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213B1 -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213B1
KR102397213B1 KR1020200183433A KR20200183433A KR102397213B1 KR 102397213 B1 KR102397213 B1 KR 102397213B1 KR 1020200183433 A KR1020200183433 A KR 1020200183433A KR 20200183433 A KR20200183433 A KR 20200183433A KR 102397213 B1 KR102397213 B1 KR 102397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power
image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김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Priority to KR102020018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213B1/ko
Priority to US17/406,251 priority patent/US114636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5Monitoring of client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15Redundant power suppl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17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memory access, memory control or I/O control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8Fault-tolerant or redundant circuits, or circuits in which repair of defects is prepa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2Handling of images in compressed format, e.g. JPEG, MPE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4Use of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for display data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보드에 설치된 부품의 고장, 파손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부품의 고장을 알지 못하도록 하면서 관리자가 부품을 수리, 교체할 수 있는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Power and video redundancy system in a display system of a smart board}
본 발명은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의 고장, 파손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부품의 고장을 알지 못하도록 하면서 관리자가 부품을 수리, 교체할 수 있는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보드는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이 명령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강의, 프리젠테이션, 운동 경기에서의 작전 설명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스마트보드에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되며,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스마트보드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용에 따른 부품의 고장, 파손 등의 이유로 인해 수리, 교체 등 A/S를 요구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보드 관리자는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부품의 고장을 알지 못하도록 하면서 부품을 수리, 교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0946호(등록일자: 2019.02.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2877호(등록일자: 2017.06.26.)
본 발명은 제품 구입 후 사용중에 부품의 고장,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의 고장, 파손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부품의 고장을 알지 못하도록 하면서 관리자가 부품을 수리, 교체할 수 있는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은, 시리얼 통신케이블 및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서브(Sub) 영상 보드와;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하여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 또는 서브(Sub) 영상 보드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하는 비디오 스위칭 보드와;
외부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DC 24V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파워 보드 및 제2 파워 보드와; 상기 제1 파워 보드 및 제2 파워 보드로부터 입력되는 DC 전압 및 상기 제1 파워 보드 및 제2 파워 보드의 불량상태가 감지되면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공급 이중화모듈과;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시리얼 통신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감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 또는 서브(Sub) 영상 보드 중 정상상태의 영상 보드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보드 선택 신호를 상기 비디오 스위칭 보드로 출력하고, 상기 전원공급 이중화모듈로부터 제1 파워 보드 또는 제2 파워 보드의 알람 신호가 입력되면 불량발생메시지를 상기 시리얼 통신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제공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의 제어 보드는,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의 일부 입출력 포트에 감시신호를 발생시켜 이 신호가 피드백되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의 정상 동작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의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는,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압축하지 않고 전송하는 HDMI신호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영상 이중화시스템과 전원 이중화시스템과 제어 보드를 포함하여 구현됨으로써, 스마트보드 구입 후 사용중에 메인 영상 보드 또는 메인 파워 보드가 고장,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서브 영상 보드 또는 서브 파워 보드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보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부품의 고장, 파손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불량발생메시지를 시리얼 통신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제공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스마트보드 관리자는 원격지에서도 스마트보드의 부품 불량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데이터 제공장치(110)와 외부 상용전원 공급장치(120)와 스마트보드(20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데이터 제공장치(110)는 스마트보드(2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소스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DVD와 같은 영상 매체를 재생하는 장치이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불러와 스마트보드(200)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는 컴퓨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외부 상용전원 공급장치(120)는 분전반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외부 상용전원 공급장치(120)는 과부하나 합선으로 인한 전기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자동 전기 스위치로서 회로상에 흐르는 과전류를 감지하여 회로를 차단하는 회로자동차단기(Circuit Breaker)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보드(200)는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센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한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정상 동작을 수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비정상 동작을 하고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동작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스마트보드 상태감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보드(200)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은 크게 영상 이중화시스템(210)과 전원 이중화시스템(220)과 제어 보드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영상 이중화시스템(210)은 스마트보드(2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소스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예를 들어, DVD와 같은 영상 매체를 재생하는 장치,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불러와 스마트보드(200)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는 컴퓨터와 신호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영상 이중화시스템(2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와 비디오 스위칭 보드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메인(Main) 영상 보드는 OSD Board 커넥터, LVDS 커넥터, 상태 감지신호 연결커넥터, 조도센서 및 온도센서 커넥터, 제어 보드 통신 커넥터, DC 전원 연결 커넥터, 스피커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메인(Main) 영상 보드는 시리얼 통신케이블, 예컨대 RS232 직렬 통신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제공장치(도 1의 참조부호 110)와 연결된다. 또한 메인(Main) 영상 보드는 시리얼 통신케이블을 통해 제어 보드와 연결된다.
메인(Main) 영상 보드는 제어 보드로부터 영상 보드가 정상상태인지를 체크하는 감시신호를 입력받는다. 메인(Main) 영상 보드는 정상상태인 경우 감시신호를 제어 보드로 피드백하는 반면, 불량상태인 경우 감시신호를 피드백하지 못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보드는 메인(Main) 영상 보드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서브(Sub) 영상 보드는 OSD Board 커넥터, LVDS 커넥터, 상태 감지신호 연결커넥터, 조도센서 및 온도센서 커넥터, 제어 보드 통신 커넥터, DC 전원 연결 커넥터, 스피커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서브(Sub) 영상 보드는 제어 보드로부터 영상 보드가 정상상태인지를 체크하는 감시신호를 입력받는다. 서브(Sub) 영상 보드는 정상상태인 경우 감시신호를 제어 보드로 피드백하는 반면, 불량상태인 경우 감시신호를 피드백하지 못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보드는 서브(Sub) 영상 보드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는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케이블, 예를 들어,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압축하지 않고 전송하는 HDMI신호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제공장치(도 1의 참조부호 110)와 연결될 수 있다.
비디오 스위칭 보드는 제어 보드로부터 보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하여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 또는 서브(Sub) 영상 보드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한다.
전원 이중화시스템(220)은 외부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제1 전력 레벨, 예컨대 DC 24V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파워 보드 및 제2 파워 보드와 전원공급 이중화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전원공급 이중화모듈은 제1 파워 보드 및 제2 파워 보드로부터 입력되는 DC 24V전압을 제어 보드로 출력한다. 전원공급 이중화모듈은 제1 파워 보드 및 제2 파워 보드의 불량상태가 감지되면 알람 신호를 제어 보드로 출력한다.
제어 보드는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시리얼 통신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의 상태 감지신호 연결커넥터와 각각 연결되어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감시한다. 제어 보드는 메인(Main) 영상 보드 또는 서브(Sub) 영상 보드 중 정상상태의 영상 보드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보드 선택 신호를 상기 비디오 스위칭 보드로 출력한다.
제어 보드는 전원공급 이중화모듈로부터 제1 파워 보드 또는 제2 파워 보드의 알람 신호가 입력되면 불량발생메시지를 시리얼 통신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제공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보드 관리자는 원격지에서도 스마트보드의 파워보드의 불량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 보드는, 일례로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의 일부 입출력 포트에 감시신호를 발생시켜 이 신호가 피드백되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의 정상 동작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 보드는 RS232C 통신으로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로 명령어를 송신하여 응답이 없으면 불량인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제1 시리얼 통신케이블 및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전송하는 제1 신호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전송하는 제2 신호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서브(Sub) 영상 보드와;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하여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 또는 서브(Sub) 영상 보드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하는 비디오 스위칭 보드와;
    외부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파워 보드 및 제2 파워 보드와;
    상기 제1 파워 보드 및 제2 파워 보드로부터 입력되는 DC 전압 및 상기 제1 파워 보드 및 제2 파워 보드의 불량상태가 감지되면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공급 이중화모듈과;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제2 시리얼 통신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감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 또는 서브(Sub) 영상 보드 중 정상상태의 영상 보드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보드 선택 신호를 상기 비디오 스위칭 보드로 출력하고,
    상기 전원공급 이중화모듈로부터 제1 파워 보드 또는 제2 파워 보드의 알람 신호가 입력되면 불량발생메시지를 상기 제1 및 제2 시리얼 통신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제공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보드;
    를 포함하는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보드는,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의 일부 입출력 포트에 감시신호를 발생시켜 이 신호가 피드백되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메인(Main) 영상 보드와 서브(Sub) 영상 보드의 정상 동작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케이블은,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압축하지 않고 전송하는 HDMI신호케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
KR1020200183433A 2020-12-24 2020-12-24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 KR102397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433A KR102397213B1 (ko) 2020-12-24 2020-12-24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
US17/406,251 US11463683B2 (en) 2020-12-24 2021-08-19 Power and video redundancy system in a display system of a smart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433A KR102397213B1 (ko) 2020-12-24 2020-12-24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213B1 true KR102397213B1 (ko) 2022-05-12

Family

ID=8159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433A KR102397213B1 (ko) 2020-12-24 2020-12-24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63683B2 (ko)
KR (1) KR10239721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502A (ko) * 2000-12-18 2002-06-24 오길록 이중 스위치 보드 및 이중화 방법
KR20020052635A (ko) * 2000-12-26 2002-07-04 구자홍 알람 신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4772A (ko) * 2012-05-07 2013-11-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력변환 시스템 및 전력변환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85703B1 (ko) * 2013-11-06 2014-04-17 주식회사 대한전광 전 이중화 엘이디 스크린
KR101752877B1 (ko) 2016-02-22 2017-07-03 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 이중화된 영상 처리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위칭 지연 시간 감소 방법 및 장치
KR20180068470A (ko) * 2016-12-14 2018-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0946B1 (ko) 2017-11-07 2019-02-25 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 이중화가 적용된 항공기용 대화면 시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3657B2 (en) * 2014-05-16 2017-11-07 Smart Tlcd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502A (ko) * 2000-12-18 2002-06-24 오길록 이중 스위치 보드 및 이중화 방법
KR20020052635A (ko) * 2000-12-26 2002-07-04 구자홍 알람 신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4772A (ko) * 2012-05-07 2013-11-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력변환 시스템 및 전력변환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85703B1 (ko) * 2013-11-06 2014-04-17 주식회사 대한전광 전 이중화 엘이디 스크린
KR101752877B1 (ko) 2016-02-22 2017-07-03 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 이중화된 영상 처리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위칭 지연 시간 감소 방법 및 장치
KR20180068470A (ko) * 2016-12-14 2018-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0946B1 (ko) 2017-11-07 2019-02-25 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 이중화가 적용된 항공기용 대화면 시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63683B2 (en) 2022-10-04
US20220210400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339B1 (ko) 장애진단을 통한 앰프와 스피커 보호용 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KR102397213B1 (ko)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된 전원 및 영상 이중화시스템
JP2006209476A (ja) 情報処理装置、故障監視方法、故障監視プログラム
US20060115009A1 (en)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JPH10268834A (ja) 集合型表示装置
KR102569633B1 (ko) 장애 발생 시 자동 절체 기능이 내장된 엘이디 전광판
US20080151453A1 (en) Information device supplying power to device connected thereto by cable
US7443053B2 (en)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electric output modes
KR102043946B1 (ko) 기기 특성 별 절전 기능 및 자동 고장진단 기능을 가진 전자교탁 시스템
KR20180074896A (ko) 표시장치 및 컨트롤러
KR100267864B1 (ko) 비대칭디지털데이터전송시스템의경보처리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429203B1 (ko) 피디피 모듈의 보호회로 및 그 방법
KR20090022222A (ko) 전원제어장치
JPH11252483A (ja) マルチ画面表示装置
JP2000102164A (ja) 電源装置
KR101554249B1 (ko) 단위 관제점별 이상감지를 포함한 전 이중화방식의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846363B2 (ja) 過電圧保護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過電圧保護回路及び方法
CN114252800B (zh) 一种双路输出电源Power Good信号控制电路及电子设备
JP2854495B2 (ja) 防災監視装置の過電圧保護装置
CN111833799B (zh) 一种led接收组件及接收卡切换方法
JP200908675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接続制御方法
US20040190463A1 (en) Change-over apparatus
JP2010009264A (ja) 入出力モジュール・システム
KR100197621B1 (ko) 전자기기의 이상상태 점검장치 및 방법
EP1876804B1 (en) A ring current controlling apparatus in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