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006B1 - 탈부착형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입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7006B1 KR102397006B1 KR1020160069311A KR20160069311A KR102397006B1 KR 102397006 B1 KR102397006 B1 KR 102397006B1 KR 1020160069311 A KR1020160069311 A KR 1020160069311A KR 20160069311 A KR20160069311 A KR 20160069311A KR 102397006 B1 KR102397006 B1 KR 1023970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device
- cooking
- detachable input
- detachable
- cooking appli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8—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는, 조리기기에 부착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자석부, 조리기기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조작부를 통한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조리기기로 제어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조리기기의 동작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으로써, 입력장치로 다양한 조리기기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탈부착형 입력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조리기기에 부착되어 명령 입력이 가능한 탈부착형 입력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전자레인지, 히터를 이용한 오븐, 쿡탑(cooktop) 등 다양한 제품들이 보급되고 있다.
한편, 쿡탑은 일반적으로 그 상면에 올려진 조리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조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가스 쿡탑이 대표적이다. 가스 쿡탑의 경우, 화염에 의한 열손실이 커서 열효율이 떨어지므로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한 쿡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전기를 이용하여 금속의 조리 용기를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유도가열 모듈을 내장한 테이블에 대한 연구가 소개되고 있다.
한편, 가정, 식당, 사무실에서 물건이나 음식물을 놓을 수 있고 물건이나 음식물을 지지하는 용도로 테이블(table)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테이블이 단지 물건만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기기 또는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테이블을 다용도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를 구비하는 테이블은 주방의 공간 활용도 및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조리기기에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예를 들면, 버튼 등이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리기기의 입력부는 조리기기마다 다르고, 그에 따른 조작 방법도 상이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어린이가 조작부를 의도치 않게 만지다가 가열 조리기기를 동작시키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따라서,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안전성을 보장하는 입력장치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 명령 입력장치가 테이블 탑에 고정되게 되면, 테이블 형태의 조리기기가 조리용도도 사용되지 않고 다른 용도로 사용될 때, 방해가 되고, 미관을 해치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테이블 형태의 조리기기 등 다양한 조리기기와 사용할 수 있고 심미성이 향상된 입력장치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조리기기에 부착되어 명령 입력이 가능한 탈부착형 입력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안전성을 보장하는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 형태의 조리기기 등 다양한 조리기기와 사용할 수 있고 심미성이 향상된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는, 조리기기에 부착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자석부, 조리기기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조작부를 통한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조리기기로 제어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조리기기의 동작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으로써, 입력장치로 다양한 조리기기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조리기기에 부착되어 명령 입력이 가능한 탈부착형 입력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조리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탈부착형 명렵입력장치는 푸시명령, 회전명령 등 다양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테이블 형태의 조리기기 등 다양한 조리기기와 사용할 수 있고 심미성이 향상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 테이블의 간략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 테이블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조리기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와 조리기기의 자석 배치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 테이블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조리기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와 조리기기의 자석 배치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 테이블의 간략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는 다양한 조리기기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테이블 형태의 구조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미사용시 돌출되는 조작부가 불필요하므로 디자인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는 스마트 테이블(20)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20)은, 무선전력 송신 기능과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과 같이, 스마트 테이블(20)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상판을 포함하거나, 상판과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에는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체에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부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일부 영역에는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이 매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스마트 테이블(20)은 플레이트(본체) 위에 놓여진 조리 용기를 유도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다.
조리 용기가 스마트 테이블(20)의 워킹 코일(working coil)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워킹 코일에 교류 전류, 특히 고주파의 교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워킹 코일에 자기장이 발생한다.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 유도 효과로 인하여, 조리 용기에 와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되게 된다. 이 와전류에 의해 조리 용기의 저항 성분에서 주울(Joul) 열이 발생하여 조리 용기가 가열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20)은,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무선 가전기기, 탈부착형 입력장치로 무선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20)과 무선 가전기기, 탈부착형 입력장치들은, 공지된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예를 들어, 전자기유도 방식과 자기공명 방식에 따라 무선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기유도 방식은, 전기가 흐르는 도체의 주변에서 자기장을 변화시킬 때 전압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자기공명 방식은, 송신기와 수신기가 같은 주파수로 공진할 경우에, 전자파가 전자장을 통하여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이동하는 무선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에 따라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의 송신 코일은 소정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고, 전원부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수신기의 수신 코일에는 상기 자기장에 의해 유도 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테이블(20)은, 플레이트(본체)의 내부 또는 하부에, 무선전력 송신 코일(Tx coil, 210)과 상기 무선전력 송신 코일(2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220)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가전기기, 탈부착형 입력장치는, 무선전력 수신부를 구비하여, 무선전력 수신부의 무선전력 수신 코일을 통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 코일(210)로부터 무선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200)은, 조리 동작시,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유도가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무선전력 송신 코일(210)은, 근접한 물체를 유도가열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working coil)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20)은, 탈부착형 입력장치, 다른 조리기기, 기타 가전기기와 무선 통신 가능하고, 다른 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 테이블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테이블의 다리 부분을 제외한 본체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20)은, 플레이트(본체) 내부 또는 하부에, 무선전력 송신 코일과 상기 무선전력 송신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200)은, 조리 동작시,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유도가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도가열 조리 기능이 수행되는 가열 영역(101)과 무선전력이 전송되는 무선전력 전송영역(102)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20)의 플레이트(본체)에는 가열 영역(101), 무선전력 전송영역(102)이 프린팅(printing)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테이블(20)의 플레이트(본체) 중 적어도 일부에 투과/반투과 영역이 형성되고, 내부의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투과/반투과 영역으로 상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렇게 상부로 방출되는 광으로 각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테이블(20)의 플레이트(본체) 중 일부 영역(103)에는 현재 온도, 현재 동작 상황 등 상태 또는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테이블(20)의 플레이트(본체)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열 영역 조작부(111)와 무선전력 전송영역 조작부(112)가 분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열 영역(101)에 조리 용기를 놓고 유도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전송영역(102)에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무선 가전기기, 탈부착형 입력장치 등이 올려져 있다면, 스마트 테이블(20)은 무선 가전기기, 탈부착형 입력장치 등으로 무선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전력 전송영역(102)에는 복수의 코일이 배치될 수 있고, 무선 가전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어도 일부 코일을 구동하여 무선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유도가열 조리 기능이 수행되는 가열 영역(101)과 무선전력이 전송되는 무선전력 전송영역(102)이 분리된 경우에는, 각 전용 영역이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공간 활용 및 사용자 편의성 면에서, 유도가열 조리 기능과 무선전력 전송 기능을 전용 영역의 구분없이 이용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은, 유도가열 조리 기능과 무선전력 전송 기능을 영역 구분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워킹 코일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는, 내부 공간에 부품들이 내장되는 본체 하우징(310),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0), 조리기기에 부착되는 하단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310)의 상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20)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310)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는 상기 하단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본체 하우징(310)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중공형 바디(body)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본체 하우징(310)의 상측 개구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부(320)가 결합되고, 하측 개구부에 상기 하단부(33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 하우징(3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기 하단부(330)는 조리기기에 부착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부는 하나 이상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 하우징(310)는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부착된 조리기기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회전 명령, 푸쉬 명령, 터치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고 이를 위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다이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회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이얼은 사용자가 인력으로 회전되게 하기 위해 상기 본체 하우징(31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얼은 상기 본체 하우징(3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3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얼은 상기 본체 하우징(310)의 측면 외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310)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중공형 바디(body)를 가지는 경우, 상기 다이얼은 중공형 바디(body)의 둘레방향을 감싸도록 외삽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이얼은 중공형 바디(body)의 상부를 커버하고 투명한 상부영역과 중공형 바디(body)의 둘레방향을 감싸게 배치되는 둘레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 하우징(310)은 상기 다이얼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다이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얼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에는 회로 부품 등 각종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에는 조작부를 통한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조리기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탈부착형 입력장치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를 통합 입력이 있으면, 예를 들어, 다이얼이 회전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그 회전 방향과 회전량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대상 조리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대상 조리기기로부터 동작 상황,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20)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상 조리기기의 동작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조리기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자력에 의해 조리기기(20)에 부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가스레인지, 전자레인지, 오븐 등의 조리기기(20)는 사용자를 향하는 측면에 조작부(21)가 배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20)에 외부 중 자력으로 부착 가능한 위치내에서 자유롭게 부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가 조리기기(20)의 자체 조작부(21)에 인접하여 부착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종래에 판매된 조리기기들 다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를 부착하여 사용하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조리기기라면, 종래의 자체 조작부(21)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조리기기(20)의 사용자를 향하는 측면 디자인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어린이가 장난이나 실수로 조리기기(20)를 잘 못 동작시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자력에 의해 조리기기(2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마트 테이블과 같이 테이블 형태로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조리기기(2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가 부착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리기기(2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작부(11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거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조리기기(20)의 조작부(110) 또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중첩하거나 인접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조리기기(20)와 무선 통신 가능하므로, 조리기기(20)의 디스플레이 수단과 연계하여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회전 명령, 푸쉬 명령, 터치 명령 등 다양한 방식의 입력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된 구조를 가지는 조작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측면에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조리기기에 부착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자석부(330), 상기 조리기기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310), 상기 조작부를 통한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301), 상기 조리기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340), 및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0)는 회전 명령, 푸쉬 명령, 터치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고 이를 위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310)는 다이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회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0)는 회전 가능하고, 회전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세서(301)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01)는 상기 조작부(310)에서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회전 방향, 회전량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무선통신모듈(340)은 제어대상 조리기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301)는 탈부착형 입력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20)는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20)는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20)는 프로세서(301)의 제어에 따라 온도정보, 무게정보, 조리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석부(330)에는, 다른 극성의 자석들이 교호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석부(330)는 N극-S극-N극-S극으로 배치된 자석을 포함하거나 그 역순으로 배치되는 자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와 조리기기의 자석 배치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유도가열(인덕션) 조리기기(20)의 자석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탈부착형 입력장치의 자석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유도가열 조리기기(20)는 복수의 가열부(103, 104, 105)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가열 조리기기(20)는 상기 복수의 가열부(103, 104, 105)가 위치하는 영역 외의 소정 영역(700)에 배치된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석이 배치된 영역(700)에는 다른 극성의 자석들이 교호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상기 자석이 배치된 영역(700)에는 N극-S극-N극-S극으로 배치되거나 그 역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석이 배치된 영역(700)은 상기 유도가열 조리기기(20)의 조작부가 배치된 영역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탈부착형 입력장치의 자석부에는, 다른 극성의 자석들이 교호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석부는 S극-N극-S극-N극으로 배치된 자석을 포함하거나 그 역순으로 배치되는 자석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탈부착형 입력장치에 배치되는 자석의 극성 순서는 상기 조리기기(20)에 배치되는 자석의 극성 순서와 반대 순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기기(20)의 자석이 N극-S극-N극-S극 순서로 배치되면, 탈부착형 입력장치에 배치되는 자석은 S극-N극-S극-N극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상기 조리기기(20)의 자석이 S극-N극-S극-N극의 순서로 배치되면, 탈부착형 입력장치에 배치되는 자석은 N극-S극-N극-S극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른 극성의 자석들이 교호하게 배치함으로써, 탈부착형 입력장치를 조리기기에 부착할 때 수평을 맞추기가 어려워 조작시 어려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20)에 소정 메시지를 표시할 때,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읽을 수 있도록 메시지가 수평으로 표시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사용자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는 PIR(Passive Infrared Ray) 센서일 수 있다. PIR 센서는 적외선을 이용해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로 크기가 매우 작고 원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PIR 센서를 포함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를 예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인체 감지 PIR 센서(9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체 감지 PIR 센서(910)는 좌우로 약 120도의 범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체 감지 PIR 센서(910)는 막 구조 설계를 통해 지향성 획득이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인체 감지 PIR 센서(910)는 막 구조 설계를 통해, 탈부착형 입력장치(300)의 외벽에 대응하도록 설계함으로써, 탈부착형 입력장치(300)의 외벽과 얼라인(align) 가능하고, 이중 기밀성 유지가 가능하다.
한편, 프로세서(301)는 상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사용자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되는 화면의 상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01)는 상기 감지 센서가 사용자 인체를 감지한 방향에서 상하반전없이 볼 수 있도록 영상의 표시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조리기기에 탈부착형 입력장치를 부착하거나, 꺼져있던 조리기기에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 조리기기를 켜면, 상기 인체 감지 PIR 센서(910)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01)는 상기 인체 감지 PIR 센서(910)가 사용자 인체를 감지하면 그대로 화면을 출력하고, 감지되지 않으면 화면을 반전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켜있는 조리기기에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부착되어 사용 중인 경우에는, 프로세서(301)는 현재 설정을 유지하다가,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재위치,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 위치를 다시 감지하도록 상기 감지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360)는, 터치 입력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32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고, 출력수단뿐만 아니라, 입력수단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부(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355)를 통하여 조리기기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355)의 수신 코일은 외부의 무선전력 송신 장치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수신 코일은, 상기 스마트 테이블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상기 수신 코일에 수신된 전력을 직류로 전환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전원 공급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355)는 상기 전원 공급부(350)의 일부로써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50)는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5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본체 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35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외부로 이미지(1000, 1110)를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370)은 소형화가 용이한 레이저 프로젝터이거나 멤스 스캐너(MEMS(micro-electro-mechenical system) scanner)를 포함하는 스캐닝 프로젝터일 수 있다.
스캐닝 프로젝터는 멤스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광을 스캐닝하여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대화면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선통신모듈(340)은 조리기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통신모듈(340)은 조리기기의 통신모듈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340)은 프로세서(301)에서 생성한 제어신호를 조리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340)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무선통신모듈(340)은,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조리기기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모듈(340)은, 조리기기와 통신하여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그에 따른 피드백(feedback)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선통신모듈(340)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마트 테이블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도 11과 같이, 상기 무선통신모듈(34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400)와 통신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34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조리기기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340)이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신호는 레시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301)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301)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한 화면을 상기 프로젝터 모듈(370)을 통하여 외부로 투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소정 요리의 레시피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프로세서(301)는, 레시피 중 제어대상 조리기기와 관련된 부분을 판별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370)을 통하여 외부로 투사하여 표시(1110)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소정 요리의 레시피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프로세서(301)는, 내장된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하여 소정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30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각종 알람 신호, 음성 안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400)를 통하여 소정 웹 페이지, 블로그 요리 레시피 화면 등을 검색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입력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송 명령은 휴대 단말기(400)의 화면 중 메뉴를 터치하는 입력이거나 휴대 단말기(400)를 통한 제스쳐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스처 입력은 휴대 단말기(400)로 탈부착형 입력장치를 2회 노크(Knock)하는 동작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 명령이 있으면, 휴대 단말기(400)의 전체 화면(1210)이 어두워지면서 레시피 카드가 생성되고, 생성된 카드는 화면 상단으로 이동되고, 관련 데이터는 탈부착형 입력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20)는,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신호의 수신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원형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20)는 휴대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신호의 수신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원형 유저 인터페이스(122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원형 유저 인터페이스(1220)는 신호를 수신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텍스트(1221) '로딩(LOADING)'을 중심에 표시하고, 그 수신 정도를 나타내는 원형의 프로그레스바(Progress Bar, 1222)를 텍스트(1221) 주위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탈부착형 입력장치의 원형 디스플레이부(320) 화면 중앙에 '레디(READY)' 텍스트가 생긴 후, 데이터 수신에 따라 '로딩(LOADING)'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형 유저 인터페이스(1220)의 원형의 프로그레스바(1222)는 12시를 시작점으로 시계 방향으로 채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딩(LOADING)이 완료되면 “맛있는 A 요리를 시작합니다.”라는 등의 음성 안내와 함께, 조리 과정이 12시를 시작점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프로그레스 바(1232)가 채워질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프로그레스 바(1232)가 원 형태로 채워지면 총 요리 시간(1231)과 추가 투입 재료 등의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원형 인터페이스(1230)이 디스플레이부(1230)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2d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20)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요리 경과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1241) 및 상기 요리 경과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원형의 프로그레스 바(1242)를 포함하는 원형 인터페이스(1240)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리 경과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는 요리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경과 시간을 나타내거나 총 요리 시간 및 경과 시간을 기초로 예상 잔여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레스 바(1242)는 소정 위치에서부터 소정 방향으로 요리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서 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2시를 시작점으로 생성된 프로그레스 바(1242)가 천천히 사라지며 요리가 시작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요리 경과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는 상기 소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다.
도 12e에 예시된 원형 인터페이스(1250)를 참조하면, 모든 요리 프로그레스(Progress)가 완료되면, 12시를 시작점으로 프로그레스 바(1252)가 빠른 속도로 시계 방향에 따라 채워질 수 있다.
원형 프로그레스 바(1252)가 모두 채워지면 그 중앙에 'DONE' 텍스트(1251)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원형 인터페이스(1250)는 'DONE' 텍스트(1251)가 표시된 후에 표시되는 체크 아이콘(Icon)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과정 동선은 어떠한 작업 동선보다도 복잡하다. 따라서 조리 시 조리자는 싱크대 및 인덕션 조리기기 주변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자리를 비우는 경우가 다수 있다. 그러므로 인덕션 조리기기 자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는 알림 확인 및 즉각적 컨트롤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어린이가 실수로 조리기기를 조작하다가 사고를 당할 위험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시에 조리기기에 탈부착형 입력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형 입력장치는 조리기기와 통신이 되면 조리기기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조리기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자는 탈부착형 입력장치를 들고 다니며 실시간으로 시각 피드백 받고 원격으로 컨트롤까지 가능하다.
한편, 조리자가 조리 과정에서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시, 조리 시간 등 사소한 정보를 보기 위해 디바이스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리자의 손에 물이나 재료가 묻어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 스크롤이 어렵고, 화면이 자주 꺼진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요 정보가 탈부착형 입력장치로 전달되고, 탈부착형 입력장치에 표시되어 직관적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탈부착형 입력장치를 계속 켜두는 올웨이즈 온(Always On) 기능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가 꺼진 상태에서도 조리 상태 지속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스마트 테이블: 20
탈부착형 입력장치: 300
조작부: 310
디스플레이부: 320
자석부: 330
무선통신모듈: 340
전원공급부: 350
센싱부: 360
프로젝터모듈: 370
오디오출력부: 380
탈부착형 입력장치: 300
조작부: 310
디스플레이부: 320
자석부: 330
무선통신모듈: 340
전원공급부: 350
센싱부: 360
프로젝터모듈: 370
오디오출력부: 380
Claims (18)
- 조리기기에 부착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자석부;
상기 조리기기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를 통한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조리기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다른 극성의 자석들이 교호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조리기기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유도가열 조리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회전 가능하고, 회전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조리기기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신호는 레시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신호의 수신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원형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요리 경과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text) 및 상기 요리 경과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원형의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는 소정 위치에서부터 소정 방향으로 요리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서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요리 경과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는 상기 소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사용자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상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터치 입력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 이미지를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을 더 포함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형 입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9311A KR102397006B1 (ko) | 2016-06-03 | 2016-06-03 | 탈부착형 입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9311A KR102397006B1 (ko) | 2016-06-03 | 2016-06-03 | 탈부착형 입력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7336A KR20170137336A (ko) | 2017-12-13 |
KR102397006B1 true KR102397006B1 (ko) | 2022-05-11 |
Family
ID=6094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9311A KR102397006B1 (ko) | 2016-06-03 | 2016-06-03 | 탈부착형 입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700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6637B1 (ko) * | 2017-12-28 | 2022-09-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음향 출력 시스템 및 음성 처리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6565B1 (ko) | 2011-10-05 | 2013-01-21 | 이동형 | 리모컨 분실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JP5143090B2 (ja) | 2008-06-10 | 2013-02-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誘導加熱調理器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0984B1 (ko) * | 2004-12-03 | 2007-02-09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전자렌지의 조리제어 장치 |
KR102236587B1 (ko) * | 2014-09-04 | 2021-04-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덕션 장치 및 온도 조절 방법 |
-
2016
- 2016-06-03 KR KR1020160069311A patent/KR1023970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43090B2 (ja) | 2008-06-10 | 2013-02-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誘導加熱調理器 |
KR101216565B1 (ko) | 2011-10-05 | 2013-01-21 | 이동형 | 리모컨 분실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7336A (ko) | 2017-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46284B2 (ja) | システムキッチン | |
CN105640299B (zh) | 具有火力提示的智能炊具 | |
KR20170111364A (ko) | 걸이형 요리정보 제공기기 | |
JP2017512366A (ja) | 通信機能付き誘導調理テーブルおよびテーブル上の通信機能付き調理器具の探索および追跡の方法 | |
KR102506519B1 (ko) | 스마트 테이블 | |
JP4660623B2 (ja) | 誘導加熱調理器 | |
EP4037147A1 (en) | Wireless pow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US20140039650A1 (en) | Device for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household appliance by means of at least on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
EP2859776B1 (en) | A wireless kitchen appliance | |
CN206261475U (zh) | 烹饪器具 | |
EP2681491A2 (en) | Universal device for energy control in the form of a button | |
CN205849261U (zh) | 用于烹饪器具的无线供电系统和烹饪器具 | |
KR20170035852A (ko) | 용기받침대 | |
US11064578B2 (en) |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 |
WO2010143244A1 (ja) | 誘導加熱調理器 | |
KR20170123981A (ko) | 탈부착형 명령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 |
KR102397006B1 (ko) | 탈부착형 입력장치 | |
JP2008293889A (ja) | 加熱調理器及び調理器具 | |
CN112336164B (zh) | 旋钮组件和烹饪器具 | |
KR102438929B1 (ko) |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
CN207196563U (zh) | 加热平台、器具及烹饪器具 | |
CN208610579U (zh) | 一种ih电热壶 | |
CN112254182A (zh) | 一种重量检测以及远程控制智能灶具 | |
KR20230166858A (ko) | 전기레인지 및 이의 놉 | |
US20230025123A1 (en) | He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hea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