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124B1 -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과 이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과 이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124B1
KR102397124B1 KR1020210107072A KR20210107072A KR102397124B1 KR 102397124 B1 KR102397124 B1 KR 102397124B1 KR 1020210107072 A KR1020210107072 A KR 1020210107072A KR 20210107072 A KR20210107072 A KR 20210107072A KR 102397124 B1 KR102397124 B1 KR 102397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artificial structure
blocks
w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태보
Original Assignee
심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태보 filed Critical 심태보
Priority to KR102021010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 기본도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면부와 상기 외면부에서 연장 형상되는 날개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위블럭; 상기 날개부를 서로 연결하여 복수의 상기 단위블럭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과 이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Artificial structure using the principle of geodesic dome and its assembly guid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과 이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곤과 같은 단위블럭을 기초로 하여 3차원의 입체 인공 구조물에 대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인공 구조물의 조립을 보조하는 가이드 시스템과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지오데식 돔 천막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수개의 단위프레임이 삼각셀의 형태로 연결되어 지오데식 돔(geodesic dome) 형상으로 조립되는 천막프레임과, 천막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천막프레임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는 천막지를 포함하고,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 가능하고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여 야외 행사 및 임시 가설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오데식 돔 천막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002는 입체구조의 형상화를 통해서, 인류가 지금까지 발견해 온, 규칙적 세계의 연구 및 학습뿐만이 아니라, 가변적이고, 불규칙적인 것들에 대한 시도와 접촉을 쉽게 만들어서, 창의력을 고양시키고, 그 창의력에 의해서 기대되는 새로운 미래를 위한 교육의 기초를 만드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기술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003은 지오데식 돔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복수의 패널을 지상 가까이 서 조립 작업이 가능하도록, 승강가능한 유압식 타워를 지면에 기립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타워의 상단부에 복수의 패널을 조립하여, 지오데식 돔의 중앙 천정부를 시공하는 단계; (c) 지상 가까이서 패널의 조립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타워를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키는 단계; (d) 일정 높이로 상승한 지오데식 돔의 중앙 천정부의 주변에 복수의 패널로 조립하여, 지오데식 돔의 외벽을 시공하는 단계; (e) 상기 타워를 지오데식 돔의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되는 최고 높이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며 상기 (c)단계 내지 상기 (d) 단계를 반복 실시하여, 지오 데식 돔의 외벽을 시공하는 단계; (f) 상기 타워의 상단부가 상기 최고 높이에 도달하면, 지오데식 돔에 복수의 패널을 조립하여 지오데식 돔의 잔여 외벽을 시공하는 단계; (g) 지오데식 돔의 중앙 천정부와 상기 타워의 상단 부를 분리하는 단계; 및 (h) 상기 타워를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004는 지오데식 돔 하우스 축조 구조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지오데식 돔 하우스 축조 구조는, 지오데식 돔 하우스의 단위구조를 이루는 다수의 삼각 단위모듈; 상기 삼각 단위모듈의 대면하는 양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내측빔; 상기 한 쌍의 내측 빔 사이의 코너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내측 빔과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한 쌍의 내측 빔의 외면에 각각 배치되며,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내측 빔과 연결되는 한 쌍의 외측 빔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KR 10-2011-0006170 (공개일자:2011년 01월 20일) KR 10-2014-0024731 (공개일자:2014년 03월 03일) KR 10-2019-0020566 (공개일자:2019년 03월 04일) KR 20-0484287 (등록일자:2017년 08월 15일)
본 발명은 닫혀있는 3차원 형상의 조립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인공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이의 제조 가이드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여 복잡한 인공 구조물의 조립을 보조하는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에 대한 발명이며, 기본도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면부와 상기 외면부에서 연장 형상되는 날개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위블럭; 및 상기 날개부를 서로 연결하여 복수의 상기 단위블럭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외면부와 소정의 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블럭은 상기 날개부에 닫힌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조립블럭; 및 상기 날개부에 열린통공이 형성된 단수의 끼움블럭;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날개부와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구비하는 머리부;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체결홈을 구비하는 몸통부; 및 상기 머리부와 몸통부를 이어주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앞에서 제시한 인공 구조물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상기 인공 구조물의 조립과정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모듈;, 상기 촬영모듈에서 입력된 영상정보를 통해 조립의 현재조립진도 및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서 판단한 상기 현재조립진도 및/또는 다음조립순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앞에서 제시한 인공 구조물의 조립 가이드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촬영모듈이 상기 인공 구조물의 조립과정을 촬영하는 촬영단계; 서버가 상기 촬영모듈에서 입력된 영상정보를 통해 조립의 현재조립진도 및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서버에서 판단한 상기 현재조립진도 및/또는 다음조립순서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에 대한 발명으로, 3차원 입체 구조물의 구조적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공 구조물을 효율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조립 가이드 시스템과 가이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가상의 인공 구조물의 각 단위블럭들과 비교하여 실제 조립하는 인공 구조물의 단위블럭들의 조립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블럭과 연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블럭에 보강체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블럭과 연결체의 세부사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끼움블럭이 간극에 끼워지는 원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구조물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구조물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구조물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구조물 조립 가이드 시스템이 실제 구조체를 단위블럭화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구조물의 조립 가이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에 있어서, 기본도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면부(110)와 상기 외면부(110) 에서 연장 형상되는 날개부(120)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위블럭(100); 상기 날개부(120)를 서로 연결하여 복수의 상기 단위블럭(100)을 연결하는 연결체(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인공 구조물은 복수의 단위블럭(100)과 단위블럭(100)들을 연결하는 연결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블럭(100)은 인공 구조물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단위블럭(100)은 인공 구조물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면부(110)와 외면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120)는 연결체(200)와 결합되어 외면부(110)들이 연결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본도형은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외면부(110)는 기본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본도형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사다리꼴, 마름모 등등을 포함하는 다각형일 수 있다. 외면부(110)가 연결되어 3차원 형상의 인공 구조물을 구성할 때, 단위블럭(100)은 단위 구조체로 설명될 수 있고, 이는 단위블럭(100)들이 폴리곤(polygon)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폴리곤들이 모여 완성된 3차원 인공 구조물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 1-3) 실시예 1-2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복수의 단위블럭(100)은 상기 외면부(110)가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삼각형으로만 형성된다.
(실시예 1-4) 실시예 1-2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복수의 단위블럭(100)은 상기 외면부(110)가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만 형성된다.
(실시예 1-5)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럭(100)은 종이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공 구조물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정삼각형과 이등변 삼각형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인공 구조물을 어떠한 형상으로 만들 것인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본적인 삼각형, 사각형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위블럭(100)은 종이 또는 플라스틱으로만 이루어지거나, 일부는 종이, 일부는 플라스틱으로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날개부는 외면부(110)로부터 접힐 수 있어야 하므로, 단위블럭(100)이 종이로 형성될 수 있지만, 플렉서블한 플라스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죽이나 매쉬원단 등 다양한 소재들로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예 1-6)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20)는 상기 다각형의 모서리에서부터 연장 형성된다.
(실시예 1-7)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20)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8)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20)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외면부(110)가 상기 인공 구조물의 외면을 형성한다.
(실시예 1-9)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20)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외면부(110)가 상기 인공 구조물의 내면을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날개부(120)는 다각형의 모서리에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120)는 다각형의 모서리를 한 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날개부(120)는 다각형의 모서리에서 절곡되어 외면부(110)와 구분될 수 있다. 사다리꼴 형상의 날개부(120)는 이웃한 단위블럭(100)의 날개부(120)와 겹쳐져서 연결체(20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면부(110)가 인공 구조물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입체 모형의 원리를 교육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공 구조물을 활용하는 경우, 외면부가 인공 구조물의 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날개부가 인공 구조물의 내측으로 조립되고, 외면부가 외측의 외면을 이루는 것이 기본구조이나, 날개부가 인공 구조물의 외측으로 조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이용자들의 인공 구조물의 조립 원리를 보다 잘 파악할 수 있으며, 조립의 용이성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2-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20)는 상기 외면부(110)와 소정의 각을 형성한다.
외면부(110)는 본 발명의 인공 구조물의 외면을 구성하고, 날개부(120)는 외면부(1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단위블럭(100)간의 결합을 보조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날개부(120)는 외면부(110)와 소정의 각을 이룰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럭(100)은 상기 외면부(110)와 상기 날개부(120)간의 절곡을 유도하는 절곡유도부(130);를 포함한다.
외면부(110)와 날개부(120)가 원하는 방향을 따라 절곡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하여 절곡유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유도부(130)는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외면부(110)와 날개부(120)의 경계선을 따라 압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추후 절곡유도부(130)를 따라 날개부(120)가 외면부(110)로부터 절곡되어 인공 구조물을 조립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2-3)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20)는 상기 연결체(200)와 결합되는 통공(121)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날개부(120)는 통공(121)을 포함할 수 있고, 통공(121)은 연결체(200)와 결합되어 이웃한 단위블럭(100)간 결합을 체결할 수 있다. 제1 단위블럭의 날개부(120)와 제2 단위블럭의 날개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121)을 겹치게 위치한 후, 연결체(200)를 이용하여 두 날개부를 결합시킬 수 있다. 날개부(120)간의 결합에 의하여 단위블럭(100)이 결합되고, 결합된 단위블럭(100)의 외면부(110)가 연결되어 본 발명의 인공 구조물의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2-4)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통공(121)은 닫혀있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통공(121)은 날개부(120)의 내측에서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의 통공(121)은 펀치기계를 이용하여 사다리꼴 형상의 날개부(120)의 일부를 제거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공 구조물의 내구성 또는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통공의 개수를 도면과 같이 2개를 형성할 수 있지만, 3개, 4개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통공(121)의 경계선은 서로 이어져서 닫혀 있을 수 있다. 연결체(200)가 통공(12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3-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블럭(100)은 상기 날개부(120)에 닫힌통공(121a)이 형성된 복수의 조립블럭(100a); 및 상기 날개부(120)에 열린통공(121b)이 형성된 단수의 끼움블럭(100b);을 포함한다.
단위블럭(100)은 닫힌통공(121a)이 형성된 복수의 조립블럭(100a)과 열린통공(121b)이 형성된 단수의 끼움블럭(10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닫힌통공(121a)과 열린통공(122b)을 도시하고 있다. 닫힌통공(121a)은 사방이 막혀있는 형상이며, 열린통공(121b)은 한쪽 방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공 구조물을 조립하는 과정을 참조하면, 가장 마지막에 조립되는 단위블럭(100)을 결합함에 있어, 가장 마지막 단위블럭(100)의 날개부(120)를 이웃한 단위블럭(100)의 날개부(120)와 결합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마지막 단위블럭(100)은 개방된 공간에 끼우는 형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조립블럭(100a)은 닫힌통공(121a)이 형성되어 이웃한 날개부(120)의 닫힌통공(121a)을 겹친 후, 연결체(200)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고, 단수의 끼움블럭(100b)은 이미 체결되어 있는 연결체(200)에 열린통공(121b)이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다.
도4(c)를 참조하면, 만약 끼움블럭의 외면부가 삼각형이라면, 날개부는 3개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어 3개의 날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1개의 날개부에는 닫힌통공(121a)를 형성하고, 나머지 2개의 날개부에는 열린통공(121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조립의 견고성을 확보하고, 끼움블럭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 구조물은 외면에 닫혀 있는 3차원 입체형상일 수 있고, 한 면이 열린 구조일 수도 있다. 열린 면을 통해 보관물들을 보관하여 인공 구조물을 저장소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3-2) 살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닫힌통공(121a)은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열린통공(121b)은 “U”형상으로 형성된다.
닫힌통공(121a)은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사각형, 오각형 등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통공(121)과 결합되는 연결체(200)의 결합부분이 통공(121)의 형태에 맞게 구성된다면 통공(121)의 형태는 제한되지 아니할 수 있다.
(실시예 3-3)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열린통공(121b)는 기울어진 “U”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열린통공은 도4(b)처럼 날개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4(d), 도4(e)와 같이 기울어진 “U”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끼움블럭의 날개부가 열린통공과 닫힌통공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닫힌통공을 결합한 후, 열린통공을 끼워넣을 때, 끼움블럭의 조립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4-1)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200)는 상기 날개부(120)와 체결되는 체결돌기(211)를 구비하는 머리부(210); 상기 체결돌기(211)와 대응되는 체결홈(221)을 구비하는 몸통부(220); 상기 머리부(210)와 몸통부(220)를 이어주는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결체(200)는 머리부(210), 몸통부(220),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부(210)는 날개부(120)의 닫힌통공(121a) 또는 열린통공(121b)과 체결되는 체결돌기(211)를 구비할 수 있다. 몸통부(220)는 체결돌기(211)와 대응되는 체결홈(221)을 구비할 수 있고, 체결돌기(211)와 체결홈(221)은 상호간에 결합되어 끼워질 수 있다. 연결부(230)는 머리부(210)와 몸통부(220)를 이어주는 구성이며, 머리부(210)와 몸통부(220)가 서로 대향하면서 접할 수 있도록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4-2)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211)와 상기 체결홈(221)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된다.
(실시예 4-3)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30)는 구부러지면서 상기 체결돌기(211)와 상기 체결홈(221)이 체결된다.
체결돌기(211)와 체결홈(221)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고, 체결되어 이웃한 날개부(120)들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구부러지거나 휘어져서 체결돌기(211)와 체결홈(221)이 맞닿아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 4-4)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200)는 상기 체결돌기(211)와 체결홈(221)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210)와 상기 몸통부(220) 사이에 간극(215)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블럭(100b)의 열린통공(121b)이 상기 간극(215)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체(200)는 체결돌기(211)와 체결홈(221)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머리부(210)와 몸통부(220) 사이에는 간극(215)이 구비될 수 있다. 간극(215)은 본 발명의 인공 구조물일 구성하는 마지막 단위블럭(100)이 조립될 때, 끼움블럭(100b)의 열린통공(121b)이 끼워지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연결체(200)에 구비되는 간극(215)은 끼움블럭(100b)과 이웃한 조립블럭(100a)의 날개부(120)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체(200)에만 한정하여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 4-5) 실시예 4-1에 있어서, 이웃한 상기 날개부(120)간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보강체(300);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위블럭(100)은 날개부(120)가 서로 겹쳐지면서 연결체(2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120)간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보강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체(300)는 날개부(120)를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클립 형상일 수 있다. 보강체(300)는 절곡유도부(130)에서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잇다. 보강체(300)는 날개부를 따라 절곡유도부(130)까지 끼워질 수 있고, 절곡유도부(130) 근방에서 날개부(120)간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위블럭(100)의 외면부(110)가 일체화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5-1) 실시예 4-1의 인공 구조물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공 구조물의 조립과정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모듈(400); 상기 촬영모듈(400)에서 입력된 영상정보를 통해 조립의 현재조립진도 및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하는 서버(500); 상기 서버(500)에서 판단한 상기 현재조립진도 및/또는 다음조립순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600);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은 촬영모듈(400)과 서버(500) 및 디스플레이(60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모듈(400)은 인공 구조물의 조립과정을 촬영하여 영상을 서버(5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서버(500)는 영상을 바탕으로 조립의 현재조립진도와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00)는 현재조립진도 또는 다음조립순서를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고, 현재조립진도와 다음조립순서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5-2)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듈(400)은 3D 카메라로 형성된다.
촬영모듈(400)은 3D 카메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버(500)에서 현재조립진도와 다음조립순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3D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를 서로 다른 각도에 설치하여 3차원의 영상정보를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3D 카메라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영상정보에 대한 기술내용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5-3)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서버(500)는 가상의 인공 구조물을 설정하는 인공 구조물 설정모듈(510); 설정된 상기 가상의 인공 구조물의 외면과 대응되는 상기 단위블럭(100)을 특정하는 단위블럭 특정모듈(520);을 포함한다.
서버(500)는 인공 구조물 설정모듈(510)과 단위블럭 특정모듈(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구조물 설정모듈(510)은 이용자가 조립하고 있는 인공 구조물과 비교대상이 되는 가상의 인공 구조물을 설정하는 구성이다. 가상의 인공 구조물과 실제 조립하고 있는 인공 구조물을 비교하면서 현재조립진도 및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단위블럭 특정모듈(520)은 가상의 인공 구조물을 단위블럭화 시킨 후, 각 위치의 단위블럭(100)을 특정하는 구성이다. 단위블럭 특정모듈(520)이 본 발명의 인공 구조물을 단위블럭화 시킨 후, 실제 조립하는 단위블럭(100)들과 비교대비하여 현재조립진도 및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5-4)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인공 구조물 설정모듈(510)은 이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가상의 인공 구조물을 설정하는 입력모듈(511);을 포함한다.
입력모듈(511)은 이용자가 어떠한 인공 구조물을 조립할 것인지 판단하여 가상의 인공 구조물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용자가 도 8을 참조하면, 가상의 인공 구조물을 서버(500)에 입력하면, 이와 대비하여 실제 조립하는 인공 구조물과 비교할 수 있다.
(실시예 5-5)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인공 구조물 설정모듈(510)은 상기 촬영모듈(400)을 통해 촬영된 구조체를 상기 인공 구조물의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모듈(512);을 포함한다.
(실시예 5-6)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서버(500)는 상기 현재조립진도 및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하는 판단모듈(530);을 포함한다.
촬영모듈(400)을 통해 이용자가 인공 구조물화 시키려고 하는 실제 구조체를 촬영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인공 구조물 설정모듈(510)은 촬영된 구조체를 인공 구조물과 같이 단위블럭화하여 변환하는 변환모듈(5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는 판단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판단모듈(530)은 가상의 인공 구조물과 실제 조립하는 인공 구조물의 조립과정을 비교하여 현재조립진도 또는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모듈(530)은 단위블럭 특정모듈(520)에서 특정된 상기 단위블럭(100)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올바른 위치에서 조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530)이 현재조립진도 또는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함에 있어, 많은 이용자들의 조립하는 순서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조립순서를 최적화할 수 있다.
(실시예 5-7) 실시예 5-6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530)은 상기 복수의 조립블럭(100a)이 모두 조립된 후, 상기 단수의 끼움블럭(100b)을 상기 다음조립순서로 판단한다.
판단모듈(530)은 끼움블럭(100b)이 가장 마지막에 조립되도록 판단할 수 있다. 조립블럭(100a)들이 모두 결합된 후 끼움블럭(100b)이 마지막에 끼워져서 인공 구조물이 완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판단모듈(530)은 끼움블럭(100b)이 마지막 단계에서 다음조립순서로 판단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6-1) 실시예 4-1의 인공 구조물의 조립 가이드 방법에 있어서, 촬영모듈(400)이 상기 인공 구조물의 조립과정을 촬영하는 촬영단계(S300); 서버(500)가 상기 촬영모듈(400)에서 입력된 영상정보를 통해 조립의 현재조립진도 및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400); 디스플레이(600)에서 상기 서버(500)에서 판단한 상기 현재조립진도 및/또는 다음조립순서를 출력하는 출력단계(S500);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공 구조물 조립 가이드 방법은 촬영단계(S300), 판단단계(S400), 출력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모듈(400)은 인공 구조물의 조립과정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서버(500)가 입력받은 후, 서버(500)는 조립의 현재조립진도 및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600)는 판단된 현재조립진도 및/또는 다음조립순서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 6-2)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S300) 전에 인공 구조물 설정모듈(510)이 가상의 인공 구조물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100); 단위블럭 특정모듈(520)이 설정된 상기 가상의 인공 구조물의 외면과 대응되는 상기 단위블럭(100)을 특정하는 특정단계(S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촬영단계(S300) 전에 설정단계(S100)와 특정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정단계(S100)는 인공 구조물 설정모듈(510)이 가상의 인공 구조물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특정단계(S200)는 단위블럭 특정모듈(520)이 인공 구조물 설정모듈(510)에서 설정한 가상의 인공 구조물의 외면과 대응되는 단위블럭(100)을 특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인공 구조물 조립 가이드 시스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실시예 6-3)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S100)는 상기 촬영모듈(400)이 설정하고자 하는 구조체의 형태를 입력받는 입력단계(S110); 변환모듈(512)이 상기 구조체를 상기 인공 구조물의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단계(S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정단계(S100)는 입력단계(S110)와 변환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계(S110)는 촬영모듈(400)이 구조체의 형태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촬영모듈(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조립하는 조립과정을 촬영할 수도 있고, 설정단계(S100)에서는 촬영모듈(400)이 구조체의 이미지를 확보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변환단계(S120)는 변환모듈(512)이 입력받은 구조체를 인공 구조물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실제 구조체의 형태를 인공 구조물의 형태로 변환하여 판단단계(S400)에서 조립진도 및 조립순서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6-4)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S400)는 상기 가상의 인공 구조물의 외면을 복수개의 가상블럭으로 확정하는 가상블럭 확정단계(S410); 상기 가상블럭과 상기 단위블럭(100)을 대응시키는 비교단계(S420);를 포함한다.
판단단계(S400)는 가상블럭 확정단계(S410)와 비교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블럭 확정단계(S410)는 가상의 인공 구조물의 외면을 복수개의 가상블럭으로 구분하여 확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비교단계(S420)는 확정된 가상블럭과 실제 조립하는 단위블럭(100)을 대응하면서 비교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현재조립진도와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 이외의 내용은 그 내용이 배치되거나 모순되지 않는다면, 인공 구조물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에서 기술한 내용으로 준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단위블럭 110 : 외면부
120 : 날개부 200 : 연결체
210 : 머리부 211 : 체결돌기
220 : 몸통부 221 : 체결홈
230 : 연결부 300 : 보강체
400 : 촬영모듈 500 : 서버
510 : 인공 구조물 설정모듈 520 : 단위블럭 특정모듈
530 : 판단모듈 600 : 디스플레이
S100 : 설정단계 S200 : 특정단계
S300 : 촬영단계 S400 : 판단단계
S500 : 출력단계

Claims (6)

  1.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에 있어서,
    기본도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면부(110)와 상기 외면부에서 연장 형상되는 날개부(120)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위블럭(100);
    상기 날개부(120)를 서로 연결하여 복수의 상기 단위블럭을 연결하는 연결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120)는 상기 외면부(110)와 소정의 각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블럭(100)은 상기 날개부(120)에 닫힌통공(121a)이 형성된 복수의 조립블럭(100a);과
    상기 날개부(120)에 열린통공(121b)이 형성된 단수의 끼움블럭(100b);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200)는 상기 날개부(120)와 체결되는 체결돌기(211)를 구비하는 머리부(210);
    상기 체결돌기(211)와 대응되는 체결홈(221)을 구비하는 몸통부(220); 및
    상기 머리부(210)와 몸통부(220)를 이어주는 연결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열린통공(121b)은 기울어진 "U"형상으로 형성되는 인공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기본도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면부(110)와 상기 외면부에서 연장 형상되는 날개부(120)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위블럭(100);과 상기 날개부(120)를 서로 연결하여 복수의 상기 단위블럭을 연결하는 연결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블럭(100)은 상기 날개부(120)에 닫힌통공(121a)이 형성된 복수의 조립블럭(100a);과 상기 날개부(120)에 열린통공(121b)이 형성된 단수의 끼움블럭(100b);을 포함하는 인공 구조물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공 구조물의 조립과정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모듈(400);
    상기 촬영모듈에서 입력된 영상정보를 통해 조립의 현재조립진도 및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하는 서버(500); 및
    상기 서버에서 판단한 상기 현재조립진도 및 다음조립순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600);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500)는 가상의 인공 구조물을 설정하는 인공 구조물 설정모듈(510);
    설정된 상기 가상의 인공 구조물의 외면과 대응되는 상기 단위블럭(100)을 특정하는 단위블럭 특정모듈(520);
    상기 현재조립진도 및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하는 판단모듈(530);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모듈(530)은 상기 복수의 조립블럭(100a)이 모두 조립된 후, 상기 단수의 끼움블럭(100b)을 상기 다음조립순서로 판단하는 조립 가이드 시스템.
  6. 기본도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면부(110)와 상기 외면부에서 연장 형상되는 날개부(120)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위블럭(100);과 상기 날개부(120)를 서로 연결하여 복수의 상기 단위블럭을 연결하는 연결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블럭(100)은 상기 날개부(120)에 닫힌통공(121a)이 형성된 복수의 조립블럭(100a);과 상기 날개부(120)에 열린통공(121b)이 형성된 단수의 끼움블럭(100b);을 포함하는 인공 구조물의 조립 가이드 방법에 있어서,
    촬영모듈이 상기 인공 구조물의 조립과정을 촬영하는 촬영단계(S300);
    서버가 상기 촬영모듈에서 입력된 영상정보를 통해 조립의 현재조립진도 및 다음조립순서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400);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서버에서 판단한 상기 현재조립진도 및 다음조립순서를 출력하는 출력단계(S500);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단계(S300) 전에 인공 구조물 설정모듈(510)이 가상의 인공 구조물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100);와
    단위블럭 특정모듈(520)이 설정된 상기 가상의 인공 구조물의 외면과 대응되는 상기 단위블럭(100)을 특정하는 특정단계(S200);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단계(S400)는 상기 가상의 인공 구조물의 외면을 복수개의 가상블럭으로 확정하는 가상블럭 확정단계(S410); 및
    상기 가상블럭과 상기 단위블럭(100)을 대응시키는 비교단계(S420);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S400)는 상기 복수의 조립블럭(100a)이 모두 조립된 후, 상기 단수의 끼움블럭(100b)을 상기 다음조립순서로 판단하는 조립 가이드 방법.
KR1020210107072A 2021-08-13 2021-08-13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과 이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2397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072A KR102397124B1 (ko) 2021-08-13 2021-08-13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과 이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072A KR102397124B1 (ko) 2021-08-13 2021-08-13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과 이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124B1 true KR102397124B1 (ko) 2022-05-12

Family

ID=8159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072A KR102397124B1 (ko) 2021-08-13 2021-08-13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과 이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1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170A (ko) 2009-07-13 2011-01-20 재흥 고 지오데식 돔 천막 및 그 제작방법
KR20140024731A (ko) 2012-08-21 2014-03-03 유제우 조립식 모형제작 시스템.
KR200484287Y1 (ko) 2016-12-15 2017-08-21 임선동 지오데식 돔 하우스 축조 구조
KR101843285B1 (ko) * 2016-10-04 2018-05-14 이홍진 지오데식 돔 하우스 제작 교구
KR20190020566A (ko) 2017-08-21 2019-03-04 강경오 지오데식 돔의 시공방법
KR20190076770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이엠아이티 증강현실 기반 조립 가이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170A (ko) 2009-07-13 2011-01-20 재흥 고 지오데식 돔 천막 및 그 제작방법
KR20140024731A (ko) 2012-08-21 2014-03-03 유제우 조립식 모형제작 시스템.
KR101843285B1 (ko) * 2016-10-04 2018-05-14 이홍진 지오데식 돔 하우스 제작 교구
KR200484287Y1 (ko) 2016-12-15 2017-08-21 임선동 지오데식 돔 하우스 축조 구조
KR20190020566A (ko) 2017-08-21 2019-03-04 강경오 지오데식 돔의 시공방법
KR20190076770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이엠아이티 증강현실 기반 조립 가이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0457B2 (en) Method of construct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with a multi-part construction toy set
US89598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e design
US9808099B2 (en) Method system and kit for producing informational exhibits
WO2009111112A1 (en) Relocatable habitat unit
EP2004296B1 (en) Clambering device
CN104185861A (zh) 建模组合件
US20050075035A1 (en) Toy building set
KR102397124B1 (ko) 지오데식 돔의 원리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과 이의 조립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CN103814179A (zh) 三维上凸框架及其构造方法
US6520831B1 (en) Modular doll house
EP1035395A3 (en) Rigid evaporative heat exchangers
KR101843285B1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제작 교구
CN211215432U (zh) 建筑拼装积木益智玩具
JP6347366B2 (ja) T型の分子構造的レゴ型架構
CN210239033U (zh) 一种便于拼装的塑料地板
CN106390479A (zh) 科教积木
CN207419814U (zh) 快速插接装配的吊顶结构
JP2020165150A (ja) 骨組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ビニルハウス
US20170136653A1 (en) Mold for Making Units of a Dome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14272398U (zh) 一种观景房及其墙体型材
CN217023871U (zh) 一种组合式垃圾桶及其底座
CN114768272B (zh) 具有弧面造型的瓦脊积木结构、玩具及其搭建方法
KR102534234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US20110272401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Form A Fabric Blanket Into A Box
JP6810761B2 (ja) 面フレームと面フレーム接合部品によるフレーム造形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