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243B1 -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243B1
KR102393243B1 KR1020200038962A KR20200038962A KR102393243B1 KR 102393243 B1 KR102393243 B1 KR 102393243B1 KR 1020200038962 A KR1020200038962 A KR 1020200038962A KR 20200038962 A KR20200038962 A KR 20200038962A KR 102393243 B1 KR102393243 B1 KR 102393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main body
mask
fine dust
disaster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737A (ko
Inventor
오세군
Original Assignee
오세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군 filed Critical 오세군
Priority to KR1020200038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24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 및 입 주변과 코 주변을 덮어 가려 보호하는 본체; 하부가 본체의 상부에 재봉 또는 접착되며, 착용자의 눈과 눈 주변을 덮어 눈을 보호하는 투시창; 및 본체 및 투시창의 양측 끝단에 재봉 또는 접착되어 제공되는 한 쌍의 이어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MASK FOR DISASTER EVACUATION AND FINE DUST}
본 발명(Disclosure)은,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와 유독가스 및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과 같은 미세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착용자의 호흡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대피 및 산업현장 작업 시 연기와 유독가스 및 분진 등으로부터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화재 사망 원인의 대부분은 화염에 의한 사망(燒死)보다 대피 지연으로 인한 연기와 유독가스 흡입에 따른 질식사(窒息死)가 대부분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인명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대피하는 시간 동안 충분히 호흡할 수 있으면서 연기와 유독가스 속에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방독면이나 산소마스크 등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방독면 및 산소마스크 등은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 가정 등에서는 비치하여 놓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독면의 경우 착용 방법을 미리 숙지하고 있어야만 하고, 착용 방법을 숙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급박한 상황에서는 신속하게 착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산소마스크의 경우 대피하는 동안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지만 대피자의 눈이 연기와 유독가스 등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시야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기가 저장된 산소통의 부피가 커서 휴대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마찬가지로 신속하게 착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96414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8809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3011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01438호
본 발명(Disclosure)은,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와 유독가스 및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과 같은 미세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착용자의 호흡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대피 및 산업현장 작업 시 연기와 유독가스 및 분진 등으로부터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 및 입 주변과 코 주변을 덮어 가려 보호하는 본체; 하부가 본체의 상부에 재봉 또는 접착되며, 착용자의 눈과 눈 주변을 덮어 눈을 보호하는 투시창; 및 본체 및 투시창의 양측 끝단에 재봉 또는 접착되어 제공되는 한 쌍의 이어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에서, 본체 내면의 상부 측에는 본체의 내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김 서림 방지부재가 재봉 또는 접착되어 제공되되, 김 서림 방지부재의 중앙부에는 착용자의 콧등이 끼워지는 함몰된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홈의 양단부는 안착홈을 기준으로 점층적으로 낮아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에서, 본체에는 착용자의 호흡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에서, 본체의 내면 내측에는 착용자의 호흡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체크밸브로 안내하는, 플렉시블 소재 및 주름관 형태로 제공되는 가이드 관체가 배치되되, 가이드 관체의 시작단은 착용자의 입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확관되어 제공되며, 가이드 관체의 연장단은 체크밸브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에서, 각각의 이어밴드에는 이어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끈 길이 조절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에서, 본체 및 본체와 연결된 투시창의 바깥둘레는 튜브부재에 의해 마감되며, 튜브부재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게 하여 튜브부재를 부풀릴 수 있게 하는 개폐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에서, 튜브부재 내부에는 압축 스티로폼이 튜브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호흡기를 덮어 보호하는 본체와 착용자의 눈을 덮어 보호하는 투시창이 제공되기 때문에 연기와 유독가스 및 분진과 같은 미세먼지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대피로를 확인하면서 신속하게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기와 유독가스 및 분진 등으로부터 시야를 확보하면서 대피 및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호흡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본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호흡하는 공기 중에 이산화탄소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호흡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 관체가 플렉시블한 소재 및 주름관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대피 및 작업 시 착용자의 과도한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에게 이물감이 들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내면 상부 측에 김 서림 방지부재가 제공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호흡으로 인해 투시창에 김 서림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100)는 본체(110), 투시창(120) 및 본체(110) 및 투시창(12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이어밴드(130)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110)는 착용자의 호흡기인 입과 코를 덮어 화재 시 화염으로부터 착용자의 입과 코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본체(110)의 형상을 특별하게 제한하지는 않는다.
즉, 본체(110)가 착용자의 입과 코 뿐만 아니라 입 주변과 코 주변을 덮어 가릴 수 있다면 본체(110)는 어떠한 형태로 제공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체(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며, 외피와 내피는 통상의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연기와 유독가스 및 분진과 같은 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하고 정화된 공기만을 착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될 수 있게 하는 통상의 필터가 내장되거나, 외피와 내피가 자체가 통상의 부직포 필터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 내측의 상부 측에는 착용자의 호흡으로 인해 투시창(120)에 김 서림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김 서림 방지부재(112)가 재봉되거나 접착되어 제공된다.
김 서림 방지부재(112)는 본체(110)의 내면에서 내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평면에서 봤을 때 김 서림 방지부재(112)의 중앙부에는 착용자의 콧등이 끼워지는 함몰된 형태의 안착홈(114)이 형성되고, 안착홈(114)의 양단부는 안착홈(114)을 기준으로 점층적으로 낮아지게 연장된다.
여기서, 김 서림 방지부재(112)의 안착홈(114)의 양단부가 안착홈(114)을 기준으로 점층적으로 낮아지게 연장시키는 것은 안착홈(114)의 양단부를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시켜 투시창(120)에 김 서림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김 서림 방지부재(112)는 부드러운 재질, 일례로 스펀지 등을 도 2에 도시된 김 서림 방지부재(112)의 형상으로 성형시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에는 착용자의 호흡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본체(110) 외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관체(116) 및 체크밸브(118)가 장착된다.
체크밸브(1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김 서림 방지부재(112)에 간섭되지 않게 본체(110)의 중앙부분에 고정 장착되며, 가이드 관체(116)는 본체(110)의 내면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본체(110)의 내면 내측에 배치된 가이드 관체(116)의 시작단은 착용자의 입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확관된 형태로 제공되며, 가이드 관체(116)의 연장단은 체크밸브(118)와 연결된다.
즉, 착용자의 호흡으로 인해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착용자의 입 및 가이드 관체(116)를 통해 체크밸브(118)를 거쳐 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되며, 체크밸브(118)는 연기와 유독가스 및 분진과 같은 미세먼지는 유입되지 않게 한다.
여기서, 가이드 관체(116)는 대피 및 작업 시 착용자의 과도한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감을 주지 않도록 플렉시블한 소재 및 주름관 형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시창(120)은 착용자의 눈을 덮어 화재 시 화염 및 연기와 유독가스로부터 착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게 하면서 대피 시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하며, 산업현장 작업 시 분진과 같은 미세먼지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게 하면서 작업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투시창(120)은 하부 측이 김 서림 방지부재(112)에 간섭되지 않게 본체(110)의 상부 측에 재봉되거나 접착되어 제공된다.
투시창(120)은 화염에 강한 내열성, 빛 투과율이 높고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 바람직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작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시창(120)의 내면은 착용자의 호흡으로 인한 김 서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약품처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으로 제공되는 이어밴드(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투시창(120)의 양측에 형성되되, 각각의 이어밴드(130)의 일단은 본체(110)의 양측에 재봉되거나 접착되며, 각각의 이어밴드(130)의 타단은 인접한 투시창(120)의 양측에 재봉되거나 접착되어 제공된다.
이렇게 형성된 한 쌍의 이어밴드(130)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100) 착용 시 투시창(120)을 착용자의 눈 위치에 고정시키며 동시에 본체(110)를 착용자의 입과 코 위치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이어밴드(130)의 재질을 특별하게 제한하지는 않으나, 이어밴드(130)는 본체(110) 및 투시창(120)이 착용자의 입과 코 위치 및 눈 위치에 밀착되어 연기와 유독가스 및 분진과 같은 미세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게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이어밴드(130)에는 이어밴드(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통상의 끈 길이 조절구(132) 등이 장착되어 제공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끈 길이 조절구(132)의 구성 및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및 본체(110)와 연결된 투시창(120)의 바깥둘레는 튜브부재(140)가 접착되어 마감될 수 있으며, 튜브부재(140)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튜브부재(140)를 부풀릴 수 있게 하는 개폐밸브(142)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용 마스트(100) 착용 시 튜브부재(140)를 부풀려 착용함으로써, 착용자의 안면 굴곡과 관계없이 부풀려진 튜브부재(140)가 본체(110) 및 투시창(120)을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본체(110) 및 투시창(120)의 바깥둘레를 통한 연기와 유독가스 및 분진과 같은 미세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튜브부재(140) 내부에는 개폐밸브(142)를 개방시키는 것만으로도 튜브부재(140)를 부풀릴 수 있게 하는 통상의 압축 스티로폼(도시되지 않음)이 튜브부재(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내장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튜브부재(140)의 표면은 화염에 견딜 수 있도록 통상의 내열성 소재로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가 유입되면 팽창되는 압축 스티로폼의 작용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재난대피용 마스크(10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회용 파우치 등에 개별로 포장되어 소비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하기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되, 화재 발생 상황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100)를 이용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기 위해서는,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100)가 포장된 파우치를 절개해 파우치의 내부에서 마스크(100)를 신속하게 인출시킨다.
마스크(100)가 인출되면, 마스크(100)의 본체(110) 내면 및 투시창(120) 내면을 입과 코 및 눈에 마주하게 배치시킨 상태 하에서 각각의 이어밴드(130)를 각각의 귀에 걸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0)의 착용을 완료한다.
그리고 마스크(100)의 착용이 완료되면, 착용자는 가이드 관체(116)의 시작단 내측으로 입을 수용시킨 상태 하에서 코로는 공기를 흡입해 마시고 가이드 관체(116)로는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도록 입으로 호흡하면서 투시창(120)을 통해 대피로를 확인하면서 신속하게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다.
이때, 착용자의 호흡으로 인해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는 가이드 관체(116)를 따라 체크밸브(118) 측으로 안내되며, 체크밸브(118)는 안내된 이산화탄소를 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며 동시에 연기와 유독가스의 유입은 차단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100)는 착용자의 호흡기를 덮어 보호하는 본체(110)와 착용자의 눈을 덮어 보호하는 투시창(120)이 제공되기 때문에 연기와 유독가스 및 분진과 같은 미세먼지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대피로를 확인하면서 신속하게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기와 유독가스 및 분진 등으로부터 시야를 확보하면서 대피 및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호흡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본체(1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호흡하는 공기 중에 이산화탄소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호흡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 관체(116)가 플렉시블한 소재 및 주름관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대피 및 작업 시 착용자의 과도한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에게 이물감이 들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110)의 내면 상부 측에 김 서림 방지부재(112)가 제공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호흡으로 인해 투시창(120)에 김 서림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착용자의 입과 코 및 입 주변과 코 주변을 덮어 가려 보호하는 본체;
    하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재봉 또는 접착되며, 착용자의 눈과 눈 주변을 덮어 눈을 보호하는 투시창;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투시창의 양측 끝단에 재봉 또는 접착되어 제공되는 한 쌍의 이어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내면의 상부 측에는 상기 본체의 내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김 서림 방지부재가 재봉 또는 접착되어 제공되되, 상기 김 서림 방지부재의 중앙부에는 착용자의 콧등이 끼워지는 함몰된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양단부는 상기 안착홈을 기준으로 점층적으로 낮아지게 연장되며,
    상기 본체에는 착용자의 호흡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내면 내측에는 착용자의 호흡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상기 체크밸브로 안내하는, 플렉시블 소재 및 주름관 형태로 제공되는 가이드 관체가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 관체의 시작단은 착용자의 입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확관되어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 관체의 연장단은 상기 체크밸브와 연결되는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어밴드에는 상기 이어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끈 길이 조절구가 장착되는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된 상기 투시창의 바깥둘레는 튜브부재에 의해 마감되며,
    상기 튜브부재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게 하여 상기 튜브부재를 부풀릴 수 있게 하는 개폐밸브가 장착되는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 내부에는 압축 스티로폼이 상기 튜브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내장되는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

KR1020200038962A 2020-03-31 2020-03-31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 KR102393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962A KR102393243B1 (ko) 2020-03-31 2020-03-31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962A KR102393243B1 (ko) 2020-03-31 2020-03-31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737A KR20210121737A (ko) 2021-10-08
KR102393243B1 true KR102393243B1 (ko) 2022-04-29

Family

ID=7811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962A KR102393243B1 (ko) 2020-03-31 2020-03-31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2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072A (ja) * 2003-10-30 2005-05-26 Tadashi Miyamoto 化学物質過敏症及びウイルス対策用マスク
KR101854270B1 (ko) * 2017-12-12 2018-05-03 주식회사 파파플랜트 방진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438A (ko) 2000-09-29 2001-01-05 최승철 시작페이지 맞춤 설정 서비스
KR20080047523A (ko) 2008-05-10 2008-05-29 권칠성 비상시 산소 안전 마스크
KR20090091274A (ko) * 2009-07-27 2009-08-27 황태명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KR20170048809A (ko) 2015-10-27 2017-05-10 주식회사 뮤즈모아 산소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방연 및 단열, 두건형태의 마스크
KR101985274B1 (ko) * 2017-09-01 2019-06-04 박진수 벤튜리 효과를 활용한 마스크 배기밸브
KR102030115B1 (ko) 2018-07-17 2019-10-08 정쌍석 화재 대피용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072A (ja) * 2003-10-30 2005-05-26 Tadashi Miyamoto 化学物質過敏症及びウイルス対策用マスク
KR101854270B1 (ko) * 2017-12-12 2018-05-03 주식회사 파파플랜트 방진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737A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265B2 (en) Protective hood
KR101854270B1 (ko) 방진 마스크
NO151879B (no) Pustemaske, saerlig for fluktsituasjoner
KR20180002801U (ko) 이중 구조의 방진 마스크
KR102132140B1 (ko) 화재 대피시 시야확보가 가능한 아이글라스를 포함하는 방연 마스크
KR20110024278A (ko) 외기 차단형 마스크
KR200237646Y1 (ko) 방독면용 보호두건의 가스유입방지구조
KR20120001812U (ko) 일회용 마스크
US20160193485A1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CN111629791A (zh) 呼吸用的充气式罩
KR102393243B1 (ko)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
KR101692949B1 (ko) 방진 마스크
TWI583426B (zh) 頭罩式防毒面具
JPH11290472A (ja) 呼吸保護具
KR20180000473U (ko) 분리형 보호복이 구비된 송기 마스크
KR100452167B1 (ko) 개인휴대용 화재안전 방독가스 마스크
KR102275324B1 (ko) 화재대피용 안면마스크
KR200346391Y1 (ko) 방독면
KR20190001328A (ko) 탈부착식 방재 마스크
GB2367755A (en) Emergency escape hood
KR20050104851A (ko) 화재대피를 위한 휴대용 방연마스크(후드형)
JP6096920B2 (ja) 改善された保護呼吸装置吸入ダクト
KR200324177Y1 (ko) 재난대피를 위한 초소형 휴대용 후드
KR102499783B1 (ko) 간이 방호복
KR102382876B1 (ko) 화재 대피용 일체형 생존키트 및 이와 연동되는 피난유도 led라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