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441B1 - 산성가스 중화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재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산성가스 중화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재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441B1
KR102394441B1 KR1020200093787A KR20200093787A KR102394441B1 KR 102394441 B1 KR102394441 B1 KR 102394441B1 KR 1020200093787 A KR1020200093787 A KR 1020200093787A KR 20200093787 A KR20200093787 A KR 20200093787A KR 102394441 B1 KR102394441 B1 KR 102394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laked lime
content
recycling
pretreatment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114A (ko
Inventor
한방희
한재원
박영옥
엄원현
박성수
강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
Priority to KR1020200093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4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02Oxides or 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8Removing components of undefined structure
    • B01D53/40Acid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02Oxides or hydroxides
    • C01F11/16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Lime, magnesia or dolomite
    • C04B2/005Lime, magnesia or dolomite obtained from an industrial by-produc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Lime, magnesia or dolomite
    • C04B2/02Lime
    • C04B2/04Slaking
    • C04B2/045After-treatment of slaked li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산성가스 중화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재활용 방법은, 부산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부산물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부산물의 성분을 바탕으로, 상기 획득된 부산물에 대한 전처리 공정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 공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획득된 부산물에 대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 공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전처리된 부산물을 재활용하거나, 상기 전처리 공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획득된 부산물을 그대로 재활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성가스 중화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재활용 방법{METHOD FOR RECYCLING BY-PRODUCT GENERATED IN NEUTRALIZING PROCESS}
본 발명은 부산물의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소, 소각로 또는 소결로에서 석탄이나 폐기물을 연소하여 HCl, SOx, HF 등의 산성가스를 제거하는, 산성가스의 중화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재활용 하는, 부산물의 재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석회(Ca(OH)2)는 강한 알칼리성을 갖는 알칼리제로 사용되어 산성가스의 중화공정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소각로, 발전소, 보일러, 소결로 등에서는 산성가스의 중화를 위해 소석회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HCl, SOx, HF 등의 산성가스과 같은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중화시켜 배출한다.
이러한 건식 탈황 또는 탈염 공정에서는 이론적으로 필요로 하는 소석회보다 많은 과량의 소석회를 투입하며, 이에 따라 반응되지 않는 소석회가 소위, 부산물로서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부산물이란, 미반응한 소석회와 반응후의 CaCl2 또는 CaSO4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반응되지 않는 소석회가 부산물로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는 중화공정에서 오염된 것으로 판단하여 재활용을 하지 않고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8509호에서와 같이, 소석회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건식 탈황 또는 탈염 공정을 수행하는 기술 또는 이로부터 발생되는 유해 부산물을 소석회를 이용하여 다시 중화시키는 기술만 개시되고 있을 뿐, 소석회 자체를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은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8509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HCl, SOx, HF 등의 산성가스를 제거하는 산성가스 중화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부산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재활용 공정을 적용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소석회의 낭비를 줄이고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부산물의 재활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산물의 재활용 방법은, 부산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부산물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부산물의 성분을 바탕으로, 상기 획득된 부산물에 대한 전처리 공정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 공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획득된 부산물에 대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 공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전처리된 부산물을 재활용하거나, 상기 전처리 공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획득된 부산물을 그대로 재활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산물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부산물은, 건식 탈황 또는 탈염 공정에 투입된 소석회가 중화공정을 수행한 후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산물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부산물에 포함되는 소석회의 함유량, 염화칼슘(Ca(Cl)2)의 함유량, 황산칼슘(CaSO4)의 함유량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처리 공정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석회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염화칼슘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이거나, 상기 황산칼슘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석회가 상기 부산물에 50중량% 이상 포함된 경우, 상기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활용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석회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획득된 부산물은 그대로 여타의 탈황 또는 탈염의 산성가스 저감공정, 폐수처리 공정, 액상 소석회 제조공정, 시멘트 제조공정 또는 고화제 제조공정에 투입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염화칼슘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산물을 물(H2O)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부산물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황산칼슘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산물을 가성소다를 이용하여 반응시켜 염소(Cl) 또는 황(S)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염소(Cl) 또는 황산(S)을 제거하는 경우, 칼슘(Ca)보다 반응성이 높은 칼륨(K), 나트륨(Na), 리튬(Li) 계열을 약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 건식 탈황 또는 탈염 공정에 산성가스의 중화 등을 위해 사용되는 소석회가 상기 중화공정의 이후에 부산물로서 획득되는 경우, 이에 대한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여, 상기 획득되는 소석회의 부산물의 성분을 분석하여 최적의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소석회의 낭비를 줄이고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부산물에 포함되는 소석회의 양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실질적으로 그대로 재활용을 유도할 수 있어, 공정 효율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산물에 포함되는 성분에 따라 물을 이용하거나 또는 가성소다 등의 약품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단순한 전처리 공정만을 수행하여 부산물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산물 재활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부산물이 발생하는 공정들을 예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부산물 재활용 방법의 세부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산물 재활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부산물이 발생하는 공정들을 예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부산물 재활용 방법의 세부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부산물 재활용 방법에서는, 우선, 상기 부산물을 획득한다(단계 S10).
이 경우, 상기 부산물을 획득하는 공정은, 도 2a 내지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은, 건식 탈황 또는 탈염공정일 수 있다.
즉, 도 2a에서와 같이,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HCl, SOx, HF 등의 산성가스나 유해물을 제거하기 위해, 소석회가 투입되는데, 상기 소석회를 통해 상기 유해물의 산성가스를 중화시키게 된다. 다만, 상기 투입되는 소석회는 유해물의 양이나 종류 등에 따라 내부에서 반응되고 잔류하게 되며, 이렇게 잔류되는 소석회가 소위 부산물로서 획득된다.
즉, 상기 부산물이란, 미반응한 소석회와 반응후의 CaCl2 또는 CaSO4를 의미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2b에서와 같은,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을 제거하기 위해 소석회가 투입될 수 있으며, 도 2c에서와 같은, 소결로에서도 동일하게 소석회가 투입될 수 있으며, 이렇게 투입된 소석회는 반응이 수행된 후 부산물로서 획득될 수 있다.
나아가,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건식 탈황 또는 탈염공정에 소석회가 투입되어 중화반응이 유도될 수 있으며, 투입된 소석회는 일정부분 반응된 후 잔류하여, 상기 부산물로서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획득되는 부산물은, 별도의 탈황 또는 탈염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혼합하여 획득하는 것보다는, 하나의 탈황 또는 탈염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하나의 획득 부산물로 구분하여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공정에서 획득되는 부산물은 특정 성분이 일정한 비율로 함유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후술되는 성분 분석 후의 전처리 공정도 하나의 공정만이 선택되어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높은 공정 효율을 통해 부산물의 재활용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획득되는 상기 부산물은, 결국 반응된 소석회인 것으로, 별도의 부산물 수집유닛(미도시)을 통해 수집된다.
이 후,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집유닛을 통해 획득된 상기 부산물은, 부산물 분석부(미도시)로 제공되어, 상기 부산물의 성분이 분석된다(단계 S20).
이 경우, 상기 부산물 분석부에서의 상기 부산물의 성분 분석은, 샘플링 분석을 통해, 상기 부산물의 일부 시료에 대하여 포함되는 성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상기 샘플링 분석의 횟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산물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부산물에 포함되는 미반응 소석회의 함유량, 염화칼슘(Ca(Cl)2)의 함유량, 황산칼슘(CaSO4)의 함유량을 분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건식 탈황 또는 탈염 공정에서는, 투입된 소석회의 반응결과 획득되는 부산물은, 반응의 결과 주로 염화칼슘이나 황산칼슘을 포함하므로, 이러한 성분을 중심으로 상기 부산물이 함유하는 성분을 분석하게 된다.
이 후,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부산물 분석부에서 분석된 상기 획득된 부산물의 성분을 바탕으로, 공정 판단부(미도시)에서는, 상기 획득된 부산물의 전처리의 필요성을 판단한다(단계 S30).
이 후, 상기 전처리의 필요성이 판단되는 경우, 전처리 수행부(미도시)에서는 해당 부산물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4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산물에 포함되는 미반응 소석회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단계 S31), 상기 공정 판단부에서는, 상기 부산물에 대한 전처리 공정이 필요없다고 판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전처리는 수행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미반응 소석회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전체 부산물의 50중량%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부산물은 별도의 전처리 없이 그대로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고, 이에 따라, 상기 부산물에 대하여는 별도의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재활용이 수행된다(단계 S50).
즉, 상기 부산물에 미반응 소석회가 5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경우라면, 상기 부산물에 대한 전처리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오히려 공정 효율이 낮으며, 상기 포함된 비율의 소석회만으로도 충분한 탈황 또는 탈염 공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부산물 전처리 공정은 생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부산물에 포함되는 상기 염화칼슘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되거나(단계 S32), 또는 상기 부산물에 포함되는 상기 황산칼슘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33), 상기 공정 판단부에서는, 상기 부산물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처리 수행부에서 전처리가 수행된다(단계 S40).
구체적으로, 상기 부산물에 포함되는 상기 염화칼슘의 함유량이, 기준치로서, 약 1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부산물에 대한 전처리가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전처리 수행부에서는, 상기 부산물을 물(H2O)을 이용하여 세척한다. 또한, 물을 이용한 세척 공정 후, 상기 부산물에는 수분이 잔류하게 되므로, 상기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부산물에 포함되었던 상기 염화칼슘은 제거되어 소석회가 잔류하게 되며, 이렇게 잔류한 소석회를 포함하는 부산물은, 별도의 탈황 또는 탈염 공정, 즉 산성가스 저감공정에 재활용되어 사용된다(단계 S50).
나아가, 상기 산성가스 저감공정 외에도, 폐수처리 공정, 액상 소석회 제조공정, 시멘트 제조공정 또는 고화제 제조공정 등에도 투입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염화칼슘이 포함된 부산물에 물을 이용하여 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부산물로부터 소석회가 생성되는 화학식은 하기 식 (1)과 같다.
Figure 112020078955538-pat00001
식 (1)
특히, 시멘트 원료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부산물에 포함되는 염화칼슘의 함유량이 약 10 중량% 이하로, 나아가 1 중량% 이하인 경우라도, 필요에 따라 상기 공정 판단부에서는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처리 공정이,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것임은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와 달리,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기 전에 가성소다를 이용하여 처리한 후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공정으로 전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부산물에 포함되는 상기 황산칼슘의 함유량이, 기준치로서, 약 1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부산물에 대한 전처리가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전처리 수행부에서는, 상기 부산물을 가성소다와 같은 약품으로 추가 처리를 수행하며, 이에 따라 상기 부산물에 포함되었던 황(S)은 제거되어 소석회가 잔류하게 되며, 이렇게 잔류한 소석회를 포함하는 부산물은, 별도의 탈황 또는 탈염 공정, 즉 산성가스 저감공정에 재활용되어 사용된다(단계 S50).
나아가, 상기 산성가스 저감공정 외에도, 폐수처리 공정, 액상 소석회 제조공정, 시멘트 제조공정 또는 고화제 제조공정 등에도 투입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상기 부산물에 대한 약품 처리는, 예시된 바와 같이 가성소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칼슘(Ca)보다 반응성이 높은 약품으로 칼륨(K), 나트륨(Na), 리튬(Li) 계열의 약품으로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즉, 상기 약품이 포함된 용액에 상기 부산물을 혼합하여, 상기 부산물에 대한 반응을 유도한 후, 상기 부산물에 잔류하는 용매나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상기 부산물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부산물에 대하여 가성소다 등의 약품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부산물로부터 소석회가 생성되는 화학식은 하기 식 (2)과 같다.
Figure 112020078955538-pat00002
식 (2)
이 경우, 약품 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물로 세척하여 염화칼슘을 1차적으로 제거하면, 약품으로 사용되는 수산화나트륨(NaOH)과 같은 약품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식 (2)에서 황산나트륨(Na2SO4)의 추가적인 제거가 필요하다면 물을 이용한 세척 공정을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부산물에서는 황(S) 성분이 제거되면서 소석회가 생성되어, 후속되는 별도의 탈황 또는 탈염의 산성가스 저감공정, 폐수처리 공정, 액상 소석회 제조공정, 시멘트 제조공정 또는 고화제 제조공정에서 상기 전처리된 소석회가 재활용될 수 있다(단계 S5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 건식 탈황 또는 탈염 공정에 산성가스의 중화 등을 위해 사용되는 소석회가 상기 중화공정의 이후에 부산물로서 획득되는 경우, 이에 대한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여, 상기 획득되는 소석회의 부산물의 성분을 분석하여 최적의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소석회의 낭비를 줄이고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부산물에 포함되는 소석회의 양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실질적으로 그대로 재활용을 유도할 수 있어, 공정 효율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산물에 포함되는 성분에 따라 물을 이용하거나 또는 가성소다 등의 약품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단순한 전처리 공정만을 수행하여 부산물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부산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부산물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부산물의 성분을 바탕으로, 상기 획득된 부산물에 대한 전처리 공정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 공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획득된 부산물에 대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 공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전처리된 부산물을 재활용하거나, 상기 전처리 공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획득된 부산물을 그대로 재활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산물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부산물에 포함되는 소석회의 함유량, 염화칼슘(Ca(Cl)2)의 함유량, 황산칼슘(CaSO4)의 함유량을 분석하고,
    상기 전처리 공정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석회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염화칼슘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이거나, 상기 황산칼슘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산물 재활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부산물은, 건식 탈황 또는 탈염 공정에 투입된 소석회가 중화공정을 수행한 후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산물 재활용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석회가 상기 부산물에 50중량% 이상 포함된 경우, 상기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산물 재활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석회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획득된 부산물은 그대로 여타의 탈황 또는 탈염의 산성가스 저감공정, 폐수처리 공정, 액상 소석회 제조공정, 시멘트 제조공정 또는 고화제 제조공정에 투입되어 재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산물 재활용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염화칼슘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산물을 물(H2O)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부산물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산물 재활용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황산칼슘의 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산물을 가성소다를 이용하여 반응시켜 염소(Cl) 또는 황산(S)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산물 재활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Cl) 또는 황산(S)을 제거하는 경우,
    칼슘(Ca)보다 반응성이 높은 칼륨(K), 나트륨(Na), 리튬(Li) 계열을 약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산물 재활용 방법.
KR1020200093787A 2020-07-28 2020-07-28 산성가스 중화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재활용 방법 KR102394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787A KR102394441B1 (ko) 2020-07-28 2020-07-28 산성가스 중화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재활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787A KR102394441B1 (ko) 2020-07-28 2020-07-28 산성가스 중화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재활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114A KR20220014114A (ko) 2022-02-04
KR102394441B1 true KR102394441B1 (ko) 2022-05-06

Family

ID=8026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787A KR102394441B1 (ko) 2020-07-28 2020-07-28 산성가스 중화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재활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4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090B1 (ko) 1998-09-22 2004-12-09 콘솔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석탄 연소 부산물로부터의 인공 쇄석의 제조 방법
KR101508268B1 (ko) 2008-04-24 2015-04-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석유코크스 정제분말 연소보일러용 건식탈황 집진설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175B1 (ko) * 2003-01-23 2005-09-26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습식 배연탈황방법
KR20090083695A (ko) * 2008-01-30 2009-08-04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탈황공정용 고반응 소석회를 이용한 배가스 중의 황산화물제거장치
FR2998194B1 (fr) * 2012-11-19 2014-11-21 Coatex Sas Suspension aqueuse de chaux,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KR101596141B1 (ko) * 2014-05-28 2016-02-22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염화칼슘계 제설제의 제조방법
KR101658509B1 (ko) 2015-08-27 2016-09-21 정충의 소석회를 이용 이산화탄소 제거 및 부산물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090B1 (ko) 1998-09-22 2004-12-09 콘솔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석탄 연소 부산물로부터의 인공 쇄석의 제조 방법
KR101508268B1 (ko) 2008-04-24 2015-04-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석유코크스 정제분말 연소보일러용 건식탈황 집진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114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54373A1 (en) Methods for regenerating oxidants used for removing pollutants from a gas stream
US101446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ftening water for use in a scrubber
RU2434089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ахучих газов химического целлюлозного завода
KR102394441B1 (ko) 산성가스 중화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재활용 방법
KR101568616B1 (ko) 무기 탄산화 반응에서 폐기물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 및 흡수제 재이용 방법
CN103482794A (zh) 一种海绵钛生产废水的综合处理方法
CA3002655C (en) Process and system for removing sulfur dioxide from flue gas
CN103551027B (zh) 以石灰烟道气法二级盐泥为原料的二氧化硫吸收剂
CN114452803B (zh) 一种对废旧轮胎热解产生的热解气进行处理的方法和系统
JP2007137739A (ja) CaF2の回収方法
JP4664786B2 (ja) 重金属等汚染土壌の不溶化処理法
CN115159555B (zh) 一种固废焚烧烟气的处理方法和系统
JPS5978942A (ja) 光フアイバ母材製造系における排ガス処理方法
JP2010265455A (ja) 含フライアッシュ石炭からの処理石炭及びシリカの製造方法
JP2000107559A (ja) 飛灰および排煙処理方法
KR100588667B1 (ko) 반도체 폐기물의 재활용 방법
CN112941330B (zh) 一种石油焦烟尘灰处理方法
RU2243024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абгазов магниев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от хлора и хлористого водорода
KR100469178B1 (ko) 폐기의 처리 방법
CN114075035A (zh) 光纤用母材制造时所排出的废气的处理方法
CN106621753B (zh) 陶瓷工业窑炉脱硫处理方法
JP2009297639A (ja) 焼却灰の処理方法、及び焼却灰の処理システム
WO2000061266A1 (fr) Procede de recyclage de composes absorbants pour le traitement de gaz d'echappement et procede d'utilisation d'un sous-produit
RU2049063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на гипс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ого сульфит-сульфатного раствора
Hjelmar et al. Further development of a process for treatment of APC residues from MSW inciner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