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635B1 -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635B1
KR102396635B1 KR1020160074923A KR20160074923A KR102396635B1 KR 102396635 B1 KR102396635 B1 KR 102396635B1 KR 1020160074923 A KR1020160074923 A KR 1020160074923A KR 20160074923 A KR20160074923 A KR 20160074923A KR 102396635 B1 KR102396635 B1 KR 102396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ncy
optical signal
switching
latency differenc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560A (ko
Inventor
이선익
김상우
송명훈
조범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Publication of KR20170096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 H04B10/25752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 H04B10/25753Distribution optical network, e.g.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remote units
    • H04B10/25755Ring network top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04B10/275Ring-typ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3WDM ring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9Bidirection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87Protection in WD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3WDM arrangements
    • H04J14/0307Multiplexers; De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57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04J2203/006Fault tolerance and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73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J2203/0076Channel characteristics, e.g. BER, 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delay, j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98Traffic aspects, e.g. arbitration, load balancing, smoothing, buffe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집중국(Central Office)에 집중된 BBU(baseband unit) 그룹에 연결된 중심 노드(Centralization Node); 원격지에 분산된 복수개의 RRH(remote radio head) 그룹에 연결된 복수개의 분배 노드(Distribution Node);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복수개의 분배 노드를 연결하고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복수개의 분배 노드 사이에서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양방향 링 네트워크; 및 전기신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FIFO(First In First Out)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분배 노드 각각은,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역다중화(Demultiplexing) 방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광신호 각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FIFO(First In First Out) 버퍼에 저장하며, 상기 FIFO 버퍼에 저장된 각 상기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재변환하되, 상기 FIFO 버퍼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양방향 링 네트워크에서 절체가 발생하기 전과 상기 절체가 발생한 후의 레이턴시(Latency) 차이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시스템{System for Compensating for the Latency caused by Switchover from the Fronthaul Ring Topology}
본 발명은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FIFO 버퍼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절체가 발생하기 전과 절체가 발생한 후의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선 통신과 무선통신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패킷(Packet)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데이터 요구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보급으로 인하여 앞으로도 트래픽 양이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증가하는 트래픽을 해결하고자 네트워크를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으로 분리하여, 상위 그룹을 집중화하고 하위 그룹을 서비스가 필요한 지역에 분산 배치함으로써 집중화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네트워크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이 네트워크를 C-RAN(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이라고 한다.
기존의 패시브(Passive) 방식의 네트워크는 기지국을 추가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 간편하게 기지국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기지국의 통합 관리가 어렵고, 회선 보호 기능이 없어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기지국은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본 명세서의 'BBU(Baseband Unit)'에 대응)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본 명세서의 'RRH(Remote Radio Head)'에 대응)를 한 곳에 비치하여야 하는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는 고열이 발생하여 에어컨 등의 설비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기지국의 갯수가 늘어날수록 공간 낭비 및 설치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구조가 C-RAN이다.
C-RAN에서, 단말기 위치를 기준으로 전단에 있는 네트워크를 프론트홀(Fronthaul)이라고 하고, 후단에 있는 네트워크를 백홀(Backhaul)이라고 하는데, C-RAN은 프론트홀의 구조에 주된 특징이 있다.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BBU)는 단가가 높고, 에어컨 등의 설비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열 발생이 많아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반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RRH)는 단가가 낮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열 발생이 적어 관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BBU)는 집중화하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RRH)는 분산시키는 것이 프론트홀의 기본 개념이다.
프론트홀에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BBU)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RRH)는 광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광 네트워크의 설계에서 선택되는 물리적인 토폴로지(Topology)에는 링(Ring) 형, 버스(Bus) 형, 스타(Star) 형 등이 있다. 이 중 링 토폴로지(Ring Topology)는 자연 재해나 사고로 인한 시스템 절체 시 용이하게 복구 작업(Restoration)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간망에서 오랫동안 그 신뢰도를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프론트홀에서 광 케이블의 연결은 일반적으로 광 케이블의 소모가 적고 보호 절체 기능이 있는 링 토폴로지(Ring Topology)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가 발생하여 신호의 전달 방향이 바뀌면 네트워크의 레이턴시(Latency)가 변경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레이턴시에 기반한 각종 제어에서 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일례로서, 단말기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식 중에서 레이턴시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 단말기에 복수개의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는 각 무선 신호의 레이턴시를 측정하여 레이턴시가 가장 짧은 기지국과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레이턴시가 가장 짧은 기지국이 기지국 A에서 기지국 B로 변경되었다면, 단말기는 기지국 B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가 발생하여 신호의 전달 방향이 바뀌면, 단말기가 이동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단말기의 레이턴시가 변경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핸드오버가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집중국(Central Office)에 집중된 BBU(baseband unit) 그룹에 연결된 중심 노드(Centralization Node); 원격지에 분산된 복수개의 RRH(remote radio head) 그룹에 연결된 복수개의 분배 노드(Distribution Node);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복수개의 분배 노드를 연결하고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복수개의 분배 노드 사이에서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양방향 링 네트워크; 및 전기신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FIFO(First In First Out)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분배 노드 각각은,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역다중화(Demultiplexing) 방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광신호 각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FIFO(First In First Out) 버퍼에 저장하며, 상기 FIFO 버퍼에 저장된 각 상기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재변환하되, 상기 FIFO 버퍼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양방향 링 네트워크에서 절체가 발생하기 전과 상기 절체가 발생한 후의 레이턴시(Latency) 차이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집중국(Central Office)에 집중된 BBU(Baseband Unit) 그룹과 원격지에 분산된 복수개의 RRH(Remote Radio Head) 그룹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BBU 그룹에 연결된 중심 노드(Centralization Node)와 상기 복수개의 RRH 그룹에 연결된 복수개의 분배 노드(Distribution Node)가 양방향 링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개의 분배 노드 각각이 데이터 전달 레이턴시(Latency)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링 네트워크에서 시계방향으로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를 뺀 값(이하, 레이턴시 차이값(Δ))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과정; 상기 양방향 링 네트워크의 절체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양방향 링 네트워크에서 절체가 수행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양방향 링 네트워크에서 절체가 발생하기 전과 상기 절체가 발생한 후의 레이턴시(Latency) 차이를 보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턴시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 발생 시 버퍼의 크기를 조절하여 절체 전과 절체 후의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함으로써, 레이턴시 변동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레이턴시에 기반한 각종 제어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 발생 시의 핸드오버 실패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분배 노드(RT)의 위치 별 레이턴시 차이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중심 노드(COT)와 분배 노드(RT)의 내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FIFO 버퍼에서 버퍼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어 있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부가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을 예시한 도면이다.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은 복수개의 BBU(Baseband Unit Pool)를 포함하는 BBU Pool(110), COT(Central Office Terminal, 120), 공유 광 선로(130), RT(Remote Terminal, 140) 및 RRH(Remote Radio Head, 15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복수개의 RT 및 복수개의 RRH가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개의 RT 중 어느 하나를 일반적으로 지칭하기 위한 식별기호로서 RT(140)를 사용하고, 복수개의 RRH 중 어느 하나를 일반적으로 지칭하기 위한 식별기호로서 RT(150)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C-RAN의 구성요소로서,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가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BBU Pool(11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BBU Pool(110)에 단말기에 보낼 통신데이터를 송신하고, 단말기가 보낸 통신데이터를 BBU Pool(110)로부터 수신한다. 단말기는 RRH(15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RRH(150)에 코어 네트워크에 보낼 통신데이터를 송신하고, 코어 네트워크가 보낸 통신데이터를 RRH(150)로부터 수신한다.
C-RAN에서 코어 네트워크 및 BBU Pool(110)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백홀(Backhaul)이라고 하고, BBU Pool(110), COT(120), 공유 광 선로(130), RT(140) 및 RRH(150)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프론트홀(Fronthaul)이라고 하는데, 당 업계에서 '프론트홀'이 C-RAN 전체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프론트홀'은 C-RAN의 일부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프론트홀에서의 통신은,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향에 따라 업링크(Uplink)와 다운링크(Downlink)로 구분된다. 업링크는 단말기에서 코어 네트워크 방향으로의 통신을 의미하고, 다운링크는 코어 네트워크에서 단말기 방향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프론트홀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업링크 과정은 다운링크 과정과 반대로 진행된다. 본 명세서는 다운링크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 BBU Pool(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BBU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로 구성된 과거의 기지국 시스템에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대응되며, 코어 네트워크부터 수신한 통신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한다. BBU는 3G 네트워크에서는 DU(Digital Unit)으로 불리고, 4G(LTE) 네트워크에서는 BBU(Baseband Unit)으로 불린다.
BBU Pool(110)은 복수개의 BBU가 집중국(Central Office)에 집중화된 그룹을 의미한다. BBU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로부터 통신데이터가 포함된 전기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전기신호'는 통신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통신데이터를 전기적 방법으로 전달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광신호'는 통신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통신데이터를 광학적 방법으로 전달한다.
이 때, BBU Pool(110)에 포함된 각 BBU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출력한다. BBU Pool(110)에 포함된 각 BBU가 동일한 파장의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COT(260)가 각 BBU가 출력하는 동일한 파장의 광신호를 서로 다른 파장으로 변환하여야 하므로,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이 떨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각 BBU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참고로, 업링크 과정에서 BBU Pool(110)은, COT(120)로부터 수신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코어 네트워트에 전송한다.
이하, COT(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COT(120)는 중심 노드(Centralization Node)라고도 하며, BBU Pool(110)로부터 수신한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파장 분할 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하여 공유 광 선로(130)에 전송한다.
COT(120)는 BBU Pool(110)로부터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수신한다. 다운링크 과정에서 COT(120)는 멀티플렉서(미도시)를 이용하여 BBU Pool(110)로부터 수신한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로 병합한다. COT(260)는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공유 광 선로(130)으로 전송한다.
공유 광 선로(130)는 양방향 링 네트워크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므로, COT(120)는 공유 광 선로(130)에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시계방향(ClockWise; CW), 반시계방향(AnticlockWise; AW) 또는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COT(120)는 광 스위치(Optical Switch), 광 커플러(Optical Coupler), 광 스플리터(Optical Splitter) 등을 이용하여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양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참고로, 업링크 과정에서 COT(120)는, 디멀티플렉서(미도시)를 이용하여 공유 광 선로(130)로부터 수신한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복수개의 광신호로 분할하여 BBU Pool(110)로 전송한다.
이하, 공유 광 선로(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유 광 선로(130)는 COT(120)와 복수개의 RT(140)를 연결한다.
공유 광 선로(130)는 양방향 링 네트워크를 구현하도록 설계된다. 공유 광 선로(130)를 구성하는 광 케이블은 단방향(Uni-directional) 광 케이블일 수도 있고, 양방향(Bi-directional) 광 케이블일 수도 있다. 단방향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양방향 링 네트워크를 구현할 경우 최소 2심의 파이버가 필요하고, 양방향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양방향 링 네트워크를 구현할 경우 1심의 파이버로도 가능하다.
이하, RT(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RT(140)는 분배 노드(Distribution Node)라고도 하며, 공유 광 선로(130)로부터 수신한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역다중화하여 복수개의 RRH(150)에 분배한다. 도 1에는 공유 광 선로(130)에 5개의 RT(141 내지 145)만이 연결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서, 공유 광 선로(130)에 연결되는 RT(140)의 개수가 5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T(140)는 광 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하여 공유 광 선로(130)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전달되는 광신호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되는 광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서, RT(140)는 평소에는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다가, 절체가 발생하면 광 스위치(미도시)를 조절함으로써 시계방향으로 전달되는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T(140)는 공유 광 선로(130)로부터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수신한 후, 디멀티플렉서(미도시)를 이용하여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복수개의 광신호로 분할한다.
디멀티플렉서에서 분할된 광신호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고 있는데, RT(140)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전기신호를 다시 특정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한다.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전기신호를 다시 특정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하는 이유는, ⅰ) 변환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ⅱ) RT(140)에 연결된 RRH(150)가 비용, 관리 등의 문제로 인하여 특정 파장의 광신호만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참고로, 업링크 과정에서 RT(140)는, 멀티플렉서(미도시)를 이용하여 공유 광 선로(130)로부터 수신한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 RRH(150)로부터 수신한 광신호를 병합하여 공유 광 선로(130)로 전송한다.
이하, RRH(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RRH(15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로 구성된 과거의 기지국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에 대응되며, RT(140)로부터 수신한 광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도 1에는 각 RT(140)에 3개의 RRH(150)만이 연결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서, 각 RT(140)에 연결되는 RRH(150)의 개수가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RH(150)는 3G 네트워크에서는 RU(Radio Unit)으로 불리고, 4G(LTE) 네트워크에서는 RRH(Remote Radio Head)로 불린다.
RRH(150)는 RT(140)으로부터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광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장치로서, 2G 전파를 송수신하는 장치일 수도 있고, 3G 전파를 송수신하는 장치일 수도 있고, 4G(LTE) 전파를 송수신하는 장치일 수도 있고, WiFi AP(Access Point) 등 그 밖의 AP일 수도 있다.
참고로, 업링크 과정에서 RRH(150)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신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RT(140)로 전송한다.
도 2는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 발생 시의 핸드오버 실패를 예시한 도면이다.
핸드오버는 단말기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대용량의 데이터를 좋은 품질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현재 통신 중인 서빙(Serving) 기지국에서 타켓(Target) 기지국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서빙 기지국에서 타켓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는 하드 핸드오버(Hard Handover)와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로 구분되는데, 하드 핸드오버는 서빙 기지국과의 연결을 끊고, 곧바로 타켓 기지국으로 연결하는 방식이고, 소프트 핸드오버는 서빙 기지국과 타켓 기지국이 동시에 연결되는 과정을 거쳐 서빙 기지국의 연결을 서서히 끊는 방식이다.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단말은 타켓 기지국과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하거나, 대용량의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경우에는 빠른 핸드오버가 이루어져야 제공되는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빠른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칙적으로, 단말기는 현재 연결 중인 기지국의 RF 신호 송출이 중단되면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통신 품질을 기 설정된 조건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통신 품질이 기 설정된 조건 이하이면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백홀(Backhaul)에의 접속성, 백홀의 스루풋(Throughput), 백홀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들의 레이턴시(Latency), 백홀 상의 지터(Jitter) 등의 수치가 기 설정된 조건 이하이면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백홀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들의 레이턴시가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이는 백홀 접속이 특정 통신 또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너무 느림을 의미하므로,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통해 통신이 더 양호하게 서빙될 수 있다.
이하,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 발생 시의 레이턴시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COT(120)는 공유 광 선로(130)에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시계방향(ClockWise; CW), 반시계방향(AnticlockWise; AW) 또는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COT(120)가 공유 광 선로(130)에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전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COT(120)가 공유 광 선로(130)에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전달하고 있을 때, RT(140)는 광 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하여 공유 광 선로(130)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전달되는 광신호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되는 광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RT(140)의 광 스위치(미도시)가 기본적으로 공유 광 선로(130)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도록 조절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2의 (a)는 공유 광 선로(130)의 광신호 전달 방향이 반시계방향일 때의 레이턴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반시계방향에서 단말기(160)가 RRHA(151)로부터 수신하는 패킷의 레이턴시는, COT(120)으로부터 RT1(141)로 광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1-1)과 RT1(141)로부터 RRHA(151)로 광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1-2)과 RRHA(151)로부터 단말기(160)에 무선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1-3)과 기타 시간(L1-4)을 더한 값(L1)이 된다.
반시계방향에서 단말기(160)가 RRHB(152)로부터 수신하는 패킷의 레이턴시는, COT(120)으로부터 RT2(142)로 광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2-1)과 RT2(142)로부터 RRHB(152)로 광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2-2)과 RRHB(152)로부터 단말기(160)에 무선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2-3)과 기타 시간(L2-4)을 더한 값(L2)이 된다.
광신호 전달 방향이 반시계방향일 때는 L1이 L2보다 짧아 단말기(160)는 RRHB(152)와 통신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양방향 링 네트워크는 일부 구간이 단락되어도 신호가 전달되는 방향을 바꿈으로써 전체 네트워크의 마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링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Protection) 기능이라고 한다. RT(140)는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다가, 일부 구간의 단락이 발생하면 광 스위치(미도시)를 조절하여 시계방향으로 전달되는 광신호를 수신한다.
도 2의 (b)는 공유 광 선로(130)에서 일부 구간이 단락되어 광신호 전달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변경되었을 때의 레이턴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시계방향에서 단말기(160)가 RRHA(151)로부터 수신하는 패킷의 레이턴시는, COT(120)으로부터 RT1(141)로 광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1-1)과 RT1(141)로부터 RRHA(151)로 광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1-2)과 RRHA(151)로부터 단말기(160)에 무선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1-3)과 기타 시간(L1-4)을 더한 값(L1)이 된다. 신호 전달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변경되면서 COT(120)으로부터 RT1(141)로 광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1-1')이 기존(L1-1)에 비해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보호 절체 시 변경되는 레이턴시를 RT1(141)의 '레이턴시 차이값(Δ)'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시계방향에서 단말기(160)가 RRHB(152)로부터 수신하는 패킷의 레이턴시는, COT(120)으로부터 RT2(142)로 광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2-1)과 RT2(142)로부터 RRHB(152)로 광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2-2)과 RRHB(152)로부터 단말기(160)에 무선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2-3)과 기타 시간(L2-4)을 더한 값(L2)이 된다. 신호 전달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변경되면서 COT(120)으로부터 RT2(142)로 광신호가 전달되는 시간(L2-1')이 기존(L2-1)에 비해 늘어났으나, 늘어난 시간이 RT1(141)보다는 적음을 알 수 있다. 보호 절체 시 변경되는 레이턴시를 RT2(142)의 '레이턴시 차이값(Δ)'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RT1(141)의 레이턴시 차이값(Δ)이 RT2(142)의 레이턴시 차이값(Δ)보다 크므로 보호 절체 시 L1이 L2보다 길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160)는 RRHA(151)에서 RRHB(152)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보호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변동일 뿐, 실제 단말기(160)에 가장 가까워 원활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은 RRHA(151)이므로, 이는 핸드오버 실패를 초래한다.
따라서 핸드오버 실패 등 레이턴시에 기반한 각종 제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레이턴시 차이값(Δ)을 보상해줄 필요가 있다.
도 3은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분배 노드(RT)의 위치 별 레이턴시 차이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각 RT(140)의 레이턴시 차이값(Δ)은 수학식 1, 수학식 2 또는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6057822803-pat00001
Figure 112016057822803-pat00002
Figure 112016057822803-pat00003
본 명세서에서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레이턴시 차이값(Δ)을 계산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 중 어느 공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레이턴시 차이값(Δ)은 RT(140)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므로, 레이턴시 차이값(Δ)은 각 RT(140) 별로 계산되어야 한다. 각 RT(140)는 광 스위치를 조절하여 공유 광 선로(130)에서 광신호가 시계방향으로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와 공유 광 선로(130)에서 광신호가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를 각각 측정한 후, 광신호가 시계방향으로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에서 광신호가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를 뺀 값을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일례로서, 도 3의 (a)에서, RT1(141)의 레이턴시 차이값(Δ)은 양(+)수이다. 즉, 광신호가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되다가, 광신호의 전달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변경되면, RT1(141)의 레이턴시가 증가한다. 반대로, 광신호가 시계방향으로 전달되다가, 광신호의 전달 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변경되면, RT1(141)의 레이턴시가 감소한다.
한편, 도 3의 (b)에서, RT2(142)의 레이턴시 차이값(Δ)은 음(-)수이다. 즉, 광신호가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되다가, 광신호의 전달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변경되면, RT2(142)의 레이턴시가 감소한다. 반대로, 광신호가 시계방향으로 전달되다가, 광신호의 전달 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변경되면, RT2(142)의 레이턴시가 증가한다.
절체로 인해 증가 또는 감소하는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해주지 않으면, 상술한 것과 같이 핸드오버 실패 등 레이턴시에 기반한 각종 제어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레이턴시 차이 보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의 (a)에서, RT1(141)의 레이턴시 차이 보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에서 RT1(141)의 레이턴시 차이값(Δ)은 양(+)수이다. 따라서 광신호가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되다가, 광신호의 전달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변경되어 레이턴시가 증가하면, 현재 RT1(141)의 레이턴시에서 레이턴시 차이값(Δ>0)을 빼 줌으로써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반대로, 광신호가 시계방향으로 전달되다가, 광신호의 전달 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변경되어 레이턴시가 감소하면, 현재 RT1(141)의 레이턴시에서 레이턴시 차이값(Δ>0)을 더해 줌으로써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b)에서, RT2(142)의 레이턴시 차이 보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b)에서 RT2(142)의 레이턴시 차이값(Δ)은 음(-)수이다. 따라서 광신호가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되다가, 광신호의 전달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변경되어 레이턴시가 감소하면, 현재 RT2(142)의 레이턴시에서 레이턴시 차이값(Δ<0)을 빼 줌으로써 레이턴시 차이값을 보상할 수 있다. 반대로, 광신호가 시계방향으로 전달되다가, 광신호의 전달 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변경되어 레이턴시가 증가하면, 현재 RT2(142)의 레이턴시에서 레이턴시 차이값(Δ<0)을 더해 줌으로써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정리하면, 광신호 전달 방향이 반시계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변경되는 경우, 각 RT(140)는 수학식 4를 이용하여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참고로, 수학식 4에 사용된 레이턴시 차이값(Δ)은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된 것이다.
Figure 112016057822803-pat00004
또한, 광신호 전달 방향이 시계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변경되는 경우, 각 RT(140)는 수학식 5를 이용하여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참고로, 수학식 4에 사용된 레이턴시 차이값(Δ)은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된 것이다.
Figure 112016057822803-pat00005
수학식 4 및 5에 의해 결정된 값에 따라 RT(140)의 레이턴시를 늘리거나 줄임에 있어서, RT(140)의 버퍼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레이턴시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이하, RT(140)의 버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중심 노드(COT)와 분배 노드(RT)의 내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COT(120)는 BBU Pool(110)로부터 수신한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파장 분할 다중화하기 위한 멀티플렉서(21) 및 공유 광 선로(130)에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전달하기 위한 출력 장치(22)를 포함한다. 출력 장치(22)에는 광 스위치(Optical Switch), 광 커플러(Optical Coupler), 광 스플리터(Optical Splitter) 등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RT(140)는 공유 광 선로(130)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전달되는 광신호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되는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광 스위치(41) 및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역다중화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42)를 포함한다. 또한, RT(140)는 디멀티플렉서(42)에서 분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신호 변환부(43), 변환된 전기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버퍼(44) 및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신호 변환부(45)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디멀티플렉서(42)에서 분할된 광신호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고 있는데, RT(140)에 연결된 RRH(150)가 특정 파장의 광신호만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경우가 많으므로, RT(140)에서 광신호의 파장을 변환할 필요가 있다. 광신호의 파장을 변경하기 위해서 RT(140)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버퍼(44)에 저장한다. RT(140)는 버퍼(44)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단말기(160)가 송수신하는 패킷의 레이턴시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도 5는 FIFO 버퍼에서 버퍼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분배 노드(RT)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버퍼(44)는 FIFO(First In First Out) 버퍼이므로, 이하 FIFO 버퍼(44)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FIFO 버퍼(44)는 쓰기 포인터(Write pointer; WP) 및 읽기 포인터(Read pointer; RP)를 포함한다. WP는 현재 쓰고 있는 버퍼 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를 가리키고, RP는 현재 읽고 있는 버퍼 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를 가리킨다. 도 5에서 도시된 FIFO 버퍼(44)에서 상단으로 갈 수록 메모리 어드레스가 커지는 것으로 가정하면, 버퍼(44)에 데이터를 Write하는 중에는 WP가 위로 이동하고, 버퍼(44)에 있는 데이터를 Read하는 중에는 RP가 위로 이동한다.
데이터가 원활하게 입출력되기 위해서는 버퍼(44)의 읽기 속도는 버퍼(44)의 쓰기 속도와 동일해야 한다. 읽기 속도가 쓰기 속도보다 느리면 버퍼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하고, 읽기 속도가 쓰기 속도보다 빠르면 버퍼 언더플로우(Underflow)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읽기 속도는 쓰기 속도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FIFO 버퍼(44)에서는 RP 또는 WP를 오프셋시킴으로써 버퍼(44)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RP의 어드레스가 커지는 방향으로 RP를 오프셋시키면 버퍼(44)의 크기는 작아지고, 그로 인해 입력과 출력 사이의 시간 간격은 줄어든다.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RP의 어드레스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RP를 오프셋시키면 버퍼(44)의 크기는 커지고, 그로 인해 입력과 출력 사이의 시간 간격은 늘어난다.
도 5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WP의 어드레스가 커지는 방향으로 WP를 오프셋시키면 버퍼(44)의 크기는 커지고, 그로 인해 입력과 출력 사이의 시간 간격은 늘어난다.
도 5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WP의 어드레스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WP를 오프셋시키면 버퍼(44)의 크기는 작아지고, 그로 인해 입력과 출력 사이의 시간 간격은 줄어든다.
수학식 4를 참고하면, 광신호 전달 방향이 반시계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변경되는 경우, 레이턴시를 '-레이턴시 차이값(Δ)'만큼 변경시킴으로써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즉, 레이턴시 차이값(Δ)이 양수인 경우, 버퍼(44)의 크기를 줄여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고, 레이턴시 차이값(Δ)이 음수인 경우, 버퍼(44)의 크기를 늘려 레이턴시를 증가시킴으로써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버퍼의 크기는 RP 또는 WP를 오프셋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즉, +Δ×k(k는 비례상수)만큼 RP를 오프셋시키거나, -Δ×k(k는 비례상수)만큼 WP를 오프셋시킴으로써,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수학식 5를 참고하면, 광신호 전달 방향이 시계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변경되는 경우, 레이턴시를 '+레이턴시 차이값(Δ)'만큼 변경시킴으로써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즉, 레이턴시 차이값(Δ)이 양수인 경우, 버퍼(44)의 크기를 늘려 레이턴시를 증가시키고, 레이턴시 차이값(Δ)이 음수인 경우, 버퍼(44)의 크기를 줄여 레이턴시를 감소시킴으로써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버퍼의 크기는 RP 또는 WP를 오프셋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즉, -Δ×k(k는 비례상수)만큼 RP를 오프셋시키거나, +Δ×k(k는 비례상수)만큼 WP를 오프셋시킴으로써,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도 6은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과정 S610에서 각 RT(140)는 광 스위치(41)를 조절하여, 공유 광 선로(130)에서 광신호가 시계방향으로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와 공유 광 선로(130)에서 광신호가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를 각각 측정한 후, 광신호가 시계방향으로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에서 광신호가 반시계방향으로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를 뺀 값을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레이턴시 차이값(Δ)은 절체가 발생한 후에 측정할 수도 있지만, 절체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하여 사전에 각 RT(140) 별로 미리 측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정 S620에서 각 RT(140)는 절체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절체가 발생한 경우 광 스위치(41)를 조절하여 광신호의 수신 방향을 변경한다.
과정 S630에서 각 RT(140)는 절체가 발생하더라도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레이턴시 차이값(Δ)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지 않는다. 각 RT(140)는 FIFO 버퍼(44)의 RP 또는 WP를 오프셋시킴으로써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데, RP 또는 WP를 오프셋시키는 과정에서 데이터가 끊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레이턴시 차이값(Δ)이 작다면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지 않는 것이 통신 품질 확보에 유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과정 S630은 생략될 수 있다.
과정 S640에서 각 RT(140)는 절체 후 레이턴시가 절체 전 레이턴시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 절체가 발생한 후의 레이턴시가 절체가 발생하기 전의 레이턴시보다 큰 경우(S640의 '예'), 레이턴시 차이값(Δ)에 기초하여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고(S651), 절체가 발생한 후의 레이턴시가 절체가 발생하기 전의 레이턴시보다 작은 경우(S640의 '아니오'), 레이턴시 차이값(Δ)에 기초하여 레이턴시를 증가시킨다(S652). 여기서 절체 후 레이턴시가 절체 전 레이턴시보다 큰지 여부의 판단은, 절체에 의해 변경된 신호 전달 방향 및 레이턴시 차이값(Δ)의 부호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S610 내지 S652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 S610 내지 S652의 실행이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S610 내지 S652의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S610 내지 S652에서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등, 도 6의 방법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BBU pool 120: COT
130: 공유 광 선로 140: RT
150: RRH 21: 멀티플렉서
41: 광 스위치 42: 디멀티플렉서
43: 전기신호 변환부 44: 버퍼
45: 광신호 변환부

Claims (13)

  1.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집중국(Central Office)에 집중된 BBU(baseband unit) 그룹에 연결된 중심 노드(Centralization Node);
    원격지에 분산된 복수개의 RRH(remote radio head) 그룹에 연결된 복수개의 분배 노드(Distribution Node);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복수개의 분배 노드를 연결하고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복수개의 분배 노드 사이에서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양방향 링 네트워크; 및
    전기신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FIFO(First In First Out)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분배 노드 각각은,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역다중화(Demultiplexing) 방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광신호 각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FIFO(First In First Out) 버퍼에 저장하며, 상기 FIFO 버퍼에 저장된 각 상기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재변환하되, 상기 FIFO 버퍼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양방향 링 네트워크에서 절체가 발생하기 전과 상기 절체가 발생한 후의 레이턴시(Latency) 차이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배 노드 각각은, 상기 양방향 링 네트워크에서 시계방향으로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를 뺀 값(이하, 레이턴시 차이값(Δ))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차이값(Δ)에 기초하여 상기 절체가 발생하기 전과 상기 절체가 발생한 후의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차이값(Δ)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클 때, 상기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에 의해 반시계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신호 전달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레이턴시 차이값(Δ)이 양수이면 상기 FIFO 버퍼의 크기를 줄이고, 상기 레이턴시 차이값(Δ)이 음수이면 상기 FIFO 버퍼의 크기를 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에 의해 반시계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신호 전달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FIFO 버퍼의 읽기 포인터(Read Pointer)의 어드레스를 +Δ×k(k는 비례상수)만큼 오프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에 의해 반시계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신호 전달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FIFO 버퍼의 쓰기 포인터(Write Pointer)의 어드레스를 -Δ×k(k는 비례상수)만큼 오프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에 의해 시계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신호 전달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레이턴시 차이값(Δ)이 양수이면 상기 FIFO 버퍼의 크기를 늘리고, 상기 레이턴시 차이값(Δ)이 음수이면 상기 FIFO 버퍼의 크기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에 의해 시계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신호 전달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FIFO 버퍼의 읽기 포인터(Read Pointer)의 어드레스를 -Δ×k(k는 비례상수)만큼 오프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에 의해 시계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신호 전달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FIFO 버퍼의 쓰기 포인터(Write Pointer)의 어드레스를 +Δ×k(k는 비례상수)만큼 오프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집중국(Central Office)에 집중된 BBU(Baseband Unit) 그룹과 원격지에 분산된 복수개의 RRH(Remote Radio Head) 그룹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BBU 그룹에 연결된 중심 노드(Centralization Node)와 상기 복수개의 RRH 그룹에 연결된 복수개의 분배 노드(Distribution Node)가 양방향 링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개의 분배 노드 각각이 데이터 전달 레이턴시(Latency)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링 네트워크에서 시계방향으로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전달될 때의 레이턴시를 뺀 값(이하, 레이턴시 차이값(Δ))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과정;
    상기 양방향 링 네트워크의 절체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양방향 링 네트워크에서 절체가 수행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양방향 링 네트워크에서 절체가 발생하기 전과 상기 절체가 발생한 후의 레이턴시(Latency) 차이를 보상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턴시 조절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Latency) 차이를 보상하는 과정은, 상기 절체가 발생한 후의 레이턴시가 상기 절체가 발생하기 전의 레이턴시보다 큰 경우, 상기 레이턴시 차이값(Δ)에 기초하여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고, 상기 절체가 발생한 후의 레이턴시가 상기 절체가 발생하기 전의 레이턴시보다 작은 경우, 상기 레이턴시 차이값(Δ)에 기초하여 레이턴시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턴시 조절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과정 사이에, 상기 레이턴시 차이값(Δ)의 절대값을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과정은, 상기 비교하는 과정의 비교 결과, 상기 레이턴시 차이값(Δ)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턴시 조절 방법.
KR1020160074923A 2016-02-15 2016-06-16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시스템 KR102396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173 2016-02-15
KR20160017173 2016-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560A KR20170096560A (ko) 2017-08-24
KR102396635B1 true KR102396635B1 (ko) 2022-05-12

Family

ID=5956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923A KR102396635B1 (ko) 2016-02-15 2016-06-16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00343B2 (ko)
KR (1) KR1023966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0806A1 (en) * 2016-05-06 2017-1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network node for communication over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link
WO2018036620A1 (en) * 2016-08-23 2018-03-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port network, node and method
US10165459B2 (en) * 2016-09-07 2018-12-2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emote monitoring of fronthaul radio signals
CN112997413B (zh) * 2018-11-09 2024-02-23 株式会社Ntt都科摩 前传复用器以及信号合成方法
CN109996208B (zh) * 2019-02-19 2020-04-07 北京交通大学 基于c-ran架构的真空管高速飞行列车车地通信方法
WO2021166267A1 (ja) * 2020-02-21 2021-08-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遅延測定装置、通信遅延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516777A (zh) * 2020-05-07 2022-12-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可缩放分发无线电系统的基于波束索引的数据分发
CN112054869B (zh) * 2020-08-05 2021-07-23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连续霍普菲尔德神经网络的波长分配方法
CN111917477B (zh) * 2020-08-12 2021-06-0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四研究所 基于环状拓扑的分布式光纤宽频稳相传输系统及方法
CN111934773B (zh) * 2020-08-12 2021-06-08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四研究所 一种基于环路拓扑的分布式光纤宽频稳相传输分配系统及方法
CN114157347A (zh) * 2020-09-04 2022-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相关设备及方法
CN112714450B (zh) * 2021-03-26 2021-07-02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皮基站的组网方法、管理网络带宽的方法和装置
CN114126019B (zh) * 2021-11-30 2024-04-23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能效优化的前传光网络动态资源映射方法及系统
CN114614898A (zh) * 2022-03-28 2022-06-10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环形拓扑网络及其构建方法、数据转发方法
TWI831589B (zh) * 2023-01-30 2024-02-01 中華電信股份有限公司 行動前傳網路與其線路分散方法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CN117714229A (zh) * 2024-02-05 2024-03-15 上海登临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网络、片上系统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155B1 (ko) 2004-10-06 2007-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장분할다중 링 네트워크에서의 분산형 채널 액세스 제어방법
US7493129B1 (en) 2002-09-12 2009-02-17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apparatus to maintain network coverage when using a transport media to communicate with a remote antenna
WO2015177902A1 (ja) 2014-05-22 2015-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中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5962A1 (en) * 2001-02-28 2002-11-07 Alvarez Mario F. Embedded controller architecture for a modular optical network, and methods and apparatus therefor
KR101256649B1 (ko) * 2011-04-22 2013-04-19 한국과학기술원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보호 절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3129B1 (en) 2002-09-12 2009-02-17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apparatus to maintain network coverage when using a transport media to communicate with a remote antenna
KR100667155B1 (ko) 2004-10-06 2007-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장분할다중 링 네트워크에서의 분산형 채널 액세스 제어방법
WO2015177902A1 (ja) 2014-05-22 2015-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中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00343B2 (en) 2017-10-24
KR20170096560A (ko) 2017-08-24
US20170237495A1 (en)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6635B1 (ko) 링 토폴로지로 구성된 프론트홀에서 절체로 인한 레이턴시 차이를 보상하는 시스템
JP2017098694A (ja) 通信装置,及びその時刻同期方法
US11252585B2 (en) Access network node, radio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9325412B2 (en) Transceiver system,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ransceiver system
KR20090091815A (ko) 기지국, 무선 제어 장치 및 무선 장치
JP5614453B2 (ja) 転送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転送制御方法
US10079638B2 (en) Method and optical network for front haul protection
KR20160137420A (ko) Otn/ptn 기반의 프론트-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이를 위한 컨트롤러 및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US88972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path between multiple digital units and multiple radio frequency uni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967715B2 (ja) 無線アクセス網における冗長化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60173574A1 (en) Radio acces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200917751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装置、及び、可視光通信端末装置
CN111327657A (zh) 数据缓冲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20120224589A1 (en) Relay station and relay method
US908894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3717460B2 (ja) ネットワーク、ネットワークセンタおよ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6231438B2 (ja) 中継伝送システムおよび中継伝送方法
JP2020080473A (ja) 伝送装置、伝送システム及び遅延調整方法
CN107800639B (zh) 交换装置、交换装置组、数据传输方法和计算机系统
WO2018012480A1 (ja) 管理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9047280A (ja) 親局通信装置、加入者側装置、及び光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330197B1 (ko) 광 가입자 전송장치 및 그 채널 전송방법
KR101446432B1 (ko) 분산형 통신시스템
JP6752754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CN215268739U (zh) 一种基于bd/gps双天线的基站光纤授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