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101B1 -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 - Google Patents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101B1
KR102398101B1 KR1020200019236A KR20200019236A KR102398101B1 KR 102398101 B1 KR102398101 B1 KR 102398101B1 KR 1020200019236 A KR1020200019236 A KR 1020200019236A KR 20200019236 A KR20200019236 A KR 20200019236A KR 102398101 B1 KR102398101 B1 KR 102398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ignition
friction
agent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4461A (ko
Inventor
문재화
Original Assignee
문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화 filed Critical 문재화
Priority to KR1020200019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10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A24F15/18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81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joined to the container, e.g. coins, pens, cards, spacers
    • B65D85/109Lighting means, e.g. matches or ligh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21/00Apparatus or methods for working-up explosives, e.g. forming, cutting, drying
    • C06B21/0008Compounding the ingredi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29/00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oxygen-halogen salt, e.g. chlorate, perchlorate
    • C06B29/02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oxygen-halogen salt, e.g. chlorate, perchlorate of an alkali metal
    • C06B29/12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oxygen-halogen salt, e.g. chlorate, perchlorate of an alkali metal with carbon or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CDETONATING OR PRIMING DEVICES; FUSES; CHEMICAL LIGHTERS; PYROPHORIC COMPOSITIONS
    • C06C15/00Pyrophoric compositions; Fl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FMATCHES; MANUFACTURE OF MATCHES
    • C06F3/00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matches
    • C06F3/08Strike-surface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domestic use
    • A24F15/08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domestic use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24F15/1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domestic use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gh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뱃갑에서 담배를 인출하는 순간 담배 하단에 불이 점화되어 담배 인출 후 별도로 담배 점화를 할 필요가 없는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 점화식 담뱃갑은 하단부에 발화연소제가 도포된 담배를 2열 이상 수용한 담뱃갑에 있어서, 상기 담뱃갑의 인출개구에 인접한 전후면 내벽에 상기 발화연소제와 마찰에 의하여 발화연소제를 발화시킬 수 있는 제1마찰발화제 물질을 수평 밴드 형상으로 마련하고, 상기 담뱃갑의 양측벽 사이에 상기 담뱃갑 전후면 내벽의 제1마찰발화제 물질의 높이에서 상기 2열 이상의 담배열 중간을 통과하고 상기 발화연소제와 마찰에 의하여 인화할 수 있는 제2마찰발화제 물질을 상기 양측벽에 의해 지지되게 수평 밴드 형상으로 마련하여, 담배 인출시 제1마찰발화제 물질 또는 제2마찰발화제의 높이를 손가락으로 압착하면서 담배를 인출하면, 담배의 발화연소제와 제1마찰발화제 물질 또는 제2마찰발화제 물질이 마찰을 일으켜 담배가 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CIGARETTE PACK WHICH CAN LIGHT CIGARETTE WHEN CIGARETTE IS DRAWN OUT THEREFROM}
본 발명은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담뱃갑에서 담배를 인출하는 순간 담배 하단에 불이 점화되어 담배 인출 후 별도로 담배 점화를 할 필요가 없는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담뱃갑에 성냥의 기능을 첨가하여 담배와 함께 라이터나 성냥을 휴대해야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어 왔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125732호,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021811호,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13381호,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015692호,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4-23901호,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6-9705호,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6-0000005호 등에는 담배의 끝에 점화물질을 바르고, 담뱃갑의 표면에 담배 끝의 점화물질과 마찰하여 발화를 일으킬 수 있는 마찰면을 인쇄하거나 부착하여, 사용자가 담뱃갑에서 담배를 꺼낸 후 성냥으로 성냥갑 표면에 마찰시키는 것처럼 담배 끝을 담뱃갑 표면의 마찰시켜 담배에 점화시키는 담배와 담뱃갑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담배와 담뱃갑은 안전성냥의 나뭇개비 끝에 코팅되는 발화연소제를 담배 끝에 코팅하고, 안전 성냥의 성냥갑에 코팅된 마찰면을 담뱃갑에 인쇄하거나 부착한 것이다.
그러나, 안전성냥의 발화연소재와 마찰면은 순간적으로 강한 마찰이 일어나지 않으면 점화되지 않는다. 또한, 발화할 정도의 마찰력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마찰면을 제공하는 성냥갑이 어느정도 표면 경도가 있어야 하고, 발화연소재가 코팅된 나뭇개비도 마찰과정에서 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가 있어야 한다.
얇은 종이로 가늘고 길게 말아 놓은 궐련담배는 측방향 강도가 매우 약하여 약간의 힘을 가하는 경우에도 쉽게 부러진다. 또한, 이들 담배를 수용한 담뱃갑은 얇은 종이로 만들어져 부드럽고 표면 경도가 매우 낮다. 따라서, 위의 종래 발명들에서 처럼, 담배 끝에 발화연소재를 바르고, 담뱃갑 표면에 마찰면을 형성한 후, 담배를 피울 때 흡연자가 담뱃갑에서 담배를 꺼낸 후, 담배 몸체를 잡고, 담배 끝을 담뱃갑 표면의 마찰면에 담배의 측방향으로 문질러 마찰을 일으키면 발화할 정도로 마찰력을 얻기 어렵고, 담배에 힘을 주어 마찰을 일으키면 담배가 부러지기 쉽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1620호에는, 끝부분에 인화물질이 도포된 담배를 담으며, 이 담배를 꺼내기 위해 뚜껑이 뒤로 젖혀지도록 상기 뚜껑이 제1측면절개선, 앞면절개선 및 제1접이선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접이선 부위에 상기 인화물질을 발화시키기 위한 마찰부가 형성된 담배곽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절개선의 인접한 아래쪽에 제2측면절개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접이선의 아래쪽에 상기 제2측면절개선을 연결하는 제2접이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접이선과 제2접이선이 2단으로 접혀져 상기 담배를 끼워 감쌀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에 감싸진 담배를 잡아당겨 불을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없이도 담배에 불을 붙일 수 있는 담배곽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1620호 고안은 마찰부를 담배곽과 뚜껑 사이 접이선 부근에 담배곽 표면과 뚜껑 표면에 걸쳐 형성하고, 이곳에 인화물질이 끝에 도포된 담배를 삽입하고, 담배를 잡아 빼면서 담배불을 붙이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뚜껑을 열고 담배를 꺼낸 후 담배를 담배곽과 뚜껑 사이에 넣고 뚜껑을 담배곽 방향으로 압착하여 담배 끝에 도포된 인화물질과 담배곽 표면과 뚜껑 표면에 걸쳐 형성된 마찰부에서 점화가 될 정도로 마찰이 일어나게 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어렵다. 담배곽의 뚜껑은 작은 상자 형상을 가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뚜껑이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담배를 뚜껑과 담배곽 사이에 넣어 잡고, 다른 손으로 뚜껑 및 담배곽을 동시에 눌르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매우 번거롭고, 압착을 하더라도 충분한 압착이 힘들어 마찰 불량으로 인해 담배 점화가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1620호 고안은 담배곽의 뚜껑을 손상하기 쉽고, 뚜껑이 없는 담배곽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125732호 (공개일자 : 2011.11.22)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021811호 (공개일자 : 1999.06.25)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13381호 (공개일자 : 1999.04.15)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015692호 (공개일자 : 1999.05.15)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4-23901호 (공개일자 : 1994.11.16)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6-9705호 (공개일자 : 1996.04.12)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6-0000005호 (공개일자 : 2006.10.27)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1620호 (등록일자 : 2012. 7. 1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라이터나 성냥 없이도 점화할 수 있는 담배 및 담뱃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담배가 담뱃갑에서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기 직전에 담배갓 내부에서 담배에 담배불이 점화될 수 있는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통상적으로 담배를 담뱃갑에서 꺼내는 동작과 같이, 사용자가 한손으로 담뱃갑을 잡고 다른 손으로 담배를 외부로 인출하는 동작만으로 담배에 담배불이 점화될 수 있는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담배를 담뱃갑에서 인출하는 동작만으로도 담배 하단에 도포된 발화연소제가 실패없이 점화할 수 있는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4과제는, 담배를 담뱃갑 내에 2열 이상으로 수용하여 포장한 경우에도, 담뱃갑에서 담배를 인출하는 동작만으로 담배를 실패없이 점화할 수 있는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5과제는, 담배의 손상이나 담뱃갑 뚜껑의 손상 없이 담배 인출시 담뱃갑 내에서 점화할 수 있는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하단부에 발화연소제가 도포된 담배를 2열 이상 수용한 담뱃갑에 있어서, 상기 담뱃갑의 인출개구에 인접한 전후면 내벽에 상기 발화연소제와 마찰에 의하여 발화연소제를 발화시킬 수 있는 제1마찰발화제 물질을 수평 밴드 형상으로 마련하고, 상기 담뱃갑의 양측벽 사이에 상기 담뱃갑 전후면 내벽의 제1마찰발화제 물질의 높이에서 상기 2열 이상의 담배열 중간을 통과하고 상기 발화연소제와 마찰에 의하여 인화할 수 있는 제2마찰발화제 물질을 상기 양측벽에 의해 지지되게 수평 밴드 형상으로 마련하여, 담배 인출시 제1마찰발화제 물질 또는 제2마찰발화제의 높이를 손가락으로 압착하면서 담배를 인출하면, 담배의 발화연소제와 제1마찰발화제 물질 또는 제2마찰발화제 물질이 마찰을 일으켜 담배가 점화되게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담배의 하단부에 도포되는 발화연소제는 황을 포함한 가연제와, 염소산칼륨을 포함하는 산화제와, 유리가루를 포함한 마찰제와 포리졸을 포함한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찰발화제 물질 및 제2마찰발화제 물질은 적린을 포함한 발화제와, 황화안티몬을 포함한 연소조제와, 유리가루를 포함한 마찰제와, 포리졸을 포함한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담배는 담배 하단으로부터 일정 구간의 직경을 축소되게 형성하고, 축소된 직경 표면에만 상기 발화연소제를 도포하여 발화연소제 도포 부분의 직경이 담배 본체의 직경을 초과하기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담배 인출 동작만으로 담배 인출 과정에 담배를 점화할 수 있다. 즉, 담뱃갑의 인출개구에 인접한 전후면 내벽과 담배열 사이에 마찰발화제가 마련되어 있고, 담배 끝에 발화연소제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담배 인출시 마찰발화제 물질 높이를 손가락으로 압착하면서 담배를 인출하면, 담배의 발화연소제와 마찰발화제 물질이 마찰을 일으켜 담배가 점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담배불을 붙이기 위하여 담배를 담뱃갑에서 인출한 후에 다시 점화 과정을 시도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가 한손으로 담뱃갑을 잡고 다른 손으로 담배를 외부로 인출하는 동작만으로, 담배가 담뱃갑에서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기 직전에 담배갓 내부에서 담배에 담배불이 점화된다.
특히, 한손으로 담뱃갑을 잡는 압력은 점화에 필요한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압력으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담배를 담뱃갑에서 인출하는 통상의 동작만으로도 담배 하단에 도포된 발화연소제가 담뱃갑 내부에 마련된 마찰발화제를 통과할 때 실패없이 점화할 수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의하면, 담배를 담뱃갑 내에 2열 이상으로 수용하여 포장한 경우에도, 담배열 사이에 마련된 마찰발화제로 인하여 담뱃갑에서 담배를 인출하는 동작만으로 담배를 실패없이 점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담배 길이 방향의 인출만으로 점화하기 때문에 측방향의 힘이 담배에 가해지지 않아 담배의 손상 염려가 없고, 점화에 담뱃갑 뚜껑을 사용하기 않기 때문에 담뱃갑 뚜껑의 손상 염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마찰발화제 물질과 제2발화제 물질을 마찰발화제 밴드 통로에 도포하고, 이를 담뱃갑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찰발화제 밴드 통로를 담뱃갑의 인출개구 부근에 부착하고, 담뱃갑의 전면을 절개한 후 펼쳐 담뱃갑의 전면 내벽과 후면 내벽이 보이도록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2열의 담배 중 1열의 담배를 담뱃갑 내에서 실장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담뱃갑 내부에 2열의 담배를 모두 실장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마찰발화제 물질과 제2발화제 물질의 도포 방법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는 뚜껑이 있는 담뱃갑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뚜껑이 없는 담뱃갑에도 적용된다.
근래, 궐련 담배는 지름이 슬림해지면서, 담뱃갑 내에 2열 또는 3열로 포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담배를 2열 이상 수용한 담뱃갑에 적용된다. 도면에는 담뱃갑 내에 담배를 2열로 수용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담배를 3열로 수용한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담배(23)는 하단부에 발화연소제(25)가 도포된다. 상기 발화연소제(25)는 황을 포함한 가연제와, 염소산칼륨을 포함하는 산화제와, 유리가루를 포함한 마찰제와, 포리졸을 포함한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가 발화제(25) 도포의 폭은 적절한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폭으로 가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mm - 3mm 정도가 가장 적절한다. 담배 하단부의 종이 표면에 발화연소제(25)를 도포할 경우 발화연소제(25) 도포 부위의 직경이 담배 본체의 직경보다 더 커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담배 포장시 하단부에서 담배간 간격이 벌어져 담배 포장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담배(23)는 담배 하단으로부터 일정 구간의 직경을 축소되게 형성하고, 축소된 직경 표면에만 상기 발화연소제(25)를 도포하여 발화연소제 도포 부분의 직경이 담배 본체의 직경을 초과하기 않게 할 수 있다. 지름이 담배 본체의 지름보다 짧은 종이관을 별도로 만들어 그 표면에 발화연소제(25)를 도포한 후, 담배(23)의 하단에 삽입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담뱃갑(15)은, 담뱃갑(15)의 인출개구(17)에 인접한 전후면 내벽(19,21)에, 상기 담배(23)의 발화연소제(25)와 마찰에 의하여 발화연소제(25)를 발화시킬 수 있는 제1마찰발화제 물질(11)을 수평 밴드 형상으로 마련한다.
제1마찰발화제 물질(11)이 마련된 지점은 담뱃갑(15)의 하단으로부터의 거리보다 담뱃갑(15)의 인출개구로부터의 거리가 1/3이하로, 인출개구로부터의 거리가 훨씬 가깝다. 도면에는 예시적으로 제1마찰발화제 물질(11)의 상단이 담뱃갑(15)의 전면내벽(19)의 상단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지만, 제1마찰발화제 물질(11)의 상단을 담뱃갑(15)의 전면내벽(19)의 상단에 일치시켜도 좋다. 마찰발화제 물질(11)이 담뱃갑(15)의 인출개구(17)에 근접한 부분에 마련됨으로 인하여, 담배(23)의 하단부가 인출개구(17)를 벗어나기 직전에 발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담뱃갑(15) 내부에서 담배를 점화시키더라도 흡연자에 의해 인출되는 담배 이외의 인접한 다른 담배를 연소시키지 않게 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담뱃갑(15)의 양측벽(23a,23b) 사이에는 상기 담뱃갑 전후면 내벽(19,21)의 제1마찰발화제 물질(11)의 높이에서 상기 2열 이상의 담배열 중간을 통과하고 상기 담배(23) 하단부의 발화연소제(25)와 마찰에 의하여 인화할 수 있는 제2마찰발화제 물질(13)을 상기 양측벽에 의해 지지되게 수평 밴드 형상으로 마련한다.
상기 제1마찰발화제 물질(11)과 제2마찰발화제 물질(13)은 동일한 조성의 물질로, 적린을 포함한 발화제와, 황화안티몬을 포함한 연소조제와, 유리가루를 포함한 마찰제와, 포리졸을 포함한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찰발화제 물질(11)과 제2마찰발화제 물질(13)은 담뱃갑(15)과 별도 제작된 마찰발화제 밴드 통로(1)에 도포된 후 담뱃갑(15) 내의 인출개구(17)에 인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찰발화제 밴드 통로(1)는 직사각 관체 형상을 가지며, 제1마찰발화제 물질(11)이 내벽에 도포된 전면밴드(5) 및 후면밴드(3)와, 제2마찰발화제 물질(13)이 양면에 도포된 중간밴드(9)와, 전면밴드(5), 후면밴드(3) 및 중간밴드(9)를 측면에서 연결하는 측면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의 예시에서 처럼 담뱃갑(15) 내에 담배가 2열로 포장될 경우, 상기 중간밴드(9)는 1개이지만, 담뱃갑(15) 내에 담배가 3열로 포장될 경우, 상기 중간밴드(9)는 2개이다. 상기 마찰발화제 밴드(1)의 평단면 형상 및 크기는 담뱃갑(15) 내부에 안착되어 부착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제작된다. 상기 마찰발화제 밴드(1)의 본체 재질은 종이가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찰발화제(11)는 마찰발화제 밴드(1)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담뱃갑(15)의 전면내벽(19) 및 후면내벽(21)에 직접 도포할 수도 있다. 이때, 제2마찰발화제(11)가 양면에 도포된 중간밴드(9)는 별도로 제작하여 그 양단을 담뱃갑(15)의 측벽(23a,23b)에 고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연자가 담배를 피우기 위해 담뱃갑에서 담배(23) 인출시, 제1마찰발화제 물질 또는 제2마찰발화제의 높이의 파지부(27)를 손가락으로 압착하면서 담배를 인출하면, 담배(23)의 발화연소제(25)와 제1마찰발화제 물질(11) 또는 제2마찰발화제 물질(23)이 담뱃갑(15)의 인출개구 부근에서 마찰을 일으켜 담배가 점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담배불을 붙이기 위하여 담배를 담뱃갑에서 인출한 후에 다시 점화 과정을 시도할 필요가 없이, 통상의 담배 인출 동작만으로 담배 인출 과정에 담배를 점화할 수 있다. 특히, 한손으로 담뱃갑을 잡는 압력은 점화에 필요한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압력으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담배를 담뱃갑에서 인출하는 통상의 동작만으로도 담배 하단에 도포된 발화연소제(25)가 담뱃갑 내부에 마련된 마찰발화제(11,13)를 통과할 때 실패없이 점화할 수 있다. 또한, 담배를 담뱃갑 내에 2열 이상으로 수용하여 포장한 경우에도, 담배열 사이에 마련된 제2마찰발화제(13)로 인하여 담뱃갑에서 담배를 인출하는 동작만으로 담배를 실패없이 점화할 수 있다.
1 : 담뱃갑
3 : 후면밴드
5 : 전면밴드
7a,7b :측면밴드
9 : 중간밴드
11 : 제1마찰발화제 물질
13 : 제2마찰발화제 물질
15 : 담뱃갑
17 : 인출개구
19 : 전면내벽
21 : 후면내벽
23a,23b : 측벽
27 : 파지부

Claims (3)

  1. 하단부에 발화연소제가 도포된 담배를 2열 이상 수용한 담뱃갑에 있어서,
    상기 담뱃갑의 인출개구에 인접한 전후면 내벽에는 상기 발화연소제와 마찰에 의하여 발화연소제를 발화시킬 수 있는 제1마찰발화제 물질을 수평 밴드 형상으로 마련하고,
    상기 담뱃갑의 양측벽 사이에는 상기 담뱃갑 전후면 내벽의 제1마찰발화제 물질의 높이에서 상기 2열 이상의 담배열 중간을 통과하고 상기 발화연소제와 마찰에 의하여 인화할 수 있는 제2마찰발화제 물질을 상기 양측벽에 의해 지지되게 수평 밴드 형상으로 마련하여, 담배 인출시 제1마찰발화제 물질 또는 제2마찰발화제의 높이를 손가락으로 압착하면서 담배를 인출하면, 담배의 발화연소제와 제1마찰발화제 물질 또는 제2마찰발화제 물질이 마찰을 일으켜 담배가 점화되고,
    상기 담배는 담배 하단으로부터 일정 구간의 직경을 축소되게 형성하고, 축소된 직경 표면에만 상기 발화연소제를 도포하여 발화연소제 도포 부분의 직경이 담배 본체의 직경을 초과하기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
  2. 제1항에 있어서,
    발화연소제는 황을 포함한 가연제와, 염소산칼륨을 포함하는 산화제와, 유리가루를 포함한 마찰제와 포리졸을 포함한 접착제로 구성되고, 제1마찰발화제 물질 및 제2마찰발화제 물질은 적린을 포함한 발화제와, 황화안티몬을 포함한 연소조제와, 유리가루를 포함한 마찰제와, 포리졸을 포함한 접착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
  3. 삭제
KR1020200019236A 2020-02-17 2020-02-17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 KR102398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36A KR102398101B1 (ko) 2020-02-17 2020-02-17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36A KR102398101B1 (ko) 2020-02-17 2020-02-17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461A KR20210104461A (ko) 2021-08-25
KR102398101B1 true KR102398101B1 (ko) 2022-05-12

Family

ID=7749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236A KR102398101B1 (ko) 2020-02-17 2020-02-17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1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232A (ja) * 2004-02-13 2005-08-25 Joji Ishikawa 火器具を使わないタバコ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3901U (ko) 1993-04-21 1994-11-16 권순웅 담배 및 담배갑의 구조
US6128539A (en) 1994-08-30 2000-10-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scaling filters
KR19990013381U (ko) 1997-09-25 1999-04-15 김종선 점화하기 편리한 담배
KR19990015692U (ko) 1997-10-18 1999-05-15 홍성수 착화가 용이한 담배 및 담배갑
KR19990021811U (ko) 1999-01-15 1999-06-25 이필주 성냥기능을겸한담배
KR20060000005U (ko) 2006-10-07 2006-10-27 심준범 발화연소제와 마찰면을 갖는 담배
KR101178460B1 (ko) * 2010-04-12 2012-09-10 이상권 점화 수단이 구비되고 유해성을 줄인 유산균 발효 담배
KR20110125732A (ko) 2010-05-14 2011-11-22 임정우 라이터가 필요없는 담배와 담배갑
KR200461620Y1 (ko) 2012-02-01 2012-07-25 박수완 라이터 없이도 불을 붙일 수 있는 담배 및 담배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232A (ja) * 2004-02-13 2005-08-25 Joji Ishikawa 火器具を使わないタバ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461A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2621A (en) Cigarette package capable of extinguishing and storing cigarette butts
US8505717B2 (en) Arrangement for disposing of cigarette and cigarillo butts
JP6478994B2 (ja) 消火しやすい喫煙物品フィルター
JP2017516471A (ja) 喫煙物品を消火するためのキャップ
US5096057A (en) Combination match-cigarette container
AU2012228121A1 (en) Self-lighting device for a cigarette
KR102398101B1 (ko) 담배 인출 점화식 담뱃갑
JP6423545B2 (ja) 棒状たばこ物品における炭素熱源の燃え殻収容器、吸い殻入れ、及び棒状たばこ物品用パッケージ
KR102328342B1 (ko) 저부에 당김 컨테이너가 제공되어 있고 뚜껑을 구비한, 담배 물품용 견고 팩
KR200461620Y1 (ko) 라이터 없이도 불을 붙일 수 있는 담배 및 담배곽
JP2014511674A (ja) 自己点火装置を設けたたばこ
AU704424B2 (en) Carton for smoking articles with extinguishing means and method of charging it
WO2016189624A1 (ja) 棒状たばこ物品用パッケージ
US2130450A (en) Cigarette with lighter attachment
US1864470A (en) Igniting device for cigars and cigarettes
KR900002722Y1 (ko) 재떨이가 부설된 휴대용 담배갑
CN215270553U (zh) 一种烟火一体的烟盒
US3021847A (en) Combination package and self-lighting cigarettes
GB2294683A (en) Self igniting cigarette packet
US2963028A (en) Matchbook and extinguisher
US20040103907A1 (en) Cigarette package having a cigarette saver
KR200185330Y1 (ko) 성냥이 붙어있는 담뱃갑
KR20130067495A (ko) 점화부와 종이성냥이 구비된 담배갑
KR20170000590U (ko) 담배갑을 수용하는 라이터가 구비된 케이스
TWM280656U (en) Self-lighting cigare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