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602B1 - Integrated foam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tegrated foam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602B1
KR102392602B1 KR1020210061795A KR20210061795A KR102392602B1 KR 102392602 B1 KR102392602 B1 KR 102392602B1 KR 1020210061795 A KR1020210061795 A KR 1020210061795A KR 20210061795 A KR20210061795 A KR 20210061795A KR 102392602 B1 KR102392602 B1 KR 10239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detachable
support
foundation construction
constru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현준
Original Assignee
고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현준 filed Critical 고현준
Priority to KR1020210061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6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6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3Shutter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form and 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form that is easy to store, move, and manage, can suppress form deformation due to pressure generated by concrete during foundation construction, and can be easily restored even when deformation occurs; and 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tegrated form. The integrated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a second support member, an adjusting means, a support pipe, and a fastening means.

Description

일체형 폼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방법{INTEGRATED FOAM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Integral form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체형 폼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 이동, 관리가 용이하고 기초시공 시 콘크리트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한 거푸집 변형을 억제하는 동시에 변형 발생 시에도 복원이 용이한 일체형 폼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foam and 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easy to store, move, and manage, and it suppresses the deformation of the form due to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concrete during foundation construction, and at the same time restores even when deformation occur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sy-to-use integrated form and 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기초공사란 구조물의 초석으로서 건물이나 교량, 댐과 같은 구조물을 지반 위에 구축할 시 구조물의 자체 무게에 의한 수직 방향의 하중과 지진, 바람 등이 구조물에 가하는 수평 방향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기 위한 공작물을 형성하는 작업을 일컫는다.Foundation construction is the cornerstone of a structure. When a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bridge, or dam is built on the ground, it is used to transmit the vertical load due to the structure's own weight and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structure by earthquakes and winds to the ground. It refers to the operation of forming a workpiece.

이러한 기초공사(기초 시공)는 일반적으로 터파기, 버림 콘크리트, 먹메김/ 철근배근, 폼 작업(거푸집 작업), 콘크리트 타설, 폼 철거, 되메우기 등의 공정이 수행된다.These foundation works (foundation construction) are generally carried out such as excavation, abandoned concrete, filling/reinforcing reinforcement, foam work (form work), concrete pouring, foam removal, backfilling, and the like.

본 발명은 기초공사에서 상기한 폼 작업 공정, 콘크리트 타설, 폼 철거 공정 등에서 사용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in the above-described foam work process, concrete pouring, foam removal process, etc. in the foundation construction.

최근에는 폼 작업 공정, 콘크리트 타설, 폼 철거 공정 등에 유로폼이 많이 사용되는데, 상기한 유로폼은 목재거푸집보다는 효율과 품질 면에서 유리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Euroform is widely used in foam work processes, concrete pouring, and foam removal processes.

한편, 종래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0692055호(이하 종래기술)는 상기한 유로폼 등의 거푸집을 사용한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이동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의 다단 타설 시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을 설치하고 그 위에 이동용 바퀴가 장착된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여 구간별로 벽체 거푸집을 계속해서 끌어 이동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공법에 비해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에 의해 공사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안전관리 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Registration Patent No. 10-0692055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relates to a movable formwork for a large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formwork such as Euroform and a multi-stage pouring construction method of a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in more detail, a rail By installing a wall formwork equipped with moving wheels on top of it, the wall formwork can be used by continuously dragging and moving it by section. It has a very advantageous effect in terms of safety management as well.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자체 중량에 의해 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보완 하고자 도 1과 같이 목재와 같은 보강재(3`)가 상기 폼(1`)을 지지토록 하였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am is damaged due to the weight of the concrete during concrete pouring.

상기와 같이 목재와 같은 보강재(3`)를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 하중에 의한 폼의 변형 발생 시 다른 치수의 보강재를 사용해야 하고, 이러할 경우 즉각적으로 폼 변형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reinforcing material 3 ′ such as wood is used, a reinforcing material of a different size must be used when the form is deformed due to the load of concrete, an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respond to the deformation of the form.

도한 종래기술은 보관, 운반,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Als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store, transport, and manag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관, 운반, 관리가 용이하고, 콘크리트 하중에 의한 폼의 변형을 억제하며, 특히 폼의 변형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폼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easy to store, transport, and manage, suppresses the deformation of the form due to the load of concrete, and in particular, an integrated form that can respond immediately when the deformation of the form occurs and us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은 폼에 강성을 용이하게 부가하고, 폼에 강성을 부가하는 다양한 크기의 부재를 적용할 수 있는 일체형 폼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form capable of easily adding rigidity to the form and applying members of various sizes that add rigidity to the form, and 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바닥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일체형 폼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form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floor and 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nd features.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착탈부 및 상기 한 쌍의 착탈부를 연결하되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한다.A first support member, a second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pair of detachable parts and a pair of detachable parts that are resp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re connected. It includes an adjusting means including a length adjusting unit of which the length is variable.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파이프 및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파이프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파이프를 전방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horizontal portion including a support pipe disposed behind the first support member,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rearwardly from the coupling portion, the horizontal portion It may include a fastening means including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disposed behind the support pipe and a pressing portion coupled to the vertical portion to press the support pipe to the front side.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를 관통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고정핀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걸리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pin passing through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and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and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caught in the through-holes It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including a movement limiting part.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일체형 폼을 이용한 기초 시공방법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단계(S1),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조절부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착탈부를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착탈부를 상기 제1지지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에 연결하는 단계(S2)) 및 상기 제1폼의 전방에 콘트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integrated form including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tep of fix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the floor (S1), the length is variable Connecting the detachable part provided at eithe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connecting the detachable part provided in the other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S2) )) and pouring concrete in front of the first form (S3).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콘크리트 하중에 따른 폼의 변형 발생 시 용이하게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폼(거푸집)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features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orm (form) by easily and immediately 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of the form according to the concrete load, including the control means.

또한 본 발명은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관, 운반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re rotatably coupled, storage, transport and management are easy.

또한 본 발명은 지지파이프를 포함함으로써, 폼에 강성을 부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dd rigidity to the foam by including the support pipe.

또한 본 발명은 체결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지지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by including the fastening means, it is possible to use support pipes having various sizes.

또한 본 발명은 고정핀을 포함함으로써, 바닥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floor by including a fixing pin.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체형 폼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이웃하는 일체형 폼이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체형 폼의 보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고정핀 및 체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결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브래킷 및 제3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or ar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tegrated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integrated form.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adjacent integral form is connected.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orage state of the integrated form.
6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pin and a fastening member.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member.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racket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mplementation examples (態樣, aspec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spect, aspect, aspect) (or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s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1~, ~2~, etc.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to be referred to to distinguish that they are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ir name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are may not match.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do.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일체형 폼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grated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integrated fo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폼(F)은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거푸집(폼)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The integrated form (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 (foam) that is easy to store and manage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referred to as 'the present devic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폼(F))는 제1지지부재(1), 제2지지부재(2) 및 조절수단(3)을 포함한다.2 and 3, the device (integral foam (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1), a second support member (2) and an adjustment means (3) do.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는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유로폼 등에 포함되는 구성과 상응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may includ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configuration included in a Euroform used in the relevant field.

예시적으로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는 웨지핀 구멍(Wedge Hole)(이하 걸림공(13)(23)) 등이 형성된 프레임바, 리벳트 등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합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제2지지부재(2)는 합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Illustratively,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are a frame including a frame bar, a rivet, etc. formed with wedge hole (Wedge Hole) (hereinafter, engaging hole 13, 23), etc. It may include a part and a plywood coupled to the frame part (the second support member 2 may not include a plywood).

제2지지부재(2)는 제1지지부재(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지지부재(1)와 제2지지부재(2)는 경첩(HI) 등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 . Exemplarily,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may be rotatably coupled via a hinge HI or the like.

조절수단(3)은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와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착탈부(31)와 한 쌍의 착탈부(31)를 연결하되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조절부(32)를 포함한다.The adjusting means 3 connects a pair of detachable parts 31 and a pair of detachable parts 31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but the length is variable. It includes an adjustment part (32).

예시적으로 조절수단(3)은 덤버클(턴버클, turn buckle)에 상응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길이조절부(32)는 한 쌍의 볼트(322)를 포함하고, 양 측에 상기 볼트(322)와 나사산 체결되도록 내주에 나사산(암나사산 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너트공이 형성된 바디(321)를 포함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adjusting means 3 may includ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dumbbuckle (turn buckle, turn buckle). Illustratively, the length adjusting unit 32 includes a pair of bolts 322, and a pair of nut balls having a thread (female thread or male thread)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so as to be threadedly fastened with the bolt 322 on both sides. It may include a formed body 321 .

상기 착탈부(31)는 한 쌍의 볼트(322) 각각의 단부(바디(321)와 체결되는 측에 반대되는 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detachable portion 31 may be formed at an end of each of the pair of bolts 322 (an end opposite to the side coupled to the body 321).

착탈부(31)는 예시적으로 고리 등일 수 있으며,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는 상기 착탈부(31)(예시적으로 고리 등)와 착탈 결합되는 착탈대응부(미도시)(예시적으로 상기 고리가 걸리는 후크 등)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tachable part 31 may be, for example, a ring,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are a detachable corresponding par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etachable part 31 (eg, a ring, etc.). (not shown) (for example, a hook through which the ring is caught) is preferably provided.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는 후술하는 도 5와 같이 제1지지부재(1)와 제2지지부재(2)가 마주보도록 접힌 상태에서 보관 및 운반될 수 있고,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시공 장소에서 제1지지부재(1)가 제2지지부재(2)에 대하여 회동하여 도 3과 같이 펼쳐질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may be stored and transported in a folded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to be described later, At the construction site where the concrete is cured, the first supporting member 1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 to be unfolded as shown in FIG. 3 .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폼(1`)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폼(1`)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상황이 발생할 시, 콘크리트가 파손된 부분으로 유출되어 유출된 콘트리트를 정리하고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했으며 이러할 경우 콘크리트가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Referring to FIG. 1 , in the prior art, when a foam (1') is installed and concrete is poured, when the foam (1') is damaged or deformed due to the load of the concrete, the concrete is leaked to the damaged part. It was necessary to clean up the spilled concrete and pour concrete again, and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crete was wasted.

종래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폼(1`)에 목재와 같은 보강재(3`)를 설치하여 폼(1`)을 지지토록 하였는데, 폼(1`)이 콘크리트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경우, 폼(1`)이 기울어진 만큼 폼(1`)과 지면과의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보강재(3`)를 구하거나 목재 등을 가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 problems, a reinforcement material (3') such as wood was installed on the foam (1') to support the form (1'). As much as (1') was inclined, there was a hassle to obtain a stiffener (3')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oam (1') and the ground or to process wood, etc.

본 장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인데 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1)를 제2지지부재(2)에 대하여 회동시키고, 제2지지부재(2)를 바닥에 고정시킨다. This device i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more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first support member 1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2 as described above, and , to fix the second support member (2) to the floor.

예시적으로 상기한 제2지지부재(2)는 고정핀(7)이 관통하고, 고정핀(7)이 바닥(지면)에 삽입 고정되어 제2지지부재(2)가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장치는 상기 고정핀(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7)은 높이(도 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길이)가 조절되어 바닥의 깊이에 따라 제2지지부재(2)를 고정할 수 있다.Illustratively, in the second support member 2 described above, the fixing pin 7 penetrates, and the fixing pin 7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loor (ground) so that the second support member 2 can be fixed to the floor. . That is, the device may include the fixing pin 7 . The fixing pin 7 can be adjusted in height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2 ) to fix the second support member 2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floor.

예시적으로 도 7 참조, 상기 고정핀(7)은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다수의 관통공(7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는 상기 관통공(71)에 삽입되는 삽입부(81) 및 상기 삽입부(81)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71)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는 이동제한부(82)를 포함하는 체결부재(8)을 포함할 수 있다.Exemplarily referring to FIG. 7 , the fixing pin 7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71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device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81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71 and a movement limiting portion 82 form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81 and caugh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71 It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8).

즉, 이동제한부(82)의 길이(크기)는 상기 관통공(71)의 직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동제한부(82)는 관통공(71)을 통과하지 못한다.That is, the length (size) of the movement limiting part 8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size of the through hole 71 , so that the movement limiting part 82 does 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71 .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핀(7)은 제2지지부재(2)를 관통한 상태에서 바닥에 삽입되고, 바닥의 상태에 따라 고정핀(7)이 바닥에 삽입되는 정도는 달라지며, 따라서 제2지지부재(2) 상부로 돌출되는 고정핀(7)의 높이는 상이해진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공(71)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므로, 고정핀(7) 중 제2지지부재(2) 상부로 돌출되는 것들 중 최하측에 구비된 관통공(71)에 상기한 체결부재(8)을 삽입하여 제2지지부재(2)와 고정핀(7)을 고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pin 7 is inserted into the floor while penetrat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2, and the degree to which the fixing pin 7 is inserted into the floor varie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floor, so 2 The height of the fixing pin 7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 is different.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71 are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hrough-holes provided at the lowermost side among those protruding above the second support member 2 among the fixing pins 7 ( 71) by inserting the fastening member 8 described above can be fix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2 and the fixing pin (7).

상기한 조절수단(3)은 제1지지부재(1)와 제2지지부재(2)를 연결하는데, 길이조절부(32)를 통해 한 쌍의 착탈부(31)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제2지지부재(2)에 대하여 제1지지부재(1)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1)의 전방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제1지지부재(1)가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후방 측으로 이동하여도, 조절수단(3)에 의해 제1지지부재(1)와 제2지지부재(2)의 경사 각도를 다시금 조절함으로써, 제1지지부재(1)가 기울어지고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기초의 치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djusting means (3) connects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detachable parts (31) through the length adjusting part (32),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2 can be adjusted, and in the process of pouring concrete in front of the support member 1, the first support member 1 responds to the load of the concrete.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again by the adjusting means 3, even if it moves to the rear side by th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ress i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mensional accuracy of the foundation on which the concrete is poured.

예시적으로 상기 바디(321) 부분을 볼트(322)의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시켜 착탈부(31) 간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etachable parts 31 may be adjusted by rotating the body 321 part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lt 322 about the central axis.

여기에서 전방은 도 3을 기준으로 좌측을 의미하고, 후방은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Here, the front means the left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e rear means the right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e same will be appli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또한 본 장치는 상기 조절수단(3)이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가 가능하고, 제1지지부재(1)는 제2지지부재(2)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여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는 접힌 상태로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관, 운반 등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is device, the adjusting means 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to be detachable,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 is a second support member ( 2)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can be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torage, transport, etc. are easy.

도 4는 이웃하는 일체형 폼이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adjacent integral form is connect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제1지지부재(1)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파이프(4)를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 the apparatus may include a support pipe 4 disposed behind the first support member 1 .

또한 본 장치는 제1지지부재(1)에 연결되는 연결부(51), 상기 연결부(5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52), 상기 수평부(52)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파이프(4)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수직부(53), 및 상기 수직부(53)에 체결되어 지지파이프(4)를 전방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54)를 포함하는 체결수단(5)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includes a connection part 51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 , a horizontal part 5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connection part 51 , and a vertic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part 52 and the support pipe (4) to include a fastening means (5) comprising a vertical part (53) disposed at the rear, and a pressing part (54) that is fastened to the vertical part (53) and presses the support pipe (4) to the front side can

상술하였듯이 상기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는 유로폼에 포함되는 구성과 상응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상기 연결부(51)는 제1지지부재(1) 프레임부의 상단 프레임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봉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was said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may includ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Euroform, and the connection part 51 is the first support member 1 frame part It may be a bar fastened through the upper frame.

또한 수평부(52)는 상기 봉과 체결되는 결합부(521) 및 상기 결합부(52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52)는 봉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한 쌍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21)는 상기 봉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공 또는 후크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part 52 may include a coupling part 521 coupled to the rod and an extension part 52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coupling part 521 . The horizontal portion 52 may be provided as a pair by being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rod. The coupling part 521 may be an insertion hole or a hook into which the end of the rod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수직부(53)는 수평부(52)의 후단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술하였듯이 수평부(52)가 한 쌍일 수 있다고 하였는데, 수직부(53)는 한 쌍의 수평부(52) 후단을 연결할 수 있다.The vertical portion 53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52, and a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 pair of horizontal portions 52, and the vertical portion 53 is a pair of horizontal portions 52. The rear end can be connected.

이때 상기 지지파이프(4)는 수직부(53), 수평부(52), 제1지지부재(1)의 후면(상기 상단프레임의 후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pipe 4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by the vertical part 53 , the horizontal part 52 ,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frame).

가압부(54)는 상기 수직부(53)에 체결되어 지지파이프(4)를 전방 측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일 수 있고, 이러할 경우 상기 수직부(53)는 너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54 is fastened to the vertical part 53 to press the support pipe 4 to the front side, and may be an exemplary threaded bolt member. In this case, the vertical part 53 is a nut hole. can be formed.

다른 예시로 상기 가압부(54)는 상기 수직부(53)와 축결합되어 편심 회전하는 회동부일 수 있고, 상기 회동부가 편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파이프(4)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ressing part 54 may be a rotating part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vertical part 53 and rotates eccentrically, and may press the support pipe 4 forward as the rotating part rotates eccentrically.

상기한 가압부(54)는 상기한 예시들로만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지지파이프(4)를 전방 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pressing part 54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may include various configurations as long as it can press the support pipe 4 to the front side.

상술하였듯이 지지부재(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는 유로폼에 상응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프레임부는 프레임바, 리벳트 등을 포함하고, 프레임부에 합판 등이 결합된다고 하였다.As described above, it was said that the support members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may includ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Euroform, and the frame part includes a frame bar and rivets, and the frame part includes plywood. were said to be connected.

콘크리트 타설 시 제1지지부재(1)에는 큰 하중이 전해지므로, 상기 제1지지부재(1)를 형성하는 각 구성(상기 프레임바, 리벳트, 합판 등)이 분리되어 파손에 이를 수 있는데, 상기 지지파이프(4)는 제1지지부재(1)의 각 구성들을 일체화 시켜 제1지지부재(1)에 강성을 부가하므로 제1지지부재(1)의 파손 및 변형을 억제시킬 수 있다.Since a large loa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 during concrete pouring, each component (the frame bar, rivet, plywood, etc.) forming the first support member 1 may be separated and damaged, The support pipe 4 integrates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to add rigidity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 , so that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can be suppressed.

이때 체결수단(5)은 상기 지지파이프(4)와 제1지지부재(1)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체결수단(5)이 지지파이프(4)를 전방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54)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지지파이프(4)를 제1지지부재(1)에 결합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means 5 is a means for fixing the support pipe 4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fastening means 5 presses the support pipe 4 to the front side. By includ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pport pipe 4 having various sizes can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 .

시공 후에는 상기 결합부(521)와 상기 연결부(51)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상기 가압부(54)로 하여금 지지파이프(4)를 가압하지 않도록 동작(예시적으로 볼트부재를 후방으로 이동 또는 회동부를 편심 회전)하여 지지파이프(4)와 제1지지부재(1)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After construction, rele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upling part 521 and the connection part 51, or operate the pressing part 54 not to press the support pipe 4 (eg, by moving the bolt member backward or By rotating the rotating part eccentrically),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pipe 4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 can be released.

도 4를 참조하면, 제1지지부재(1)는 일 측에 구비되는 탈착결합부(11) 및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탈착결합부(1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대응부(12)를 포함하고, 제2지지부재(2)는 일 측에 구비되는 탈착결합부(21) 및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탈착결합부(2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대응부(2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support member 1 includes a detachable coupling part 11 provided on one side and a detachable coupling part 12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11 . Includ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2 includes a detachable coupling portion 21 provided on one side and a detachable corresponding portion 22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21 . can do.

여기에서 일 측은 도 4를 기준으로 좌측을 의미하고, 타 측은 도 4를 기준으로 우측을 의미할 수 있다.Here, one side may mean the left side with reference to FIG. 4 , and the other side may mean the right side with reference to FIG. 4 .

예시적으로 상기 탈착결합부(11)(21)는 상기 제1지지부재(1) 또는 제2지지부재(2)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는 돌부일 수 있고, 상기 탈착대응부(12)(22)는 상기 돌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상단프레임에서 타단에서 일 측으로 함몰 형성된 홈부일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s 11 and 21 may be protrusions protruding to one side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1 or the second support member 2 , and the detachable corresponding portions 12 and 22 . may be a groove formed recessed from the other end to one side of the upper frame so that the protrusion is inserted.

이를 통해 수평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수의 본 장치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neighboring apparatuses can be detachably connect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이웃하는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의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상기 웨지핀 구멍에 관통 삽입되는 관통부(91), 상기 관통부(91)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웨지핀 구멍에 걸리는 걸림턱(92)을 포함하는 결합부재(9)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device includes a through portion 91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wedge pin hole formed in the frame portion of the adjacent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1 and 2, and the through portion. It may include a coupling member (9) formed at the end of the (91) having a locking protrusion (92) caught in the wedge pin hole.

즉, 걸림턱(92)의 길이(크기)가 웨지핀 구멍의 최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걸림턱(92)이 상기 웨지핀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다.That is, the length (size) of the engaging protrusion 92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wedge pin hole,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92 does not pass through the wedge pin hole.

이때 관통부(91)는 일면 및 타면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삽입구멍(911)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enetrating portion 91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911 formed so that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pass therethrough.

이때 상기 관통부(91)는 걸림턱(92)이 구비되는 단부에서 반대 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관통부(91)의 일부가 상기 삽입구멍(911)에 삽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through portion 91 may be decreased toward the opposite side from the end at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92 is provided, and a portion of the through portion 91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911 .

상기 결합부재(9)는 상기한 체결부재(8)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9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member 8 described above.

도 8과 같이, 결합부재(9)의 관통부(91)가 이웃하는 제1지지부재(1) 또는 제2지지부재(2)의 프레임부들의 웨지핀 구멍을 관통하여 이웃하는 제1지지부재(1) 또는 제2지지부재(2)를 고정한다, 이때 또 다른 결합부재(9)의 관통부(91)가 상기 이웃하는 제1지지부재(1) 또는 제2지지부재(2)의 프레임부들의 웨지핀 구멍을 관통하는 관통부(91)의 삽입구멍(911)에 삽입되어 상기 이웃하는 제1지지부재(1) 또는 제2지지부재(2)의 프레임부들의 웨지핀 구멍을 관통하는 결합부재(9)를 고정시킴으로써, 이웃하는 지지부재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penetrating portion 91 of the coupling member 9 penetrates the wedge pin hole of the frame portions of the adjacent first support member 1 or the second support member 2 to the adjacent first support member. (1) or the second support member (2) is fixed. At this time, the through portion (91) of another coupling member (9) is adjacent to the fram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or the second support member (2).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911 of the penetrating part 91 penetrating the wedge pin hole of the parts and penetrates the wedge pin hole of the frame parts of the adjacent first support member 1 or the second support member 2 . By fixing the coupling member 9, it is possible to couple the adjacent support members.

도 4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고정부(61), 상기 고정부(6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62), 상기 링크부(62)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61)를 기준으로 일 측에 배치되는 제1걸림부(63)를 포함하는 고정수단(6)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device includes a fixing part 61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 and a link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61 . (62), may include a fixing means (6)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portion (62) including a first locking portion (63) dispos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fixing portion (61) .

상기 고정부(61)는 상기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가 펼쳐진 상태에서 각각 제1지지부재(1)의 상면, 제2지지부재(2)의 상면 측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61)는 예시적으로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 중 적어도 하나와 볼팅 결합 등 해당 분야의 통상의 방법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6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 respec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are unfolded. can be The fixing part 6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bolting, for example.

링크부(62)는 예시적으로 3절 링크, 4절 링크 등과 같은 관절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링크부(62)의 종동절은 전방-후방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고정부(6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링크부(62)의 주동절은 상기 전방-후방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하도록 종동절과 결합될 수 있다.Link portion 62 may include, for example, articulation links such as 3-section link, 4-section link, and the like, and the driven joint of the link portion 62 rotates as a central ax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rear direction. I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61, and the principal joint of the link part 62 may be coupled to the driven joint to rotate about the central ax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rear direction.

이때 제1걸림부(63)는 상기 링크부(62)와 전방-후방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하도록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locking part 63 may be rotated by being coupled to the central ax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link part 62 .

상술하였듯이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는 유로폼의 구성과 상응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상기 프레임부에는 웨지핀 구멍(걸림공(13)(23)) 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걸림부(63)와 후술하는 제2걸림부(64)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핀 구멍에 걸림 되도록 하향 돌출되는 걸림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was said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may includ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uroform, and wedge pin holes (locking holes 13 and 23) in the frame portion, etc. is formed, and a locking ring protruding downward to be caught in the wedge pin hole may be formed at the ends of the first locking part 63 and the second locking part 64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고정수단(6)은 수평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본 장치 중 타 측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고, 링크부(62)의 주동절이 타 측에서 일 측으로 움직임에 따라 종동절이 타 측에서 일 측으로 움직이게 되고, 따라서 제1걸림부(63) 또한 타 측에서 일 측으로 움직이게 된다.The fixing means 6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a support member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vice adjac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link As the principal joint of the part 62 moves from the other side to the one side, the driven joint moves from the other side to the one side, and thus the first locking part 63 also moves from the other side to the one side.

이때 제1걸림부(63)가 회동하여 상기 걸림고리가 수평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본 장치 중 일 측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의 웨지핀 구멍에 삽입되고, 이후에 주동절이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걸림부(63) 또한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하여 웨지핀 홀(웨지핀 구멍)에 삽입된 제1걸림부(63)의 걸림고리가 웨지핀 홀에 걸림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wedge of the support member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evice adjacent to the locking r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first locking part 63 rotates.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pin hole, as the main rod mov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first locking part 63 also mov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locking part 63 inserted into the wedge pin hole (wedge pin hole). ) is caught and fixed in the wedge pin hole.

이를 통해 수평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수의 본 장치가 상호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a plurality of neighboring apparatus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ixed to each other.

또한 고정수단(6)은 고정부(61) 또는 링크부(62)와 전방-후방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고정부(61)를 기준으로 타 측에 배치되는 제2걸림부(6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6)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61) or the link part (62) and a central axis parallel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61). It may include two locking parts 64 .

수평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본 장치 중 타 측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에 고정수단(6)의 고정부(61)가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제2걸림부(64)의 걸림고리가 수평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본 장치 중 타 측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에 형성된 웨지핀 구멍에 삽입되어 걸림된 상태에서 고정부(61)가 지지부재(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고정수단(6)이 제2걸림부(64)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이웃하는 지지부재 간 결합력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Before the fixing part 61 of the fixing means 6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member (the first supporting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neighboring apparatu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wedge pin hol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vice adjacent to the locking ring of the second locking part 6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xing part 61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erted and caught, and in this way, the fixing means 6 is the second locking part Including (64),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neighboring support members can be further strengthened b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with the support member.

도 5는 일체형 폼의 보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지지부재(1)와 제2지지부재(2)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orage state of the integrated form.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are folded.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는 그 폭 방향 길이가 상호 다를 수 있다.2 and 5 ,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may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width direction.

여기에서 폭 방향 길이는 도 5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의 길이 방향은 도 5를 기준으로 정면-배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may mean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may refer to a front-rear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5 .

예시적으로 제2지지부재(2)가 제1지지부재(1)보다 길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장치가 바닥에 보다 넓은 면적에 지지되어 안정성을 부가할 수 있다. Illustratively, the second support member 2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support member 1 , whereby the device may be supported on the floor over a larger area to add stability.

또한 제1지지부재(1)가 제2지지부재(2)보다 폭 방향 길이가 짧으므로 제1지지부재(1)와 제2지지부재(2)를 적재 할 시 공간 활용성이 더욱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support member 1 has a shorter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second support member 2 , space utilization is further improved when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are loaded. There is this.

상기한 이점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가 경첩(HI)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경첩(HI)을 통해 연결된 제1지지부재(1)와 제2지지부재(2)를 한 개의 유닛으로 정의하면, 상하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유닛 중 하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는 제2지지부재(2) 보다 폭 방향 길이가 짧은 제1지지부재(1)를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유닛 중 상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는 제2지지부재(2) 보다 폭 방향 길이가 짧은 제1지지부재(1)를 하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다수의 유닛이 적재되는 상하 방향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To describe the above advantages in more detail, it was said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hinge HI, but the first support member 1 connected through the hinge HI )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are defined as one unit, any one disposed on the lower side among neighboring unit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first support member ( 1)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one arranged on the upper side among neighboring unit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supporting member 1 having a shorter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 is arranged at the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 a number of units are loaded.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부재(1)의 측부(상기 제1지지부재(1)에서 폭을 형성하는 단부)에 연결되는 맞댐부(101), 상기 맞댐부(101)의 전단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꺽임부(102)를 포함하는 브래킷(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butt portion 101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the end forming the width in the first support member 1)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at the front end of the butt portion 101 It may include a bracket 10 including a bent portion 102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또한 본 장치는 상기 꺽임부(102)에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1)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제3지지부재(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지지부재(11)는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유로폼 등에 포함되는 구성과 상응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may include a third support member 11 connected to the bent portion 102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 Illustratively, the third support member 11 may includ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configuration included in a Euroform used in the relevant field.

브래킷(10)의 맞댐부(101) 및 꺽임부(102)는 각각 제1지지부재(1) 및 제3지지부재(11) 각각에 형성된 웨지핀 구멍에 상응하는 관통구멍(101a)(102a)이 형성될 수 있다.The butt portion 101 and the bent portion 102 of the bracket 10 have through-holes 101a and 102a corresponding to wedge pin hole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and third support members 1 and 11, respectively. can be formed.

제1지지부재(1) 및 제3지지부재(11)는 브래킷(10)과 상기 웨지핀 구멍과 관통구멍(101a)(102a)을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고정부재(12)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12)는 상기한 결합부재(9)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11 may be connected via the bracket 10 and the fixing member 12 that penetrates the wedge pin hole and the through holes 101a and 102a and fastens them. . The fixing member 1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coupling member 9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6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시공방법(이하 '본 방법'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방법은 상술한 제1지지부재(1) 및 상기 제1지지부재(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2)를 포함하는 일체형 폼(F)을 이용한 기초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장치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므로,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is method is based on 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integrated form (F)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first support member (1) and a second support member (2)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 As related, since it includes the same or corresponding technical features as the present devi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e above salpin configuration,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simplified or omitted.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방법(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시공방법)은 바닥 설치 단계(S1), 조절수단 설치 단계(S2) 및 콘크리트 타설 단계(S3)를 포함한다.2 and 6, the present method (ba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or installation step (S1), an adjustment means installation step (S2) and a concrete pouring step (S3).

바닥 설치 단계(S1)는 제2지지부재(2)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The floor installation step (S1) is a step of fix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2 to the floor.

예시적으로 제1지지부재(1)와 제2지지부재(2)가 접혀진 상태에서 제2지지부재(2)가 바닥에 설치되고 이후에 제1지지부재(1)가 회동하여 세워질 수 있고, 다른 예시적으로 제1지지부재(1)가 제2지지부재(2)에서 회동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제2지지부재(2)가 바닥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Illustra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are folde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is installed on the floor, and then the first support member 1 is rotated and erected, As anothe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member 1 rotates and unfolds in the second support member 2 , the second support member 2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and fixed.

예시적으로 제2지지부재(2)는 관통하여 체결되고 바닥을 파고들어 고정되는 고정핀(7)을 매개로 바닥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second support member 2 may be installed and fixed to the floor via a fixing pin 7 that is fastened through and fixed by digging into the floor.

조절수단 설치 단계(S2)는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조절부(32)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착탈부(31)를 제1지지부재(1)에 연결하고,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조절부(32)의 양단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착탈부(31)를 제1지지부재(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2)에 연결하는 단계이다.In the adjusting means installation step (S2), the detachable part 31 provided at eithe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32 having a variable lengt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length adjusting part having a variable lengt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 . This is a step of connecting the detachable part 31 provided at the other one of both ends of (32)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2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 .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방법은 길이조절부(32)를 통해 한 쌍의 착탈부(31)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제1지지부재(1)와 제2지지부재(2)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is method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detachable parts 31 through the length adjustment part 32 to adjust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 It may include an adjustment step (not shown).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방법은 일 측에 배치된 제1지지부재(1)와 제2지지부재(2)의 탈착결합부(11)(21)를 타 측에 배치된 제1지지부재(1)와 제2지지부재(2)의 탈착대응부(12)(22)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수평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제1지지부재(1)와 제2지지부재(2)를 결합하는 수평 결합 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is method,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s 11 and 21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disposed on one side ar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 disposed on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detachably coupled to the detachable counterparts (12, 22) to combine the adjacent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step (not shown).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방법은 제1지지부재(1)의 후방에 지지파이프(4)를 설치하는 지지파이프 설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the method may include a support pip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support pipe 4 to the rea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

콘크리트 타설 단계(S3)는 제1지지부재(1)의 전방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3)이다.Concrete pouring step (S3) is a step (S3) of pouring concrete in fron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본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 단계(S3) 이후에 제1지지부재(1) 및 제2지지부재(2)를 시공 장소에서 철거하는 철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include a demolition step of dismantling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 from the construction site after the concrete pouring step (S3).

한편, 본 장치는 제1지지부재(1)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막(G)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막(G)은 제1지지부재(1)의 상부에 구비되는 누수감지수단(G2) 및 누수감지수단(G2)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수단(G1)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device may include a waterproofing membrane G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1 . The waterproofing membrane (G) includes a water leak detecting means (G2)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a waterproofing means (G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leak detecting means (G2).

방수막(G2)은 제1지지부재(1)의 상부와 누수감지수단(G2)을 상호 부착시키는 접착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잇는데, 접착층(미도시)은 아크릴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proofing film G2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not shown) for attac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and the leak detection means G2 to each other, and the adhesive layer (not shown) may include an acrylic adhesive. there is.

방수수단(G1)은 프로필렌 에틸렌(propylene ethylene) 공중합체(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는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채용되었다.The waterproofing means (G1) includes 100 parts by weight of a propylene ethylene copolymer (or ethylene-propylene copolymer), and the propylene-ethylene copolymer is employed to impart elasticity.

또한 방수수단(G1)은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와 폴리올(polyol) 혼합물 60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혼합물이 6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윤활성 및 표면 코팅성이 저하되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방수층 전체의 경량성이 저하된다.In addition, the waterproofing means (G1) includes 6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diisocyanate and polyol, which was used to impart waterproofness, and when the mixture of diisocyanate and polyol is less than 60 parts by weight, lubricity and surface coating properties are lowered and, when it exceeds 60 parts by weight, the lightness of the entire waterproofing layer is reduced.

알루미네이트(aluminate)는 방수수단(G1)의 각 성분들의 결합성 및 응집성을 향상시키도록 첨가된 것으로서, 결합 보제가 4 중량부 미만이면 혼합속도가 저하되고 4 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특성 및 경량성이 저하될 수 있다.Aluminate is added to improve the bonding properties and cohesiveness of each component of the waterproofing means (G1), and when the bonding aid is less than 4 parts by weight, the mixing speed is reduced, and when it exceeds 4 parts by weight, mechanical properties and lightness This may be lowered.

방수수단(G1)은 누수감지수단(G2)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아크릴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waterproofing means (G1) may further include an acrylic adhesive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leak detection means (G2).

도 10를 참조하여 누수감지수단(G2)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누수감지수단(G2)은 방수수단(G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다수의 지지홈(G211)이 형성된 하부 도전층(G21), 상기 하부 도전층(G21) 상부에 구비되는 절연층(G22), 상기 절연층(G22)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도전층(G23), 상기 지지홈(G211)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절연층(G22)에 배치되는 흡수팽창부(G24), 상기 하부 도전층(G21)에 연결된 하부 도전체(G25), 상기 흡수팽창부(G24) 상부에 구비된 상부 도전체(G26), 상기 하부 도전체(G25)와 상기 상부 도전체(G2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G27)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water leak detecting means G2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water leak detecting means G2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proof means G1 and the lower conductive layer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G2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 G21), the insulating layer G22 provided on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provided on the insulating layer G22, and the insulating layer supported by the support groove G211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disposed in the layer G22, the lower conductor G25 connected to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the upper conductor G26 provided on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the lower part A conductive line G27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or G25 and the upper conductor G26 may be included.

여기에서 하부 도전층(G21), 상부 도전층(G23), 하부 도전체(G25), 상부 도전체(G26), 도선(G27) 각각은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 필름 또는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G22)은 예시적으로 알갱이 형상이 다수의 고분자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수의 고분자수지 알갱이는 하부 도전층(G21)과 상부 도전층(G23) 사이에 배치되어 흡수팽창부(G24)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부 도전층(G21)과 상부 도전층(G23)을 이격시킨다.Here, each of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the lower conductor G25, the upper conductor G26, and the conductive wire G27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film such as copper or aluminum or a metal material. can The insulating layer G22 may include, for example, a plurality of polymer resins having a granular shape. That is, a plurality of polymer resin particles are disposed between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and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so that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and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are in a state in which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is not expanded. to separate

흡수팽창부(G24)는 폴리아크릴레이트(G241)(polyacrylate), 폴리아크릴레이트(G241)를 감싸되 면직물로 형성되는 내피(G242) 및 마 직조 직물로 형성되고 상기 내피(G242)를 감싸는 외피(G2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sorbent expansion part (G24) is formed of an endothelium (G242) formed of cotton fabric and hemp woven fabric wrapped around polyacrylate (G241), polyacrylate (G241), and an outer shell (G242) surrounding the endothelium (G242). G243).

흡수팽창부(G24)는 물과 접촉할 경우 상기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물은 내피(G242)와 외피(G243)를 투과하여 폴리아크릴레이트(G241)에 흡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G241)는 외피(G243)와 내피(G242)를 투과한 물을 흡수하여 팽창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흡수팽창부(G24)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누수감지수단(G2)이 흡수팽창부(G24)를 포함하여 물을 흡수 할 수 있기 때문에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is designed to absorb and expand the water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and the water may be absorbed into the polyacrylate G241 by penetrating the endothelium G242 and the outer shell G243. The polyacrylate (G241) absorbs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er skin (G243) and the endothelium (G242) and expands, there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absorption expansion unit (G24) as a result. In this way, since the water leak detection means (G2) can absorb water by including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aterproofness.

상기한 상부 도전체(G26)는 강력 접착제 등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그 하부가 외피(G243) 및 내피(G242) 중 적어도 하나와 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nductor G26 may be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outer shell G243 and the inner shell G242 by a conventional method used in the relevant field, such as a strong adhesive.

한편 상부 도전층(G23)은 깔때기 형상의 다수의 호퍼(G231)를 포함할 수 있다. 물은 호퍼(G231)의 유입구(G231a)로 유입되어 배출구(G231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호퍼(G231) 각각의 배출구(G231b)는 흡수팽창부(G24)가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홈(G211) 각각의 중심 부분과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may include a plurality of funnel-shaped hoppers G231 .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G231a of the hopper G231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G231b.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outlets G231b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ppers G231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G211 in which the absorption and expansion parts G24 are disposed.

상부 도전체(G26)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되, 상부 도전체(G26)의 상단 폭은 배출구(G231b)의 폭 보다 작고, 상부 도전체(G26)의 하단 폭은 흡수팽창부(G24)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The width of the upper conductor G26 de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but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ductor G26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G231b, and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ductor G26 is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 It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G24).

도 10의 [A]를 참조하면, 흡수팽창부(G24)는 물을 흡수하지 않은 상태로 팽창되지 않아, 하부 도전층(G21)과 상부 도전층(G23)은 절연층(G22)에 의해 이격된 상태이다. 따라서 하부 도전층(G21)에서 상부 도전층(G23) 또는 상부 도전층(G23)에서 하부 도전층(G21)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10 ,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does not expand without absorbing water, so that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and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are spaced apart by the insulating layer G22. is in a state of being Accordingly, since no current flows from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to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or from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to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it can be confirmed that leakage does not occur.

만약 도 10의 [A]에서 이웃하는 호퍼(G231)의 경계선(DL)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이하 (제1영역(A1))(도 10의 좌측 영역)에 물이 고이는 경우, 호퍼(G231)를 통해 상기 제1영역(A1)의 물을 모을 수 있다.If water accumulates in the left area (hereinafter (the first area A1)) (the left area of FIG. 10) based on the boundary line DL of the neighboring hopper G231 in [A] of FIG. 10, the hopper G231 ), the water in the first area A1 may be collected.

제1영역(A1)에 배치된 호퍼(G231)의 물이 배출구(G231b)를 통해 배출되어 고분자수지 알갱이 사이 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배출구(G231b)보다 폭(도 10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길이)이 작은 상부 도전체(G26)의 상단에서 분쇄되어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흡수팽창부(G24)에 흡수된다.Water in the hopper G231 disposed in the first area A1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G231b and moves downwar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olymer resin grains, and is wider than the outlet G231b (left and right direction based on FIG. 10 ) Length) is pulverized at the upper end of the small upper conductor G26 and is absorbed by the absorption expansion unit G24 by moving downward.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전체(G26)가 상단 폭은 배출구(G231b)의 폭보다 크므로 배출구(G231b)에서 배출된 물방울은 상부 도전체(G26)의 상단에 고이지 않을 수 있으며, 상부 도전체(G26)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므로, 물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전체(G26)의 하단 폭이 흡수팽창부(G24)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상부 도전체(G26)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한 물은 흡수팽창부(G24)로 이동하여 흡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ductor G26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G231b, the water droplets discharged from the outlet G231b may not accumulate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ductor G26, and the upper conductor Since the width of (G26) in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water can move downward.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ductor G26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absorption expansion unit G24, the water moving downward through the upper conductor G26 moves to the absorption expansion unit G24 and is absorbed. can be

상부 도전체(G26)를 통해 하측으로 흐른 물은 흡수팽창부(G24)의 외피(G243)와 내피(G242)룰 통과하여 폴리아크릴레이트(G241)에 흡수될 때, 폴리아크릴레이트(G241)는 수분 내에 팽창하게 되고, 흡수팽창부(G24)의 상부에 고정된 상부 도전체(G26)는 고분자수지 알갱이들을 이동시키며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도전층(G23)과 접촉한다. 이를 통해 상부 도전층(G23)과 하부 도전층(G21)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류계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함으로써 누수가 발생된 상태임을 파악할 수 있다.When the water flowing downward through the upper conductor G26 passes through the outer shell G243 and the inner shell G242 of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and is absorbed into the polyacrylate G241, the polyacrylate (G241) is The upper conductor G26, which expands within a few minutes and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bsorption expansion unit G24, moves the polymer resin particles upwar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Through this, current flows through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and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a leak has occurred by checking this with an ammeter or the like.

상술한 바와 같이 호퍼(G231)의 배출구(G231b)는 지지홈(G211)의 중심 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지지홈(G211)에 흡수팽창부(G24)가 배치되기 때문에 흡수팽창부(G24)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누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흡수팽창부(G24)를 하부 도전층(G21)의 상면에 배치할 필요 없이 지지홈(G211)에만 배치할 수 있어 자재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was said that the outlet (G231b) of the hopper (G23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groove (G211), but the absorption and expansion part (G24) is disposed in the support groove (G211) for absorption Leakage can be identified by using the expansion part (G24) to a minimum. That is,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can be disposed only in the support groove G211 without having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so that material savings can be achieved.

또한 상부 도전층(G23)을 이웃하는 호퍼(G231)가 형성하는 경계선(DL)을 통해 분할하여 구역화 함으로써, 다수의 구역 중 어느 한 구역(예를 들어 도 10의 [B]와 같이 제1영역(A1))에 누수가 발생함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된 구역만 보수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dividing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through the boundary line DL formed by the neighboring hopper G231,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as shown in [B] in FIG. 10 ) (A1)) can be identified, so only the leaked area can be repaired.

도 10의 [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영역(A1)과 제2영역(A2)(경계선(DL)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 각각에 배치된 호퍼(G231) 중 제1영역(A1)에 배치된 호퍼(G231)에만 물이 고여 제1영역(A1)에 배치된 흡수팽창부(G24)만이 팽창할 경우, 제1영역(A1)의 상부 도전층(G23)과 하부 도전층(G21)만 통전되어 제1영역(A1)에만 누수가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제1영역(A1)만 보수를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보수 공정이 보다 간략화 할 수 있는 것이다(이웃하는 호퍼(G231) 사이에는 절연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0 [B], the first of the hoppers G231 disposed in each of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the area on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line DL) When only the hopper G231 disposed in the region A1 is filled with water and only the absorption expansion portion G24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A1 expands,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1 are It can be confirmed that only the conductive layer G21 is energized and leakage has occurred only in the first area A1, so that only the first area A1 needs to be repaired, so that the repair process can be further simplified ( Insulation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G231)).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일체형 폼: F
제1지지부재: 1 탈착결합부: 11
탈착대응부: 12 제2지지부재: 2
탈착결합부: 21 탈착대응부: 22
조절수단: 3 착탈부: 31
길이조절부: 32 바디: 321
볼트: 322 지지파이프: 4
체결수단: 5 연결부: 51
수평부: 52 결합부: 521
연장부: 522 수직부: 53
가압부: 54 고정수단: 6
고정부: 61 링크부: 62
제1걸림부: 63 제2걸림부: 64
고정핀: 7 관통공: 71
체결부재: 8 삽입부: 81
이동제한부: 82 결합부재: 9
관통부: 91 삽입구멍: 911
걸림턱: 92 브래킷: 10
맞댐부: 101 관통구멍: 101a
꺽임부: 102 관통구멍: 102a
제3지지부재: 11 고정부재: 12
경첩: HI
One-piece form: F
1st support member: 1 detachable coupling part: 11
Detachable counterpart: 12 Second support member: 2
Detachable and coupled parts: 21 Detachable counterparts: 22
Control means: 3 Removable part: 31
Length adjustment part: 32 Body: 321
Bolt: 322 Support pipe: 4
Fastening means: 5 Connections: 51
Horizontal part: 52 Coupled part: 521
Extension: 522 Vertical: 53
Pressing part: 54 Fixing means: 6
Fixed part: 61 Link part: 62
1st latching part: 63 2nd latching part: 64
Retaining pin: 7 Through hole: 71
Fastening member: 8 Insertion part: 81
Movement limiter: 82 Coupling member: 9
Penetration: 91 Insertion hole: 911
Jaw: 92 Bracket: 10
Butt portion: 101 Through hole: 101a
Bend: 102 Through hole: 102a
Third support member: 11 Fixing member: 12
Hinge: HI

Claims (4)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착탈부 및 상기 한 쌍의 착탈부를 연결하되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조절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파이프; 및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파이프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파이프를 전방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과 연결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를 관통하고 바닥에 삽입 고정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고정핀;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걸리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폭 방향 길이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폭 방향 길이보다 짧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체결되는 봉이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봉의 단부가 삽입되는 후크이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일 측에 구비되는 탈착결합부 및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탈착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측부에 연결되는 맞댐부, 및 상기 맞댐부의 전단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꺽임부를 포함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폼.
a first support member;
a second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djusting means including a pair of detachable parts and a pair of detachable parts that are resp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but include a length adjusting part having a variable length;
including,
a support pipe disposed behind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 horizontal portion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an extension extending rearwardly from the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portion and disposed behind the support pipe Fastening means including a vertical portion and a pressing portion coupled to the vertical portion to press the support pipe to the front side;
including,
A pair of the horizontal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 fixing pin passing through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being inserted and fixed to the floor, the fixing pin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astening member including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 movement limit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caught in the through hole;
further comprising,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first support member is shorter tha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The connection part is a rod fasten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coupling part is a hook into which an end of the rod is inserted,
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a detachable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and a detachable correspond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A bracket comprising a butt portion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ben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 at the front end of the butt portion Characterized one-piece form.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기재된 일체형 폼을 이용한 기초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단계(S1);
상기 길이조절부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착탈부를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착탈부를 상기 제1지지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에 연결하는 단계(S2); 및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전방에 콘트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시공방법.
In th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tegrated form according to claim 1,
fix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the floor (S1);
Connecting the detachable part provided at eithe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connecting the detachable part provided in the other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S2) ); and
pouring concrete in fron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S3);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KR1020210061795A 2021-05-13 2021-05-13 Integrated foam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3926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795A KR102392602B1 (en) 2021-05-13 2021-05-13 Integrated foam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795A KR102392602B1 (en) 2021-05-13 2021-05-13 Integrated foam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602B1 true KR102392602B1 (en) 2022-04-28

Family

ID=8144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795A KR102392602B1 (en) 2021-05-13 2021-05-13 Integrated foam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60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359A (en) * 2003-04-07 2004-10-14 깨뱉시스템(주) Foldable gang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375941Y1 (en) * 2004-09-24 2005-03-11 이성우 flat tie of a segment shape
KR100909223B1 (en) * 2007-12-28 2009-07-23 미래테크(주) Concrete frame reinforcement faste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359A (en) * 2003-04-07 2004-10-14 깨뱉시스템(주) Foldable gang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375941Y1 (en) * 2004-09-24 2005-03-11 이성우 flat tie of a segment shape
KR100909223B1 (en) * 2007-12-28 2009-07-23 미래테크(주) Concrete frame reinforcement faste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20169A (en) Modular expansion device and bridge
CN101929338B (en) Hydraulic fan-shaped support system for controlling steel frame deformation in tunnel construction
KR102392602B1 (en) Integrated foam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582905B1 (en) Tunnel construction method having steel rib of concrete filled tube(cft) structure
CN107366543A (en) A kind of anti-slip self-locking push structure of heavy grade inclined shaft rock tunnel(ling) machine
CN102046886A (en) Multi-purpose earth anchor bracket
KR20170061061A (en) Tunnel construction method by using pre-support and post-support, and suitable device therefor
KR20160000792A (en) Natm tunn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34104B1 (en) Drain pipe suitable for anchor using expanding steel pipe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the same
CN113250077A (en) Bridge expansion joint filling reinforcing member
KR20060078726A (en) Oil pressure type movable
CN113107536B (en)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side-roof arch collapse cavity of fracture-zone diversion tunnel
CN112664208B (en) Shock absorption joint structure of cross-movable fault tunnel, tunn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100543B1 (en) Furring strip joint unit for adjusting strut length
CN111734426A (en) Shield receiving semi-open type steel sleeve mechanis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1285585U (en) Reverse folding umbrella-shaped expanding head synchronously following with jet grouting anchor cable
KR200316343Y1 (en) Air pressure type movable irrigation for ease regulationl water level
CN109930488B (en) Construction method of inclined cable tower construction structure system
CN206545513U (en) Three-dimensional bar frame and Combined concrete liner structure
CN207193748U (en) Double articulated body systems bridge extension joint
RU2310722C2 (en) Reinforcing device for pile bottom reinforcement to create pile foundation with the use of foundation pile and method for foundation pile driving and pile bottom reinforcement
CN201412171Y (en) Sector hydraulic support system used for controlling great deformation of steel frame in tunnel construction
CN113006817B (en) Combined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yie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5369870B (en) Post-cast anti-floating anchor rod
CN115142872B (en) Flexible joint structure penetrating through movable fault tunnel, tunn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