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125B1 -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125B1
KR102395125B1 KR1020200109832A KR20200109832A KR102395125B1 KR 102395125 B1 KR102395125 B1 KR 102395125B1 KR 1020200109832 A KR1020200109832 A KR 1020200109832A KR 20200109832 A KR20200109832 A KR 20200109832A KR 102395125 B1 KR102395125 B1 KR 102395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rail
drawer
spr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397A (ko
Inventor
권현구
Original Assignee
권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현구 filed Critical 권현구
Priority to KR1020200109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1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having both self-opening and self-closing mechanisms which interact with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2088/4235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having a latch mechanism coupling or disconnecting a drawer with drawer side slide from the rest of the slid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47B2088/4276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at drawer front via latch means or locking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납본체에 형성된 수용공간 내로 서랍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장치로서, 상기 수납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 상기 서랍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 상기 고정레일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고, 상기 이동레일이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중간레일 및 상기 고정레일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서랍의 인입동작 및 인출동작을 제어하는 슬라이딩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제어장치는 상기 서랍의 자동폐쇄 동작과 푸쉬-오픈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Multi functional slide apparatus}
본 발명은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폐쇄(또는 소프트 클로징) 기능 및 푸쉬-오픈 기능이 모두 구현된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타입 서랍은 가구, 냉장고 또는 각종 정리함 등의 수납장치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가능 하게 구비되어 필요한 물건들을 넣어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타입 서랍은, 수납본체에 서랍 설치공간을 구비하고, 그 설치공간 내측의 벽면과 서랍의 양측면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구름접촉(rolling contact)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장치에 의해 개폐 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타입 서랍 중 손잡이가 없는 서랍은, 서랍을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랍을 수납본체 측으로 밀어넣어 슬라이딩 잠금시키고, 서랍을 다시 밀어넣어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서 탄성반응에 의해 서랍을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하며, 돌출된 일부분을 손으로 파지하여 잡아 당김으로서 서랍을 개폐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손잡이가 없는 서랍의 슬라이딩 장치에 의하면,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서랍의 개방 과정에서 개폐부품에 오작동이 발생하여 한 개의 슬라이드 장치는 잠금이 해제되고, 다른 한 개는 계속 잠금 상태로 유지되어 서랍을 원활하게 조작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드 장치는 구조적인 복잡성 등으로 인해 푸쉬-오픈 방식으로 서랍을 개방하고, 소프트 클로징 혹은 자동폐쇄 방식으로 서랍을 폐쇄하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4266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푸쉬-오픈 방식으로 서랍을 개방하고, 소프트 클로징 혹은 자동폐쇄 방식으로 서랍을 폐쇄하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면서도, 구성이 단순화되고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는 수납본체에 형성된 수용공간 내로 서랍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장치로서, 상기 수납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 상기 서랍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 상기 고정레일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고, 상기 이동레일이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중간레일; 상기 고정레일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서랍의 인입동작 및 인출동작을 제어하는 슬라이딩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제어장치는: 상기 고정레일의 내측 일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일 측면이 개방된 가이드 수용홈을 구비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개방된 일 측면에 인접한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 수용홈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동 부재; 상기 제1 이동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레일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 부재들과 걸림 또는 체결을 통해 상기 이동레일과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일체화시키는 작동 부재;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동 부재;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제1 이동 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이동 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몸체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들의 일 단부들을 연결하는 제3 측면부,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들의 하단과 연결되는 바닥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들의 상단에 'ㄱ'자 형태의 덮개부가 연결되어 형성된 제1 스프링 수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이동 몸체, 및 상기 제1 이동 몸체 양측에 구비되는 제2 스프링 수용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프링 수용부들 각각의 일 단부에는 상기 제1 스프링 부재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하는 제1 스프링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프링 수용부들 각각의 일 단부에는 상기 제1 스프링 부재의 타 단부가 고정 결합하는 제2 스프링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이동 몸체, 및 상기 제2 이동 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이동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스프링 부재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하는 제3 스프링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이동 몸체의 상부 또는 상기 레일 지지부에는 상기 제2 스프링 부재의 타 단부가 고정 결합하는 제4 스프링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직선 이동홈, 상기 직선 이동홈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형성된 제1 절곡홈, 및 상기 직선 이동홈의 타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절곡 형성된 제2 절곡홈을 포함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제2 직선 이동홈과 상기 제2 절곡홈이 연결되는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재는, 판상형의 작동 몸체, 상기 작동 몸체의 상부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 부재들과 걸림 또는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돌기, 및 상기 작동 몸체의 하부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 내에 삽입되는 하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돌기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며 이격 형성되어 걸림부재 이동로를 형성하는 제1 상부 돌기 및 제2 상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의 걸림 부재들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 걸림 부재 및 제2 걸림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걸림 부재는 상기 이동레일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걸림 부재는 상기 제2 걸림 부재로부터 상기 서랍의 인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서랍의 인입동작 시 상기 제1 걸림 부재와 상기 제1 상부 돌기가 걸림 또는 체결되어 상기 이동레일과 상기 제1 이동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일체화시키고, 상기 서랍의 인출동작 시 상기 제2 걸림 부재와 제1 상부 돌기가 걸림 또는 체결되어 상기 이동레일과 상기 제1 이동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돌기가 제1 절곡홈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상기 인출 방향에 인접한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 단부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스프링 부재는 신장되어 인장력이 부가되고, 상기 제1 걸림 부재가 상기 제1 상부 돌기와 걸림되는 범위로 상기 이동레일이 인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절곡홈에 위치한 상기 하부 돌기는 걸림 해제되어 상기 직선 이동홈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스프링 부재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축됨에 따라 상기 직선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하부 돌기가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이동이 저지될 때까지 상기 이동레일과 상기 제1 이동 부재가 일체화되어 상기 서랍의 인입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서랍이 자동폐쇄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돌기가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이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이 가압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인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하부 돌기는 상기 제2 절곡홈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레일을 지지하는 상기 레일 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스프링 부재가 신장되고, 상기 가압된 힘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2 스프링 부재의 수축에 따라 상기 레일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인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서랍이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스프링 부재를 통해 연결된 고정 몸체와 제1 이동 부재, 제2 스프링 부재를 통해 연결된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동레일의 이동에 따라 자동폐쇄 및 푸쉬-오픈의 두 가지 기능을 모두 구현하면서도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슬라이딩 제어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슬라이딩 제어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가이드 부재의 제1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이동 부재와 작동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1)는 레일 구조체(100) 및 슬라이딩 제어장치(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1)는 수용공간(12)을 구비한 수납본체(10)와 서랍(20)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수납본체(10)에 대해서 서랍(20)을 지지하면서 서랍(20)의 인입동작과 인출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폐쇄 또는 소프트 클로징(soft closing) 기능, 및 푸쉬-오픈(push-open) 기능의 두 가지 기능을 모두 구현한 복합 기능성 장치일 수 있다.
상세하게, 레일 구조체(100)는 고정레일(110), 중간레일(130) 및 이동레일(15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레일(110)은 가구, 냉장고 또는 각종 정리기구 등의 수납장치에 구비되는 수납본체(10)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어 서랍(20)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레일(150)은 서랍(20)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고정레일(110) 상에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게 구비되어 서랍(20)의 개폐 시 서랍(20)과 함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중간레일(130)은 고정레일(1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레일(150)은 중간레일(13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레일(110) 및 중간레일(130) 사이 및 중간레일(130) 및 이동레일(150) 사이에는 슬라이딩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제1 리테이너(120) 및 제2 리테이너(140)가 각각 개재될 수 있다.
고정레일(100), 중간레일(130) 및 이동레일(150)과, 제1 리테이너(120) 및 제2 리테이너(130)의 일반적인 구조는 공지된 것이므로, 아래에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레일(110)은 고정레일 바디와, 고정레일 바디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고정레일 플랜지를 포함하고, 중간레일(130)은 고정레일 플랜지 내측에 안착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상대 운동하고, 중간레일(130) 역시 마찬가지로 중간레일 바디와, 중간레일 바디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중간레일 플랜지를 포함하고, 이동레일(150)이 중간레일 플랜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상대 운동하게 된다. 이동레일(150) 역시 마찬가지로 이동레일 바디와 이동레일 바디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이동레일 플랜지를 포함한다.
고정레일(110), 중간레일(130), 이동레일(150) 각각의 사이에는 제1 리테이너(120)와 제2 리네이너(140)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되, 복수의 볼(ball)이 구비되어 볼의 구름운동에 의해서 중간레일(130)은 고정레일(110)에 대해서 양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레일(150)은 중간레일(130)에 대해서 양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서랍(20)의 개방 시 각 레일들(110, 130, 150)은 펼쳐지게 되며, 개방된 서랍(20)을 폐쇄시키기 위해서 펼쳐진 각 레일들(110, 130, 150)은 중첩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서랍(20)이 개방되는 방향은 열림 방향(A)(또는 인출 방향)으로 정의하고, 서랍(20)이 폐쇄되는 방향은 닫힘 방향(B)(또는 인입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이동레일(150)에는 슬라이딩 이동 시 작동 부재(320)의 상부 돌기(324)와의 걸림 또는 체결을 통해 이동레일(150)과 제1 이동 부재(310)의 이동을 일체화시키는 걸림 부재들(152, 154)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슬라이딩 제어장치(500)는 고정레일(1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레일 구조체(1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1)는 개방되었던 서랍(20)이 소정의 범위 이상 인입되면 자동으로 이동레일(150)이 닫힘 방향(B)으로 이동되어 서랍(20)을 자동폐쇄 시킬 수 있다(자동폐쇄 또는 소프트 클로징 기능). 또한,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1)는 폐쇄된 서랍(20)을 닫힘 방향(B)으로 푸쉬(push)한 후 가압된 힘이 해제되면, 이동레일(150)이 열림 방향(A)으로 이동되어 서랍(20)을 부분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푸쉬-오픈 기능). 슬라이딩 제어장치(500)는 이와 같은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1)의 자동폐쇄 기능 및 푸쉬-오픈 기능을 모두 구현하기 위한 제어장치일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슬라이딩 제어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슬라이딩 제어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가이드 부재의 제1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이동 부재와 작동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제어장치(500)는 가이드 부재(200), 제1 이동 부재(310), 작동 부재(320), 제2 이동 부재(330), 제1 스프링 부재(340), 제2 스프링 부재(350) 및 완충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00)는 고정레일(110)에 고정 결합되며, 제1 이동 부재(310) 및 제2 이동 부재(3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부재(200)는 고정 몸체(210), 제1 가이드부(220) 및 제2 가이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몸체(210)는 고정레일(110)의 내측 일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일 측면이 개방된 가이드 수용홈(210h)을 구비할 수 있다. 상세하게, 고정 몸체(210)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측면부(SP1)와 제2 측면부(SP2), 제1 및 제2 측면부들(SP1, SP2)의 일 단부들을 연결하는 제3 측면부(SP3), 및 제1 내지 제3 측면부들(SP1~SP3)의 하단과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바닥부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바닥부(BP1)와 제2 바닥부(B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닥부(BP1)는 제1 측면부(SP1) 하단과 전부 연결되고, 제3 측면부(SP3)의 하단과 부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바닥부(BP2)는 제2 측면부(SP2)의 하단과 전부 연결되고 제3 측면부(SP3)의 하단과 부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바닥부들(BP1, BP2)에는 고정레일(110)과 함께 수납본체(1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가이드 고정홀들(212)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바닥부들(BP1, BP2)에는 각각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가이드 고정돌기들(GP)이 구비되고, 가이드 고정돌기들(214)이 고정레일(110)에 형성된 결합홀들에 삽입됨으로써, 고정 몸체(210)의 위치가 정렬 및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부들(SP1, SP2)의 상단에는 'ㄱ'자 형태의 덮개부가 연결되어 고정 몸체(210) 양측 단부에 제1 스프링 수용부들(21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링 부재(340)는 제1 스프링 수용부(216)의 하측에서 덮개부 내로 삽입되며, 각각의 제1 스프링 수용부들(216)의 일단에는 제1 스프링 부재(340)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제1 스프링 고정부(217)가 구비된다. 제1 스프링 수용부(216)는 제1 스프링 부재(340)의 일 단부를 고정시킴과 더불어 제1 스프링 부재(340)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0)는 고정 몸체(210)의 개방된 일 측면에 인접한 일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이동 부재(3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부(220)의 양 측부에는 제1 이동 부재(310)의 제1 이동 몸체(312)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1 결합턱(221)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작동 부재(320)의 하부 돌기(326)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의 경로로 이용되는 가이드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2)은 제1 가이드부(2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직선 이동홈(222a), 직선 이동홈(222a)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형성된 제1 절곡홈(222b), 및 직선 이동홈(222a)의 타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절곡 형성된 제2 절곡홈(222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절곡홈(222b)은 열림 방향(A) 쪽에 위치하고, 제2 절곡홈(222c)은 닫힘 방향(B) 쪽에 위치하며, 직선 이동홈(222a)의 일측과 타측은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한다. 제1 절곡홈(222b)은 직선 이동홈(222a)의 길이 방향과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도록 구부러지며, 제2 절곡홈(222c)은 직선 이동홈(222a)의 길이 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0)의 상부에는 직선 이동홈(222a)과 제2 절곡홈(222c)이 연결되는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지지돌기(224)가 구비될 수 있다. 직선 이동홈(222a)을 따라 닫힘 방향(B)으로 이동하는 하부 돌기(326)는 지지돌기(224)에 의해 저지되며, 이에 따라 이동레일(150)의 이동 또한 저지될 수 있다. 한편, 지지돌기(224)에 의해 고정된 이동레일(150)의 위치는 서랍(20)이 완전 폐쇄된 상태일 때의 위치에 해당될 수 있다(도 8 참조).
제1 절곡홈(222b)은 이동레일(150)이 닫힘 방향(B)으로 이동하기 전이나 이동레일(150)이 열림 방향(A)으로 이동한 후에 작동 부재(320)의 하부 돌기(326)를 걸림 또는 체결시킴으로써 신장된 제1 스프링 부재(340) 및 제1 이동 부재(3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직선 이동홈(222a)은 제1 절곡홈(222b)과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어 하부 돌기(326)의 슬라이딩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제2 절곡홈(222c)은 지지돌기(224)의 의해 고정된 하부 돌기(326)가 푸쉬 동작에 의해 도피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30)는 고정 몸체(210)의 가이드 수용홈(210h) 내에 구비되어, 제2 이동 부재(3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부(230)는 평면적으로 제1 바닥부(BP1)와 제2 바닥부(BP2)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부(SP3)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 가이드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가이드부(230)는 제1 가이드부(220)와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구비되며, 제2 가이드부(230)의 상부 측벽에는 제2 이동 부재(330)의 제2 이동 몸체(332)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턱(2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부(230)는 제1 가이드부(220)다 높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가이드부(230)는 제1 가이드부(220) 보다 더 큰 높이 또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30)는 하부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내부 공간에는 완충 부재(400)의 실린더 부재(41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부(230)는 제2 스프링 부재(350)들(350)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면이 만입된 상부 만입홈들(232)이 구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이동 부재(310)는 제1 가이드부(2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1 가이드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이동 부재(310)는 제1 가이드부(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이동 몸체(312) 및 제1 이동 몸체(312) 양측에 구비되는 제2 스프링 수용부들(3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 몸체(312)의 하부에는 제1 가이드부(220)의 제1 걸림턱(221)과 맞물려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이동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스프링 수용부들(314)은 제1 스프링 수용부들(216)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스프링 수용부들(314)의 각각은 제1 스프링 부재(340)의 타 단부가 하측에서 고정 결합되는 제2 스프링 고정부(315)를 포함하며, 제1 스프링 부재(340)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 몸체(312)의 상부에는 제2 스프링 부재들(350)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제3 스프링 고정부들(316)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스프링 수용부들(314)의 단부에는 돌출부들(318)이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들(318)은 제1 이동 부재(310)가 중간레일(130)과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 스프링 수용부들(314)로부터 열림 방향(A)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작동 부재(320)는 제1 이동 몸체(312)에 결합되며, 이동레일(150)의 걸림 부재들(152, 154)과의 걸림 또는 체결을 통해 이동레일(150)과 제1 이동 부재(310)의 슬라이딩 이동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작동 부재(320)는 판상형의 작동 몸체(322), 작동 몸체(322) 상부면 상에 구비되는 상부 돌기(324) 및 작동 몸체(322)의 하부면 상에 구비되는 하부 돌기(32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돌기(326)는 가이드홈(222) 내에 삽입되며, 제1 이동 부재(310)와 이동레일(15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제1 절곡홈(222b) 내에서 직선 이동홈(222a)을 거쳐 제2 절곡홈(222c)까지 혹은 그 반대의 경로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돌기(326)의 이동 동안, 작동 부재(330)는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도 6의 325 참조).
상부 돌기(324)는 이동레일(150)의 걸림 부재들(152, 154, 도 7 내지 도 10 참조)과 걸림(혹은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돌기(324)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며 이격 형성되어 걸림부재 이동로를 형성하는 제1 상부 돌기(324a) 및 제2 상부 돌기(324b)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동작 시(구체적으로, 자동폐쇄 또는 소프트 클로징 동작 시) 제1 걸림 부재(152)가 제1 상부 돌기(324a)와 걸림 또는 체결되고, 인출동작 시(구체적으로, 푸쉬-오픈 동작 후 서랍(20)의 개방 시) 제2 걸림 부재(154)가 제1 상부 돌기(324a)와 걸림 또는 체결되어, 이동레일(150)과 제1 이동 부재(310)의 슬라이딩 이동이 일체화될 수 있다. 이동레일(150)의 걸림 부재들(152, 154)은 핀 또는 사각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동레일(150)의 걸림 부재들(152, 154)과 작동 부재(320)의 걸림(체결) 또는 해제의 결합 관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다른 예로, 이동레일(150)의 걸림 부재들(152, 154)이 걸림부재 이동홈을 구비한 형태로 구현되면, 작동 부재(320)의 상부 돌기(324)는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이동 부재(330)는 제2 가이드부(2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 가이드부(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동 부재(330)는 제2 가이드부(2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이동 몸체(332) 및 제2 이동 몸체(332)의 일측 단부로부터 제2 가이드부(23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지지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 몸체(332)이 하부에는 제2 가이드부(230)의 제2 걸림턱(231)과 맞물려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이동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 몸체(332)에는 제2 스프링 부재(350)의 타 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제4 스프링 고정부들(336)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4 스프링 고정부들(336)은 레일 지지부(334)에 형성될 수도 있다.
레일 지지부(334)는 푸쉬-오픈 동작 시 닫힘 방향(B)으로 이동하는 이동레일(150)을 지지하여 이동레일(150)과 함께 닫힘 방향(B)으로 제2 이동 부재(330)를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제2 스프링 부재(350)를 신장시켜 열림 방향(A)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푸쉬 동작에 따라 가압된 힘이 해제되면, 제2 스프링 부재(350)가 수축되고, 이에 따라 레일 지지부(334)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레일(150)이 열림 방향(A)으로 이동되어 서랍(20)이 부분 개방될 수 있다.
제1 스프링 부재(340)는 고정 몸체(210)와 제1 이동 부재(310) 사이에 연결된다. 즉, 제1 스프링 부재(340)이 일 단부는 고정 몸체(210)의 제1 스프링 고정부(217)가 결합되고, 타 단부는 제1 이동 부재(310)의 제2 스프링 고정부(315)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스프링 부재(340)는 제1 이동 부재(310)와 이동레일(150)과 함께 열림 방향(A)으로 이동될 때 신장되어 인장력을 부여받고, 제1 이동 부재(310)가 이동레일(150)과 함께 닫힘 방향(B)으로 이동될 때 수축되어 서랍(20)을 자동폐쇄 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스프링 부재(350)는 제1 이동 부재(310)와 제2 이동 부재(330) 사이에 연결된다. 즉, 제2 스프링 부재(350)의 일 단부는 제1 이동 부재(310)의 제3 스프링 고정부(316)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제2 이동 부재(330)의 제4 스프링 고정부(336)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프링 부재(350)는 서랍(20)이 폐쇄된 위치에서 푸쉬 동작에 의해 이동레일(150)이 닫힘 방향(B)으로 이동될 때 신장되어 인장력을 부여받고, 가압된 힘이 해제되는 경우 수축되어 제2 이동 부재(330)와 함께 이송레일(150)을 열림 방향(A)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서랍(20)을 개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프링 부재들(340, 350)의 각각은 양 단부의 인접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테이퍼형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제2 스프링 부재(350)는 제1 스프링 부재(34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더 큰 권수(감는 횟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쉬 동작 시 가압된 힘이 해제되는 경우 제2 스프링 부재(350)의 강한 복원력으로 서랍(20)이 자동 개방 가능할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제1 스프링 부재(340)의 신축 동작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 부재(400)는 제1 스프링 부재(340)의 수축을 조절하여, 스프링이 원상태로 천천히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완충 부재(400)는 스프링의 수축 작용을 약화시켜 제1 스프링 부재(340)의 수축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레일(150)이 흔들리거나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완충 부재(400)는 제2 가이드부(230)의 내부 공간에 수용 결합되는 실린더 부재(410) 및 일단이 실린더 부재(410)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이동 부재(310)의 제1 이동 몸체(312)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420)는 제1 이동 부재(31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실린더 부재(410)와 제1 이동 부재(310) 사이를 왕복운동 할 수 있다. 실린더 부재(410)의 내부에는 제1 스프링 부재(340)의 신축 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유압유체 또는 가스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스프링 부재(340)를 통해 연결된 고정 몸체(210)와 제1 이동 부재(310) 그리고, 제2 스프링 부재(350)를 통해 연결된 제1 이동 부재(310)와 제2 이동 부재(330)를 포함하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동레일(150)의 이동에 따라 자동폐쇄 및 푸쉬-오픈의 두 가지 기능을 모두 구현하면서도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1)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1)의 작동 방법에 대해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참고로, 도 7 내지 도 10에는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1)의 고정레일(110)과 이동레일(150)은 단순화하여 도시하였으며, 중간레일(130)과 제1 및 제2 리테이너들(120, 140)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그리고, 걸림부재들(152, 154)은 이동레일(150)의 안쪽(고정레일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되어서 보이지 않으나 편의상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7는 이동레일(150)이 인출상태(즉, 서랍(20)이 개방된 상태)에서 인입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며, 이 때 제1 이동 부재(310)는 닫힘 방향(B)에 인접한 제1 가이드부(220) 상의 일 단부로 이동되어 있고, 제1 스프링 부재(340)는 신장되어 인장력이 부가된 상태에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작동 부재(320)의 하부 돌기(326)는 제1 절곡홈(222b)에 위치하여 제1 이동 부재(3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레일(150)의 걸림 부재들(152, 154)은 닫힘 방향(B)으로 이동레일(150)과 제1 이동 부재(310)의 이동을 일체화시키는 제1 걸림 부재(152)와, 열림 방향(A)으로 이동레일(150)과 제1 이동 부재(310)의 이동을 일체화시키는 제2 걸림 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 부재(152) 및 제2 걸림 부재(154)는 이동레일(15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핀 또는 사각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걸림 부재들(152, 154)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걸림 부재(154)는 이동레일(15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걸림 부재(152)는 제2 걸림 부재(154)로부터 열림 방향(A)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 부재(152)와 제2 걸림 부재(154)는 폭 방향으로도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제1 걸림 부재(152)의 직선 이동 경로 상에 제1 상부 돌기(324a)가 위치하고, 이에 따라 이동레일(150)이 닫힘 방향(B)으로 이동하면서, 제1 걸림 부재(152)는 제1 상부 돌기(324a)와 맞물려 작동 부재(320)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 부재(152)가 제1 상부 돌기(324a)와 걸림 또는 체결되기 전에 이동레일(150)의 단부가 레일 지지부(334)와 접한다.
도 8은 이동레일(150)이 닫힘 방향(B)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의 상태에서 이동레일(150)이 제1 걸림 부재(152)가 제1 상부 돌기(324a)와 걸림될 수 있도록 소정 범위로 인입되면, 제1 절곡홈(222b)에 위치한 하부 돌기는(326) 걸림 해제되어 직선 이동홈(222a) 상에 위치하게 되고, 제1 스프링 부재(34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레일(150)과 제1 이동 부재(310)는 일체화되어 닫힘 방향(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서랍(20)이 자동폐쇄 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직선 이동홈(222a)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돌기는(326) 지지돌기(224)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며, 제1 스프링 부재(340)는 원상태로 전부 복귀된 것은 아니다. 이동레일(150)의 이동에 따라 제2 이동 부재(330) 또한 닫힘 방향(B)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스프링 부재(350)에는 인장력이 부가된다. 이 때, 제1 걸림 부재(152)는 제1 상부 돌기(324a)와 제2 상부 돌기(324b)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제1 및 제2 스프링 부재들(340, 350)의 탄성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이동레일(150)이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과정에서, 완충 부재(400)는 제1 스프링 부재(340)의 수축을 조절하여 이동레일(150)이 천천히 닫힘 방향(B)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푸쉬 동작에 따라 도 8의 상태에서 닫힘 방향(B)으로 이동레일(150)이 더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푸쉬 동작을 위해 닫힘 방향(B)으로 힘이 가해지면, 지지돌기(224)에 의해 지지되던 하부 돌기는(326) 제2 절곡홈(222c)으로 이동하게 되고, 작동 부재(320)는 회전 이동하여 제1 걸림 부재(152)가 제2 상부 돌기(324b)와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제1 스프링 부재(340)는 전부 수축되어 원상태로 돌아간 반면, 제2 스프링 부재(350)는 제2 가이드부(230) 상에서 최대로 신장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가압된 힘이 해제되어, 제2 스프링 부재(350)가 탄성 복원력에 따라 수축되고, 이에 따라 레일 지지부(334)의 의해 지지되는 이동레일(150)이 열림 방향(A)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의 상태에서 서랍(20)은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 부재(154)의 직선 이동 경로 상에 제1 상부 돌기(324a)가 위치되고, 서랍(20)의 완전 개방을 위해 이동레일(150)이 열림 방향(A)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걸림 부재(154)와 제1 상부 돌기(324a)의 맞물림에 의해 제1 이동 부재(310)가 도 7의 상태가 될 때까지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스프링 부재(340)는 신장되어 인장력이 부가된 상태에 있고, 하부 돌기는(326) 제2 절곡홈(222c)으로부터 직선 이동홈(222a)을 거쳐 제1 절곡홈(222b)으로 이동하여 제1 이동 부재(31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 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에 따라, 자동폐쇄 동작 및 푸쉬-오픈 동작이 반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10: 수납본체
20: 서랍 100: 레일 구조체
110: 고정레일 130: 중간레일
150: 이동레일 200: 가이드 부재
310: 제1 이동 부재 320: 작동 부재
330: 제2 이동 부재 340: 제1 스프링 부재
350: 제2 스프링 부재 400: 완충 부재
500: 슬라이딩 제어장치

Claims (7)

  1. 수납본체에 형성된 수용공간 내로 서랍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장치로서,
    상기 수납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
    상기 서랍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
    상기 고정레일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고, 상기 이동레일이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중간레일; 및
    상기 고정레일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서랍의 인입동작 및 인출동작을 제어하는 슬라이딩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제어장치는:
    상기 고정레일의 내측 일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일 측면이 개방된 가이드 수용홈을 구비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개방된 일 측면에 인접한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 수용홈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동 부재;
    상기 제1 이동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레일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 부재들과 걸림 또는 체결을 통해 상기 이동레일과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일체화시키는 작동 부재;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동 부재;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제1 이동 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이동 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들의 일 단부들을 연결하는 제3 측면부,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부들의 하단과 연결되는 바닥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들의 상단에 'ㄱ'자 형태의 덮개부가 연결되어 형성된 제1 스프링 수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이동 몸체, 및 상기 제1 이동 몸체 양측에 구비되는 제2 스프링 수용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프링 수용부들 각각의 일 단부에는 상기 제1 스프링 부재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하는 제1 스프링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프링 수용부들 각각의 일 단부에는 상기 제1 스프링 부재의 타 단부가 고정 결합하는 제2 스프링 고정부가 구비되는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이동 몸체, 및 상기 제2 이동 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이동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스프링 부재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하는 제3 스프링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이동 몸체의 상부 또는 상기 레일 지지부에는 상기 제2 스프링 부재의 타 단부가 고정 결합하는 제4 스프링 고정부가 구비되는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직선 이동홈, 상기 직선 이동홈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형성된 제1 절곡홈, 및 상기 직선 이동홈의 타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절곡 형성된 제2 절곡홈을 포함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직선 이동홈과 상기 제2 절곡홈이 연결되는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재는,
    판상형의 작동 몸체, 상기 작동 몸체의 상부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 부재들과 걸림 또는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돌기, 및 상기 작동 몸체의 하부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 내에 삽입되는 하부 돌기를 포함하는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돌기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며 이격 형성되어 걸림부재 이동로를 형성하는 제1 상부 돌기 및 제2 상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의 걸림 부재들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 걸림 부재 및 제2 걸림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걸림 부재는 상기 이동레일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걸림 부재는 상기 제2 걸림 부재로부터 상기 서랍의 인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서랍의 인입동작 시 상기 제1 걸림 부재와 상기 제1 상부 돌기가 걸림 또는 체결되어 상기 이동레일과 상기 제1 이동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일체화시키고,
    상기 서랍의 인출동작 시 상기 제2 걸림 부재와 제1 상부 돌기가 걸림 또는 체결되어 상기 이동레일과 상기 제1 이동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일체화시키는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돌기가 제1 절곡홈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상기 인출 방향에 인접한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 단부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스프링 부재는 신장되어 인장력이 부가되고,
    상기 제1 걸림 부재가 상기 제1 상부 돌기와 걸림되는 범위로 상기 이동레일이 인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절곡홈에 위치한 상기 하부 돌기는 걸림 해제되어 상기 직선 이동홈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스프링 부재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축됨에 따라 상기 직선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하부 돌기가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이동이 저지될 때까지 상기 이동레일과 상기 제1 이동 부재가 일체화되어 상기 서랍의 인입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서랍이 자동폐쇄 되는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돌기가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이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이 가압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인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하부 돌기는 상기 제2 절곡홈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레일을 지지하는 상기 레일 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스프링 부재가 신장되고,
    상기 가압된 힘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2 스프링 부재의 수축에 따라 상기 레일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인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서랍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KR1020200109832A 2020-08-31 2020-08-31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KR10239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832A KR102395125B1 (ko) 2020-08-31 2020-08-31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832A KR102395125B1 (ko) 2020-08-31 2020-08-31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397A KR20220030397A (ko) 2022-03-11
KR102395125B1 true KR102395125B1 (ko) 2022-05-09

Family

ID=8081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832A KR102395125B1 (ko) 2020-08-31 2020-08-31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1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4644A (zh) 2018-06-13 2018-10-12 肇庆市维德亚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用于宽度为45厘米的滑轨的双弹簧缓冲器
CN208972974U (zh) 2018-06-13 2019-06-14 肇庆市维德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宽度为45厘米的滑轨的自弹缓冲器
CN110301770A (zh) 2018-03-27 2019-10-08 广东星鹏实业有限公司 一种弹压回拉驱动件及滑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565B1 (ko) * 2006-03-27 2012-03-28 박윤식 복식 스프링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KR101955887B1 (ko) * 2017-02-28 2019-03-11 (주)세고스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1770A (zh) 2018-03-27 2019-10-08 广东星鹏实业有限公司 一种弹压回拉驱动件及滑轨
CN108634644A (zh) 2018-06-13 2018-10-12 肇庆市维德亚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用于宽度为45厘米的滑轨的双弹簧缓冲器
CN208972974U (zh) 2018-06-13 2019-06-14 肇庆市维德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宽度为45厘米的滑轨的自弹缓冲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397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619B2 (en) Automatic closing apparatus
KR101398126B1 (ko) 서랍용 슬라이드 장치
JP4895317B2 (ja) 引込装置
KR101453700B1 (ko) 인입 장치
US6824233B2 (en) Track device for drawers
US8079653B2 (en) Sliding track assembly
KR101114477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슬라이딩 장치
US9795216B1 (en) Driving mechanism and driving method for furniture parts
US20090189499A1 (en) Rail assembly
JP2008515524A (ja) スライド用自動閉鎖装置及び該装置が取り付けられたスライド
KR100537017B1 (ko)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KR20110104958A (ko) 자동 수축 장치 및 풀-아웃 가이드
KR102395125B1 (ko)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JP3180645U (ja) 両方向引出しスライドレール及びそれを用いる引出し構造体
KR20100006176A (ko)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JP2007203079A (ja) 両側に引き出し可能な引き出し部材のための引き込みおよび緩衝装置
KR100798453B1 (ko) 가구용 오토클로져
RU25978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тягивания подвижной детали мебели в среднее положение
KR101056922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폐쇄장치
JP6978527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US10021978B1 (en) Clutch for furniture parts
KR100890902B1 (ko)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KR102646029B1 (ko) 슬라이드 모듈
KR20210004644A (ko) 슬라이드 장치
KR101129569B1 (ko) 우연적인 해제가 방지되는 이동핀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