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101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101B1
KR102395101B1 KR1020200008897A KR20200008897A KR102395101B1 KR 102395101 B1 KR102395101 B1 KR 102395101B1 KR 1020200008897 A KR1020200008897 A KR 1020200008897A KR 20200008897 A KR20200008897 A KR 20200008897A KR 102395101 B1 KR102395101 B1 KR 102395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pstick
ultraviolet rays
irradiated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967A (ko
Inventor
신호준
최용욱
이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0000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101B1/ko
Priority to CN202022764836.2U priority patent/CN215873765U/zh
Priority to JP2021000085U priority patent/JP3231273U/ja
Publication of KR2021009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967A/ko
Priority to KR1020210156043A priority patent/KR102395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23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립스틱이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내부에 장착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립스틱에 대해 살균 기능을 갖는 제1램프; 및 표시 기능을 갖는 제2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램프는 상기 뚜껑을 닫을 때 동시에 일정 시간 동안 켜졌다가 꺼지고, 상기 제2램프는 외부에서 상기 제1램프의 작동 여부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의 작동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부분뿐만 아니라 직접 조사되지 않은 부분에도 간접 조사되도록 하여 립스틱의 노출되는 모든 부분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살균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화장을 통해 자신을 아름답게 가꾸고자 하는 욕망이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피부를 포함하여 머리, 손톱, 입술 등을 다양한 방식으로 화장함으로써 만족도를 느낀다.
특히 입술의 경우, 붉은 색 계통으로 화장하여 얼굴에서 입술이 도드라져 보이도록 하는 화장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사람들은 립스틱이나 립글로즈 등을 이용하여 입술을 화장하게 된다. 이때 립스틱 등은 입술에 색상을 입혀 입술을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면서도 입술이 건조해져서 갈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립스틱은 기본적으로 통 형태의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며, 사용자가 용기의 하단부를 회전시키면, 립스틱이 상승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립스틱을 이용하여 입술 화장을 완료한 뒤, 용기의 하단부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립스틱이 하강하여 내부에 보관되도록 한다.
그런데 립스틱을 입술에 접촉한 상태로 조성물을 바르면 사용자의 입술에 서식하던 미생물 및 세균이 립스틱으로 이동하여 립스틱을 오염시키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용기 내부에서 유해균이 번식하여 조성물을 부패시킬 뿐만 아니라 오염된 것을 모르고 사용한 사용자의 입술 및 그 주변이 감염되는 등 사용자의 피해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살균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가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 기능 제품의 경우 자외선이 조사되는 립스틱의 상단 부분은 유해균의 살균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없으나,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측면 부분의 경우 유해균을 살균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살균램프가 용기 내부에 내장되어 있어 뚜껑을 닫을 시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배터리의 방전 또는 살균램프의 고장으로 살균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유해균의 번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의 작동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살균램프로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립스틱의 상단 부분뿐만 아니라 직접 조사되지 않은 측면 부분에도 간접 조사되도록 하여 보관 시에 립스틱의 노출되는 모든 부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펀지팁과 같은 화장도구가 뚜껑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화장도구와 립스틱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립스틱이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내부에 장착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립스틱에 대해 살균 기능을 갖는 제1램프; 및 표시 기능을 갖는 제2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램프는 상기 뚜껑을 닫을 때 동시에 일정 시간 동안 켜졌다가 꺼지고, 상기 제2램프는 외부에서 상기 제1램프의 작동 여부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제1램프가 실장되고 하부를 구성하는 제1회로기판;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램프가 실장되고 상부를 구성하는 제2회로기판;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에 마련되며 상기 제1,2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및 상기 제1회로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뚜껑을 닫을 때 상기 하부 케이스의 테두리에 닿아 전원이 온 상태가 되게 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램프로부터의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상기 립스틱의 측면부에 자외선이 간접 조사되도록 하는 자외선 반사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반사 수단은, 상기 제1램프가 중심에 위치되고, 상기 제1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반사하여 상기 립스틱의 측면에 간접 조사될 수 있는 각도를 이루는 접시형 반사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반사 수단은, 상기 제1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반사하여 상기 립스틱의 측면에 간접 조사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원통형 반사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반사 수단은, 상기 제1램프의 발광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1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퍼짐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원통형 반사체로 자외선을 보내는 오목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립스틱이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단부를 밀폐를 덮개를 포함하는 뚜껑; 상기 덮개에 부착되는 화장도구;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립스틱에 대해 살균 기능을 갖는 제1램프; 및 상기 뚜껑을 닫을 때 상기 제1램프와 동시에 일정 시간 동안 켜졌다가 꺼지며, 상기 화장도구에 대해 살균 기능을 갖는 제3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살균 기능을 갖는 제1램프와 동시에 켜지고 꺼지는 표시 기능을 갖는 제2램프를 투명재질의 덮개 쪽에 배치되도록 발광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램프의 작동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립스틱의 상단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나의 제1램프를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에 수용 보관되는 립스틱의 측면 부분에도 제1램프로부터의 자외선이 간접 조사될 수 있도록 자외선 반사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제1램프로도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립스틱의 상단 부분뿐만 아니라 직접 조사되지 않은 측면 부분에도 자외선이 간접 조사될 수 있어, 보관 시에 립스틱의 노출되는 모든 부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살균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발광 모듈의 상부에 살균 기능을 갖는 제1램프를 설치하고 발광 모듈의 하부에 살균 기능을 갖는 제3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스펀지팁과 같은 화장도구가 뚜껑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화장도구와 립스틱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구성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USB 포트 충전 수단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도 13 및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반사 수단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절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배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구성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USB 포트 충전 수단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 도 13 및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반사 수단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품 용기(1)가 하단부를 회전시키면 립스틱(LS)이 상승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립스틱(LS)이 하강하여 내부에 보관되는 립스틱 용기일 경우를 설명하지만,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이 노즐팁, 브러시, 퍼프 등 다양한 화장품 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베이스(2), 하부 케이스(4), 상부 케이스(5), 덮개(6), 모듈 케이스(7), 발광 모듈(8)을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2)와 하부 케이스(4)는 립스틱(LS)을 고정 및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1)의 본체일 수 있고, 상부 케이스(5)와 덮개(6)는 이러한 본체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일 수 있다.
베이스(2)는, 화장품 용기(1)의 하단부를 이루며, 립스틱(LS)이 결합된 홀더(3)가 수용되고, 하부 케이스(4)와 연결되어 회전 방향 전환을 통해 홀더(3)가 승하강되도록 한다.
하부 케이스(4)는, 내부에 립스틱(LS)을 수용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베이스(2)에 결합되어 베이스(2)의 회전에 따라 립스틱(LS)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부 케이스(4)는 안내관(41)과 회전관(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내관(41)은, 원통형상이며, 안내관(41)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된 홀더(3)의 승강돌기가 위치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안내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안내관(41)은 베이스(2)를 회전하게 되면 안내슬릿을 따라 홀더(3)가 승하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관(42)은, 안내관(41)의 안내슬릿 외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나선홈에는 안내관(41)의 안내슬릿에 관통된 홀더(3)의 승강돌기가 위치하여 회전관(42)을 회전시키면 홀더(3)의 승강돌기가 안내관(41)의 안내슬릿내에서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상부 케이스(5)는, 베이스(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4)를 수용하고, 후술할 발광 모듈(8)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케이스(5)는, 상단부를 덮개(6)로 밀폐함에 의해 보관 시에 립스틱(LS)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뚜껑 역할을 한다.
덮개(6)는, 결합부(61)에 의해 상부 케이스(5)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케이스(5)의 상단부를 밀폐하고, 후술할 발광 모듈(8)을 상부 케이스(5)에 장착 및 유지 보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덮개(6)는,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석영 유리와 같은 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면에 로고 등의 장식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덮개(6)는 확산판(6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확산판(62)은, 덮개(6)의 하단에 구비되어 발광 모듈(8)의 제2램프(88b)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퍼짐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덮개(6)의 상면 로고가 선명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한다.
모듈 케이스(7)는, 후술할 발광 모듈(8)의 하우징으로서 상부 케이스(5)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케이스(7)는, 상부 케이스(5)의 덮개(6)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5)의 상측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이후 덮개(6)를 덮어 고정될 수 있다. 모듈 케이스(7)는 상면부가 상부 케이스(5)의 상단과 동일 레벨이 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발광 모듈(8)은, 모듈 케이스(7)에 의해 상부 케이스(5)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살균 기능을 갖는 제1램프(88a)에 의해 립스틱(LS)을 살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램프(88a)의 작동 여부를 표시 기능을 갖는 제2램프(88b)에 의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램프(88a)와 제2램프(88b)는, 회로기판(81, 82)에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실장되어 배터리(83, 8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스위치(87)의 작동에 의해 온/오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핀(P)과 연결홀(H)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회로기판(81, 82)이 적층된 구조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며, 이때 발광 모듈(8)의 하부를 이루는 제1회로기판(81)에는 제1램프(88a), 제1배터리(83), 스위치(87)가 실장되고, 발광 모듈(8)의 상부를 이루는 제2회로기판(82)에는 제2램프(88b), 제2배터리(84)가 실장될 수 있다.
제1,2회로기판(81, 82)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캐패시터(C), 회로 보호를 위한 다수의 저항(R), 전원 생성이나 전달을 위한 다수의 챠지 펌프(CP) 그리고 발광 모듈(8)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MCU)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외에 발광 모듈(8)의 다양한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회로 관련 구성들이 자유롭게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인 바, 여기서는 제1,2회로기판(81, 82)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회로 구성은 적어도 스위치(87)가 작동 온 상태가 되었을 때, 제1램프(88a)와 제2램프(88b)가 동시에 켜지게 되고, 이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0초 경과 후에 자동으로 꺼지게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램프(88a)는, 살균 기능을 갖는 UV LED (UV-C) 램프일 수 있으며, 립스틱(LS)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제1회로기판(81)의 중앙 부위에 하나가 실장 된다. 립스틱(LS)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1)의 크기는 사용적인 측면에서 한정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제1회로기판(81)의 공간 역시 한정되어 제1램프(88a)를 다수 설치하는데 제약이 따라 본 실시예서는 하나만 실장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램프(88a)는 자외선이 잘 투과될 수 있는 투명 재질, 예를 들어 석영 유리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 보호판(89)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제2램프(88b)는, 일반 LED 램프일 수 있으며, 제1램프(88a)와 동시에 켜지고 꺼질 수 있고, 조사되는 광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덮개(6) 측에 배치되는 제2회로기판(82)에 적어도 하나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를 도 8과 같이 구성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는, 입력부(100)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00)에서 제1,2구동부(300, 400)를 구동시켜, 제1구동부(300)에 의해 제1램프부(500)가 작동되고, 제2구동부(400)에 의해 제2램프부(600)가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00)는 상기한 스위치(87)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상기한 메인 컨트롤 유닛(MCU)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300)는 도 6에 도시된 2개의 챠지 펌프(CP)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400)는 도 6에 도시된 2개의 챠지 펌프(CP)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램프부(500)는 상기한 제1램프(88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램프부(600)는 상기한 제2램프(8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배터리(83, 84)는, 제1,2회로기판(81, 8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배터리(83)는 제1회로기판(81)에 실장되고, 제2배터리(84)는 제2회로기판(82)에 실장될 수 있다. 제1,2배터리(83, 84)는 제1,2램프(88a, 88b)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할 제3램프(88c)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2배터리(83, 84) 사이에는, 회로기판 고정부(85)가 마련되어 제1,2회로기판(81, 82)을 고정시킬 수 있다. 회로기판 고정부(85)는, 폴리에틸렌 테이프(PE TAPE)일 수 있다.
또한, 제1,2배터리(83, 84)는 배터리 고정부(86)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2배터리(83, 84) 각각은 3V 배터리일 수 있고, 이때 화장품 용기(1)는 6V(3Vx2)의 전압으로 작동될 수 있으나, 이는 실시예일 뿐이고, 용량,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2램프(88a, 88b) 각각은 정해진 시간 동안 예를 들어, 10초 동안 계속 켜져 있을 수도 있고, 점등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다양한 점등 방식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점등 형태일 경우 제1,2배터리(83, 84)의 전력소모 절감 및 제1,2램프(88a, 88b)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한 제1,2배터리(83, 84)는, 배터리 교체 타입 또는 배터리 충전 타입일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 타입일 경우 USB 포트 충전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USB 포트 충전 수단의 일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30a)가 베이스(2)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베이스(2)와 상부 케이스(5)가 맞닿는 부분에 마련된 전기접점(31)이 접촉되어 배터리(83, 84)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USB 포트(30a)가 베이스(2)의 하단부에 마련되므로, 외관상 USB 포트(30a)가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USB 포트 충전 수단의 다른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30b)가 뚜껑의 상면을 이루는 덮개(6)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전기접점(31)과 같은 별도의 연결장치가 불필요하다. 다만, USB 포트(30b)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외관상 USB 포트(30b)를 가리는 장식겸용 캡(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USB 포트 충전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30c)가 뚜껑인 상부 케이스(5)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별도의 전기접점(31)이 노출되어 구비될 필요가 없다. USB 포트(30c)는 외관상 상부 케이스(5)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뚜껑인 상부 케이스(5)를 본체인 베이스(2)의 아래까지 내려오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USB 포트(30c)가 상부 케이스(5)의 하부에 구비되고, 이러한 상부 케이스(5)가 베이스(2)의 아래까지 내려오도록 구성되는 경우, 본 실시예의 베이스(2) 및 상부 케이스(5) 형상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베이스(2) 및 상부 케이스(5)의 형상 대비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USB 포트 충전 수단이 3가지 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위치(87)는, 제1회로기판(81)에 실장될 수 있다. 스위치(87)는, 버튼 식일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5)와 덮개(6)로 이루어지는 뚜껑을 닫으면 하부 케이스(4)의 테두리 부분에 닿아 전원이 온 상태가 되어 제1램프(88a)와 제2램프(88b)가 동시에 켜지게 되고, 이후 타이머가 작동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자동으로 오프 상태가 되어 제1램프(88a)와 제2램프(88b)가 동시에 꺼지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의 테두리에 닿는 스위치(87)의 부분은 하부 케이스(4)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부드러운 감각을 주기 위하여 코팅, 테이핑 등을 통해 마찰력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한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는 2개의 회로기판(81, 82), 2개의 배터리(83, 84)이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회로기판 및 하나의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살균 기능을 갖는 제1램프(88a)와 동시에 켜지고 꺼지는 표시 기능을 갖는 제2램프(88b)를 투명재질의 덮개(6) 쪽에 배치되도록 발광 모듈(8)을 구성함으로써,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램프(88a)의 작동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본 발명의 제1램프(88a)는, 제1회로기판(81)의 공간 제약으로 인해 제1회로기판(81)의 중앙 부분에 하나만 실장된다. 이 경우 립스틱(LS)의 상단 부분은 제1램프(88a)로부터의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어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나, 립스틱(LS)의 측면은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사각지역으로 남아있게 되어 측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안으로 본 실시예는 사각 지역인 립스틱(LS)의 측면에도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는 자외선 반사 수단을 제시하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체(9a, 9b) 및 오목렌즈(10)와 같은 자외선 반사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체(9a)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램프(88a)가 중심에 위치되고, 제1램프(88a)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반사하여 립스틱(LS)의 측면에 간접 조사될 수 있는 각도를 이루는 접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반사체(9b)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램프(88a)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반사하여 립스틱(LS)의 측면에 간접 조사되도록 하부 케이스(4)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목렌즈(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반사체(9b)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1램프(88a)의 발광부분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오목렌즈(10)는, 제1램프(88a)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퍼짐 각도를 조절하여 원통형 반사체(9b)로 자외선을 보낼 수 있다. 이로 인해 원통형 반사체(9b)만 적용하는 경우 대비 립스틱(LS) 측면의 자외선 조사 영역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시형 반사체(9a)와 원통형 반사체(9b)를 조합하여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립스틱(LS)의 상단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나의 제1램프(88a)를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4)에 수용 보관되는 립스틱(LS)의 측면 부분에도 제1램프(88a)로부터의 자외선이 간접 조사될 수 있도록 자외선 반사 수단(9a, 9b, 10)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제1램프(88a)로도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립스틱(LS)의 상단 부분뿐만 아니라 직접 조사되지 않은 측면 부분에도 자외선이 간접 조사될 수 있어, 보관 시에 립스틱(LS)의 노출되는 모든 부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살균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a)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와 대비하여, 베이스(2), 하부 케이스(4)가 동일 또는 유사하고, 화장도구(20)가 더 구비되며, 더 구비되는 화장도구(20)로 인하여 상부 케이스(5a), 덮개(6a), 발광 모듈(8a) 각각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장도구(20)로 인하여 달라지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의 회피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화장도구(20)는, 스펀지팁일 수 있다. 스펀지팁의 화장도구(20)는 덮개(6a)의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덮개(6a)는 상부 케이스(5a)의 상단부를 밀폐할 뿐만 아니라, 화장도구(20)의 일부분으로서의 손잡이 기능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덮개(6)는 상부 케이스(5)를 밀폐하면서 발광 모듈(8)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면, 본 실시예의 덮개(6a)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높이가 연장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발광 모듈(8a)은, 일 실시예의 발광 모듈(8)과 대비하여, 제1회로기판(1)에 제1램프(88a)가 실장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제2회로기판(82)에 실장되는 표시 기능을 갖는 제2램프(88b) 대신에 살균 기능을 갖는 제3램프(88c)가 실장되는 구성이 다를 수 있다.
제3램프(88c)는, 제2회로기판(82)에 실장되어 화장도구(2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제3램프(88c)는 제1회로기판(1)에 실장되는 제1램프(88a)와 동시에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제3램프(88c)는, 화장도구(20)를 용이하게 살균할 수 있도록 화장도구(2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상부 케이스(5a)는 일 실시예의 상부 케이스(5) 대비 전체 길이가 더 늘어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발광 모듈(8a)은 일 실시예의 발광 모듈(8)과 달리 상부 케이스(5a)의 상단부로부터 아래쪽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a)는, 일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에 적용되는 자외선 반사 수단(9a, 9b, 10)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발광 모듈(8a)의 상부에 살균 기능을 갖는 제1램프(88a)를 설치하고 발광 모듈(8a)의 하부에 살균 기능을 갖는 제3램프(88c)를 설치함으로써, 스펀지팁과 같은 화장도구(20)가 뚜껑의 일부인 덮개(6a)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화장도구(20)와 립스틱(LS)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1a: 화장품 용기 2: 베이스
3: 홀더 4: 하부 케이스
41: 안내관 42: 회전관
5, 5a: 상부 케이스 6, 6a: 덮개
61: 결합부 62: 확산판
7: 모듈 케이스 8, 8a: 발광 모듈
81: 제1회로기판 82: 제2회로기판
83: 제1배터리 84: 제2배터리
85: 회로기판 고정부 86: 배터리 고정부
87: 스위치 88a: 제1램프
88b: 제2램프 88c: 제3램프
89: 보호판 9a, 9b: 반사체
10: 오목렌즈 20: 화장도구
30a, 30b, 30c: USB 포트 31: 전기접점
32: 캡
100: 입력부 200: 제어부
300: 제1구동부 400: 제2구동부
500: 제1램프부 600: 제2램프부
LS: 립스틱 C: 캐패시터
R: 저항 CP: 챠지 펌프
MCU: 메인 컨트롤 유닛 P: 연결핀
H: 연결홀

Claims (7)

  1. 내부에 립스틱이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뚜껑;
    상기 립스틱에 대해 살균 기능을 가지며, 상기 립스틱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립스틱의 상면에 자외선을 직접 조사하는 제1램프;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제1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반사하여 상기 제1램프로부터의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상기 립스틱의 측면에 자외선을 간접 조사되도록 하는 원통형 반사체; 및
    상기 제1램프의 발광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1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퍼짐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원통형 반사체로 자외선을 보내는 오목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렌즈는, 상기 원통형 반사체의 개방된 상부 중앙에 1개 설치되고,
    상기 원통형 반사체와 상기 오목렌즈는, 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오목렌즈로부터 보내지는 자외선을 상기 원통형 반사체가 상기 제1램프로 살균할 수 없는 상기 립스틱의 측면으로 간접 조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살균 기능을 갖는 상기 제1램프와, 표시 기능을 갖는 제2램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의 내부에 장착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제1램프가 실장되고 하부를 구성하는 제1회로기판;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램프가 실장되고 상부를 구성하는 제2회로기판;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에 마련되며 상기 제1,2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및
    상기 제1회로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뚜껑을 닫을 때 상기 하부 케이스의 테두리에 닿아 전원이 온 상태가 되게 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램프는,
    상기 뚜껑을 닫을 때 동시에 일정 시간 동안 켜졌다가 꺼지고, 상기 제2램프는 외부에서 상기 제1램프의 작동 여부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램프가 중심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제1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직하방으로 반사하여 상기 제1램프로부터의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상기 립스틱의 상면 가장자리부분까지 자외선이 간접 조사되도록 하는 접시형 반사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삭제
  6. 삭제
  7. 내부에 립스틱이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단부를 밀폐를 덮개를 포함하는 뚜껑;
    상기 덮개에 부착되는 화장도구;
    상기 립스틱에 대해 살균 기능을 가지며, 상기 립스틱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립스틱의 상면에 자외선을 직접 조사하는 제1램프;
    상기 뚜껑을 닫을 때 상기 제1램프와 동시에 일정 시간 동안 켜졌다가 꺼지며, 상기 화장도구에 대해 살균 기능을 갖는 제3램프;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제1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반사하여 상기 제1램프로부터의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상기 립스틱의 측면에 자외선을 간접 조사되도록 하는 원통형 반사체; 및
    상기 제1램프의 발광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1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퍼짐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원통형 반사체로 자외선을 보내는 오목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렌즈는, 상기 원통형 반사체의 개방된 상부 중앙에 1개 설치되고,
    상기 원통형 반사체와 상기 오목렌즈는, 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오목렌즈로부터 보내지는 자외선을 상기 원통형 반사체가 상기 제1램프로 살균할 수 없는 상기 립스틱의 측면으로 간접 조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200008897A 2020-01-22 2020-01-22 화장품 용기 KR102395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897A KR102395101B1 (ko) 2020-01-22 2020-01-22 화장품 용기
CN202022764836.2U CN215873765U (zh) 2020-01-22 2020-11-25 化妆品容器及其盖帽
JP2021000085U JP3231273U (ja) 2020-01-22 2021-01-12 化粧品容器
KR1020210156043A KR102395095B1 (ko) 2020-01-22 2021-11-12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897A KR102395101B1 (ko) 2020-01-22 2020-01-22 화장품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043A Division KR102395095B1 (ko) 2020-01-22 2021-11-12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67A KR20210094967A (ko) 2021-07-30
KR102395101B1 true KR102395101B1 (ko) 2022-05-09

Family

ID=748753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897A KR102395101B1 (ko) 2020-01-22 2020-01-22 화장품 용기
KR1020210156043A KR102395095B1 (ko) 2020-01-22 2021-11-12 화장품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043A KR102395095B1 (ko) 2020-01-22 2021-11-12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31273U (ko)
KR (2) KR102395101B1 (ko)
CN (1) CN21587376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061A1 (ko) * 2022-03-16 2023-09-21 주식회사 엔에프뷰티그룹코리아 스틱타입 화장품 용기의 튜브형 오버캡
KR102484590B1 (ko) * 2022-07-07 2023-01-06 주식회사 엔에프뷰티그룹코리아 스틱타입 화장품 용기의 튜브형 오버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10B1 (ko) * 2006-12-15 2007-08-23 임정원 화장품 케이스
KR101157986B1 (ko) * 2011-03-18 2012-06-25 김상선 살균부를 구비한 분첩이 결합된 화장품 용기
KR101708436B1 (ko) * 2016-08-16 2017-03-09 주식회사 스킨드림 화장용 퍼프 살균장치
KR101838571B1 (ko) * 2017-08-07 2018-03-15 주식회사 정우이엔지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654A (ko) * 2006-02-17 2008-10-23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전원 장치, 발광 제어 장치, 표시 장치
KR20190061290A (ko) * 2017-11-27 2019-06-05 배유진 퍼프 살균이 가능한 교체식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10B1 (ko) * 2006-12-15 2007-08-23 임정원 화장품 케이스
KR101157986B1 (ko) * 2011-03-18 2012-06-25 김상선 살균부를 구비한 분첩이 결합된 화장품 용기
KR101708436B1 (ko) * 2016-08-16 2017-03-09 주식회사 스킨드림 화장용 퍼프 살균장치
KR101838571B1 (ko) * 2017-08-07 2018-03-15 주식회사 정우이엔지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095B1 (ko) 2022-05-09
JP3231273U (ja) 2021-03-25
CN215873765U (zh) 2022-02-22
KR20210094967A (ko) 2021-07-30
KR20210141436A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095B1 (ko) 화장품 용기
US20170086560A1 (en) Cosmetic case
US985554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uring nail gels
KR102054265B1 (ko)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
US20140042341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uring uv fingernail gel with minimal uv exposure
KR101838571B1 (ko) 화장품 용기
KR20170046265A (ko) 자외선 살균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JP2013533172A (ja) 製品を活性化するためのライトを有する定量アプリケータ
KR101893395B1 (ko) 퍼프 살균장치
KR200484063Y1 (ko) 화장품 수납용 기능성 가방
KR102186302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콤팩트
KR20130063326A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가지는 미스트 발생장치
KR101861194B1 (ko) 휴대용 분첩 케이스
CN111904134A (zh) 化妆用粉扑装置及化妆品盒
KR102104486B1 (ko) 자외선 살균 화장품 용기
KR20180133960A (ko) Uv led를 사용한 화장품 도구의 살균기
KR101855917B1 (ko) 퍼프의 오염 확인이 가능한 살균 화장품용기
KR102229197B1 (ko) 자외선 led 및 오존 시스템을 적용한 복합 살균장치
KR102238915B1 (ko) 자외선 led를 이용한 마개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료살균 방법
KR102467085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1951287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CN218075778U (zh) 一种多功能消毒柜
CN212490858U (zh) 高效消毒棒
KR20190129460A (ko) Uv자외선 파운데이션
KR102325889B1 (ko) 퍼프 살균기능 및 조명이 구비된 복합거울 화장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