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092B1 - 저작 컨텐츠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저작 컨텐츠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092B1
KR102394092B1 KR1020200100058A KR20200100058A KR102394092B1 KR 102394092 B1 KR102394092 B1 KR 102394092B1 KR 1020200100058 A KR1020200100058 A KR 1020200100058A KR 20200100058 A KR20200100058 A KR 20200100058A KR 102394092 B1 KR102394092 B1 KR 102394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or
transaction
blockchain network
management system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9529A (ko
Inventor
김홍진
한석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0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0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6Monitoring of piracy processes or acti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고유 DID를 이용해 작가를 인증하는 작가 인증부; 및 상기 DID 및 관련 임시 플래그 값을 포함하는 작가 인증 정보 및 상기 작가가 생성한 저작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고,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을 생성해 등록하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1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을 포함함 -; 및 상기 작가 인증 정보 및 상기 저작 컨텐츠를 암호화한 해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고,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상기 제2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을 생성해 등록하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 -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2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을 포함함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작 컨텐츠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COPYRIGHTED CONTENT MANAGING SYSTEM FOR PREVENTING COUNTERFEIT AND TAMPERING OF COPYRIGHTED CONTENT, AND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저작 컨텐츠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불리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피어 투 피어(P2P, peer-to-peer)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는 분산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 기술 기반의 데이터 변조 방지 기술이다. 블록체인에서 개별의 트랜잭션(transaction)은 탈중앙화된 전자장부에 쓰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사용자들의 컴퓨터에서 서버가 운영되어 중앙은행 없이 개인 간의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하다. 블록체인의 블록에 들어 있는 트랜잭션의 내역을 원장(ledger)이라고 한다.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29629 호(발명의 명칭: 블록체인상의 컨텐츠 관리방법 및 그 장치, 특허권자: ㈜팀그릿)가 있다. 해당 등록특허공보에는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컨텐츠 관리방법은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3개 이상의 비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밀정보를 서로 다른 주체에게 분배하는 단계; 상기 서로 다른 주체에 분배된 비밀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비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는 비밀키를 복구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비밀키로 복호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현재 TV나 영화관을 통하여 드라마나 영화들이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드라마나 영화 제작의 기본이 되는 시나리오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명확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신인 작가들의 새로운 저작물이 탄생하기 보다는, 주로 유명한 작가들 위주로 드라마 또는 영화의 시나리오가 창작되거나 이들의 일부를 수정하여 다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컨텐츠 저작권 관리 방식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컨텐츠들에 대해 서명값을 사용 혹은 클라우드에 업로드하여 관리하였다. 그러나 이 방식은 컨텐츠 데이터를 위/변조하기 쉬우며,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없다. 또한,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비밀키를 공유하여 관리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는 비밀키가 중간에 탈취되거나 다수의 키 관리에 따른 위험성이 존재한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고유 DID를 이용해 작가를 인증하는 작가 인증부; 및 상기 DID 및 관련 임시 플래그 값을 포함하는 작가 인증 정보 및 상기 작가가 생성한 저작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고,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을 생성해 등록하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1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을 포함함 -; 및 상기 작가 인증 정보 및 상기 저작 컨텐츠를 암호화한 해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고,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상기 제2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을 생성해 등록하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 -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2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을 포함함 -;를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작가 인증부에서 작가를 인증하는 단계는, 통신사가 DID 생성을 요청한 작가의 고유 DID를 발급하고,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DID 인증 값 기반 증명서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통신사가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DID 인증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상기 통신사에 증명서를 발급하고, 관련 임시 플래그 값을 생성하여 상기 통신사에 전달하며,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도 상기 임시 플래그 값을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임시 플래그 값 및 DID의 인증을 요청해 검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제1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는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방송사, 엔터테인먼트사 및 작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제2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는 통신사,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및 작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시놉시스인 경우 상기 저작 컨텐츠는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요약, 본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소재인 경우 상기 저작 컨텐츠는 타이틀,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본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가 접근 가능하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저작 컨텐츠의 조회 주체 정보 및 조회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고유 DID를 이용해 작가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DID 및 관련 임시 플래그 값을 포함하는 작가 인증 정보 및 상기 작가가 생성한 저작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고,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을 생성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 -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1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을 포함함 -; 및 상기 작가 인증 정보 및 상기 저작 컨텐츠를 암호화한 해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고,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상기 제2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을 생성해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 -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2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을 포함함 -;를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작가 인증부에서 작가를 인증하는 단계는, 통신사가 DID 생성을 요청한 작가의 고유 DID를 발급하고,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DID 인증 값 기반 증명서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통신사가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DID 인증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상기 통신사에 증명서를 발급하고, 관련 임시 플래그 값을 생성하여 상기 통신사에 전달하며,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도 상기 임시 플래그 값을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임시 플래그 값 및 DID의 인증을 요청해 검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1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는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방송사, 엔터테인먼트사 및 작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2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는 통신사,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및 작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시놉시스인 경우 상기 저작 컨텐츠는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요약, 본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소재인 경우 상기 저작 컨텐츠는 타이틀,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본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가 접근 가능한 관리자부에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저작 컨텐츠의 조회 주체 정보 및 조회 시간 정보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작 컨텐츠 데이터와 작가 인증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제1 및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따로 두어 데이터의 위/변조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인증 정보와 저작 컨텐츠를 작가, 엔터테인먼트사, 방송사,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간 공유하고, 작가 인증 주체인 통신사와 작가들 간에는 인증 정보와 저작 컨텐츠를 해시한 해시 데이터만 공유하여 저작 컨텐츠의 권리 남용 위험을 제거하고, 작가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작 컨텐츠의 다양성과 독창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을 통한 작가 이력 관리를 통해 이력 위조 방지 및 관리 개선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내에서 작가를 인증하는 과정 및 제1 트랜잭션과 제2 트랜잭션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1 트랜잭션이 생성되고 관련 원장을 등록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2 트랜잭션이 생성되고 관련 원장을 등록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제1 트랜잭션의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제2 트랜잭션의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작가 인증부(110); 제1 트랜잭션(123)을 생성하고 검증 후 관련 원장을 생성, 등록하며, 제1 트랜잭션(123)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126)를 포함하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및 제2 트랜잭션(133)을 생성하고 검증 후 관련 원장을 생성, 등록하며, 제2 트랜잭션(133)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136)를 포함하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저작 컨텐츠(143)는 작가에 의해 데이터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후에, 작가 인증부(110)는 데이터 생성부의 작가 DID(146) 및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와 관련해 작가를 인증한다. 상기 작가 인증 단계는 후술할 도 2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데이터 생성부(140)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100)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작가가 개인 PC, 태블릿(tablet) 및 노트북 등을 이용하여 작성한 저작 컨텐츠(143)가 저장된 서버일 수 있다. 저작 컨텐츠(143)는 제1 트랜잭션(123)에 포함되며, 작가는 제1 트랜잭션 연관 엔티티 중 하나로 작가는 제1 트랜잭션 연관 엔티티 대응 노드(126)를 통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저작 컨텐츠 관리와 관련하여, 저작 컨텐츠(143)가 컨텐츠 제공업체 측이 운영하는 서버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서버 탈취 또는 저작권자 이름 도용의 위험이 있으나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및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저장하여 위조 및 변조 위험 없이 저작 컨텐츠(143)의 관리가 가능해진다.
제1 트랜잭션(123)은 작가 DID(146) 및 관련 임시 플래그 값을 포함하는 작가 인증 정보 및 상기 작가가 생성한 저작 컨텐츠(143)를 포함하고,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제1 트랜잭션(123)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제1 트랜잭션(123)과 관련된 원장(leger)이 생성되고,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등록된다.
제2 트랜잭션(133)은 작가 DID(146) 및 관련 임시 플래그 값을 포함하는 작가 인증 정보 및 저작 컨텐츠(143)를 암호화한 해시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제2 트랜잭션(133)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제2 트랜잭션(133)과 관련된 원장(leger)이 생성되고,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등록된다.
제1 트랜잭션(123) 연관 엔티티 대응 노드(126)와 관련하여, 제1 트랜잭션(123)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는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방송사, 엔터테인먼트사 및 작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잭션 데이터의 경우 후술할 도 5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2 트랜잭션(133) 연관 엔티티 대응 노드(136)와 관련하여, 제1 트랜잭션(133)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는 통신사,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및 작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은 예를 들어 한국 저작권 보호원일 수 있다. 제2 트랜잭션 데이터의 경우 후술할 도 6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여기서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은 예를 들어 한국 저작권 보호원일 수 있다.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및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참여하고 저작 컨텐츠(143)와 관련된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저작권 보호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시놉시스인 경우 저작 컨텐츠는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요약, 본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소재인 경우 저작 컨텐츠는 타이틀,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본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부(150)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및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가 접근 가능한 서버로,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의 제1 트랜잭션(123) 및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의 제2 트랜잭션(133)에 포함된 저작 컨텐츠와 관련하여 조회 주체에 대한 정보(153) 및 조회 시간에 대한 정보(156)를 포함한다. 저작 컨텐츠(143)의 위조 및 변조, 남용, 표절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조회 주체 정보(153) 및 조회 시간 정보(156)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내에서 작가를 인증하는 과정 및 제1 트랜잭션과 제2 트랜잭션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통신사(220)가 DID 생성을 요청(215)한 작가(210)의 고유 DID를 발급(225)하고,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해당 정보를 공유한다. 이 때 통신사 뿐만 아니라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예를 들어 한국 저작권 보호원도 DID 발급(225)에 관여할 수 있다. 통신사(220)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DID 인증 값 기반 증명서 생성을 요청(230)한다. 통신사(220)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DID 인증 정보를 확인(235)한 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통신사(220)에 DID 증명서를 발급(240)하고, 관련 임시 플래그 값을 생성하여 통신사(220)에 전달한다. 임시 플래그 값은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 또한 공유한다.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상기 임시 플래그 값 및 DID의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 결과를 수신한다(245).
DID란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신원증명(Decentralized Identity)으로, 개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저장해 인증의 주체는 개인이 되고, 한 발급 기관이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인증 자체에 대한 도용 위험성이 없다. 상기 인증 과정에서 한 번 인증 받게 된 이후부터는 임시 플래그 값을 공유하여 임시 플래그 값을 가지고 있는 작가(210)만 저작 컨텐츠(143)를 이용해 블록체인 원장 생성 요청을 진행할 수 있다.
DID 인증 방식에서는 블록체인 원장을 생성한 주체가 원장을 조회할 수 있는 키 값을 가지고, 이를 공유하지 않는다. 이는 컨텐츠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비밀키를 공유하여 관리하는 방식과 차이가 있다. 향후 관리자부(150)에서 데이터 조회가 필요한 경우에 키 값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작가 인증이 끝나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내 제1 트랜잭션(123)이 생성되고, 참여자들에게 검증 완료 후 원장(ledger)이 생성(250)된다.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서 원장이 생성되는 과정은 후술할 도 3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2 트랜잭션(133)의 경우에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서 저작 컨텐츠(143)를 암호화한 해시 데이터가 생성되고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로 전송(255)된 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 내에서 제2 트랜잭션(133)이 생성되고, 참여자들에게 검증 완료 후 원장이 생성(260)된다.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서 원장이 생성되는 과정은 후술할 도 4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의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및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의 참여 주체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다.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고유 DID를 이용해 작가를 인증하는 단계; DID 및 관련 임시 플래그 값을 포함하는 작가 인증 정보 및 작가가 생성한 저작 컨텐츠(143)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123)을 생성하고,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제1 트랜잭션(123)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제1 트랜잭션(123)과 관련된 원장(ledger)을 생성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등록하는 단계 -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제1 트랜잭션(123)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126)을 포함함 -; 및 작가 인증 정보 및 저작 컨텐츠(143)를 암호화한 해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133)을 생성하고,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제2 트랜잭션(133)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제2 트랜잭션(133)과 관련된 원장을 생성해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등록하는 단계 -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는 제2 트랜잭션(133)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136)을 포함함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서 작가 인증하는 과정은 전술한 도 2와 같이 진행된다. 통신사(220)가 DID 생성을 요청(215)한 작가(210)의 고유 DID를 발급(225)하고,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해당 정보를 공유한다. 이 때 통신사 뿐만 아니라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예를 들어 한국 저작권 보호원도 DID 발급(225)에 관여할 수 있다. 통신사(220)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DID 인증 값 기반 증명서 생성을 요청(230)한다. 통신사(220)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DID 인증 정보를 확인(235)한 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통신사(220)에 DID 증명서를 발급(240)하고, 관련 임시 플래그 값을 생성하여 통신사(220)에 전달한다. 임시 플래그 값은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 또한 공유한다.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상기 임시 플래그 값 및 DID의 인증을 요청해 검증받는다(245).
DID란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신원증명(Decentralized Identity)으로, 개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저장해 인증의 주체는 개인이 되고, 한 발급 기관이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인증 자체에 대한 도용 위험성이 없다. 상기 인증 과정에서 한 번 인증 받게 된 이후부터는 임시 플래그 값을 공유하여 임시 플래그 값을 가지고 있는 작가(210)만 저작 컨텐츠(143)를 이용해 블록체인 원장 생성 요청을 진행할 수 있다.
DID 인증 방식에서는 블록체인 원장을 생성한 주체가 원장을 조회할 수 있는 키 값을 가지고, 이를 공유하지 않는다. 이는 컨텐츠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비밀키를 공유하여 관리하는 방식과 차이가 있다. 향후 관리자부(150)에서 데이터 조회가 필요한 경우에 키 값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작가 인증이 끝나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내 제1 트랜잭션(123)이 생성되고, 참여자들에게 검증 완료 후 원장(ledger)이 생성(250)된다.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서 원장이 생성되는 과정은 후술할 도 3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2 트랜잭션(133)의 경우에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서 저작 컨텐츠(143)를 암호화한 해시 데이터가 생성되고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로 전송(255)된 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 내에서 제2 트랜잭션(133)이 생성되고, 참여자들에게 검증 완료 후 원장이 생성(260)된다.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서 원장이 생성되는 과정은 후술할 도 4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의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및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의 참여 주체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다.
제1 트랜잭션(123) 연관 엔티티 대응 노드(126)와 관련하여, 제1 트랜잭션(123)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는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방송사, 엔터테인먼트사 및 작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잭션 데이터의 경우 후술할 도 5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2 트랜잭션(133) 연관 엔티티 대응 노드(136)와 관련하여, 제1 트랜잭션(133)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는 통신사,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및 작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은 예를 들어 한국 저작권 보호원일 수 있다. 제2 트랜잭션 데이터의 경우 후술할 도 6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여기서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은 예를 들어 한국 저작권 보호원일 수 있다.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및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에 참여하고 저작 컨텐츠(143)와 관련된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저작권 보호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시놉시스인 경우 저작 컨텐츠는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요약, 본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소재인 경우 저작 컨텐츠는 타이틀,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본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1 트랜잭션이 생성되고 관련 원장을 등록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도 2의 흐름에 따라 작가 인증(310) 후, 작가가 저작 컨텐츠를 생성한다(320). 그리고, DID 및 관련 임시 플래그 값을 포함하는 작가 인증 정보 및 작가가 생성한 저작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을 생성한다(330). 생성한 제1 트랜잭션을 검증(340)하는 단계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중인 다른 노드에서,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된다. 검증되지 않는다면(343), 다시 처음으로 돌아간다. 검증된다면(346), 제1 트랜잭션과 관련된 블록체인 원장이 생성(350)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2 트랜잭션이 생성되고 관련 원장을 등록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도 2의 흐름에 따라 작가 인증(410) 후, 작가 인증 정보 및 저작 컨텐츠 기반 해시 데이터가 생성된다(420). 이는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서 저작 컨텐츠(143)를 암호화한 해시 데이터가 생성되고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로 전송(255)된 것이다. 생성한 제2 트랜잭션을 검증(440)하는 단계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중인 다른 노드에서, 제2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된다. 검증되지 않는다면(443), 다시 처음으로 돌아간다. 검증된다면(446), 제2 트랜잭션과 관련된 블록체인 원장이 생성(450)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제1 트랜잭션의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10은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시놉시스인 경우의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Body 데이터 부에는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요약, 본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저작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530은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소재인 경우의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Body 데이터 부에는 타이틀,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본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저작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Header 데이터 부는 블록 간의 연결을 위해 이전 블록 해시 값을 포함하며, Body 데이터 해시 값도 포함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제2 트랜잭션의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130)의 경우에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저작 컨텐츠를 해시한 원본 데이터 해시값을 포함하기 때문에 저작 컨텐츠가 시놉시스이든 소재이든 상관없이 이들 저작 컨텐츠를 해시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5와 비교하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원본 데이터와 이를 해시한 데이터가 같이 블록으로 저장되고,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데이터 원본을 기반으로 해시 데이터만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고유 DID를 이용해 작가를 인증하는 작가 인증부; 및
    상기 DID 및 관련 임시 플래그 값을 포함하는 작가 인증 정보 및 상기 작가가 생성한 저작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고,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을 생성해 등록하는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1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을 포함함 -; 및
    상기 작가 인증 정보 및 상기 저작 컨텐츠를 암호화한 해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고,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상기 제2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을 생성해 등록하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 -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2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DID를 이용해 작가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작가의 고유 DID 인증 정보를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확인함에 따라 DID 인증 값 기반 증명서를 발급하고, 상기 증명서와 관련된 상기 임시 플래그 값을 생성하여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임시 플래그 값 및 상기 고유 DID 인증 정보의 인증을 요청해 검증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는,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방송사, 엔터테인먼트사 및 작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는,
    통신사,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및 작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시놉시스인 경우 상기 저작 컨텐츠는,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요약, 본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소재인 경우 상기 저작 컨텐츠는,
    타이틀,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본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가 접근 가능하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저작 컨텐츠의 조회 주체 정보 및 조회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자부
    를 더 포함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8.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고유 DID를 이용해 작가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DID 및 관련 임시 플래그 값을 포함하는 작가 인증 정보 및 상기 작가가 생성한 저작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고,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을 생성해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 -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1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을 포함함 -; 및
    상기 작가 인증 정보 및 상기 저작 컨텐츠를 암호화한 해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고, 참여 중인 다른 노드에서 판단된 상기 제2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을 생성해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 -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2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DID를 이용해 작가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작가의 고유 DID 인증 정보를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확인함에 따라 DID 인증 값 기반 증명서를 발급하고, 상기 증명서와 관련된 상기 임시 플래그 값을 생성하여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임시 플래그 값 및 상기 고유 DID 인증 정보의 인증을 요청해 검증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는,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방송사, 엔터테인먼트사 및 작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잭션과 연관된 복수의 엔티티는,
    통신사, 저작권 보호 관련 주무관청 및 작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시놉시스인 경우 상기 저작 컨텐츠는,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요약, 본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컨텐츠가 드라마 및 영화의 소재인 경우 상기 저작 컨텐츠는,
    타이틀, 필명, 장르, 무드태그, 자유태그, 본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가 접근 가능한 관리자부에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저작 컨텐츠의 조회 주체 정보 및 조회 시간 정보를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00100058A 2020-08-10 2020-08-10 저작 컨텐츠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4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058A KR102394092B1 (ko) 2020-08-10 2020-08-10 저작 컨텐츠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058A KR102394092B1 (ko) 2020-08-10 2020-08-10 저작 컨텐츠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529A KR20220019529A (ko) 2022-02-17
KR102394092B1 true KR102394092B1 (ko) 2022-05-03

Family

ID=8049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058A KR102394092B1 (ko) 2020-08-10 2020-08-10 저작 컨텐츠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513A (ko) 2022-04-22 2023-10-31 최화인 피스의 선택적 조합과 재구현을 통한 아이템 거래 중개 시스템
KR20230150512A (ko) 2022-04-22 2023-10-31 최화인 피스 재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상 아이템 발행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5768B (zh) * 2016-03-01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版权管理方法和系统
KR102331947B1 (ko) * 2017-09-28 2021-11-25 주식회사 케이티 블록체인에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529A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674B1 (ko) 블록체인 기반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CN107145768B (zh) 版权管理方法和系统
US11757641B2 (en) Decentralized data authentication
CN110046996B (zh) 数据处理方法和装置
JP2020145733A (ja) 信頼できるアイデンティティを管理する方法
KR101026607B1 (ko) 디지털 콘텐츠 공표 및 대응 디지털 공표자 라이센스 발행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143228B1 (ko) 디지털 콘텐츠 권리 관리 아키텍처로의 drm 서버등록/부등록 방법
US20040148523A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US897272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ing a secure end-to-end protocol with embedded encryption keys
Liu et al. Design patterns for blockchain-based self-sovereign identity
US11917071B2 (en) Data protection using universal tagging
JP2004056794A (ja) コンテンツの権利管理のための領域ベース信用モデル
KR101817152B1 (ko) 신뢰된 권한 정보 제공 방법, 신뢰된 권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크리덴셜 발급 방법 및 사용자 크리덴셜 획득 방법
US20090199303A1 (en) Ce device management server, method of issuing drm key by using ce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3610528B (zh) 基于区块链的管理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2394092B1 (ko) 저작 컨텐츠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저작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37274A (ko)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30252181A1 (en) Cont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England et al. Amp: Authentication of media via provenance
CN116167017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鞋类原创设计ai数字版权管理系统
Adjei-Mensah et al. Securing music sharing platforms: A blockchain-based approach
US8755521B2 (en) Security method and system for media playback devices
US10999077B2 (en) Data protection using sporadically generated universal tags
Reddy et al. Framework for privacy preserving credential issuance and verification system using soulbound token
US202401768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derivative digital assets by branching on an original non-fungible tok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