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840B1 - System for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 Google Patents

System for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840B1
KR102395840B1 KR1020200005673A KR20200005673A KR102395840B1 KR 102395840 B1 KR102395840 B1 KR 102395840B1 KR 1020200005673 A KR1020200005673 A KR 1020200005673A KR 20200005673 A KR20200005673 A KR 20200005673A KR 102395840 B1 KR102395840 B1 KR 102395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control unit
unit
companion anim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2380A (en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김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현 filed Critical 김수현
Priority to KR102020000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840B1/en
Publication of KR2021009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3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8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K9/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은, 하우스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스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전송받아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아 하우스에 전송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연결되고, 제어부에 전송된 신호를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연결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하우스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을 전송받아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을 머신러닝방식으로 학습하는 머신러닝부를 포함하되, 단말기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신호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고, 하우스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that connects a house and a terminal, receives a signal generated from the house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and receives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to the house; 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verting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into information and storing the converted signal; and a machine learning unit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receiv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companion animal photographed at the house from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learning the behavior pattern of the companion animal in a machine learning method, wherein the terminal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t may receive and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gnal, and the house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control according to the signal.

Description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System for smart companion animal house}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System for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본 발명은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활동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주인이 안정적으로 반려동물과 교감하면서 반려동물을 돌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that can check the activity and state of a companion animal, and that the owner can take care of the companion animal while stably communicating with the companion animal will be.

오늘날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가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에서 사는 5가구 중 1가구가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다. 이처럼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가구는 새로운 가구 형태의 하나로 자리하고 있고, 반려동물을 또 하나의 가족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사람들은 병원을 통해 반려동물의 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도록 하고, 미용실을 통해 반려동물의 털을 예쁘게 깎아 주기도 하며, 매일 반려동물의 산책을 실시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Today, the number of households living with pets is steadi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recent survey, 1 out of 5 households living in Seoul live with a companion animal. As such, households living with companion animals are one of the new types of furniture, and companion animal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another family. People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s of their pets through hospitals, cutting pets beautifully through hairdressing salons, and taking pets for a walk every day.

한편, 오늘날 혼자 살거나 맞벌이 부부가 많기에, 반려동물은 빈집에 홀로 방치된 상태로 남겨지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반려동물은 분리 불안 증세 등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겪기도 한다. 이러한 반려동물을 위하여 다양한 하우스가 개발되고 있어, 반려동물은 하우스를 통해 다양한 돌봄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주인은 하우스를 이용하여 집 밖에 있을 때에도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하고, 반려동물과 교감하면서 반려동물을 돌보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On the other hand, today, there are many couples living alone or dual-income couples, so pets are often left unattended in empty houses. As a result, companion animals may experience emotional problems such as separation anxiety. Various houses are being developed for such companion animals, and companion animals can receive various care through the house. However, the owner has difficulty in taking care of the companion animal while using the house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communicate with the companion animal even when they are outside the house.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6468호(2018.06.21.)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76468 (2018.06.21.) 등록특허공보 제10-1922697호(2018.11.27.)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22697 (2018.11.27.)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1445호(2019.10.02.)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11445 (2019.10.02.)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2062호(2019.06.05.)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62062 (2019.06.05.)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인이 다양한 위치에서 반려동물과 교감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that allows the owner to communicate with companion animals at various location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려동물의 필요를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that can easily satisfy the needs of companion animals.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려동물을 쾌적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that allows companion animals to live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another task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은, 하우스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스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전송받아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아 하우스에 전송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연결되고, 제어부에 전송된 신호를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연결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하우스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을 전송받아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을 머신러닝방식으로 학습하는 머신러닝부를 포함하되, 단말기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신호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고, 하우스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that connects a house and a terminal, receives a signal generated from the house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house; 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verting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into information and storing the converted signal; and a machine learning unit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receiv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companion animal photographed at the house from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learning the behavior pattern of the companion animal in a machine learning method, wherein the terminal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t may receive and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gnal, and the house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control according to the signal.

또한, 하우스는, 내부에 반려동물이 위치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은 투명하게 이루어지고 한 쌍의 투입구를 가지며, 상면에는 장착구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에 연결되며, 섭취물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에 섭취물을 공급하는 섭취물 공급부; 수용 공간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에 위치된 반려동물을 촬영하는 촬영부; 수용 공간에 설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섭취물 공급부, 촬영부 및 출력부에 연결되고, 섭취물 공급부, 촬영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며, 단말기에 연결되는 하우스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e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a companion animal can be located, one side of which is transparent and has a pair of inlets, and a mounting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e; an intake water supply unit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storing the intake water and supplying the intake water to the accommodation space; a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photograph a companion animal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 output unit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output sound; and a hous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intake water supply unit,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output unit, and controls the intake water supply unit,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output unit,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또한, 하우징은 편백나무로 제조되고, 하우스는, 수용 공간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is made of cypress, and the house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may further include a far-infrared emitting unit for emitting far-infrared rays.

또한, 섭취물 공급부는, 사료를 저장하고 수용 공간에 공급하는 사료 공급부; 식수를 저장하고, 식수가 수용 공간의 반려동물에 의해 섭취되도록 위치된 식수 공급부; 간식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에 공급하는 간식 공급부; 및 약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에 공급하는 약 공급부를 포함하되, 하우스 제어부는 사료 공급부, 간식 공급부 및 약 공급부를 제어하여 사료, 간식 및 약을 선택적으로 수용 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ake food supply unit, a feed supply unit for storing and supplying the feed to the receiving space; a drinking water supply unit that stores drinking water and is positioned so that the drinking water is consumed by companion animals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snack supply unit for storing and supplying snacks to the receiving space; and a medicine supply unit for storing and supplying medicine 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house control unit controls the feed supply unit, the snack supply unit, and the medicine supply unit to selectively supply feed, snacks, and medicine to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촬영부는 촬영된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하우스 제어부에 전송하며, 하우스 제어부는 화상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며, 단말기는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은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출력하고,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조작되며, 제어부는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하우스 제어부로 전송하고, 하우스 제어부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섭취물 공급부를 제어하고, 음향이 단말기에 입력될 때, 단말기는 음향에 따른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음향 신호를 하우스 제어부에 전송하며, 하우스 제어부는 음향 신호에 따른 음향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generates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photographed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s it to the house control unit, the hous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mage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terminal outputs an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and a control signal is manipulated to generate, the control unit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house control unit, the hous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take food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when a sound is input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sends a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sound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n acoustic signal to the house control unit, and the house control unit may output a sound according to the acoustic signal through the output unit.

또한, 하우스는, 장난감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에 공급하는 장난감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하우스 제어부는 장난감 공급부를 제어하여 장난감을 선택적으로 수용 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e may further include a toy supply unit for storing and supplying toys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hous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oy supply unit to selectively supply the toys to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하우스는, 수용 공간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의 반려동물로부터 발생된 음향을 입력받아 반려동물로부터 발생된 음향에 따른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하우스 제어부에 전송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하우스 제어부는 음향 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하며, 반려동물로부터 발생된 음향이 소정 크기 이상이거나 소정 횟수 이상으로 반복적으로 입력될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를 통해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e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receiving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in the accommodation space, generating a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house control unit, wherein the house control unit includes: A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when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or is repeatedly input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 alarm signal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control unit.

또한, 장착구에는 드라이어 및 흡입장치 중 하나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되며, 드라이어가 장착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열풍이 드라이어에 의해 수용 공간으로 공급되고, 흡입장치가 장착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가 수용 공간으로부터 흡입장치에 흡입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f the dryer and the suction device is detachably inserted and mounted in the mounting port, and in a state in which the dry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port, hot air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by the dryer, and the suction device is mounted in the mounting port , air may be drawn into the suction device from the receiving space.

또한, 하우징은, 장착구에 대응하도록 수용 공간의 상면에 위치되고, 장착구에 연결되는 유도 공간을 가지며, 하면에는 복수 개의 유도홀들이 형성된 유도 몸체; 주름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장착구에 대응하도록 유도 몸체의 하면에 연결되어 유도 공간에 연결되는 유도관; 유도 공간에서 유도관의 상단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유도관의 상단면을 개폐하는 제 1 밸브, 유도 공간에서 유도관과 유도홀들 사이에 위치되어 유도관과 유도홀들 사이를 개폐하는 제 2 밸브, 및 유도관의 외측면에 위치되어 제 1 밸브와 제 2 밸브에 연결되어 제 1 밸브와 제 2 밸브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유도 제어부; 및 유도 몸체의 외측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되고 각각의 유도홀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연결홀들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제어 몸체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유도홀들은 유도관 주위의 유도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고, 유도 제어부가 유도관을 폐쇄하고 유도관과 유도홀들 사이를 개방하여 장착구, 유도 공간 및 유도홀들을 연결할 때, 흡입 장치는 공기를 수용 공간으로부터 유도홀들을 통해 흡입하거나, 드라이어는 열풍을 유도홀들을 통해 수용 공간으로 공급하며, 유도 제어부가 유도관과 유도홀들 사이를 폐쇄하고 유도관을 개방하여 장착구, 유도 공간 및 유도관을 연결할 때, 흡입 장치는 공기를 수용 공간으로부터 유도관을 통해 흡입하거나, 드라이어는 열풍을 유도관을 통해 수용 공간으로 공급하며, 제어 몸체는 각각의 유도홀에 대응되는 연결홀들의 개수를 변경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hole, has an induction space connected to the mounting hole,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uide holes; an induction tube made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duction body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hole and is connected to the induction space; A first valv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tube in the guide space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tube, a second valve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tube and guide holes in the guide space to open and close between the guide tube and the guide holes an induction control unit including a valve and a switch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uction pipe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valves to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valves; and a plate-shaped control body positioned to be movab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uctio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guide holes, wherein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duction body around the guide tube. When the induction control unit closes the guide tube and opens between the guide tube and the guide holes to connect the fitting, the guide space, and the guide holes, the suction device sucks air from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guide holes, or the dryer sucks hot air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guide holes, and when the induction control unit closes the guide tube and the guide holes and opens the guide tube to connect the fitting, the guide space, and the guide tube, the suction device guides air from the receiving space. Suctioned through the tube, or the dryer supplies hot air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guide tube, the control body may move to change the number of connection holes corresponding to each guide hole.

또한, 하우징은, 수용공간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와인더; 및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반려동물의 목에 걸릴 수 있고, 수용 공간의 하면을 통해 와인더에 연결되는 목줄을 포함하되, 와인더는 하우스 제어부에 의해 목줄을 감거나 풀도록 제어되고, 목줄에 연결된 반려동물의 이동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 winder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leash that is made in the form of a wire and can be hung on the neck of the companion animal, and is connected to the winder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winder is controlled to wind or unwind the leash by the house controller, and is connected to the leash You can control the movement range of you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주인이 다양한 위치에서 반려동물과 교감할 수 있다.(1) The owner can communicate with the companion animal in various locations.

(2) 반려동물의 필요가 용이하게 충족될 수 있다.(2) The needs of companion animals can be easily met.

(3) 반려동물이 쾌적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다. (3) Pets can live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smart companion anim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의 하우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의 하우스의 하우징에 드라이어 및 흡입기가 장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의 하우스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유도 몸체, 유도관 및 제어 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의 하우스의 하우징에서 와인더를 이용하여 목줄을 제어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herei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use of a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ryer and an inhaler are mounted and operated in the housing of the house of 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guide body, the guide tube, and the control body installed in the housing of the house of 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eash is controlled using a winder in the housing of the house of 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wel mov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n particula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they are responsible for,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component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may be performed exclusively by the componen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ur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의 하우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의 하우스의 하우징에 드라이어 및 흡입기가 장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의 하우스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유도 몸체, 유도관 및 제어 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의 하우스의 하우징에서 와인더를 이용하여 목줄을 제어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of a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e of a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 dryer and an inhaler mounted on the housing of the house of 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uction body, an induction tube, and a control body installed in the housing of the house of 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eash is controlled by using a winder in the housing of the house of 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100)은 제어부(101), 저장부(102) 및 머신러닝부(103)를 포함하고, 하우스(1000)에 위치된 반려동물을 원격지에 위치된 반려동물의 주인에 의해 확인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6 includes a control unit 101 , a storage unit 102 , and a machine learning unit 103 , and includes a house 1000 . It can be used to connect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 the remote location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by the owner of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 a remote location.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100)은 단말기(10) 및 하우스(10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주인은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하우스(100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에는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100)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 and the house 1000 through the network 200 . The owner of the companion animal may connect to 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100 using the terminal 10 to exchange signals with the house 1000 .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an application connectable to 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100 is installed and driven in the terminal 10 .

단말기(1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1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device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 A terminal device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nd a PD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terminals, smartphones,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smart pad, a tablet PC, and the like.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200),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200),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200 means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200 includes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s,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s, Internet, Local Area Network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de Area Network (WAN), Personal Area (PAN) Network), a Bluetooth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200 ,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200 ,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01)는 하우스(100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전송받아 단말기(10)로 전송하고, 단말기(10)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아 하우스(1000)에 전송할 수 있다(S101). 여기서, 단말기(10)는 전송된 신호에 따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하우스(1000)는 전송된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S102).The control unit 101 may receive a signal generated from the house 1000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10 , and may receive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 and transmit it to the house 1000 ( S101 ). Here, the terminal 10 may che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signal, and the house 100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signal ( S102 ).

예를 들어, 하우스(1000)는 반려동물을 촬영하여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1)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전송받은 화상 신호를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전송받은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의 주인은 자신의 단말기(10)를 통해 반려동물을 화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하우스(1000)에서 반려동물의 활동 및 행동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use 1000 may photograph a companion animal, generate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101 . The control unit 101 may transmit the received image signal to the terminal 10 . The terminal 10 may output an image according to the received image signal. Here, the owner of the companion animal can check the companion animal as an image through his/her terminal 10 , and thus can continuously check the activity and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house 1000 .

여기서, 주인은 확인된 반려동물의 활동 및 행동을 바탕으로 하여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단말기(10)로부터 제어부(101)에 전송되고, 제어부(101)는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하우스(10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하우스(1000)가 제어됨으로써, 반려동물은 하우스(1000)에서 사료, 간식 및 약을 섭취할 수 있다. Here, the owner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by operating the terminal 10 based on the identified activity and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Also,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 to the control unit 101 , and the control unit 101 may control the house 100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In particular, by controlling the house 1000 , the companion animal can consume feed, snacks, and medicine in the house 1000 .

한편, 주인은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신호는 단말기(10)로부터 제어부(101)에 전송되고, 제어부(101)는 출력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하우스(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스(1000)는 클래식 등과 같은 음악을 출력하여, 반려동물에게 음악을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owner may generate an output signal by manipulating the terminal 10 . Also, the outpu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 to the control unit 101 , and the control unit 101 may control the house 1000 based on the output signal. Here, the house 1000 may output music such as classical music and provide music to the companion animal.

또한, 주인은 단말기(10)에 음향으로써 자신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입력된 음성에 따른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01)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전송받은 음향 신호를 하우스(1000)에 전송할 수 있고, 하우스(1000)는 음향 신호에 따른 주인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은 하우스(1000)에서 주인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인은 원격지에 위치되더라도 반려동물에 자신의 음성을 통해 명령할 수 있어, 반려동물을 어느 정도 통제하거나 명령하여 훈련시킬 수도 있고, 반려동물과 교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하우스(1000)에서는 주인의 채취가 방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반려동물은 주인의 음성을 안정적으로 들으면서 주인의 음성에 대하여 반응할 수 있다.Also, the owner may input his/her own voice into the terminal 10 as a sound. Here, the terminal 10 may generate a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voic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101 . The controller 101 may transmit the received sound signal to the house 1000 , and the house 1000 may output the owner's voice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Here, the companion animal may hear the owner's voice in the house 1000 . Due to this, the owner can command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his or her voice even if it is located in a remote pl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or command the companion animal to some extent and to train it, and to have sympathy with the companion animal. Meanwhile, in the house 1000, the owner's collection may be released. Due to this, the companion animal can respond to the owner's voice while stably listening to the owner's voice.

저장부(102)는 제어부(101)에 연결되고 제어부(101)에 전송된 신호를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한다(S103). 여기서, 정보는 화상, 음향, 텍스트 등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02)는 제어부(101)가 신호를 전송받은 시각을 함께 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변환된 정보를 데이터화할 수 있다. 또한, 주인이 단말기(10)를 통해 제어부(101)에 정보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낼 때, 저장부(102)는 해당된 정보를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1)에 전송하여 제어부(101)로부터 단말기(1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0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1 and converts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1 into information and stores it (S103). Here, th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n image, sound, text, or the like. The storage unit 102 may store the time when the control unit 101 receives the signal together with information and convert the converted information into data. In addition, when the owner sends a signal requesting information confirmation to the control unit 101 through the terminal 10, the storage unit 102 conver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to a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01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01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from

머신러닝부(103)는 저장부(102)에 연결되고, 하우스(1000)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을 전송받아 촬영된 반려동물의 걷는 자세, 꼬리 패턴 등을 추출하여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을 머신러닝방식으로 학습한다(S104). 또한, 머신러닝부(103)는 학습된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을 바탕으로 하여 반려동물의 기분, 건강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머신러닝부(103)는 감지된 반려동물의 기분, 건강 상태 등에 따른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01)를 통해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S105). 또한, 단말기(10)는 알림 신호를 전송받아 알림 신호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는 "당신의 반려동물은 정상입니다.", "당신의 반려동물은 건강상태가 좋지 않네요. 돌봄이 필요합니다"는 등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주인은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도록 반려동물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e machine learning unit 103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102, receives an image according to the companion animal photographed in the house 1000, and extracts the photographed companion animal's walking posture, tail pattern, etc., and the companion animal's behavior pattern is learned by machine learning (S104). 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unit 103 may detect the mood, health state, etc. of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learned behavior pattern of the companion animal. The machine learning unit 103 may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sensed mood, health state, etc.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10 through the control unit 101 (S105). Also, the terminal 10 may receive the notification signal and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signal.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message can be something like "Your pet is fine", "Your pet is not in good health. Needs care", etc. The owner can take action on the pet to respond to the notification message.

또한, 본 발명의 하우스(1000)는 하우징(1100), 섭취물 공급부(1200), 촬영부(1300), 출력부(1400), 하우스 제어부(1500)를 포함하고, 반려동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주인과의 교감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0 , an intake food supply unit 1200 , a photographing unit 1300 , an output unit 1400 , and a house control unit 1500 , and in a state accommodating a companion animal It is possible to establish communion with the owner.

하우징(1100)은 반려동물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반려동물은 하우징(11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0)은 편백나무로 제조되어 피톤치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우징(1100)으로부터 발생된 피톤치드는 반려동물로부터 발생되는 냄새가 하우징(1100)에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1100)은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housing 110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companion animal may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1100 . Here, the housing 1100 may be made of cypress wood to generate phytoncide. The phytoncide generated from the housing 1100 can prevent the odor genera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from being cut into the housing 1100 . Accordingly, the housing 1100 may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또한, 하우징(1100)에는 수용 공간(1101), 투입구(1102) 및 장착구(1103)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100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space 1101 , an inlet 1102 , and a mounting hole 1103 .

수용 공간(1101)은 하우징(1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반려동물은 수용 공간(1101)에 수용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반려동물은 수용 공간(1101)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space 1101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1100 . The companion animal may move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In some cases, the companion animal may be located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투입구(110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투명하게 형성된 하우징(110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주인은 투입구(1102)를 통해 양 손을 수용 공간(1101)에 위치시켜,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된 반려동물과 스킨십을 취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털에 대한 빗질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주인은 투명하게 형성된 하우징(1100)의 일측면을 통해 수용 공간(1101)을 확인할 수 있고,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된 반려동물과 눈맞춤을 할 수 있다.The inlet 1102 is made of a pair,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housing 1100 . The owner may place both hands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through the inlet 1102 to take touch with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and comb the fur of the companion animal. In addition, the owner can check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through one side of the transparent housing 1100 , and can make eye contact with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장착구(1103)는 하우징(1100)의 상면에 형성된다. 장착구(1103)에는 드라이어(dryer) 또는 흡입장치(예를 들어, 진공청소기 등)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어(dryer) 또는 흡입장치는 장착구(110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mounting hole 110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0 . A dryer or a suction device (eg, a vacuum cleaner, etc.) may be inserted and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1103 . Here, a dryer or a suction dev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ort 1103 .

예를 들어, 드라이어가 장착구(1103)에 삽입되어 장착된 경우, 드라이어는 열풍을 발생시켜 수용 공간(1101)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열풍은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흡입장치가 장착구(1103)에 삽입되어 장착된 경우, 흡입장치는 수용 공간(1101)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에 포함된 반려동물의 털 등과 같은 이물질도 흡입장치에 흡입될 수 있다. 즉, 흡입장치는 수용 공간(1101)을 청소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rye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103 and mounted, the dryer may generate hot air and supply it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Here, the hot air may be used to dry the fur of the companion animal. Also, when the suction device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103 and mounted, the suction device may suck air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Here, foreign substances such as fur of companion animals included in the air may also be sucked into the suction device. That is, the suction device may be used to clea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또한, 하우징(1100)은 유도 몸체(1110), 유도관(1120), 유도 제어부(1130), 제어 몸체(1140), 와인더(1150) 및 목줄(116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100 may include an induction body 1110 , an induction tube 1120 , an induction controller 1130 , a control body 1140 , a winder 1150 , and a collar 1160 .

유도 몸체(1110)는 장착구(1103)에 대응하도록 수용 공간(1101)의 내부에 위치되고, 장착구(1103)에 연결되는 유도 공간(1111)을 갖는다. 또한, 유도 몸체(1110)에는 복수 개의 유도홀(1112)들이 형성되고, 유도홀(1112)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형성된다.The induction body 1110 is position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01 to correspond to the fitting 1103 , and has an induction space 1111 connected to the fitting 1103 .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duction holes 1112 are formed in the induction body 1110 , and the induction holes 1112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유도관(1120)은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장착구(1103)에 대응하도록 유도 몸체(1110)에 연결되어 유도 공간(111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도관(1120)은 용이하게 길이 변경될 수 있는 주름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uide tube 1120 is made of a tubular shap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body 1110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hole 1103 and connected to the guide space 1111 . In addition, the guide tube 11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that can be easily changed in length.

유도 제어부(1130)는 유도 공간(1111)에 위치되어, 열풍 또는 공기를 유도홀(1112)들 및 유도관(1120) 중 어느 하나만을 통해 유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induction control unit 1130 is located in the induction space 1111 , and may control hot air or air to flow through only one of the induction holes 1112 and the induction tube 1120 .

또한, 유도 제어부(1130)는 제 1 밸브(1131), 제 2 밸브(1132) 및 스위치(1133)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induction control unit 1130 may include a first valve 1131 , a second valve 1132 , and a switch 1133 .

제 1 밸브(1131)는 유도 공간(1111)에서 유도관(1120)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유도관(1120)을 개폐할 수 있다.The first valve 1131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guide tube 1120 in the guide space 1111 to open and close the guide tube 1120 .

제 2 밸브(1131)는 유도 공간(1111)에서 유도관(1120)과 유도홀(1112)들 사이에 위치되어 유도관(1120)과 유도홀(1112)들 사이를 개폐할 수 있다.The second valve 113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tube 1120 and the guide holes 1112 in the guide space 1111 to open and close between the guide tube 1120 and the guide holes 1112 .

스위치(1133)는 유도관(1120)의 외측면에 위치되어 제 1 밸브(1131)와 제 2 밸브(11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밸브(1131) 및 제 2 밸브(1132)는 스위치(1133)의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switch 1133 may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uction pipe 112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1131 and the second valve 1132 . The first valve 1131 and the second valve 1132 may b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133 .

예를 들어, 스위치(1133)가 조작될 때, 제 1 밸브(1131)는 유도관(1120)을 개방하도록 제어되고, 제 2 밸브(1132)는 유도관(1120)과 유도홀(1112)들 사이를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witch 1133 is operated, the first valve 1131 is controlled to open the induction tube 1120 , and the second valve 1132 includes the guide tube 1120 and the induction holes 1112 . It can be controlled to close the gap.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드라이어가 장착구(1103)에 장착되어 작동될 때, 열풍은 드라이어로부터 발생되어 유도 공간(1111)에 유입되어 유도관(1120)을 통해 수용 공간(1101)로 유입될 수 있다(도 4(a)의 점선 화살표 참조). 열풍은 유도관(1120)을 통해 수용 공간(1101)에 수용된 반려동물의 특정 부위에 집중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시키는 데에 안정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dryer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 1103 and operated in the above state, hot air is generated from the dryer and introduced into the induction space 1111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through the guide tube 1120. (See the dotted arrow in Fig. 4(a)). The hot air may be intensively su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companion animal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through the guide tube 1120 , and thus may be stably used to dry the fur of the companion animal.

또한, 흡입장치가 장착구(1103)에 장착되어 작동될 때, 공기는 수용 공간(1101)으로부터 흡입장치에 흡입되도록 유동하여 유도관(1120)을 통해 유도 공간(1111)에 유입되어 흡입장치에 유도될 수 있다(도 4(b)의 점선 화살표 참조). 수용 공간(1101)의 공기는 유도관(1120)을 통해 수용 공간(1101)의 특정 위치로부터 집중적으로 흡입될 수 잇다. 여기서, 수용 공간(1101)의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c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 1103 and operated, air flows from the receiving space 1101 to be sucked into the suction device and flows into the guide space 1111 through the guide pipe 1120 to the suction device. can be induced (see dotted arrow in Fig. 4(b)). Air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may be intensively sucked from a specific posi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through the guide tube 1120 . Here, clean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may be performed.

한편, 스위치(1133)가 조작될 때, 제 1 밸브(1131)는 유도관(1120)을 폐쇄하도록 제어되고, 제 2 밸브(1132)는 유도관(1120)과 유도홀(1112)들 사이를 개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1133 is operated, the first valve 1131 is controlled to close the guide pipe 1120 , and the second valve 1132 operates between the guide pipe 1120 and the guide hole 1112 . It can be controlled to open.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드라이어가 장착구(1103)에 장착되어 작동될 때, 열풍은 드라이어로부터 발생되어 유도 공간(1111)에 유입되어 유도홀(1112)들을 통해 수용 공간(1101)로 유입될 수 있다(도 4(a)의 실선 화살표 참조). 열풍은 유도홀(1112)들을 통해 수용 공간(1101)에 고르게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어, 수용 공간(1101)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dryer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 1103 and operated in the above state, hot air is generated from the dryer and introduced into the induction space 1111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through the guide holes 1112. (See the solid arrow in Fig. 4(a)). The hot air may be evenly distributed and suppli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through the guide holes 1112 , and may be used to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또한, 흡입장치가 장착구(1103)에 장착되어 작동될 때, 공기는 수용 공간(1101)으로부터 흡입장치에 흡입되도록 유동하여 유도홀(1112)들을 통해 유도 공간(1111)에 유입되어 흡입장치에 유도될 수 있다(도 4(b)의 실선 화살표 참조). 수용 공간(1101)의 공기는 유도홀(1112)들을 통해 수용 공간(1101)에 걸쳐 고르게 흡입되어, 수용 공간(1101)에서 비산하는 부유물(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털 등)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c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 1103 and operated, air flows from the receiving space 1101 to be sucked into the suction device and flows into the induction space 1111 through the guide holes 1112 to enter the suction device. can be derived (see the solid arrow in Fig. 4(b)). Air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is uniformly sucked over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through the guide holes 1112 , so that floating matter (eg, companion animal hair, etc.) scatte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is removed. can

제어 몸체(11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유도 몸체(1110)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제어 몸체(1140)에는 각각의 유도홀(1112)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연결홀(114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몸체(1140)가 이동함에 따라, 각각의 유도홀(1112)에 대응되는 연결홀(1141)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도홀(1112)을 통해 유동하는 열풍의 양 또는 공기의 양은 조절될 수 있다. The control body 114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ositioned to be movab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uction body 1110 . Here,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1141 may be formed in the control body 1140 to correspond to each guide hole 1112 . As the control body 1140 moves, the number of connection holes 1141 corresponding to each guide hole 1112 may be changed. Due to this, the amount of hot air or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guide hole 1112 can be adjusted.

한편, 본 실시예의 유도 몸체(1110)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유도 몸체(1110)의 하면에는 유도홀(1112)들이 형성되며, 제어 몸체(1140)는 유도관(1120)이 관통된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유도 몸체(1110)의 하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유도 몸체(1110)의 유도홀(1120)들은 제어 몸체(1140)의 회전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duction body 1110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guide holes 111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duction body 1110, and the control body 1140 is a circular plate through which the guide tube 1120 is penetrated. It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rotatably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duction body 1110 . Meanwhile, the induction holes 1120 of the induction body 1110 may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 of the control body 1140 .

와인더(1150)는 수용 공간(1101)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100)의 내부에 위치된다. The winder 1150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1100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목줄(1160)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반려동물의 목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목줄(1160)은 수용 공간(1101)의 하면을 통해 와인더(1150)에 연결될 수 있고, 와인더(1150)는 목줄(1160)을 감거나 풀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되는 목줄(1160)의 길이는 목줄(1160)의 풀린 정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반려동물은 목줄(11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용 공간(1101)에서 와인더(1150)에 의해 제어된 이동 범위에서 이동가능하다.The leash 1160 is made in the form of a wire and can be hung around the neck of the companion animal. The collar 1160 may be connected to the winder 1150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1101 , and the winder 1150 may wind or unwind the collar 1160 . For this reason, the length of the collar 1160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loosening of the collar 1160 . The companion animal is movable within a movement range controlled by the winder 1150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eash 1160 .

섭취물 공급부(1200)는 하우징(110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110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섭취물 공급부(1200)는 섭취물을 저장한 상태로 유지하다가 필요에 따라 섭취물을 수용 공간(110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섭취물은 반려동물을 위한 사료, 식수, 간식, 약 등일 수 있고,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저장된다.The intake water supply unit 120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0 and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In addition, the intake water supply unit 1200 may supply the intake to the receiving space 1101 as necessary while maintaining the stored intake. Here, the intake may be feed for companion animals, drinking water, snacks, medicine, and the like, and are stor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또한, 섭취물 공급부(1200)는 사료 공급부(1210), 식수 공급부(1220), 간식 공급부(1230) 및 약 공급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intake food supply unit 1200 may include a feed supply unit 1210 , a drinking water supply unit 1220 , a snack supply unit 1230 , and a medicine supply unit 1240 .

사료 공급부(1210)는 사료를 저장하고 수용 공간(1101)으로 공급할 수 있다. The feed supply unit 1210 may store feed and supply it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식수 공급부(1220)는 식수를 저장하고 반려동물과 접촉될 수 있다. 반려동물은 식수 공급부(1220)와 접촉하여 식수를 섭취할 수 있다.The drinking water supply unit 1220 may store drinking water and come into contact with companion animals. The companion animal may ingest drinking water by contacting the drinking water supply unit 1220 .

간식 공급부(1230)는 간식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110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간식 공급부(1230)는 다양한 종류의 간식을 분리된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The snack supply unit 1230 may store snacks and supply them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Here, the snack supply unit 1230 may store various types of snacks in a separated state.

약 공급부(1240)는 약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110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약 공급부(1240)는 다양한 종류의 약을 분리된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The medicine supply unit 1240 may store medicine and supply it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Here, the drug supply unit 1240 may store various types of drugs in a separate state.

촬영부(1300)는 하우징(1100)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을 촬영한다. 여기서, 촬영부(1300)는 수용 공간(110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용 공간(1101)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촬영부(1300)는 반려동물을 촬영함으로써 촬영된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300)는 카메라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30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0 to photograph the companion animal. Here, the photographing unit 1300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1101 , but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accommodating space 1101 . The photographing unit 1300 may generate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photographed companion animal by photographing the companion animal. Also, the photographing unit 13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amera.

출력부(1400)는 하우징(1100)에 설치되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400)는 수용 공간(110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용 공간(1101)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출력부(14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반려동물의 주인의 음성일 수도 있고, 클래식 음악 등과 같은 반려동물에게 유익한 음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출력부(1400)는 음향 컨텐츠를 저장하고 음향 컨텐츠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신호를 전송받아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400)는 스피커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0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100 to output sound. Here, the output unit 1400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1101 , but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accommodating space 1101 . The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400 may be the voice of the owner of the companion animal, or music beneficial to the companion animal, such as classical music. Here, the output unit 1400 may store sound content and output a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content, or may receive a sound signal and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signal. Also, the output unit 14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peaker.

하우스 제어부(1500)는 섭취물 공급부(1200), 촬영부(1300) 및 출력부(1400)에 연결되고, 섭취물 공급부(1200), 촬영부(1300) 및 출력부(1400)를 제어한다. 특히, 하우스 제어부(1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1000), 특히, 제어부(10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단말기(10)의 조작을 통해 생성된 신호를 제어부(101)를 통해 전송받아 섭취물 공급부(1200), 촬영부(1300) 및 출력부(14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house control unit 1500 is connected to the intake water supply unit 1200 , the photographing unit 1300 , and the output unit 1400 , and controls the intake water supply unit 1200 , the photographing unit 1300 , and the output unit 1400 . In particular, the house control unit 1500 may be connected to the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1000 ,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01 through the network 200 . Here, the house control unit 1500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1 , and receive a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 through the control unit 101 to receive the intake water supply unit 1200 and the photographing unit 1300 . ) and the output unit 1400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촬영부(1300)는 반려동물을 촬영하여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 신호를 생성하여 하우스 제어부(1500)에 전송할 수 있다.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전송받은 화상 신호를 제어부(101)에 전송하여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전송받은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의 주인은 자신의 단말기(10)를 통해 반려동물을 화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된 반려동물의 활동 및 행동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unit 1300 may photograph a companion animal, generate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 it to the house control unit 1500 . The house control unit 1500 may transmit the received imag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1 to transmit it to the terminal 10 . The terminal 10 may output an image according to the received image signal. Here, the owner of the companion animal can check the companion animal as an image through his/her terminal 10 , thereby continuously checking the activity and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여기서, 주인은 확인된 반려동물의 활동 및 행동을 바탕으로 하여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단말기(10)로부터 제어부(101)로 전송되고,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섭취물 공급부(12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섭취물 공급부(1200) 중 사료 공급부(1210), 간식 공급부(1230) 및 약 공급부(1240)는 주인에 의한 단말기(10)의 조작에 대응하도록 제어되어 수용 공간(1101)에 사료, 간식 및 약을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은 수용 공간(1101)에서 사료, 간식 및 약을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섭취물 공급부(1200) 중 사료 공급부(1210), 간식 공급부(1230) 및 약 공급부(1240)는 설정된 시각에 사료, 간식 및 약을 수용 공간(1101)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Here, the owner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by operating the terminal 10 based on the identified activity and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 to the control unit 101 , and the house control unit 1500 may control the intake water supply unit 120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01 . In particular, the feed supply unit 1210 , the snack supply unit 1230 , and the medicine supply unit 1240 of the intake supply unit 1200 are controlled to correspond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 by the owner, and feed, snacks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and the drug may be appropriately supplied. Here, the companion animal may consume feed, snacks, and medicine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In addition, the feed supply unit 1210, the snack supply unit 1230, and the medicine supply unit 1240 of the intake food supply unit 1200 may be controlled to supply the feed, snacks, and medicines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at a set time.

한편, 주인은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신호는 단말기(10)로부터 제어부(101)에 전송되고,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받은 출력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출력부(14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400)는 클래식 등과 같은 음악을 출력하여, 반려동물에게 음악을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owner may generate an output signal by manipulating the terminal 10 . Also, the outpu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 to the control unit 101 , and the house control unit 150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1400 based on the output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01 . Here, the output unit 1400 may output music such as classical music and provide music to the companion animal.

또한, 주인은 단말기(10)에 음향으로써 자신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입력된 음성에 따른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01)에 전송할 수 있다.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받은 음향 신호를 출력부(1400)에 전송할 수 있고, 출력부(1400)는 음향 신호에 따른 주인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은 출력부(1400)를 통해 주인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인은 원격지에 위치되더라도 반려동물에 자신의 음성을 통해 명령할 수 있어, 반려동물을 어느 정도 통제하거나 명령하여 훈련시킬 수도 있고, 반려동물과 교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0)에서는 주인의 채취가 방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반려동물은 주인의 음성을 안정적으로 들으면서 주인의 음성에 대하여 반응할 수 있다.Also, the owner may input his/her own voice into the terminal 10 as a sound. Here, the terminal 10 may generate a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voic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101 . The house control unit 1500 may transmit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01 to the output unit 1400 , and the output unit 1400 may output the owner's voice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Here, the companion animal may hear the owner's voice through the output unit 1400 . Due to this, the owner can command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his or her voice even if it is located in a remote pl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or command the companion animal to some extent and to train it, and to have sympathy with the companion animal. On the other hand, in the housing 1100, the owner's collection may be released. Due to this, the companion animal can respond to the owner's voice while stably listening to the owner's voice.

여기서, 주인은 확인된 반려동물의 활동 및 행동을 바탕으로 하여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신호는 단말기(10)로부터 제어부(101)에 전송되고,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된 조작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하우징(1100)의 와인더(1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와인더(1150)는 조작 신호에 따라 목줄(1160)을 감기도 하고, 풀리도록 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목줄(11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주인은 단말기(10)에 음성을 입력하여 출력부(140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와인더(1150)를 이용하여 목줄(1160)을 감거나 풀어 반려동물의 이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주인은 명령을 따르는 반려동물에게 이동 범위를 점점 증가시키고, 섭취물 공급부(1200)를 제어하여 섭취물 중 사료 및 간식을 수용 공간(1101)에 공급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인은 원격지에서도 반려동물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반려동물에 대한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Here, the owner may generate a manipulation signal by operating the terminal 10 based on the identified activity and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In addition,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 to the control unit 101 , and the house control unit 1500 controls the winder 1150 of the housing 1100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01 . can That is, the winder 1150 may wind or unwind the leash 1160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signal. In a state in which the companion animal is connected to the leash 1160 , the owner may input a voice into the terminal 10 to output it through the output unit 1400 , and wind the leash 1160 using the winder 1150 . You can adjust the movement range of your pet by releasing it or releasing it. In particular, the owner may gradually increase the movement range of the companion animal following the command, and control the intake food supply unit 1200 to supply feed and snacks among the intake food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to be ingested. Due to this, the owner can conduct training for the companion animal while checking the appearance of the companion animal even from a remote location.

한편, 섭취물 공급부(1200)의 각각에는 레벨 센서(미도시됨)가 설치될 수 있다. 레벨 센서는 섭취물 공급부(1200)에서 섭취물의 저장량을 감지한다. 여기서, 레벨 센서는 설정치 이하의 섭취물의 저장량을 감지할 때, 부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부족 신호는 하우스 제어부(1500)에 전송되고,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를 통해 부족 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부족 신호를 전송받아 부족 신호에 따른 부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인은 단말기(10)를 통해 부족 메시지를 확인하고 부족 메시지에 대응되는 섭취물을 섭취물 공급부(1200)에 추가적으로 채우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level sensor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intake food supply unit 1200 . The level sensor detects the amount of food stored in the food supply unit 1200 . Here, when the level sensor detects the amount of intake less than the set value, it may generate a shortage signal. The shortag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house control unit 1500 , and the house control unit 1500 may transmit the shortage signal to the terminal through the control unit 101 . The terminal 10 may receive the shortage signal and output a shortage message according to the shortage signal. For this reason, the owner may check the shortage message through the terminal 10 and additionally fill the intake food supply unit 1200 with an intake corresponding to the shortage messag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1000)는 원적외선 방사부(1600), 입력부(1700) 및 장난감 공급부(1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ar-infrared radiation unit 1600 , an input unit 1700 , and a toy supply unit 1800 .

원적외선 방사부(1600)는 수용 공간(11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한다. 즉, 원적외선 방사부(1600)는 수용 공간(1101)의 내부에 위치된 반려동물에게 원적외선을 제공한다. 여기서, 반려동물은 방사된 원적외선으로 인한 다양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The far-infrared radiation unit 1600 is install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and radiates far-infrared rays. That is, the far-infrared radiation unit 1600 provides the far-infrared radiation to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Here, the companion animal can enjoy various effects due to the radiated far-infrared rays.

입력부(1700)는 수용 공간(11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110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음향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1700)는 반려동물에 의해 발생된 입력된 음향에 따른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하우스 제어부(15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음력부(1700)는 마이크로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put unit 1700 is install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to receive a sound gener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1700 generates a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ound generated by the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s it to the house control unit 1500 . Here, the sound unit 17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한편, 하우스 제어부(1500)는 음향 신호에 따른 음향이 소정 크기 이상이거나, 소정 횟수 이상으로 반복적으로 입력될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1)에 전송하고, 단말기(10)는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단말기(10)는 알림 신호를 전송받아 알림 신호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반려동물의 상태에 대한 메시지를 의미하고, 주인은 알림 메시지를 통해 반려동물의 상태를 인지하고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확인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use control unit 1500 generates a notifica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01 when the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vel or is repeatedly input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 terminal 10 transmits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1 . can be sent from The terminal 10 may receive the notification signal to generate and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signal. Here, the notification message means a message about the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owner can recognize the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notification message and check the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signal to more accurately check the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장난감 공급부(1800) 장남감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110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주인이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때, 제어 신호는 단말기(10)로부터 제어부(101)에 전송되고, 하우스 제어부(1500)는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장난감 공급부(18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장난감 공급부(1800)는 필요에 따라 제어되어 수용 공간(1101)에 장난감을 공급하여, 반려동물은 장난감을 이용하여 놀이를 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이 강아지인 경우, 장난감은 노즈워크(nose work) 장난감일 수 있다. 강아지는 노즈워크 장난감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노즈워크 장난감을 통해 강아지의 뇌가 자극되어, 강아지의 치매가 예방될 수 있다.The toy supply unit 1800 may store toys and supply them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When the owner operates the terminal 10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 to the control unit 101 , and the house control unit 1500 i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01 . to control the toy supply unit 1800 . That is, the toy supply unit 1800 is controlled as needed to supply the toy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play with the toy. Here,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a dog, the toy may be a nose work toy. Puppies can relieve stress with a nosewalk toy. In particular, the brain of the dog is stimulated through the nose work toy, and dementia in the dog can be prevented.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하우스(1000)에서 주인은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된 반려동물과 하우징(1100)의 투명한 부분을 통해 눈을 맞출 수 있고, 투입구(1102)를 통해 손을 수용 공간(1101)에 위치시켜 반려동물의 털을 빗질하고 반려동물과 스킨십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주인은 단말기(10)를 통해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된 반려동물을 관찰할 수 있고 하우스 제어부(1500)를 이용하여 섭취물 공급부(1200), 촬영부(1300), 출력부(1400) 및 장난감 공급부(1800)를 제어하여 반려동물에 대하여 적절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하우스(1000)는 주인이 다양한 위치에서 반려동물과 교감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ompanion animal hous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owner can make eye contact with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through the transparent part of the housing 1100, and hand through the inlet 1102 can be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to comb the fur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ake touch with the companion animal. In addition, the owner can observe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through the terminal 10 and use the house control unit 1500 to provide the intake food supply unit 1200 , the photographing unit 1300 , and the output unit 1400 . ) and the toy supply unit 1800 can be controlled to take appropriate action for the companion animal. Accordingly, the companion animal hous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the owner to communicate with the companion animal at various locations.

또한, 주인은 단말기(10)를 조작함으로써 하우스 제어부(1500)를 이용한 섭취물 공급부(1200) 및 장난감 공급부(1800)의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주인은 단말기(10)를 통해 반려동물을 관찰할 수 있기에, 섭취물 공급부(1200) 및 장난감 공급부(1800)를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어, 사료, 식수, 간식, 약 등과 같은 섭취물 및 장난감을 적절하게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하우스(1000)는 반려동물에게 반려동물의 필요를 용이하게 충족시켜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owner may control the intake food supply unit 1200 and the toy supply unit 1800 using the house control unit 1500 by operating the terminal 10 .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owner can observe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terminal 10, by controlling the intake food supply unit 1200 and the toy supply unit 1800, for example, feed, drinking water, snacks, medicine, etc. Foods and toys can be provided to pets as appropriate. Accordingly, the house 1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easily satisfy the needs of the companion animal.

또한, 본 실시예의 하우스(1000)에서 하우징(1100)은 피톤치드를 발생시키는 편백나무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100)의 수용 공간(1101)에서는 원적외선 방사부(1600)에 의해 원적외선 방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하우스(1000)는 수용 공간(1101)에 위치된 반려동물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house 1000 of this embodiment, the housing 1100 is made of cypress that generates phytoncide, an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of the housing 1100, far-infrared radiation can be made by the far-infrared radiation unit 1600. . Accordingly, the hous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to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1 .

본 발명은 배변 처리 장치(2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변 처리 장치(2000)는 베이스부(2100), 몸체부(2200), 구동부(2300) 및 감지 제어부(2400)를 포함하고, 반려동물에 의해 배설된 배설물을 처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배변 처리 장치(2000)에는 시트 형상의 배변 패드(2010)가 이용되는 데, 배변 패드(2010)는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면서, 패드 고정부(2011) 및 패드 걸림부(2012)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고정부(2011)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되, 배변 패드(2010)의 일면에서 배변 패드(2010)의 모서리들의 각각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고정되고, 패드 걸림부(2012)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배변 패드(2010)의 모서리들의 각각에 연결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owel movement device (2000). The defecation treatment device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unit 2100, a body unit 2200, a driving unit 2300, and a sensing control unit 2400, to be used to process excrement excreted by companion animals. can The defecation treatment device 2000 of this embodiment uses a sheet-shaped defecation pad 2010, the defecation pad 2010 is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and includes a pad fixing unit 2011 and a pad locking unit 2012. can do. The pad fixing unit 2011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nd is positioned and fixed to be adjacent to each of the corners of the defecation pad 2010 on one surface of the bowel movement pad 2010, and the pad locking unit 2012 is made of a ring shape, 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corners of the defecation pad (2010).

베이스부(2100)는 반려동물이 오르내릴 수 있고 구체적으로 후술될 몸체부(2200)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부(210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평한 상면을 갖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100)의 내부에는 삽입 공간(2101)이 형성되고,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의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The base part 2100 may be rotatable by a companion animal, and a body part 2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reinto. The base portion 2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having a flat upper surface. In addition, an insertion space 2101 is formed inside the base 2100 , and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2101 may be opened.

한편, 베이스부(2100)는 지면 상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2100)의 상면은 분리되어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을 개방할 수 있다. 개방된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을 통해 삽입 공간(2101)이 확인될 수 있고, 삽입 공간(2101)에 대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base part 2100 may be inserted and positioned on the groun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2100 may be separated to ope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2101 . The insertion space 2101 may be identifi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insertion space 2101 , and the insertion space 2101 may be cleaned.

몸체부(2200)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삽입 공간(2101)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여기서, 몸체부(2200)의 측면의 일부분만이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몸체부(2200)의 측면은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을 통해 베이스부(210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2200 is formed in a column shape, a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101 . Here, only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200 may be expos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2101 .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2200 may be positioned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2100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2101 .

본 실시예의 몸체부(2200)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특히 정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2200)의 6개의 측면들 중 하나는 베이스부(210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되고, 삽입 공간(2101)의 개방된 상면 가장자리는 몸체부(2200)의 측면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개방된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은 몸체부(2200)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200)는 정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대적으로 원기둥 형상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면서 안정적으로 회전가능하고, 반려동물 및 배변 패드(2010)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2200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a pillar shape, in particular, it may be preferably formed in a regular hexagonal pillar shape. Here, one of the six side surfaces of the body part 2200 is positioned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2100 , and the open top edge of the insertion space 2101 is the side edge of the body part 2200 .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insertion space 210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200 . The body portion 2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gular hexagonal prism, and is formed to be relatively close to a cylindrical shape and is stably rotatable, and can provide a flat surface on which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defecation pad 2010 can be stably positioned.

또한, 몸체부(2200)는 몸체 고정부(2210)를 포함한다. 몸체 고정부(2210)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되, 몸체부(2200)의 측면들 각각의 모서리들의 각각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몸체 고정부(2210)는 패드 고정부(2011)와는 상이한 극성을 갖는다. 즉, S극을 나타내는 몸체 고정부(2210)의 면과 N극을 나타내는 패드 고정부(2011)의 면은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몸체 고정부(2210)가 패드 고정부(2011)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몸체 고정부(2210)와 패드 고정부(2011)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여, 패드 고정부(2011)는 몸체 고정부(2210)에 부착되어, 배변 패드(2010)는 몸체부(2210)의 측면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art 2200 includes a body fixing part 2210 . The body fixing part 221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nd is positioned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f the corners of each of the side surfaces of the body part 2200 . Here, the body fixing part 2210 has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d fixing part 2011 . That is, the surface of the body fixing part 2210 indicating the S pole and the surface of the pad fixing part 2011 indicating the N pole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 body fixing part 221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pad fixing part 2011, an attractive force acts between the body fixing part 2210 and the pad fixing part 2011, and the pad fixing part 2011 is the body fixing part. Attached to the 2210, the defecation pad 2010 may be fixed to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2210).

구동부(2300)는 몸체부(2200)의 일종단면의 중앙에 연결되어 몸체부(2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2200)의 측면들 중 하나는 삽입 공간(2101)의 상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300)는 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져, 삽입 공간(2101)의 내부에 위치되어 몸체부(2200)에 연결될 수 있고, 삽입 공간(2101)의 외부에 위치되어 베이스부(2100)를 통해 몸체부(22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300 may be connected to the center of one cross-section of the body 2200 to rotate the body 2200 . Here,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2200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2101 . This driving unit 2300 is made in the form of a motor, is located inside the insertion space 2101, can be connected to the body 2200, is located outside the insertion space 2101, the body through the base 2100 It may be connected to the unit 2200 .

감지 제어부(2400)는 베이스부(2100)의 상면에 위치되어 삽입 공간(2101)을 통해 몸체부(2200)의 측면을 감지할 수 있고 구동부(230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sensing control unit 2400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2100 , may sense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unit 2200 through the insertion space 2101 , and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2300 .

또한, 감지 제어부(2400)는 몸체부(2200)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어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을 통해 노출된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할 때, 구동부(2300)를 제어하여 몸체부(220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반려동물이 배변 패드(2010)에 위치되어 배변한 이후에 배변 패드(2010)로부터 벗어나면, 감지 제어부(2400)는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하면서 배설물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제어부(2400)는 구동부(2300)를 제어하여 몸체부(2200)를 회전시키고, 배설물이 위치된 배변 패드(2010)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삽입 공간(2101)에 위치된다. 배설물의 일부는 배변 패드(2010)로부터 분리되어 삽입 공간(2101)에서 낙하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control unit 2400 is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body 2200 to detect the defecation pad 2010 expos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2101,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2300 to control the body Rotation of the unit 2200 may be stopp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positioned on the defecation pad 2010 and departs from the defecation pad 2010 after defecation, the sensing control unit 2400 may detect the excrement while sensing the defecation pad 2010 . Here, the sensing control unit 2400 controls the driving unit 2300 to rotate the body unit 2200 , and the defecation pad 2010 in which the excrement is located moves downward and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2101 . Some of the excrement may be separated from the defecation pad 2010 and fall from the insertion space 2101.

감지 제어부(2400)는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하면서 배설물을 감지할 때 배설물의 수분량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제어부(2400)는 검출된 배설물의 수분량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1)에 전송할 수 있다.Sensing control unit 2400 may detect the amount of moisture in the excrement when detecting the excrement while sensing the defecation pad (2010). Here, the sensing control unit 2400 may generate a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amount of moisture in the excrement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01 .

한편, 감지 제어부(2400)는 베이스부(2100)의 상면에 위치된 반려동물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제어부(2400)는 촬영된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1)에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ing control unit 2400 may photograph a companion animal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2100 . Here, the sensing control unit 2400 may generate a signal according to an image according to the photographed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01 .

본 실시예의 감지 제어부(2400)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nsing control unit 24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amera including an infrared sensor.

한편, 본 실시예의 배변 처리 장치(2000)는 수집부(2500), 패드 분리부(2600) 및 패드 적층부(2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llection unit 2500, a pad separation unit 2600 and a pad stacking unit 2700.

수집부(2500)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기울어진 몸체부(2200)의 측면들에 대응하도록 삽입 공간(2101)의 하면에 위치된다. 수집부(2500)의 상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배설물이 위치된 배변 패드(2010)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기울어지고 삽입 공간(2101)에 위치된다. 여기서, 배설물의 일부는 배변 패드(2010)로부터 분리되어 삽입 공간(2101)에서 낙하되기도 한다. 수집부(2500)는 배변 패드(2010)로부터 낙하되는 배설물의 일부를 수집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러한 배설물은 수집부(2500)에 수집되어 별도로 처리될 수 있다.The collection part 2500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2101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body part 2200 inclined while moving downwar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on unit 2500 . As mentioned above, the defecation pad in which the excrement is located (2010) is tilted to move downward and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2101). Here, some of the excrement may be separated from the defecation pad 2010 and fall from the insertion space 2101. Collection unit 2500 is used to collect a portion of the droppings from the defecation pad (2010). Such excrement may be collected in the collection unit 2500 and processed separately.

패드 분리부(2600)는 삽입 공간(2101)에 위치되어 몸체부(22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패드 분리부(2600)는 삽입 공간(2101)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몸체부(2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에 대응하도록 구부러진다. 이러한 패드 분리부(2600)는 수집부(2500)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The pad separation part 2600 is located in the insertion space 2101 and is located below the body part 2200 . Here, the pad separation part 2600 extends up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2101 and is bent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ody part 2200 . The pad separation unit 2600 may be located near the collection unit 2500 .

배설물이 위치된 배변 패드(2010)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기울어지고 삽입 공간(2101)에 위치되어, 몸체부(2200)의 회전에 의해 패드 분리부(2600)를 향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배변 패드(2010)가 배설물을 포함한 상태로 패드 분리부(2600) 근처에 위치될 때, 패드 분리부(2600)는 배변 패드(2010)의 패드 걸림부(2012)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패드 분리부(2600)는 고정된 상태이고 배변 패드(2010)가 몸체부(2200)에 의해 이동하기에, 배변 패드(2010)는 몸체부(2200)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다. 또한, 배변 패드(2010)는 몸체부(2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낙하되어 패드 분리부(2600)로부터 분리되고 수집부(2500)에 수집될 수 있다. 즉, 배변 패드(2010)는 배설물과 함께 수집부(2500)에 수집되어 별도로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배변 패드(2010)가 분리된 몸체부(2200)의 측면은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고, 그 이후에,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기울어질 수 있다.The defecation pad 2010 in which the excrement is located is moved downward and tilted and positioned in the insertion space 2101 , and may be moved toward the pad separation unit 2600 by rotation of the body portion 2200 . When the defecation pad 2010 is positioned near the pad separation unit 2600 in a state containing excrement, the pad separation unit 2600 may be inserted into and caught in the pad locking unit 2012 of the defecation pad 2010 . Since the pad separation unit 2600 is in a fixed state and the bowel movement pad 2010 is moved by the body portion 2200 , the bowel movement pad 2010 begins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2200 . In addition, the defecation pad 2010 may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2200 by dropping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pad separation unit 2600 and collected in the collection unit 2500 . That is, the defecation pad 2010 may be collected in the collection unit 2500 together with the excrement and processed separately. On the other hand,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2200 from which the defecation pad 2010 is separated is positio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reafter, it may be inclined while moving upward.

패드 적층부(270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진 몸체부(2200)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삽입 공간(2101)의 하면에 위치된다. 패드 적층부(2700)는 복수 개의 배변 패드(2010)를 적층한 상태로 수용한다. The pad stacking part 2700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2101 so as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2200 inclined by moving upward. Pad stacking unit 2700 accommodates a plurality of defecation pads 2010 in a stacked state.

특히, 패드 적층부(2700)의 배변 패드(2010)는 배변 패드(2010)가 위치되지 몸체부(2200)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변 패드(2010)의 패드 고정부(2011)는 몸체부(2200)의 몸체 고정부(2210)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몸체 고정부(221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변 패드(2010)는 패드 적층부(2700)로부터 분리되어 몸체부(2200)의 측면에 위치되고, 몸체부(2200)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고 삽입 공간(2101)의 상면을 향하도록 이동된다.In particular, the bowel pad 2010 of the pad stacking unit 2700 may be loca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2200 is not located the defecation pad (2010). Here, the pad fixing part 2011 of the defecation pad 201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body fixing part 2210 of the body part 2200, and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body fixing part 2210. Due to this, the defecation pad 2010 is separated from the pad stacking unit 2700 and located on the side of the body 2200, and moves upward due to the rotation of the body 2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2101 moved toward

또한, 패드 적층부(2700)에 적층된 배변 패드(2010)들에서 하나의 배변 패드(2010)에 위치된 패드 고정부(2011)는 다른 배변 패드(2010)의 타면에 접촉되도록 위치된다. 즉, 패드 고정부(2011)는 다른 배변 패드(2010)의 자성에 작용하지 않는 부분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배변 패드(2010)들은 상호 간에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d fixing unit 2011 located in one defecation pad 2010 in the defecation pads 2010 stacked on the pad stacking unit 2700 is positioned to contact the other surface of the other defecation pad 2010 . That is, the pad fixing unit 2011 is in contact with a portion that does not act on the magnetism of the other defecation pad (2010). Due to this, the defecation pads 2010 may be maintained in a state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패드 적층부(2700)에는 적층 감지부(2710) 및 패드 이동부(2720)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pad stacking unit 2700 may include a stacking sensing unit 2710 and a pad moving unit 2720 .

적층 감지부(2710)는 패드 적층부(2700)의 측면에서 몸체부(2200) 근처에 위치되고, 패드 적층부(2700)에 적층된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한다. 여기서, 적층 감지부(2710)는 패드 적층부(2700)에서 몸체부(2200)의 몸체 고정부(2210)에 부착가능하도록 위치된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한다.The stacking detection unit 2710 is located near the body 2200 on the side of the pad stacking unit 2700 , and detects the defecation pad 2010 stacked on the pad stacking unit 2700 . Here, the lamination detection unit 2710 detects the defecation pad 2010 positioned so as to be attachable to the body fixing unit 2210 of the body unit 2200 in the pad lamination unit 2700 .

패드 이동부(2720)는 패드 적층부(27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적층된 배변 패드(2010)들을 지지하고 배변 패드(2010)를 몸체부(2200)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적층 감지부(2710)가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하지 않을 때, 패드 이동부(2710)는 패드 적층부(2700)의 배변 패드(2010)를 몸체부(2200)를 향하도록 이동시킨다. 여기서, 적층 감지부(2710)가 다시 배변 패드(2010)를 감지할 때까지, 패드 이동부(2710)는 배변 패드(2010)를 몸체부(2200)를 향하도록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배변 패드(2010)는 회전하는 몸체부(2200)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패드 적층부(2700)에서 적층될 수 있다.The pad moving unit 2720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pad stacking unit 2700 to support the stacked defecation pads 2010 and move the defecation pad 2010 toward the body portion 2200 . When the lamination sensing unit 2710 does not detect the defecation pad 2010 , the pad moving unit 2710 moves the defecation pad 2010 of the pad lamination unit 2700 toward the body 2200 . Here, until the lamination detection unit 2710 detects the bowel movement pad 2010 again, the pad movement unit 2710 moves the bowel movement pad 2010 toward the body portion 2200 . Due to this, the defecation pad 2010 may be stacked in the pad stacking unit 2700 so as to be stably attached to the rotating body portion 2200 .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변 처리 장치(2000)에서 반려동물이 배변 패드(2010)에 배변한 상태에서, 감지 제어부(2400)는 배설물을 감지하여 구동부(2300)를 제어하여 몸체부(220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배변 패드(2010)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지는 데, 배설물은 낙하하여 수집부(2500)에 수집되고, 배변 패드(2010)는 몸체부(2200)에 의해 이동하면서 패드 걸림부(2012)가 패드 분리부(2600)에 걸린 상태에서 몸체부(2200)로부터 분리되어 수집부(2500)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배변 패드(2010)가 위치되지 않은 상태로 상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진 몸체부(2200)의 측면은 패드 적층부(2700)에 적층된 배변 패드(2010)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변 패드(2010)의 패드 고정부(2011)가 몸체부(2200)의 몸체 고정부(2210)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몸체 고정부(2210)와 패드 고정부(2011)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패드 고정부(2011)는 몸체 고정부(2210)에 부착되어, 배변 패드(2010)는 몸체부(2210)의 측면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측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지고 삽입 공간(2101)의 개방된 상면의 일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배변 처리 장치(2000)는 반려동물의 배설물 및 사용된 배변 패드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고, 새로운 배변 패드를 용이하면서도 자동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companion animal defecates on the defecation pad 2010 in the defecation treatment device 2000 of this embodiment, the sensing control unit 2400 detects the excrement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2300 to control the body unit 2200. rotate Here, the defecation pad 2010 is tilted by moving downward, and the excrement is collected in the collection unit 2500 by dropping, and the bowel movement pad 2010 is moved by the body unit 2200 while the pad locking unit 2012). The pad may be separated from the body 2200 while being caught in the pad separation unit 2600 and collected in the collection unit 2500 . In additi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2200 inclined by moving upward in a state where the bowel movement pad 2010 is not located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bowel movement pad 2010 stacked on the pad stacking unit 2700 . Here, the pad fixing part 2011 of the defecation pad 201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body fixing part 2210 of the body part 2200, and between the body fixing part 2210 and the pad fixing part 2011, there is an attractive force. works Due to this, the pad fixing unit 2011 is attached to the body fixing unit 2210, the defecation pad 2010 may be positioned and fixed on the side of the body 2210, and moved upward and tilted and inserted into the space ( 2101)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open upper surface. Therefore, the defecation treatment device 2000 of this embodiment can easily collect the excrement of companion animals and the used defecation pad, and can easily and automatically install a new defecation pad.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by the person.

100: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
101: 제어부
102: 저장부
103: 머신러닝부
1000: 하우스
1100: 하우징
1200: 섭취물 공급부
1300: 촬영부
1400: 출력부
1500: 하우스 제어부
1600: 원적외선 방사부
1700: 입력부
1800: 장난감 공급부
100: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101: control unit
102: storage unit
103: machine learning unit
1000: house
1100: housing
1200: intake supply
1300: shooting department
1400: output unit
1500: house control
1600: far-infrared radiation unit
1700: input
1800: toy supply department

Claims (10)

하우스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스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전송받아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아 하우스에 전송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연결되고, 제어부에 전송된 신호를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연결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하우스에서 촬영된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을 전송받아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을 머신러닝방식으로 학습하는 머신러닝부를 포함하되,
단말기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신호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고, 하우스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하우스는,
내부에 반려동물이 위치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은 투명하게 이루어지고 한 쌍의 투입구를 가지며, 상면에는 장착구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에 연결되며, 섭취물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에 섭취물을 공급하는 섭취물 공급부;
수용 공간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에 위치된 반려동물을 촬영하는 촬영부;
수용 공간에 설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섭취물 공급부, 촬영부 및 출력부에 연결되고, 섭취물 공급부, 촬영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며, 단말기에 연결되는 하우스 제어부를 포함하고,
장착구에는 드라이어 및 흡입장치 중 하나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되며,
드라이어가 장착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열풍이 드라이어에 의해 수용 공간으로 공급되고,
흡입장치가 장착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가 수용 공간으로부터 흡입장치에 흡입되며,
하우징은,
장착구에 대응하도록 수용 공간의 상면에 위치되고, 장착구에 연결되는 유도 공간을 가지며, 하면에는 복수 개의 유도홀들이 형성된 유도 몸체;
주름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장착구에 대응하도록 유도 몸체의 하면에 연결되어 유도 공간에 연결되는 유도관;
유도 공간에서 유도관의 상단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유도관의 상단면을 개폐하는 제 1 밸브, 유도 공간에서 유도관과 유도홀들 사이에 위치되어 유도관과 유도홀들 사이를 개폐하는 제 2 밸브, 및 유도관의 외측면에 위치되어 제 1 밸브와 제 2 밸브에 연결되어 제 1 밸브와 제 2 밸브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유도 제어부; 및
유도 몸체의 외측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되고 각각의 유도홀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연결홀들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제어 몸체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유도홀들은 유도관 주위의 유도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고,
유도 제어부가 유도관을 폐쇄하고 유도관과 유도홀들 사이를 개방하여 장착구, 유도 공간 및 유도홀들을 연결할 때, 흡입 장치는 공기를 수용 공간으로부터 유도홀들을 통해 흡입하거나, 드라이어는 열풍을 유도홀들을 통해 수용 공간으로 공급하며,
유도 제어부가 유도관과 유도홀들 사이를 폐쇄하고 유도관을 개방하여 장착구, 유도 공간 및 유도관을 연결할 때, 흡입 장치는 공기를 수용 공간으로부터 유도관을 통해 흡입하거나, 드라이어는 열풍을 유도관을 통해 수용 공간으로 공급하며,
제어 몸체는 각각의 유도홀에 대응되는 연결홀들의 개수를 변경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
In the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that connects the house and the terminal,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signal generated from the house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and receives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house;
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verting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into information and storing the converted signal; and
A machine learning unit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and receiv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companion animal photographed at the house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learning the behavior pattern of the companion animal in a machine learning method,
The terminal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display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gnal, and the house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gnal,
the house,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a companion animal can be located, one side of which is transparent and has a pair of inlets, and a mounting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 intake water supply unit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storing the intake water and supplying the intake water to the accommodation space;
a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photograph a companion animal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 output unit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output sound; and
It is connected to the intake water supply unit,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output unit, and controls the intake water supply unit,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output unit, and includes a hous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erminal,
One of the dryer and suction device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 and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dryer is mounted on the mounting hole, hot air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by the dryer,
With the suction device mounted on the mounting hole, air is sucked into the suction device from the receiving space,
the housing,
an induction body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hole, having an induction space connected to the mounting 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guide hole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n induction tube made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duction body to correspond to the fitting, and connected to the induction space;
A first valv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tube in the induction space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tube, a second valve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tube and guide holes in the guide space to open and close between the guide tube and the guide holes an induction control unit including a valve and a switch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uction pipe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valves to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valves; and
and a plate-shaped control body positioned so as to be movab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uctio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induction hole,
A plurality of guide hol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body around the guide tube,
When the induction control unit closes the guide tube and opens between the guide tube and the guide holes to connect the fitting, the guide space and the guide holes, the suction device sucks air from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guide holes, or the dryer induces hot air It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holes,
When the induction control unit closes the guide tube and the guide holes and opens the guide tube to connect the fitting, the guide space and the guide tube, the suction device sucks air from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guide tube, or the dryer induces hot air It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pipe,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body moves to change the number of connection holes corresponding to each guide ho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편백나무로 제조되고,
하우스는,
수용 공간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made of cypress wood,
the house,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ar-infrared emitting unit emitting far-infrared rays.
제1항에 있어서, 섭취물 공급부는,
사료를 저장하고 수용 공간에 공급하는 사료 공급부;
식수를 저장하고, 식수가 수용 공간의 반려동물에 의해 섭취되도록 위치된 식수 공급부;
간식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에 공급하는 간식 공급부; 및
약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에 공급하는 약 공급부를 포함하되,
하우스 제어부는 사료 공급부, 간식 공급부 및 약 공급부를 제어하여 사료, 간식 및 약을 선택적으로 수용 공간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ake supply unit,
a feed supply unit for storing and supplying feed to the receiving space;
a drinking water supply unit that stores drinking water and is positioned so that the drinking water is consumed by companion animals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snack supply unit for storing and supplying snacks to the receiving space; and
A medicine supply unit for storing and supplying the medicine to the receiving space,
The house control unit controls the feed supply unit, the snack supply unit, and the medicine supply unit to selectively supply feed, snacks, and medicine to the accommodation space.
제1항에 있어서,
촬영부는 촬영된 반려동물에 따른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하우스 제어부에 전송하며, 하우스 제어부는 화상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며, 단말기는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은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출력하고,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조작되며, 제어부는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하우스 제어부로 전송하고, 하우스 제어부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섭취물 공급부를 제어하고,
음향이 단말기에 입력될 때, 단말기는 음향에 따른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음향 신호를 하우스 제어부에 전송하며, 하우스 제어부는 음향 신호에 따른 음향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graphing unit generates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photographed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s it to the house control unit, the hous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mage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the terminal outputs an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house control unit, the hous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take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When sound is input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generates a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soun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sound signal to the house control unit, and the house control unit outputs the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through the output unit A pet house system with
제1항에 있어서, 하우스는,
장난감을 저장하고 수용 공간에 공급하는 장난감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하우스 제어부는 장난감 공급부를 제어하여 장난감을 선택적으로 수용 공간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us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toy supply unit for storing the toy and supplying the receiving space,
The house control unit controls the toy supply unit to selectively supply toys to the accommodation space.
제1항에 있어서, 하우스는,
수용 공간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의 반려동물로부터 발생된 음향을 입력받아 반려동물로부터 발생된 음향에 따른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하우스 제어부에 전송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하우스 제어부는 음향 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하며, 반려동물로부터 발생된 음향이 소정 크기 이상이거나 소정 횟수 이상으로 반복적으로 입력될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를 통해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us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receiving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in the receiving space, generating a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sound generated by the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house control unit,
The house control unit transmits a sound signal to the terminal, and when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companion anim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or is repeatedly input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house control unit generates an alarm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control uni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수용공간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와인더; 및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반려동물의 목에 걸릴 수 있고, 수용 공간의 하면을 통해 와인더에 연결되는 목줄을 포함하되,
와인더는 하우스 제어부에 의해 목줄을 감거나 풀도록 제어되고, 목줄에 연결된 반려동물의 이동 범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하우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 winder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receiving space; and
It is made in the form of a wire and can be hung on the neck of the companion animal, and includes a leash that is connected to the winder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 winder is controlled to wind or unwind the leash by the house controller, and the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movement range of the companion animal connected to the leash.
KR1020200005673A 2020-01-16 2020-01-16 System for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KR1023958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73A KR102395840B1 (en) 2020-01-16 2020-01-16 System for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73A KR102395840B1 (en) 2020-01-16 2020-01-16 System for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380A KR20210092380A (en) 2021-07-26
KR102395840B1 true KR102395840B1 (en) 2022-05-06

Family

ID=7712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673A KR102395840B1 (en) 2020-01-16 2020-01-16 System for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84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231A (en) 2005-02-18 2006-08-31 Shinichi Kajiwara Cosmetic rack and cosmetic rack set
KR101922697B1 (en) * 2018-05-10 2018-11-27 김상길 A pet hotel system for manless consign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965A (en) * 2002-04-15 2003-10-22 박대진 Remote breeding method and system using wire/wireless communication
KR101931004B1 (en) 2016-12-28 2018-12-19 남궁성 Artificial intelligence pet house and system based on IOT technology and self-driven (Deep learning/Machine to Machine) algorithm
KR101974201B1 (en) * 2017-10-12 2019-04-30 (주)제이컴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
KR102062785B1 (en) * 2017-10-27 2020-01-0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System for behavior control of companion animal using user terminal
KR101999710B1 (en) 2017-11-28 2019-07-1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Lead line with easy pet control
KR102063213B1 (en) 2018-03-23 2020-01-07 (주)킹스스파 Multi pet dry roo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231A (en) 2005-02-18 2006-08-31 Shinichi Kajiwara Cosmetic rack and cosmetic rack set
KR101922697B1 (en) * 2018-05-10 2018-11-27 김상길 A pet hotel system for manless consign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380A (en)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639B1 (en) Smart excrement disposal system for companion animal
US10349625B2 (en) Animal inter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256054B1 (en) Pet care system and method using two-way communication
JP6707733B2 (en) Mobile platform system
US11638414B2 (en) Use of semantic boards and semantic buttons for training and assisting the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of language
JP2014103969A (en) Long distance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on with companion animal and method for long distance communication with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
KR20210014376A (en) Smart pet house
WO2014162154A2 (en) A pet interaction device
US20160061481A1 (en) Air concentrator/diffuser pet accessory
Own et al.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the IoT in pet systems
KR20160010160A (en) Automatic feeding apparatus for a pet
US20200260686A1 (en) 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KR102395840B1 (en) System for smart companion animal house
JPWO2018207908A1 (en) Robot, jewelry and robot control program
Che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 seawater aquarium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 technology
JP6958825B2 (en) Mobile platform system
KR101781372B1 (en) Toy for pets using a touch sensor
JP2004500860A (en) Notification method and device
KR20200088176A (en) Smart feeding device
TW201911251A (en) Pet dog home care system
KR20010077368A (en) The method of feeding pet by internet
Bembde et al. Robotic Day-Care for Pets using Sensors and Raspberry Pi
Suksaengjun et al. The design of smart dog cage system
KR20210085577A (en) Pet Feeding Device Using Remote Control
Al Sowaimel et al. Cat nanny: affordable cat ca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