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871B1 -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871B1
KR102392871B1 KR1020210106366A KR20210106366A KR102392871B1 KR 102392871 B1 KR102392871 B1 KR 102392871B1 KR 1020210106366 A KR1020210106366 A KR 1020210106366A KR 20210106366 A KR20210106366 A KR 20210106366A KR 102392871 B1 KR102392871 B1 KR 102392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fall
rain
self
uni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태
김선정
이진화
박지선
김백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106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871B1/ko
Priority to US17/862,781 priority patent/US1173342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5Indication of measured value by colour chan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에 있어서,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강우량계 하우징; 상기 강우량계 하우징의 외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강우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등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강우량계로 유입된 강우가 중심부로 모일 수 있도록 경사진 깔때기 형태의 집수 공간을 형성하는 집수용기; 상기 집수용기를 통해 투하된 상기 강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강우의 무게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강우를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해 소정의 궤적으로 운동하는 전도컵부; 상기 전도컵부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강우량 정보에 대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전기신호기; 상기 전도컵부의 움직임에 따라 하방으로 배출되는 상기 강우를 가이딩하여 소정의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딩부; 상기 강우의 위치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도록 하는 자가발전기; 및 상기 강우가 최종적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강우량계 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된 최종 퇴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량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SELF-GENERATING APPARATUS FOR MEASURING PRECIPI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와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수량계 또는 강우량계란, 지면으로 떨어지는 강수 또는 강우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 현재에는 원통형, 사이펀식 저수형, 전도형, 무게형, 표면장력식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강수량은 비, 눈, 안개, 우박 등이 구름으로부터 지면으로 떨어지는 강우의 양을 뜻하고, 강우량은 순수하게 비의 형태로 지면으로 떨어지는 물의 양을 뜻한다는 차이가 있다.
이중, 전도형 강우량계를 사용한 강우량의 측정은 강우량과 관련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관측 기록을 디지털화 하기가 쉽고 자동 관측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전도형 강우량계는 단독으로 설치되기 어려우며, 외부 전력을 제공해줄 수 있는 다른 기상 관측 장비들이 구비되어야 강우량 측정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전도형 강우량계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외부 전원이 필요하며, 강우량에 대한 측정 값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가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강우량에 대한 측정 값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표시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다.
참고로, 한국에서 사용되는 강우량계의 표준은 전도형 강우량계를 사용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으며, 수수구의 사이즈, 분해능(Resolution), 불확도(Uncertainty), 재질, 운용환경 및 수수구 그물망 종류와 같은 구성이 모두 표준 규격을 벗어날 수 없도록 정해져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한국 기상청 표준 규격을 준수하는 동시에 기존의 강우량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가발전이 가능하고,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도 강수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강우량계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강우량계의 구조를 개선하여 외부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강우량과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는 자가발전형 강우량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하터널의 입구의 강우 상태, 외딴 저수지의 범람, 침수 위험이 있는 지역 등 다양한 곳에 별도의 전력 제공 장치 없이 단독으로 설치되어 강우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자가발전형 강우량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도 강우량 정보를 현장에서 바로 관찰자에게 제공하도록 표시할 수 있는 자가발전형 강우량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전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도 현장에서 바로 강우량 정보와 관련된 알림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고, 강우량에 따른 재해 위험이 높은 지역의 수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자가발전형 강우량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에 있어서,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강우량계 하우징; 상기 강우량계 하우징의 외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강우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등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강우량계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강우량계로 유입된 강우가 중심부로 모일 수 있도록 경사진 깔때기 형태의 집수 공간을 형성하는 집수용기; 상기 집수용기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집수용기를 통해 투하된 상기 강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강우의 무게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강우를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해 소정의 궤적으로 운동하는 전도컵부; 상기 내부 공간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전도컵부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강우량 정보에 대한 전기 신호 - 상기 전기 신호는 상기 표시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임 - 를 생성하는 전기신호기; 상기 전도컵부의 움직임에 따라 하방으로 배출되는 상기 강우를 가이딩하여 소정의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딩부; 상기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로 이동된 상기 강우가 하방으로 낙하함으로써, 상기 강우의 위치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도록 하는 자가발전기; 및 상기 자가발전기에 의해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상기 강우가 최종적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강우량계 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된 최종 퇴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량계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자가발전기는, 상기 강우가 상기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적어도 일면을 강타함에 따라 상기 강우의 상기 위치 에너지를 상기 물레방아의 상기 회전 운동에 대응되는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물레방아; 상기 운동 에너지를 상기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발전 유닛; 및 상기 발전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전기 에너지를 비축할 수 있는 내부 축전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량계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전도컵부은, 상기 전도컵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분리부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제1 수용 공간을 가진 제1 전도컵 및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수용 공간을 가진 제2 전도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용 공간을 채운 상기 강우의 무게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1 전도컵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었던 상기 강우가 상기 가이딩부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었던 상기 강우가 상기 가이딩부를 통해 배출되는 동안 상기 집수용기를 통해 투하된 상기 강우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채우면,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2 전도컵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수용되었던 상기 강우가 상기 가이딩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량계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i) 상기 제1 전도컵의 하단에 부착된 제1-1 금속 접점봉과 이에 대응되어 상기 제1-1 금속 접점봉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제1-2 금속 접점봉, 및 (ii) 상기 제2 전도컵의 하단에 부착된 제2-1 금속 접점봉과 이에 대응되어 상기 제2-1 금속 접점봉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제2-2 금속 접점봉이 부착된 리드 스위치부를 상기 전도컵부의 하측에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도컵부는, 상기 제1 수용 공간을 채운 상기 강우의 무게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1 전도컵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제1-1 금속 접점봉 및 상기 제1-2 금속 접점봉의 접촉이 발생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되었던 상기 강우가 상기 가이딩부를 통해 배출되는 동안 상기 집수용기를 통해 투하된 상기 강우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채우면,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2 전도컵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제2-1 금속 접점봉 및 상기 제2-2 금속 접점봉의 접촉이 발생하며, 상기 접촉을 펄스(pulse) 형태의 신호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량계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기신호기 및 상기 자가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신호기로부터 상기 강우량 정보와 관련된 상기 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자가발전기로부터 상기 표시등을 점등하기 위한 상기 전기 에너지를 획득하며, 상기 전기신호기는, 상기 리드 스위치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펄스 형태의 신호를 참조로 하여 측정된 단위 시간 강우량이 제1 강우량 기준치 내지 제n 강우량 기준치 중 특정 기준치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특정 기준치를 참조로 하여, 상기 표시부에 포함된 상기 표시등 중 점등할 상기 표시등의 개수를 결정하거나 상기 표시등의 색상을 결정하는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발송하거나, 상기 분당 강우량이 제1 강우량 기준치 미만으로 감지되면, 상기 표시등 모두를 점등하지 않도록 하는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량계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제1 수용 공간 또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일시적으로 수용되었다가 상기 제1 전도컵 또는 상기 제2 전도컵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낙하하는 상기 강우를 배출시키는 각각의 제1 배출부 및 제2 배출부를 포함하는 배출부; 상기 강우가 상기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 향해 이동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제1 배출부 및 상기 제2 배출부 각각으로부터 투하되는 상기 강우를 받아들이는 제1 인입구 및 제2 인입구; 및 상기 제1 인입구 및 상기 제2 인입구를 통해 가이딩된 상기 강우가 합류될 수 있는 합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로 내보내기 위한 합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량계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집수용기와 상기 전도컵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집수용기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강우의 유속을 완화하고, 유속이 완화된 상기 강우를 상기 전도컵부의 상기 수용 공간이 위치한 하방으로 투하하는 유속완화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량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자가발전형 강우량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강우량계로 유입되는 강우가 강우량계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진 깔때기 형태의 집수용기에 집수되는 단계; (b) 상기 집수용기에 집수된 상기 강우가 상기 집수용기로부터 투하됨에 따라, 상기 집수용기의 하단에 형성된 전도컵부의 수용 공간에 상기 강우가 수용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전도컵부가 소정의 궤적으로 운동하여 상기 전도컵부 내에 수용된 상기 강우를 하방으로 배출하는 단계; (c) 상기 강우량계의 내부 공간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어 강우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등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신호기로 하여금 상기 전도컵부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참조로 하여 상기 강우량 정보에 관한 전기 신호 - 상기 전기 신호는 상기 표시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임 - 를 생성한 후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상기 강우의 이동 방향을 가이딩할 수 있는 가이딩부로 하여금 상기 강우를 소정의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강우량계의 상기 내부 공간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자가발전기로 하여금, 상기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상기 강우의 위치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도록 하고,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e) 상기 자가발전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전기 에너지 및 상기 전기신호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전기 신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표시부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표시등 중 적어도 일부를 점등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기존의 강우량계의 구조를 개선하여 외부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강우량과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는 자가발전형 강우량계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하터널의 입구의 강우 상태, 외딴 저수지의 범람, 침수 위험이 있는 지역 등 다양한 곳에 별도의 전력 제공 장치 없이 단독으로 설치되어 강우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자가발전형 강우량계를 제공할 수 있다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도 강우량 정보를 현장에서 바로 관찰자에게 제공하도록 표시할 수 있는 자가발전형 강우량계를 제공할 수 있다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전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도 현장에서 바로 강우량 정보와 관련된 알림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고, 강우량에 따른 재해 위험이 높은 지역의 수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자가발전형 강우량계를 제공할 수 있다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발명적 작업이 이루어짐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선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선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형 강우량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것의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선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는, 강우량계 하우징(110), 집수용기(120), 및 적어도 하나의 표시등(135)을 포함하는 표시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집수용기(120)는 강우가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강우량계 하우징(110)의 상단에 입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집수용기(120)는,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로 유입된 강우가 중심부로 모일 수 있도록 경사진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130)는 상기 강우량계 하우징(110)의 외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강우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서는 3개의 표시등(135)이 세로로 강우량계 하우징(110)의 외부면의 좌측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표시부(130) 및 상기 표시부(130)에 포함된 상기 표시등(135)의 개수와 부착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의 내부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선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가발전형 강수량계(100)는, 내부 공간에 전도컵부(150), 전기신호기(160), 배출부와 합류부, 및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174)를 포함하는 가이딩부(170), 자가발전기(180), 및 최종퇴출구(190)를 포함한다.
이때, 전도컵부(150)는, 집수용기(12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집수용기(120)를 통해 투하된 강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미도시)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강우의 무게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강우를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해 소정의 궤적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강수가 상기 전도컵부(150)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는 과정은 도 3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소정 임계치는 기설정된 무게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신호기(160)는, 내부 공간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어 전도컵부(15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강우량 정보에 대한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 신호는 표시등(135)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는 상기 전기신호기(160)가 상기 내부 공간의 우측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가이딩부(170)는, 전도컵부(15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도컵부(150)의 움직임에 따라 하방으로 배출되는 강우를 가이딩하여 소정의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174)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강우가 상기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174)로 이동하는 과정은 도 3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다음으로, 자가발전기(180)는 물레방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어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174)로 이동된 강우가 하방으로 낙하함으로써, 상기 강우가 가지고 있던 위치 에너지가 물레방아를 돌리기 위한 운동 에너지로 변환되고 이러한 운동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레방아를 사용한 상기 전기 에너지의 변환 과정은 도 3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다음으로, 최종 퇴출구(190)는, 강우량계 하우징(1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자가발전기(180)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강우가 최종적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2에서는 원형의 상기 최종 퇴출구(190)가 상기 강우량계 하우징(110)의 중앙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자가발전기(180)의 크기, 형태 및 위치에 따라 중앙이 아닌 다른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최종 퇴출구(190)의 위치 및 모양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다음으로, 유입된 강수를 사용하여 자가발전을 하는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의 구체적인 작동을 위한 구성을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자가발전형 강수량계(100)는 유속 완화구(140)와, 제2-1 금속 접점봉(155-1) 및 제2-2 금속 접점봉(155-2)이 부착된 리드 스위치부(155)를 더 포함한다.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의 구성 요소를 도 3을 참조로 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도컵부(150)는, 제1-1 금속 접점봉(151-1)을 하단에 형성한 제1 전도컵(151), 제1-2 금속 접점봉(152-2)을 하단에 형성한 제2 전도컵(152)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가이딩부(170)는, 복수의 배출구(171-1, 171-2)를 포함하는 배출부와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입구(172-1, 172-2), 합류부(173), 및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174)를 포함하는 합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의 자가발전기(180)는, 물레방아(181), 발전 유닛(182) 및 내부 축전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도 3에서는, 전도컵부(150)가 두 개의 전도컵(151, 15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이에 따라, 금속 접점봉(151-1, 152-2) 및 리드 스위치부(155)에 형성된 금속 접점봉(155-1,155-2)도 두 개씩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리드 스위치부(155) 하단에 형성된 가이딩부(170)에 포함된 복수의 배출구(171-1, 171-2) 및 복수의 인입구(172-1, 172-2)도 두 개씩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의 자가발전 과정을 설명하면, 강수가 집수용기(120)를 통해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로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강수는 일차적으로 상기 집수용기(120)에 집수되었다가, 상기 집수용기(120)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집수용기(120)로부터 낙하한 상기 강수는, 상기 집수용기(120)와 전도컵부(150) 사이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강우의 유속을 완화시키는 유속완화구(140)에 모일 수 있다. 다음으로, 유속이 완화된 상기 강우는 상기 전도컵부(150)가 위치한 하방으로 투하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는 깔때기 모양의 상기 유속완화구(140)가 상기 집수용기(120)와 분리된 형태로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사이펀 등과 같이 상기 강우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는, 유속완화구(140)로부터 낙하하는 강수를 전도컵부(150)에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도컵부(150)의 중심부에 형성된 분리부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제1 수용 공간을 가진 제1 전도컵(151) 및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수용 공간을 가진 제2 전도컵(152)으로 하여금 상기 강수를 각각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수용 공간을 채운 상기 강우의 무게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1 전도컵(151)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었던 상기 강우가 상기 가이딩부(170)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었던 상기 강우가 상기 가이딩부(170)를 통해 배출되는 동안 상기 집수용기(120)를 통해 투하된 상기 강우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채우면,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2 전도컵(152)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수용되었던 상기 강우가 상기 가이딩부(17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전도컵부(150)의 하단에 형성된 리드 스위치부(155)상에는, 상기 제1-1 금속 접점봉(151-1)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제2-1 금속 접점봉(155-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제1-2 금속 접점봉(152-2)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제2-2 금속 접점봉(155-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로 유입된 강우가,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1 수용 공간 수용되었다가 상기 가이딩부(170)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제1-1 금속 접점봉(151-1)과 이에 대응되는 제2-1 금속 접점봉(155-1)이 접촉되었다가 분리되고, 상기 강우가 제2 수용 공간에 수용되었다가 상기 가이딩부(170)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제1-2 금속 접점봉(152-2)과 이에 대응되는 제2-2 금속 접점봉(155-2)이 접촉되었다가 분리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 공간을 채운 상기 강우의 무게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1 전도컵(151)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제1-1 금속 접점봉(151-1) 및 상기 제2-1 금속 접점봉(155-1)의 접촉이 발생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되었던 상기 강우가 상기 가이딩부(170)를 통해 배출되는 동안 집수용기(120)를 통해 투하된 상기 강우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채우면,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2 전도컵이(152) 상기 제2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제1-2 금속 접점봉(152-2) 및 상기 제2-2 금속 접점봉(155-2)의 접촉이 발생하며, 상기 접촉은 펄스(pulse) 형태의 신호로 전기신호기(160)로 전달되어 강우량 정보와 관련된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도컵부(150)가 소정의 궤도로 움직임에 따라, 하방으로 낙하하는 강수는 가이딩부(170)의 배출부에 포함된 제1 배출구(171-1) 또는 제2 배출구(17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도컵(151)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강수는 상기 제1 배출구(171-1)를 거쳐 상기 가이딩부(170)의 합류부로 배출되며, 이때 상기 제1 배출구(171-1)에 대응되는 제1 인입구(172-1)를 통해 합류부(173)로 모일 수 있으며, 제2 전도컵(152)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상기 강수는 상기 제2 배출구(171-2)를 거쳐 배출되며, 이에 대응되는 제2 인입구(172-2)를 통해 상기 합류부(173)로 모일 수 있다. 상기 합류부(173)에 모인 상기 강우는, 상기 강우를 상기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174)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을 지원하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합류 공간을 거쳐 상기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174)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174)로 이동된 강우는 상기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174)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여 가이딩부(170)의 하단에 형성된 자가발전기(180)로 진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자가발전기(180)는,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174)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강우가 상기 자가발전기(180)에 포함된 물레방아(181)의 적어도 일면을 강타하는데, 이는 상기 강우의 상기 위치 에너지가 상기 물레방아(181)의 회전 운동에 대응되는 운동 에너지로 변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물레방아(181)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발전 유닛(182)이 상기 물레방아(181)의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전 유닛(182)의 내부에는 상기 발전 유닛(182)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전기 에너지를 비축할 수 있는 내부 축전지(미도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발전기(180)로 하여금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활용된 상기 강수는 최종적으로 강우량계 하우징(110)의 하단에 형성된 최종 퇴출구(190)를 통해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0)는, 전기신호기(160) 및 자가발전기(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전기신호기(160)로부터 강우량 정보와 관련된 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자가발전기(180)로부터 표시등(135)을 점등하기 위한 상기 전기 에너지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신호기(160)는, 리드 스위치부(155)로부터 전달받은 펄스 형태의 신호를 참조로 하여 측정된 단위 시간 강우량이 제1 강우량 기준치 내지 제n 강우량 기준치 중 특정 기준치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특정 기준치를 참조로 하여, 표시부(130)에 포함된 표시등(135) 중 점등할 상기 표시등(135)의 개수를 결정하거나 상기 표시등(135)의 색상을 결정하는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표시부(130)로 발송하거나, 상기 분당 강우량이 제1 강우량 기준치 미만으로 감지되면, 상기 표시등(135) 모두를 점등하지 않도록 하는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표시부(130)로 발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는 전기신호기(160)로 하여금 분당 강우량이 1mm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1 강우량 기준치로 결정하고, 상기 분당 강우량이 3mm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2 강우량 기준치로 결정하며, 상기 분당 강우량이 5mm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3 강우량 기준치로 결정하고, 상기 분당 강우량이 10mm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4 강우량 기준치로 결정하며, 상기 분당 강우량이 20mm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5 강우량 기준치로 결정하게끔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로 유입되어 전도컵부(150)와 리드 스위치부(155)를 통해 측정된 상기 분당 강우량이 4.8mm로 측정된 경우, 상기 전기신호기(160)는, 측정된 상기 분당 강우량이 상기 제3 강우량 기준치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참조로 하여 표시부(130)에 포함된 복수의 표시등(135) 중 적어도 일부를 점등하도록 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기신호기(160)는, 만약 분당 강우량이 제1 강우량 기준치에 미달된다고 판단된 경우, 이는 자가발전기(180)를 통해 충분한 전기 에너지가 생성될 수 없는 정도의 강우량이므로, 표시등(135)를 점등하지 않는 무점등 상태를 유지할 것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분당 강우량이 제2 강우량 기준치 내지 제5 강우량 기준치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강우량 기준치에 근접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특정 강우량 기준치에 대응되는 색상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등(135)을 점등할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전기 신호를 표시부(13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신호기(160)는,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가 설치된 주변 환경에 따라 점등되는 상기 표시등(135)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방이 트여 있어 가시성이 좋다고 판단되는 전답 및 과수원에 상기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가 설치된 경우, 표시등의 점등 여부가 외부의 관찰자로부터 쉽게 관찰될 수 있으므로, 상기 표시부(130)에 포함된 복수의 표시등(135) 중 하나를 점등하여 강수량 정보를 상기 외부의 관찰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가 터널 입구 등과 같이 장애물이 많아 충분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없는 공간에 설치된 경우, 상기 표시부(130)에 포함된 복수의 표시등(135) 모두를 점등하여 더욱 명확하게 상기 강수량 정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예시에서는 가시성에 기반하여 점등될 상기 표시등(135)의 개수를 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자가발전형 강우량(100)가 설치되는 위치, 및 세부적인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기준을 바탕으로 점등되는 상기 표시등(135)의 개수 및 색상이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자가발전형 강수량계(100)의 구성을 알아본 바, 다음에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자가발전형 강수량계(100)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강우의 발생 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로 유입되는 강우는 강우량계 하우징(110)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진 깔때기 형태의 집수용기(120)에 집수되게 된다(S10).
다음으로, 집수용기(120)에 집수된 강우는, 상기 집수용기(120)로부터 하방으로 투하됨에 따라, 상기 집수용기(120)의 하단에 형성된 유속완화구(140)를 통해 그 유속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유속완화구(140)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함에 따라 상기 유속완화구(140)의 하단에 형성된 전도컵부(15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전도컵부(150)가 소정의 궤적으로 운동함에 따라 상기 전도컵부(150)의 하방으로 배출되게 된다(S20).
다음으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는, 내부 공간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어 강우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등(135)을 포함하는 표시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신호기(160)로 하여금 전도컵부(15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참조로 하여 상기 강우량 정보에 관한 전기 신호를 상기 표시부(130)로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상기 강우의 이동 방향을 가이딩할 수 있는 가이딩부(170)로 하여금 상기 강우를 소정의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174)로 이동시키게끔 한다(S30). 이때, 상기 전기 신호는 상기 표시등(135)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다음으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는, 내부 공간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자가발전기(180)로 하여금,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174)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상기 강우의 위치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도록 하고,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상기 표시부(130)로 전달하도록 지원한다(S40).
다음으로, 자가발전형 강우량계(100)는, 자가발전기(18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 에너지 및 전기신호기(16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전기 신호에 대응되도록 표시부(130)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표시등(135) 중 적어도 일부를 점등(S50)하도록 한 후, 사용이 끝난 강수를 최종 퇴출구(190)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추가적으로, 이와 같은 강우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데, 강우량계(100)의 옆면에 USB 포트와 고무마개 등을 설치하여, 노트북 등의 컴퓨터에 연결하면 자료를 백업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자가발전형 강수량계 110 : 강우량계 하우징
120 : 집수용기 130 : 표시부
135 : 표시등 140 : 유속완화구
150 : 전도컵부 151 : 제1 전도컵
151-1 : 제1-1 금속 접점봉 152 : 제2 전도컵
152-2 : 제1-2 금속 접점봉 155 : 리드 스위치부
155-1 : 제2-1 금속 접점봉 155-2 : 제2-2 금속 접점봉
160 : 전기신호기 170 : 가이딩부
171-1 : 제1 배출구 171-2 : 제2 배출구
172-1 : 제1 인입구 172-2 : 제2 인입구
173 : 합류부 174 :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
180 : 자가발전기 181 : 물레방아
182 : 발전 유닛 190 : 최종 퇴출구

Claims (8)

  1.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에 있어서,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강우량계 하우징;
    상기 강우량계 하우징의 외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강우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등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강우량계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강우량계로 유입된 강우가 중심부로 모일 수 있도록 경사진 깔때기 형태의 집수 공간을 형성하는 집수용기;
    상기 집수용기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집수용기를 통해 투하된 상기 강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강우의 무게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강우를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해 소정의 궤적으로 운동하는 전도컵부;
    상기 내부 공간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전도컵부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강우량 정보에 대한 전기 신호 - 상기 전기 신호는 상기 표시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임 - 를 생성하는 전기신호기;
    상기 전도컵부의 움직임에 따라 하방으로 배출되는 상기 강우를 가이딩하여 소정의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딩부;
    상기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로 이동된 상기 강우가 하방으로 낙하함으로써, 상기 강우의 위치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도록 하는 자가발전기; 및
    상기 자가발전기에 의해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상기 강우가 최종적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강우량계 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된 최종 퇴출구;
    를 포함하되,
    상기 자가발전기는, 상기 강우가 상기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적어도 일면을 강타함에 따라 상기 강우의 상기 위치 에너지를 회전 운동에 대응되는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물레방아; 상기 운동 에너지를 상기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발전 유닛; 및 상기 발전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전기 에너지를 비축할 수 있는 내부 축전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도컵부는,
    상기 전도컵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분리부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제1 수용 공간을 가진 제1 전도컵 및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수용 공간을 가진 제2 전도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용 공간을 채운 상기 강우의 무게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1 전도컵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었던 상기 강우가 상기 가이딩부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었던 상기 강우가 상기 가이딩부를 통해 배출되는 동안 상기 집수용기를 통해 투하된 상기 강우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채우면,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2 전도컵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수용되었던 상기 강우가 상기 가이딩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i) 상기 제1 전도컵의 하단에 부착된 제1-1 금속 접점봉과 이에 대응되어 상기 제1-1 금속 접점봉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제1-2 금속 접점봉, 및 (ii) 상기 제2 전도컵의 하단에 부착된 제2-1 금속 접점봉과 이에 대응되어 상기 제2-1 금속 접점봉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제2-2 금속 접점봉이 부착된 리드 스위치부를 상기 전도컵부의 하측에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도컵부는, 상기 제1 수용 공간을 채운 상기 강우의 무게가 상기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1 전도컵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제1-1 금속 접점봉 및 상기 제1-2 금속 접점봉의 접촉이 발생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되었던 상기 강우가 상기 가이딩부를 통해 배출되는 동안 상기 집수용기를 통해 투하된 상기 강우가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채우면, 상기 강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2 전도컵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제2-1 금속 접점봉 및 상기 제2-2 금속 접점봉의 접촉이 발생하며, 상기 접촉을 펄스(pulse) 형태의 신호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량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기신호기 및 상기 자가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신호기로부터 상기 강우량 정보와 관련된 상기 전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자가발전기로부터 상기 표시등을 점등하기 위한 상기 전기 에너지를 획득하며,
    상기 전기신호기는, 상기 리드 스위치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펄스 형태의 신호를 참조로 하여 측정된 단위 시간 강우량이 제1 강우량 기준치 내지 제n 강우량 기준치 중 특정 기준치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특정 기준치를 참조로 하여, 상기 표시부에 포함된 상기 표시등 중 점등할 상기 표시등의 개수를 결정하거나 상기 표시등의 색상을 결정하는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발송하거나, 상기 단위 시간 강우량이 제1 강우량 기준치 미만으로 감지되면, 상기 표시등 모두를 점등하지 않도록 하는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량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제1 수용 공간 또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일시적으로 수용되었다가 상기 제1 전도컵 또는 상기 제2 전도컵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낙하하는 상기 강우를 배출시키는 각각의 제1 배출부 및 제2 배출부를 포함하는 배출부; 상기 강우가 상기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 향해 이동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제1 배출부 및 상기 제2 배출부 각각으로부터 투하되는 상기 강우를 받아들이는 제1 인입구 및 제2 인입구; 및 상기 제1 인입구 및 상기 제2 인입구를 통해 가이딩된 상기 강우가 합류될 수 있는 합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트리거링 포인트 개구부로 내보내기 위한 합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량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용기와 상기 전도컵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집수용기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강우의 유속을 완화하고, 유속이 완화된 상기 강우를 상기 전도컵부의 상기 수용 공간이 위치한 하방으로 투하하는 유속완화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량계.
  8. 삭제
KR1020210106366A 2021-08-11 2021-08-11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392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366A KR102392871B1 (ko) 2021-08-11 2021-08-11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17/862,781 US11733428B2 (en) 2021-08-11 2022-07-12 Self-powered apparatus for measuring precipi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366A KR102392871B1 (ko) 2021-08-11 2021-08-11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871B1 true KR102392871B1 (ko) 2022-05-02

Family

ID=8159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366A KR102392871B1 (ko) 2021-08-11 2021-08-11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33428B2 (ko)
KR (1) KR1023928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0579A (ja) * 1985-04-30 1986-11-07 Fujitsu Ltd 雨量計の故障検出方式
JPH07301682A (ja) * 1994-05-02 1995-11-14 Masashi Takagi 降雨強度表示装置
JP2001159638A (ja) * 1999-12-02 2001-06-12 Yokogawa Electric Corp 測定装置
JP2006258577A (ja) * 2005-03-16 2006-09-28 Takuwa Corp 簡易雨量警報器
KR100915328B1 (ko) * 2009-01-06 2009-09-03 (주)화진티엔아이 자기진단이 가능한 재난요소 계측장치 내장 비상재해재난 경보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605A (ja) * 1999-07-01 2001-03-23 Advantest Corp 集積型マイクロ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72502B1 (ko) * 2007-02-06 2008-12-10 대한민국 무게 및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KR20090000868A (ko) 2007-06-28 2009-01-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광 근접효과 보정방법
CN203811831U (zh) * 2014-02-19 2014-09-03 中国农业大学 雨量计
KR101597509B1 (ko) * 2015-07-13 2016-02-25 정찬권 자동점검 전도형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 방법
US9970807B2 (en) * 2016-01-28 2018-05-15 Essick Air Products, Inc. Climate control device with improved liquid level sensing
CN111308580A (zh) * 2019-11-20 2020-06-19 台州学院 自发电翻斗式雨量计量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0579A (ja) * 1985-04-30 1986-11-07 Fujitsu Ltd 雨量計の故障検出方式
JPH07301682A (ja) * 1994-05-02 1995-11-14 Masashi Takagi 降雨強度表示装置
JP2001159638A (ja) * 1999-12-02 2001-06-12 Yokogawa Electric Corp 測定装置
JP2006258577A (ja) * 2005-03-16 2006-09-28 Takuwa Corp 簡易雨量警報器
KR100915328B1 (ko) * 2009-01-06 2009-09-03 (주)화진티엔아이 자기진단이 가능한 재난요소 계측장치 내장 비상재해재난 경보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52633A1 (en) 2023-02-16
US11733428B2 (en)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722B1 (ko) 3차원 레이저 어레이부가 구비된 강수입자 밀도관측 시스템
EP2233952A1 (en) Omnidirectional rain gauge
CN204373879U (zh) 一种野外用八方位四层梯度集沙仪
CN106023530A (zh) 一种暴雨型稀性泥石流监测预报预警装置及方法
KR20170116610A (ko) 레이더와 반사체를 이용한 구조물 변형 감지 시스템
KR102002904B1 (ko) 레이더와 반사체를 이용한 구조물 변형 감지 시스템
CN110865426B (zh) 一种基于摩擦纳米发电机的自驱动雨量计
KR102392871B1 (ko) 자가발전형 강우량계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N104931225A (zh) 一种自动连续称重式集沙仪
CN108535793B (zh) 一种公路交通气象条件监测和告警系统
CN100568023C (zh) 基于计算机视觉的智能雨量检测设备
Gordon et al. Measurements of drifting and blowing snow at Iqaluit, Nunavut, Canada during the star project
CN205643752U (zh) 一种激光降水现象滴谱检测仪
CN208283578U (zh) 一种公路交通气象条件监测和告警系统
CN110648504A (zh) 一种山体滑坡灾害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09143415A (zh) 一种泄洪雾化降雨立体测量装置及方法
KR100569719B1 (ko) 고 신뢰 무접점 우량측정장치
CN203217097U (zh) 防沙报警雨量计
CN105629343A (zh) 一种清洁翻斗式雨量传感器的承雨器
CN212933018U (zh) 一种雨量感应装置
JP2019002684A (ja) 雨量等変化率計測システム、雨量等変化率計測方法、及び雨量等変化率計測用装置
KR100929237B1 (ko) 적재 높이 측정 장치
CN108168440A (zh) 基于雷达卫星影像的高压输电线路弧垂预警检测方法
CN211668562U (zh) 一种快速布置的水文站结构
CN203443630U (zh) 一种尾矿库水位自动化监测预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