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857B1 -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857B1
KR102396857B1 KR1020150077800A KR20150077800A KR102396857B1 KR 102396857 B1 KR102396857 B1 KR 102396857B1 KR 1020150077800 A KR1020150077800 A KR 1020150077800A KR 20150077800 A KR20150077800 A KR 20150077800A KR 102396857 B1 KR102396857 B1 KR 102396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body
washing machine
door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020A (ko
Inventor
전우성
류광훈
이상종
장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7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85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7Sonic or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는 피세척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기 본체;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어;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면과 상기 도어의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면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세척조를 형성하는 내부 도어;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세척기 본체에 설치되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진기; 상기 세척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와 상기 내부 도어에 의해 형성된 상기 세척조에 채워지는 세척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분사 노즐과 상기 초음파 발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Washing apparatus having ultrasonic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분사하여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기능과 초음파로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기능을 구비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시와 같은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세척장치는 상부와 하부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을 사용하여 바스켓에 거치된 피세척물을 세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수의 분사 노즐을 사용하여 세척을 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세척장치는 밥풀이나 고춧가루 같은 오물이 피세척물에 말라붙어 있는 경우에는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세척조에 일정한 양의 물, 즉 세척수를 채우고, 초음파 발진기로 초음파를 발생시켜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초음파 세척장치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초음파 세척장치는 세척수를 매개체로 하여 캐비테이션(cavitation), 입자 가속 등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피세척물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초음파 세척장치는 세척조에 담긴 세척수에 의해 피세척물이 재오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세척조 때문에 피세척물을 세척장치의 내부에 안치하거나 꺼내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세척장치는 세척에 사용한 모든 물을 배수하므로 물소비량이 높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피세척물의 세척효과가 높으면서도 재오염의 가능성이 없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에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 세척이 가능하면서도, 별도의 세척조 없이 내부 도어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세척조를 형성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에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세척물 사용시 소비되는 물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도록 바로 전의 세척공정의 헹굼 단계에서 사용한 세척수를 별도의 저장 탱크에 저장하였다가 다음 세척공정의 초기 세척에 사용할 수 있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는, 피세척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기 본체;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어;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면과 상기 도어의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면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세척조를 형성하는 내부 도어;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세척기 본체에 설치되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진기; 상기 세척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와 상기 내부 도어에 의해 형성된 상기 세척조에 채워지는 세척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분사 노즐과 상기 초음파 발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는 상기 세척기 본체 일면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면 하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하단 도어; 및 상기 하단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면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상단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하단 도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양 측벽 사이로 세척수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1실링부재; 및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로 상기 세척수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2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실링부재는 상기 세척기 본체의 양 내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내부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도어는 상기 하단 도어에 대해 9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에는 피세척물을 수납할 수 있는 바스켓이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에 대해 상기 도어와 상기 내부 도어를 개방하면, 상기 내부 도어 위로 상기 바스켓을 상기 세척기 본체 내부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분사 노즐;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 공간의 중간에 설치되는 중간 분사 노즐; 및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분사 노즐과 중간 분사 노즐 사이에 설치되며, 피세척물이 거치되는 상부 바스켓; 및 상기 하부 분사 노즐과 중간 분사 노즐 사이에 설치되며, 피세척물이 거치되는 하부 바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의 높이는 상기 하부 바스켓이 잠길 수 있는 상기 세척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발진기는 상기 세척기 본체의 양 측면과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조에 채워진 세척수에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저장하는 세척수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기 본체에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 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헹굼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배수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헹굼 단계에서 사용된 물을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로 공급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초음파 세척을 하기 전에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의 세척수를 상기 세척조로 공급하도록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4은 도 3의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상단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상단 도어와 하단 도어가 모두 개방되고, 내부 도어는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에서 내부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에서 하부 바스켓을 꺼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는 도 5와 같이 내부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 내부 도어의 실링을 위해 세척기 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된 제1실링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선 A-A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b는 도 6과 같이 내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세척기 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된 제1실링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선 A-A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a는 도 5와 같이 내부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 내부 도어와 세척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의 실링을 위해 설치된 제2실링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b는 도 6과 같이 내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내부 도어의 하측에 설치된 제2실링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세척수 저장 탱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상단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상단 도어와 하단 도어가 모두 개방되고, 내부 도어는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에서 내부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에서 하부 바스켓을 꺼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1)는 세척기 본체(10), 도어(20), 내부 도어(50), 분사 노즐(60), 수위감지센서(80), 초음파 발진기(81), 및 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기 본체(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세척기 본체(10)의 내부는 피세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세척 공간을 형성한다. 세척기 본체(10)의 일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도어(2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20)로 세척기 본체(10)의 일면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개방되어 있는 세척기 본체(10)의 일면을 세척기 본체(10)의 전면이라 한다. 따라서, 도어(20)로 세척기 본체(10)의 전면을 닫은 경우에,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세척기 본체(10)의 내부의 세척 공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사 노즐(60)과 바스켓(65,66)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노즐(60)은 바스켓(65,66)에 적재된 피세척물에 대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피세척물에 부착된 오물을 제거한다.
복수의 분사 노즐(60)은 3개의 높이로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분사 노즐(60)은 세척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분사 노즐(61), 세척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의 중간에 설치되는 중간 분사 노즐(62), 및 세척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 분사 노즐(63)을 포함한다. 상부 분사 노즐(61)은 아래쪽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노즐 구멍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상부 분사 노즐(61)은 4개의 노즐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분사 노즐(62)은 상측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노즐 구멍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중간 분사 노즐(62)은 6개의 노즐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분사 노즐(63)은 상측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노즐 구멍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하부 분사 노즐(63)은 6개의 노즐 구멍을 포함하며, 상부 분사 노즐(61)이 설치된 높이까지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65,66)은 세척할 피세척물이 적재되는 것으로서, 접시 등과 같은 피세척물을 일정 간격으로 안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스켓(65,66)은 세척기 본체(10)의 내부에 2개가 설치된다. 상술한 상부 분사 노즐(61)과 중간 분사 노즐(62) 사이에 상부 바스켓(65)이 설치되고, 상술한 하부 분사 노즐(63)과 중간 분사 노즐(62) 사이에는 하부 바스켓(63)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 바스켓(65)과 하부 바스켓(66)에 적재된 피세척물은 상부 분사 노즐(61), 중간 분사 노즐(62), 및 하부 분사 노즐(63)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바스켓(65)과 하부 바스켓(66)은 세척기 본체(10)의 전면을 통해 세척기 본체(10) 외부로 착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어(20)는 세척기 본체(10)의 일면, 즉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세척기 본체(10)의 전면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어(20)의 하단이 세척기 본체(10)의 전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 도어(20)가 세척기 본체(10)에 대해 대략 90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어(20)는 2단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도어(30)와 상단 도어(40)로 구성할 수 있다. 하단 도어(30)는 세척기 본체(10)의 전면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세척기 본체(10)의 전면 하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하단 도어(30)는 세척기 본체(10)의 전면의 대략 절반 정도의 면적에 해당하는 전면의 하측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단 도어(30)는 세척기 본체(10)의 하단에 대해 대략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단 도어(40)는 상기 하단 도어(3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세척기 본체(10)의 전면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단 도어(40)는 세척기 본체(10)의 전면의 대략 절반 정도의 면적에 해당하는 전면의 하측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단 도어(40)는 하단 도어(30)의 상단에 대해 대략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단 도어(3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단 도어(40)가 도 3과 같이 세척기 본체(10)의 전면의 상부를 닫는 경우에, 세척기 본체(10)에서 세척이 수행될 때, 상단 도어(40)와 세척기 본체(10) 사이로 세척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단 도어(40)의 내면에는 실링부재(41)가 설치된다.
상단 도어(40)와 하단 도어(30)는 개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단 도어(40)를 개방한 후, 하단 도어(30)를 개방할 수 있다. 닫을 경우에는 하단 도어(30)를 닫은 후 상단 도어(40)를 닫을 수 있다. 또는 상단 도어(40)와 하단 도어(30)를 일체로 닫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20)를 상단 도어(40)와 하단 도어(30)로 구성하면, 상부 바스켓(65)을 이용하여 피세척물을 분사 노즐(61,62,63)로만 세척할 경우에는, 상단 도어(40)만을 개방하여 피세척물을 상부 바스켓(65)에 안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 도어(40)를 개방하면, 상단 도어(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도어(30)에 대해 대략 90도를 이루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세척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있는 상부 바스켓(65)을 상단 도어(40)의 위로 꺼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부 바스켓(65)에 피세척물을 적재하거나 꺼낼 수 있으므로 작업이 편리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의 내측에는 내부 도어(5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도어(50)는 세척기 본체(10)의 전면(11)과 하단 도어(30)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예로서, 내부 도어(50)는 세척기 본체(10)의 전면(11)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세척기 본체(10)에 대해 약 90도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내부 도어(50)가 90도 회전하여 세척기 본체(10)의 전면(11) 하부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내부 도어(50)는 하단 도어(30)의 내면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도어(50)의 외면과 하단 도어(30)의 내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어(50)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경우, 하단 도어(30)의 내면은 내부 도어(50)의 돌출된 외면에 대응하여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내부 도어(50)를 개방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내부 도어(50) 위로 하부 바스켓(66)을 세척기 본체(10)의 내부에 착탈할 수 있다. 내부 도어(50)는 후킹 구조를 이용하여 세척기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도어(50)에 래치를 설치하고, 세척기 본체 전면(11)에 래치 와이어를 설치하여 내부 도어(50)를 닫으면, 내부 도어(50)가 세척기 본체(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내부 도어(50)가 세척기 본체(10)의 전면(11)에 고정되면 세척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일정 량의 물, 즉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세척조가 형성된다. 즉, 내부 도어(50)와 세척기 본체(10)의 3개의 내측면과 바닥면이 일정 량의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내부 도어(50)에 의해 세척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는 대략 내부 도어(50)의 높이(H)에 대응하는 세척조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세척조가 수용할 수 있는 세척수의 양은 하부 바스켓(66)에 적재된 피세척물이 완전히 잠길 수 있도록 결정된다. 예를 들면, 내부 도어(50)에 의해 형성되는 세척조는 약 60 리터의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초음파 세척을 하지 않고 물을 분사하여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세척장치는 약 10리터의 세척수를 세척기 본체의 바닥에 마련된 저장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내부 도어(50)는 도어(2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H)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어(20)가 2단, 즉 상단 도어(40)와 하단 도어(30)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부 도어(50)는 하단 도어(30)의 높이(h)에 대응하는 높이(H)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 도어(50)는 하단 도어(30)와 상단 도어(40)의 전체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내부 도어(50)가 세척기 본체(10)의 전면(11)을 폐쇄하여 세척조를 형성할 때, 세척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세척수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내부 도어(50)와 세척기 본체(10) 사이에는 실링부재(71,72)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8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내부 도어(50)와 세척기 본체(10) 사이에 설치된 실링부재(71,72)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는 도 5와 같이 내부 도어(50)가 닫혀 있는 경우, 내부 도어(50)의 실링을 위해 세척기 본체(10)의 양 측면에 설치된 제1실링부재(71)를 나타내기 위해 선 A-A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6과 같이 내부 도어(50)가 개방되었을 때, 세척기 본체(10)의 양 측면에 설치된 제1실링부재(71)를 나타내기 위해 선 A-A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5와 같이 내부 도어(50)가 닫혀 있는 경우, 내부 도어(50)와 세척기 본체(10)의 바닥면의 실링을 위해 설치된 제2실링부재(72)를 나타내기 위해 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6과 같이 내부 도어(50)가 개방되었을 때, 내부 도어(50)의 하측에 설치된 제2실링부재(71)를 나타내기 위해 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세척기 본체(10)의 내측벽(12)에는 내부 도어(50)와 세척기 본체(10)의 일 측벽 사이로 세척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실링부재(71)가 설치된다. 제1실링부재(71)는 고정부(71a)와 고정부(71a)의 일단에서 연장된 날개부(71b)를 포함한다. 제1실링부재(71)의 고정부(71a)는 고정 브라켓(73)에 의해 세척기 본체(10)의 내측벽(12)에 고정된다. 이때, 제1실링부재(71)는 세척기 본체(10)의 전면(11)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내부 도어(50)의 내면은 90도로 2번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제1절곡부(51)는 세척기 본체(10)의 내측벽(12)과 마주하고, 제2절곡부(52)는 제1실링부재(71)의 날개부(71b)와 접촉한다. 따라서, 내부 도어(50)를 닫으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링부재(71)의 날개부(71b)가 내부 도어(50)의 내면, 즉 제2절곡부(52)와 접촉하며 변형되어 내부 도어(50)와 세척기 본체(10)의 내측벽(12) 사이를 실링한다.
도 7과 같이 내부 도어(50)를 개방하면, 제1실링부재(71)의 날개부(71b)는 힘을 받지 않으므로, 제1실링부재(71)의 날개부(71b)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복원된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세척기 본체(10)의 일 내측벽(12)에 설치된 제1실링부재(71)만 도시하고 있으나, 세척기 본체(10)의 반대 내측벽(13)에도 상술한 제1실링부재(71)와 동일한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내부 도어(50)의 하단에는 내부 도어(50)의 하단(55)과 세척기 본체(10)의 바닥면(14) 사이로 세척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실링부재(72)가 설치된다. 제2실링부재(72)는 고정부(72a)와 고정부(72a)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날개부(72b)를 포함한다. 제2실링부재(72)의 고정부(72a)는 체결부재(73)에 의해 내부 도어(50)의 하단(55)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제2실링부재(72)의 날개부(72b)는 고정부(72a)에서 대략 U자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부 도어(50)의 하단(55)과 마주하는 세척기 본체(10)의 바닥면(14)의 부분(15)은 상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실링부재(72)는 세척기 본체(10)의 바닥면(14)의 돌출부(15)를 마주하도록 내부 도어(50)의 하단(55)에 설치된다. 제2실링부재(72)의 날개부(72b)는 세척기 본체(10)의 바닥면(14)의 돌출부(15)와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2실링부재(72)의 날개부(72b)와 접촉하는 돌출부(55)의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 도어(50)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기 본체(10)의 전면(11)을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나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기 본체(10)의 전면(11)을 개방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제2실링부재(72)는 세척기 본체(10)의 바닥면(14)과 내부 도어(50)의 하단(55) 사이로 세척수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80)는 세척기 본체(10)와 내부 도어(50)에 의해 형성되는 세척조에 채워지는 세척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세척기 본체(10)에 설치된다. 수위감지센서(80)는 세척조에 세척수가 최대 높이까지 찬 경우와 세척수가 세척조에서 완전히 배수된 경우를 검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80)는 세척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90)로 전송한다.
초음파 발진기(81)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세척조에 담긴 세척수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것으로서 세척기 본체(1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발진기(81)는 세척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수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도록 세척기 본체(10)의 내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초음파 발진기(81)는 세척조에 수용되는 세척수에 의해 잠길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초음파 발진기(81)는 한 개만 설치할 수도 있으나, 세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세척기 본체(10)의 양 내측벽(12,13)과 바닥면(14)에 초음파 발진기(81)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조에 세척수가 담긴 상태에서 3개의 초음파 발진기(81)를 동작시키면, 세척수가 3방향으로부터 초음파 진동을 일으키므로 세척조에 잠긴 하부 바스켓(66)에 거치된 피세척물에 부착된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세척기 본체(10)에는 세척기 본체(1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저장하는 세척수 저장 탱크(100)가 설치될 수 있다. 세척수 저장 탱크(100)는 세척 공정의 마지막 공정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를 보관하였다가, 다음 세척을 수행할 때, 초기에 이물 제거를 위한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세척 공정이 초기 이물 제거 -> 1차 세척(예비 세척) -> 2차 세척(주 세척) -> 헹굼으로 구성된 경우에, 헹굼 과정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세척수 저장 탱크(100)에 보관하고, 다음 세척의 초기 이물 제거 과정에 저장된 세척수를 사용할 수 있다. 통상 헹굼에 사용된 세척수는 탁도 및 이물이 거의 없는 맑은 세척수이므로 재활용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수 저장 탱크(100)를 설치하면, 세척수를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세척장치에 비해 물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 저장 탱크(100)는 세척기 본체(10)의 일측벽에 설치된다. 즉, 세척수 저장 탱크(100)는 세척기 본체(10)의 측벽 외부에 설치된다. 세척수 저장 탱크(100)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커버(105)로 가려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수 저장 탱크(100)를 세척기 본체(10)의 일측벽에 한 개만 설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세척수 저장 탱크(100)는 세척기 본체(10)의 상측 또는 반대측 측벽에 적어도 한 개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즉, 2개 또는 3개의 세척수 저장 탱크(100)를 세척기 본체(10)에 설치할 수 있다.
헹굼에 사용된 세척수를 세척수 저장 탱크(100)로 공급하기 위해 세척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사용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 펌프(drain pump)(82)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척수 저장 탱크(100)에는 배수 펌프(82)에 연결된 공급 호스(101)가 마련된다. 공급 호스(101)에는 공급 호스(101)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공급 밸브(102)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어부(90)에 의해 공급 밸브(102)가 개방되면, 세척조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공급 호스(101)를 통해 세척수 저장 탱크(100)로 공급되어 저장된다.
또한, 세척수 저장 탱크(100)에는 세척수 저장 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를 세척기 본체(10)의 세척조로 공급하는 배출 호스(104)가 마련된다. 배출 호스(104)에는 배출 호스(104)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배출 밸브(103)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어부(90)에 의해 배출 밸브(103)가 개방되면, 세척수 저장 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가 세척조로 공급된다.
제어부(90)는 상술한 수위감지센서(8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세척조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한다. 또한, 제어부(90)는 상술한 복수의 분사 노즐(60)과 초음파 발진기(81)를 제어하여 바스켓(65,66)에 적재된 피세척물을 세척한다.
이상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1)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세척장치와 유사하게 외부로부터 세척기 본체(1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배관과 급수 펌프(85) 및 세척기 본체(10)로부터 외부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 배관(83)과 배수 펌프(82)를 포함한다. 배수 배관(83)에는 배수 배관(83)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배수 밸브(84)가 설치된다. 배수 펌프(82)에는 상술한 공급 호스(101)가 연결되어 있어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일부의 세척수를 세척수 저장 탱크(100)로 공급할 수 있다.
배수 배관(83)에는 오물처리장치(110)가 설치될 수 있다. 오물처리장치(110)는 피세척물을 세척함으로써 세척수에 혼입된 오염물을 걸러내고, 오염물이 제거된 물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오물처리장치(110)는 세척기 본체(10)의 하부에 세척기 본체(1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오물처리장치(110)는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초음파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부 바스켓(66)에 접시와 같은 피세척물을 안치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단 도어(40)와 하단 도어(30)를 열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도어(40)와 하단 도어(30)가 세척기 본체(10)의 전면(11)과 대략 90도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내부 도어(50)는 닫혀 있는 상태이다. 이어서, 사용자는 내부 도어(50)를 개방하여 내부 도어(5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도어(30)의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쉽게 하부 바스켓(30)을 내부 도어(50)의 위쪽으로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바스켓(66)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하부 바스켓(66)에 피세척물을 쉽게 거치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하부 바스켓(66)을 세척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안치시킨 후, 내부 도어(50), 하단 도어(30), 및 상단 도어(40)를 닫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기 본체(10)의 전면(11)을 닫는다.
세척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90)는 세척수 저장 탱크(100)의 배출 밸브(103)를 제어하여 세척수 저장 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가 세척기 본체 (10) 내의 세척조로 공급되도록 한다.
세척수 저장 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가 세척조를 채우기 부족한 경우에는, 제어부(90)는 급수 펌프(85)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한다. 이때, 제어부(90)는 수위감지센서(80)를 통해 세척조에 수용된 세척수의 양을 확인한다.
세척조에 세척수가 일정 높이까지 차면, 제어부(90)는 급수 펌프(85)를 정지시켜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그 후, 제어부(90)는 3개의 초음파 발진기(81)를 제어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초음파가 발생하면, 초음파에 의해 세척수에 진동이 발생하므로 세척수에 잠긴 하부 바스켓(66)에 거치된 피세척물의 오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제어부(90)는 초음파 발진기(81)를 정지시키고, 배수 펌프(82)를 제어하여 세척조에 담긴 세척수를 배출한다. 세척수는 배수 배관(83)을 통해 세척기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
제어부(90)는 수위감지센서(80)를 통해 세척조에 담긴 세척수의 배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세척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하부 분사 노즐(63)과 상부 분사 노즐(61)을 제어하여 세척수를 분사하여 1차 세정을 수행한다. 그러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하부 바스켓(66)에 거치된 피세척물이 세척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90)는 하부 분사 노즐(63)과 상부 분사 노즐(61)을 정지시키고, 배수 펌프(82)를 작동시켜 1차 세정에 사용된 세척수를 배출한다.
그 후, 제어부(90)는 다시 하부 분사 노즐(63)과 상부 분사 노즐(61)을 동작시켜 세척수를 분사하여 2차 세정을 수행한다. 그러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하부 바스켓(66)에 거치된 피세척물이 다시 세척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90)는 하부 분사 노즐(63)과 상부 분사 노즐(61)을 정지시키고, 배수 펌프(82)를 작동시켜 2차 세정에 사용된 세척수를 배출한다.
그 후, 제어부(90)는 다시 하부 분사 노즐(63)과 상부 분사 노즐(61)을 동작시켜 세척수를 분사하여 헹굼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하부 바스켓(66)에 거치된 피세척물이 헹궈진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90)는 하부 분사 노즐(63)과 상부 분사 노즐(61)을 정지시키고, 세척수 저장 탱크(100)와 배수 펌프(82)를 연결하는 급수 밸브(85)를 개방한 후, 배수 펌프(8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헹굼 과정에서 사용된 세척수는 공급 호스(101)를 통해 세척수 저장 탱크(100)로 공급되어 저장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초음파에 의한 이물 제거과정, 제1차 세정, 제2차 세정이 수행된 후, 세척수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공급 밸브(102)는 차단되어 있으므로, 배수 펌프(82)가 작동하여도 배출되는 세척수가 세척수 저장 탱크(100)로 공급되지 않는다.
헹굼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단 도어(40), 하단 도어(30) 및 내부 도어(50)를 개방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바스켓(66)을 세척기 본체(10)의 내부에서 하단 도어(30)의 위에 위치하는 내부 도어(50)의 위로 위치시킨 후, 피세척물을 꺼낸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세척이 완료된 피세척물을 외부로 노출된 하부 바스켓(66)에서 꺼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에 의하면,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세척물에 부착된 오물을 일차로 제거하고 분사되는 세척수로 잔존하는 오물을 제거하므로 피세척물의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세척조가 없이 개폐 가능한 내부 도어를 이용하여 초음파 세척이 가능한 세척조를 형성하므로, 피세척물을 세척기 본체에 적재하거나 꺼내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는, 헹굼 과정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저장하였다가 다음 세척 작업에 공급할 수 있는 세척수 저장 탱크를 구비하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세척장치에 비해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10; 세척기 본체 20; 도어
30; 하단 도어 40; 상단 도어
41; 실링부재 50; 내부 도어
60; 분사 노즐 61; 상부 분사 노즐
62; 중간 분사 노즐 63; 하부 분사 노즐
65; 상부 바스켓 66; 하부 바스켓
71; 제1실링부재 72; 제2실링부재
80; 수위감지센서 81; 초음파 발진기
82; 배수 펌프 83; 배수 배관
84; 배수 밸브 85; 급수 펌프
90; 제어부 100; 세척수 저장 탱크
101; 공급 호스 102; 공급 밸브
103; 배출 밸브 104; 배출 호스
110; 오물처리장치

Claims (15)

  1. 피세척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기 본체;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어;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면과 상기 도어의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면에 고정되면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세척조를 형성하는 내부 도어;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세척기 본체에 설치되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진기;
    상기 세척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와 상기 내부 도어에 의해 형성된 상기 세척조에 채워지는 세척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분사 노즐과 상기 초음파 발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세척기 본체 일면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면 하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하단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하단 도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하단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면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상단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양 측벽 사이로 세척수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1실링부재; 및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로 상기 세척수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2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재는 상기 세척기 본체의 양 내측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내부 도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도어는 상기 하단 도어에 대해 9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에는 피세척물을 수납할 수 있는 바스켓이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에 대해 상기 도어와 상기 내부 도어를 개방하면, 상기 내부 도어 위로 상기 바스켓을 상기 세척기 본체 내부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분사 노즐;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 공간의 중간에 설치되는 중간 분사 노즐; 및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분사 노즐과 중간 분사 노즐 사이에 설치되며, 피세척물이 거치되는 상부 바스켓; 및
    상기 하부 분사 노즐과 중간 분사 노즐 사이에 설치되며, 피세척물이 거치되는 하부 바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의 높이는 상기 하부 바스켓이 잠길 수 있는 상기 세척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진기는 상기 세척기 본체의 양 측면과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조에 채워진 세척수에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저장하는 세척수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 본체에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 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헹굼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배수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헹굼 단계에서 사용된 물을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로 공급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초음파 세척을 하기 전에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의 세척수를 상기 세척조로 공급하도록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KR1020150077800A 2015-06-02 2015-06-02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KR102396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800A KR102396857B1 (ko) 2015-06-02 2015-06-02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800A KR102396857B1 (ko) 2015-06-02 2015-06-02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20A KR20160142020A (ko) 2016-12-12
KR102396857B1 true KR102396857B1 (ko) 2022-05-12

Family

ID=5757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800A KR102396857B1 (ko) 2015-06-02 2015-06-02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2711A (zh) * 2019-12-10 2021-06-11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超声波清洗功能的冲牙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897Y1 (ko) * 2000-10-20 2001-04-16 홍정남 초음파 식기 세척기
KR101054115B1 (ko) * 2004-05-20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실링 개스킷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820B1 (ko) * 2012-10-08 2019-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897Y1 (ko) * 2000-10-20 2001-04-16 홍정남 초음파 식기 세척기
KR101054115B1 (ko) * 2004-05-20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실링 개스킷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20A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8950B2 (en) Dishwasher with a device for dissolving detergent
RU2589646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и способ дезинфекции или очистки такого контейнера
KR20120052524A (ko) 공기 방울을 이용한 식품 세척기
JP2010136795A (ja) 食器洗い機
EP1611831B1 (en) Mist generating device, and dishwasher and washing machine using same
WO2018008377A1 (ja) 超音波洗浄器
KR102396857B1 (ko) 초음파 세척 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
KR101447156B1 (ko) 세척기능을 갖는 콘택트 렌즈 보관용 케이스
JP2016073908A (ja) 洗浄器
KR100604381B1 (ko) 음식물 세척기
KR20070117914A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JP2009136419A (ja) 食器洗い機
JP4600527B2 (ja) 食器洗い機
KR20070089720A (ko) 물-도수 가정용 장치
JP7012938B2 (ja) 洗浄器
CN210263249U (zh) 一种清洗槽
JP4444012B2 (ja) 食器洗い機
KR100945830B1 (ko) 미술용 물통
JP4356522B2 (ja) 食器洗い機
JP2010051670A (ja) 食器洗い機
KR20060008627A (ko) 샤워 기능을 갖는 전자동 3차원 초음파 세척기
WO2023066274A1 (zh) 滚筒洗衣机
JP2009297196A (ja) 食器洗い機
KR200346091Y1 (ko) 이동식 세척기
JPH0957223A (ja) 部品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