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115B1 - 화재 대피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화재 대피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115B1
KR102030115B1 KR1020180082708A KR20180082708A KR102030115B1 KR 102030115 B1 KR102030115 B1 KR 102030115B1 KR 1020180082708 A KR1020180082708 A KR 1020180082708A KR 20180082708 A KR20180082708 A KR 20180082708A KR 102030115 B1 KR102030115 B1 KR 102030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eat transfer
inlet
mask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쌍석
Original Assignee
정쌍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쌍석 filed Critical 정쌍석
Priority to KR102018008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시에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때까지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건물에 비치되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로서, 입과 코와 마주보는 중앙부(110)가 관통형성되는 안면마스크(100);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상기 안면마스크(100)의 중앙부(110)를 가로막게 결합되고, 입과 코와 인접한 일측면에 배출구(210)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유입구(220)가 형성되는 하우징부(200);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를 따라 나선을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와 배출구(210) 사이를 연결하는 감압전열관(300); 및 산소를 포함한 압축된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용기로서, 누름 작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스템노즐(410)이 구비되며, 상기 스템노즐(410)과 상기 감압전열관(300)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 측에 결합되는 공기통(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 대피용 마스크{Gas mask for using in escaping from fire}
본 발명은 화재 대피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시에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때까지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건물에 비치되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재 발생 시에 대피용으로 착용할 수 있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화재 대피용 마스크는 간이 호흡기구, 자급식 호흡기구, 비상탈출용 산소공급장치, 구명용 호흡기, 휴대용 호흡기, 소방용 공기호흡기로도 불리며, 공기 중의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방식, 미리 충전된 압축공기를 마스크로 공급하는 방식, 산소를 자체적으로 발생시켜 마스크로 공급하는 방식 등으로 크게 분류된다.
이 중, 미리 충전된 압축공기를 마스크로 공급하는 방식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에 대한 일례가 공개특허 제10-2005-0092997호('비상용 산소공급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비상용 산소공급장치'는 고압의 산소통을 결착할 수 있는 산소캔 결착부(10), 감압부(20), 유량조절장치(30), 산소배출구(40)로 이루어지는 산소공급장치(1)와, 외부공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투시창(102)과 산소호스 연결구(104)가 형성된 두건(100)과, 산소공급장치(1)와 두건부(100)의 산소호스 연결구(104)를 연결하는 산소호스(101)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화재 시에 사람이 산소를 공급받으면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용 산소공급장치'는 산소캔(2)으로부터 분출된 공기가 감압부(20)에 의해 순간적으로 팽창·감압됨으로 인해, 공기의 단열팽창에 의한 온도차이로 산소캔(2) 내부 표면에 이슬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산소캔(2) 내부에 습기가 생기게 되면, 산화작용에 의해 산소캔(2)이 부식되어 수명이 단축될 수밖에 없음은 물론, 산화작용에 의해 산소캔(2) 내부의 산소가 소모되고 질소만 가득차게 됨으로 인해,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비상용 산소공급장치'는 산소캔(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너무 차가워 사람이 흡입하기에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산소캔(2)에 충전되는 공기는 35℃의 온도 및 300bar의 압력의 조건으로 충전되는데, 35℃의 온도를 갖는 공기가 밖으로 배출되면, 단열팽창에 의해 그 온도가 급격히 내려가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2997호(2005.09.23. 공개 공고, 발명의 명칭 : 비상용 산소공급장치)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람이 흡입하기 용이한 적절한 온도를 갖는 공기를 제공할 수 있고, 공기통 내부의 습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고 가벼우며 신속하고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는, 입과 코와 마주보는 중앙부(110)가 관통형성되는 안면마스크(100);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상기 안면마스크(100)의 중앙부(110)를 가로막게 결합되고, 입과 코와 인접한 일측면에 배출구(210)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유입구(220)가 형성되는 하우징부(200);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를 따라 나선을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와 배출구(210) 사이를 연결하는 감압전열관(300); 및 산소를 포함한 압축된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용기로서, 누름 작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스템노즐(410)이 구비되며, 상기 스템노즐(410)과 상기 감압전열관(300)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 측에 결합되는 공기통(400);을 포함하고, 상기 감압전열관(300)과 교차되도록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되고, 상기 감압전열관(300)이 통과하는 지점에 각각 통과홀(510)이 형성되며, 외부의 열을 상기 감압전열관(300)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전열판(500);을 더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감압전열관(300)은, 제1 직경(d1)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에서 내부를 따라 나선을 이루는 제1 감압전열관(301)과, 상기 제1 직경(d1)보다 작은 제2 직경(d2)을 가지며, 상기 제1 감압전열관(301)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감압전열관(301)의 내부 또는 외부를 따라 나선을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부(200)의 배출구(210) 측으로 연장되는 제2 감압전열관(30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에는, 상기 공기통(400)의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유입구(220)의 입구(220a) 측에 형성되는 나사산(221)과, 상기 공기통(400)과 함께 삽입되는 스템노즐(410)이 가로막혀 눌리도록 상기 유입구(220)의 출구(220b) 측을 차폐하고 상기 스템노즐(410)의 중공유로(411)가 닿는 지점에 통공(222a)이 형성되는 차폐판(222)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에 따르면, 화재 시에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때까지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를 제공할 수 있고, 공기통에서 분출된 차가운 공기가 나선 형태로 된 감압전열관을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감압 및 가열됨으로써, 사람이 흡입하기 용이한 적절한 온도를 갖는 공기가 공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감압전열관의 직경을 크게 구성하고 제2 감압전열관의 직경은 작게 구성함으로써, 공기의 감압이 단계적으로 안정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제1 감압전열관과 공기통 간의 단면적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아짐으로써, 공기의 순간적 팽창·감압으로 인한 습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산화 작용으로 인한 공기통의 수명 단축, 산소 결핍에 의한 안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압전열관이 하우징부에 내설되고, 공기통이 하우징부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작고 가볍운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한정된 공간에 많은 수량의 마스크를 비치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통을 약간 돌리면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신속하고 간단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사용상태를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에 포함된 하우징부와 공기통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에 포함된 감압전열관의 나선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는 도 1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에 포함된 하우징부와 공기통 간의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하우징부에 가결합된 공기통의 돌림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과정도.
도 6은 도 1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 및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용 마스크의 사용상태를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에 포함된 하우징부와 공기통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에 포함된 감압전열관의 나선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는 도 1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에 포함된 하우징부와 공기통 간의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하우징부에 가결합된 공기통의 돌림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과정도이며, 도 6은 도 1의 화재 대피용 마스크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 및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용 마스크는 화재 시에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때까지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건물에 비치되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로서, 안면마스크(100), 하우징부(200), 감압전열관(300) 및 공기통(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면마스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과 코와 마주보는 중앙부(110)가 관통형성되는 마스크 형상의 가림부재이다. 눈과 마주보는 안면마스크(100)의 안구 부분에 투명 재질의 보호경(120)을 결합하여 열기나 연기가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면마스크(100)는 탄성을 갖는 머리끈 등을 통해 머리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신을 가릴 수 있는 두건과 방화복이 안면마스크(100)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안면마스크(100) 중, 입과 가까운 중앙부(110)의 인근에는 숨구멍(130)이 형성된다. 숨구멍(130)은 입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는 기능과, 안면마스크(10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안면마스크(100) 내에 형성되는 양압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안면마스크(100)로 공급되는 공기를 입으로 흡입한 후 코로 내뱉는 것이 산소 공급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안면마스크(100)의 내부에는 입에 밀착되도록 별도의 호흡구(140)가 설치된다. 호흡구(140)는 입을 감싸는 반구 형상으로 제작되고, 후술되는 감압전열관에서 공기를 전달받는다.
하우징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안면마스크(100)의 중앙부(110)를 가로막게 결합되고, 입과 코와 인접한 내측면에 배출구(210)가 형성되고, 양측의 어느 한 면에 유입구(220)가 형성된다.
하우징부(200)는 가볍고 가공이 쉬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며, 안면마스크(100)와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도 있다.
감압전열관(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와 배출구(210)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감압전열관(300)은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후술되는 공기통을 머리 위나 어깨, 등 등에 착용하고, 긴 호스로 연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호스가 노출되면 시각적으로 좋지 않고, 마스크 착용 시에도 거추장스럽게 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감압전열관(300)을 노출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전열관(300)은 후술되는 공기통(40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과 온도를 서서히 떨어뜨리기 위해 도입된 구성으로서, 한정된 공간에서 전체 경로의 길이가 최대가 되도록 하우징부(200)의 내부를 따라 나선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감압전열관(300)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다른 제1 감압전열관(301)과 제2 감압전열관(302)이 서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제1 감압전열관(301)은 제1 직경(d1)을 가지며,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에서 출발하여 하우징부(200)의 내부를 따라 나선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제2 감압전열관(302)은 제1 직경(d1)보다 작은 제2 직경(d2)을 가지며, 제1 감압전열관(301)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제1 감압전열관(301)의 내부공간 또는 외부공간을 따라 나선을 이루면서 하우징부(200)의 배출구(210) 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감압전열관(302)이 제1 감압전열관(301)의 내부공간을 따라 나선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제1 감압전열관(301)을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한 것은, 제1 감압전열관(301)과, 이것이 연결되는 공기통(400) 사이의 단면적 변화가 되도록 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감압전열관(302)의 제2 직경(d2)을 제1 감압전열관(301)의 제1 직경(d1)보다 작게 한 것은, 관의 급축소에 따른 에너지 손실에 의해 공기의 압력이 단계적으로 줄어들도록 하기 위함이다.
공기의 압력(P)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전열관(300)을 따라 흐르면서 관 내부 마찰에 의해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감압전열관(301)과 제2 감압전열관(302)의 직경 차이가 있는 지점(L1)에서 압력이 추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또한, 아래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400)에서 배출된 차가운 공기, 예를 들어 최초 35℃의 온도에서 단열팽창에 의해 5℃ ~ 10℃의 온도로 하강한 차가운 공기가 감압전열관(300)을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상호 열 교환에 의해 공기의 온도(T)가 대기 온도와 근접하게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감압전열관(300)의 전체 길이가 길면 길수록 공기의 온도 및 압력이 대기 조건에 근접하게 변할 수 있다.
감압전열관(300)의 전열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전열판(5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열판(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전열관(300)과 교차되도록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되고, 감압전열관(300)이 통과하는 지점에 각각 통과홀(510)이 형성되며, 외부의 열을 감압전열관(300)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전열판(500)의 재질로서, 상대적으로 가볍고 열 전도율이 높은 구리, 알루미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공기통(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를 포함한 압축된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용기로서, 누름 작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스템노즐(410)이 구비되며, 스템노즐(410)과 감압전열관(30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 측에 결합된다.
공기통(400)은 열에 잘 견딜 수 있도록 보온병과 같은 2중 구조의 압력용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이나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통(400)의 결합 구조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용 마스크는 화재 시에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때까지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비상수단이 된다.
특히, 공기통(400)에서 분출된 차가운 공기가 나선 형태로 된 감압전열관(300)을 따라 흐르면서, 감압 및 가열되어 대기의 상태와 대등하게 변함으로써, 사람이 흡입하기 용이한 적절한 온도를 갖는 공기가 공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감압전열관(301)의 직경을 크게 구성하고 제2 감압전열관(302)의 직경은 작게 구성함으로써, 공기의 감압이 단계적으로 안정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제1 감압전열관(301)과 공기통(400) 간의 단면적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아짐으로써, 공기의 순간적 팽창·감압으로 인한 습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산화 작용으로 인한 공기통(400)의 수명 단축, 산소 결핍에 의한 안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용 마스크는 감압전열관(300)이 하우징부(200)에 내설되고, 공기통(400)이 하우징부(200)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작고 가볍운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한정된 공간에 많은 수량의 마스크를 비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부터는 공기통(40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통(400)은 압축공기가 담기며 일단부가 개구된 몸통체(401)와, 몸통체(401)의 일단부를 커버하며 상기 스템노즐(410)이 중심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커버체(402)로 구성된다.
커버체(402)의 내부에는, 스템노즐(410)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신축방향 스토퍼 역할을 하는 캡블록(403), 캡블록(403)을 에워싸는 형태로 커버체(402)의 내부에 결합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유로를 갖는 유도관체(404), 캡블록(403)과 유도관체(404)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405)이 각각 부설된다.
커버체(402)의 외부에는, 나사산(402a)이 형성된다.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에는, 공기통(400)의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도록 유입구(220)의 입구 측에 나사산(221)이 형성된다. 유입구(220)의 출구에는, 공기통(400)과 함께 삽입되는 스템노즐(410)이 가로막혀 눌리도록 유입구(220)의 출구 측을 차폐하고 스템노즐(410)의 중공유로가 닿는 지점에 통공(222a)이 형성되는 차폐판(222)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폐판(222)의 통공(222a)은, 제1 감압전열관(30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여기에 제1 감압전열관(301)이 억지끼움으로 삽입된다. 스템노즐(410)이 밀착되는 차폐판(222)의 일면에는 스템노즐(410)의 삽입을 안내하는 원형의 안내돌기(223)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공기통(400)을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에 끼워 돌리면, 공기통(400)의 나사산(402a)이 유입구(220)의 나사산에 체결되면서 공기통(400)이 점진적으로 하우징부(200) 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도 5b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400)은 스템노즐(410)이 차폐판(222)에 닿지 않을 만큼 유입구(220)에 체결된다. 이렇게 공기통(400)이 가결합된 상태로 각 건물에 비치된다.
이 상태에서,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공기통(400)을 더 돌리게 되면, 도 5b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400)이 하우징부(200) 측으로 삽입되면서 스템노즐(410)이 차폐판(222)에 닿아 눌리면서 공기가 배출된다.
공기는 유도관체(404)의 유입유로 → 캡블록(403)과 유도관체(404) 사이의 틈 → 스템노즐(410)의 측면 통공과 중공을 거쳐 제1 감압전열관(301)으로 분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공기통(400)이 나사결합되는 구조이므로, 공기통(400)의 돌림 방향과 체결 완료 여부를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공기통(400)이 끼워지는 유입구(220)의 일측에 돌림방향 기호(미도시)가 표시된다. 또한, 도 5b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400)의 체결 완료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유입구(220)에는 나사산(221)의 전방에 걸림턱(224)이 돌출형성되고, 여기에 걸리도록 공기통(400)에는 나사산(402a)의 전방에 걸림돌기(406)가 돌출형성된다.
공기통(400)의 걸림돌기(406)가 유입구(220)의 걸림턱(224)을 타고 넘으면, 딸깍하는 소리와 진동이 나면서, 공기통(400)의 체결 완료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 대피용 마스크를 얼굴에 쓴 다음, 공기통(400)을 약간 돌리면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신속하고 간단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안면마스크
200 : 하우징부
300 : 감압전열관
400 : 공기통

Claims (4)

  1. 입과 코와 마주보는 중앙부(110)가 관통형성되는 안면마스크(100);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상기 안면마스크(100)의 중앙부(110)를 가로막게 결합되고, 입과 코와 인접한 일측면에 배출구(210)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유입구(220)가 형성되는 하우징부(200);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를 따라 나선을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와 배출구(210) 사이를 연결하는 감압전열관(300); 및
    산소를 포함한 압축된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용기로서, 누름 작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스템노즐(410)이 구비되며, 상기 스템노즐(410)과 상기 감압전열관(300)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 측에 결합되는 공기통(400);을 포함하고,
    상기 감압전열관(300)과 교차되도록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되고, 상기 감압전열관(300)이 통과하는 지점에 각각 통과홀(510)이 형성되며, 외부의 열을 상기 감압전열관(300)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전열판(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전열관(300)은, 제1 직경(d1)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에서 내부를 따라 나선을 이루는 제1 감압전열관(301)과, 상기 제1 직경(d1)보다 작은 제2 직경(d2)을 가지며, 상기 제1 감압전열관(301)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감압전열관(301)의 내부 또는 외부를 따라 나선을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부(200)의 배출구(210) 측으로 연장되는 제2 감압전열관(302)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0)의 유입구(220)에는, 상기 공기통(400)의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유입구(220)의 입구(220a) 측에 형성되는 나사산(221)과, 상기 공기통(400)과 함께 삽입되는 스템노즐(410)이 가로막혀 눌리도록 상기 유입구(220)의 출구(220b) 측을 차폐하고 상기 스템노즐(410)의 중공유로(411)가 닿는 지점에 통공(222a)이 형성되는 차폐판(222)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마스크.
KR1020180082708A 2018-07-17 2018-07-17 화재 대피용 마스크 KR102030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08A KR102030115B1 (ko) 2018-07-17 2018-07-17 화재 대피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08A KR102030115B1 (ko) 2018-07-17 2018-07-17 화재 대피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115B1 true KR102030115B1 (ko) 2019-10-08

Family

ID=6820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708A KR102030115B1 (ko) 2018-07-17 2018-07-17 화재 대피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1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6389A (zh) * 2020-09-29 2021-01-01 王万军 一种可以自动清除内部口水的呼吸机
KR20210121737A (ko) 2020-03-31 2021-10-08 오세군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
KR102328848B1 (ko) * 2021-04-06 2021-11-19 이봉래 비상용 산소마스크
WO2022108023A1 (ko) * 2020-11-23 2022-05-27 맥센스 주식회사 화재대피용 산소마스크
KR102409694B1 (ko) * 2021-08-18 2022-06-16 맥센스 주식회사 긴급 대피용 산소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386A (ko) * 2002-04-30 2003-11-05 김관식 휴대용 산소흡입기
KR20050092997A (ko) 2004-03-17 2005-09-23 박경수 비상용 산소공급장치
KR20140013788A (ko) * 2012-07-27 2014-02-05 주식회사 비스 휴대용 산소호흡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386A (ko) * 2002-04-30 2003-11-05 김관식 휴대용 산소흡입기
KR20050092997A (ko) 2004-03-17 2005-09-23 박경수 비상용 산소공급장치
KR20140013788A (ko) * 2012-07-27 2014-02-05 주식회사 비스 휴대용 산소호흡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737A (ko) 2020-03-31 2021-10-08 오세군 재난대피 및 미세먼지용 마스크
CN112156389A (zh) * 2020-09-29 2021-01-01 王万军 一种可以自动清除内部口水的呼吸机
WO2022108023A1 (ko) * 2020-11-23 2022-05-27 맥센스 주식회사 화재대피용 산소마스크
KR20220071010A (ko) * 2020-11-23 2022-05-31 맥센스 주식회사 화재대피용 산소마스크
KR102503763B1 (ko) * 2020-11-23 2023-02-24 맥센스 주식회사 화재대피용 산소마스크
KR102328848B1 (ko) * 2021-04-06 2021-11-19 이봉래 비상용 산소마스크
KR102409694B1 (ko) * 2021-08-18 2022-06-16 맥센스 주식회사 긴급 대피용 산소마스크
CN115707494A (zh) * 2021-08-18 2023-02-21 麦克森斯有限公司 紧急撤离用氧气面罩
WO2023022281A1 (ko) * 2021-08-18 2023-02-23 맥센스 주식회사 긴급 대피용 산소마스크
CN115707494B (zh) * 2021-08-18 2023-12-26 麦克森斯有限公司 紧急撤离用氧气面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115B1 (ko) 화재 대피용 마스크
CA1322710C (en) Breathing system
CN202140113U (zh) 一种隔绝式化学氧自救器
KR101549684B1 (ko) 다인용 휴대 호흡기
CN108042942A (zh) 一种新型生氧式呼吸器
US6279571B1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KR101832817B1 (ko) 비상탈출용 호흡기
KR20170110791A (ko) 산소 마스크
CN205549276U (zh) 一种具有除霜功能的正压式空气呼吸器及其面罩
CN114247065A (zh) 一种智能消防自救呼吸器
CN2778323Y (zh) 森林消防人员化学氧呼吸器
CN111388893B (zh) 一种腰挎便携式呼吸器
CN205549275U (zh) 一种具有语音增强和除雾功能的正压式空气呼吸器面罩
KR20190078974A (ko) 온도조절모듈을 포함하는 산소 마스크
CN218636500U (zh) 一种冷媒机构免维护的正压式氧气呼吸器
KR200431561Y1 (ko) 산소호흡기용 후드
US4020833A (en) Oxygen source for human respiration requirements
CN208823829U (zh) 一种呼吸器减压器用报警哨装置
KR101338497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140013788A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CN218485021U (zh) 自生成空气反应系统
GB2209123A (en) Breathing apparatus
KR20050092997A (ko) 비상용 산소공급장치
CN206525620U (zh) 一种抢险救援消防头盔
CN216536611U (zh) 一种消防用防毒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