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152B1 - 전기변색필름 - Google Patents

전기변색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152B1
KR102395152B1 KR1020170160300A KR20170160300A KR102395152B1 KR 102395152 B1 KR102395152 B1 KR 102395152B1 KR 1020170160300 A KR1020170160300 A KR 1020170160300A KR 20170160300 A KR20170160300 A KR 20170160300A KR 102395152 B1 KR102395152 B1 KR 102395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chromic
oxide
film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676A (ko
Inventor
조필성
김용찬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60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1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기변색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례에 따르면, 블루계열 외의 색상을 구현하고, 동시에 구동 특성이 개선된 전기변색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변색필름{An electrochromic film}
본 출원은 전기변색필름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이란 전기화학적 산화 또는 환원 반응에 의하여 전기변색물질의 광학적 성질이 변하는 현상을 말하며, 상기 현상을 이용한 소자를 전기변색 소자라 한다. 전기변색소자는 일반적으로 작업전극, 상대전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며,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각 전극의 광학적 성질이 가역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전극 또는 상대전극은 투명 도전성 물질과 전기변색물질을 각각 박막 형태로 포함할 수 있는데, 소자에 전위가 인가될 경우 전해질 이온이 전기변색물질 함유 박막에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탈리되고, 동시에 외부 회로를 통해 전자가 이동하게 되면서 전기변색물질의 광학적 성질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전기변색물질로는 착색시 블루(Blue) 계열의 색상이 나타나고, 일반적으로 우수한 구동 내구성을 갖는다고 알려진 산화텅스텐(Tungsten Oxide)이나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가 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전기변색물질이 스마트 윈도우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블루 계열 외에도 다양한 색상이 필요하기 때문에, 착색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는 전기변색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재료 중 착색시 갈색을 갖는 니켈 산화물 기반의 화합물에 대한 연구가 특히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선택된 재료가 전기변색소자에서 최대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선택된 재료와 소자를 구성하는 다른 재료와의 적합성뿐 아니라, 층을 형성하는 구성 성분의 함량이나 층의 밀도와 같이, 해당 변색 재료를 포함하는 층 자체의 특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일 목적은, 블루(Blue) 계열 외의 색상을 구현하면서도, 동시에 장기 구동 내구성이 우수한 전기변색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목적 및 기타 그 밖의 목적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출원에 의해 모두 해결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관한 일례에서, 본 출원은 전기변색 반응을 통해 투과도가 변화할 수 있는 전기변색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기변색필름은 도전층과 전기변색층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전기변색층은 전기화학적 반응에 따라 가역적으로 변색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의미한다. 상기 전기변색층은 금속복합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동시에 소정의 박막밀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복합 산화물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공증착물일 수 있다
[화학식]
NixCryOz
상기 화학식에서, x, y 및 z 각각은 Ni, Cr, 및 O의 원소 함량비를 의미하고, x>0, y>0, z>0 이고, 0.5 ≤ (x+y)/z ≤ 1.7이고, 4.2 ≤ x/y ≤ 8.0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원소 함량비」는 atomic%일 수 있고,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원소 함량비를 만족하는 경우, 전기변색층으로 기능할 수 있고, 우수한 구동 내구성을 필름에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화학식에서의 원소 간 함량비는 0.5 ≤ (x+y)/z ≤ 1.5 범위, 0.5 ≤ (x+y)/z ≤ 1.3 범위, 또는 0.5 ≤ (x+y)/z ≤ 1.0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소 간 함량비는 4.2 ≤ x/y ≤ 8.0 범위, 4.2 ≤ x/y ≤ 7.5 범위, 4.2 ≤ x/y ≤ 7.0 범위, 또는 4.5 ≤ x/y ≤ 7.0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소정 범위의 원소 간 함량비를 만족하는 복합 산화물은 니켈산화물(Nickel Oxide)과 크롬산화물(Chromium oxide)의 장점을 동시에 가지면서, 전기변색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켈산화물은 염기성에 가까운 전해질 성분에서 안정적인 구동을 보이고, 크롬산화물은 산성에 가까운 전해질 성분에서 안정적인 구동을 보이는데, 상기 구성의 복합 산화물의 함량비를 적절이 조절하여 전기변색 필름을 제조한다면, 산성 및 염기성 중 어느 쪽 전해질과 사용되더라도 안정적인 전기변색 특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스퍼터링과 같은 증착 공정을 통해 전기변색 필름을 제조할 경우, 자성을 갖는 Ni 타겟은 생산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지만, NiCr 타겟은 이러한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을 만족하는 금속복합 산화물은 소위 산화성 변색물질로서, 변색물질에 대한 산화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고유의 색을 구현(착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층은 인접하는 도전층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산화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갈색(Brown) 계열의 색으로 변색(colored)될 수 있다. 반대로, 반대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어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탈색(bleached)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사용되는 전기변색층의 박막밀도(ρ)는 2.5 g/cm3 내지 4.0 g/cm3 범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막밀도는, 상기 범위 내에서, 2.5 g/cm3 이상, 2.7 g/cm3 이상, 또는 3.0 g/cm3 이상일 수 있고, 4.0 g/cm3 이하, 3.7 g/cm3 이하, 또는 3.5 g/cm3 이하일 수 있다. 박막밀도는 XRR(X-ray reflectivity)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전기변색 특성은 전기변색층과 전해질 이온과의 반응과 관련이 있다. 전기변색층의 표면 분 아니라 층 내부에서도 전해질 이온과의 변색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전기변색층 내에서 이온의 이동이 용이해야 한다, 전기변색층이 상기 범위의 밀도를 갖는 경우 적절한 다공성(Porosity)과 전해질층에 대한 밀착성이 확보되어 변색 특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기변색층의 두께는 50 nm 내지 1 ㎛ 범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변색층 두께의 하한은 50 nm 이상, 100 nm 이상 또는 150 nm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900 nm 이하, 700 nm 이하 또는 500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층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도전층은 투명 도전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메탈메쉬 형태나 OMO(oxide/metal/oxide)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전층 형성에 사용되는 투명 도전성 화합물로는, ITO(Indium Tin Oxide), In2O3(Indium Oxide), IGO(Indium Galium Oxide), FTO(Fluor doped Tin Oxide), AZO(Aluminium doped Zinc Oxide), GZO(Galium doped Zinc Oxide), ATO(Antimony doped Tin Oxide), IZO(Indium doped Zinc Oxide), NTO(Niobium doped Titanium Oxide), ZnO(Zink Oxide), 또는 CTO (Cesium Tungsten Oxide)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사용가능한 투명 도전성 화합물의 종류가 상기 나열된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메탈메쉬 형상의 도전층은, 격자 형태로서 Ag, Cu, Al, Mg, Au, Pt, W, Mo, Ti, Ni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메탈메쉬에 사용가능한 재료가 상기 나열된 금속 재료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전층은 OMO(oxide/metal/oxid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OMO는 ITO로 대표되는 투명 도전성 산화물 대비 좀 더 낮은 면저항을 갖기 때문에, 전기변색 속도를 단축하는 등 전기변색필름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OMO는 상부층, 하부층, 및 상기 2개 층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부층이란, OMO를 구성하는 층 중에서 전기변색층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멀리 위치한 층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OMO 전극의 상부층 및 하부층은 Sb, Ba, Ga, Ge, Hf, In, La, Se, Si, Ta, Se, Ti, V, Y, Zn, Zr 또는 이들 합금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이 포함하는 각 금속산화물의 종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층은 예를 들어, Ag, Cu, Zn, Au, Pd, 및 이들의 합금과 같은 저저항 금속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OMO 상부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nm 내지 120 nm 범위 또는 20 nm 내지 100 nm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층의 가시광 굴절률은 1.0 내지 3.0 범위 또는 1.2 내지 2.8 범위일 수 있다. 상기 OMO 하부층의 두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0 nm 내지 100 nm 범위 또는 20 nm 내지 80 nm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층의 가시광 굴절률은 1.3 내지 2.7 범위 또는 1.5 내지 2.5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층은 3 nm 내지 30 nm 범위 또는 5 nm 내지 20 n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층은 1 이하 또는 0.5 이하의 가시광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의 굴절률 및 두께를 가질 경우, 적절한 수준의 광학 특성이 전극층에 부여될 수 있다. 특별히 달리 정의하지 않는 이상, 가시광이란 약 380 nm 내지 약 780 nm 범위 파장의 광을 의미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도전층은 50 nm 내지 400 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도전층의 일 면 상에는 투명 기재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변색층은, 투명 기재와 접하는 도전층 일 면의 반대 일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가능한 투명 기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리 또는 고분자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C(Polycarbon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PMMA(poly(methyl methacrylate))와 같은 아크릴 필름, 또는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와 같은 폴리올레핀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재는 60 % 내지 95 % 범위의 가시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기변색 필름은, 제1 도전층,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및 제2 도전층을 순차로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도전층에 관한 구성은, 제1 및 제2 도전층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해질층은 전기변색 반응에 관여하는 전해질 이온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전해질 이온은 전기변색층에 삽입되고, 그 변색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1가 양이온일 수 있다. 상기 1가 양이온은 예를 들어, H+, Li+, Na+, K+, Rb+, Cs+ 또는 NH+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은 액상 또는 고상의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해질은 유기 용매와 상기 전해질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폴리머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1가 양이온, 즉 H+, Li+, Na+, K+, Rb+, Cs+ 또는 NH+를 제공할 수 있다면, 염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해질층은 LiClO4, LiBF4, LiAsF6, LiPF6, LiI, LiBr, 또는 LiCF3SO3 와 같은 리튬염 화합물이나, NaClO4와 같은 나트륨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해질층은 유기 용매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해질층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에서, 유기 용매로는 물(water) 외에,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부탄올(n-butan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디메톡시에탄(1,2-dimethoxyethane), 아세톤(acetone),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나열된 용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해질층이 폴리머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경우, 즉, 전해질로서 겔 폴리머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전해질층은 폴리-비닐 술폰산(Poly-vinyl sulfonic acid), 폴리-스티렌 술폰산(Poly-styrene sulfonic acid), 폴리-에틸렌 술폰산(Poly-ethylene sulfonic acid), 폴리-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 술폰산(Poly-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c acid), 폴리-퍼플루오로 술폰산(Poly-perfluoro sulfonic acid), 폴리-톨루엔 술폰산(Poly-toluene sulfonic acid),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에틸렌 이민(Poly-ethylene imine), 폴리-비닐 피롤릴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PEO)),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PPO)),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실록산)(poly-(ethylene oxide, siloxane) (PEOS),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록산)(poly-(ethylene glycol, siloxane)),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실록산)(poly-(propylene oxide, siloxane)),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oxide, methyl methacrylate) (PEO-PMMA)),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아크릴산)(poly-(ethylene oxide, acrylic acid) (PEO-PAA)),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propylene glycol, methyl methacrylate) (PPG-PMMA)), 폴리-에틸렌 숙시네이트(poly-ethylene succinate) 또는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poly-ethylene adipate) 등의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나열된 고분자 중 2 이상의 혼합물이나 2 이상의 공중합체가 고분자 전해질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전해질층의 가시광 투과율은 60 % 내지 95 % 범위일 수 있고, 그 두께는 10 ㎛ 내지 200 ㎛ 범위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기변색필름은, 상기 전해질층과 상기 제2 도전층 사이에 이온저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장층은 전기변색물질의 변색을 위한 가역적 산화·환원 반응시, 상기 전기변색층과의 전하 균형(charge balance)을 맞추기 위해 형성된 층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온저장층은, 전기변색층에 사용되는 전기변색물질과는 발색 특성이 상이한 전기변색물질, 즉, 상보적인 발색특성의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온저장층은, 변색물질에 대한 환원반응이 일어날 경우에 착색(colored)되는 환원성 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환원성 전기변색물질로는, 예를 들어, Ti, Nb, Mo, Ta 및 W 중 1 이상의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필름은 전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을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이 인가하는 전압은 정전압일 수 있고, 전기변색물질을 탈색 및 착색시킬 수 있는 수준의 전압을,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번갈아가면서 인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례에 따르면, 블루계열 외의 색상을 구현하고, 동시에 구동 특성이 개선된 전기변색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사이클 경과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 2 필름의 구동 특성을 비교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보호범위가 하기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례와 관련하여 측정된 물성 등은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 전류량: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및 LiClO4를 포함하는 전해액 내에서 3 전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변색 필름의 전류량, 즉 구동 특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Glass/ITO/NiCrO를 작동 전극으로, Pt wire를 상대 전극으로, 그리고 Ag/AgCl을 기준전극으로 구성하고, 이 전극들을 상기 전해액에 담지하고, 퍼텐쇼스탯(Potentiostat) 장치로 - 1 V 및 + 1 V 의 전압을 각각 60 초 간격으로 번갈아 인가하였고,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량 변화를 기록하였다.
* 변색특성 유무: 상기 설명된 전류량 측정에서와 마찬가지로, - 1 V 및 + 1 V 의 전압을 각각 60 초 간격으로 번갈아 인가하는 경우, 착색 및 탈색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유: 인가 전압의 극성에 따라 착색 및 탈색이 모두 나타남, 무: 색상 변화가 없음).
* 원소 함량비( atomic% ):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社의 K-Alpha 모델을 이용하였고, 그 측정 조건은 아래와 같다. 표 1에 기재된 관련 원소 함량비는, 필름의 제조 과정이나 제조된 필름의 성분 측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탄소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 간의 총 합 100% 기준으로 한 후에, 계산된 함량 비율이다.
- X-ray source: monochromatic Al Kα (1486.6 eV), X-ray spot size: 400㎛
- Operation mode: CAE (Constant Analyzer Energy) mode
- Charge compensation: default FG03 mode(250㎂, 1 V)
- Ar ion etching: monatomic (1000 eV, high, Raster width: 1.5 ㎜)
<실험조건>
하기 조건에서 survey&narrow scan data를 얻고, 정성 정량 분석을 진행하였다(peak background: smart방식사용)
Figure 112017118427713-pat00001
* 필름 두께 및 밀도: XRR(X-ray reflectivit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자석을 이용하여 시료를 샘플 홀더에 고정시킨 다음, 샘플 스테이지에 장착시켰다. 그 후, 입사빔을 2theta가 0.2도부터 10 도까지 0.0012도 간격으로 2초간 조사하는 방식으로, 시료의 reflectvity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PANalytical社에서 제공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필름의 두께 및 밀도를 계산하였다.
- 사용기기: PANalytical X'Pert Pro MRD XRD
- 구동 조건: 45 kV, 40 mA, Cu K-α radiation (파장: 1.5418 Å)
- 사용 optics: Incident beam optic - primary mirror, auto attenuator, 1/32° FDS, Diffracted beam optics - Parallel plate collimator (PPC) with silt (0.27), Soller slit (0.04 rad), Xe counter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
반응 스퍼터(reactive sputter) 공정을 이용하여, NiCrO 층을 ITO(350nm)/Glass 적층체의 ITO 상에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NiCr 타겟에 대하여, Ar과 O2를 (Ar:O2 유량비를 1:1 내지 10:1 범위 내에서 조절) 흘려주면서, 소정의 공정압(2 내지 30 mTorr 범위 내에서 조절) 및 200W의 파워하에서 (약 1,000초 내지 3,000초 동안) 증착을 진행하여, NiCrO층을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Glass/ITO/NiCrO 적층체 중, NiCrO 층의 특성은 표 1과 같다. 적층체에 대한 구동 특성 측정 결과는 도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7118427713-pat00002
표 1및 도 1에서 확인되듯이, NiCrO 필름이 갖는 두께가 유사한 경우라 하더라도, NiCrO 필름이 갖는 원소 간 함량 및 전기변색층의 밀도에 따라, 변색 특성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와 달리, 본원의 원소 함량비와 밀도를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1은 전기변색 특성 자체를 갖지 못하고, 본원의 원소함량은 만족하지만 밀도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2 는 구동 사이클이 증가할수록 전류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구동 내구성이 좋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도전층; 및 하기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금속복합 산화물을 포함하고, 2.5 내지 4.0 g/cm3 범위의 박막밀도를 갖는 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필름:
    [화학식]
    NixCryOz
    (단, 상기 화학식에서, x, y 및 z 각각은 Ni, Cr, 및 O의 원소 함량비를 의미하고, x>0, y>0, z>0 이고, 0.75 ≤ (x+y)/z ≤ 1.7 이고, 4.2 ≤ x/y ≤ 8.0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필름은 50 nm 내지 1 ㎛ 범위의 두께를 갖는 전기변색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투명 도전성 화합물, 메탈메쉬, 또는 OMO(oxide/metal/oxide)를 포함하는 전기변색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도전층,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및 제2 도전층을 순차로 포함하는 전기변색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H+, Li+, Na+, K+, Rb+, Cs+ 또는 NH+를 제공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과 상기 제2 도전층 사이에 이온저장층을 더 포함하는 전기변색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저장층은 Ti, Nb, Mo, Ta 또는 W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필름.
KR1020170160300A 2017-11-28 2017-11-28 전기변색필름 KR102395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00A KR102395152B1 (ko) 2017-11-28 2017-11-28 전기변색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00A KR102395152B1 (ko) 2017-11-28 2017-11-28 전기변색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676A KR20190061676A (ko) 2019-06-05
KR102395152B1 true KR102395152B1 (ko) 2022-05-06

Family

ID=6684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300A KR102395152B1 (ko) 2017-11-28 2017-11-28 전기변색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1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755B1 (ko) * 2016-03-22 2019-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소자,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투과율 제어방법
KR102010754B1 (ko) * 2016-03-31 2019-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676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733B1 (ko) 전기변색 소자
KR102010755B1 (ko) 전기변색소자,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투과율 제어방법
KR102118361B1 (ko) 전기변색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KR102072882B1 (ko) 전도성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
KR102079142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395152B1 (ko) 전기변색필름
KR102395150B1 (ko) 전기변색필름
KR102078403B1 (ko) 전기변색소자
US20200255723A1 (en) Conductive laminate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010754B1 (ko) 전기변색소자
EP3444663B1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126683B1 (ko) 전기변색소자의 구동방법
KR102010734B1 (ko) 전기변색소자
KR20190118121A (ko) 전기변색필름
KR20190118120A (ko) 전기변색필름
KR20180122132A (ko) 전기변색소자의 구동방법
KR102113478B1 (ko) 전기변색필름,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0494799B (zh) 电致变色装置
EP3617771B1 (en) Light-transmissive film and electrochromic element comprising same
KR102071901B1 (ko) 전기변색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