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184B1 - 신속한 증거물 수집 및 교차 오염 방지능이 우수한 핀셋 - Google Patents

신속한 증거물 수집 및 교차 오염 방지능이 우수한 핀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184B1
KR102394184B1 KR1020210133396A KR20210133396A KR102394184B1 KR 102394184 B1 KR102394184 B1 KR 102394184B1 KR 1020210133396 A KR1020210133396 A KR 1020210133396A KR 20210133396 A KR20210133396 A KR 20210133396A KR 102394184 B1 KR102394184 B1 KR 102394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tweezers
unit
body cov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133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 B25B9/02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without sliding or pivotal connections, e.g. tweezers, onepiece t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원은 핀셋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핀셋 파지부의 핀셋 캡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탈착함으로서, 감식 과정이나 기타의 오염 방지가 필요한 분야에서 신속한 작업 수행 및 감식이나 증거 수집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교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핀셋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 1 측면은, 핀셋 헤드부 및 상기 핀셋 헤드부에서 두 갈래로 갈라진 압지부와 상기 압지부의 끝단에 마련되어 물체를 집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핀셋 몸체부를 포함하는 핀셋에 있어서, 상기 핀셋 몸체부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슬라이딩 운동으로 파지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핀셋 캡을 밀어서 제거시키는 탈리부를 포함하는, 핀셋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의하면, 사건 현장에서 다양한 증거물을 교차 오염의 문제 없이 그 증거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채집할 수 있으며, 다른 측면에서는 일회용 핀셋의 사용을 줄여 비용 절감 및 환경 보호의 효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속한 증거물 수집 및 교차 오염 방지능이 우수한 핀셋{TWEEZERS WITH EXCELLENT ABILITY TO QUICKLY COLLECT EVIDENCE AND PREVENT CROSS-CONTAMINATION}
본원은 핀셋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핀셋 파지부의 핀셋 캡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탈착함으로서, 감식 과정이나 기타의 오염 방지가 필요한 분야에서 신속한 작업 수행 및 감식이나 증거 수집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교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핀셋에 관한 것이다.
검찰을 비롯한 국가 수사기관이 사건 현장이나 피해자의 신체와 연접하는 여타의 생물학적 증거물을 수집, 운반, 보관, 유지 및 조사의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증거물에 포함되는 혈흔이나 지문 등의 정보는 범죄를 해결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법정에서 그 증거물이 증거능력을 갖기 위해서는 일련의 과정에서 증거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증거물의 수집 또는 채취하는 과정은 더더욱 주의를 요하는데, 일반적으로 사건 현장에서의 감식 또는 감정을 위해 증거자료를 채집할 때 일정한 동작이나 행동 및 다양한 제한적인 환경에 놓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적인 환경 속에서 증거물의 채취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증거물의 종류와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타 증거물과 섞이지 않고, 분실 또는 멸실되지 않도록 교차 오염에 대해 더욱 주의를 요한다.
증거물의 수집 또는 채취를 위해 현장에서는 일반적으로 핀셋을 이용하는데, 현재 과학 수사 사건의 감정에 사용하고 있는 핀셋은 일회용 플라스틱재의 핀셋과 철재 핀셋의 두 가지 종류의 핀셋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일회용 플라스틱재는 증거 수집에 있어서 교차오염 방지에는 효과적이나 정전기가 발생하거나 핀셋 끝의 파지력이 약해 머리카락이나 손톱 등의 미세한 증거물을 채취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플라스틱재 핀셋으로 감정물을 잡고 면봉으로 닦을 경우에 감정물이 쉽게 핀셋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한편, 철재 핀셋이나 경도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핀셋은 파지력이 우수하여 증거물을 파지하는 힘은 좋지만 여러개의 다른 감정물을 다루는 경우에는 교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한번 사용하고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로 인해 신속한 증거 수집을 수행하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최근 핀셋과 대상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핀셋의 파지부 끝단에 실리콘이나 고무재질의 캡(cap)을 씌워서 사용하거나 파지력을 높이기 위해 파지부 일면에 탄성재질을 부착하는 핀셋이 이용되고 있는데, 예시적으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9-42815 (이하, '선행기술 1'과 같음)에서는 파지부에 부채꼴 형상의 탄성재질이 부착된 핀셋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염이 유발하지 않도록 핀셋의 집게부에 형성된 캡(cap)이나 상기 선행기술 1에 제시된 기술은 한번 사용한 캡(cap)을 제거하기 위해 손으로 또는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 교차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며, 신속한 증거 채집면에서도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0858호 (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파지부의 교체가 가능한 핀셋'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압지부와 파지부 사이에 상호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결착수단을 더 구성하여, 사용자의 임의 또는 필요에 따라 파지부를 교체할 수 있는 핀셋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파지부의 교체를 위해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서 두 갈래로 갈라진 압지부 및 상기 압지부의 끝단에 마련되어 물체를 집게되는 파지부로 이루어진 물체를 집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핀셋으로서, 상기 압지부와 파지부가 상호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압지부와 파지부를 분리시키며 상기 분리되는 압지부와 파지부의 지점에 상호 결착되도록 하는 결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셋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 2의 경우에는 파지부 자체를 분리하여 교체하는 방식으로서 소비되는 파지부의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며, 이를 이용하여 증거물을 채집할 경우라도 결착수단을 분리하여 파지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손이나 다른 도구를 이용해야 완전한 분리가 가능한 점에서 증거물에 대한 교차 오염에 대한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서, 사건 현장에서 다양한 증거물을 교차 오염의 문제 없이 그 증거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채집할 수 있는 핀셋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 1 측면은, 핀셋 헤드부 및 상기 핀셋 헤드부에서 두 갈래로 갈라진 압지부와 상기 압지부의 끝단에 마련되어 물체를 집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핀셋 몸체부를 포함하는 핀셋에 있어서, 상기 핀셋 몸체부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슬라이딩 운동으로 파지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핀셋 캡을 밀어서 제거시키는 탈리부를 포함하는, 핀셋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는 상기 핀셋 몸체부에 몸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커버부에 내포되면서 파지부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핀셋 캡을 제거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에서 핀셋 캡을 제거하는 위치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길이방향으로 상부와 하부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토출부의 내측면은 상기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 커버부는 개방라인을 통해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버 이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커버부 개방라인이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 커버부는 개방라인을 통해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버이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부는 일측이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 이동부의 공간을 이동하는 레버 바디부와 타측은 외부 힘이 가해지는 레버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는 대향하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레버부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레버 체결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 체결부는 일측에 원터치 가압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 체결부는 일측에 탈착 유도홈을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는 대향하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레버부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홈과 레버부를 탈착하는 탈착 유도홈을 포함하는 레버 체결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 커버부는 개방라인을 통해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버이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부는 일측이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 이동부의 공간을 이동하는 레버 바디부와 타측은 외부 힘이 가해지는 레버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는 대향하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레버부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일자형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레버 체결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 커버부는 개방라인을 통해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버이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부는 일측이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 이동부의 공간을 이동하는 레버 바디부와 타측은 외부 힘이 가해지는 일자 형상의 레버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의 핀셋과 상기 핀셋이 거치되는 핀셋 거치부; 핀셋의 파지부에 삽입되는 핀셋 캡; 및, 상기 핀셋 캡이 거치되는 핀셋 캡 거치부;를 포함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의하면, 사건 현장에서 다양한 증거물을 교차 오염의 문제 없이 그 증거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채집할 수 있으며, 다른 측면에서는 일회용 핀셋의 사용을 줄여 비용 절감 및 환경 보호의 효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본원 핀셋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결합사시도 및 작동 예시도
도 3은 토출부 전체가 몸체 커버부에 내삽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및 활용 예시도
도 5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레버 체결부가 포함된 핀셋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사시도 및 활용도
도 7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원터치 가압부를 포함하는 핀셋의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탈착 유도홈을 포함하는 탈리부를 표현한 도면
도 9는 가이드홈과 탈착 유도홈을 포함하는 레버 체결부가 연결된 상태의 핀셋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사시도 표현한 도면
도 1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일자 형상의 레버 헤드부를 포함하는 핀셋의 사시도
도 12는 탈착 유도홈을 통해 레버 헤드부를 분리하는 상태 설명도
도 13은 본원의 제 2 측면으로서,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구현예 또는 실시예를 들어, 본원에 속한 기술 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본원을 반복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와 “연계”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해도 실질적으로 결합된 것과 실질적으로 그 과제의 해결원리가 동일할 수 있음을 포함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를 함께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전에” 또는 “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두 단계 사이에 또 다른 단계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본원 핀셋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결합사시도 및 작동 예시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제 1 측면은, 핀셋 헤드부(100) 및 상기 핀셋 헤드부에서 두 갈래로 갈라진 압지부(210)와 상기 압지부의 끝단에 마련되어 물체를 집는 파지부(220)로 구성되는 핀셋 몸체부(200)를 포함하는 핀셋에 있어서, 상기 핀셋 몸체부(200)의 내부(I1) 또는 외부(O1) 일측에 위치하고 슬라이딩 운동(S)으로 파지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핀셋 캡(300)을 밀어서 제거시키는 탈리부(400)를 포함하는 핀셋(1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핀셋 헤드부(100)는 핀셋 몸체부가 연결되면서 핀셋의 압지부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모습으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핀셋 몸체부(200)는 손가락 등으로 힘이 가해지는 압지부(210)와 증거물이 파지되는 파지부(220)로 구성되며, 상기 핀셋 캡(300)은 오염 방지를 위해 파지부 끝단에 씌워서 사용한다.
상기 핀셋 캡(300)은 증거물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잘 파지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증거물이 집히는 위치에 추가적인 요철 구성이나 엠보싱 구성(310)을 취할 수 있고, 그 형상은 사각형 접지면이나 삼각형 접지면 등 다양한 형상의 접지면을 지닐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성이나 엠보싱 구성은 핀셋 캡의 외면 뿐만 아니라 내면에 형성되어 핀셋 자체와의 미끄럼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핀셋 캡의 착용 예시로서, 하기에서 설명할 본원의 제 2 측면인 키트 내에 수납 및 정렬된 핀셋 캡에 증거물 수집을 위해 핀셋 파지부 끝단을 핀셋 캡(300) 내부에 밀어 안착 시켜 핀셋 캡을 씌운 다음 핀셋 몸체부의 압지부(210)에 손가락의 힘을 가해 증거물을 상기 파지부(220)로 파지한 다음 육안 관찰, 기구 관찰 등의 감식을 하거나 증거물을 특정 용기나 봉투에 보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탈리부(400)는 교차 오염 방지를 위해 한 번의 증거 수집에 사용한 핀셋 캡(300)을 증거물과 접지된 부위(310)에 다른 접촉함이 없도록 신속히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도 2에서와 같이 탈리부(400)는 핀셋 몸체부(200)의 내부(I1) 또는 외부(O1) 일측에 위치하고 슬라이딩 운동(S)으로 핀셋 캡(300)을 밀어서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운동(S)의 의미는 탈리부(400)가 핀셋 몸체부(200)와 연접하여 미끄러지듯 핀셋의 길이 방향(S와 동일)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400)는 핀셋 몸체부(200)에 몸체 커버부(41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커버부에 내포되면서 파지부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핀셋 캡을 제거하는 토출부(420); 및, 상기 토출부에서 핀셋 캡을 제거하는 위치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부(43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계속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토출부(420)는 판상 형상 또는 봉 형상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토출부는 몸체 커버부(410)에 내포되는데, 여기서 내포의 의미는 상기 토출부(420)의 일부가 상기 몸체 커버부의 내부에 내삽되거나, 토출부의 전부가 내삽될 수 있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토출부의 일부가 상기 몸체 커버부의 내부에 내삽된 형태로서, 상기 토출부는 길이방향으로 상부와 하부에 슬라이딩홈(421)이 형성되고 토출부의 내측면(420-I)은 상기 몸체 커버부의 외부(I1)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 커버부(410)는 개방라인(411)을 통해 레버부(430)가 길이방향(S)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버 이동부(412;빈공간임)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커버부 개방라인(411)이 상기 슬라이딩홈(421)에 연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상기 슬랑이딩 운동(S)은 상기 몸체 커버부에 일부 내삽된 토출부의 슬라이딩 홈(421)에 몸체 커버부의 일부인 개방라인(411)이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길이방향(S와 동일)으로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토출부에 형서된 슬라이딩 홈(421)에 상기 몸체 커버부의 개방라인(411)이 내삽되기 때문에 토출부가 몸체 커버부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개방라인(411)이 그 슬라이딩 홈(42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레버 이동부(도 1의 인출번호 412 참조)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상하에 위치하는 개방라인(411)에 의해 개방된 공간(빈공간)을 의미하며, 이 개방된 공간은 하나의 길과 같이 상기 토출부가 길이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레버부(430)는 상기 토출부(420)에 힘을 전달하여 토출부의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레버부는 손가락 등의 힘이 전달되는 레버 헤드부(431) 및 상기 토출부(420)와 상기 레버 헤드부(431)를 연결하는 레버 바디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헤드부(431)는 구형상 또는 단추형상 등으로 손가락 등으로 힘이 잘 전달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레버 바디부(432)는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꺾쇠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일반 원기둥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토출부의 내측면(420-I)의 상단에 위치(미도시)하여 토출부에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슬라이등 운동을 위한 힘의 전달 역할을 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구현예를 통한 핀셋 사용 후에 신속하고 교차 오염이 없도록 핀셋 캡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핀셋의 파지부 끝단에 위치하는 핀셋 캡(300)은 상기 토출부(420)의 끝단과 상기 몸체 커버부의 끝단을 감싸며 결합되어 있으며, 증거물을 수집 또는 관찰하는 감식인은 핀셋 캡(300)이 결합된 핀셋으로 평상시와 다름 없이 증거물을 수집 또는 감식을 한다. 한 차례의 증거물의 수집 또는 감식이 끝난 다음에는 감식인은 상기 레버부(430)의 상기 레버 헤드부(431)에 힘을 가하면 그 힘은 레버 바디부(432)을 통해 토출부(420)에 힘이 전달되고 토출부(420)는 핀셋 캡(300)의 내부를 밀면서 신속하게 펜셋 캡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토출부의 끝단은 핀셋 캡의 내부를 밀어서 핀셋 캡을 제거하기 때문에 핀셋 캡의 외부에 남아 있는 흔적이 핀셋으로 오염될 여지가 없도록 차단함으로써 교차 오염의 염려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앞서 토출부의 일부가 몸체 커버부에 내삽되는 예시 이외에, 상기 토출부의 전부가 상기 몸체 커버부의 내부에 내삽된 형태를 지닐 수 있다. 도 3은 토출부 전체가 몸체 커버부에 내삽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및 활용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원의 다른 구현예를 설명하면, 상기 토출부(420)는 상기 몸체 커버부(4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 커버부는 개방라인을 통해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버이동부(4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부(430)는 일측이 상기 토출부(420)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 이동부의 공간을 이동하는 레버 바디부(432)와 타측은 외부 힘이 가해지는 레버 헤드부(431)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구현예가 앞서 언급한 토출부의 일부가 몸체 커버부에 내삽되는 구현예와 다른 점은 상기 토출부(420)는 슬라이딩 홈(도 1의 인출번호 421 참조)이 없으며 토출부의 슬라이딩 운동은 상기 레버 바디부(432)가 상기 레버이동부(412)를 통해 운동하면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토출부(420)는 판상 형태 또는 봉 형태로서 앞서 언급한 슬라이딩 홈을 구성하지 않기에 더 얇은 형상을 지닐 수 있고 이 토출부가 상기 몸체 커버부에 내삽됨으로써 핀셋 몸체부(2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레버 이동부(412)는 상기 레버 바디부(432)의 두께 만큼의 폭을 지닐 수 있다. 따라서 레버 이동부의 폭이 더 좁고 정밀하게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토출부를 안정적으로 감싸 고정할 수 있고, 상기 레버 바디부(432)가 상기 레버 이동부(412)를 통해 슬라이딩 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토출부를 슬라이딩 운동을 시키기 때문에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핀셋 캡을 제거하는 역할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원의 도면에서 제시된 레버 바디부(432)는 꺾쇠형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증거물을 수집하고 감식하는 감식자는 상기 레버 헤드부(430)에 힘을 가하면 그 힘이 꺾쇠형의 상기 레버 바디부(432)에 전달되고 상기 레버 바디부(432)는 상기 레버 이동부(412)를 슬라이딩 함과 동시에 레버 바디부와 연결된 토출부(420)가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하여 파지부 끝단에 위치한 한 차례의 감식이 끝난 핀셋 캡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고, 앞선 구현예와 동일하게 토출부가 핀셋 캡의 내부를 밀어서 제거하기 때문에 완벽하게 교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레버 체결부가 포함된 핀셋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결합사시도 및 활용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400)는 대향하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부(43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레버부(430)가 좌우방향(M)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홈(510)을 포함하는 레버 체결부(500)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버부(4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구현예에서 설명한 레버 헤드부(431) 및 레버 바디부(43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상기 레버 헤드부와 레버 바디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레버 체결부(50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라면 가능하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레버 체결부(500)는 그 역할의 제 1 면으로서, 대향하여 위치하는 두개의 레버부(430)를 하나로 연결함으로써 감식자가 원터치(one-touch)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감식자는 보다 신속하게 핀셋 캡(300)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레버 체결부(500)는 레버부(430)가 좌우방향(M)으로 운동할 수 있는 가이드홈(510)을 포함하고 있는데, 감식자가 핀셋의 압지부(210)을 통해 힘을 가하여 증거물을 파지하는 경우 상기 레버부(430)는 좌우방향(M)으로 상기 가이드홈(510)을 따라 운동이 가능하고 핀셋을 집을 때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기 때문에 감식자는 평상시와 다름 없이 핀셋을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감식자는 증거물을 핀셋으로 집어 감식 및 보관 처리함에 있어서 평상시 처럼 작업을 수행하되, 한 차례의 감식이 끝난 후 핀셋 캡을 제거할 때 상기 레버 체결부(500)를 밀게 되면 한 번에(one-touch) 토출부(420)가 슬라이딩 운동을 하여 두개의 핀셋 캡(300)을 동시에 제거하므로, 더욱 신속하게 핀셋 캡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원터치를 통한 핀셋 캡 제거를 위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 체결부(500)는 일측에 원터치 가압부(530)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원터치 가압부를 포함하는 핀셋의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원터치 가압부(530)는 상기 가이드홈(510)이 형성된 축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된 형태는 막대형, 원기둥형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힘이 가해지는 면이 엄지 손가락의 지문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원터치 가압부(520)를 통해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토출부(420)에 힘을 전달하여 핀셋 캡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체결부(500) 역할의 제 2 면으로서, 레버 체결부는 복원력을 제공하여 레버부(430)를 길이 방향(S)으로 이동하여 토출부를 통해 핀셋을 제거하였을 때, 레버부을 길이 방향으로 밀었을 때 이전인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을 계속 참조하여 본원을 설명하면, 대향해 있는 상기 레버부(430) 각각은 상기 레버 체결부(500)에 형성된 가이드홈(510)에 좌측과 우측 끝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제, 감식자가 상기 레버 체결부를 통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터치(one-touch)로 상기 레버 체결부를 펜셋 캡이 위치한 방향(F)으로 밀면 핀셋 캡이 제거되는데, 이 때 레버 체결부(500)를 미는 과정에서 핀셋 몸체부(200)는 서로 좁혀져서, 레버 체결부를 밀었을 때의 핀셋 몸체부 상호 거리(L2)는 레버 체결부를 밀지 않았을 때의 핀셋 몸체부 상호거리(L1) 보다 좁게되는데, 이 때부터 핀셋 헤드부(100)는 탄성력이 작용하여 원 위치로 핀셋 몸체부를 복원시키려 한다. 그래서 핀셋 헤드부(100)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이 레버부(430)에 작용하게 되고, 레버부에 작용하는 핀셋 헤드부의 탄성력은 레버부가 맞닿아 있는 상기 가이드홈(510)의 좌우 끝단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레버 체결부(500)는 처음 밀었던 방향(F)의 반대 방향(B)으로 운동하는 힘(복원력)을 받게 되어 레버 체결부가 밀기 전의 위치로 토출부(420)를 복원하게 되면서 핀셋은 보다 신속하게 원 상태를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본원의 핀셋은 그 재질이 철재 뿐만 아니라 정전기 발생 우려가 없으면서 경도가 있는 플라스틱 수지의 핀셋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일회용의 사용을 지양하여 환경을 보존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본원이 이를 수행하고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나 본원은 이러한 환경 오염을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사용 연속성을 더욱 확실히 보장하기 위해, 감식 작업을 모두 마친 후 핀셋을 완전 분해 가능토록 하여 핀셋을 완벽하게 소독할 수 있는 편의를 함께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원의 탈리부(400)의 상기 토출부(420)는 상기 몸체 커버부에 일부 또는 전부가 내삽되어 있지만, 핀셋을 모두 사용하고 핀셋을 소독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레버부(430)을 통해 핀셋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가 포함된 토출부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핀셋 본체와 분리된 탈리부로서 토출부와 레버부를 완벽하게 소독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원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탈리부(400)가 레버 체결부(5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레버 체결부(500)가 포함된 경우에도 핀셋의 압지부에 힘을 가해 핀셋의 폭을 좁게 한 후, 상기 레버 체결부을 완전히 밀어서 토출부(420), 레버부(430) 및 레버 체결부(500)가 일체로 연결된 구성을 분리할 수 있고, 이를 분리된 핀셋 본체와 함께 완벽하게 소독을 수행할 수 있으나, 레버 체결부도 분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 체결부(500)는 그 일측에 탈착 유도홈(520)을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탈착 유도홈을 포함하는 탈리부를 표현한 도면으로서, 도 8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의 (a)에서와 같이, 상기 탈착 유도홈(520)은 상기 가이드홈(510)의 중앙 부분과 연결되어 일자형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되 그 일측은 개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탈착 유도홈(520)을 통해 감식자가 감식 작업을 모두 완료하고 핀셋을 소독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레버 체결부(500)를 완전히 밀어 토출부(420), 레버부(430) 및 레버 체결부(500)가 연결된 것을 핀셋으로 부터 분리한 후, 도 8의 (b)와 같이 레버 체결부의 상기 탈착 유도홈(520)을 통해 상기 레버부(430)를 분리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레버부(430)는 일 구현예에 있어서 레버 헤드부(431) 및 레버 바디부(4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버 바디부(432)의 이동 경로인 가이드홈(510)를 통해 탈착 유도홈(520)까지 이동하여 레베부가 포함된 토출부를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핀셋 가압부(210)를 통해 핀셋을 어느 정도 가압한 후, 상기 탈착 유도홈(520)으로 가까워진 레버부(430)을 하나 씩 탈착 유도홈에서 분리하여 1차적으로 상기 레버 체결부를 분리한 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버부가 연결된 토출부를 핀셋 본체로 부터 분리하여 소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소독이 끝 난 후, 건조 및 보관을 위한 조립은 위 순서 중 어느 하나의 역순서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가이드홈과 탈착 유도홈을 포함하는 레버 체결부가 연결된 상태의 핀셋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400)는 대향하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부(43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레버부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홈(510)과 레버부를 탈착하는 탈착 유도홈(520)을 포함하는 레버 체결부(500)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420)는 상기 몸체 커버부(4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 커버부는 개방라인(411)을 통해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버이동부(4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부(430)는 일측이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 이동부의 공간을 이동하는 레버 바디부(432)와 타측은 외부 힘이 가해지는 레버 헤드부(431)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구현예에 의하면, 핀셋의 두께를 더욱 얇게하면서도, 토출부(420), 레부버(430) 및 레버체결부(500)를 핀셋으로 부터 완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일자 형상의 레버 헤드부를 포함하는 핀셋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탈착 유도홈을 통해 레버 헤드부를 분리하는 상태 설명도로서,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탈착 유도홈이 없는 경우에는 핀셋을 완전 분해 할 수 있기 위해 도 11 에서와 같이, 상기 탈리부는 대향하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부(43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레버부(43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일자형 가이드홈(510)을 포함하는 레버 체결부(500)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420)는 상기 몸체 커버부(4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 커버부는 개방라인(411)을 통해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버이동부(4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부(430)는 일측이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 이동부의 공간을 이동하는 레버 바디부(432)와 타측은 외부 힘이 가해지는 일자 형상의 레버 헤드부(431)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일자 형상의 레버 헤드부(431)는 앞서 언급한 탈착 유도홈이 없는 레버 체결부(500)에서 가이드홈(510)을 통해서 레버부(43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자 형상의 레버 헤드부(431)는 레버 바디부(432)와 연결된 일자형 가이드홈(510)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데, 도 12의 (a)에서와 같이 연결되어 있는 모습에서는 레버 헤드부의 일자형과 가이드홈의 일자형은 십자형을 이루고 있어서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소독을 위해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 12의 (b)에서와 같이 레버 체결부를 핀셋 길이 방향으로 완전히 밀어 토출부(420), 레버부(430) 및 레버 체결부(500)를 핀셋 본체로 부터 분리하고, 이후 십자형을 이루는 레버 헤드부(431)와 가이드홈(510)을 어느 하나를 회전하여 일자형으로 만든 후 레버 헤드부를 가이드홈에서 분리할 수 있고, 이렇게 구성요소를 완전히 분리하여 안전하고 완벽하게 소독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고, 조립은 위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원의 제 2 측면인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의 사시도로서, 본원의 키트는 본원의 제 1 측면의 핀셋(10)과 상기 핀셋이 거치되는 핀셋 거치부(20); 핀셋의 파지부에 삽입되는 핀셋 캡(300); 및, 상기 핀셋 캡이 거치되는 핀셋 캡 거치부(30);를 포함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2)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2) 과학 수사 등의 감식을 위해 필요한 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키트로서, 본원의 핀셋(10) 이외에 법광원 장치(51), 면봉(52) 등의 다양한 도구를 수납 할 수 있으며 핀셋 보관을 위한 용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핀셋 거치부(20)는 본원의 핀셋(10)이 거치되는 부위로서, 통상적으로 핀셋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홈이 형성된 거치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홈이 없이 핀셋을 고정하는 고정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에 맞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핀셋 캡 거치부(30)는 상기 핀셋 캡(300)이 거치되되, 핀셋 캡의 입구(311)가 위로 위치하는 형태로 핀셋 캡이 상기 핀셋 캡 거치부에 거치된다. 이 때 핀셋 캡은 감식 상황의 필요에 맞게 삼각형태(350) 또는 사각형태(360) 등의 캡의 형상의 구별,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의 구별, 요철 구성이나 엠보싱 구성(310)의 구별이 된 구획을 지정하여 식별기호(53)로 키트에 정렬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식별기호를 통해 감식자는 감식의 상황에 맞게 신속하게 취사선택하여 감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핀셋 캡의 입구(311)가 위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감식자는 본원의 핀셋의 파지부를 위에서 아래로 핀셋 캡의 입구로 바로 삽입시켜 핀셋에 핀셋 캡을 고정시키고, 핀셋 캡이 고정된 핀셋을 다시 후방으로 빼서 바로 감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도 교차 오염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신속한 감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핀셋 캡은 내면에도 요철 구성이나 엠보싱 구성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핀셋 캡이 고정된 핀셋을 다시 후방으로 뺄 때에도 핀셋 캡이 핀셋으로 부터 미끌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원에 대해 이상에서 구현예 또는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핀셋 헤드부 및 상기 핀셋 헤드부에서 두 갈래로 갈라진 압지부와 상기 압지부의 끝단에 마련되어 물체를 집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핀셋 몸체부를 포함하는 핀셋에 있어서,
    상기 핀셋 몸체부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슬라이딩 운동으로 파지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핀셋 캡을 밀어서 제거시키는 탈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탈리부는 상기 핀셋 몸체부에 몸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커버부에 내포되면서 파지부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핀셋 캡을 제거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에서 핀셋 캡을 제거하는 위치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인,
    핀셋.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길이방향으로 상부와 하부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토출부의 내측면은 상기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 커버부는 개방라인을 통해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버 이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커버부 개방라인이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결된 것인,
    핀셋.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 커버부는 개방라인을 통해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버이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부는 일측이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 이동부의 공간을 이동하는 레버 바디부와 타측은 외부 힘이 가해지는 레버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인,
    핀셋.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는 대향하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레버부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레버 체결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인,
    핀셋.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체결부는 일측에 원터치 가압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인,
    핀셋.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체결부는 일측에 탈착 유도홈을 추가 포함하는 것인,
    핀셋.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는 대향하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레버부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홈과 레버부를 탈착하는 탈착 유도홈을 포함하는 레버 체결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 커버부는 개방라인을 통해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버이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부는 일측이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 이동부의 공간을 이동하는 레버 바디부와 타측은 외부 힘이 가해지는 레버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인,
    핀셋.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는 대향하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레버부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일자형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레버 체결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몸체 커버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 커버부는 개방라인을 통해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버이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부는 일측이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 이동부의 공간을 이동하는 레버 바디부와 타측은 외부 힘이 가해지는 일자 형상의 레버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인,
    핀셋.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핀셋;
    상기 핀셋이 거치되는 핀셋 거치부;
    핀셋의 파지부에 삽입되는 핀셋 캡; 및,
    상기 핀셋 캡이 거치되는 핀셋 캡 거치부;를 포함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KR1020210133396A 2021-10-07 2021-10-07 신속한 증거물 수집 및 교차 오염 방지능이 우수한 핀셋 KR102394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396A KR102394184B1 (ko) 2021-10-07 2021-10-07 신속한 증거물 수집 및 교차 오염 방지능이 우수한 핀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396A KR102394184B1 (ko) 2021-10-07 2021-10-07 신속한 증거물 수집 및 교차 오염 방지능이 우수한 핀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184B1 true KR102394184B1 (ko) 2022-05-04

Family

ID=8158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396A KR102394184B1 (ko) 2021-10-07 2021-10-07 신속한 증거물 수집 및 교차 오염 방지능이 우수한 핀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1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086U (ko) * 2012-08-10 2014-02-19 황인식 모듈픽업용 핀셋 캡
JP2018204997A (ja) * 2017-05-31 2018-12-2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Pesi探針用ハンド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086U (ko) * 2012-08-10 2014-02-19 황인식 모듈픽업용 핀셋 캡
JP2018204997A (ja) * 2017-05-31 2018-12-2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Pesi探針用ハンドリン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2253A (en) Clip applier tool
US7398880B2 (en) Scalpel blade remover
US20060175853A1 (en) Tweezer
RU2606043C2 (ru) Система для упаковывания и нанесения продукта, в частности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продукта
US4726264A (en) Stopper removal apparatus
US20220040837A1 (en) Multi-Functional Safe-Touching Tool
KR102394184B1 (ko) 신속한 증거물 수집 및 교차 오염 방지능이 우수한 핀셋
WO2016054501A1 (en) Sharps blade applicator and storage device
KR102394186B1 (ko) 신속한 증거물 수집 및 교차 오염 방지능이 우수한 핀셋 캡 탈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핀셋
KR102394185B1 (ko) 신속한 증거물 수집 및 교차 오염 방지능이 우수한 핀셋
US8371764B2 (en) Handle sanitizer
US4238883A (en) Scraper assembly with blade lock means
US5884953A (en) Gripping device
US20050048438A1 (en) Case for retaining dental cleaning tools therein
AU2019353742B2 (en) Gripper for manipulating a device for identifying an animal and/or removing tissue from an animal comprising holding means with remote actuation
US9839459B2 (en)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implant, one gripping device and one element for the traceability of the implant, and method for traceably handling the implant of such an assembly
US4182033A (en) Scraper assembly
WO2006115529A2 (en) Surgical instrument container assembly with snap fit handle assembly
CN111449728A (zh) 一种手术刀
JP3110371B2 (ja) ピンセット
US8191863B2 (en) Staple remover
KR101922480B1 (ko) 딸깍이 결합형 음료용기
US20160236506A1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 Replaceable Sleeve
CN213202329U (zh) 一种安瓿瓶开瓶工具
JP2003144339A (ja) ト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