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873B1 - The Life-saving device to inflatable tube for people - Google Patents

The Life-saving device to inflatable tube for peop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873B1
KR102392873B1 KR1020200032072A KR20200032072A KR102392873B1 KR 102392873 B1 KR102392873 B1 KR 102392873B1 KR 1020200032072 A KR1020200032072 A KR 1020200032072A KR 20200032072 A KR20200032072 A KR 20200032072A KR 102392873 B1 KR102392873 B1 KR 102392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unit
belt
hos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0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6795A (en
Inventor
정종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32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873B1/en
Publication of KR2021011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7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8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2Devices for holding or launching life-buoys, inflatable life-rafts, or other flo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종 방향으로 형성된 몸체튜브 및 상기 몸체튜브 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지튜브를 포함하는 튜브유닛; 상기 몸체튜브에 공기주입을 위해 연결되는 호스; 상기 호스가 내부에 수용되는 수납벨트; 및 상기 튜브유닛 및 상기 수납벨트가 수용되고, 사용 시 이를 발출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튜브 및 상기 호스를 연결하는 에스피레이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익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익수자 및 구조자가 구조장치의 식별을 쉽게 할 수 있고, 구조장치의 신속한 발출 및 전개가 가능해 익수자의 생존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ube unit comprising a body tu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ranch tubes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tub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hose connected to the body tube for air injection; a storage belt in which the hose is accommodated; And the tube unit and the storage belt are accommodated, and a driving unit for extracting them when in use; includes, and an espirator unit for connecting the body tube and the hose; Inflatable life jacket comprising a further comprising: It relates to a rescue device used for multiple lives, and when a drowning accident occurs, drowning persons and rescuers can easily identify the rescue device, and the rescue device can be quickly released and deployed, which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survival rate of the drowning person. there is.

Description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The Life-saving device to inflatable tube for people}{The Life-saving device to inflatable tube for people}

본 발명은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익수자가 발생했을 때 일체형 팽창 유닛을 신속히 전개함으로써 익수자들의 부유 및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인명 구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jacket, and more particularly, a multi-person rescue that can make floating and quick rescue of drowning people by rapidly deploying an integrated expansion unit when a large number of drowning people occur. It's about the device.

수상에서는 익사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국내 해군과 해경은 다수의 익수자가 발생했을 경우를 대비하여 수상 인명 구조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일반적인 수상 인명 구조 훈련은 부표 등을 이용 연계하여 구조를 수행하고 있고,대표적으로는 2인치 마닐라 로프에 끌림 방지기와 부유물 등을 연결한 상태로 익수자에게 접근하여 구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Drowning accidents can occur on water, and the domestic navy and coast guard regularly conduct aquatic lifesaving drills in case a large number of drowning people occur. A typical method is to approach and rescue a drowning person with a 2-inch manila rope connected to a drag stopper and a floating object.

그러나 이러한 구조 방법은 장구의 준비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필요 장구의 준비가 많아 번거로우며, 다수의 익수자를 한데 모아 빠른 속도로 구조를 수행해야 하는 후속 조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rescue method has problems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prepare the equipment, there is a lot of preparation of the necessary equipment, and it is cumberso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follow-up action is required to collect a large number of drowning people and perform the rescue at a fast speed.

따라서, 다수의 익수자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모아 수상에서 끌어올릴 수 있도록 완전 구조의 인명 구조장치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9721호에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가 게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은 튜브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팽창 몸체 및 상부가 팽창 몸체에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좌측 날개부는 일단이 튜브의 좌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다.Therefore, when a large number of drowning people occur, a lifesaving device with a complete structure is needed so that it can be quickly collected and raised from the water. Tube devices are posted. The prior art includes an inflation body that can be inflated by injecting air into the tube, and a bottom portion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inflation body to form a bottom, and one end of the left wing portion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left side of the tube, and the inner A space portion for insertion of the rescue tube is formed therein.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다수의 익수자들을 구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활용할 수 있으나, 빠른 시간 안에 다수의 익수자들을 구출하기 위해서는 팽창형 장구가 빠른 속도로 발출되어야 하는데, 팽창형 구명장구의 크기와 규모가 크면 클수록 발출 및 사용 준비가 늦어진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However, the prior art can be utilized as a means to rescue a large number of drowning people, but in order to rescue a large number of drowning people in a short time, the inflatable equipment must be extracted at a high speed.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larger the size, the slower the release and preparation for us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972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4972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익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익수자 및 구조자가 구조장치의 식별을 쉽게 할 수 있고, 구조장치의 신속한 발출 및 전개가 가능해 익수자의 생존률을 극대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drowning accident occurs, the drowning person and the rescuer can easily identify the rescue device, and the rescue device can be quickly released and deployed to maximize the survival rate of the drowning person.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는, 종 방향으로 형성된 몸체튜브 및 상기 몸체튜브 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지튜브를 포함하는 튜브유닛; 상기 몸체튜브에 공기주입을 위해 연결되는 호스; 상기 호스가 내부에 수용되는 수납벨트; 및 상기 튜브유닛 및 상기 수납벨트가 수용되고, 사용 시 이를 발출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튜브 및 상기 호스를 연결하는 에스피레이터부;를 더 포함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를 제공한다.A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j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ube including a body tub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ranch tubes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tub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unit; a hose connected to the body tube for air injection; a storage belt in which the hose is accommodated; and a driving unit for accommodating the tube unit and the storage belt, and extracting them when in use, and an espirator unit for connecting the body tube and the hose. provide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튜브유닛 및 상기 수납벨트가 권취되는 스풀; 및 상기 호스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봄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unit, the tube unit and the spool is the storage belt is wound; and a cylinder connected to the hose to provide compressed ai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납벨트는 외측면에 복수개의 반사시트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erson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j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belt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ve sheet panels on the outer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튜브는 상부면에 벨크로를 포함하고, 상기 벨크로에는 LED벨트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j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tube includes a Velcro on the upper surface, and an LED belt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Velcro.

또한, 본 발명은 상기 LED벨트는 복수개의 LED바의 연속적인 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LED바는 일단과 타단에 커넥터가 구비되고, 서로 이웃하는 LED바의 커넥터를 상호 연결하는 스크류캡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belt is formed by continuous coupling of a plurality of LED bars, the LED bar is provided with connectors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includes a screw cap interconnecting the connectors of the LED bars adjacent to each other, , It provides a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jack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aling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LED벨트는 작동을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LED벨트에 직접연결 또는 원격제어 가능한 별도수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LED바의 점멸, 점등, 깜빡이 및 색상조절과 같은 조광형태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belt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on, and the operation unit is provided as a separate means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or remotely controlled to the LED belt, so that the LED bar blinks, turns on, blinks, and adjusts color. It provides a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jacket,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the same dimming typ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스피레이터부는, 관 형상의 몸체부에 복수개의 노즐이 형성된 분사체; 몸체부 일단에 상기 몸체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공; 및 몸체부 타단에 외기 흡입을 위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체는 상기 호스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주입공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espirator unit,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in the tubular body portion injection body; an injection hole for injecting air into the body tube at one end of the body; and a door for inhaling outside air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wherein the injection body discharges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from the hose into the injection hole through the nozzle. provid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입공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체에 유입된 압축공기가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주입공으로 배출되는 경우, 코안다 효과에 의해 상기 도어로부터 외기 흡입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주입공으로 배출되는 공기압이 증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hole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when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into the injection body is discharged to the injection hole through the nozzle, external air is simultaneously sucked from the door by the Coanda effect, and the It provides a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j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pressure discharg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is amplifi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는, 익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익수자 및 구조자가 구조장치의 식별을 쉽게 할 수 있고, 구조장치의 신속한 발출 및 전개가 가능해 익수자의 생존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the inflatable life j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drowning person and the rescuer to easily identify the rescue device when a drowning accident occurs, and the rapid extraction and deployment of the rescue device is possible.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survival rate of the drowning pers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사용 전 상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에스피레이터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LED벨트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LED바 구성간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j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tate diagram of FIG. 1 in use.
FIG. 2B is a state diagram before use of FIG. 1 .
3A and 3B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of the espirator of FIG. 1 .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LED belt of FIG.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between the LED bar components of FIG. 4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rrespective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of the other component.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사용 전후를 나타내는 상태도로써, 도2a는 사용 시, 도 2b는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j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state diagrams showing before and after use of FIG. 1 , and FIG. 2A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use and FIG. 2B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use.

도면을 참조한 바, 본 발명은 종 방향으로 형성된 몸체튜브(11) 및 상기 몸체튜브 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지튜브(12)를 포함하는 튜브유닛(10);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e unit 10 including a body tube 1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ranch tubes 12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tub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몸체튜브(11)에 공기주입을 위해 연결되는 호스(35);a hose 35 connected to the body tube 11 for air injection;

상기 호스(35)가 내부에 수용되는 수납벨트(120); 및a storage belt 120 in which the hose 35 is accommodated; and

상기 튜브유닛(10) 및 수납벨트(120)가 수용되고, 사용 시 이를 발출하기 위한 구동부(30); 를 포함하고,The tube unit 10 and the accommodation belt 120 are accommodated, and a driving unit 30 for extracting them when in use; including,

상기 몸체튜브(11) 및 상기 호스(35)를 연결하는 에스피레이터부(2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를 제공한다.an espirator unit 200 for connecting the body tube 11 and the hose 35; It provides a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jack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이때,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튜브유닛(10) 및 수납벨트(120)가 권취되는 스풀(33); 및 상기 호스(35)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제공하며 상기 수납벨트 및 구동부를 발출시키는 봄베(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30 includes a spool 33 on which the tube unit 10 and the storage belt 120 are wound; and a cylinder 31 connected to the hose 35 to provide compressed air and eject the storage belt and the driving unit.

상기 봄베(31)에는 상기 수납벨트 및 고압의 압축공기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봄베(31)에 연결된 호스(35)를 통해 튜브유닛(10)에 고압의 공기를 한꺼번에 다량 공급할 수 있어 구조장치의 발출 및 구조작업이 빨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torage belt and high-pressure compressed air may be stored in the cylinder 31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a large amount of high-pressure air to the tube unit 10 at once through the hose 35 connected to the cylinder 31, so that the rescue device can be ejected and rescued quickly.

한편, 상기 봄베(31)에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호스(35)로 안전하게 주입하기위한 감압 밸브 등의 작동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ylinder 31 may be provided with operating means such as a pressure reducing valve for safely injecting high-pressure compressed air into the hose 35 .

다음으로, 상기 호스(35)는 상기 수납벨트(120)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수납벨트(120)는 호스가 상기 구동부(30)의 스풀(33)에 권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것으로, 편평한 띠 형상의 평벨트(flat belt)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벨트의 권취방법에 대해서는 도 2b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Next, the hose 35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accommodation belt 120 , and the accommodation belt 120 is used to facilitate winding the hose on the spool 33 of the driving unit 30 . , preferably composed of a flat belt in the form of a flat belt. A method of winding the storage bel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B.

또한, 상기 수납벨트(120)는 외측면에 복수개의 반사시트 패널(121)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bel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flective sheet panels 121 on the outer surface.

상기 반사시트 패널(121)은 익수사고가 야간에 발생하는 경우 익수자 및 구조자의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수단이다.The reflective sheet panel 121 is a means for easily identifying drowning persons and rescuers when a drowning accident occurs at night.

도 2a를 참조한 바, 야간의 경우에는 구조장치가 수면으로 발출 및 전개되더라도 익수자 또는 구조자가 구조장치를 인식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반사시트 패널(121)을 통해 반사광을 발하는 구조장치를 수면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반사시트 패널(121)의 경우에는 선박 등에서 발생하는 외부 광원들이 상기 반사시트 패널(121)을 통해 반사되어 별도의 광원 수단 없이도 발광 효과를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 in the case of night, even if the rescue device is ejected and deploy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it may be difficult for a drowning person or a rescuer to recognize the rescue device, so a rescue device that emits reflected light through the reflective sheet panel 121 to be easily identifiable from the surfa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reflective sheet panel 121 , external light sources generated from ships and the like are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ive sheet panel 121 to obtain a light emitting effect without a separate light source means.

다음으로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형 구명 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의 사용 전후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the operation process before and after use of the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the inflatable life j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는 미사용 시 도 2b와 같이 전술한 튜브유닛(10) 및 수납벨트(120)가 함께 접혀져서 구동부(30)에 권취된 상태로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다.2a and 2b, the multiple life rescue device using the inflatable life j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unit 10 and the storage belt 120 are folded together as shown in FIG. 2b when not in use. Storage may be made in a state wound around the driving unit 30 .

또한, 사용 시에는 도 2a와 같이 구동부(30)의 작동에 의해 발출되어 수면 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튜브유닛(10)을 전개시키기 위한 구동부(30)와의 구성 결합 및 작동관계를 다음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use, it is ej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0 as shown in FIG. 2A and is configured to be deployed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configuration coupling and operating relationship with the driving unit 30 for deploying the tube unit 10 This will be explained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유닛(10)의 수납을 위해 구동부(30)에는 스풀(33)이 구비되며, 상기 스풀(33)의 회전방향을 조절하여 튜브유닛을 수납하거나 발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ool 33 is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30 to accommodate the tube unit 10, and the tube unit can be accommodated or ejected by adjus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pool 33.

구명장치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스풀(33)이 회전하여 권취된 튜브유닛(10) 및 수납벨트(120)를 수면 상으로 발출시키도록 하며, 상기 스풀(33)의 작동은 자동 또는 수동식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봄베(31)의 밸브수단이 개폐되며 상기 봄베와 연결된 호스(350)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튜브유닛(10)에 주입되며 자동으로 호스가 내장된 수납벨트(120)가 펴지며, 튜브유닛(10)이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때, 고압의 공기가 빠르게 주입되면서 상기 스풀의 회전력이 자동으로 증가해 신속한 구조장치의 돌출 및 전개로 익수자의 구조가 빨리 이루어질 수 있다.When it is necessary to use a lifesaving device, the driving unit is operated to rotate the spool 33 to eject the wound tube unit 10 and the storage belt 120 onto the water surface, and the operation of the spool 33 is It can be done by an automatic or manual method, and at this time, the valve means of the cylinder 31 is opened and closed, and high-pressure air is injected into the tube unit 10 through the hose 350 connected to the cylinder, and the storage belt in which the hose is automatically built-in (120) is unfolded, the tube unit (10) is inflated. At this time, as high-pressure air is rapidly inject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ool is automatically increased, so that the drowning person can be rescued quickly by the rapid protrusion and deployment of the rescue device.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익수자들은 수면상에 전개된 튜브유닛(10), 보다 정확하게는 몸체튜브(11)에 복수개 형성된 가지튜브(12)를 잡고 수상에 체류하며 구조를 기다릴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지튜브(12)에는 익수자들이 수면 상에 체류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 등의 보조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rowning people can hold the tube unit 10 deployed on the water surface, more precisely, the branch tube 12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body tube 11, and stay in the water and wait for the rescue, at this time, The branch tube 12 may be provided with auxiliary means such as a handle to facilitate the drowning people to stay on the water surface.

한편, 본 발명의 실시도면에서 상기 스풀(33)은 핸들을 포함하여 수동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비상시 구동을 위한 핸들뿐 아니라 상기 스풀(33)을 자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조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풀(33)은 거치대(32) 상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 하단에는 상기 봄베(31) 및 상기 스풀의 회전, 또는 봄베의 감압 밸브 조절을 통해 구조장치의 발출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조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ool 33 is shown to be operated in a manual manner including a handle, but further includes an adjustment means for automatically operating the spool 33 as well as a handle for driving in an emergency can do. To this end, the spool 33 is provided on the cradle 32, and at the lower end of the cradle, the cylinder 31 and the spool are rotated, or the rescue device is automatically eject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of the cylinder. It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ment means (not shown) for

다음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스풀(33)을 회전시켜 수납벨트(120) 및 상기 수납벨트에 연결된 튜브유닛(10)을 접어 스풀에 권취시킴으로써 수납벨트 및 튜브유닛의 수납이 가능하다.Next, as shown in FIG. 2A, when the rescue device is not used, the storage belt is rotated by rotating the spool 33 to fold the storage belt 120 and the tube unit 10 connected to the storage belt and wind the storage belt on the spool. And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the tube unit.

이때, 상기 수납벨트(120) 및 튜브유닛(10)은 순서에 상관 없이 상기 스풀(33)에 권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rage belt 120 and the tube unit 10 may be wound on the spool 33 regardless of the order.

보다 자세히는 상기 스풀(33)에 튜브유닛(10)과 연결된 수납벨트(120)의 단부를 먼저 연결하고 상기 스풀(33)을 회전시켜 수납벨트, 튜브유닛 순으로 권취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몸체튜브(11) 먼저 스풀에 권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는, 신속한 발출을 위해 가지튜브(12)를 몸체튜브(11) 방향으로 일체로 되게 접은 후, 접은 튜브유닛을 수납벨트와 겹쳐서 동시에 스풀(33)에 권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more detail, the end of the storage belt 120 connected to the tube unit 10 is first connected to the spool 33 and the spool 33 is rotated to wind the storage belt and the tube unit in this order, and the body tube (11)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first wind on the spool. Alternatively, after the branch tube 12 is integrally folded in the body tube 11 direction for quick extraction, the folded tube unit is overlapped with the storage belt and simultaneously wound on the spool 33 .

이상과 같이 스풀(33)에 의해 권취방식으로 수납 및 발출이 용이한 본 발명에 따른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에 따르면, 배수량이 작은 고속정이나 경비정 규모의 선박에서도 용이한 수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ple life rescue device using the inflatable life j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easily accommodated and taken out in a winding manner by the spool 33, it is possible to easily accommodate even a small-displacement high-speed craft or a light craft-scale vessel. There is a characteristic.

한편, 상기 수납벨트 또는 튜브유닛 상기 스풀에 권취됨에 있어서, 상기 스풀(33)에 연결되는 수납벨트 단부 또는 튜브유닛 단부는는 상기 스풀(33)에 고정 또는 미고정 상태로 선택적으로 권취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torage belt or the tube unit is wound on the spool, an end of the storage belt or tube unit connected to the spool 33 may be selectively wound on the spool 33 in a fixed or non-fixed state.

다음으로, 도 2a와 같이 익수자가 발생했을 시, 본 발명의 구조장치는 구조선박에 설치되어 튜브유닛(10)을 수상으로 발출해 익수자를 구조하게 된다.Next, when a drowning person occurs as shown in FIG. 2A , the rescu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escue vessel and ejects the tube unit 10 to the water to rescue the drowning person.

한편, 익수자의 신속한 구조를 위해 튜브유닛(10)은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발출이 가능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직경 50cm의 길이 10m에 이르는 튜브를 일반적인 봄베를 통해 펼쳤을 경우 완전한 발출에 필요한 시간이 5~6분 정도로써, 그 시간 안에 효과적으로 익수자들을 구출해 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튜브유닛(10)과 호스(35) 사이에 빠른 공기주입을 위한 에스피레이터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the quick rescue of the drowning person, the tube unit 10 should be able to be taken out in the shortest possible time. In general, when a tube with a diameter of 50 cm and a length of 10 m is spread through a general cylinder, the time required for complete extraction is about 5 to 6 minutes, and drowning people cannot be effectively rescued within that time.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spirator unit 200 for fast air injection between the tube unit 10 and the hose 35 may be further included.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A 부분확대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의 에스피레이터부(200)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b는 에스피레이터부(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참고도이다.3A and 3B are partial enlarged views of FIG. 1A . 3A is an enlarged view of the espirator unit 200 of the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j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spirator unit 200. .

도면을 참조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에스피레이터부(200)는 코안다(coanda)효과에 의해 상기 에스피레이터부(200)의 주변 공기를 끌어들임으로써 상기 에스피레이터(201)에서 발출된 공기압을 약 12배 내지 15배로 늘려 공기압을 증폭시킬 수 있는 원리가 적용되며, 이러한 예시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공보 제20-0253922호에 게시된 에어건과 같은 기능을 구현케 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spirator unit 200 draws in the surrounding air of the espirator unit 200 by a Coanda effect, and the The principle of amplifying the air pressure by increasing the air pressure by about 12 to 15 times is applied, and this example can realize the same function as the air gun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Publication No. 20-0253922.

이러한 기능의 구현을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에스피레이터부(200)는, 관 형상의 몸체부에 복수개의 노즐(211)이 형성된 분사체(210);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function, the espirator unit 200 includes a spray body 210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211 formed in a tubular body portion;

몸체부 일단에 상기 몸체튜브(11)에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공(219); 및an injection hole 219 for injecting air into the body tube 11 at one end of the body; and

몸체부 타단에 외기 흡입을 위한 도어(202); 를 포함하고,a door 202 for inhaling outside air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including,

상기 분사체(210)는 상기 호스(35)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노즐(211)을 통해 주입공(219)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jection body 210 discharges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from the hose 35 to the injection hole 219 through the nozzle 211 .

이때, 상기 분사체(210)에 유입된 압축공기가 노즐(211)을 통해 주입공(219)으로 배출되는 경우, 코안다 효과에 의해 상기 도어(202)로부터 외기 흡입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주입공(219)으로 배출되는 공기압이 증폭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into the injection body 210 is discharged to the injection hole 219 through the nozzle 211, external air is simultaneously sucked from the door 202 due to the Coanda effect, and the injection hole ( 219), the exhaust air pressure can be amplified.

이때, 상기 분사체(210)에 구비된 복수개의 노즐(211)은 그 수에 비례하여 한번에 많은 공기를 주입공을 통해 튜브유닛(10)으로 주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많은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특징이 있지만, 분사체(210)를 통해 공기가 방출되면 방출된 공기가 주변의 공기를 함께 끌어당기게 되고, 그 과정에서 도어(202)가 공기압으로 열려지게 되면서 외부 공기까지 빨아들여지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plurality of nozzles 211 provided in the jetting body 210 can inject a large amount of air into the tube unit 10 through the injection hole at once in proportion to the number, a large amount of air is jetted by itself. Although there is a feature that can be done, when air is released through the jetting body 210, the emitted air attracts the surrounding air together, and in the process, the door 202 is opened with air pressure and the outside air is sucked in. will become

한편, 상기 에스피레이터부(200) 몸체부 일단에 형성되어 튜브유닛의 몸체튜브(11)에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공(219)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코안다효과에 의한 공기주입 시 주입공(219)의 직경이 넓어지며 이를 통해 튜브유닛(10)에는 빠른 속도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jection hole 219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of the espirator part 200 and injecting air into the body tube 11 of the tube un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injection hole 219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when air is injected by the Coanda effect. ) is widened, and it is preferable to allow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tube unit 10 at a high speed through this.

한편, 상기 에스피레이터부(200) 몸체부 역시 상기 주입공과 마찬가지로 탄성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portion of the espirator unit 200 may also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like the injection hol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는, 상기 에스피레이터부(200)의 구성을 통해 익수자가 발생했을 시에 봄베(33)에 의한 압축공기뿐 아니라 외부 공기가 동시에 고압으로 다량 튜브유닛(10)으로 주입됨으로써 신속한 구조장치의 발출 및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the inflatable life j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rowning person occurs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espirator unit 200, the compressed air by the bomber 33 as well as the external air are simultaneously subjected to high pressure. By injecting a large amount into the tube unit 10,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rapid extraction and rescue of the rescue devic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구조장치는 전술한 반사시트 패널(121) 외에도 추가적인 발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the inflatable life j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ditional light emitting devic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reflective sheet panel 121 .

도 4는 도 1의 B 부분확대도로 LED벨트(150)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C 부분확대도로 LED바(151) 구성 간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LED belt 150 in a partial enlarged view B of FIG. 1 ,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LED bar 151 in FIG.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한 바, 상기 튜브유닛(10)의 일측면,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튜브유닛이 수상에 전개되었을 때 수면 위에 노출되는 상기 몸체튜브(11)의 상부면에는 벨크로(110)를 포함하고, 상기 벨크로에는 LED벨트(15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LED벨트(150)는 작동을 위한 조작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4 and 5, one side of the tube unit 10, more precisely,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ube 11 exposed above the water surface when the tube unit is deployed in the water, has a Velcro ( 110), and the LED belt 150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Velcro, and the LED belt 150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unit 152 for operation.

이때, 상기 LED벨트(150)는 조작부(152)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신호에 따라 점멸, 상시 점등, 깜빡이, 색상조절 등 조광형태를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종래 일반적인 전열기의 조작 구성과 큰 차이점이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작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LED belt 150 allows the user to change the dimming form such as blinking, constant lighting, blinking, color adjustment, etc. according to the signal desired by the user by the operation unit 152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which is a conventional operation of a general electric heater. Sinc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조작부(152)는 상기 LED벨트(150)에 직접 연결되어 구성되거나 구조자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둘 다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manipulation unit 152 may be configured by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LED belt 150 or provided as a separate means for remote control by a rescuer, or both.

이때, 상기 조작부(152)가 상기 LED벨트(150)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수면에 발출 및 전개된 구조장치에 모여든 익수자들이 조난 상황에 대한 신호를 점멸, 점등, 깜빡이 등 다양한 형태로 원거리의 구조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52)가 상기 LED벨트(150)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수단으로 구비된 경우 구조자에 의해 상기 LED벨트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둘 다 구비된 경우 미리 약속된 송수신 점등신호를 이용하여 익수자와 구조자가 원거리에서도 조난 및 구조상황에 대한 신호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anipulation unit 15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ED belt 150, the drowning persons gathered in the rescue device that are released and deploy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flicker, turn on, and flicker the signal for the distress situation at a distance in various forms. can be delivered to the rescuer of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unit 152 is provided as a separate means to enable remote control of the LED belt 150, the rescu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ED belt. By using the lighting signa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rowning person and the rescuer can exchange signals about the distress and rescue situation even from a long distance.

본 발명에서, 상기 LED벨트(150)는 전술한 반사시트 패널(121)과 함께 익수사고가 야간에 발생하는 경우 익수자 및 구조자의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수단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belt 150 is a means for easily identifying the drowning person and the rescuer when a drowning accident occurs at night together with the aforementioned reflective sheet panel 121 .

도 2a를 참조한 바, 야간의 경우에는 구조장치가 수면으로 발출되더라도 원거리에 있는 익수자가 구조장치의 인식에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으므로 상기 반사시트 패널(121) 및 상기 LED벨트(150)를 통해 반사광이나 발광하는 구조장치를 수면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 2a, in the case of night, even if the rescue device is released to the water surface, a drowning person at a distance may have difficulty in recognizing the rescue device. Make the luminescent rescue device easily identifiable on the surface of the water.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LED벨트(150)는 유지보수나 다른 색상의 조명과의 혼용 등을 위해 복수개의 LED바(151)의 연결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referring to FIG. 5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belt 150 is preferably formed by connect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LED bars 151 for maintenance or mixing with lighting of other colors. .

도 5는 도 4의 C 부분확대도로 LED바(151) 구성 간 결합을 도시한 도면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LED벨트(150)를 형성하는 LED바(151)의 방수 연결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between the LED bar 151 components in an enlarged view C of FIG. 4 , and in more detail, it is an enlarged view of the waterproof connection structure of the LED bar 151 forming the LED belt 150 .

본 발명에서, 상기 LED벨트(150)는 복수개의 LED바(151)의 연속적인 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LED바(151)는 양단부에 커넥터(161)가 구비되고, 서로 이웃하는 LED바의 커넥터(161)를 상호 연결하는 스크류캡(162)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161) 외주면에는 실링부(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belt 150 is formed by continuous coupling of a plurality of LED bars 151, and the LED bars 151 are provided with connectors 161 at both ends, and connectors of adjacent LED bars. A screw cap 162 for interconnecting the connectors 161 may be included, and a sealing portion 166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161 .

상기 스크류캡(162) 및 실링부(166)는, LED바(151)의 전기 회로에 해수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를 위한 구성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부(166)는 O링과 같은 실링부재를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넥터간 결합 부위에 해수나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The screw cap 162 and the sealing part 166 are configured for waterproofing so that seawater or foreign substances do not flow into the electric circuit of the LED bar 151,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part 166 is By making it possible to insert a sealing member such as an O-ring,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seawater or foreign substances into the joint between connectors.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웃하는 LED바의 커넥터간 연결을 위해 커넥터(161) 및 스크류캡(162)은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161)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간 상호 연결하는 스크류캡(162)은 내주면에 나사홀이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를 스크류캡으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161 and the screw cap 162 may be coupled in a screw coupling method for connection between connectors of adjacent LED bars. To this end, the connector 161 includes a screw threa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crew cap 162 interconnecting the connectors is provided with a screw hol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connector can be fixed by connecting the connector with a screw cap.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속적으로 배열된 LED바의 경우 상기 스크류캡(162)은 상기 나사홀이 스크류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이웃하는 LED바의 커넥터간 상호 연결이 가능할 수 있으나, LED바의 연결이 더이상 필요하지 않은 LED벨트(15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LED바(151)의 경우 일측 단부에는 커넥터간 연결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스크류캡(162)은 관통하는 나사홀이 아닌 일측만 개구된 나사홀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tinuously arranged LED b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w cap 162 is formed so that the screw hole passes through the screw cap, so that interconnection between connectors of adjacent LED bars may be possible, but the LED bar In the case of the LED bar 15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ED belt 150, which no longer requires the connection of the LED bar 151, the connection between connectors is unnecessary at one end. It can also be manufactured in a shape including an open screw hol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에 따르면, 특히 야간에 익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조명부 구성에 의해 익수자 및 구조자가 구명장치의 식별을 쉽게 할 수 있고, 휴대성이 용이하며 구조장치의 신속한 발출 및 전개, 익수자 위치로의 편리한 이동이 가능하므로 익수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익수자의 생존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ulti-life rescue device using the inflatable life j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specially when a drowning accident occurs at night, the drowning person and the rescuer can easily identify the life-saving devic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unit, and portability It is easy to use, and it is possible to quickly release and deploy the rescue device, and to move to the location of the drowning person, so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survival rate of the drowning person in case of a drowning accident.

이상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튜브유닛 11: 몸체튜브
12: 가지튜브 30: 구동부
31: 봄베 33: 스풀
35: 호스 110: 벨크로
120: 수납벨트 121: 반사시트 패널
150: LED벨트 151: LED바
152: 조작부 161: 커넥터
162 : 스크류캡 166: 실링부
200: 에스피레이터부 202: 도어
210: 분사체 211: 노즐
219: 주입공
10: tube unit 11: body tube
12: branch tube 30: drive unit
31: cylinder 33: spool
35: hose 110: Velcro
120: storage belt 121: reflective sheet panel
150: LED belt 151: LED bar
152: control unit 161: connector
162: screw cap 166: sealing part
200: espirator unit 202: door
210: injection body 211: nozzle
219: injection hole

Claims (8)

종 방향으로 형성된 몸체튜브(11) 및 상기 몸체튜브 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손잡이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가지튜브(12)를 포함하는 튜브유닛(10);
상기 몸체튜브(11)에 공기주입을 위해 연결되는 호스(35);
상기 호스(35)가 내부에 수용되는 편평한 띠 형상의 수납벨트(120);
상기 튜브유닛(10) 및 수납벨트(120)가 권취방식으로 수용되고, 사용 시 이를 발출하기 위한 구동부(30); 및
상기 몸체튜브와 호스 사이에 구비되어 몸체튜브와 호스를 상호 연결하는 에스피레이터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에스피레이터부(200)는,
탄성소재인 관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튜브(11)에 공기를 주입하되, 공기 주입 시 직경이 넓어지도록 탄성소재로 몸체부 일단에 구비되는 주입공(219);
몸체부 타단에 외기 흡입을 위한 도어(202);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호스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주입공으로 배출하도록 주입공과 도어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노즐(211)이 형성된 분사체(210);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노즐(211)은 출구가 모두 주입공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분사체(210)에 유입된 압축공기가 노즐을 통해 상기 주입공(219)으로 배출되는 경우 코안다 효과에 의해 상기 도어(202)가 공기압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며 외기 흡입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주입공(219)으로 배출되는 공기압이 증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
a tube unit (10) including a body tube (1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ranch tubes (12)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tub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hose (35) connected to the body tube (11) for air injection;
a flat belt-shaped storage belt 120 in which the hose 35 is accommodated;
The tube unit 10 and the accommodation belt 120 are accommodated in a winding manner, and a driving unit 30 for extracting them when in use; and
It is provided between the body tube and the hose and the espirator part 200 connects the body tube and the hose to each other.
The espirator unit 200,
A tubular body portio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 injection hole 219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with an elastic material to inject air into the body tube 11, but to have a larger diameter when the air is injected;
a door 202 for inhaling outside air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an injection body 210 accommodated in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211 positioned between the injection hole and the door so as to inject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from the hose and discharge to the injection hole; including,
The plurality of nozzles 211 are formed so that the outlets all face the injection hole, and when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into the injection body 210 is discharged to the injection hole 219 through the nozzle, the The door 202 is automatically opened by air pressure, and external air is sucked at the same time, and the air pressure discharg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219 is amplifi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튜브유닛(10) 및 상기 수납벨트(120)가 권취되는 스풀(33); 및
상기 호스(35)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봄베(31);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30,
a spool 33 on which the tube unit 10 and the storage belt 120 are wound; and
A multiple life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preserv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ylinder (31) connected to the hose (35) to provide compressed ai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벨트(120)는 외측면에 복수개의 반사시트 패널(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belt 120 is a multi-person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jacke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ve sheet panels 121 on the outer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튜브(11)는 상부면에 벨크로(110)를 포함하고, 상기 벨크로에는 LED벨트(150)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tube 11 includes a Velcro 110 on the upper surface, and an LED belt 150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Velcro.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LED벨트(150)는 복수개의 LED바(151)의 연속적인 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LED바(151)는 일단과 타단에 커넥터(161)가 구비되고, 서로 이웃하는 LED바의 커넥터(161)를 상호 연결하는 스크류캡(162)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161)의 외주면에는 실링부(1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ED belt 150 is formed by a continuous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ED bars 151,
The LED bar 151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161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includes a screw cap 162 that interconnects the connectors 161 of the LED bars adjacent to each other,
Multiple life rescue device using an inflatable life jack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aling part (166)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16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LED벨트는 작동을 위한 조작부(1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152)는 상기 LED벨트에 직접연결 또는 원격제어 가능한 별도수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LED바의 점멸, 점등, 깜빡이 및 색상조절과 같은 조광형태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ED belt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unit 152 for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152 is provided as a separate means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or remotely controlled to the LED belt, and the inflatable life jacket,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the dimming form such as blinking, lighting, blinking and color control of the LED bar. Multiple lifesaving device u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32072A 2020-03-16 2020-03-16 The Life-saving device to inflatable tube for people KR1023928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072A KR102392873B1 (en) 2020-03-16 2020-03-16 The Life-saving device to inflatable tube for peop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072A KR102392873B1 (en) 2020-03-16 2020-03-16 The Life-saving device to inflatable tube for peop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795A KR20210116795A (en) 2021-09-28
KR102392873B1 true KR102392873B1 (en) 2022-05-04

Family

ID=7792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072A KR102392873B1 (en) 2020-03-16 2020-03-16 The Life-saving device to inflatable tube for peop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87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926B1 (en) * 2010-08-25 2011-01-03 주식회사인스타 Location confirmation apparatus for a survivor
KR101395669B1 (en) * 2013-12-23 2014-05-15 서울특별시 Lifesaving apparatus
KR101848211B1 (en) * 2017-09-22 2018-04-11 주식회사 대현테크 LED Guide Lamp with Multi-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6340A (en) * 1997-05-29 1999-05-25 The B.F. Goodrich Company Inflatable escape slide assembly
KR20030010165A (en) * 2001-07-25 2003-02-05 이훈 An air-gun
KR20120015244A (en) * 2010-08-11 2012-02-21 김일용 Baby walker tube
KR102049721B1 (en) 2019-09-05 2019-12-03 대한민국 Tube apparatus for rescuing multiple liv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926B1 (en) * 2010-08-25 2011-01-03 주식회사인스타 Location confirmation apparatus for a survivor
KR101395669B1 (en) * 2013-12-23 2014-05-15 서울특별시 Lifesaving apparatus
KR101848211B1 (en) * 2017-09-22 2018-04-11 주식회사 대현테크 LED Guide Lamp with Multi-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795A (en)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614B1 (en) Lifeboat for radio control
CA2114283C (en) Inflatable rescue ramp
US8920205B2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DE2854093C2 (en) Marking device for position indication
KR20110135569A (en) Expansion unfolding type rescue tube
RU2718826C1 (en) Control system of floating life-saving device with small impellers on compressed airflow at remote control
KR102392873B1 (en) The Life-saving device to inflatable tube for people
EP2334383A1 (en) Inflatable spherical covering protection against sinking in water and burial by avalanche
KR100938925B1 (en) A life belt that save a person who drown
KR101634493B1 (en) Safety belt united safety life jacket
US4058862A (en) Water safety device
IT201700010263A1 (en) EXTENSIBLE RESCUE DEVICE
US3992739A (en) Water safety device
GB2547667A (en) Inflatable booms
KR101703794B1 (en) Rescue system for disaster at sea
GB110668A (en) Improvements in Automatic Marine Life Saving Apparatus, in Means for Supporting Flying Machines on Water and in Floating Buoys Discharged from Guns.
KR200411573Y1 (en) The rescue apparatus for saving lives
KR20150001199U (en) Remote control lifeboat with gas inflatable tube
KR200490451Y1 (en) Inflatable rescue bouy
KR200392304Y1 (en) A small-sized radio control boat for drown rescue
US10099756B2 (en) Marker and recovery device
CN210634731U (en) Portable inflatable life-saving device
RU2718508C1 (en) Set of means of floating rescue device with small impellers on compressed airflow with remote control
AU738157B3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KR101999808B1 (en) Inflatable electric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