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681B1 -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681B1
KR102397681B1 KR1020210180224A KR20210180224A KR102397681B1 KR 102397681 B1 KR102397681 B1 KR 102397681B1 KR 1020210180224 A KR1020210180224 A KR 1020210180224A KR 20210180224 A KR20210180224 A KR 20210180224A KR 102397681 B1 KR102397681 B1 KR 10239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battery
terminal units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준
최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Priority to KR102021018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681B1/ko
Priority to EP22213806.7A priority patent/EP419917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6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related to manufacture, e.g. testing after manufa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가 장착되어 배터리의 충방전 테스트가 수행되는 지그본체(100)를 포함하고, 지그본체(100)는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교차 배치된 4개의 단자용 유닛(130a,130b,130c,130d)과 상기 4개의 단자용 유닛(130a,130b,130c,130d) 중 2개의 단자용 유닛(130a,130c)을 전원부(161,162)와 크로스로 연결하여 지지하고, 나머지 2개의 단자용 유닛(130b,130d)을 전원부(1161,162)와 횡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버스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고 4개의 단자용 유닛의 이동을 버스바가 수용하므로 배터리 팩의 고정이 용이하고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하는 작업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어 신뢰성 있는 테스트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Jig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test}
본 발명은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충방전 테스트시 다양한 배터리 시험 환경에 대응할 수 있게 배터리를 고정하는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 배터리는 형태에 따라 원통형(Cylindrical), 각형(Prismatic), 파우치형(Pouch)으로 나눌 수 있다. 초기에는 테슬라가 원통형 배터리를 사용하면서 원통형 배터리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경량화에 유리하며 에너지 밀도가 높고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한 각형 배터리나 파우치형 배터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각형 배터리는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키며 설계에 더 많은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전기에너지를 충전, 방전해 사용할 수 있는 리튬인산철전지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제품으로 출하하는 과정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고 방전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면서 배터리의 성능, 수명 및 안전성을 테스트하는 충방전 특성시험을 수행한다.
충방전 특성시험은 챔버 내에 다수의 배터리를 배치하고 챔버 내부의 환경을 특정 환경으로 조성하고 해당 환경에서 배터리를 충방전하여 배터리의 동작 상태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배터리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상부를 향하도록 수직으로 놓아서 고정하는 지그가 사용되며, 다수의 배터리는 지그에 수직으로 놓인 채로 지그와 함께 챔버 내로 투입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배터리의 충방전 특성시험시 배터리가 지그에 수직으로 놓여 챔버 내로 투입되므로 배터리가 수직으로만 고정되어 충방전 테스트가 진행되므로 다양한 배터리 시험 환경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공개된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시험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배터리를 다양한 각도로 고정하여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를 고정하고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하는 작업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충방전 테스트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는 배터리가 장착되어 배터리의 충방전 테스트가 수행되는 지그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본체는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교차 배치된 4개의 단자용 유닛과 상기 4개의 단자용 유닛 중 2개의 단자용 유닛을 전원부와 크로스로 연결하여 지지하고, 나머지 2개의 단자용 유닛을 전원부와 횡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버스바를 포함한다.
상기 지그본체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를 고정한 배터리 팩이 레일 방식으로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기 4개의 단자용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좌우로 배치되며,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된 배터리 팩의 배터리의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서 접촉되도록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교차 배치된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을 양극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와 상기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을 음극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및 제4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중 하나와 상기 제3 및 제4 버스바 중 하나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4개의 단자용 유닛 중 2개의 단자용 유닛을 전원부와 크로스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버스바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4개의 단자용 유닛 중 2개의 단자용 유닛을 전원부와 크로스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버스바는 S자 형상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된다.
양극과 음극을 절연하도록 상기 버스바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차폐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들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외부와 절연하는 제2 차폐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 중 하나와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 중 하나를 나머지와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닛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유닛간격조절수단은 서로 마주보는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의 사이에 위치되며, 양단부가 중심몸체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 형상의 간격조절봉과 상기 간격조절봉의 중심몸체에 설치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면서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중심몸체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와 상기 간격조절봉의 양단부가 각각 관통 설치되고, 상기 중심몸체의 회전시 상기 양단부가 상기 중심몸체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이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간격조절수단은 상기 간격조절봉에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일단에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상기 제2 기어를 구비하며 타단이 상기 지그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지지축봉과 상기 지지축봉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와 상기 지지축봉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봉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음극 단자용 유닛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 사이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이동판에 구비된 승강레일과 상기 제1 이동판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승강판부가 구비되며 전면에 상기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음극 단자용 유닛 중 하나를 구성하기 위한 지지블록이 설치된 제2 이동판과 상기 지지블록을 상기 장착 프레임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가동샤프트 및 가동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는 일단이 상기 지그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그본체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타단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이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을 구성하는 지지블록이 이웃하는 지지블록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장착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 간에도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장착 프레임에 장착된 배터리 팩을 신뢰성 있게 고정할 수 있고,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의 단자핀이 배터리 팩에 고정된 배터리의 제1 단자와 제2 단자에 안정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시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을 전원부와 연결시키는 버스바가 크로스 및 횡으로 구성되고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배터리 팩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의 이동시 이동이 유연하게 하면서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바들의 사이에 차폐시트를 설치하여 버스바를 크로스로 구성함에 따른 전기적 쇼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절연이 확보되어 작업자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에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를 회전시킨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의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 부분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에 배터리 팩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의 후면도로 버스바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의 후면도로 유닛간격유지수단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의 후면도로 차폐시트가 배치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는 지그본체를 회전시켜 사용 가능하고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좌우 및 상하 방향이 달라지므로 좌우 및 상하 방향의 위치관계 설명이 모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는 도 1의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위치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10)는 지그본체(100), 회전수단(200) 및 위치이동수단(300)을 포함한다.
지그본체(100)는 배터리(B)가 장착되어 배터리의 충방전 테스트가 수행된다. 배터리는 양측에 지지커버가 결합된 배터리 팩(50) 형태로 지그본체(100)에 장착된다.
회전수단(200)은 일단(201)이 지그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수단(200)의 일단(201)은 지그본체(100)의 회전 중심이 된다. 회전수단(200)은 지그본체(100)를 회전시켜 배터리의 충방전 테스트시 배터리를 다양한 각도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위치이동수단(300)은 회전수단(200)의 타단(202)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위치이동수단(300)은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10)를 배터리 충방전 특성시험을 위한 챔버 내의 천정, 벽, 바닥 등에 고정하고, 필요에 따라 일정 길이 범위에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치이동수단(300)은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수단(200)의 타단(202)이 레일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위치이동수단(300)은 회전수단(200)의 타단(202)이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고 레일 상에서 이동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멈춤부를 포함한다. 멈춤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모든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에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지그본체(100)는 메인 프레임(110), 장착 프레임(120),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 버스바(150)를 포함한다.
지그본체(100)는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교차 배치된 4개의 단자용 유닛(130a,130b,130c,130d)과 4개의 단자용 유닛(130a,130b,130c,130d) 중 2개의 단자용 유닛(130a,130b)을 전원부(161,162)와 크로스로 연결하여 지지하고, 나머지 2개의 단자용 유닛(130c,130d)을 전원부(161,162)와 횡(수평)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버스바(150)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4개의 단자용 유닛(130a,130b,130c,130d)은 메인 프레임(110)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레임(110)은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10)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고 지지하는 기본 뼈대가 된다. 메인 프레임(110)에 장착 프레임(120),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 버스바(150)가 배치되고 지지된다. 메인 프레임(110)은 내부가 개방된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의 전방에 장착 프레임(120),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이 배치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후방에 버스바(150)가 배치된다.
장착 프레임(120)은 메인 프레임(110)의 전방 중앙부에 배치된다. 장착 프레임(120)에 배터리 팩(50)이 레일 방식으로 장착된다. 장착 프레임(120)은 메인 프레임(110)의 전방 중앙부에 2열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마주보는 방향에 슬릿홈(121,122)이 형성되어 배터리 팩(50)이 레일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서, 장착 프레임(120)은 메인 프레임(110)의 전방 중앙부에 2열로 이격되게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지그본체(100)의 측면에서 배터리 팩(50)을 장착 프레임(120)에 레일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120)은 양단이 보조 프레임(125)에 지지된다. 보조 프레임(125)은 메인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장착 프레임(120)의 양단을 지지하여 장착 프레임(120)이 메인 프레임(110)의 전방 중앙부에 안정적으로 배치되게 한다.
장착 프레임(120)은 일단이 개방된 형태이고 반대되는 타단에 스토퍼(126)가 배치된 형태이다. 장착 프레임(120)에서 개방된 일단을 통해 배터리 팩(50)이 장착 프레임(120)의 슬릿홈(121,122)에 레일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고, 장착 프레임(120)의 슬릿홈(121,122)에 레일 방식으로 삽입된 배터리 팩(50)은 스토퍼(126)에서 이동이 제한되어 장착 프레임(120)에 장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스토퍼(126)는 장착 프레임(120)의 타단을 막아 슬릿홈(121,122)에 레일 방식으로 삽입된 배터리 팩(50)의 일 면을 접촉하여 지지하는 판상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은 메인 프레임(1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장착 프레임(120)의 상측과 하측에 좌우로 배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은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교차 배치되어 장착 프레임(120)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50)의 제1 단자(a)와 제2 단자(b)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서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버스바(150)는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을 전원부와 연결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배터리 팩(50)은 배터리(B)의 양측벽에 지지커버(51,52)가 결합된 형태이다. 지지커버(51,52)는 배터리(B)를 장착 프레임(120)에 레일 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지그의 역할을 한다.
배터리(B)는 각형(Prismatic)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제1 단자(a)와 제2 단자(b)가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배터리는 각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제1 단자가 구비되고 반대되는 타측면에 제2 단자가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배터리(B)는 각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제1 단자(a)와 제2 단자(b)가 나란히 구비된 형태로 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나의 배터리 팩(50)은 2개의 배터리(B)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배터리 팩(50)은 제1 지지커버(51), 제2 지지커버(52) 및 고정수단(53)을 포함한다. 제1 지지커버(51)와 제2 지지커버(52)는 나란히 배치한 2개의 배터리(B)의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밀착되고 고정수단(53)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고정수단(53)은 제1 지지커버(51)와 제2 지지커버(52)의 네 모서리에 형성된 고정공(54)에 결합되는 고정핀(55)으로 구성되어, 제1 지지커버(51)와 제2 지지커버(52)가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배터리(B)의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제1 지지커버(51)와 제2 지지커버(52)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는 요입된 안착면(56)이 형성되어 2개의 배터리(B)가 제1 지지커버(51)와 제2 지지커버(52)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안착면(56)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배터리의 제1 단자(a)와 제2 단자(b)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양극단자용 유닛 및 음극 단자용 유닛의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커버(52)는 절연재질로 형성된다.
제1 지지커버(51)와 제2 지지커버(52)의 외면에는 돌출된 바 형상의 삽입리브(57)가 구비된다. 삽입리브(57)는 제1 지지커버(51) 및 제2 지지커버(52)의 외면 일측에 가로로 길게 형성된다. 삽입리브(57)는 장착 프레임(120)의 슬릿홈(121,122)에 삽입된다. 삽입리브(57)의 단부 가장자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슬릿홈(121,122)에 삽입되고 이동하기 용이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를 회전시킨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회전수단(200)은 일단(201)이 지그본체(100)에 회전축(205)을 매개로 결합된다. 회전축(205)이 지그본체(100)의 회전 중심이 된다. 회전축(205)을 중심으로 지그본체(1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그본체(100)를 90도, 180도, 270도로 회전 가능하여 배치 가능하다.
도 4의 상태에서, 지그본체(100)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50)이 삽입되는 장착 프레임(120)의 입구는 측면에서 상면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도 장착 프레임(120)의 상하측에 좌우로 배치되는 구조에서 장착 프레임(120)의 좌우측에 상하로 배치되는 구조로 위치가 변경된다.
지그본체(100)를 90도, 180도, 270도 등으로 회전시키면 배터리의 충방전 테스트시 배터리를 다양한 각도에 배치하여 충방전 테스트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에는 지그회전용손잡이(210)가 구비된다. 지그회전용손잡이(210)는 메인 프레임(110)의 전면 일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하고 지그본체(100)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한다. 지그회전용손잡이(210)는 외주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미끄럼방지처리된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의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 부분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에 배터리 팩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은 지지블록(131), 제1 이동판(132), 제2 이동판(133), 단자몸체(134), 탄성스프링(135), 연결단자(136), 가동샤프트(137) 및 가동레버(138)를 포함한다.
지지블록(131)은 내부가 빈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블록(131)은 제1 이동판(132)의 전면에 설치된 제2 이동판(133)에 설치된다. 제1 이동판(132)은 메인 프레임(110)의 전면에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장착 프레임(120)과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2 이동판(133)에는 각 지지블록(131)이 설치되며, 제2 이동판(133)은 제1 이동판(132)의 전면에 제1 이동판(1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2개가 설치되어 제1 이동판(132) 내에서 이웃하는 제2 이동판(133)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메인 프레임(110)에 대한 제1 이동판(132)의 이동은 장착 프레임(120)을 기준으로 한 상하측의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의 간격을 벌이거나 좁히는 역할을 하고, 제1 이동판(132)에 대한 제2 이동판(133)의 이동은 각 지지블록(131)의 좌우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단자몸체(134)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블록(131)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단자몸체(134)의 선단은 장착 프레임(120)을 향한 방향으로 노출되며, 단자몸체(134)의 선단에는 단자핀(p)이 돌출된다. 단자몸체(134)의 선단에 돌출된 단자핀(p)은 배터리 팩(50)의 제1 단자(a) 및 제2 단자(b)와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탄성스프링(135)은 지지블록(131)의 외부로 돌출된 단자몸체(134)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단자몸체(134)의 선단의 플랜지(134a)와 지지블록(131)의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스프링(135)은 단자핀(p)이 지지블록(131)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단자핀(p)이 배터리 팩(50)의 제1 단자(a) 또는 제2 단자(b)와 접속시 밀접 접촉시켜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높인다.
제1 이동판(132)과 제2 이동판(133)을 관통하여 지지블록(131)의 내부 빈 공간에 연결단자(136)가 배치된다. 연결단자(136)는 단자몸체(134)에 접속되어 단자몸체(13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단자(136)는 지지블록(131)의 빈 공간에 배치된 단자몸체(134)의 외주에 결합되어 단자몸체(1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동샤프트(137)는 지지블록(131)의 일단을 장착 프레임(120) 방향으로 밀어 단자핀(p)이 장착 프레임(120)에 장착된 배터리 팩(50)의 제1 단자(a) 또는 제2 단자(b)와 밀접 접촉하게 한다.
가동레버(138)는 가동샤프트(137)와 연결되어 가동샤프트(137)를 밀거나 당겨서 가동샤프트(137)를 이동시킨다. 일 예로, 가동레버(138)의 회전은 가동샤프트(137)를 당겨서 지지블록(131)을 장착 프레임(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단자핀(p)을 배터리 팩(50)의 단자와 이격시킨다. 또한, 가동레버(138)를 원위치로 복귀하면 가동샤프트(137)가 지지블록(131)을 장착 프레임(120) 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단자몸체(134)의 선단의 단자핀(p)이 배터리 팩(50)의 단자(a,b)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의 단자핀을 배터리 팩(50)의 단자의 위치에 맞게 이동시킬 때 적용 가능하다. 가동레버(138)의 회전은 멈춤돌기(139)에 의해 회전행정이 제한될 수 있다. 가동레버(138)는 멈춤돌기(139)에 지지된 상태에서 가동샤프트(137)를 장착 프레임(120) 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단자핀(p)이 배터리 팩(50)의 단자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지블록(131)은 제2 이동판(133)에 대해 ①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2 이동판(133)은 제1 이동판(132)에 대해 ②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1 이동판(132)은 메인 프레임(110)에 대해 ①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2 이동판(133)에 대한 지지블록(131)의 ①번 방향으로 이동은 가동레버(138) 및 가동샤프트(137)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제1 이동판(132)에 대한 제2 이동판(133)의 ②번 방향으로 이동은 높이조절수단(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에 대한 제1 이동판(132)의 ①번 방향으로 이동은 메인 프레임(110)의 좌우단에 형성된 이동레일(111)과 이동레일(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이동판(132)의 양단에 구비된 이동블록(113)과 후술할 유닛간격조절수단(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도 4 참조).
제2 이동판(133)에 대한 지지블록(131)의 ①번 방향으로 이동은 각 지지블록(131)별로 개별 위치 제어가 가능하게 한 것이고, 메인 프레임(110)에 대한 제1 이동판(132)의 ①번 방향으로 이동은 전체 지지블록(131)을 일괄적으로 위치 제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은 배터리팩고정부(141)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팩고정부(141)는 장착 프레임(120)에 장착된 배터리 팩(50)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배터리 팩(50)이 장착 프레임(120)에 장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배터리팩고정부(141)는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 중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지지블록(131)에 구비된다. 배터리팩고정부(141)는 지지블록(131)에서 장착 프레임(12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스프링을 적용하여 장착 프레임(120)에 장착된 배터리 팩(50)의 양측면을 밀착 지지하게 된다. 이로써 장착 프레임(120)에 장착된 배터리 팩(50)은 스토퍼(126)에 의해 일면(바닥면)이 지지되고 배터리팩고정부(141)에 의해 양측면이 지지되어 장착 프레임(120)에 장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정확하게 고정된 위치에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의 후면도로 버스바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을 전원부(161,162)와 연결시키는 버스바(150)를 포함하며, 버스바(150)는 메인 프레임(110)의 후방에 배치된다.
버스바(150)는 일단이 각 지지블록(131)의 빈 공간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나머지는 메인 프레임(110)의 후면으로 노출된 각 연결단자(136)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즉, 각 지지블록(131)의 후면에는 판 형상의 연결단자(136)가 구비되고, 이 연결단자(136)의 일단이 지지블록(131)의 내부 빈 공간으로 연장되어 단자몸체(134)와 접속된다.
버스바(150)는 제1 버스바(151), 제2 버스바(152), 제3 버스바(153) 및 제4 버스바(154)를 포함한다. 제1 버스바(151)는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의 연결단자(136)를 양극 전원부(161)에 연결하고, 제2 버스바(152)는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b)의 연결단자(136)를 양극 전원부(161)에 연결한다. 제3 버스바(153)는 제1 음극 단자용 유닛(130c)의 연결단자(136)를 음극 전원부(162)에 연결한다. 제4 버스바(154)는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의 연결단자(136)를 음극 전원부(162)에 연결한다.
제1 버스바(151) 내지 제4 버스바(154)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버스바(151,152) 중 하나와 제3 및 제4 버스바(153,154) 중 하나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 중 하나와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 중 하나를 전원부(161,162)와 연결시키는 버스바(150)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일 예로, 제1 및 제2 버스바(151,152) 중 하나와 제3 및 제4 버스바(153,154) 중 하나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에서는, 제1 버스바(151)가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의 연결단자(136)를 양극 전원부(161)에 S자 형상으로 연결하고, 제4 버스바(154)가 제1 음극 단자용 유닛(130c)의 연결단자(136)를 음극 전원부(162)에 S자 형상으로 연결한다. 이는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과 제1 음극 단자용 유닛(130c)이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과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b)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성이고,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과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b)은 고정된 구성이기 때문이다. 즉,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과 제1 음극 단자용 유닛(130c)의 이동에 따라 버스바(150)가 변형하면서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과 제1 음극 단자용 유닛(130c)의 움직임이 일정행정 내에서 자유롭고 전원 공급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과 제1 음극 단자용 유닛(130c)이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과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b)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버스바(151)와 제4 버스바(154)가 탄성변형되어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과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위함이다. 이러한 S자 형상의 제1 버스바(151)와 제4 버스바(154)는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과 제1 음극 단자용 유닛(130c)이 이동 가능하면서도 전원 공급도 가능한 구조로 만든 것이다.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과 제1 음극 단자용 유닛(130c)이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과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b)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S자 형상 굴곡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고,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과 제1 음극 단자용 유닛(130c)이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과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S자 형상 굴곡이 펴지는 형상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b)과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은 둘 사이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 및 제1 음극 단자용 유닛(130c)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탄성변형 가능한 구조의 버스바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b)을 양극 전원부(161)에 연결하는 제2 버스바(152)와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을 음극 전원부(162)에 연결하는 제3 버스바(153)는 일자 형상 또는 적어도 일부분이 소정의 곡면을 갖는 형상으로만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버스바(154)는 각각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내지 제4 버스바(154)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의 후면도로 유닛간격유지수단를 보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10)는 유닛간격조절수단(170)을 더 포함한다.
유닛간격조절수단(170)은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 중 하나와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 중 하나를 나머지와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장착 프레임(1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장착 프레임(1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을 서로 멀어지게 한 상태에서 배터리 팩(50)을 장착 프레임(120)에 레일 방식으로 장착하고, 배터리 팩(50)의 바닥면이 스토퍼(126)에 접촉하면 장착 프레임(1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을 서로 가까워지게 하여 배터리 팩(5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각 단자핀(p)이 배터리 팩(50)의 제1 단자(a)와 제2 단자(b)에 접속하게 할 수 있다.
유닛간격조절수단(170)은 간격조절봉(171), 제1 기어(172), 제2 기어(173), 제1 및 제2 이동바(174,175)를 포함한다.
간격조절봉(171)은 서로 마주보는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의 사이에 위치되며, 양단부의 인출봉(171b,171c)이 중심몸체(171a)에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 형상이다. 간격조절봉(171)의 인출봉(171b,171c)은 중심몸체(171a)의 양단부에 나사 결합식으로 결합되며 후술할 제1 및 제2 이동바(174,17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중심몸체(171a)가 회전시 중심몸체(171a)의 양단부에서 인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간격조절봉(171)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과 제1 음극 단자용 유닛(130c)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단부의 인출봉(171b,171c)이 인출되거나 인입되면서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의 사이 간격을 조절한다.
제1 기어(172)는 간격조절봉(171)의 중심몸체(171a)에 설치된다. 제1 기어(172)의 회전시 중심몸체(171a)가 회전된다. 제2 기어(173)는 제1 기어(172)와 맞물리면서 제1 기어(172)를 회전시켜 중심몸체(171a)를 회전시킨다.
제1 및 제2 이동바(174,175)는 간격조절봉(171)의 양단부가 각각 관통 설치되고 중심몸체(171a)의 회전시 양단부의 인출봉(171b,171c)이 중심몸체(171a)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게 지지한다. 제1 및 제2 이동바(174,175)는 간격조절봉(171)의 양단부의 인출봉(171b,171c)이 일체로 고정되어 함께 이동된다.
제2 기어(173)의 회전에 의해 제1 기어(172)가 회전하면, 중심몸체(171a)가 회전하고 중심몸체(171a)의 회전은 제1 및 제2 이동바(174,175)를 중심몸체(171a)에서 인출 또는 인입시켜 제1 및 제2 이동바(174,175)를 이동시킨다. 제1 및 제2 이동바(174,175)는 장착 프레임(120)의 양측으로 배치된 제1 이동판(132)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이동바(174,175)의 이동은 제1 이동판(132)을 이동시킬 수 있고, 장착 프레임(1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제2 기어(173)는 지지축봉(175)에 설치된다. 지지축봉(175)은 지그본체(100)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하고 지지축봉(175)을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축봉(175)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173)를 회전시키고 제1 기어(17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축봉(175)은 간격조절봉(171)과 직교하도록 위치된다.
지지축봉(175)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레버(177)를 더 포함한다. 고정레버(177)는 지지축봉(175)의 외주면 일부를 가압하여 지지축봉(175)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충방전 테스트 지그(10)는 높이조절수단(180)을 더 포함한다.
높이조절수단(180)은 제1 이동판(132)에 구비된 승강레일(181)과 제2 이동판(133)에 구비된 승강판부(182)를 포함한다. 제2 이동판(133)의 승강판부(182)가 제1 이동판(132)의 승강레일(181)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이웃하는 제2 이동판(133) 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제2 이동판(133)이 이동한 위치는 배터리팩고정부(141)가 배터리 팩(50)에 밀착되고 단자핀(p)이 배터리 팩(50)의 단자에 접속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은 가동레버(138)와 연동되어 수행된다. 가동레버(138)를 회전시켜 승강판부(182)가 승강레일(181)에 이동된 위치가 고정되게 하고, 가동레버(138)가 회전된 상태를 원위치시켜 승강판부(182)가 승강레일(181)에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동레버(138)와 가동샤프트(137)는 승강판부(182)의 전면에 설치되고, 승강판부(182)의 후면에는 승강레일(181)을 따라 이동하고 가동레버(138)의 동작에 따라 승강레일에 밀착되거나 걸어지게 동작되는 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과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이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과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b)과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과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b)은 고정된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과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b)도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과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과 마찬가지로 제1 이동판(132)의 승강레일(181)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의 후면도로 차폐시트가 배치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10)는 차폐시트(191,192)를 더 포함한다. 차폐시트(191,192)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차폐시트(191)와 제2 차폐시트(192)를 포함한다.
제1 차폐시트(191)는 양극과 음극을 절연하도록 제1 및 제2 버스바(152)와 제3 및 제4 버스바(154)의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제1 차폐시트(191)는 제1 버스바(151)와 제4 버스바(154)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버스바(151)와 제4 버스바(154)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크로스 배치되나, 둘 사이는 이격되어 있고 둘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제1 차폐시트(191)가 배치된다.
제2 차폐시트(192)는 버스바들(150)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버스바들(150)을 외부와 절연하여 작업자의 조작 중 전기 감전 사고 등을 방지한다. 제1 차폐시트(191)와 제2 차폐시트(192)는 페라이트 시트일 수 있고 또는 절연기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10)는 유닛간격조절수단(170)을 더 포함한다.
유닛간격조절수단(170)은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 중 하나와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 중 하나를 나머지와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유닛간격조절수단(170)은 간격조절봉(171), 제1 기어(172), 제2 기어(173), 제1 및 제2 이동바(174,175)를 포함한다.
간격조절봉(171)은 서로 마주보는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의 사이에 위치되며, 양단부가 중심몸체(171a)에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 형상이다.
제1 기어(172)는 간격조절봉(171)의 중심몸체(171a)에 설치된다.
제2 기어(173)는 제1 기어(172)와 맞물리면서 제1 기어를 회전시켜 중심몸체(171a)를 회전시킨다.
제1 및 제2 이동바(174,175)는 간격조절봉(171)의 양단부가 각각 관통 설치되고 중심몸체(171a)의 회전시 양단부 인출봉(171b,171c)이 중심몸체(171a)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게 지지한다. 즉, 제1 및 제2 이동바(174,175)는 간격조절봉(171)의 양단부가 일체로 고정되어 함께 이동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10)는 2개의 배터리를 고정한 배터리 팩(50)을 장착 프레임(120)에 장착한다. 배터리 팩(50)에 고정된 2개의 배터리(B)는 각 배터리(B)의 제1 단자(a)와 제2 단자(b)가 한쪽면으로 노출되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즉, 도 4에서 배터리 팩(50)에서 하부 측에 고정된 배터리의 제1 단자와 제2 단자(b)가 제1 양극 단자용 유닛(130a)과 제2 음극 단자용 유닛(130d)의 단자핀(p)에 각각 접속하게 되고, 배터리 팩(50)에서 상부 측에 고정된 배터리의 제1 단자(a)와 제2 단자(b)가 제1 음극 단자용 유닛(130c)과 제2 양극 단자용 유닛(130b)의 단자핀(p)에 각각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10)에 2개의 배터리(B)를 장착하여 배터리 충방전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팩(50)을 장착 프레임(120)에 장착시, 제1 이동판(132)을 메인 프레임(110)에 대해 ①번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 이동판(133)을 제1 이동판(132)에 대해 ②번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지지블록(131)을 제2 이동판(133)에 대해 ①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통해 배터리 팩(50)을 장착 프레임(120)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고, 각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의 단자핀(p)이 각 배터리의 제1 단자(a)와 제2 단자(b)에 신뢰성 있게 접속할 수 있다.
제1 이동판(132)을 메인 프레임(110)에 대해 ①번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 이동판(133)을 제1 이동판(132)에 대해 ②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에 전원을 공급하는 버스바(150)는 탄성변형되면서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배터리 팩(50)이 장착 프레임(120)의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면, 버스바(150)를 통해 각 양극 단자용 유닛(130a,130b)과 음극 단자용 유닛(130c,130d)에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배터리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여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하는 작업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신뢰성 있는 테스트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100: 지그본체
110: 메인 프레임 111: 이동레일
113: 이동블록 120: 장착 프레임
121,122: 슬릿홈 130a,130b: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
130c,130d: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
131: 지지블록 132: 제1 이동판
133: 제2 이동판 134: 단자몸체
135: 탄성스프링 136: 연결단자
137: 가동샤프트 138: 가동레버
139: 멈춤돌기 141: 배터리팩고정부
150: 버스바 151,152,153,154: 제1 내지 제4 버스바
161: 양극 전원부 162: 음극 전원부
170: 유닛간격조절수단 171: 간격조절봉
172: 제1 기어 173: 제2 기어
174,175: 제1 및 제2 이동바 175: 지지축봉
176: 손잡이부 177: 고정레버
180: 높이조절수단 181: 승강레일
182: 승강판부 191: 제1 차폐시트
192: 제2 차폐시트 200: 회전수단
201: 회전수단의 일단 202: 회전수단의 타단
205: 회전축 210: 지그회전용손잡이
300: 위치이동수단 50: 배터리 팩
51,52: 제1 및 제2 지지커버 53: 고정수단
54: 고정공 55: 고정핀
56: 안착면 57: 삽입리브
B: 배터리 a: 제1 단자
b: 제2 단자

Claims (14)

  1. 배터리가 장착되어 배터리의 충방전 테스트가 수행되는 지그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본체는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교차 배치된 4개의 단자용 유닛; 및
    상기 4개의 단자용 유닛 중 2개의 단자용 유닛을 전원부와 크로스로 연결하여 지지하고, 나머지 2개의 단자용 유닛을 전원부와 횡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단자용 유닛 중 상기 전원부와 크로스로 연결하는 2개의 단자용 유닛은 나머지 2개의 단자용 유닛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4개의 단자용 유닛 중 2개의 단자용 유닛을 전원부와 크로스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버스바는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굴곡지게 형성된 버스바는,
    상기 2개의 단자용 유닛이 상기 나머지 2개의 단자용 유닛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굴곡도가 커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2개의 단자용 유닛이 상기 나머지 2개의 단자용 유닛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굴곡이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를 고정한 배터리 팩이 레일 방식으로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
    을 포함하는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단자용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좌우로 배치되며,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된 배터리 팩의 배터리의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서 접촉되도록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교차 배치된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과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을 양극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을 음극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및 제4 버스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중 하나와 상기 제3 및 제4 버스바 중 하나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단자용 유닛 중 2개의 단자용 유닛을 전원부와 크로스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버스바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7. 제1항에 있어서,
    양극과 음극을 절연하도록 상기 버스바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차폐시트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들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외부와 절연하는 제2 차폐시트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 중 하나와 제1 및 제2 음극 단자용 유닛 중 하나를 나머지와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닛간격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간격조절수단은
    서로 마주보는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의 사이에 위치되며, 양단부가 중심몸체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 형상의 간격조절봉;
    상기 간격조절봉의 중심몸체에 설치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면서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중심몸체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
    상기 간격조절봉의 양단부가 각각 관통 설치되고, 상기 중심몸체의 회전시 상기 양단부가 상기 중심몸체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이동바;
    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간격조절수단은
    상기 간격조절봉에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일단에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상기 제2 기어를 구비하며 타단이 상기 지그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지지축봉;
    상기 지지축봉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 및
    상기 지지축봉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봉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레버;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음극 단자용 유닛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양극 단자용 유닛과 음극 단자용 유닛 사이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이동판에 구비된 승강레일;
    상기 제1 이동판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승강판부가 구비되며 전면에 상기 제1 및 제2 양극 단자용 유닛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음극 단자용 유닛 중 하나를 구성하기 위한 지지블록이 설치된 제2 이동판; 및
    상기 지지블록을 상기 장착 프레임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가동샤프트 및 가동레버;
    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14.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지그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그본체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의 타단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이동수단;
    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KR1020210180224A 2021-12-16 2021-12-16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KR10239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224A KR102397681B1 (ko) 2021-12-16 2021-12-16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EP22213806.7A EP4199178A1 (en) 2021-12-16 2022-12-15 Jig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224A KR102397681B1 (ko) 2021-12-16 2021-12-16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681B1 true KR102397681B1 (ko) 2022-05-13

Family

ID=8158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224A KR102397681B1 (ko) 2021-12-16 2021-12-16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4199178A1 (ko)
KR (1) KR1023976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328A (ja) * 2000-12-20 2002-07-05 Nec Machinery Corp 電池検査装置
KR20080068305A (ko) * 2007-01-19 2008-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KR20160066725A (ko) * 2014-12-03 2016-06-13 주식회사 비츠로셀 전지 활성화 시험장비
KR20170074550A (ko) *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시스템
JP2021190159A (ja) * 2020-05-25 2021-12-13 株式会社ソフトエナジーコントロールズ 二次電池用充放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155B1 (ko) * 2013-01-30 2020-06-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충방전 시스템
KR101534515B1 (ko) * 2013-05-14 2015-07-07 (주)에이치엔티 투웨이 배터리 지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328A (ja) * 2000-12-20 2002-07-05 Nec Machinery Corp 電池検査装置
KR20080068305A (ko) * 2007-01-19 2008-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KR20160066725A (ko) * 2014-12-03 2016-06-13 주식회사 비츠로셀 전지 활성화 시험장비
KR20170074550A (ko) *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시스템
JP2021190159A (ja) * 2020-05-25 2021-12-13 株式会社ソフトエナジーコントロールズ 二次電池用充放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9178A1 (en)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47384A2 (ko) 기구물체결방식의 유닛팩 조합형 셀 카트리지
JP2015056399A (ja) バッテリパック
US20200044211A1 (en) Drawer-type battery pack
JP2022529883A (ja) 電池ユニット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KR20150019705A (ko) 에너지 저장 장치
US20220231346A1 (en) Formation equipment for the formation of cylindrical secondary batteries with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n top
KR102397681B1 (ko)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KR102564203B1 (ko) 포메이션 장비의 이차전지 컨택장치 조립용 랙 어셈블리 및 포메이션 장비의 이차전지 컨택모듈
US11545702B2 (en) Support plate for protection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EP1470602A2 (en) Modular rack battery system
CN103579566B (zh) 隔板和约束蓄电元件的方法
KR20030080871A (ko) 전지 충방전 시스템의 전극 접촉용 클립
WO2021162250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210744014U (zh) 电池箱装置及电池箱系统
CN110828902B (zh) 锂离子电池固定机构
JP2022054948A (ja) 充放電装置
KR102383403B1 (ko) 배터리 충방전 테스트 지그
CN112670630A (zh) 电池箱装置及电池箱系统
CN220040692U (zh) 一种电池固定装置及电池测试箱
CN220843605U (zh) 一种极耳弹夹及极耳上料装置
CN117613476B (zh) 一种储能系统电池机架
CN218958266U (zh) 一种便于整理的配电柜
CN210535728U (zh) 电池箱及电池箱装置
CN211295171U (zh) 机架及电池箱装置
KR20200101094A (ko) 전력저장장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