단계후 압연 롤에 의해 압연대상체(50)에 대한 압연이 실행되는 압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는, 압연대상체(50)가 가열로에서 850℃∼950℃로 가열되는 단계로, 인치 당 약 1∼3시간 가열상태가 유지되도록 가열된다.
상기 압연단계는, 압연롤(도시없음)에 의해 가열된 압연대상체(50)를 압연하여, 제1금형소재(10)와 제2금형소재(20)를 접합시키는 단계로, 압하율 20∼50%, 압연속도 약 30∼60m/min, 바람직하게는 약 40∼50m/min 으로 가열된 압연대상체가 압연된다.
상기와 같은 열간압연조건은 제1,2금형소재의 접합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할 뿐 아니라, 제조된 칠 벤트용 이종접합 소재의 물리적 성질(전단강도 70㎫ 이상, 열전도율 70W/(m·K))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열간압연조건(가열온도, 가열시간, 압하율, 압연속도)를 벗어날 경우, 제1,2금형소재간에 미접합현상이 발생되거나, 제조된 칠 벤트용 이종접합 소재의 물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가열단계와 압연단계는 연속하여 이루어진다. 즉, 가열단계 후, 가열로에서 취출된 압연대상체가 파일롯 압연기내로 장입되어 압연롤에 의해 압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열간압연단계는 압연단계 후, 압연대상체의 표면이 냉각되는 냉각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압연대상체(50)는 전자빔용접에 의해 조립체(30,30`)와 덮개(40)가 일체화되어 있어, 표면에 대한 직접적인 냉각 일예로 수냉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수냉작업에 의해 제1,2금형의 접합부위에 대한 균열발생 없이, 제1,2금형소재의 경도가 향상되어지는 효과를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리단계는 열간압연단계 후, 압연대상체(50)에서 덮개(40)가 분리되어, 최종적으로 2개의 칠 벤트용 이종접합 소재(80)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1금형소재(금형공구강(SKD61종))와 제2금형소재(구리합금(Cu-Be))가 일체로 접합된 칠 벤트용 이종접합 소재는 NC 가공(NC 황삭가공후 열처리 단계를 통하여 금형강과 Cu-Be의 요구 경도를 확보하게 되며, 열처리 조건은 900℃에서 3시간 가열유지 후 상온의 오일에 담금질 한 다음, 350℃의 뜨임로에서 1∼2시간 유지 후 공랭의 열처리 단계를 거쳐 최종 열처리됨), 정삭 및 마무리 가공에 의해,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 벤트(100)로 제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100)는, 용탕이 직접 접촉되는 영역은 열전도도가 높은 제2금형소재(구리합금(Cu-Be))로 이루어지고, 다른 영역은 다이캐스트용 금형과 동일한 재질인 제1금형소재(금형공구강(SKD61종))로 이루어지게 된다.
실시예
금형공구강(SKD61, 250㎜×130㎜×80㎜)내에 설치홈내로 구리합금(CU-Be, 70㎜×60㎜×30㎜)이 조립된 2개의 조립체를 덮개(SUS 304,두께 5㎜)를 중심으로 상하대칭되도록 겹침설치 한 후, 전자빔 용접에 의해 2개의 조립체와 덮개가 일체화된 압연대상체를 형성하였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압연대상체를 아래 [표1]에 따라 열간압연(압연속도 약 45m/min)한 다음, 덮개를 제거하여 2개의 칠 벤트용 이종접합 소재를 동시에 제조하였다.
이때, 금형공구강(SKD61)과 구리합금(CU-Be)는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조립하였으며, 덮개에는 테두리 20㎜를 제외하고, 붕소 질화물(BN)에 의해 이형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칠 벤트용 이종접합 소재를 워터젯 절단작업하고, 워터젯으로 절단된 소재에 대하여 정밀 와이어 가공을 실시하여 전단시험 시편을 제작한 후, 이에 대한 전단시험(ASTM A264, 시험속도 20㎜/min)을 실시하였다.
[표1]
Figure 112020127414476-pat00001
위의 [표1]에서와 같이, 850℃ 이상, 압하율 20%이상일 경우, 전단강도가 70㎫ 이상을 구비하고, 압하율 30% 이상일 경우, 전단강도가 100㎫ 이상을 구비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제1금형소재
(20) : 제2금형소재
(30) : 조립체
(40) : 덮개
(50) : 압연대상체
(80) : 칠 벤트용 이종접합 소재
(100) : 다이캐스트용 칠 벤트

Claims (5)

  1. 삭제
  2. 제1금형소재(10)의 조립면에, 제2금형소재(20)가 삽입설치되기 위한 설치홈이 소정깊이로 가공되는 소재가공단계;
    제1,2금형소재가 알콜세척되는 세척단계;
    세척단계 후, 제1금형소재의 설치홈내로 제2금형소재가 삽입되어 조립체(30,30`)가 형성되는 조립단계;
    조립체(30)의 제1금형소재 조립면에 이형제가 도포 및 건조되어 이형제층이 형성되는 이형제 도포단계;
    2개의 조립체(30,30`)가 상호 대칭되어지도록 겹침설치되는 조립체 적층단계;
    조립체의 테두리가 진공용접되어 압연대상체(50)가 형성되는 용접단계;
    용접단계 후, 압연대상체(50)가 850℃∼950℃로 가열되고 압연롤에 의해 압연되는 열간압연단계;
    열간압연단계 후, 2개의 조립체(30,30`)가 분리되는 분리단계;를 통해, 제1,2금형소재가 일체로 접합된 한 쌍의 칠 벤트용 이종접합 소재가 동시에 제조되되,
    상기 제1금형소재는 금형공구강(SKD61종)이고, 제2금형소재는 구리합금(Cu-B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
  3. 청구항 2 에 있어서;
    덮개(40)는 연강 또는 스테인레스강(SUS304)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열간압연단계는 압연대상체(50)가 고온가열되는 가열단계; 가열단계후 압연 롤에 의해 압연대상체(50)에 대한 압연이 실행되는 압연단계를 포함하고,
    가열단계는, 압연대상체(50)가 850℃∼950℃의 온도로, 1인치당 1∼3시간 가열상태가 유지되도록 가열되며,
    압연단계는, 압하율 20∼50%, 압연속도 30∼60m/min로 압연로에 의해 압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가 가공되어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
KR1020200160702A 2020-11-26 2020-11-26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접합 금형소재를 이용한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 KR10239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702A KR102398864B1 (ko) 2020-11-26 2020-11-26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접합 금형소재를 이용한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702A KR102398864B1 (ko) 2020-11-26 2020-11-26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접합 금형소재를 이용한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864B1 true KR102398864B1 (ko) 2022-05-17
KR102398864B9 KR102398864B9 (ko) 2023-04-12

Family

ID=8179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702A KR102398864B1 (ko) 2020-11-26 2020-11-26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접합 금형소재를 이용한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86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572A (ja) * 1993-12-22 1995-07-18 Yamaki Kogyo Kk 異種金属複合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71899B1 (ko) 1997-03-12 2000-12-01 시바타 마사하루 칠벤트
KR100299361B1 (ko) 1997-11-20 2001-11-22 시바타 마사하루 칠벤트
KR101487215B1 (ko) 2014-12-02 2015-01-30 주식회사 오성테크 폭발용접을 이용한 다이캐스팅 금형의 냉각채널 이종접합방법과 이에 의해 형성된 다이캐스팅 금형
KR101824500B1 (ko) 2016-07-14 2018-02-01 이상길 다이캐스팅용 칠 벤트
KR20200072121A (ko) * 2018-12-12 2020-06-22 (주)삼기오토모티브 다이캐스팅 금형용 칠 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572A (ja) * 1993-12-22 1995-07-18 Yamaki Kogyo Kk 異種金属複合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71899B1 (ko) 1997-03-12 2000-12-01 시바타 마사하루 칠벤트
KR100299361B1 (ko) 1997-11-20 2001-11-22 시바타 마사하루 칠벤트
KR101487215B1 (ko) 2014-12-02 2015-01-30 주식회사 오성테크 폭발용접을 이용한 다이캐스팅 금형의 냉각채널 이종접합방법과 이에 의해 형성된 다이캐스팅 금형
KR101824500B1 (ko) 2016-07-14 2018-02-01 이상길 다이캐스팅용 칠 벤트
KR20200072121A (ko) * 2018-12-12 2020-06-22 (주)삼기오토모티브 다이캐스팅 금형용 칠 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864B9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9471A (ko)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코팅을 갖는 강재 용접 부품 및 그 준비 방법
CN110681973B (zh) 一种轧制复合板用复合坯的真空电子束封焊方法
JP4867789B2 (ja) 熱間スラブの表層部手入れ方法及び熱延鋼材の製造方法
US4446351A (en) Process for preparing a press die
KR102398864B1 (ko) 칠 벤트용 이종접합 금형소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접합 금형소재를 이용한 다이캐스트 금형용 칠벤트
US20040231391A1 (en) Method for extruding a profile or a similar billet from a bolt or bar and corresponding device
CN113118630A (zh) 差厚度激光拼焊板的制备方法
CN111644596A (zh) 预制螺旋水道的整体式水冷电机壳铸造方法
US2002229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composite metal articles
CN110643867A (zh) 铝合金板及汽车铝合金结构件精密加工工艺
JP7106170B2 (ja) 冷却手段が備えられるセンターピラー熱間成形金型の製造方法
KR102348528B1 (ko) 클래드강판의 제조방법
CN110153186A (zh) 高合金工模具钢空心管坯制备方法及高合金工模具钢空心管坯和管材与环形刀具
JP4023751B2 (ja) クラッド材の製造方法
CN114453504B (zh) 一种冲压模具的刃口制备方法
JP4815913B2 (ja) 厚鋼板の剪断割れ防止方法
KR102405037B1 (ko) 클래드강판의 제조방법
CN113145818B (zh) 一种提高结晶器使用寿命的冶炼制造生产工艺及装置
JP2006021218A (ja) 鋳片の溶削量決定方法
CN112643300B (zh) 一种金属固固复合增材制坯用热力耦合方法
JPS5817704B2 (ja) キンゾクセイシリンダノセイゾウホウホウ
RU180709U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заготовка для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и
JP2001179328A (ja) 押出用ダイス
Grigorenko et al. Autovacuum brazing in repair of copper panels of MCCB moulds
RU260258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онких полос из труднодеформируемых алюминий-литиевых сплав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