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368B1 - 광케이블 보호관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368B1
KR102393368B1 KR1020220003173A KR20220003173A KR102393368B1 KR 102393368 B1 KR102393368 B1 KR 102393368B1 KR 1020220003173 A KR1020220003173 A KR 1020220003173A KR 20220003173 A KR20220003173 A KR 20220003173A KR 102393368 B1 KR102393368 B1 KR 102393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cable protection
weight
parts
prot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남
Original Assignee
케이넷(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넷(주) filed Critical 케이넷(주)
Priority to KR102022000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F16L7/02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and sealing the pipes or cables inside the other pipes, cables or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83/00Polysilox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광케이블 보호관이 개시된다.
본 발명이 일례에 의한 광케이블 보호관은, 외층 및 상기 외층과 결합되는 내층으로 이루어지는 이층관 형태의 광케이블 보호관이며, 상기 외층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층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1 내지 50 중량부, 슬립제 0.1 내지 5 중량부, 핵제 0.1 내지 4 중량부, 상용화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가공조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광케이블 보호관{Optical cable protection pipe}
본 발명은 광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부에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광케이블 보호관의 제조과정에서 불량율을 줄이고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광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정보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각종 정보의 초고속 전달이 가능한 광케이블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인 광케이블의 시공 과정을 살펴보면, 기지국, 건물, 중계기 등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광케이블 보호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방식 등으로 설치한 다음, 광케이블을 견인하여 광케이블 보호관 내로 포설하거나, 압축공기와 포설 장비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광케이블 보호관 내로 공압 포설하는 방식에 의한다.
광케이블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공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광케이블 보호관 내면의 마찰계수가 낮은 것이 매우 유리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광케이블 보호관은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층과, 상기 외층에 결합되며 폴리에틸렌과 실리콘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층의 이층관 구조로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호관은 내층의 마찰계수가 충분히 낮지 못하여 광케이블을 광케이블 보호관에 포설하는 과정에서 한계가 있었으며, 광케이블 보호관의 제조과정에서 압출 다이에 쌓인 실리콘 수지가 제조되는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층 내부로 떨어져 내층을 막아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불량이 발생하여도 광케이블 보호관의 제조과정에서 이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어렵고, 지중에 매설된 광케이블 보호관 내부로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확인될 경우 이를 보수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9592호(공고일자 : 2014.05.0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층과 내층의 이층관 형태로 광케이블 보호관을 형성하고,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내층의 마찰계수를 낮추어 광케이블의 포설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광케이블 보호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케이블 보호관의 제조과정에서 불량율을 줄이고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광케이블 보호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케이블 보호관은, 외층 및 상기 외층과 결합되는 내층으로 이루어지는 이층관 형태의 광케이블 보호관이며, 상기 외층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층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1 내지 50 중량부, 슬립제 0.1 내지 5 중량부, 핵제 0.1 내지 4 중량부, 상용화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가공조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립제는 올레아마이드(Oleamide)일 수 있다.
상기 핵제는 1,3:2,4-비스-오-[(4-메틸페닐)메틸렌] 헥시톨(1,3:2,4-bis-O-[(4-methylphenyl)methylene] Hexitol)일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실란 그래프트 폴리에틸렌(Silane-grafted polyethylene)일 수 있다.
상기 가공조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0.05 내지 2.5 중량부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0.05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내층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활제 0.1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스테아린산 칼슘(Calcium stearate)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외층과 내층의 이층관 형태로 광케이블 보호관을 형성하고,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내층의 마찰계수를 낮추어 광케이블 포설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광케이블 보호관의 제조과정에서 불량율을 줄이고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보호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보호관이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광케이블 보호관을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광케이블 보호관의 단면을 확대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절단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절단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광케이블 보호관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외층을 이루는 수지로 폴리에틸렌을, 내층을 이루는 수지로 폴리에틸렌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지지 않은 특정 성분을 특정 조성으로 첨가한 것을 선정하고, 이들을 공압출(Coextrusion)하여 외층과 내층을 갖는 이층관 형태의 광케이블 보호관을 제조할 경우, 제조되는 광케이블 보호관 내층의 마찰계수를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광케이블 보호관의 제조과정에서 불량율을 줄이고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케이블 보호관(100)은 외층(110) 및 상기 외층(110)과 결합되는 내층(120)으로 이루어지는 이층관 형태이며, 공압출(Coextrusion) 방식으로 제조된다.
상기 외층(110)은 제조되는 광케이블 보호관(100)의 기본 물성을 확보하면서 내층을 보호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은 통상의 폴리에틸렌이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층(120)을 이루는 폴리에텔렌(Polyethylene)도 동일하다.
상기 내층(120)은 상기 외층(110)과 결합되며, 그 내면에 광케이블이 포설된다.
상기 내층(120)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1 내지 50 중량부, 슬립제 0.1 내지 5 중량부, 핵제 0.1 내지 4 중량부, 상용화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가공조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의 광케이블 보호관은 외층을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내층을 폴리에틸렌(Polyethylene)에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광케이블 보호관에 광케이블을 보다 효율적으로 포설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 보호관 내면의 마찰계수가 낮아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내층을 폴리에틸렌(Polyethylene)에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만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종래의 광케이블 보호관은 내층의 마찰계수가 충분히 낮지 못하여 광케이블을 광케이블 보호관에 포설하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케이블 보호관은 내층을 이루는 수지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슬립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립제는 내층의 마찰계수를 낮추어 광케이블의 포설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이며, 슬립제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마찰계수를 낮추는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슬립제의 함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도 등과 같은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슬립제로는 올레아마이드(Oleamide)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성과정에서 슬립제로 다양한 물질을 선정하여 시험하였으나, 올레아마이드(Oleamide)가 마찰계수를 낮추는데 가장 뛰어난 효과를 보였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슬립제는 올레아마이드(Oleami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올레아마이드(Oleamide) 이외에 마찰계수를 낮출 수 있는 다양한 슬립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슬립제의 종류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언급한 종래의 광케이블 보호관은 외층을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지로, 내층을 폴리에틸렌(Polyethylene)에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을 첨가한 수지를 이용하여 압출 공법으로 제조하는데, 제조과정 중에 압출 다이의 내층부에서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분리된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이 조금씩 쌓이다가 그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제조되는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부로 떨어져 내층 내부를 막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케이블 보호관은 내층을 이루는 수지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핵제 0.1 내지 4 중량부, 상용화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가공조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핵제는 결정화를 촉진하여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이며, 핵제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결정화를 촉진하여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핵제의 함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도 등과 같은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핵제로는 1,3:2,4-비스-오-[(4-메틸페닐)메틸렌] 헥시톨(1,3:2,4-bis-O-[(4-methylphenyl)methylene] Hexitol)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성과정에서 핵제로 다양한 물질을 선정하여 시험하였으나, 1,3:2,4-비스-오-[(4-메틸페닐)메틸렌] 헥시톨(1,3:2,4-bis-O-[(4-methylphenyl)methylene] Hexitol)이 결정화를 촉진하여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뛰어난 효과를 보였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핵제는 1,3:2,4-비스-오-[(4-메틸페닐)메틸렌] 헥시톨(1,3:2,4-bis-O-[(4-methylphenyl)methylene] Hexitol)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3:2,4-비스-오-[(4-메틸페닐)메틸렌] 헥시톨(1,3:2,4-bis-O-[(4-methylphenyl)methylene] Hexitol) 이외에 결정화를 촉진하여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핵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핵제의 종류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용화제는 서로 다른 이종 고분자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간의 상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이며, 상용화제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상 분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상용제의 함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도 등과 같은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상용화제로는 실란 그래프트 폴리에틸렌(Silane-grafted polyethylene)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성과정에서 상용화제로 다양한 물질을 선정하여 시험하였으나, 실란 그래프트 폴리에틸렌(Silane-grafted polyethylene)이 서로 다른 이종 고분자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간의 상 분리를 방지하는데 가장 뛰어난 효과를 보였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상용화제는 실란 그래프트 폴리에틸렌(Silane-grafted polyethylene)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란 그래프트 폴리에틸렌(Silane-grafted polyethylene) 이외에 서로 다른 이종 고분자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간의 상 분리를 방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상용화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상용화제의 종류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공조제는 압출 다이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의 점착을 줄이고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이며, 가공조제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압출 다이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의 점착을 줄이고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가공조제의 함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도 등과 같은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가공조제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0.05 내지 2.5 중량부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0.05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성과정에서 가공조제로 다양한 물질을 선정하여 시험하였으나,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0.05 내지 2.5 중량부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0.05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압출 다이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의 점착을 줄이고 가공성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뛰어난 효과를 보였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가공조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0.05 내지 2.5 중량부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0.05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0.05 내지 2.5 중량부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0.05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 이외에 압출 다이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의 점착을 줄이고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가공조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가공조제의 종류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내층(120)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활제 0.1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압출 성형과정에서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의 유동성을 개선시켜 수지가 제조설비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이며, 활제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의 유동성을 개선시켜 수지가 제조설비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활제의 함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도 등과 같은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활제로는 스테아린산 칼슘(Calcium stearate)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완성과정에서 활제로 다양한 물질을 선정하여 시험하였으나, 스테아린산 칼슘(Calcium stearate)을 사용하는 것이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의 유동성을 개선시켜 수지가 제조설비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뛰어난 효과를 보였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활제는 스테아린산 칼슘(Calcium stear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테아린산 칼슘(Calcium stearate) 이외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의 유동성을 개선시켜 수지가 제조설비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활제의 종류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내층(120)을 이루는 수지의 성분 및 그 성분비는 본 발명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무수한 반복 실험 끝에 얻어진 최적 값이며, 내층(120)을 이루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에 특정 성분 및 성분비의 기능성 첨가제를 상술한 바와 같이 첨가함에 의하여,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내층(120)의 마찰계수를 낮추어 광케이블 포설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의 다이 빌드업(Build-up) 등을 방지할 수 있어 개선된 품질의 광케이블 보호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케이블 보호관(100)의 외층(110)과 내층(120) 각각에는 카본블랙, 자외선안정제, 색상구현을 위한 칼라 마스터배치(Color master batch),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등과 같은 통상의 합성수지관 제조에 사용되는 다양한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외층(110)과 내층(120)의 이중관 형태로 제조된 광케이블 보호관(100)은 단독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광케이블 보호관(100)이 피복관(200)에 의하여 결속된 형태로 사용된다.
실제 광케이블 보호관(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관(200)에 의하여 다수가 결속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광케이블 보호관(100)의 사용은 단독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형태로 피복관(200)에 의하여 결속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본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 광케이블 보호관의 제조
외층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이 100 : 15로 배합된 수지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래의 표와 같은 첨가제를 첨가하여 내층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Figure 112022002782816-pat00001
상기 외층 수지 조성물과 내층 수지 조성물 각각을 Twin screw 압출기를 통하여 용융하고 공압출(Coextrusion)하여, 이층관 구조의 광케이블 보호관을 제조하였다. 이때, 외경 14mm, 내경 10mm, 두께 2mm, 내층 두께 0.15mm, 외층 두께 1.85mm가 되도록 하였으며, 제조된 광케이블 보호관의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는 다양한 색상을 가지도록 제조된 광케이블 보호관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광케이블 보호관 중 칼라를 가지는 광케이블 보호관은 외층 수지 조성물에 해당 칼라를 구현하기 위한 칼라 마스터배치(Color master batch)를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 기준으로 2 중량부를 첨가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제조된 광케이블 보호관의 단면을 확대 촬영하여 나타낸 것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층과 외층이 견고하게 결합된 이층관 형상으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내층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이 100 : 15로 배합된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으로 광케이블 보호관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비교예로 하였다.
마찰계수 측정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제조된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면에 대한 마찰계수를 측정하여 이를 하기의 표에 나타내었다.
마찰계수의 측정은 "GR-356-CORE_4.2.5 Coefficients of Friction - Telcordia"에 규정된 바에 의하였다.
Figure 112022002782816-pat00002
상기 표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케이블 보호관은 비교예에 의한 광케이블 보호관에 비하여 내면의 마찰계수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보호관은 종래에 비하여 광케이블 포설 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광케이블 보호관 내부 상태 확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광케이블 보호관과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광케이블 보호관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광케이블 보호관을 절단하여 이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광케이블 보호관은 그 내부가 막히지 않고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되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광케이블 보호관 내부는 제조과정 중에 분리된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에 의하여 막히는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종래에 비하여 광케이블 보호관의 제조과정에서 불량율을 줄이고,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광케이블 보호관
110 : 외층
120 : 내층
200 : 피복관

Claims (7)

  1. 외층 및 상기 외층과 결합되는 내층으로 이루어지는 이층관 형태의 광케이블 보호관이며,
    상기 외층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층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1 내지 50 중량부, 슬립제 0.1 내지 5 중량부, 핵제 0.1 내지 4 중량부, 상용화제 0.1 내지 3 중량부, 가공조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활제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보호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제는 올레아마이드(Oleam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보호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제는 1,3:2,4-비스-오-[(4-메틸페닐)메틸렌] 헥시톨(1,3:2,4-bis-O-[(4-methylphenyl)methylene] Hexit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보호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실란 그래프트 폴리에틸렌(Silane-grafted polyeth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보호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조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0.05 내지 2.5 중량부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0.05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보호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제는 스테아린산 칼슘(Calcium stea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보호관.


KR1020220003173A 2022-01-10 2022-01-10 광케이블 보호관 KR102393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173A KR102393368B1 (ko) 2022-01-10 2022-01-10 광케이블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173A KR102393368B1 (ko) 2022-01-10 2022-01-10 광케이블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368B1 true KR102393368B1 (ko) 2022-05-02

Family

ID=8159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173A KR102393368B1 (ko) 2022-01-10 2022-01-10 광케이블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3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2717A (ja) * 2010-05-21 2011-12-01 Fujikura Ltd 光ファイバ保護用パイプ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101389592B1 (ko) 2012-11-16 2014-05-07 케이유피피(주) 광케이블 보호관
KR20160100991A (ko) * 2013-12-18 2016-08-2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광섬유 케이블 부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2717A (ja) * 2010-05-21 2011-12-01 Fujikura Ltd 光ファイバ保護用パイプ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101389592B1 (ko) 2012-11-16 2014-05-07 케이유피피(주) 광케이블 보호관
KR20160100991A (ko) * 2013-12-18 2016-08-2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광섬유 케이블 부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4676B1 (en) Cable jackets having designed micro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cable jackets having designed microstructures
KR102239100B1 (ko) 감소된 수축 및 향상된 가공성을 갖는 케이블 재킷용 폴리올레핀-기재 화합물
US6968106B2 (en) Air blown fiber (ABF) cable with low composi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EP0250278B1 (fr) Nouveau matériau de remplissage et de flottabilité-procédé de fabrication et ensembles tubulaires incorporant ce matériau
EP1321703B1 (en) Plastics pipes
US2013016028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able, and resulting product, with reduced required installation pulling force
US2016001294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able, and resulting product, with reduced required installation pulling force
US6931190B2 (en) Optical fiber unit for air blown fiber installation
US20230049582A1 (en) Cable sheath material
KR102393368B1 (ko) 광케이블 보호관
EP3357072B1 (en) Peelable cable jacket having designed micro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peelable cable jackets having designed microstructures
JP7177826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構成要素のためのポリマー組成物
KR102646332B1 (ko) 설계된 미세구조를 갖는 박리가능한 케이블 재킷 및 설계된 미세구조를 갖는 박리가능한 케이블 재킷의 제조 방법
CN101655589B (zh) 一种光缆用填充材料及制造方法
EP2318456B1 (en) Pipe comprising a polyolefin composition reinforced with a filler
MX2007007507A (es) Conducto principal mejorado con el conducto interior y metodo para producirlo.
KR100638963B1 (ko) 공기압 포설용 튜브 및 이를 이용한 튜브케이블
US20180233252A1 (en) Peelable cable jackets having designed micro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peelable cable jackets having designed microstructures
CN111690261B (zh) 耐磨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和浆液管道
CN110571748A (zh) 一种地下通信管道用耐热耐磨高韧性pvc实壁管
JP5255308B2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当該樹脂組成物を備えた通信ケーブル
GB2303938A (en) Optical fibre cable having kingwire bearing extruded thermoplastic elastomer layers
KR102227653B1 (ko) 내압과 내스크레치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보수용 고탄성력 폴리에틸렌 접철관
JP3569324B2 (ja) ホース製造用マンドレル
GB2170019A (en) Submarine optical fiber cable having graft polymer j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