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324B1 -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324B1
KR102398324B1 KR1020200090701A KR20200090701A KR102398324B1 KR 102398324 B1 KR102398324 B1 KR 102398324B1 KR 1020200090701 A KR1020200090701 A KR 1020200090701A KR 20200090701 A KR20200090701 A KR 20200090701A KR 102398324 B1 KR102398324 B1 KR 102398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luid
network
strainer
filtr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2433A (ko
Inventor
함광식
김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티엘
Priority to KR102020009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3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01D29/641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구(111)와, 흡입구(111)로 흡입되어 여과영역(A)을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12)가 형성되고, 흡입구(111)와 토출구(112) 사이에 유체의 유로방향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홀(113)이 형성된 본체(110), 본체(110)의 결합홀(113)에 수직방향으로 인입 결합되어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다단의 여과망으로 형성되되, 전단부에 형성된 제1여과망(121)과, 제1여과망(121)에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원판의 제2여과망(122)과, 제2여과망(122) 사이 외주면에 측판으로 상호 엇갈려 적층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제3여과망(123)과, 제1여과망(121)과 제2여과망(122)과 제3여과망(123)의 외측에 결합되어 형상을 지지하는 가이드(124)와, 가이드(124)의 일측에 결합되어 본체(110)의 결합홀(113)에 수밀되도록 고정되는 결합판(125)과, 제1여과망(121)으로부터 결합판(125)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축(126)으로 구성되는, 여과망(120), 및 본체(110)의 결합홀(113)에 여과망(120)의 결합판(125)을 오링(131)을 개재하여 수밀하도록 고정하는 커버(130)를 포함하여, 여과망(120)의 교차 적층구조에 의해 유체와 접촉하는 여과면적을 확장시키도록 하는, 스트레이너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트레이너{STRAINER}
본 발명은 여과망의 교차 적층구조에 의해 여과구조를 개선하여 유체와 접촉하는 여과면적을 확장시키도록 하여서 유체 압력 및 유량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유체를 압송하는 유체펌프 또는 엔진쿨러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여 펌프와 쿨러와 임펠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과망을 구비한 스트레이너를 구비한다.
한편, 유체펌프의 입구측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유체펌프 또는 임펠러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데, 지속적인 스트레이너의 사용시, 주기적으로 마모되거나 손상된 스트레이너의 여과망을 교체하거나 여과망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예컨대, 여과망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이너의 커버와 본체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커버를 본체로부터 제거한 후 본체 내측으로부터 여과망을 분리하는데, 결합 해제시, 종래에는, 나비너트 또는 육각볼트에 의해 커버와 본체가 결합되어 이에 대응하는 렌치의 해제도구를 사용하게 되어, 별도의 연장없이는 여과망의 교체가 어렵고, 교체과정과 재조립과정이 번거로운 측면이 있다.
이에, 유체 압력 및 유량 손실없이, 여과망의 여과효율을 높이면서, 여과망의 분리 또는 교체없이도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3672호 (투명결합관이장치된펌프용스트레이너. 1999. 08. 16.)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8-0001378호 (부식방지기능을 갖는 해수용 여과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수냉각시스템. 2018. 05. 10.)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체 압력 및 유량 손실없이, 여과망의 여과효율을 높이면서, 여과망의 분리 또는 교체없이도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어 여과영역을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 상단면 일측에는 유체의 유로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원통 형상의 결합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결합홀에 수직방향으로 인입 결합되어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다단의 여과망으로 형성되되, 전단부에 형성된 제1여과망과, 상기 제1여과망에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원판의 제2여과망과, 상기 제2여과망 사이 외주면에 측판으로 상호 엇갈려 적층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제3여과망과, 상기 제1여과망과 상기 제2여과망과 상기 제3여과망의 외측에 결합되어 형상을 지지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결합홀에 수밀되도록 고정되는 결합판과, 상기 제1여과망으로부터 상기 결합판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여과망; 및 상기 본체의 결합홀에 상기 여과망의 결합판을 오링을 개재하여 수밀하도록 고정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여과망의 교차 적층구조에 의해 유체와 접촉하는 여과면적을 확장시키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여과망을 지지하는 상기 가이드의 전단부는 반구형상의 여과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이드는 상호 직교하여 결합하는 한쌍의 U자 형상의 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여과망은 상기 가이드프레임 내측에, 속이 비워진 반구형 또는 속이 비워진 반쪽 형상의 다각면체로 구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프레임 내측에 결합된 반원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여과망의 내측면과 상기 제3여과망의 내측면과 상기 제2여과망의 내외측면에 각각 접촉하여 세척하는 세척솔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솔을 지지하는 솔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세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종단에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노출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세척수단을 회전시켜 상기 여과망의 여과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거나 이물질의 크기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종단에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노출된 구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세척수단을 회전시켜 상기 여과망의 여과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거나 이물질의 크기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망은 ㄹ자 형상으로 교차하도록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여과망의 적층 형상에 상응하여 ㄹ자 형상으로 교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판 및 상기 커버는 투명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여과망의 여과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여과영역 하단에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하는 드레인홀이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망의 교차 적층구조에 의해 여과구조를 개선하여 유체와 접촉하는 여과면적을 확장시키도록 하여서 유체 압력 및 유량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세척솔의 회전에 의해 여과망의 분리없이 여과홀에 걸린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이 여과망에 부착되더라도 세척작업의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이너의 측면구조 및 정면구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스트레이너의 본체와 여과망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스트레이너의 여과망의 다양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스트레이너의 세척수단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이너는,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구(111)와, 흡입구(111)로 흡입되어 여과영역(A)을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12)가 형성되고, 흡입구(111)와 토출구(112) 사이에 유체의 유로방향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홀(113)이 형성된 본체(110), 본체(110)의 결합홀(113)에 수직방향으로 인입 결합되어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다단의 여과망으로 형성되되, 전단부에 형성된 제1여과망(121)과, 제1여과망(121)에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원판의 제2여과망(122)과, 제2여과망(122) 사이 외주면에 측판으로 상호 엇갈려 적층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제3여과망(123)과, 제1여과망(121)과 제2여과망(122)과 제3여과망(123)의 외측에 결합되어 형상을 지지하는 가이드(124)와, 가이드(124)의 일측에 결합되어 본체(110)의 결합홀(113)에 수밀되도록 고정되는 결합판(125)과, 제1여과망(121)으로부터 결합판(125)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축(126)으로 구성되는, 여과망(120), 및 본체(110)의 결합홀(113)에 여과망(120)의 결합판(125)을 오링(131)을 개재하여 수밀하도록 고정하는 커버(130)를 포함하여, 여과망(120)의 교차 적층구조에 의해 유체와 접촉하는 여과면적을 확장시키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스트레이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11)와, 타측에 관통 형성되고 흡입구(111)로 흡입되어 여과영역(A)을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12)가 형성되고, 흡입구(111)와 토출구(112) 사이 여과영역(A) 상단면 일측에는 유체의 유로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원통 형상의 결합홀(113)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홀(113)에는 여과망(120)이 삽입되어 여과영역(A)에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여과망(120)은 본체(110)의 결합홀(113)에 수직방향으로 인입 결합되어 여과영역(A)을 통과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회전축(126)을 따라 다단의 여과망으로 적층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망(120)은, 본체(110)의 여과영역(A)의 저면에 대향하는 전단부에 형성되어 흡입구(111)로부터 토출구(122)로의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여과하도록 타공된 제1여과망(121)과, 제1여과망(121)에 다단으로 이격되어 적층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도록 타공된 원판의 다수의 제2여과망(122)과, 제2여과망(122) 사이 외주면에 측판으로 결합하고, 측판 상호간 대향하도록 엇갈려 적층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도록 타공된 제3여과망(123)과, 제1여과망(121)과 제2여과망(122)과 제3여과망(123)의 외측에 결합되어 형상을 지지하는 가이드(124)와, 본체(110)의 결합홀(113) 상단에 대응하는 가이드(124)의 일측에 결합되어 본체(110)의 결합홀(113)에 수밀되도록 고정되는 결합판(125)과, 제1여과망(121)으로부터 제2여과망(122) 및 결합판(125)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축(12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여과망(121)의 외측을 지지하는 가이드(124)의 전단부는 반구형상의 여과영역(A)을 형성하도록 십자형상으로 상호 직교하여 결합하는 한쌍의 U자 형상의 가이드프레임(124a)으로 구성되어서, 제1여과망(121)과 제2여과망(122)과 제3여과망(123)의 형상을 지지하여 유체의 유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이도록 한다.
한편, 제1여과망(121)은 가이드프레임(124a) 내측에 결합 형성되는데, 속이 비워진 반구형(도 3 참조) 또는 속이 비워진 반쪽 형상의 다각면체로 구성되거나(도 4 참조), 어느 하나의 가이드프레임(124a)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반원판 형상으로 구성되어서(도 5 참조),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유체의 압력 및 유량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커버(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결합홀(113)에 여과망(120)의 결합판(125)을 오링(131)을 개재하여 수밀하도록 하고, 결합홀(113) 상단의 스커트(113a)와 스터드볼트 또는 헥스볼트에 의해 볼트체결하여 여과망(120)을 여과영역(A)에 고정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결합판(125) 및 커버(130)는 투명재질, 예컨대 고강도 아크릴재질로 구성되어서, 본체(110)로부터의 여과망(120)의 분리없이도 여과망(120)의 여과상태, 예컨대 여과망(120)의 손상, 변형 또는 막힘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세척수단(140)이 도시되어 있는데, 세척수단(140)은, 제1여과망(121)의 내측면과 제3여과망(123)의 내측면과 제2여과망(122)의 내외측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호형상 및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여과망(120)을 세척하는 세척솔(141)과, 회전축(126)에 결합되어 세척솔(141)을 지지하는 솔프레임(142)으로 구성되어, 세척솔(141)의 여과망(120)의 메쉬타입의 여과홀과의 물리적인 마찰에 의해, 여과망(120)의 여과홀로부터 여과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거나 이물질의 크기를 줄이도록 하여서 스트레이너 내측에 쌓여 여과홀을 막는 이물질의 제거작업을, 본체(110)로부터의 여과망(120)의 분리없이, 쉽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세척수단(140)은 스트레이너의 형상, 용량, 규격 또는 설치장소에 따라 수동으로 회전시키거나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시켜 여과망(120)의 세척을 보다 원활히 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축(126)의 종단에는 커버(130)를 관통하여 본체(110)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되고,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세척수단(140)을 회전시켜 여과망(120)의 여과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거나 이물질의 크기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회전축(126)의 종단에는 커버(130)를 관통하여 본체(110) 외부로 노출된 구동축이 결합되고, 구동축을 회전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세척수단(140)을 회전시켜 여과망(120)의 여과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거나 이물질의 크기를 줄이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여과망(120)은 전체적으로 제1여과망(121)과 제2여과망(122)과 제3여과망(123)이 ㄹ자 형상으로 교차하도록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고, 세척수단(140)은 여과망(120)의 다단 적층 형상에 상응하여 ㄹ자 형상으로 교차 형성되어서, 여과망(120)의 여과홀 전체면적에 의한 타공면적 또는 여과면적은, 흡입구(111)로부터 토출구(112)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로 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스트레이너가 장착된 라인의 전후단, 즉 본체(110)의 흡입구(111)로부터 토출구(112)로의 유로 전후단에서 유체 압력 또는 유량 손실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유체를 여과하면서 유체의 유속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여과효율을 향상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체(110)의 여과영역(A) 하단에는 흡입구(111)와 토출구(112) 사이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하는 드레인홀이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세척수단(140)에 의해서도 여과망(120)을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질을 드레인홀을 개방하여 외부배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스트레이너의 구성에 의해서, 여과망의 교차 적층구조에 의해 여과구조를 개선하여 유체와 접촉하는 여과면적을 확장시키도록 하여서 유체 압력 및 유량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세척솔의 회전에 의해 여과망의 분리없이 여과홀에 걸린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이 여과망에 부착되더라도 세척작업의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본체 111 : 흡입구
112 : 토출구 113 : 결합홀
120 : 여과망 121 : 제1여과망
122 : 제2여과망 123 : 제3여과망
124 : 가이드 125 : 결합판
126 : 회전축 130 : 커버
131 : 오링 140 : 세척수단
141 : 세척솔 142 : 솔프레임

Claims (9)

  1.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어 여과영역을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 상단면 일측에는 유체의 유로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원통 형상의 결합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결합홀에 수직방향으로 인입 결합되어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다단의 여과망으로 형성되되, 전단부에 형성된 제1여과망과, 상기 제1여과망에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원판의 제2여과망과, 상기 제2여과망 사이 외주면에 측판으로 상호 엇갈려 적층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제3여과망과, 상기 제1여과망과 상기 제2여과망과 상기 제3여과망의 외측에 결합되어 형상을 지지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결합홀에 수밀되도록 고정되는 결합판과, 상기 제1여과망으로부터 상기 결합판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여과망; 및
    상기 본체의 결합홀에 상기 여과망의 결합판을 오링을 개재하여 수밀하도록 고정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여과망의 교차 적층구조에 의해 유체와 접촉하는 여과면적을 확장시키는, 스트레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망을 지지하는 상기 가이드의 전단부는 반구형상의 여과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이드는 상호 직교하여 결합하는 한쌍의 U자 형상의 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망은 상기 가이드프레임 내측에, 속이 비워진 반구형 또는 속이 비워진 반쪽 형상의 다각면체로 구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프레임 내측에 결합된 반원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망의 내측면과 상기 제3여과망의 내측면과 상기 제2여과망의 내외측면에 각각 접촉하여 세척하는 세척솔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솔을 지지하는 솔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세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종단에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노출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세척수단을 회전시켜 상기 여과망의 여과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거나 이물질의 크기를 줄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종단에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노출된 구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세척수단을 회전시켜 상기 여과망의 여과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거나 이물질의 크기를 줄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은 ㄹ자 형상으로 교차하도록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여과망의 적층 형상에 상응하여 ㄹ자 형상으로 교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 및 상기 커버는 투명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여과망의 여과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여과영역 하단에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하는 드레인홀이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KR1020200090701A 2020-07-22 2020-07-22 스트레이너 KR102398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01A KR102398324B1 (ko) 2020-07-22 2020-07-22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01A KR102398324B1 (ko) 2020-07-22 2020-07-22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433A KR20220012433A (ko) 2022-02-04
KR102398324B1 true KR102398324B1 (ko) 2022-05-17

Family

ID=8026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701A KR102398324B1 (ko) 2020-07-22 2020-07-22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3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04B1 (ko) 2009-03-18 2009-07-09 아이펙이엔지 주식회사 플랜트용 t형 스트레이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994Y1 (ko) * 1985-10-16 1989-03-28 김철원 복층의 걸름통을 가진 선박용 여과기
KR19990033672A (ko) 1997-10-25 1999-05-15 윤종용 전자 렌지의 램프 고정 구조
KR102598485B1 (ko) 2016-06-27 2023-11-06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항산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04B1 (ko) 2009-03-18 2009-07-09 아이펙이엔지 주식회사 플랜트용 t형 스트레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433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31007B (zh) 过滤装置和滤芯
WO2016051824A1 (ja) 濾過装置
JP2007307465A (ja) 管内異物除去装置
KR102398324B1 (ko) 스트레이너
JP6343231B2 (ja) 濾過装置
JP5869623B2 (ja) ストレーナーアセンブリ
KR102405875B1 (ko) 스트레이너
CA2690217C (en) Fluid filter device with stacked plates and impellers
CN212079651U (zh) 一种带有过滤装置的轴流泵
RU2409409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включающее циркуляционную петлю и насос
US10343120B2 (en) Dynamic filtration technology
KR102105600B1 (ko) 이중사이클론 집진청소기
CN215939209U (zh) 一种转臂式高效自清洗过滤器
CN211676558U (zh) 新篮式过滤器
KR101561529B1 (ko)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CN211411245U (zh) 管道过滤器
EA028296B1 (ru) Способ фильтрования суспензии и плита с углублениями
CN202105551U (zh) 气液分离器
CN214781095U (zh) 一种工业污水用转鼓式微滤机
KR20070025918A (ko) 여과장치
KR101561412B1 (ko) 역 세척방식을 구비한 여과장치
CN220530918U (zh) 一种负压多联精密过滤器
CN212174525U (zh) 一种碟片式含油污水过滤装置
KR20190044401A (ko) 이물질 석션 가능한 유체용 필터장치
CN214299527U (zh) 一种工业废液滤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