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457B1 - Aircraft with launch device - Google Patents

Aircraft with launch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457B1
KR102394457B1 KR1020210032967A KR20210032967A KR102394457B1 KR 102394457 B1 KR102394457 B1 KR 102394457B1 KR 1020210032967 A KR1020210032967 A KR 1020210032967A KR 20210032967 A KR20210032967 A KR 20210032967A KR 102394457 B1 KR102394457 B1 KR 102394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xtinguishing agent
fire extinguishing
bal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쿠이 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텍코리아
홍쿠이 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텍코리아, 홍쿠이 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3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4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4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4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by spraying extinguishants from the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5Fire extinguishing bombs; Projectiles and launch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2
    • B64C2201/1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반형 비행체 프레임에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공기 유동 수단이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공기 유동 수단에 포함된 프로펠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건물 유리창 파괴용 발사체를 측면 방향으로 발사 가능한 발사장치를 구비하여, 건물에 화재 등의 재난 발생 시에 화재 진압 기능 및 구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가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vehicle having a laun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ir flow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air are symmetrically arranged in the disc-shaped aircraft frame, and the propeller included in the air flow means is configured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for destroying the building glass window Disclosed is an aircraft equipped with a launch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a fire suppression function and a rescue func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in a building by having a launch device capable of launching a projectile in the lateral direction.

Description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Aircraft with launch device}Aircraft with launch device

본 발명은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반형 비행체 프레임에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공기 유동 수단이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공기 유동 수단에 포함된 프로펠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건물 유리창 파괴용 발사체를 측면 방향으로 발사 가능한 발사장치를 구비하여, 건물에 화재 등의 재난 발생 시에 화재 진압 기능 및 구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having a launch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air flow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air in a disk-shaped aircraft frame are symmetrically arranged, and a propeller included in the air flow means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case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in a building, the launch device is provided with a launch device capable of launching a projectile for breaking the building window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launch device equipped with a launch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a fire suppression function and a rescue function in case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in the building. it's about

프로펠러와 같은 회전 날개를 구비하여 비행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었다. 이러한 무인 비행체는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한 형태로 개량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화재 진압을 위한 부가 기능을 구비한 무인 비행체가 제안된 바 있다. Various type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capable of flying have been proposed with rotating blades such as propellers. Such an unmanned aerial vehicle is being improved in a form hav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for example, an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n additional function for fire suppression has been proposed.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25078 (2018년11월28일 등록)은 초고층건물 화재진압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된 높이까지 날아올라가 분사노즐을 통해 화재현장에 직접 물을 분사함으로, 종래의 소방차에서 물을 분사할 수 없는 높은 층에서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는 드론을 제안하였다. As an example of such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25078 (registered on November 28, 2018) relates to a drone for fire suppression in a high-rise building, which flies up to the height of the fire and provides water directly to the fire site through the spray nozzle. A drone that suppresses fires occurring on high floors that cannot be sprayed with water in a conventional fire engine by spraying was proposed.

종래 기술의 또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6341 (2015년10월30일 등록)는 화재진압용 소방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이동과 비행이동이 자유로우며 중앙 관제 시스템과 연결하여 원거리에서 무인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는 화재진압용 소방드론을 제안하였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66341 (registered on October 30, 2015) relates to a fire drone for fire suppression, which can freely move on the ground and in flight, and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system to be unmanned from a distance. A fire-fighting drone for fire suppression that operates was propos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인 비행체는 프로펠러와 같은 회전 날개가 외부로 노출된 형태이므로 안전사고에 노출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unmanned aerial vehicle as described above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 be exposed to safety accidents because the rotating blades such as propellers are exposed to the outside.

특히, 건물 화재진압용 기능을 갖는 무인 비행체의 경우, 건물에 근접하거나 건물 내로 진입하여 물 또는 소화제를 발사해야 하는데, 외부로 노출된 회전 날개가 건물 벽면 등에 충돌하여 파손되면 적시에 화재 진압이 불가하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 building fire suppression function, water or fire extinguishing agent must be fired by approaching or entering the building. There was a limit to that.

한편, 건물 내부의 화재에 대한 진압 기능 또는 건물 내부의 사람에 대한 구조 기능을 무인 비행체를 통해 제공함에 있어서, 건물의 유리창으로 인해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방해를 받을 수 있는데, 종래의 무인 비행체는 이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방안을 제안하지 못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providing a fire suppression function for a building interior or a rescue function for a person inside a building through an unmanned aerial vehicle, it may be hindered in providing such a function due to the glass window of the building. An effective solution to this problem could not be propose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25078 (2018년11월28일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925078 (Registered on November 28, 201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6341 (2015년10월30일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566341 (Registered on October 30, 20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반형 비행체 프레임에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공기 유동 수단이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공기 유동 수단에 포함된 프로펠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건물 유리창 파괴용 발사체를 측면 방향으로 발사 가능한 발사장치를 구비하여, 건물에 화재 등의 재난 발생 시에 화재 진압 기능 및 구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n which a plurality of air flow means for generating air flow are symmetrically arranged in a disk-shaped aircraft frame, and the propeller included in the air flow means is configured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to provide an aircraft equipped with a launch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a fire suppression function and rescue func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in a building by having a launch device capable of launching a projectile for destroying a building window in the lateral direction.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간격을 갖는 상태로 배치된 외곽체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외곽체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하며, 상하 방향으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 프레임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이 이루는 링 형상의 사이 공간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부에 기초하여 설치되며, 모터로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상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하부로 가압 배출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공기 유동 수단; 및 본체부 일측에 설치된 발사관에 장전된 건물 유리창 파괴용 발사체를 측면 방향으로 발사 가능한 발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가 개시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portion; an outer body portion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disposed in a state having a gap from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connecting frame unit configured to connect and integrally combine the main body and the outer body and allow air to flow in an up-down direction; It is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ring-shaped space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body part, is installed based on the connection frame part, and uses a propeller driven by a motor to move air introduc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 plurality of air flow means configured to be pressurized; and a launch device capable of laterally launching a projectile for destroying a building window loaded in a launch tu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바람직하게, 상기 발사장치는, 본체부 일측에 설치된 발사관과, 전방 측에 충돌체가 구비되고 후방 측에 가스용기가 구비된 화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 장전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용기의 후단부에 외력에 의한 통공 형성 시에 상기 통공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압에 의해 발사관의 전방 측으로 발사되는 발사체와, 상기 발사체의 후방 측에 설치되며 제어 신호 입력 시에 상기 가스용기의 후단부에 외력을 가하여 통공을 형성시키는 발사 조작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launch device has an arrow shape including a launch tu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colliding body on the front side and a gas container on the rear side, and after the gas container is loaded in the canister. When a through hole is formed by an external force at the end, the projectile is launch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canister by the gas pressure e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t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projectile and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rear end of the gas container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and a firing operation mechanism for forming a through hole.

바람직하게, 상기 발사 조작 기구는, 상기 발사관의 최후방 측에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보다 전방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석으로부터 척력을 받는 경우에 상기 발사관 내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이 가능한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전방측에 구비되며 상기 영구자석의 전방 이동 시에 상기 가스용기의 후단부에 외력을 가하여 통공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 통공용 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firing operation mechanism comprises: an electromagnet installed at the rearmost side of the canister; a permanent magnet positioned in front of the electromagnet and capable of moving forward in the canister when receiving a repulsive force from the electromagnet; It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gnet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needle for a hole configured to form a hol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rear end of the gas container when the permanent magnet moves forward.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발사체의 발사 방향으로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vice for discharging an extinguishing agent in the firing direction of the projectile.

바람직하게,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보관용기에 내입된 액상 소화제를 펌프로 가압하여 본체부 일측에 연장 형성된 분사관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 분사 배출 가능한 분사형 소화장치이다. Preferably, the device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may pressurize the liquid fire extinguishing agent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with a pump, and then spray and discharge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the spray pipe exten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t is a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 방향의 배출 방향을 갖도록 설치된 배출관 내부에 수납된 볼(ball) 타입 소화제를 배출제어기구의 제어를 통해 배출 가능한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이다. Preferably, the device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a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capable of discharging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stored in the discharge pipe installed to have a side discharge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control of the discharge control mechanism. it is an exhaust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볼 타입 소화제를 내부에 수납하며 상기 볼 타입 소화제가 적어도 자중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측면 방향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배출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 내부에 수납된 상기 볼 타입 소화제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배출 걸림 또는 배출 해제 조작을 하는 배출제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includes: a discharge pip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one or mor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s therein, and installed so that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can be dischar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by at least its own weight; It is install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discharge pip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charge control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ipe.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제어기구는, 상기 배출관의 일지점에서, 상기 볼 타입 소화제의 자중에 의한 이동을 막는 배출 걸림 조작이 되도록 배출관의 내부로 돌출된 제1 상태와, 상기 볼 타입 소화제의 자중에 의한 이동이 가능한 배출 해제 조작이 되도록 배출관의 내부로부터 후퇴한 제2 상태로 변환이 가능한 제1 걸림편과, 상기 배출관의 길이 방향의 또다른 일지점에서, 상기 볼 타입 소화제의 자중에 의한 이동을 막는 배출 걸림 조작이 되도록 배출관의 내부로 돌출된 제1 상태와, 상기 볼 타입 소화제의 자중에 의한 이동이 가능한 배출 해제 조작이 되도록 배출관의 내부로부터 후퇴한 제2 상태로 변환이 가능한 제2 걸림편과,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을 상호 교호적(交互的)으로 각각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변환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discharge control mechanism includes a first state that protrudes into the interior of the discharge pipe so as to be a discharge locking operation that prevents movement by its own weight of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at a point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weight of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under its own weight. At another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ngaging piece and the discharge pipe that can be converted to a second state re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so as to be a discharge release operation that can be moved by A second locking piece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first state that protrudes into the interior of the discharge pipe to become a blocking operation, and a second state that is re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to be a discharge release operation that allows movement by its own weight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a driving mechanism for alternately changing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ieces into a first state or a second state,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관은, 상기 볼 타입 소화제를 상부 측 개구부를 통해 투입하여 내부에 보관하고 측면 방향 개구부를 통해 배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출제어기구의 배출 해제 조작에 의해 배출된 볼 타입 소화제를 더욱 가속시켜 상기 측면 방향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가속배출수단을 구비한다. Preferably, the discharge pipe is installed so that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put in through the upper opening, stored inside, and discharged through the side opening, and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ed by the discharge release operation of the discharge control mechanism is discharged. and an accelerated discharge means for further accelerating and discharging through the lateral opening.

바람직하게, 상기 가속배출수단은, 상기 배출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볼 타입 소화제의 표면에 가압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고 상기 배출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2 이상이 대칭적으로 배치된 가속휠과, 각각의 상기 가속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acceleration discharge means is capable of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in a pressurized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discharge pipe, and at least two or more are symme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pip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heel and a motor driving means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each of the acceleration wheel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는, 공기 유동 수단에 포함된 프로펠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화재 진압 또는 구조 등의 목적을 위해 건물에 안전하게 근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aircraft equipped with the laun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o that the propeller included in the air flow means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safely approach the building for purposes such as fire suppression or rescue.

또한 본 발명의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는, 건물 유리창 파괴용 발사체를 측면 방향으로 발사 가능한 발사장치를 구비하여 건물 내부의 화재에 대한 진압 기능 또는 건물 내부의 사람에 대한 구조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ircraft equipped with the laun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launch device capable of launching a projectile for breaking a building window in the lateral direction, thereby effectively providing a suppression function for fire inside a building or a rescue function for people inside the building.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의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는, 본체부의 일측 방향으로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소방차가 근접하기 어려운 고층 화재 현장에도 용이하게 접근하여 화재 진압 기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ircraft equipped with the laun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vice for discharging the extinguishing agent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it can easily access high-rise fire sites where it is difficult for a fire engine to approach and provide a fire suppression function.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저면 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발췌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발췌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저면 방향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제어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direction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excerpt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excerpt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excerpt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nother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side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technical spirit or main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1st, 2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mprising", "have"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represent the presence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possibility that other elements or features may be present or added. It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저면 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direction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excerpt sectional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is view It is a partial excerpt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본체부(10)와 그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는 외곽체부(20)가 연결 프레임부(30)를 통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본체부(10), 외곽체부(20) 및 연결 프레임부(30)는 경량 탄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히 외곽체부(20)는 비행체(F)의 비행 중 건물에 근접하거나 건물 사이 공간 또는 건물 내부 공간으로 진입 시에 건물 벽면 등에 충돌할 가능성을 감안하여, 내충격성 및 탄성이 좋은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In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outer body portion 20 forming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are coupled through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30 . Preferably, the body portion 10, the outer body portion 20 and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30 may be made of a lightweight e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n particular, the outer body portion 20 is close to the building during the flight of the aircraft (F).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colliding with a building wall or the like when entering the space between buildings or building interior space, it is recommended to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ith good impact resistance and elasticity.

일예로 상기 본체부(10)는 원통 형상 또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or example, the body portion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disk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외곽체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측(10a)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며 상기 본체부(10)의 외측(10a)과 간격을 갖는 상태로 배치된다. The outer body portion 20 forms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10a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is disposed to have a gap with the outer side 10a of the main body portion 10 .

상기 연결 프레임부(30)는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외곽체부(20)를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하며, 상하 방향(U-D)으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nection frame part 30 connects the main body part 10 and the outer body part 20 to be integrally coupled, and is configured to allow air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U-D).

복수의 공기 유동 수단(40)은 상기 본체부(10)의 외측(10a)과 상기 외곽체부(20)의 내측(20a)이 이루는 링 형상의 사이 공간(S)에 본체부(1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총 6개의 공기 유동 수단(40)이 설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9의 실시예의 경우, 변형예로서 총 8개의 공기 유동 수단(40)이 설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The plurality of air flow means 40 is centered on the main body 10 in the ring-shaped space S formed between the outer 10a of the main body 10 and the inner 20a of the outer body 20 . is symmetrically placed. 1 and 2, a case in which a total of six air flow means 40 are installed is illustrate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9, a case in which a total of eight air flow means 40 are installed as a modification is illustrated.

상기 복수의 공기 유동 수단(40)은 상기 연결 프레임부(30)에 기초하여 설치되며, 모터(44)로 구동되는 프로펠러(46)를 이용하여 상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하부로 가압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The plurality of air flow means 40 are installed based on the connection frame part 30, and are configured so tha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upper part is pressurized and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using the propeller 46 driven by the motor 44. .

일예로, 상기 연결 프레임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측(10a)과 상기 외곽체부(20)의 내측(20a)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1 연결 프레임(31)과, 인접하는 제1 연결 프레임(31)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or example, the connection frame part 3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frames 31 arranged to connect the outer side 10a of the main body 10 and the inner side 20a of the outer body unit 20 and ,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frames 32 connecting the adjacent first connection frames 31 .

더욱 상세하게, 상기 연결 프레임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측(10a)과 상기 외곽체부(20)의 내측(20a)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상측 제1 연결 프레임(31-1)과, 인접하는 상측 제1 연결 프레임(31-1)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32)과, 상기 본체부(10)의 외측(10a)과 상기 외곽체부(20)의 내측(20a)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측 제1 연결 프레임(31-1)의 하부에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 복수의 하측 제1 연결 프레임(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more detail, the connection frame unit 30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first connection frames 31 arranged to connect the outer side 10a of the main body 10 and the inner side 20a of the outer body unit 20 . -1),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frames 32 connecting the adjacent upper first connection frames 31-1, and the outer portion 10a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uter body portion 20 It is arranged to connect the inner side 20a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lower first connecting frames 31 - 2 arranged to have a gap under the upper first connecting frame 31-1.

일예로, 상기 공기 유동 수단(40)은 상기 하측 제1 연결 프레임(31-2)에 기초하여 설치된다. For example, the air flow means 40 is installed based on the lower first connection frame 31 - 2 .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상기 외곽체부(20)를 통해 공기 유동 수단(40)이 측면으로 직접 노출되지 않으므로, 비행체(F)의 비행 중 건물에 근접하거나 건물 사이 공간 또는 건물 내부 공간으로 진입 시에 공기 유동 수단(40)의 프로펠러(46)가 건물 벽면 등에 충돌하여 파손될 위험성을 방지한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in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air flow means 40 is not directly exposed to the side through the outer body part 20, it is close to the building during the flight of the aircraft (F) or the space between buildings or When entering the building interior space, the propeller 46 of the air flow means 40 collides with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prevents the risk of damage.

또한,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30)를 통해 공기 유동 수단(4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직접 노출되지 않으므로, 비행체(F)의 비행 중 건물에 근접하거나 건물 내로 진입 시에 공기 유동 수단(40)의 프로펠러(46)가 건물 천장 또는 벽면에 돌출된 각종 구조물에 충돌하여 파손될 위험성을 방지한다. 부호 11은 비행체(F)의 착지용 다리이다. In addition, in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air flow means 40 is not directly exposed to the upper or lower side through the connection frame part 30, when approaching or entering the building during the flight of the aircraft (F) The propeller 46 of the air flow means 40 prevents the risk of being damaged by colliding with various structures protruding from the ceiling or wall of the building.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landing leg of the aircraft (F).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발사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vehicle (F)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aunch device (300).

상기 발사장치(300)는 본체부(10) 일측에 설치된 발사관(310)에 장전된 건물 유리창 파괴용 발사체(320)를 측면 방향으로 발사 가능하다. The launch device 300 is capable of firing a projectile 320 for destroying a building window loaded in a launch tube 31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발사장치(300)는 발사관(310), 발사체(320) 및 발사 조작 기구(330)를 포함한다. The launch device 300 includes a launch tube 310 , a projectile 320 , and a launch manipulation mechanism 330 .

상기 발사관(310)은 본체부(10) 일측에 하나 또는 2 이상이 설치되며, 화재가 발생한 건물 유리창을 향해 발사가 가능하도록 비행체(F)의 전방 측 측면 방향을 향해 설치된다. 또한, 발사관(310)의 설치 방향과 상술한 분사관(106) 및 제2 배출관(204)의 배출 측 설치 방향은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분사관(106) 또는 제2 배출관(204)을 통해 소화제를 배출하기 전에 발사관(310)으로부터 발사된 발사체(320)가 건물 유리창을 파괴하여, 건물 내부로 소화제가 투입될 수 있다. One or two or more of the launch tubes 310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and are install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aircraft F so as to be able to fire toward the glass window of a building where a fire has occurr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firing tube 310 and the installation direction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above-described injection tube 106 and the second discharge tube 204 coincide with each other.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projectile 320 fired from the firing tube 310 before discharging the extinguishing agent through the injection pipe 106 or the second discharge pipe 204 destroys the building glass window, so that the extinguishing agent can be injected into the building. have.

상기 발사체(320)는 전방 측에 충돌체(322)가 구비되고 후방 측에 가스용기(324)가 구비된 화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발사관(310)의 내부에 장전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용기(324)의 후단부(324-1)에 외력에 의한 통공(324a) 형성 시에 상기 통공(324a)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압에 의해 발사관(310)의 전방 측으로 발사된다. The projectile 320 has an arrow shape with a collision body 322 on the front side and a gas container 324 on the rear side, and the gas container 324 in a state loaded inside the launch tube 310 When the through-hole 324a is formed in the rear end 324-1 of the through-hole 324a by an external force, it is fir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canister 310 by the gas pressure ejected through the through-hole 324a.

상기 발사체(320)는 건물 유리창에 충분한 충격력을 줄 수 있도록 적어도 충돌체(322)가 금속재로 구성되거나 경도 및 무게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In the projectile 320 , at least the colliding body 32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hardness and weight so as to give a sufficient impact force to the building glass window.

상기 발사 조작 기구(330)는 상기 발사체(320)의 후방 측에 설치되며 제어 신호 입력 시에 상기 가스용기(324)의 후단부(324-1)에 외력을 가하여 통공(324a)을 형성시킨다. The firing operation mechanism 330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projectile 320 and forms a through hole 324a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rear end 324-1 of the gas container 324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발사 조작 기구(330)는, 상기 발사관(310)의 최후방 측에 설치된 전자석(332)과, 상기 전자석(332)보다 전방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석(332)으로부터 척력을 받는 경우에 상기 발사관(310) 내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이 가능한 영구자석(334)을 포함한다. In more detail, the firing operation mechanism 330 includes an electromagnet 332 installed at the rearmost side of the firing tube 310, and is located in front of the electromagnet 332 and receives a repulsive force from the electromagnet 332. and a permanent magnet 334 capable of moving forward in the canister 310 .

또한 상기 발사 조작 기구(330)는, 상기 영구자석(334)의 전방측에 구비되며 상기 영구자석(334)의 전방 이동 시에 상기 가스용기(324)의 후단부(324-1)에 외력을 가하여 통공(324a)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 통공용 침(336)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ring operation mechanism 33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permanent magnet 334 and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rear end 324-1 of the gas container 324 when the permanent magnet 334 moves forward. and an aperture needle 336 configured to apply the aperture 324a.

도 4를 참조하면, 발사관(310)의 내부 격벽에는 통공용 침(336)이 통과하여 상기 가스용기(324)의 후단부(324-1)에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관통공(310a)이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through-hole 310a is formed in the internal partition of the firing tube 310 so that a through-hole needle 336 passes to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rear end 324-1 of the gas container 324. has been

도 4의 (a) 상태에서 영구자석(334)은 초기 세팅에 의해 전자석(332)에 인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스위치 수단(360)의 조작에 의해 배터리(350)의 전원이 전자석(332)에 인가되면 전자석(332)에 자력이 발생하며, 전자석(332)의 자력에 의해 척력을 받도록 설치된 영구자석(334)은 발사관(310)의 내부 격벽 방향(전방)으로 이동한다. 스위치 수단(360)의 조작은 후술하는 제어부(2)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ure 4 (a), the permanent magnet 334 maintains a state adjacent to the electromagnet 332 by the initial setting. When the power of the battery 350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332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means 360,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 332, and a permanent magnet 334 installed to receive a repulsive forc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332. moves in the direction (forward) of the inner bulkhead of the launch tube 310 . The operation of the switch means 360 may be perform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2 to be described later.

도 4의 (b) 상태와 같이, 영구자석(334)의 전방측에 설치된 통공용 침(336)이 관통공(310a)을 통과하여 가스용기(324)의 후단부(324-1)에 외력을 가하여 통공(324a)을 형성시키면, 상기 통공(324a)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압에 의해 발사체(320)가 발사관(310)의 전방 측으로 발사된다. As in the state of FIG. 4 (b), the through-hole needle 336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permanent magnet 334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310a to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rear end 324-1 of the gas container 324. When the through hole 324a is formed by applying , the projectile 320 is fir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canister 310 by the gas pressure e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324a.

전방 측으로 발사된 발사체(320)에 의해 건물의 유리창을 파괴할 수 있으며, 이후 건물 내부로 소화제가 투입될 수 있다. The glass window of the building may be destroyed by the projectile 320 fired to the front side, and then the extinguishing agent may be injected into the building.

발사체(320)는 소화제 투입 이외의 목적으로 발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명 구조의 목적으로 인명 구조 장비를 건물로 진입시키거나 건물 내 사람이 건물 외부의 인명 구조 장비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발사체(320)를 발사할 수도 있다. The projectile 320 may be launched for purposes other than injecting the extinguishing agent. For example, the projectile 320 may be launched to allow lifesaving equipment to enter a building for the purpose of saving lives, or to allow people in the building to access lifesaving equipment outside the building.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카메라(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vehicle (F)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mera (60).

상기 카메라(60)는 상기 본체부(10) 또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30) 중 어느 하나의 상부 측에 설치된다. The camera 6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ny one of the main body 10 or the connection frame 30 .

상기 카메라(60)는 공지의 디지털 카메라이며, 바람직하게는 촬영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PTZ(Pan Tilt Zoom) 카메라일 수 있다. The camera 60 may be a well-known digital camera, preferably a PTZ (Pan Tilt Zoom) camera capable of controlling a shooting angle.

상기 카메라(60)는 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촬영 동작을 실행하며, 본 실시예의 비행체(F)가 건물에 근접하여 화재 진압 기능을 실행 시에 이를 촬영하여 원격 제어 시스템(1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amera 60 executes a photographing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 and when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approaches the building and executes a fire suppression function, it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can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상기 본체부(10) 또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30) 중 어느 하나의 상부 측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일측 방향을 향해 배치된 거리 측정 센서(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형예로, 거리 측정 센서(62)는 카메라(60)에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ny one of the main body part 10 or the connection frame part 30 and a distance measuring sensor 62 disposed toward a preset one direction. is comprised of As a modification,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62 may be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camera 60 .

상기 거리 측정 센서(62)는 다양한 공지의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라이다(LIDAR) 센서, 레이더(RADAR) 센서 또는 카메라 센서(Passive Sensor)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측정 거리 및 측정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센서가 선택될 수 있다.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62 may be a variety of known sensors, for example, any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 LIDAR sensor, a radar (RADAR) sensor, or a camera sensor (Passive Sensor) can be used An appropriate sensor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a required measuring distance and a measuring environment.

상기 거리 측정 센서(62)는 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거리 측정을 실행하며, 본 실시예의 비행체(F)가 건물에 근접 시에 건물과의 근접 거리를 측정하여, 비행체(F)와 건물과의 근접 거리를 요구되는 거리로 유지하도록 제어부(2)가 공기 유동 수단(40)의 방향/속도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변형예로서, 측정된 거리에 관한 정보를 원격 제어 시스템(1000)으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시스템(1000)으로부터 공기 유동 수단(40)의 방향/속도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받아 제어부(2)가 공기 유동 수단(40)의 방향/속도 제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62 performs distance measurem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 and measures the proximity distance to the building when the vehicle F of this embodiment approaches the building, and the vehicle F and the building The control unit 2 provides information for executing direction/speed control of the air flow means 40 to keep the proximity distance to the required distance. As a modification, the control unit 2 by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speed of the air flow means 40 from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direction/speed control of the false air flow means 40 .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경광등(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광등(90)은 본 실시예의 비행체(F)가 화재 진압 동작 시에 주변에 이러한 상태를 알리는 기능을 제공한다. Preferably, the vehicle (F)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arning light (90). The warning light 90 provides a function of notifying the surroundings of this state when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operates in a fire suppression oper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발췌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저면 방향 사시도이다.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artially extracted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other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ottom direction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방향으로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100,200)를 구비하며, 특히 상기 발사체(320)의 발사 방향으로 소화제를 배출하는 장치(100,200)를 구비한다.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devices 100 and 200 for discharging the extinguishing agent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in particular, a device for discharging the extinguishing agent in the firing direction of the projectile 320 ( 100,200) are provided.

일예로,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는,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된 보관용기(102)에 내입된 액상 소화제(LE)를 펌프(104)로 가압하여 본체부(10) 일측에 연장 형성된 분사관(106)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 분사 배출 가능한 분사형 소화장치(100)일 수 있다. 분사관(106)의 길이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에 대한 접근 가능 거리와 소화제의 발사 거리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보관용기(102)는 액상 소화제(LE)의 재충진이 가능한 탱크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의 부호 101은 액상 소화제(LE)의 흡입관이다. For example, the device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pressurizes the liquid fire extinguishing agent (LE)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102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with a pump 104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It may be a spray-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100 that can be sprayed and discharg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the injection pipe 106 extended to the . The length of the injection pipe 106 may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ccessible distance to the building where the fire has occurred, the firing distance of the extinguishing agent,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storage container 102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tank capable of refilling the liquid extinguishing agent (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Reference numeral 101 of FIG. 5 denotes a suction pipe of the liquid extinguishing agent (LE).

일예로, 액상 소화제(LE)로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물은 냉각 효과가 높으며 분무상(噴霧狀)으로 분사하면 공기를 차단하는 소화 효과가 있다. 액상 소화제(LE)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보관용기(102)에 내입된 물을 펌프(104)로 가압하여 본체부(10) 일측에 연장 형성된 분사관(106)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 분사한다. For example, water may be used as the liquid extinguishing agent (LE). Water has a high cooling effect, and when sprayed in the form of a spray, it has a fire extinguishing effect that blocks air. When water is used as the liquid extinguishing agent (L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102 is pressurized with the pump 104 and spray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the injection pipe 106 exten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다른예로, 액상 소화제(LE)로는 소화제 성분 수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황산알루미늄 수용액과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기 직전에 혼합하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황산나트륨·수산화알루미늄이 생기고 물과 함께 포상(泡狀)이 되어 방출하므로 소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보관용기(102)의 구성에 있어서, 황산알루미늄 수용액을 보관하는 보관 공간과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보관하는 보관 공간을 별도로 구성하고, 분사관 또는 흡입관의 중간에 수용액 혼합 구간을 구성하여 황산알루미늄 수용액과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이 분사 과정에서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n aqueous solution of an extinguishing agent component may be used as the liquid extinguishing agent (LE). For example, if an aqueous solution of aluminum sulfate and an aqueous solution of sodium bicarbonate are mixed just before use, carbon dioxide, sodium sulfate, and aluminum hydroxide are produced by reaction, and they are released as foam together with water, so there is a fire extinguishing effect. To this en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02,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n aqueous aluminum sulfate solution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n aqueous sodium hydrogen carbonate solution are separately configured, and an aqueous solution mixing section is configured in the middle of the injection pipe or the suction pipe to form sulfuric acid The aqueous aluminum solution and the aqueous sodium bicarbonate solution may be mixed during the spraying process.

한편,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는, 상기 본체부(10)의 측면 방향의 배출 방향을 갖도록 설치된 배출관(204) 내부에 수납된 볼(ball) 타입 소화제(BE)를 배출제어기구(210)의 제어를 통해 배출 가능한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200)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vice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es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ipe 204 installed to have a side discharg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s a discharge control mechanism. It may be a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200 tha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control of 210 .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건물 유리창 파괴용 발사체(320)를 측면 방향으로 발사 가능한 발사장치(300)와 함께 측면 방향의 배출 방향을 갖도록 설치된 배출관(204)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건물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다.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effectively suppresses the building fire by using the discharge pipe 204 installed to have a side discharg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launch device 300 capable of firing the building window destruction projectile 320 in the side direction. can do.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200)는 하부 방향으로 볼 타입 소화제(BE)를 배출하는 제1 배출관(202)과 측면 방향으로 볼 타입 소화제(BE)를 배출하는 제2 배출관(204)을 포함하는데, 특히 제2 배출관(204)이 상기 발사장치(300)에 의해 유리창이 파괴된 건물 창을 통해 건물 내부로 볼(ball) 타입 소화제(BE)를 투척하는 배출관(204)의 기능을 갖는다. 이를 감안하여, 이하에서는 제2 배출관(204)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의 배출관(204)을 설명한다.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200 illustrated in this embodiment has a first discharge pipe 202 discharging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in the lower direction and a second discharge pipe discharging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in the lateral direction ( 204), in particular, the second discharge pipe 204 throws a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into the building through the building window in which the glass window is destroyed by the launch device 300 of the discharge pipe 204 of have a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hereinafter, the discharge pipe 204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a focus on the second discharge pipe 204 .

볼(ball) 타입 소화제(BE)는 투척용 소화기의 일종으로서, 볼 형태로 제작된 소화제로 이해될 수 있다. 투척용 소화기는 소화탄이라고도 불리운다. A ball-type fire extinguisher (BE) is a type of fire extinguisher for throwing, and may be understood as an extinguishing agent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all. Throwing fire extinguishers are also called fire extinguishers.

투척용 소화기는 액상 소화제를 사용하는 타입과 분말 소화제를 사용하는 타입이 있다. 액상 소화제를 사용하는 투척용 소화기는 화재가 발생한 곳에 투척하면 케이스(예, 유리, 또는 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가 깨지면서 소화제가 기화하여 산소를 없애면서 화재를 진압한다. 이 과정에서 소화제에 의한 냉각 작용과 수성막포제에 의한 산소차단작용을 동시에 수행한다. 분말 소화제를 사용하는 투척용 소화기는 화재가 발생한 곳에 투척하면 충격 또는 화염 접촉 시의 점화선 동작에 의해 케이스가 깨지면서 분말형 소화제가 비산되는 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한다. 본 실시예의 볼(ball) 타입 소화제(BE)는 투척용 소화기의 케이스를 볼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서 다양한 상용품이 공지된 바 있다. Throwing fire extinguishers are of a type using a liquid extinguishing agent and a type using a powder extinguishing agent. Throwing fire extinguishers that use liquid extinguishers extinguish the fire while removing oxygen as the case (eg, glass or synthetic resin such as vinyl chloride) is broken and the extinguishing agent vaporizes when it is thrown into a fire. In this process, the cooling action by the extinguishing agent and the oxygen blocking action by the aqueous film foaming agent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Throwing fire extinguishers that use powder extinguishers extinguish the fire in such a way that, when thrown into a fire, the case is broken by the action of the ignition wire at the time of impact or flame contact, and the powder type extinguishing agent scatters.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of this embodiment is a ball-shaped case of a throwing fire extinguisher, and various commercial products are known.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200)를 이용하여 볼(ball) 타입 소화제(BE)의 배출 제어를 할 수 있다.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can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ball-type extinguishing agent BE by using the ball-typ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200 .

바람직하게, 상기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20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볼 타입 소화제(BE)를 내부에 수납하며 상기 볼 타입 소화제(BE)가 적어도 자중에 의해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배출관(202,204)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ball-typ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20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ccommodates one or more ball-type extinguishing agents (BE) therein, and the ball-type extinguishing agent (BE) is at least by its own weight. It includes one or more discharge pipes 202 and 204 installed so as to be discharged in a lower direction or a sid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

또한, 상기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200)는, 상기 배출관(202,204)의 배출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202,204) 내부에 수납된 상기 볼 타입 소화제(BE)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배출 걸림 또는 배출 해제 조작을 하는 배출제어기구(21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200 is install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discharge pipes 202 and 204 and is blocked or discharged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ipes 202 and 204. It includes an emission control mechanism 210 that operates.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제어기구(210)는 제1 걸림편(211), 제2 걸림편(212) 및 구동기구(220)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discharge control mechanism 210 includes a first locking piece 211 , a second locking piece 212 and a driving mechanism 220 .

상기 제1 걸림편(211)은, 상기 배출관(202,204)의 일지점에서, 상기 볼 타입 소화제(BE)의 자중에 의한 이동을 막는 배출 걸림 조작을 하도록 배출관(202,204)의 내부로 돌출된 제1 상태와, 상기 볼 타입 소화제(BE)의 자중에 의한 이동이 가능한 배출 해제 조작을 하도록 배출관(202,204)의 내부로부터 후퇴한 제2 상태로 변환이 가능하다. The first locking piece 211 is a first protruding into the interior of the discharge pipes 202 and 204 to perform a discharge locking operation to prevent movement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by its own weight at one point of the discharge pipes 202 and 204. It is possible to convert to the second state re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s 202 and 204 to perform a discharge release operation capable of movement by the state and the weight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상기 제2 걸림편(212)은, 상기 배출관(202,204)의 길이 방향의 또다른 일지점에서, 상기 볼 타입 소화제(BE)의 자중에 의한 이동을 막는 배출 걸림 조작을 하도록 배출관(202,204)의 내부로 돌출된 제1 상태와, 상기 볼 타입 소화제(BE)의 자중에 의한 이동이 가능한 배출 해제 조작을 하도록 배출관(202,204)의 내부로부터 후퇴한 제2 상태로 변환이 가능하다. 상기 길이 방향은 직선 길이 또는 곡선 길이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is, at another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ipes 202 and 204,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s 202 and 204 to perform a discharge locking operation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by its own weight.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first state protruding to the furnace and the second state re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s 202 and 204 to perform a discharge release operation capable of movement by the weight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The length direction may be any one of a straight length or a curved length.

상기 구동기구(220)는, 상기 제1 걸림편(211)과 제2 걸림편(212)을 상호 교호적(交互的)으로 각각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변환시킨다. The driving mechanism 220 alternately changes the first locking piece 211 and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into a first state or a second state, respectively.

도 7a의 경우에 상기 제1 걸림편(211)은 제1 상태이고 제2 걸림편(212)은 제2 상태이다. 도 7b의 경우에 상기 제1 걸림편(211)은 제2 상태이고 제2 걸림편(212)은 제1 상태이다. In the case of FIG. 7A , the first locking piece 211 is in a first state and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is in a second state. In the case of FIG. 7B , the first locking piece 211 is in a second state, and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is in a first state.

보다 상세하게, 상기 구동기구(220)는 가동봉(222)과 구동수단(224)을 포함한다. In more detail, the driving mechanism 220 includes a movable rod 222 and a driving means 224 .

상기 가동봉(222)은 일예로 대략 "T"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부(222a)가 상기 제1 걸림편(211)에 형성된 홀(H)에 상대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관통 결합되고, 타단부(222b)가 상기 제2 걸림편(212)에 형성된 홀(H)에 상대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관통 결합되며, 중심부에 위치한 회동축(222c)을 중심으로 일방향(RR1)으로 회동 시에 상기 제1 걸림편(211)을 제1 상태로 만들고 또한 상기 제2 걸림편(212)을 제2 상태로 만들며, 상기 회동축(222c)을 중심으로 타방향(RR2)으로 회동 시에 상기 제1 걸림편(211)을 제2 상태로 만들고 또한 상기 제2 걸림편(212)을 제1 상태로 만들도록 구성된다. 제1 걸림편(211) 및 제2 걸림편(212)은 배출관(202,204)의 일측에 외부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홀(SH)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배출관(202,204) 내부로 돌출 또는 후퇴할 수 있다. 도 6의 부호 227a, 227b는 가이드홀(SH)을 구성하기 위한 케이싱부이며, 부호 229는 회동축(222c)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이다. The movable rod 222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substantially “T” shape, and one end 222a is coupled through the hole H formed in the first locking piece 211 to allow relative movement. and the other end 222b is coupled through the hole H formed in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in a relatively movable form, and rotates in one direction RR1 around the rotation shaft 222c located in the center. At the time of making the first locking piece 211 into a first state and also making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into a second state, when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RR2 about the rotation shaft 222c It is configured to make the first locking piece 211 into a second state and also to make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into a first state. The first locking piece 211 and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are installed to be slidably movable inside the guide hole SH formed to extend to the outside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s 202 and 204, and protrude or retreat into the discharge pipes 202 and 204. can do. Reference numerals 227a and 227b in FIG. 6 denote casing parts for constituting the guide hole SH, and reference numeral 229 denotes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222c.

상기 구동수단(224)은 상기 가동봉(222)을 상기 일방향(RR1) 또는 타방향(RR2)으로 회동시킨다. The driving means 224 rotates the movable rod 222 in the one direction RR1 or the other direction RR2.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수단(224)은, 상기 가동봉(222)의 중심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가동편(224a)과, 하나 이상의 링크 부재(224c,228)를 통해 상기 가동편(224a)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편(224a)을 일방향(RR1) 또는 타방향(RR2)으로 회동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된 모터(22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driving means 224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iece 224a through a movable piece 224a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movable rod 222 and one or more link members 224c and 228 to the movable piece 224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224b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the movable piece 224a in one direction RR1 or the other direction RR2.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모터 224b의 모터 축 224d가 RR3 방향 회전 시 모터 축 224d에 일체로 연결된 링크 부재 224c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링크 부재 224c에 일단부 228a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 또다른 링크 부재 228이 이동한다. 또다른 링크 부재 228의 이동 시에 타단부 228b가 회동축 222c를 중심으로 가동편 224a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가동봉 222가 회동축 222c를 중심으로 RR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걸림편 211을 제2 상태로 만들고 제2 걸림편 212을 제1 상태로 만든다. 6 to 7b, when the motor shaft 224d of the motor 224b rotates in the RR3 direction, the link member 224c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224d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one end 228a of the link member 224c rotates in a rotatable state. Another linked link member 228 moves. When the other link member 228 moves, the other end 228b rotates the movable piece 224a counter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shaft 222c. Accordingly, while the movable rod 222 rotates in the RR2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shaft 222c, the first locking piece 211 is placed in the second state and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is placed in the first state.

이와 반대로, 모터 224b의 모터 축 224d가 RR4 방향 회전 시 모터 축 224d에 일체로 연결된 링크 부재 224c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동작과 반대 방향의 동작이 진행되면서, 제1 걸림편 211을 제1 상태로 만들고 제2 걸림편 212을 제2 상태로 만든다. 모터(224b)의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2)에 의해 제어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motor shaft 224d of the motor 224b rotates in the RR4 direction, the link member 224c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224d rotates clockwise, and as the oper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ration proceeds, the first locking piece 211 is moved to the first and make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into the second state. The operation of the motor 224b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동작을 통해 상기 구동기구(220)는, 상기 제1 걸림편(211)과 제2 걸림편(212)을 상호 교호적(交互的)으로 각각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변환시킨다. Through this operation, the driving mechanism 220 alternately converts the first locking piece 211 and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into a first state or a second state, respectively.

이러한 교호적 상태 변환에 따라, 볼 타입 소화제(BE)의 배출이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lternating state change, the discharge of the ball type extinguishing agent (B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도 7a를 참조하면, 배출관(204) 내부에 복수의 볼 타입 소화제(BE)가 장입되어 있으며, 가장 전방부에 위치한 볼 타입 소화제 BE1가 제1 상태인 제1 걸림편(211)에 의해 배출 걸림 조작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구동기구(220)를 동작시키면 제1 걸림편(211)이 제2 상태가 되고 제2 걸림편(212)이 제1 상태로 변환되며, 당초 제1 걸림편(211)에 의해 배출 걸림 조작된 상태의 볼 타입 소화제 BE1가 배출관(204)의 출구 측을 향해 이동한다. 도 5a의 볼 타입 소화제 BE1'은 볼 타입 소화제 BE1이 배출관(204)의 출구 측을 향해 이동한 상태를 예시한다. Referring to FIG. 7A , a plurality of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s BE are charged inside the discharge pipe 204, and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1 located at the most front part is discharged by the first stopping piece 211 in the first state. has been manipulated. When the driving mechanism 220 is operated in this state, the first locking piece 211 is in the second state and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is converted to the first state, and is initially discharged by the first locking piece 211 .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1 in the jammed state moves toward the outlet side of the discharge pipe 204 . The ball-type extinguishing agent BE1' of FIG. 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ball-type extinguishing agent BE1 has moved toward the outlet side of the discharge pipe 204 .

이 과정에서 볼 타입 소화제 BE1이 배출된 공간에 또다른 볼 타입 소화제 BE2가 자중에 의해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며, 제1 상태로 변환된 제2 걸림편(212)에 의해 도 5b와 같이 배출 걸림 조작된 상태가 된다. In this process, another ball-type extinguishing agent BE2 is moved and located in the space where the ball-type extinguishing agent BE1 is discharged, and the discharge is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converted to the first state as shown in FIG. 5B. become in a state of being

이후, 제1 걸림편(211)과 제2 걸림편(212)을 상호 교호적(交互的)으로 각각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변환시키면, 도 5b의 위치에 있던 또다른 볼 타입 소화제 BE2는 도 5a의 볼 타입 소화제 BE1의 위치로 이동하여 배출 가능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After that, whe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ieces 211 and 212 are alternately converted to the first or second states, respectively, another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2 at the position of FIG. 5B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1 of FIG. 5A and is located in a dischargeable state.

제1 걸림편(211)과 제2 걸림편(212)의 이러한 상호 교호적(交互的) 변환 구조에 의해, 본 실시예의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200)는 복수의 볼 타입 소화제(BE)를 1개씩 효과적으로 구분하여 배출할 수 있다. By this mutually alternating conversion structure of the first locking piece 211 and the second locking piece 212,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200 of this embodiment releases a plurality of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s BE. It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and discharged one by one.

한편 다른 관점에서, 상기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200)는 제1 배출관(202), 제2 배출관(204) 및 가속배출수단(230)을 포함한다. Meanwhile,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 ball-typ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200 includes a first discharge pipe 202 , a second discharge pipe 204 , and an accelerated discharge means 230 .

상기 제1 배출관(202)은, 상기 볼 타입 소화제(BE)를 상부 측 개구부(202a)를 통해 투입하여 내부에 보관하고 하부 방향 개구부(202b)를 통해 낙하 배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출제어기구(21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배출관(202)은 화재가 발생한 건물 상부 또는 산불 현장 등에서 볼 타입 소화제(BE)를 낙하 투척하는데 적합하다. The first discharge pipe 202 is installed so that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is put in through the upper opening 202a, stored therein, an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opening 202b, and the discharge control mechanism ( 210) is provided. The first discharge pipe 202 is suitable for dropping and throwing a ball-type extinguishing agent (BE) from the top of a building where a fire has occurred or at a forest fire site.

상기 제2 배출관(204)은, 상기 볼 타입 소화제(BE)를 상부 측 개구부(204a)를 통해 투입하여 내부에 보관하고 측면 방향 개구부(204b)를 통해 배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출제어기구(210)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배출관(204)은 화재가 발생한 건물 측면에서 개방되거나 파괴된 창문 등을 통해 건물 내부로 볼 타입 소화제(BE)를 투척하는데 적합하다. The second discharge pipe 204 is installed so that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is put in through the upper opening 204a, stored therein, and discharged through the side opening 204b, and the discharge control mechanism 210 ) is provided. The second discharge pipe 204 is suitable for throwing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into the building through an open or destroyed window at the side of the building where the fire occurs.

상기 제2 배출관(204)은 상기 배출제어기구(210)의 배출 해제 조작에 의해 배출된 볼 타입 소화제(BE)를 더욱 가속시켜 상기 측면 방향 개구부(204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가속배출수단(230)을 구비한다. The second discharge pipe 204 further accelerates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discharged by the discharge release operation of the discharge control mechanism 210 so that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side opening 204b. ) is provided.

일예로, 상기 가속배출수단(230)은, 상기 제2 배출관(204)의 내부를 통과하는 볼 타입 소화제(BE)의 표면에 가압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고 상기 제2 배출관(204)의 중심축(204x)을 기준으로 적어도 2 이상이 대칭적으로 배치된 가속휠(232)과, 각각의 상기 가속휠(23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구동수단(2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예로, 상기 가속휠(232)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휠의 외주면에 탄성과 마찰력을 가진 소재(예, 고무)를 커버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볼 타입 소화제(BE)의 표면에 가압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 마찰력을 전달하여 가속 시킨다. For example, the accelerated discharge means 230 is capable of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while in press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204,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204 )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204x of at least two acceleration wheels 232 symmetrically arranged, and a motor driving means 234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each of the acceleration wheels 232. . For example, the acceleration wheel 232 may be manufactured by cove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or synthetic resin wheel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rictional force (eg, rubber), and in a state of pressurized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It accelerates the rotation by transmitting frictional force.

모터 구동수단(234)은 제2 배출관(204)의 외측면 또는 본체부(10)의 하부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속휠(232)은 모터 구동수단(234)의 구동축에 연결 설치되며 제2 배출관(204)의 측면에 관통 형성된 관통구(204h)를 통해 제2 배출관(204) 내부에서 이동하는 볼 타입 소화제(BE)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다. The motor driving means 234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204 or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and the accelerator wheel 232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driving means 234 and installed in the first 2 Through the through hole 204h formed through the side of the discharge pipe 204, the second discharge pipe 204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BE) moving in the inside to impart a rotational forc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제어 구성도이다. 10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제어부(2) 및 통신부(4)를 구비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원공급을 위한 충방전 배터리, 비행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한 GPS 모듈, 비행 고도 정보를 얻기 위한 고도센서, 비행 자세 정보를 얻기 위한 자이로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 및 통신부(4)는 본체부(1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vehicle F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2 and a communication unit 4, and although not shown, a charging/discharging battery for power supply, a GPS module for obtaining flight location information, and an altitude sensor for obtaining flight altitude information , and a gyro sensor for obtaining flight attitud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e control unit 2 and the communication unit 4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unit 10 .

상기 제어부(2)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비행체 제어용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구동되는 컴퓨팅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는 통신부(4)를 통해 원격 제어 시스템(1000)과 무선 통신할 수 있으며, 비행용 제어 정보 및 화재 진압용 제어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원격 제어 시스템(1000)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정보, 거리 측정 정보, 비행 위치 정보 및 비행 자세 정보 등을 원격 제어 시스템(10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 includes a CPU and a memory and may be understood as a computing means in which computer software for vehicle control is driven. The control unit 2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 , and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flight control information and fire suppression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 Alternatively,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a camera,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flight location information, and flight postur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

또한, 상기 제어부(2)는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제어 로직 또는 원격 제어 시스템(100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비행체(F)에 설치된 공기 유동 수단(40)의 방향/속도 제어, 분사형 소화 장치(100)의 동작 제어,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200)의 동작 제어, 발사장치(300)의 동작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direction/speed of the air flow means 40 installed in the aircraft F based on the control logic preset in the memory or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and the injection 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Operation control of 100 , operation control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200 , and operation control of the launch device 300 may be executed.

또한, 상기 제어부(2)는 카메라(60)를 이용한 영상 정보의 생성, 거리 측정 센서(62)를 이용한 거리 측정 정보의 생성을 실행하고, 각각의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 제어 또는 화재 진압 동작 제어 등을 실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 executes generation of image information using the camera 60 and generation of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using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62, and uses each information to control flight or fire suppression operation, etc. can run

일예로,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1000)은 비행체 제어/모니터링용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구동되며 무선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컴퓨팅 수단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may be a computing means in which computer software for vehicle control/monitoring is driven and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and obv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from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to cover many such modifications.

10: 본체부
20: 외곽체부
30: 연결 프레임부
31: 제1 연결 프레임
32: 제2 연결 프레임
40: 공기 유동 수단
44: 모터
46: 프로펠러
60: 카메라
62: 거리 측정 센서
100: 분사형 소화장치
102: 보관용기
104: 펌프
106: 분사관
200: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
202: 제1 배출관
204: 제2 배출관
210: 배출제어기구
211: 제1 걸림편
212: 제2 걸림편
220: 구동기구
222: 가동봉
224: 구동수단
224a: 가동편
224b: 모터
224c: 링크 부재
230: 가속배출수단
232: 가속휠
234: 모터 구동수단
300: 발사장치
310: 발사관
320: 발사체
322: 충돌체
324: 가스용기
324a: 통공
330: 발사 조작 기구
332: 전자석
334: 영구자석
336: 통공용 침
BE: 볼(ball) 타입 소화제
F: 비행체
LE: 액상 소화제
S: 링 형상의 사이 공간
10: body part
20: outer body part
30: connection frame part
31: first connection frame
32: second connection frame
40: air flow means
44: motor
46: propeller
60: camera
62: distance measuring sensor
100: injection type fire extinguishing system
102: storage container
104: pump
106: injection pipe
200: ball typ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e device
202: first discharge pipe
204: second discharge pipe
210: emission control mechanism
211: first jamming piece
212: second hook piece
220: drive mechanism
222: movable bar
224: driving means
224a: movable piece
224b: motor
224c: link missing
230: accelerated discharge means
232: accelerator wheel
234: motor driving means
300: launcher
310: launch tube
320: projectile
322: Collider
324: gas container
324a: through hole
330: fire control mechanism
332: electromagnet
334: permanent magnet
336: hollow needle
BE: Ball type extinguishing agent
F: aircraft
LE: liquid extinguishing agent
S: Ring-shaped interspace

Claims (10)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간격을 갖는 상태로 배치된 외곽체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외곽체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하며, 상하 방향으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 프레임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이 이루는 링 형상의 사이 공간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부에 기초하여 설치되며, 모터로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상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하부로 가압 배출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공기 유동 수단; 및
본체부 일측에 설치된 발사관에 장전된 건물 유리창 파괴용 발사체를 측면 방향으로 발사 가능한 발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발사장치는,
본체부 일측에 설치된 발사관과,
전방 측에 충돌체가 구비되고 후방 측에 가스용기가 구비된 화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 장전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용기의 후단부에 외력에 의한 통공 형성 시에 상기 통공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압에 의해 발사관의 전방 측으로 발사되는 발사체와,
상기 발사체의 후방 측에 설치되며 제어 신호 입력 시에 상기 가스용기의 후단부에 외력을 가하여 통공을 형성시키는 발사 조작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body part;
an outer body portion forming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disposed in a state having a gap with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connecting frame unit configured to connect and integrally combine the main body and the outer body and allow air to flow in an up-down direction;
It is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ring-shaped space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body part, is installed based on the connection frame part, and uses a propeller driven by a motor to move air introduc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 plurality of air flow means configured to be pressurized; and
It includes; a launch device capable of firing a projectile for destroying a building window loaded in a launch tu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launch device is
a launch tu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t has an arrow shape with a collision body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a gas container on the rear side, and the gas pressure e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when the through hole is formed by an external force in the rear end of the gas container in a state loaded in the canister A projectile fir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launch tube by
Aircraft equipped with a laun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launch vehicle and comprises a launch operation mechanism for forming a through hol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rear end of the gas container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조작 기구는,
상기 발사관의 최후방 측에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보다 전방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석으로부터 척력을 받는 경우에 상기 발사관 내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이 가능한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전방측에 구비되며 상기 영구자석의 전방 이동 시에 상기 가스용기의 후단부에 외력을 가하여 통공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 통공용 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ing operation mechanism is
an electromagnet installed on the rearmost side of the launch tube;
a permanent magnet positioned in front of the electromagnet and capable of moving forward in the canister when receiving a repulsive force from the electromagnet;
Aircraft having a laun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needle for a hole configured to form a hol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rear end of the gas container when the permanent magnet moves forwar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의 발사 방향으로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According to claim 1,
An aircraft having a laun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device for discharging a fire extinguishing agent in the firing direction of the projecti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보관용기에 내입된 액상 소화제를 펌프로 가압하여 본체부 일측에 연장 형성된 분사관을 통해 측면 방향으로 분사 배출 가능한 분사형 소화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vice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ircraft having a laun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injection-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that can be sprayed and discharg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an injection pipe extending on one side of the body by pressing the liquid extinguishing agent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with a pum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 방향의 배출 방향을 갖도록 설치된 배출관 내부에 수납된 볼(ball) 타입 소화제를 배출제어기구의 제어를 통해 배출 가능한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vice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ircraft having a laun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e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stored in the discharge pipe installed to have a side discharge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control of the discharge control mechanis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볼 타입 소화제를 내부에 수납하며 상기 볼 타입 소화제가 적어도 자중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측면 방향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배출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 내부에 수납된 상기 볼 타입 소화제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배출 걸림 또는 배출 해제 조작을 하는 배출제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7. The method of claim 6,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a discharge pip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one or mor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s therein, and installed so that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can be discharg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by at least its own weight;
Aircraft equipped with a laun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discharge pipe and comprises a discharge control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ipe, or for releasing the discharge operation.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간격을 갖는 상태로 배치된 외곽체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외곽체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하며, 상하 방향으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 프레임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이 이루는 링 형상의 사이 공간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부에 기초하여 설치되며, 모터로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상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하부로 가압 배출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공기 유동 수단; 및
본체부 일측에 설치된 발사관에 장전된 건물 유리창 파괴용 발사체를 측면 방향으로 발사 가능한 발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체의 발사 방향으로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 방향의 배출 방향을 갖도록 설치된 배출관 내부에 수납된 볼(ball) 타입 소화제를 배출제어기구의 제어를 통해 배출 가능한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이며,
상기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볼 타입 소화제를 내부에 수납하며 상기 볼 타입 소화제가 적어도 자중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측면 방향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배출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 내부에 수납된 상기 볼 타입 소화제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배출 걸림 또는 배출 해제 조작을 하는 배출제어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제어기구는,
상기 배출관의 일지점에서, 상기 볼 타입 소화제의 자중에 의한 이동을 막는 배출 걸림 조작이 되도록 배출관의 내부로 돌출된 제1 상태와, 상기 볼 타입 소화제의 자중에 의한 이동이 가능한 배출 해제 조작이 되도록 배출관의 내부로부터 후퇴한 제2 상태로 변환이 가능한 제1 걸림편과,
상기 배출관의 길이 방향의 또다른 일지점에서, 상기 볼 타입 소화제의 자중에 의한 이동을 막는 배출 걸림 조작이 되도록 배출관의 내부로 돌출된 제1 상태와, 상기 볼 타입 소화제의 자중에 의한 이동이 가능한 배출 해제 조작이 되도록 배출관의 내부로부터 후퇴한 제2 상태로 변환이 가능한 제2 걸림편과,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을 상호 교호적(交互的)으로 각각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변환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body part;
an outer body portion forming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disposed in a state having a gap with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connecting frame unit configured to connect and integrally combine the main body and the outer body and allow air to flow in an up-down direction;
It is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ring-shaped space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body part, is installed based on the connection frame part, and uses a propeller driven by a motor to move air introduc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 plurality of air flow means configured to be pressurized; and
A launch device capable of firing a projectile for destroying a building window loaded in a launch tu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lateral direction;
A device for discharging a fire extinguishing agent in the firing direction of the projectile is provided;
The device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t is a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stored in the discharge pipe installed to have a lateral discharge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control of the discharge control mechanism,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A discharge pip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one or mor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s therein, and installed so that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can be dischar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by at least its own weight, and install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discharge pipe, inside the discharge pipe and a discharge control mechanism that performs a discharge locking or discharge release operation to control discharge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stored in the
The emission control mechanism,
At one point of the discharge pipe, the first state protruding into the interior of the discharge pipe so as to be a discharge jamming operation that blocks movement by its own weight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a discharge release operation that allows movement by its own weight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A first engaging piece that can be converted to a second state re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and
At another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ipe, the first state protruding into the interior of the discharge pipe so as to be a discharge jamming operation that prevents movement by its own weight of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can be moved by its own weight A second locking piece that can be converted to a second state retracted from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so as to be a discharge release operation;
Aircraft with a laun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e mechanism for converting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ieces to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alternately, respectively.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간격을 갖는 상태로 배치된 외곽체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외곽체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하며, 상하 방향으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 프레임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이 이루는 링 형상의 사이 공간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부에 기초하여 설치되며, 모터로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상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하부로 가압 배출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공기 유동 수단; 및
본체부 일측에 설치된 발사관에 장전된 건물 유리창 파괴용 발사체를 측면 방향으로 발사 가능한 발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체의 발사 방향으로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소화제(消火劑)를 배출하는 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 방향의 배출 방향을 갖도록 설치된 배출관 내부에 수납된 볼(ball) 타입 소화제를 배출제어기구의 제어를 통해 배출 가능한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이며,
상기 볼 타입 소화제 배출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볼 타입 소화제를 내부에 수납하며 상기 볼 타입 소화제가 적어도 자중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측면 방향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배출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 내부에 수납된 상기 볼 타입 소화제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배출 걸림 또는 배출 해제 조작을 하는 배출제어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은,
상기 볼 타입 소화제를 상부 측 개구부를 통해 투입하여 내부에 보관하고 측면 방향 개구부를 통해 배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출제어기구의 배출 해제 조작에 의해 배출된 볼 타입 소화제를 더욱 가속시켜 상기 측면 방향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가속배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body part;
an outer body portion forming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disposed in a state having a gap with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connecting frame unit configured to connect and integrally combine the main body and the outer body and allow air to flow in an up-down direction;
It is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ring-shaped space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body part, is installed based on the connection frame part, and uses a propeller driven by a motor to move air introduc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 plurality of air flow means configured to be pressurized; and
A launch device capable of firing a projectile for destroying a building window loaded in a launch tu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lateral direction;
A device for discharging a fire extinguishing agent in the firing direction of the projectile is provided;
The device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t is a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stored in the discharge pipe installed to have a lateral discharge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control of the discharge control mechanism,
The ball 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ing device,
A discharge pip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one or mor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s therein, and installed so that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can be dischar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by at least its own weight, and install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discharge pipe, inside the discharge pipe and a discharge control mechanism that performs a discharge locking or discharge release operation to control discharge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stored in the
The exhaust pipe is
The ball-type extinguishing agent is put in through the upper opening, stored inside, and install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side opening, and the ball-type extinguishing agent discharged by the discharge release operation of the emission control mechanism is further accelerated to further accelerate the side opening Aircraft equipped with a laun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 acceleration discharge mean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배출수단은,
상기 배출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볼 타입 소화제의 표면에 가압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고 상기 배출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2 이상이 대칭적으로 배치된 가속휠과,
각각의 상기 가속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ccelerated discharge means,
An acceleration wheel capable of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in a pressurized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all-type fire extinguishing agent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discharge pipe and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pipe,
An aircraft having a laun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tor driving means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each of the acceleration wheels.
KR1020210032967A 2021-03-12 2021-03-12 Aircraft with launch device KR1023944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967A KR102394457B1 (en) 2021-03-12 2021-03-12 Aircraft with launch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967A KR102394457B1 (en) 2021-03-12 2021-03-12 Aircraft with launch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457B1 true KR102394457B1 (en) 2022-06-13

Family

ID=8198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967A KR102394457B1 (en) 2021-03-12 2021-03-12 Aircraft with launch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45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341B1 (en) 2015-06-01 2015-11-05 원기연 A multi- purpose fire fighting drone
KR20160101560A (en) * 2015-02-17 2016-08-25 (주)제이디산업 Fire extinguisher using drone
WO2017066765A1 (en) * 2015-10-16 2017-04-20 Nutech Ventures Fire suppression and ignition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KR20180038190A (en) * 2016-10-06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Unmanned aerial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25078B1 (en) 2018-08-13 2018-12-04 대신아이브(주) fire suspension drone for skyscrap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560A (en) * 2015-02-17 2016-08-25 (주)제이디산업 Fire extinguisher using drone
KR101566341B1 (en) 2015-06-01 2015-11-05 원기연 A multi- purpose fire fighting drone
WO2017066765A1 (en) * 2015-10-16 2017-04-20 Nutech Ventures Fire suppression and ignition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KR20180038190A (en) * 2016-10-06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Unmanned aerial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25078B1 (en) 2018-08-13 2018-12-04 대신아이브(주) fire suspension drone for skyscrap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6053B2 (en) Damage mitigating apparatus operable by pressurized deployment of a fabric
CN107683243B (en) Fire-fighting unmanned aerial vehicle for fire extinguishment
KR102264602B1 (en) Fire Extinguisher System using Unmanned Air Vehicle
KR101884906B1 (en) Unmanned aero vehicle for fire extinguishing
US20050139363A1 (en) Fire suppression delivery system
KR102214501B1 (en) Fire extinguishing drone of fire extinguisher discharging type
KR102128802B1 (en) Fire suppression drone
WO2021143944A1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364651B1 (en) fire fighting drones capable of identifying the coalitions
CN109484645A (en) A kind of fire fighting equipment has the unmanned plane of fire-extinguishing function concurrently
KR101691731B1 (en)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 using dr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H1043323A (en) Extinguishing shell for jetting out extinguishing agent
US20160339280A1 (en) Fire Extinguishing Pod
CN108619641B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 for vertical emission guidance fire extinguishing body
CN111013058A (en) Electromagnetic ejection type fire extinguishing bomb
CN111268128A (en) Mooring type fire rescu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KR100953937B1 (en) Extinguishment apparatus of long distance fire
KR102394457B1 (en) Aircraft with launch device
CN114423681A (en) Damage mitigation for aircraft with deployable parachutes
KR102394456B1 (en) Aircraft for fire fighting
DE102021004294B4 (en) firefighting drone
KR102061102B1 (en) Multi-step throwing fire extinguisher
KR102190643B1 (en) Fire-fighting Drone for Destroying Tempered Glass
KR101811519B1 (en) Wingless drone for extinguishing fire
US20040069505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xtinguishing fire in areas beyond the reach of standard fire equip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