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160B1 - 디지털 기반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기반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160B1
KR102396160B1 KR1020210101868A KR20210101868A KR102396160B1 KR 102396160 B1 KR102396160 B1 KR 102396160B1 KR 1020210101868 A KR1020210101868 A KR 1020210101868A KR 20210101868 A KR20210101868 A KR 20210101868A KR 102396160 B1 KR102396160 B1 KR 102396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information
module
os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만
전현수
박순전
이종민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주)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주),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롯데건설(주)
Priority to KR102021010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21Collision detection, inter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OSC부재를 인양하는 크레인들에 대한 종류, 사양, 작동각도와 이에 따른 인양능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고, 건설 현장에 대한 3D모델링 상에 크레인의 종류, 크기, 작동각도에 따른 작동영역을 2D 형태로 표시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면서도 크레인의 작동 영역을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크레인의 선택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기반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기반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A Digital Based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OSC Members}
본 발명은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OSC부재를 인양하는 크레인들에 대한 종류, 사양, 작동각도와 이에 따른 인양능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고, 건설 현장에 대한 3D모델링 상에 크레인의 종류, 크기, 작동각도에 따른 작동영역을 2D 형태로 표시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면서도 크레인의 작동 영역을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크레인의 선택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기반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 현장에서 건축물 구조체와, 내외장재, 인테리어 등을 외부(off-site)에서 생산해 현장에서 조립·설치하는 OSC(OFF-Site Construntion) 건축 공법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OSC 건축 공법의 경우 구조재 등을 표준화, 부품화해 효율성을 높이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건설폐기물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사용이 늘어나고 있고, OSC 건축 공법에서 사용되는 OSC부재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는 PC(Precast Concrete), 모듈러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OSC 부재는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송, 크레인에 의해 이동·설치된다.
크레인은 다양한 높이의 건물에 상당한 무게의 OSC부재를 들어올려 설치되도록 해야 하므로, 그 안전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다수의 크레인들을 서로 간섭없이 운용하여야만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OSC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크레인의 인양 능력을 고려하여 경험에 의해 크레인 기종을 선택하도록 하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면도(a), 입면도(b) 각각을 작도하여 크레인의 작동 반경을 작도하고 서로 간섭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평면과 입면 상태에서의 정보가 연계되지 않고, 크레인 계획이 변경되면 매번 작도 및 검토를 새로 해야 하므로 크레인에 대한 운용계획을 세우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또한, 크레인의 기종뿐만 아니라 붐대의 종류, 각도, 길이 등에 따라 인양 능력이 모두 상이하여 적절한 크레인을 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크레인을 3차원의 동작으로 구현하여 검토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 개시된 바 있으나, 건물 설계에 대한 3차원 모델링에 크레인의 3차원 동작까지 시뮬레이션 하도록 할 경우 프로그램에 대한 과부하가 발생하고 제대로 동작할 수 없으며, 시스템 운용에 과도하게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은 경우 크레인의 다양한 제원이나 인양능력 등을 전혀 고려할 수 없어 크레인의 선택이나 효율적인 운용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9342호(2008. 03. 04. 등록)"건설 그래픽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객체들의 움직임 해석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OSC부재를 인양하는 크레인들에 대한 종류, 사양, 작동각도와 이에 따른 인양능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고, 건설 현장에 대한 3D모델링 상에 크레인의 종류, 크기, 작동각도에 따른 작동영역을 2D 형태로 표시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면서도 크레인의 작동 영역을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크레인의 선택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3D모델링 상에 2D 단면을 선택하여 크레인의 작동 영역을 표시하도록 하고, 각 단면에 대해 이미 저장된 크레인들의 작동영역을 표시하도록 하여, 크레인들간의 간섭 여부를 쉽게 파악하고 다른 크레인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정확한 크레인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양한 OSC부재의 무게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무게의 OSC부재를 인양할 수 있는 종류와 사양, 작동각도의 크레인만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작업없이도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에 따른 크레인의 선택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면 상에서 선택되는 크레인과 이미 저장된 크레인들의 작동 영영역에 따른 좌표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간섭되는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크레인들과의 간섭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크레인의 선택시 소모되는 비용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크레인의 종류, 사양에 따라 소모되는 비용도 함께 고려하여 비용 효율적인 크레인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간섭을 고려한 크레인의 선택에도 크레인 간의 근접이 발생하는 경우 시스템의 이상으로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이상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크레인 간의 근접이 이상으로 판단될 정도는 아니더라도 위험범위에서 반복되거나 점검범위에서 연속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알리도록 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선제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크레인 간의 근접에 따른 이상 또는 위험, 점검 상태의 발생시 크레인 자체의 이상도 판단하도록 하여 정확한 이상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은 건설 현장에 설치되어 OSC부재를 설치 위치로 인양하는 크레인과; 건설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크레인의 기종, 크기, 작동각도 및 이에 따른 인양능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관리자단말기의 화면 상에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선택에 따른 크레인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며, 크레인의 작업정보, 작동상태가 표시되는 화면을 갖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크레인의 기종, 크기, 작동각도에 따른 작동영역을 상기 관리자단말기의 3D 화면 상에 2D 형태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 가능한 크레인 정보를 저장하는 크레인정보저장부와, 건설 현장에 대한 3D 모델링 정보를 저장하는 모델링정보저장부와, 크레인의 작동 영역을 2D 형태로 관리지단말기 화면 상에 표시하여 크레인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레인선택부와, 기저장된 크레인의 작동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저장정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정보저장부는 크레인의 기종 정보를 저장하는 기종정보저장모듈과; 크레인 각 기종의 붐대 종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양정보저장모듈과; 각 기종 및 사양에 따른 작동각도와, 작동각도에 따른 작동영역의 정보를 저장하는 작동정보저장모듈과; 크레인의 각 기종, 사양 및 작동각도에 따른 인양능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캐파정보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델링정보저장부는 현장을 나타내는 3D의 좌표 정보를 설정하는 좌표정보설정모듈과, 설정된 좌표 상에 설계되는 건물의 모델링 정보를 저장하는 건물정보저장모듈과, OSC부재가 설치되는 작업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역정보설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선택부는 크레인의 작동정보를 표시할 화면의 단면을 선택하는 단면선택모듈과, 사용할 크레인의 기종을 선택하는 크레인선택모듈과, 크레인을 설치할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선택모듈과, 지정된 위치에서 선택된 크레인의 크기, 작동각도에 따른 작동영역을 선택된 단면 상에 2D 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화면 상의 크레인에 대한 선택에 따라 사용될 크레인이 저장되도록 하는 크레인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정보표시부는 각 크레인의 작업구역을 표시하는 작업구역표시모듈과, 작업시기를 표시하는 작업일자표시모듈과, 크레인이 설치될 위치를 표시하는 크레인위치표시모듈과, 저장된 작업에 따른 크레인의 동선을 표시하는 크레인동선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선택부는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에 따라 크레인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OSC정보반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OSC정보반영모듈은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정보를 입력하는 무게정보입력모듈과, 인양할 OSC부재의 최대 무게에 따라 인양가능한 크레인의 종류를 필터링하는 크레인필터링모듈과, 필터링된 크레인에서 OSC부재의 인양이 가능한 크레인의 크기, 작동각도 등을 필터링하는 사양필터링모듈과, 필터링된 정보를 반영하여 OSC부재의 인양이 불가능한 크레인, 사양을 화면상에서 불활성화하는 필터링적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선택부는 화면 상에서 선택되는 크레인이 기존 저장된 크레인의 작업영역과 간섭되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표시하는 간섭정보표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간섭정보표시모듈은 상기 크레인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크레인의 작동영역에 따른 좌표정보를 수집하는 이동좌표수집모듈과, 저장된 작업정보를 불러오는 작업정보로딩모듈과, 저장된 작업정보에서 작동영역에 따른 좌표정보를 수집하는 저장좌표수집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크레인의 선택시 선택된 크레인의 작동영역과 저장된 크레인들의 작동영역에 대한 좌표를 비교하여 간섭이 발생하는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간섭영역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크레인선택부에 의한 크레인 선택시 크레인의 종류, 사양 등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시하는 비용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용산출부는 작업기간 및 사용단가에 따라 각 크레인에 대한 사용 비용을 계산하는 사용비용계산모듈과, 선택되는 크레인의 종류,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 및 수량, 작업영역에 따라 작업에 소모되는 비용을 계산하는 작업비용연산모듈과, 사용비용 및 작업비용을 합산하는 비용합산모듈과, 화면 상에 표시된 크레인의 선택시 합산된 비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비용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비용연산모듈은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 수량에 관한 정보를 불러오는 OSC정보로딩모듈과; 크레인의 작동 정도에 따른 단가를 설정하는 작업단가설정모듈과; OSC부재의 인양을 위한 작업반경정보를 입력하는 작업반경입력모듈과; 작업단가, 작업반경, 작업수량을 고려하여 작업에 소모되는 비용을 산출하는 작업비용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크레인 사이의 근접 정도에 따라 시스템 상태를 점검하는 시스템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점검부는 크레인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값을 넘어 근접되는 경우 시스템 이상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이상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감지부는 크레인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근접정보수신모듈과,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접범위의 기준을 설정하는 이상범위설정모듈과, 상기 근접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근접거리와 기준범위를 비교하는 이상범위비교모듈과, 근접거리가 기준범위보다 가까워지는 경우 시스템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관리자단말기에 알리는 이상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점검부는 크레인 사이의 거리가 시스템 이상으로 판단될 정도는 아니더라도 이상범위 이상의 위험범위에서 반복되는 경우 위험에 따른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위험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알림부는 크레인 사이의 거리가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인지하는 위험범위인지모듈과,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시간정보저장모듈과,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를 산출하는 빈도산출모듈과,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태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위험경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점검부는 크레인 사이의 거리가 위험범위 이상의 일정범위에서 연속되는 경우 점검의 필요성을 알리는 점검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지시부는 크레인 사이의 거리가 위험범위 이상의 일정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점검범위감지모듈과, 점검범위에 도달하는 연속횟수를 산정하는 연속횟수산정모듈과, 연속횟수를 설정된 기준횟수와 비교하는 기준횟수비교모듈과,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점검의 필요성을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점검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점검부는 상기 이상감지부, 위험알림부, 점검지시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신호 발생시 크레인의 이상을 점검하는 크레인이상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이상판단부는 상기 이상감지부, 위험알림부, 점검지시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관리자단말기로 신호가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점검정보수신모듈과, 점검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크레인의 각도 정보를 수신하는 각도정보수신모듈과, 크레인에 대해 설정된 작동 각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설정각도수신모듈과, 수신된 각도를 설정된 각도와 비교하는 각도비교모듈과, 각도의 차이가 설정된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크레인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크레인이상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OSC부재를 인양하는 크레인들에 대한 종류, 사양, 작동각도와 이에 따른 인양능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고, 건설 현장에 대한 3D모델링 상에 크레인의 종류, 크기, 작동각도에 따른 작동영역을 2D 형태로 표시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면서도 크레인의 작동 영역을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크레인의 선택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3D모델링 상에 2D 단면을 선택하여 크레인의 작동 영역을 표시하도록 하고, 각 단면에 대해 이미 저장된 크레인들의 작동영역을 표시하도록 하여, 크레인들간의 간섭 여부를 쉽게 파악하고 다른 크레인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정확한 크레인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양한 OSC부재의 무게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무게의 OSC부재를 인양할 수 있는 종류와 사양, 작동각도의 크레인만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작업없이도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에 따른 크레인의 선택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면 상에서 선택되는 크레인과 이미 저장된 크레인들의 작동 영영역에 따른 좌표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간섭되는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크레인들과의 간섭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크레인의 선택시 소모되는 비용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크레인의 종류, 사양에 따라 소모되는 비용도 함께 고려하여 비용 효율적인 크레인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간섭을 고려한 크레인의 선택에도 크레인 간의 근접이 발생하는 경우 시스템의 이상으로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이상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크레인 간의 근접이 이상으로 판단될 정도는 아니더라도 위험범위에서 반복되거나 점검범위에서 연속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알리도록 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선제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크레인 간의 근접에 따른 이상 또는 위험, 점검 상태의 발생시 크레인 자체의 이상도 판단하도록 하여 정확한 이상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크레인 선택을 위한 CAD 상의 작도 화면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의 크레인정보저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크레인정보저장부에 의해 저장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도 3의 모델링정보저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3의 크레인선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크레인선택부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9는 도 7의 OSC정보반영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7의 간섭정보표시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3의 저장정보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3의 비용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12의 작업비용연산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3의 시스템점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도 14의 이상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도 14의 위험알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7은 도 14의 점검지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8은 도 14의 크레인이상판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0은 도 19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1은 도 19의 반입요청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2 내지 도 23은 반입요청서의 생성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4은 도 19의 검측저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5는 도 19의 검측확인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6은 검측정보가 저장된 OSC부재를 나타내는 모델링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7은 도 19의 반입확인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8은 도 19의 위치확인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9는 도 19의 신뢰도평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0은 도 29의 결함평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1은 도 29의 지연평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2는 도 29의 반입평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3은 도 29의 결과도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4는 설계단계의 부재관리번호에 따라 공장에서 생산되는 OSC부재에 관리번호가 지정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반 OSC부재 공정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기반 OSC부재 공정관리 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OSC부재 공정관리 시스템은 공사 현장에 설치되어 OSC부재를 설치 위치로 인양하는 크레인(3)과; 공사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크레인(3)의 기종, 크기, 작동각도 및 이에 따른 인양능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관리자단말기(2)의 화면 상에 관리자의 선택에 따른 크레인(3)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관리서버(1)와; 상기 관리서버(1)와 통신하며, 크레인의 작업정보, 작동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을 갖는 관리자단말기(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OSC부재 공정관리 시스템은 공사 현장에서 작업일정, 작업위치, OSC부재의 무게 등에 따라 OSC부재를 인양하는 크레인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으로, 디지털 기반의 3D 좌표 상에서 크레인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여 크레인간의 간섭 없이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크레인을 선택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OSC부재 공정관리 시스템은 사용 가능한 크레인의 종류, 크기, 작동각도 등에 관한 사양과, 종류, 사양에 따른 인양능력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하도록 하고,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양할 OSC부재에 맞는 크레인의 작동 영역을 2D 형태로 3D 모델링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시스템의 정보 처리에 대한 부하를 경감하면서도 크레인의 작동 영역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간섭없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크레인을 쉽고 빠르게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OSC부재라 함은 OSC(OFF-Site Construntion) 건축 공법에 사용되는 부재를 말하는 것으로, 외부(off-site),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설치되는 건축물 구조체, 내외장재, 인테리어 부재 등을 의미하며, PC(Precast Concrete), 모듈러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1)는 크레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크레인의 작동 상태, 작동 영역을 관리자단말기(2)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관리자가 관리자단말기(2)의 화면을 보면서 크레인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서버(1)는 크레인의 종류, 사양, 인양능력 등에 관한 정보와, 건설 현장의 3D 모델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고, 관리자단말기(2)의 화면을 통해 3D 모델링 화면에 크레인의 작동 영역을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1)는 이미 저장된 크레인의 작동일정과 작동영역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함께 표시하여 다른 크레인들과의 간섭, 크레인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관리서버(1)는 크레인별로 작업에 따른 비용 산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저비용의 크레인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크레인의 선택후 크레인 간의 간섭 여부를 점검하도록 하여 본 시스템의 이상 또는 크레인의 작동 이상 등을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서버(1)는 크레인정보저장부(10), 모델링정보저장부(11), 크레인선택부(12), 저장정보표시부(13), 비용산출부(14), 시스템점검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정보저장부(10)는 사용 가능한 크레인(3)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의 종류, 사양, 작동정보 및 이에 따른 인양능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OSC부재를 인양할 수 있고, 다른 크레인(3)들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크레인(3)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크레인정보저장부(10)는 크레인(3)의 종류, 사양에 따른 작동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여 관리자단말기(2) 화면에 크레인(3)의 종류, 사양에 따른 2D 형태의 작동영역을 표시하도록 하며, 관리자는 이를 확인하면서 적절한 크레인(3)의 선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레인정보저장부(10)는 크레인(3)의 종류, 사양에 따른 인양능력을 통해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에 맞추어 크레인(3)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크레인정보저장부(10)는 기종정보저장모듈(101), 사양정보저장모듈(102), 작동정보저장모듈(103), 캐파정보저장모듈(1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종정보저장모듈(101)은 크레인(3)의 기종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가능한 크레인(3)들의 붐타입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양정보저장모듈(102)은 크레인(3) 각 기종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의 각 기종에 대해 붐대 또는 지브의 길이, 작동각도 및 반경 등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정보저장모듈(103)은 기종정보저장모듈(101) 및 사양정보저장모듈(102)에 의해 저장되는 각 기종, 사양의 크레인(3)들의 작동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작동 각도 및 이에 따른 작동 영역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자단말기(2)의 화면을 통해 2D 형태의 작동 영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캐파정보저장모듈(104)은 각 크레인(3)의 인양 능력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인양 가능한 최대 무게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의 기종, 사양에 따라 인양할 수 있는 최대 무게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파정보저장모듈(104)은 인양할 OSC부재의 최대 무게에 맞추어 인양이 가능한 크레인(3)의 종류와 사양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델링정보저장부(11)는 공사 현장에 대한 3D 모델링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좌표정보설정모듈(111), 건물정보저장모듈(112), 구역정보설정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표정보설정모듈(111)은 모델링 정보가 저장될 좌표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건물정보 및 크레인의 작동 영역을 표시할 기준이 되는 3D 형태의 X,Y,Z 좌표축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건물정보저장모듈(112)은 건물의 설계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3D 형태의 모델링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건물정보저장모듈(112)은 건물에 대한 설계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건물의 전체 구조와 건축 영역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고, 건물에 사용되는 OSC부재들의 사양정보들을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역정보설정모듈(113)은 건물 설계에 대해 OSC부재의 인양이 이루어지는 구역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일정기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OSC부재의 인양 작업에 대해 하나의 구역으로 설정하여 이에 대한 크레인(3)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역정보설정모듈(113)은 하나의 크레인(3)에 의해 OSC부재의 인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을 하나의 구역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구역별 크레인(3)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구역별로 사용되는 크레인(3)이 서로 간섭되지 않게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크레인선택부(12)는 관리자단말기(2)를 통한 입력에 따라 사용할 크레인(3)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관리자단말기(2)의 화면에 크레인(3)의 작동영역을 표시하여 관리자가 크레인(3)의 작동 영역을 보면서 OSC부재를 작업구역에 인양할 수 있고, 주변 크레인(3)들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크레인(3)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크레인선택부(12)는 크레인(3)의 작동영역을 3D 좌표 상에 2D 형태로 표시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정확한 크레인(3)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크레인선택부(12)는 관리자가 원하는 단면을 선택하여 크레인(3)의 작동 영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선택된 단면에 대해 크레인(3)의 작동 영역을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크레인선택부(12)는 관리자가 선택한 종류의 크레인(3)에 대해 사양별로 작동영역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며, 관리자가 선택하는 크레인(3) 위치를 기준으로 작동영역이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크레인선택부(12)는 OSC부재의 무게를 고려하여 인양이 가능한 크레인(3)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미 작업정보가 저장된 다른 크레인(3)들과의 간섭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크레인선택부(12)는 단면선택모듈(121), 크레인선택모듈(122), 위치선택모듈(123), 디스플레이모듈(124), 크레인저장모듈(125), OSC정보반영모듈(126), 간섭정보표시모듈(1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면선택모듈(121)은 크레인(3)의 작동 영역을 표시할 단면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상기 모델링정보저장부(11)에 의해 설정되는 3D 좌표 상에서 작동 영역이 표시될 단면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면선택모듈(121)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X-Y 평면 상에서 크레인(3)의 작동영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좌표 상에서 크레인(3)의 작동영역을 X-Z 평면상에 사양에 따라 2D 형태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선택모듈(122)은 사용할 크레인(3)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에 저장된 크레인(3)의 목록을 관리자단말기(2)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고, 관리자단말기(2)를 통한 선택에 따라 사용할 크레인(3)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위치선택모듈(123)은 크레인(3)이 설치될 위치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상기 단면선택모듈(121)에 의해 선택된 단면 상에서 크레인의 위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선택될 위치를 중심으로 크레인(3)의 작동영역이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4)은 크레인(3)의 작동영역을 관리자단말기(2) 화면 상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크레인선택모듈(122)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크레인(3)에 대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양별로 작동영역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4)은 선택된 크레인(3)의 붐대 또는 지브의 길이, 작동각도에 따른 작동영역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단면선택모듈(121)에 의해 선택된 단면에 대해 상기 위치선택모듈(123)에 의해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작동영역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크레인(3)을 선택한 작업구역에 대한 크레인(3)의 작업 가능 여부와 주변 크레인(3)들과의 간섭 여부를 직관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저장모듈(125)은 선택되는 크레인(3)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4)에 의해 표시되는 다양한 사양의 크레인(3) 중 하나를 관리자단말기(2)를 통해 선택함으로써 사용할 크레인(3)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OSC정보반영모듈(126)은 크레인(3)의 선택시 크레인(3)에 의해 인양될 OSC부재의 정보를 반영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인양할 OSC부재의 최대 무게에 따라 인양이 가능한 크레인(3)을 한정하여 OSC부재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OSC정보반영모듈(126)은 무게정보입력모듈(126a), 크레인필터링모듈(126b), 사양필터링모듈(126c), 필터링적용모듈(126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정보입력모듈(126a)은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최대 무게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며, 상기 관리자단말기(2)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필터링모듈(126b)은 인양할 OSC부재의 최대 무게에 따라 크레인(3)의 종류를 필터링하는 구성으로, 시스템에 저장된 크레인(3)들 중에서 OSC부재를 인양할 수 없는 크레인(3)의 종류를 걸러내도록 한다.
상기 사양필터링모듈(126c)은 인양할 OSC부재의 최대 무게에 따라 크레인(3)의 사양을 필터링하는 구성으로, 상기 크레인정보저장부(10)에 의해 저장된 정보에 따라 각 크레인(3)에서 최대 무게를 인양할 수 없는 크레인(3)의 사양들을 걸러내도록 한다.
상기 필터링적용모듈(126d)은 상기 크레인필터링모듈(126b) 및 사양필터링모듈(126c)에 의해 필터링된 정보를 크레인(3)의 선택에 적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크레인선택모듈(122)에 의한 크레인(3)의 선택시 상기 크레인필터링모듈(126b)에 의해 인양이 불가능한 것으로 필터링된 크레인(3)의 종류를 목록에서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사양필터링모듈(126c)에 의해 필터링된 크레인(3)의 사양들에 대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4)에 의해 관리자단말기(2) 화면에 크레인(3) 작동영역을 표시할 때, 작동영역을 비활성화시켜 선택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적용모듈(126d)은 인양하고자 하는 OSC부재의 최대 무게에 따라 인양이 가능한 종류, 사양의 크레인(3)만을 선택할 수 있어 복잡한 과정없이 크레인(3)의 선택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간섭정보표시모듈(127)은 선택되는 크레인(3)과 이미 저장된 크레인(3)들과의 간섭 여부를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4)에 의해 표시되는 크레인(3) 중 하나를 선택할 때 간섭되는 작동영역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쉽게 간섭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시스템은 3D 모델링 상에 작업구역과 이미 저장된 크레인(3)의 작업정보들을 표시하도록 하고, 크레인(3)의 종류, 사양에 따른 작동영역을 3D 모델링 상에 표시하여 크레인(3)의 선택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나, 육안으로만 간섭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 크레인(3)의 선택에 실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섭정보표시모듈(127)은 자동으로 작동영역을 비교하여 간섭 여부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를 통한 간섭 여부의 확인이 좀 더 정확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간섭정보표시모듈(127)은 이동좌표수집모듈(127a), 작업정보로딩모듈(127b), 저장좌표수집모듈(127c), 간섭영역출력모듈(127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좌표수집모듈(127a)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4)에 의해 표시되되는 크레인(3)의 선택에 따라 선택되는 크레인(3)의 작업영역에 대한 좌표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선택된 크레인(3)의 종류, 사양에 따라 이동하는 영역에 대해 저장된 좌표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상기 작업정보로딩모듈(127b)은 동일한 시기에 저장된 크레인(3)들의 작업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상기 크레인선택부(12)에 의한 선택에 따라 시스템 상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크레인(3)들의 작업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상기 저장좌표수집모듈(127c)은 상기 작업정보로딩모듈(127b)에 의해 불러온 작업정보에서 크레인(3)의 작동영역에 따른 좌표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크레인(3)이 이동하는 공간에 대한 좌표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상기 간섭영역출력모듈(127d)은 상기 이동좌표수집모듈(127a)과 저장좌표수집모듈(127c)에 의해 수집되는 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간섭되는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좌표 정보가 중첩되는 영역에 대해 관리자단말기(2) 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간섭영역출력모듈(127d)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4)에 의해 표시되는 크레인(3)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간섭이 발생하는 영역에 대해 자동으로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하거나 경고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간섭이 발생되는 크레인(3)을 선택하는 오류를 더욱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장정보표시부(13)는 크레인(3)의 선택에 따라 저장되는 작업정보를 관리자단말기(2) 화면 상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3D 좌표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장정보표시부(13)는 각 작업구역에 대한 크레인(3)의 선택정보, 위치정보, 작업시기정보, 동선정보 등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자가 관리자단말기(2) 화면을 보면서 다른 작업을 실시하는 크레인(3)들과의 간섭 여부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정보표시부(13)는 작업구역표시모듈(131), 작업일자표시모듈(132), 크레인위치표시모듈(133), 크레인동선표시모듈(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구역표시모듈(131)은 크레인(3)이 선택된 작업구역을 관리자단말기(2) 화면 상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X-Y 평면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각 층별로 작업구역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일자표시모듈(132)에 각 작업구역에 대한 작업일자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에 의한 작업이 시작되는 날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고, 작업기간에 대한 정보도 함께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위치표시모듈(133)은 크레인(3)이 설치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각 작업구역에 대한 크레인(3)의 설치 위치를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크레인동선표시모듈(134)은 각 작업구역의 크레인(3) 설치 위치를 고려하여 크레인(3)이 이동되는 동선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은 안정적인 고정 및 설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그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바, 화면에 표시된 크레인(3)의 동선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한 크레인(3)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비용산출부(14)는 크레인(3)의 사용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의 선택시 크레인(3)의 종류, 사양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고려한 비용 효율적인 크레인(3)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용산출부(14)는 크레인(3)을 사용하는데 드는 기본적인 임차 비용 등을 고려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여기에 크레인(3)이 OSC부재를 인양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에 따른 비용을 함께 고려하여 더욱 정확한 비용의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비용산출부(14)는 사용비용계산모듈(141), 작업비용연산모듈(142), 비용합산모듈(143), 비용표시모듈(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비용계산모듈(141)은 크레인(3)의 기본적인 사용비용을 계산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의 종류, 사양 각각의 사용기간에 대한 임차 비용 등을 계산하도록 한다.
상기 작업비용연산모듈(142)은 OSC부재를 인양하는데 드는 작업비용을 계산하는 구성으로, OSC부재의 무게, 수량을 고려하여 크레인(3)의 종류, 사양에 따라 작업에 소모되는 전력요금 등의 비용을 계산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업비용연산모듈(142)은 OSC정보로딩모듈(142a), 작업단가설정모듈(142b), 작업반경입력모듈(142c), 작업비용산출모듈(14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OSC정보로딩모듈(142a)은 작업할 OSC부재에 관한 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각 작업구역에 대해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와 수량에 관한 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상기 작업단가설정모듈(142b)은 OSC부재의 무게에 따른 작업단가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의 종류, 사양에 따라 특정 무게의 OSC부재를 인양하는데 드는 전력소모에 따른 비용을 산정하도록 하며, OSC부재가 인양되는 거리에 따라서도 단가가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작업반경입력모듈(142c)은 크레인(3)의 작업 반경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의 설치 위치와 작업구역의 위치를 고려하여 크레인(3)이 회전하는 반경에 대한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 작업비용산출모듈(142d)은 OSC부재의 인양 작업에 따라 소모되는 작업 비용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전력 소모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와 수량, 작업반경을 고려하여 작업단가에 따른 비용이 산출되도록 한다.
상기 비용합산모듈(143)은 상기 사용비용계산모듈(141)에 의해 계산되는 크레인(3)의 사용비용과 상기 작업비용연산모듈(142)에 의해 계산되는 작업에 따른 비용을 합산하는 구성으로, OSC부재의 인양을 위한 크레인(3)의 사용에 따라 지출되는 비용이 산출되도록 한다.
상기 비용표시모듈(144)은 상기 비용합산모듈(143)에 의해 합산되는 비용을 관리자단말기(2)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관리자가 상기 크레인선택부(12)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는 크레인을 선택할 때 그 비용이 함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여 크레인(3)의 선택에 따른 비용을 고려하면서 크레인(3)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스템점검부(15)는 본 시스템의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하는 구성으로, 특히 크레인(3) 간의 간섭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본 시스템에 의해 크레인(3)이 제대로 선택되고 있는지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시스템은 3D 모델링 상에 이미 저장된 크레인(3)들의 작업구역을 표시하고, 여기에 크레인(3)의 종류, 사양에 따른 작업영역을 2D 형태로 표시하여 다른 크레인(3)들과의 간섭영역을 확인하면서 크레인(3)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간섭정보표시모듈(127)에 의해 간섭 여부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 크레인의 작업중 크레인 간의 거리가 위험할 정도로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크레인(3)의 작업영역이 잘못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간섭정보표시모듈(127)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점검부(15)는 크레인(3)의 작업시 크레인(3) 간의 거리를 모니터링하여 간섭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고, 간섭 위험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간섭 여부의 확인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시스템의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시스템점검부(15)는 위험할 정도로 크레인(3) 사이가 가까워질 때 뿐만 아니라 위험할 정도는 아니더라도 그 근접범위에서 잦은 반복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위험에 대한 사전경고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전경고가 이루어지는 범위 이하의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근접되는 경우에는 점검을 지시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점검부(15)는 크레인(3) 간의 간섭에 대한 이상 상황 발생시 시스템 점검에 앞서 또는 크레인 점검과 함께 크레인(3)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여 간섭 이상에 따른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시스템점검부(15)는 이상감지부(151), 위험알림부(152), 점검지시부(153), 크레인이상판단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감지부(151)는 시스템의 이상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크레인 간의 거리가 위험한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이상범위를 넘어 근접되는 경우 시스템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즉각적이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상감지부(151)는 근접정보수신모듈(151a), 이상범위설정모듈(151b), 이상범위비교모듈(151c), 이상판단모듈(151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정보수신모듈(151a)은 크레인(3)간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각 크레인(3)의 끝단에는 서로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는 센싱장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근접정보수신모듈(151a)은 이러한 센싱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크레인(3)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상범위설정모듈(151b)은 시스템의 이상으로 판단되는 크레인(3) 간의 거리 범위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 간의 근접에 따라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거리의 기준을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이상범위비교모듈(151c)은 상기 근접정보수신모듈(151a)에 의해 수신되는 크레인(3) 간의 거리를 이상범위설정모듈(151b)에 의해 설정되는 기준거리와 비교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이 위험할 정도로 가까워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상판단모듈(151d)은 크레인(3) 간의 거리가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가까워지는 경우 시스템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의 작동영역에 대한 표시 또는 상기 간섭정보표시모듈(127)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위험알림부(152)는 상기 이상감지부(151)에 의해 시스템 이상으로 판단될 정도로 크레인(3)이 가까워지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상범위설정모듈(151b)에 의해 설정되는 기준거리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에서 크레인(3) 간의 근접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이상이 발생할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위험알림부(152)는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위험을 인지하여 경고하도록 함으로써, 이상 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선제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알림부(152)는 크레인(3) 간의 거리가 위험범위에 한번 도달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빈도를 산출하여 잦은 반복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위험에 대한 경고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잦은 경고신호에 따른 비효율적 점검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위험알림부(152)는 위험범위인지모듈(152a), 시간정보저장모듈(152b), 빈도산출모듈(152c), 위험경고모듈(15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범위인지모듈(152a)은 크레인(3) 간의 근접거리가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인지하는 구성으로, 여기서 위험범위란 상기 이상범위설정모듈(151b)에 의해 설정되는 크레인(3) 간의 기준거리 이상의 일정 범위를 의미하며, 곧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거리 범위로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시간정보저장모듈(152b)은 크레인(3) 간의 거리가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저장되는 시간정보를 통해 위험범위 도달 빈도의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빈도산출모듈(152c)은 크레인(3) 간의 거리에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빈도의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위험경고모듈(152d)은 빈도산출모듈(152c)에 의해 산출되는 빈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일정시간 동안 일정횟수 이상으로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관리자단말기(2)로 위험경고신호를 전송하여 시스템의 작동을 멈추고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검지시부(153)는 상기 이상감지부(151) 또는 위험알림부(152)에 의해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거나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상태로 판단되지 않더라도 크레인(3) 간의 거리가 위험범위 이상의 일정범위에서 연속되는 경우에는 미리 점검을 실시하도록 하여 일시적인 이상을 해결하고 시스템의 정상 작동 상태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점검지시부(153)는 점검범위감지모듈(153a), 연속횟수산정모듈(153b), 기준횟수비교모듈(153c), 점검알림모듈(153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범위감지모듈(153a)은 크레인(3) 간의 근접거리가 점검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위험알림부(152)에 의한 위험범위 이상의 일정범위에 크레인(3) 간의 거리가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연속횟수산정모듈(153b)은 점검범위에 도달하는 것이 연속되는 횟수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간의 거리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크레인(3)이 서로 근접할 때마다 점검범위에 도달하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며, 점검범위보다 멀리 근접되는 경우에는 연속횟수의 산정을 리셋하도록 한다. 이때에도 상기 연속횟수산정모듈(153b)은 근접이라도 판단할 수 있는 거리 범위를 별도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거리범위 내의 근접 중에서 점검범위 내로 근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횟수비교모듈(153c)은 연속횟수산정모듈(153b)에 의해 산정되는 연속횟수를 설정된 기준 횟수와 비교하는 구성으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연속횟수를 설정하여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점검알림모듈(153d)은 연속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점검의 필요성을 알리는 구성으로,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점검하여 일시적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미세한 이상이 존재하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크레인이상판단부(154)는 상기 이상감지부(151), 위험알림부(152), 점검지시부(153)에 의해 이상, 위험경고, 점검지시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크레인(3)의 상태 점검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시스템과 함께 크레인(3)의 작동 상태도 점검하여 정확한 이상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크레인 사이가 근접되는 것은 크레인(3)의 회전이 설정된 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상이 발생하는 것에 기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크레인이상판단부(154)는 크레인(3)의 회전각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회전각도와 비교함으로써 정상 작동 여부의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크레인이상판단부(154)는 점검정보수신모듈(154a), 각도정보수신모듈(154b), 설정각도수신모듈(154c), 각도비교모듈(154d), 크레인이상판단모듈(154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정보수신모듈(154a)은 상기 이상감지부(151), 위험알림부(152), 점검지시부(153) 중 어느 하나에서 이상, 위험경고, 점검알림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크레인(3)의 작동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각도정보수신모듈(154b)은 크레인(3)이 회전하는 각도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특히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설정각도수신모듈(154c)은 크레인(3)의 작동시 설정되는 각도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크레인(3)의 작동 사양에 따라 저장된 정상 작동시 회전하는 각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각도비교모듈(154d)은 설정된 각도와 실제 작동 각도의 정보를 비교하는 구성으로, 상기 각도정보수신모듈(154b)에 의해 수신되는 각도와 설정각도수신모듈(154c)에 의해 수신되는 각도를 비교하도록 한다.
상기 크레인이상판단모듈(154e)은 각도 비교 결과에 따라 크레인(3)의 작동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상기 각도비교모듈(154d)에 의한 비교 결과 각도의 차이가 설정된 정도를 벗어나는 경우 크레인(3)의 작동의 이상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2)는 상기 관리서버(1)와 통신하며, 화면을 통해 크레인(3)의 작업정보, 작동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OSC, 태블릿, 스마트폰 등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스마트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자단말기(2)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레인(3)의 작동영역이 3D모델링 상에 표시되며, 관리자는 크레인(3)의 종류, 사양에 따른 작동영역을 확인하면서 OSC부재의 인양이 가능하고 다른 크레인(3)들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크레인(3)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크레인(3)은 건설 현장에서 OSC부재를 인양하는 구성으로, 건설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종류, 사양, 작동각도, 인양능력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관리서버(1)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크레인(3)은 그 끝단에 크레인(3) 사이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근접 거리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회전각도를 측정하여 크레인(3)의 정상 작동 여부의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을 도 19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관리서버(1) 및 관리자단말기(2)를 포함하며, 공장측에서 생산되어 건설현장에 반입되는 OSC부재(4)를 관리하기 위해 관리자단말기(2)는 OSC부재(4)에 대한 반입요청을 입력하고, 공장으로부터 현장에 반입된 OSC부재를 촬영하여 검측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며, 관리서버(1)는 OSC부재(4)를 이용한 설계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관리자단말기(2)를 통한 입력에 따라, OSC부재(4)에 대한 반입요청을 생성하여 공장으로 전달하고, 설계된 OSC부재(4) 각각에 대한 검측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OSC부재는 설계 → 생산 → 야적 → 현장 반입요청 → 운송 → 현장반입 → 설치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종래에는 OSC부재가 개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동일한 관리번호의 OSC부재가 복수개 존재하여 각 OSC부재에 대한 품질 등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각 OSC부재에 대해 개별적으로 관리번호를 지정하여 관리하도록 하였으나, 이를 위해서는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계단계에서 관리번호를 지정하여 이에 따른 생산이 이루어지고, 관리번호에 따라 현장으로 이송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각 OSC부재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명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으나, RFID의 부착에 많은 비용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경우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OSC부재의 생산시 설계시에서의 관리번호에 따라 부재번호를 지정하여 저장되도록 하는데, 공장에서의 생산과정에 따라 야적순서가 달라질 수 있고, 출하순서에 따라서도 상측에 위치한 OSC부재를 임시 야적시켜 출하순서를 맞추도록 해야하므로 OSC부재의 파손이나 손상 우려가 높고, 작업이 번거로워 실제 공장 현장에서는 이를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설계에 따른 OSC부재의 설치순서는 초기에 확정되지만, 현장에서 반입할 물량은 설치 2~3주전에 확정되기 때문에 야적되어 있는 부재 물량과 출하 물량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여 OSC부재를 출하하는 과정은 더욱 복잡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OSC부재(4)에 대한 반입요청서 작성시에 관리번호를 공장측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이에 따른 OSC부재(4)의 반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개별 OSC부재(4)에 대한 관리가 불편함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설계 모델링 상의 OSC부재(4) 정보를 매칭시켜 반입요청서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OSC부재(4) 각각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확한 반입과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반입된 OSC부재(4)에 대한 품질 검측시에도 반입요청서 상의 정보를 매칭하여 검측을 위한 자료가 입력되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는 설계정보 상의 OSC부재(4) 정보와 그대로 매칭되므로, OSC부재(4)의 설치 위치에 따른 정확한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과정이 관리자단말기(2)를 통한 간단한 입력을 통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1)는 OSC부재(4)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구성으로, 현장의 설계정보, OSC부재(4)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OSC부재(4)에 관한 반입요청, 검측정보를 생성하여 저장·전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1)는 검측정보를 통해 OSC부재(4)의 정상적인 반입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OSC부재(4)의 위치에 따라서도 정상 반입여부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1)는 OSC부재(4)에 대한 검측결과, 납품기간, 납품의 정확성 등에 따라 OSC부재(4)를 생산하여 납품하는 업체들을 평가하도록 함으로써, 업체들을 통한 OSC부재(4)의 생산 및 납품이 높은 품질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서버(1)는 반입요청부(16), 검측저장부(17), 검측확인부(18), 반입확인부(19), 위치확인부(20), 신뢰도평가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입요청부(16)는 OSC부재(4)에 대한 반입요청을 생성하여 전달하는 구성으로, 특정 서식에 반입을 요청할 OSC부재(4)의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여 반입요청서를 생성하도록 하고, 이를 공장측으로 전달하여 반입요청서에 따른 OSC부재(4)의 반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반입요청부(16)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정보 상의 OSC부재(4)를 선택하여 선택된 OSC부재(4)에 대한 반입요청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OSC부재(4)를 설치할 위치와 순서에 따라 정확한 반입 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완공시까지 각 OSC부재(4)에 대한 정확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반입요청부(16)에 의한 반입요청서의 생성시에 설계정보에 따른 관리번호를 공장측으로 전달하도록 하므로, 공장측에서도 설계정보와는 별개로 반입요청에 매칭되는 사양의 OSC부재(4)만을 찾아 쉽게 OSC부재(4)의 출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장측에서는 설계정보와 상관없이 OSC부재(4)를 종류별로만 야적하면 충분하고, 반입요청된 종류에 맞는 OSC부재(4)만을 출하여 현장에 반입되도록 하면 충분하므로 OSC부재(4)의 생산, 보관, 출하가 쉽고 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입요청부(16)는 서식출력모듈(161), 프로젝트선택모듈(162), 설계정보로딩모듈(163), 부재선택모듈(164), 반입시간지정모듈(165), 반입요청생성모듈(1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식출력모듈(161)은 반입요청서에 대한 서식을 관리자단말기(2)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구성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C부재(4)의 종류, 크기, 무게 등의 사양정보와 관리번호, 그리고 반입일시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서식을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프로젝트선택모듈(162)은 반입을 요청할 OSC부재(4)가 포함된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관리자단말기(2)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젝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시스템 상에는 복수의 공사현장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프로젝트선택모듈(162)은 저장된 프로젝트정보를 관리자단말기(2)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며, 관리자단말기(2)를 통한 선택에 따라 선택된 프로젝트정보를 반입요청서 상에 입력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설계정보로딩모듈(163)은 선택된 프로젝트에 대한 설계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OSC부재(4) 각각의 정보가 저장된 3D 모델링 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상기 부재선택모듈(164)은 반입을 요청할 OSC부재(4)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선택된 OSC부재(4)의 정보가 반입요청서 상에 입력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부재선택모듈(164)은 관리자단말기(2) 화면에 표시되는 3D 설계정보 상에서 OSC부재(4)를 선택하여 편리하면서도 정확하게 반입을 요청할 OSC부재(4)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OSC부재(4)의 선택과 함께 OSC부재(4)의 상세정보를 표시하여 더욱 정확한 OSC부재(4)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부재선택모듈(164)은 모델링표시모듈(164a), 세부정보표시모듈(164b), 선택정보저장모듈(16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델링정보표시모듈(183)은 관리자단말기(2) 화면상에 3D형태의 설계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설계정보 자체에서 OSC부재(4) 각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부정보표시모듈(164b)은 OSC부재(4)의 선택시 OSC부재(4)에 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OSC부재(4)의 종류, 크기, 무게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정보저장모듈(164c)은 선택된 OSC부재(4)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반입요청서상에 반영되어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 반입시간지정모듈(165)은 선택된 OSC부재(4)들에 대해 반입을 원하는 시간 정보를 지정하는 구성으로, 관리자단말기(2)를 통한 입력에 의해 지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원하는 날짜와 시간까지 정확하게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입요청생성모듈(166)은 반입요청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선택된 OSC부재(4)에 대한 정보와 함께 반입을 원하는 시간정보를 저장하도록 하고, 저장된 반입요청정보를 해당 OSC부재(4)를 생산하는 공장측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검측저장부(17)는 반입 요청에 따라 반입되는 OSC부재(4)들의 검측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관리자단말기(2)를 통해 OSC부재(4)들의 사진을 촬영하여 검측을 위한 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검측저장부(17)는 검측정보를 입력할 OSC부재(4)에 대한 반입요청정보를 불러오도록 하고, 반입요청서 상에서 OSC부재(4)의 선택을 통해 검측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 반입요청된 OSC부재(4)들에 대한 정확한 검측정보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입요청에 따라 정확한 OSC부재(4)들이 반입되었는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검측저장부(17)는 촬영정보수신모듈(171), 프로젝트표시모듈(172), 요청정보로딩모듈(173), 검측부재지정모듈(174), 검측정보입력모듈(175), 검측정보저장모듈(17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수신모듈(171)은 OSC부재(4)에 대해 관리자단말기(2)를 통해 촬영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촬영되는 정보의 수신에 따라 자동으로 검측정보의 입력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표시모듈(172)은 촬영정보의 수신시 시스템에 저장된 프로젝트의 목록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프로젝트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프로젝트에 대해 저장된 반입요청들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요청정보로딩모듈(173)은 선택된 프로젝트에 대한 반입요청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상기 반입요청부(16)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된 반입요청중에 아직 OSC부재(4)가 반입되지 않은 반입요청정보들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반입요청에 대한 검측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검측부재지정모듈(174) 검측정보를 입력할 OSC부재(4)를 지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요청정보로딩모듈(173)에 의해 불러온 반입요청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반입요청정보들이 표시되도록 하고, 이중 검측정보를 입력할 OSC부재(4)를 선택하여 해당 OSC부재(4)에 대한 검측정보의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검측정보입력모듈(175)은 촬영정보와는 별개로 검측을 위한 정보들을 입력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메모창을 통해 부가적인 정보들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측정보저장모듈(176)은 입력된 검측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촬영정보, 부가정보들이 반입요청서 상의 OSC부재(4) 정보와 매칭되어 함께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검측확인부(18)는 상기 검측저장부(17)에 의해 저장된 검측정보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OSC부재(4)의 품질 상태를 최종 확인하는 관리자가 관리자단말기(2)를 통해 검측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검측확인부(18)는 검측정보의 생성시 해당 반입요청에 대한 관리자에게 검측정보의 생성을 알려 자동으로 검측정보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3D 모델링 상에서 OSC부재(4)의 위치를 확인하고 검측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측확인부(18)는 OSC부재(4)의 품질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평가정보는 OSC부재(4)를 생산하는 업체의 신뢰도를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검측확인부(18)는 검측정보알림모듈(181), 확인요청수신모듈(182), 모델링정보표시모듈(183), 부재지정모듈(184), 검측정보표시모듈(185), 평가정보입력모듈(186), 검측결과저장모듈(18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측정보알림모듈(181)은 검측정보의 생성을 해당 OSC부재(4)의 품질을 담당하는 관리자에게 알리는 구성으로, 상기 검측저장부(17)에 의해 OSC부재(4)에 대한 검측정보가 생성될 때 이를 관리자의 관리자단말기(2)로 알려 검측정보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확인요청수신모듈(182)은 검측정보를 수신한 관리자의 관리자단말기(2)로부터 검측정보 확인을 위한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저장된 검측정보를 관리자의 관리자단말기(2)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모델링정보표시모듈(183)은 검측정보의 전송과 함께 검측정보를 포함한 OSC부재(4)가 포함된 현장의 3D 모델링 정보를 관리자단말기(2)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델링 상에서 검측정보가 생성된 OSC부재(4)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재지정모듈(184)은 검측결과를 입력할 OSC부재(4)를 선택하여 지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모델링정보표시모듈(183)에 의해 표시되는 3D 형태의 모델링 상에서 OSC부재(4)를 지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OSC부재(4)의 정확한 설치 위치를 파악하여 검측결과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측정보표시모듈(185)은 OSC부재(4)의 선택시 OSC부재(4)에 대한 검측정보를 관리자단말기(2)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OSC부재(4)에 대해 촬영된 정보와 검측정보입력모듈(175)에 의해 입력된 부가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평가정보입력모듈(186)은 검측정보를 바탕으로 OSC부재(4)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OSC부재(4)의 품질에 대해 등급을 산정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평가정보입력모듈(186)은 OSC부재(4)의 품질에 따라 복수의 등급을 나누도록 할 수 있으며, 평가된 등급에 따라 업체의 신뢰도를 평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정보입력모듈(186)에 의해 평가되는 등급이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낮은 경우에는 OSC부재(4)의 부적격으로 판정될 수 있고, 공장측으로 OSC부재(4)의 재반입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측결과저장모듈(187)은 상기 평가정보입력모듈(186)에 의해 입력되는 평가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각 OSC부재(4)에 대한 평가정보가 OSC부재(4)를 생산하는 업체의 평가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입확인부(19)는 반입요청에 따른 OSC부재(4)의 반입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상기 검측저장부(17)에 의해 생성되는 검측정보를 이용하여 반입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반입확인부(19)는 반입 확인 결과에 따라 누락된 OSC부재(4)가 존재하는 경우 공장측에 반입을 재요청하도록 하고, 요청되는 않은 OSC부재(4)가 반입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반품을 요청하도록 하여, OSC부재(4)가 잘못 반입된 경우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반입확인부(19)는 검측완료수신모듈(191), 부재정보비교모듈(192), 자동재요청모듈(193), 반품신청모듈(1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측완료수신모듈(191)은 상기 검측저장부(17)에 의해 검측정보가 저장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검측의 완료와 함께 반입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부재정보비교모듈(192)은 반입요청된 OSC부재(4)의 목록과 검측이 완료된 OSC부재(4)의 목록을 비교하는 구성으로, 반입요청 단위별로 OSC부재(4)의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자동재요청모듈(193)은 부재정보비교모듈(192)에 의한 비교결과 반입요청된 OSC부재(4) 중 미반입된 OSC부재(4)가 존재하는 경우 공장측에 자동으로 재요청하는 구성으로, 미반입된 OSC부재(4)를 신속하게 재요청하여 공사의 지연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품신청모듈(194)은 부재정보비교모듈(192)에 의한 비교결과 요청되지 않은 OSC부재(4)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공장측에 반품을 요청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촬영정보가 존재하나 반입요청된 OSC부재(4)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반품 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치확인부(20)는 OSC부재(4)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OSC부재(4)가 정확한 위치로 납품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OSC부재(4)가 잘못 납품되거나 도난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공장에서 생산되는 OSC부재(4)에는 납품할 현장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QR코드, RFID 태그 등을 통해 현장의 위치정보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확인부(20)는 관리자단말기(2)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OSC부재(4)의 검측시 OSC부재(4)의 위치를 검출하고 OSC부재(4)에 저장된 납품 위치 정보를 인식하도록 하며, 이를 이용하여 OSC부재(4)가 정확한 위치의 현장으로 납품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확인부(20)는 촬영정보감지모듈(201), 위치정보수신모듈(202), 납품위치인식모듈(203), 위치정보비교모듈(204), 오류정보전송모듈(2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감지모듈(201)은 상기 관리자단말기(2)에 의해 OSC부재(4)가 촬영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촬영정보수신모듈(171)에 의해 촬영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정보수신모듈(202)은 촬영정보의 수신시 관리자단말기(2)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관리자단말기(2)에 포함된 GPS 등을 이용하여 관리자단말기(2)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단말기(2)에 의해 촬영되는 OSC부재(4)의 위치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납품위치인식모듈(203)은 OSC부재(4)가 납품될 위치정보를 인식하는 구성으로, OSC부재(4)의 QR코드, RFID 태그 등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관리자단말기(2)를 통해 인식하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단말기(2)는 OSC부재(4)를 촬영할 때 QR코드, RFID 태그 등에 저장된 위치정보도 함께 인식하여 관리서버(1)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납품위치인식모듈(203)에 해당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정보비교모듈(204)은 위치정보수신모듈(202)에 의해 수신된 위치정보와 상기 납품위치인식모듈(203)에 의해 인식된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구성으로, 반입요청에 따른 납품위치와 실제 OSC부재(4)가 납품된 위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오류정보전송모듈(205)은 위치정보비교모듈(204)에 의한 비교결과 위치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오류정보를 관리자단말기(2)를 통해 알리고, 공장측으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납품 오류에 따른 대처 또는 도난 상황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신뢰도평가부(21)는 OSC부재(4)를 생산·납품하는 업체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구성으로, OSC부재(4)의 품질, 납품기일의 준수 여부, 배송의 정확성 등을 평가하여 이를 합함으로써 각 업체에 대한 신뢰도가 평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신뢰도평가부(21)는 결함평가부(211), 지연평가부(212), 반입평가부(213), 결과도출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함평가부(211)는 OSC부재(4)의 품질에 따라 각 업체를 평가하는 구성으로, 상기 검측확인부(18)의 평가정보입력모듈(186)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품질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욱 정확하게, 상기 결함평가부(211)는 OSC부재(4)의 결함 정도에 따라 품질을 평가하도록 하며, 평가정보입력모듈(186)에 의해 입력되는 평가등급을 반영하여 결함정도를 평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함평가부(211)는 검측정보수신모듈(211a), 검측결과로딩모듈(211b), 평가정보추출모듈(211c), 결함지수산정모듈(211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측정보수신모듈(211a)은 상기 검측확인부(18)에 의해 검측의 확인이 완료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검측결과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검측결과로딩모듈(211b)은 수신된 검측정보에서 검측결과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상기 검측확인부(18)에 의해 저장되는 검측결과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상기 평가정보추출모듈(211c)은 검측결과로딩모듈(211b)에 의해 불러온 검측결과에서 평가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평가정보입력모듈(186)에 의해 입력되는 OSC부재(4)의 품질에 관한 등급 정보를 추출하도록 한다.
상기 결함지수산정모듈(211d)은 OSC부재(4)의 등급에 따른 결합 정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OSC부재(4)의 품질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는 등급일 수록 높은 결함지수를 갖도록 등급에 따른 결합지수의 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결함지수산정모듈(211d)은 특정 업체에 의해 납품되는 OSC부재(4) 각각에 대한 결함지수가 산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누적 저장되는 결함지수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특정 시점의 결함지수가 결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연평가부(212)는 OSC부재(4)의 납품기일에 대한 준수 여부에 따라 업체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구성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납품기일에 대한 지연 정도에 따라 신뢰도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지연평가부(212)는 OSC부재(4)의 종류, 수량에 따라 OSC부재(4)를 생산하는 과정에 차이가 있고, 이에 따라 지연의 가능성도 상이하게 되므로, OSC부재(4)의 종류, 수량과 지연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기준이 되는 지연정도를 산정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업체별 지연정도를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업체별로 합리적인 지연 정도의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연평가부(212)는 반입정보수신모듈(212a), 지연정보저장모듈(212b), 부재정보저장모듈(212c), 수량정보저장모듈(212d), 상관관계도출모듈(212e), 기준값산정모듈(212f), 지연지수산출모듈(212g), 지연지수합산모듈(212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입정보수신모듈(212a)은 반입요청에 따라 각 OSC부재(4)가 반입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반입정보수신모듈(212a)은 상기 검측저장부(17)에 의한 검측정보의 입력시 반입시간이 함께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반입을 확인하는 장치를 통해 반입시간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지연정보저장모듈(212b)은 OSC부재(4)의 반입이 지연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반입시간지정모듈(165)에 의해 지정되는 반입시간으로부터 OSC부재(4)가 실제 반입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지연시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부재정보저장모듈(212c)은 반입된 OSC부재(4)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OSC부재(4)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생산시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OSC부재(4)들을 그룹으로 분류하여 OSC부재(4)의 그룹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량정보저장모듈(212d)은 반입요청되는 OSC부재(4)들의 수량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반입요청 단위별로 OSC부재(4)의 수량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상관관계도출모듈(212e)은 OSC부재(4)의 종류, 수량과 지연기간에 대한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구성으로, 일정기간 동안 OSC부재(4)의 종류, 수량, 지연기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누적·저장하도록 하고, 누적되는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도록 함으로써, 기준이 되는 지연기간의 값을 산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관관계도출모듈(212e)은 OSC부재(4)의 종류에 대해 구분된 그룹에 따라 생산기간에 대한 지수를 산정하도록 하여, 반입요청 단위로 그 지수의 평균값을 산정하도록 하고, 이를 상관관계의 도출에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산정모듈(212f)은 지연기간에 대한 기준값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관관계도출모듈(212e)에 의해 도출되는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기준값의 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준값산정모듈(212f)은 반입요청되는 OSC부재(4)의 종류와 수량을 상기 상관관계도출모듈(212e)에 의해 도출되는 상관관계에 입력하여 기준이 되는 지연기간의 값을 산정하도록 한다.
상기 지연지수산출모듈(212g)은 특정 업체의 OSC부재(4)에 대한 반입요청 단위별로 지연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기준값산정모듈(212f)에 의해 산정되는 기준값 대비 실제 지연기간에 대한 비율로 지연지수를 산출하도록 하고, 기준값보다 더 길게 지연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지연지수의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연지수합산모듈(212h)은 각 업체별로 지연지수를 합산하는 구성으로, 지연지수가 산출될 때마다 지연지수를 합산하여 누적저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연지수합산모듈(212h)에 의해 지연지수가 커질수록 납품기간을 지키지 못하는 업체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반입평가부(213)는 OSC부재(4)의 반입에 대한 정확성을 평가하는 구성으로, 납품 오류가 발생하는 정도를 평가하도록 한다. 상기 반입평가부(213)는 상기 반입확인부(19)에 의해 OSC부재(4)가 납품되지 않거나 과납품되는 경우 또는 상기 위치확인부(20)에 의해 잘못 배송되는 경우를 산정하여 그 빈도를 산출하도록 하고, 그 빈도에 따라 전체적인 평가지수에 가중치가 적용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신뢰도평가부(21)는 결함지수, 지연지수를 합산하여 평가지수를 산정하며, OSC부재(4)의 결함이 많고 지연이 잦을수록 높은 평가지수를 갖게 되는바, 오류 빈도가 잦을수록 평가지수에 가중치를 적용하도록 하여 더 큰 평가지수를 갖도록 함으로써 납품 오류를 평가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반입평가부(213)는 오류정보수신모듈(213a), 오류빈도산정모듈(213b), 가중치산출모듈(213c), 가중치적용모듈(213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류정보수신모듈(213a)은 납품 오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반입확인부(19) 또는 위치확인부(20)로부터 납품 오류가 발생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오류빈도산정모듈(213b)은 오류가 발생하는 빈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각 업체별 전체 반입요청 횟수에 대해 오류가 발생하는 횟수로 빈도를 산정하도록 한다.
상기 가중치산출모듈(213c)은 오류빈도산정모듈(213b)에 의해 산정되는 빈도에 따라 가중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오류 빈도를 평가지수에 곱하여 가중치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적용모듈(213d)은 상기 가중치산출모듈(213c)에 의해 산출된 가중치를 평가지수에 적용하는 구성으로, 가중치를 평가지수에 합산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류 빈도가 잦을 수록 평가지수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과도출부(214)는 각 업체별 신뢰도에 관한 결과를 도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결함평가부(211), 지연평가부(212)에 의해 산정되는 결함지수, 지연지수에 상기 반입평가부(213)에서 산출되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최종 평가지수를 산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결과도출부(214)는 평가지수가 높을수록 OSC부재(4)의 결함발생률이 높고, 납품지연 또는 오류가 잦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평가지수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하여 기준값보다 평가지수가 높아지는 경우 업체에게 경고가 주어지도록 하여 업체의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결과도출부(214)는 평가지수산정모듈(214a), 평가지수표시모듈(214b), 기준값설정모듈(214c), 경고정보전송모듈(214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지수산정모듈(214a)은 업체를 평가하는 평가지수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결함지수산정모듈(211d)에 의해 산정되는 결함지수, 상기 지연지수합산모듈(212h)에 의해 산정되는 지연지수를 합산하고, 상기 가중치적용모듈(213d)에 의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평가지수가 산정되도록 한다.
상기 평가지수표시모듈(214b)은 산정된 평가지수를 관리자단말기(2)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각 업체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평가지수에 관한 정보를 각 업체에게 전송하여 품질 향상에 대한 노력을 요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설정모듈(214c)은 업체의 신뢰정도가 용이할 수 없을만큼 상승하는 평가지수의 기준값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OSC부재(4)의 납품을 진행하기 힘들 정도로 OSC부재(4)의 품질이 떨어지고, 납품 지연 또는 납품오류가 잦은 상태에 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지수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경고정보전송모듈(214d)은 평가지수가 기준값설정모듈(214c)에 의해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업체에게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OSC부재(4) 납품에 대한 업체의 품질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2)는 상기 OSC부재(4)에 대한 반입요청을 입력하고, 공장으로부터 현장에 반입된 OSC부재(4)를 촬영하여 검측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반입요청서의 작성을 위한 화면과 입력수단을 포함하며, OSC부재(4)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 등의 촬영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QR코드, RFID태그 등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OSC부재(4)는 OSC(OFF-Site Construntion) 건축 공법에 사용되는 부재를 말하는 것으로,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설치되는 건축물 구조체, 내외장재, 인테리어 부재 등을 의미하며, PC(Precast Concrete), 모듈러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OSC부재(4)는 건설 현장에서의 반입요청에 따라 공장에서 건설현장으로 납품되며, 납품위치를 저장하는 QR코드, RFID 태그 등이 부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OSC부재(4)가 정확한 위치로 납품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관리서버 10: 크레인정보저장부
11: 모델링정보저장부 12: 크레인선택부
13: 저장정보표시부 14: 비용산출부
15: 시스템점검부 151: 이상감지부
152: 위험알림부 153: 점검지시부
154: 크레인이상판단부 16: 반입요청부
17: 검측저장부 18: 검측확인부
19: 반입확인부 20: 위치확인부
21: 신뢰도평가부 211: 결합평가부
212: 지연평가부 213: 반입평가부
214: 결과도출부 2: 관리자단말기
3: 크레인 4: OSC부재

Claims (11)

  1. 건설 현장에 설치되어 OSC부재를 설치 위치로 인양하는 크레인과;
    건설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크레인의 기종, 크기, 작동각도 및 이에 따른 인양능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관리자단말기의 화면 상에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선택에 따른 크레인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며, 크레인의 작업정보, 작동상태가 표시되는 화면을 갖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크레인의 기종, 크기, 작동각도에 따른 작동영역을 상기 관리자단말기의 3D 화면 상에 2D 형태로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크레인 사이의 근접 정도에 따라 시스템 상태를 점검하는 시스템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점검부는 크레인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값을 넘어 근접되는 경우 시스템 이상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이상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감지부는,
    크레인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근접정보수신모듈과,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접범위의 기준을 설정하는 이상범위설정모듈과, 상기 근접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근접거리와 기준범위를 비교하는 이상범위비교모듈과, 근접거리가 기준범위보다 가까워지는 경우 시스템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관리자단말기에 알리는 이상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 가능한 크레인 정보를 저장하는 크레인정보저장부와, 건설 현장에 대한 3D 모델링 정보를 저장하는 모델링정보저장부와, 크레인의 작동 영역을 2D 형태로 관리지단말기 화면 상에 표시하여 크레인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레인선택부와, 기저장된 크레인의 작동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저장정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정보저장부는
    크레인의 기종 정보를 저장하는 기종정보저장모듈과; 크레인 각 기종의 붐대 종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양정보저장모듈과; 각 기종 및 사양에 따른 작동각도와, 작동각도에 따른 작동영역의 정보를 저장하는 작동정보저장모듈과; 크레인의 각 기종, 사양 및 작동각도에 따른 인양능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캐파정보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델링정보저장부는,
    현장을 나타내는 3D의 좌표 정보를 설정하는 좌표정보설정모듈과, 설정된 좌표 상에 설계되는 건물의 모델링 정보를 저장하는 건물정보저장모듈과, OSC부재가 설치되는 작업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역정보설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선택부는,
    크레인의 작동정보를 표시할 화면의 단면을 선택하는 단면선택모듈과, 사용할 크레인의 기종을 선택하는 크레인선택모듈과, 크레인을 설치할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선택모듈과, 지정된 위치에서 선택된 크레인의 크기, 작동각도에 따른 작동영역을 선택된 단면 상에 2D 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화면 상의 크레인에 대한 선택에 따라 사용될 크레인이 저장되도록 하는 크레인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정보표시부는,
    각 크레인의 작업구역을 표시하는 작업구역표시모듈과, 작업시기를 표시하는 작업일자표시모듈과, 크레인이 설치될 위치를 표시하는 크레인위치표시모듈과, 저장된 작업에 따른 크레인의 동선을 표시하는 크레인동선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선택부는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에 따라 크레인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OSC정보반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OSC정보반영모듈은,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정보를 입력하는 무게정보입력모듈과, 인양할 OSC부재의 최대 무게에 따라 인양가능한 크레인의 종류를 필터링하는 크레인필터링모듈과, 필터링된 크레인에서 OSC부재의 인양이 가능한 크레인의 크기, 작동각도 등을 필터링하는 사양필터링모듈과, 필터링된 정보를 반영하여 OSC부재의 인양이 불가능한 크레인, 사양을 화면상에서 불활성화하는 필터링적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선택부는
    화면 상에서 선택되는 크레인이 기존 저장된 크레인의 작업영역과 간섭되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표시하는 간섭정보표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간섭정보표시모듈은,
    상기 크레인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크레인의 작동영역에 따른 좌표정보를 수집하는 이동좌표수집모듈과, 저장된 작업정보를 불러오는 작업정보로딩모듈과, 저장된 작업정보에서 작동영역에 따른 좌표정보를 수집하는 저장좌표수집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크레인의 선택시 선택된 크레인의 작동영역과 저장된 크레인들의 작동영역에 대한 좌표를 비교하여 간섭이 발생하는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간섭영역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크레인선택부에 의한 크레인 선택시 크레인의 종류, 사양 등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시하는 비용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용산출부는,
    작업기간 및 사용단가에 따라 각 크레인에 대한 사용 비용을 계산하는 사용비용계산모듈과, 선택되는 크레인의 종류,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 및 수량, 작업영역에 따라 작업에 소모되는 비용을 계산하는 작업비용연산모듈과, 사용비용 및 작업비용을 합산하는 비용합산모듈과, 화면 상에 표시된 크레인의 선택시 합산된 비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비용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비용연산모듈은
    인양할 OSC부재의 무게, 수량에 관한 정보를 불러오는 OSC정보로딩모듈과; 크레인의 작동 정도에 따른 단가를 설정하는 작업단가설정모듈과; OSC부재의 인양을 위한 작업반경정보를 입력하는 작업반경입력모듈과; 작업단가, 작업반경, 작업수량을 고려하여 작업에 소모되는 비용을 산출하는 작업비용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점검부는
    크레인 사이의 거리가 시스템 이상으로 판단될 정도는 아니더라도 이상범위 이상의 위험범위에서 반복되는 경우 위험에 따른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위험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알림부는,
    크레인 사이의 거리가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인지하는 위험범위인지모듈과,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시간정보저장모듈과,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를 산출하는 빈도산출모듈과,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태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위험경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점검부는
    크레인 사이의 거리가 위험범위 이상의 일정범위에서 연속되는 경우 점검의 필요성을 알리는 점검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지시부는,
    크레인 사이의 거리가 위험범위 이상의 일정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점검범위감지모듈과, 점검범위에 도달하는 연속횟수를 산정하는 연속횟수산정모듈과, 연속횟수를 설정된 기준횟수와 비교하는 기준횟수비교모듈과,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점검의 필요성을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점검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11. 삭제
KR1020210101868A 2021-08-03 2021-08-03 디지털 기반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KR102396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68A KR102396160B1 (ko) 2021-08-03 2021-08-03 디지털 기반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68A KR102396160B1 (ko) 2021-08-03 2021-08-03 디지털 기반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160B1 true KR102396160B1 (ko) 2022-05-10

Family

ID=8159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868A KR102396160B1 (ko) 2021-08-03 2021-08-03 디지털 기반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3475B1 (ko) * 2023-05-24 2024-08-07 롯데건설 주식회사 공장 선제작 부재의 조립 공정 관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9265A (ja) * 2004-09-27 2006-04-0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移動式クレーンの作業支援装置
JP2009169777A (ja) * 2008-01-18 2009-07-30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プラント建設向け作業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8095366A (ja) * 2016-12-09 2018-06-21 株式会社タダノ 移動式クレーンの共吊り制御システム
KR20200128229A (ko) * 2019-04-18 2020-11-12 박동현 건설 장비 운영에 관한 정보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9265A (ja) * 2004-09-27 2006-04-0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移動式クレーンの作業支援装置
JP2009169777A (ja) * 2008-01-18 2009-07-30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プラント建設向け作業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8095366A (ja) * 2016-12-09 2018-06-21 株式会社タダノ 移動式クレーンの共吊り制御システム
KR20200128229A (ko) * 2019-04-18 2020-11-12 박동현 건설 장비 운영에 관한 정보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3475B1 (ko) * 2023-05-24 2024-08-07 롯데건설 주식회사 공장 선제작 부재의 조립 공정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0658B2 (en) Optical detection and analysis of a counterweight assembly on a crane
US202202843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crane and/or construction site
KR102396160B1 (ko) 디지털 기반 osc부재 공정 관리 시스템
CN105378700A (zh) 测量数据的捕获和关联
CN108731611B (zh) 一种人防门吊角形变状态检测系统及方法
KR101564381B1 (ko)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단속 시스템
EP364396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ntrol program
CN109823965B (zh) 地下连续墙钢筋笼吊装变形监测系统及方法
JP2012168920A (ja) メンテナンス作業員の管理システム
KR101778593B1 (ko) 산업플랜트 정비 지원 단말기
CN110168585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20140070819A (ko) 모니터링 시스템 기반의 조선소 작업장 선체블록 배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376976B (zh) 一种用于管道生产的品质闭环控制方法
KR102396161B1 (ko) 품질관리가 가능한 osc부재 관리시스템
KR102396625B1 (ko) 타워크레인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110963428A (zh) 一种塔机顶升作业智能监护系统
KR102083356B1 (ko) 태그의 매핑정보와 신호정보를 이용한 실시간 자재 및 공정 관리 시스템
KR102418943B1 (ko) 타워크레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CN210573364U (zh) 一种物联网废旧物资全流程管控平台
CN111678438B (zh) 秤体位移预警方法和系统
CN114581000A (zh) 一种自动化立体仓库的托盘检测和匹配系统及方法
AU2021369844A1 (en) Wear member monitoring system
KR20140016489A (ko) 온라인을 통한 임대장비 관리 시스템
CN113834435A (zh) 一种基坑变形检测方法、装置和系统
CN108016959A (zh) 用于自动检测井道中状态的自动检测设备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