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196B1 -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196B1
KR102392196B1 KR1020200120746A KR20200120746A KR102392196B1 KR 102392196 B1 KR102392196 B1 KR 102392196B1 KR 1020200120746 A KR1020200120746 A KR 1020200120746A KR 20200120746 A KR20200120746 A KR 20200120746A KR 102392196 B1 KR102392196 B1 KR 102392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frame
making fram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823A (ko
Inventor
정휘동
신문균
정동수
육준수
고익환
김종윤
노종원
Original Assignee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0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1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구형 또는 위아래로 볼록한 다면체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가 개시된다. 제빙기는, 위로 볼록한 반구형 또는 반다면체 형상의 상부 제빙셀을 가지는 상부 제빙틀; 아래로 볼록한 반구형 또는 반다면체 형상의 하부 제빙셀을 가지는 하부 제빙틀; 제빙틀을 냉각하는 증발기; 및 제빙시에는 상하부 제빙틀을 상호 결합하고, 탈빙시에는 상하부 제빙틀을 개방하는 결합/개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개방 수단은, 모터 회전축이 하부 제빙틀의 상기 회동축과 대향하는 측변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모터; 및 일 단부가 상기 모터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관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아암과, 일 단부가 상기 관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부가 모터 회전축 및 회동축의 사이에서 하부 제빙틀에 연결되는 링크 연결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은 모터 회전축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때까지는 회동하지 않는 회전 유격을 가지도록 모터 회전축에 고정된다.

Description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Spherical or Polyhedral Ice Maker,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얼음은 직육면체나 반구형 등 적어도 일면이 편평하고 넓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는, 얼음의 형상을 결정하는 틀인 트레이에 물을 담고 얼린 다음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빼내는 탈빙 작업을 거치야 하는 제빙 과정 상, 트레이의 형상이 상광하협의 형태를 가져야 하는 데에 기인한다.
한편, 종래부터 구형 얼음에 대한 수요가 있어 왔다. 구형 얼음이 외관상 미려하다는 점 이외에도, 커피나 칵테일 등의 음료에 넣는 경우, 구형 얼음이 다른 형태의 얼음에 비해 녹는 속도가 느리고 일정하여 음료의 농도와 맛이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에, 특허문헌 1(미국특허 US 4,910,974)이나 특허문헌 2(등록특허 제10-1890939호)는 구형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자동 제빙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빙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반구형의 제빙셀을 가지는 두 제빙 트레이(CU,CL)를 결합하고, 아래쪽 제빙 트레이(CL)의 제빙셀 바닥 중앙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개구 아래에 배치된 노즐(N)에서 상방으로 제빙용 물을 분사하여 제빙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제빙기(아이스 메이커)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빙기와 마찬가지로, 각각 반구형의 제빙셀을 가지는 상판 트레이 및 하판 트레이를 결합하여 구형의 제빙틀을 형성하지만, 특허문헌 1의 제빙기와 달리, 상하판 트레이를 결합한 다음 상판 트레이의 상부에 형성된 급수부(구멍)로 물을 공급하여 결합된 제빙틀 내부 공간에 물을 채워넣고 제빙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 및 2의 제빙기에서는 구형 얼음을 제빙한 후, 탈빙을 위해서는 두 제빙 트레이(CU,CL)를 개방하여야 하는데,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모터나 링크 아암을 이용하여 아래쪽 제빙 트레이(CL)를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개방하고 있다.
그런데, 제빙이 완료된 상태에서 두 제빙 트레이(CU,CL)는 그 사이에 얼음(I)이 개재된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두 제빙 트레이(CU,CL)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용량과 크기의 모터와 아암을 필요로 한다. 특히, 특허문헌 2와 같이 하판 트레이의 회동축을 직접 모터로 회전시켜 하판 트레이를 개방하려고 하면 모터의 용량을 크게 하더라도 적은 토크(회전 모멘트)만이 전달되어 개방 실패 및 탈빙 불량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개방 실패 및 탈빙 불량이 발생하면, 탈빙후 제빙 재개시 제빙용수의 공급 불능으로 후속 제빙이 불가능하게 되고 전기 계통의 과부하 등으로 제빙기 자체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2의 제빙기에서 제빙시는, 두 제빙 트레이(CU,CL)를 밀착시켜 두 제빙 트레이(CU,CL) 사이로 제빙용수가 새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특허문헌 1 및 2의 제빙기에서는 인장 스프링을 사용하여 아래쪽 제빙 트레이(CL)를 위쪽 제빙 트레이(CL) 쪽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인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장 스프링은 장기간 사용시 열화되어 두 제빙 트레이(CU,CL)를 밀착시키는 힘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두 제빙 트레이(CU,CL) 사이로 제빙용수가 새어 틈새에서 결빙됨으로써 두 제빙 트레이(CU,CL)의 개방 불량을 초래하고, 나아가 제빙기 자체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미국특허 US 4,910,974 등록특허 제10-1890939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하부 제빙틀을 결합/개방하기 위한 결합/개방 수단을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의 모터와 링크 아암으로 구성하면서도 상하부 제빙틀을 확실하게 개방할 수 있고, 제빙시 상하부 제빙틀을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형 또는 위아래로 볼록한 다면체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기로서, 위로 볼록한 반구형 또는 반다면체 형상의 상부 제빙셀을 가지는 상부 제빙틀; 아래로 볼록한 반구형 또는 반다면체 형상의 하부 제빙셀을 가지는 하부 제빙틀; 상기 상부 제빙틀 및 하부 제빙틀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냉각하는 증발기; 및 제빙시에는 상기 상부 제빙틀 및 상기 하부 제빙틀을 상호 결합하여 상기 상부 제빙셀과 상기 하부 제빙셀이 합쳐져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통합 제빙셀을 형성하도록 하고, 탈빙시에는 제빙된 얼음이 배출 가능하게 상기 상부 제빙틀 및 상기 하부 제빙틀을 개방하는 결합/개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제빙틀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제빙틀과 결합 또는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개방 수단은, 모터 회전축이 상기 회동축과 평행하며 상기 하부 제빙틀의 상기 회동축과 대향하는 측변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제빙틀의 일측에 배치된 모터; 및 일 단부가 상기 모터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관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아암과, 일 단부가 상기 관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모터 회전축 및 상기 회동축과 평행하며 상기 모터 회전축 및 상기 회동축의 사이에서 상기 하부 제빙틀에 연결되는 링크 연결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은 상기 모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되 상기 모터 회전축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때까지는 회동하지 않는 회전 유격을 가지도록 상기 일 단부가 상기 모터 회전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개방 수단은, 상기 모터 회전축에 모터 회전축과 함께 회동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모터 회전축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때 상기 하부 제빙틀을 일부 개방시키는 개방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아암은, 상기 하부 제빙틀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제빙틀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터 회전축은 상기 하부 제빙틀의 일측과 반대쪽의 타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링크 아암 중 상기 하부 제빙틀의 타측에 배치된 링크 아암의 상기 제1 아암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링크 아암은 상기 모터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제빙셀은 바닥 중앙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상부 제빙틀을 냉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빙기는, 상기 하부 제빙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제빙셀의 개구된 바닥 중앙에서 상방으로 제빙용수를 분사하는 노즐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제빙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와 냉장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빙기에 따르면, 모터 회전축이 하부 제빙틀의 회동축과 대향하는 측변쪽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축을 직접 회전시키지 않고 하부 제빙틀을 회동시켜 개방하므로, 적은 용량의 모터로도 큰 토크(회전 모멘트)를 전달하여 상하부 제빙틀을 확실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 아암이 소정 각도만큼의 회전 유격을 가지므로, 가장 큰 부하가 걸리는 상하부 제빙틀의 개방 개시 시점에 결합/개방 수단에 걸리는 부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관절에 연결된 두 개의 아암으로 링크 아암을 구성하므로, 장기간의 사용에도 제빙시 상하부 제빙틀을 확실하게 밀착시켜 상하부 제빙틀 사이로 제빙용수가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제빙틀을 일부 개방시키는 개방 레버를 구비함으로써 링크 아암이 상기 회전 유격을 가지고 작동하지 않는 동안 가장 적은 힘으로 상하부 개방틀을 개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구형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빙틀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하방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빙틀을 개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정수기나 생수기와 같은 음용수 공급장치나 냉장고 등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음용수 공급장치(200)의 하우징내 냉수 탱크(10)(제빙용수 탱크)의 상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냉수 탱크(10)에 저장된 냉수를 제빙용수로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하고, 제조된 얼음은 냉수 탱크(10) 옆의 얼음 저장고(20)에 저장하며,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스크류와 같은 얼음 배출수단(21)을 통해 사용자에게 얼음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제빙기(100)가 설치되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구조나 제빙기(100)의 배치는 도시된 예에 한하지 않고, 음용수 공급장치 본래의 기능이나 구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며, 제빙기(100)가 설치되는 대상 장치도 냉장고 등 다른 장치로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라 음용수 공급장치에 설치된 제빙기(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상방 사시도이고, 도 4는 하방 사시도이며, 도 5는 제빙기의 제빙틀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하방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얼음의 형상을 규정하는 제빙틀(121,130), 제빙틀을 냉각하는 증발기 및 제빙틀 내로 제빙용수를 분사하는 노즐 유닛(150)을 구비한다. 제빙틀은 상부 제빙틀(121)과 하부 제빙틀(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빙기(100)는 프레임(110)을 구비하여, 이 프레임(110)에 제빙기(1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장착, 고정될 수 있다. 즉, 프레임(110)의 상면을 기준으로 그 위쪽에 상부 제빙틀(121), 증발기, 단열 커버(140) 등이 장착되고, 프레임(110)의 아래쪽에 하부 제빙틀(130), 노즐 유닛(150)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에는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결합/개방하기 위한 수단과, 낙수 가이드(117)가 장착될 수 있다.
상부 제빙틀(121)은 위로 볼록한 반구형 상부 제빙셀(122)을 가진다. 상부 제빙틀(121)(상부 제빙틀(121)과 상부 제빙셀(122)이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상부 제빙셀(122))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은 동(구리)이나 알루미늄에 비해 열전도율은 떨어지나, 니켈과 같은 금속의 추가적인 도금이나 코팅 없이도 내부식성이나 내오염성이 뛰어나 도금층 또는 코팅층의 박리 등에 따른 위생상 문제나 수명상의 문제가 없고,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제빙틀(121)에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상세히는 후술하지만, 증발기와 제빙틀 간의 열교환 효율을 대폭적으로 개선하여 상부 제빙틀(121)에 종래처럼 동이나 알루미늄을 사용하지 않아도 종래 대비 에너지 효율이 높고 제빙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부 제빙셀(1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씩 2열, 총 8개가 구비되지만, 상부 제빙셀(122)의 개수나 배치가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하부 제빙틀(130)은 아래로 볼록한 반구형 하부 제빙셀(131)을 가진다. 하부 제빙셀(131)은 상부 제빙틀(121)(상부 제빙셀(122))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부 제빙틀(121)이 전술한 바와 같은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부 제빙셀(131)은 실리콘 수지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세히는 후술하지만, 제빙 종료후 탈빙을 위해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했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얼음(I)이 상부 제빙틀(121)의 하면에 매달린 상태로 상하부 제빙틀(121,130)이 개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제빙셀(131)은, 상부 제빙셀(122)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씩 2열, 총 8개가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부 제빙셀(131)은 각각 분리된 상태로 마련되어 하부 제빙틀 플레이트(136)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하부 제빙셀(131)은 4개씩 2열로 각 열이, 또는 8개 모두가 연결된 상태로 마련되어 하부 제빙틀 플레이트(136)에 끼워질 수 있다. 또는, 하부 제빙셀(131)과 하부 제빙틀 플레이트(136)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제빙틀(121)과 하부 제빙틀(130)은 상호 결합 및 개방가능하게 구성된다. 상하부 제빙틀(121,130)의 상호 결합 및 개방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하부 제빙틀(121,130)이 상호 결합하였을 때 상부 제빙셀(122)과 하부 제빙셀(131)이 합쳐져 구형의 통합 제빙셀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 제빙셀(131)은 바닥 중앙이 개구되어 있어, 이 개구를 통해 후술하는 노즐 유닛(150)에서 상방으로 제빙용수를 분사하여 구형 얼음을 제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각각 반구형의 제빙셀을 가지는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결합하여 구형의 통합 제빙셀을 형성하여 구형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구형 얼음을 제빙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가 제조할 수 있는 얼음의 형태는 구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하부 제빙셀(122,131)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어 다면체 형상의 얼음이나 상하가 대칭이 아닌 형상의 얼음도 제조할 수 있다. 요컨대, 윗면이 편평하고 넓은 상광하협의 형상이 아닌, 위아래로 볼록한 임의의 형상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한 번에 여러 개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도록 제빙셀(C)을 복수 개 마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제빙셀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즉, 일부의 제빙셀은 구형으로, 다른 일부의 제빙셀은 다면체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증발기는 제빙틀(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상부 제빙틀(121))을 냉각하여 제빙틀 안으로 공급되는 제빙용수를 얼려 얼음을 제조하는 요소로서, 내부에 냉매가 유동가능한 공간인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부재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제빙틀(121)과, 상부 제빙틀(121)의 상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부 제빙틀(121)과의 사이에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증발기 커버(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제빙틀(1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위로 볼록한 반구형의 상부 제빙셀(122)을 포함하고 있고, 상부 제빙틀(121)의 상면은 상부 제빙셀(122)의 형상을 따라 위로 볼록한 반구형의 윤곽을 가진다.
증발기 커버(140)는 상부 제빙셀(122)의 상면을 소정 간격 이격하여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 커버(140)의 일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냉각 사이클에 의해 공급되는 냉매의 유입구(127)와 냉매 유로를 통과하면서 상부 제빙틀(121)과 열교환함으로써 온도가 상승된 냉매가 냉각 사이클로 복귀하여 순환하는 냉매의 유출구(1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제빙틀(121)과 증발기 커버(140)의 구성에 의하면, 상부 제빙틀(121)의 상면과 증발기 커버(14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냉매 유로로 통과하는 냉매가 상부 제빙틀(121)(상부 제빙셀(122))과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열교환 효율이 대폭 향상된다.
이에 대해,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빙기에서는, 도 1과 같이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상부 제빙틀(CU) 위에 별도의 냉매 배관(E)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여 증발기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냉매 배관(E)을 흐르는 냉매는 냉매 배관을 개재하여 상부 제빙틀(CU)을 냉각하므로 본 발명에 비해 열교환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게다가, 특허문헌 1의 제빙기에서는 냉매 배관(E)이 상부 제빙틀(CU)의 상면 일부와만 접촉하고 있어 열교환 효율은 더욱 떨어진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제빙기에서는 상부 제빙틀(CU)을 열전도율이 높은 동(구리)이나 알루미늄으로 형성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동(구리)이나 알루미늄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적인 도금이나 코팅이 필요하고, 냉매 배관(E)을 상부 제빙틀(CU)의 상면에 접합하기 위한 용접 공정 등이 필요하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증발기의 구성에 대해 특별히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제빙기에서는 상부 제빙틀(121)이 냉매 유로를 직접 형성하고 증발기 커버(140)가 상부 제빙틀(121)의 상면을 감싸는 구조이므로 열교환 효율이 대폭 향상되어, 상부 제빙틀(121)을 추가적인 도금이나 코팅이 필요 없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하면서도 제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증발기 커버(140)는 상부 제빙틀(121)의 상면과 함께 제1 냉매 유로(123)를 형성할 뿐 냉매와 상부 제빙틀(121) 간의 열교환에는 기여하지 않으므로, 굳이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증발기 커버(140)를 통한 냉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증발기 커버(140)는 열전도율이 낮고 성형 가공이 쉬운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노즐 유닛(150)은 하부 제빙틀(13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전술한 하부 제빙셀(131)의 개구(133)를 통해 상방으로 제빙용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노즐 유닛(150)은 노즐 플레이트(151)와 유로 플레이트(157)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플레이트(151)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방된 상부에 하부 제빙틀(130)(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제빙셀(131)이 결합된 하부 제빙틀 플레이트(136))이 결합될 수 있다. 노즐 플레이트(151)의 바닥면 소정 위치(하부 제빙셀(131)의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방으로 제빙용수를 분사하는 노즐(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유로 플레이트(157)는 노즐 플레이트(151)의 하부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유로 플레이트(157)에는 노즐 플레이트(151)의 각 노즐로 제빙용수를 공급하는 제빙용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빙용수 유로는 유로 플레이트(157)의 상면에서 아래로 움푹 패인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빙용수 유로의 일단에는 제빙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5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빙용수 유로의 유입구(159)와 반대쪽 타단은, 유로 플레이트(157)와 노즐 플레이트(151)를 결합하였을 때 노즐 플레이트(151)의 각 노즐과 대응하도록 위치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유로 플레이트(157)를 노즐 플레이트(151)의 하부에 밀착시켜 결합하고 유입구(159)를 통해 제빙용수를 공급하면, 제빙용수 유로를 지나 유입구(159)와 반대쪽 타단에 도달한 제빙용수는 상방에 위치한 노즐 플레이트(151)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고, 하부 제빙셀(131)의 개구를 통과하여 상부 제빙셀(122)의 하면에 닿아 상부 제빙셀(122)의 하면 꼭대기부터 하방으로 결빙되면서 구형 얼음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때, 제빙셀 내부에서 제빙되지 못하고 낙하하는 제빙용수는, 하부 제빙셀(131)의 개구를 통해 낙하하여 노즐 플레이트(151)의 바닥면을 따라 흘러 노즐 플레이트(151)의 일측벽에 형성된 개구(153)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개구(153)를 통해 배수되는 낙수는 제빙기(100)의 하부에 배치된 냉수 탱크(10; 도 2 참조)(제빙용수 탱크)에 모이고, 펌프(도시 생략)에 의해 다시 노즐 유닛(150)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낙수가 직접 냉수 탱크(10)로 떨어지는 경우 낙수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낙수 소음은 제빙 과정 중에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특히 심야에 제빙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수면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낙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제빙기(100)와 냉수 탱크(10) 사이에 얼음 가이드 그릴(30)이 배치된다. 얼음 가이드 그릴(30)은 제빙 완료후 탈빙(탈빙 동작의 상세는 후술한다)되어 낙하하는 얼음이 냉수 탱크(10)로 낙하하지 않고 얼음 저장고(20) 쪽으로 낙하하도록 가이드하는 부재이지만, 냉수 탱크(10) 상부에 배치되어 낙수가 냉수 탱크(10)로 직접 낙하하지 않고 얼음 가이드 그릴(30)에 떨어지게 하여 낙수의 낙하거리를 줄임으로써 낙수 소음을 저감하는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얼음 가이드 그릴(30)은, 도 2에서 좌하향으로 경사진 상판(31)과, 상판(31)의 하부에 배치되고 우하향으로 경사진 하판(36)을 구비할 수 있다. 얼음 가이드 그릴(30)의 표면, 즉 상판(31)은 다수의 구멍이 뚫린 그릴 또는 그물 형태로 이루어져 얼음은 걸리지만 낙수는 상판(31)을 통과하여 하판(36)으로 낙하할 수 있다. 하판(36)은 구멍이 없는 단순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판의 우측 단부는 얼음 저장고(20)의 내벽면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두고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상판(31)을 통과한 낙수는 하판(36)의 바닥면을 따라 흘러 얼음 저장고(20)의 내벽면을 따라 흘러내리고, 얼음 저장고(20)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냉수 탱크(10)로 낙하하게 되어 낙수 소음이 저감된다.
또는, 얼음 가이드 그릴(30)은 얼음 저장고(20)의 우측 내벽면 안에 배치하지 않고, 예컨대 얼음 가이드 그릴을 냉수 탱크(10)의 우측 내벽면 상에 직접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판(36)의 우측 단부는 냉수 탱크(10)의 우측 내벽면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상판(31)을 통과하여 하판(36)의 바닥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낙수는 냉수 탱크(10)의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어 낙수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얼음 가이드 그릴(3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판(31)과 하판(36) 사이에 그릴 형태 또는 단순 판상의 경사진 중간판을 더 구비하여 상판(31)과 하판(36) 사이의 낙수 낙하거리를 더 짧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얼음 가이드 그릴(30)의 적어도 상판(31)과 얼음 저장고(20)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얼음이 낙하하면서 부딪힘에 따른 소음과 얼음 또는 구성부재의 손상을 저감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빙기(100)는 전술한 낙수의 배수 통로인 노즐 플레이트(151)의 일측벽에 형성된 개구(153)에 인접하여 낙수 가이드(117)를 구비할 수 있다. 낙수 가이드(1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낙수 가이드(117)는 개구(153)를 통해 배수되어 수직으로 낙하하는 낙수가 비스듬히 입사하도록, 도 2에서 좌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나아가 그 경사각이 아래에 위치한 얼음 가이드 그릴(30)의 경사각과 비슷해지도록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만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낙수 가이드(117)의 하단부는 얼음 가이드 그릴(30)의 표면, 즉 상판(31)과 되도록 근접하거나 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낙수 가이드(117)는 실리콘 수지나 고무 등과 같이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져, 제조 공차 등에 의해 얼음 가이드 그릴(30)의 상판(31)과 맞닿더라도 얼음 가이드 그릴(30)이 손상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위와 같은 제빙기(100)에 의해 제빙된 구형 얼음을 탈빙하기 위한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해, 도 5와, 제빙틀을 개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110) 등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빙틀은 각각 반구형의 상하부 제빙셀(122,131)을 가지는 상하부 제빙틀(121,130)로 이루어진다. 제빙시에는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결합하여 상하부 제빙셀(122,131)이 구형의 통합 제빙셀을 형성하도록 하고, 탈빙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한다. 따라서, 상하부 제빙틀(121,130)은 결합/개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탈빙하기 위한 구성은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결합/개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먼저, 하부 제빙틀(130)은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제빙틀(130)은 노즐 플레이트(151)에 결합되고, 노즐 플레이트(151)의 일측에 형성된 축받이(154, 도 5 참조)에는 프레임(110)의 축결합공(111)을 관통하여 회동축(115)이 삽입됨으로써, 노즐 플레이트(151) 및 그에 결합된 하부 제빙틀(130)이 프레임(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결합/개방하기 위한 수단은 하부 제빙틀(130), 즉 노즐 플레이트(151)를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회동수단은 전형적으로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모터로 특허문헌 2와 같이 회동축(115)을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하부 제빙틀(130)을 회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모터로 회동축(115)을 직접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필요로 하는 구동력(부하)이 매우 커서 큰 용량의 모터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하부 제빙틀 결합/개방 수단을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의 모터(160)와 링크 아암(170)으로 구현한다.
모터(160)는 장착 브라켓(162) 등을 개재하여 프레임(110)에 장착된다. 이때, 모터(160)는 모터 회전축(161)이 회동축(115)과 평행하며 하부 제빙틀(130)의 회동축(115)과 대향하는 측변쪽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10)의 일측에 배치된다.
링크 아암(170)은 하나의 관절(173)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아암, 즉 제1 아암(171)과 제2 아암(17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아암(171)의 일 단부는 모터(160)의 회전축(161)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관절(17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아암(172)의 일 단부는 관절(17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부(175)는 회동축(115)보다는 좌측의 지점, 즉 모터 회전축(161)과 회동축(115)의 사이에서 노즐 플레이트(151)의 전방으로 돌출된 링크 연결축(15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0)를 구동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축(161)을 회전시키면, 링크 아암(170)에 의해 하부 제빙틀(130)이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부 제빙틀(121)과 분리되어 상하부 제빙틀(121,130)이 개방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제빙셀(131)이 상부 제빙틀(121)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빙된 구형 얼음(I)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제빙틀(121)에 매달린 상태로 상하부 제빙틀(121,130)이 개방된다.
이어서, 상부 제빙틀(121)과 증발기 커버(126)의 사이에 형성된 제1 냉매 유로(123)로 핫가스를 흘려 주거나, 증발기 커버(140) 및/또는 상부 제빙틀(121)을 히터로 가열함으로써, 상부 제빙틀(121)에 부착된 구형 얼음(I)의 표면을 약간 녹여 상부 제빙틀(121)로부터 분리(탈빙)한다. 상부 제빙틀(121)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얼음(I)은 하부 제빙틀(130)에 의해, 또는 얼음 가이드 그릴(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얼음 저장고(20)로 적재된다. 이때, 얼음(I)은 낙하하면서 하부 제빙틀(130)의 하부 제빙셀(131)이나 얼음 가이드 그릴(30)의 상판(31)에 부딪히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제빙셀(131)이나 얼음 가이드 그릴(30)의 상판(31)이 연질의 수지나 고무로 이루어지면, 소음과 얼음 또는 구성부재의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링크 아암(170)을 이용하여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의 모터로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인장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관절(173)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아암(171,172)으로 링크 아암(170)을 구성하므로, 장기간의 사용에도 제빙시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확실하게 밀착시켜 상하부 제빙틀 사이로 제빙용수가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개선의 여지가 더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부 제빙틀(121,130) 사이에는 제빙된 구형 얼음(I)이 개재되어 상하부 제빙셀(122,131)에 부착(밀착)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제빙용수가 통합 제빙셀 바깥의 상하부 제빙틀(121,130) 사이에 누출되어 결빙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설계된 용량의 모터와 링크 아암(170)으로는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모터(160)에 과부하가 걸리고 모터와 전기 계통에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부 제빙틀(121,130)의 결합/개방이 더욱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방안을 더 제시한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은 링크 아암(170)을 제빙기(100)의 전후, 즉 프레임(110)의 전후에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 제빙틀(121,13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하부 제빙틀(121,130)의 결합/개방을 위한 모터(160)의 회전력이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작용하여 상하부 제빙틀(121,130)의 안정적인 결합/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 경우 모터도 각각의 링크 아암(170)에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할 수 있으나, 단일의 모터(160)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이, 동시에 균등한 회전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모터(160)의 회전축(161)은 단일 부재로서 또는 중간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제빙기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도 3 내지 도 5에서 161' 참조), 프레임(110)의 타측에 배치된 링크 아암(170)의 제1 아암(171)의 일단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하부 제빙틀(121,130)의 개방 개시 시점에 가장 큰 부하가 걸리는 점을 감안하여,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하기 위해 모터(160)가 회전하기 시작하는 시점에는 큰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소정 각도의 회전 유격을 가지는 캠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회전축(161)은 단면 형상이 원형의 양측부 일부를 자른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모터 회전축(161)에 결합되는 아암(171)의 일 단부에는 모터 회전축(16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모터축 결합공(174)이 형성되어, 이 모터축 결합공(174)에 모터의 회전축(161)이 삽입 결합됨으로써, 모터 회전축(161)의 회전에 따라 아암(171)도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모터축 결합공(174)의 단면 형상은 모터 회전축(161)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지 않고, 모터 회전축(161)이 소정 각도(θ)만큼 회전할 때까지는 아암(171)이 회동하지 않게 된다. 즉, 모터 회전축(161)과 아암(171)은 소정 각도(θ)만큼의 회전 유격을 가진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하기 위해 모터(160)가 동작하여 모터 회전축(161)이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θ)만큼 회전하더라도, 링크 아암(170)은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 모터(160)에는 작은 부하만 걸린다.
이어서, 모터 회전축(161)이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θ)를 넘어서 더 회전하면 회전축(161)의 구동력이 링크 아암(170)에 작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아암(170)의 작동에 의해 하부 제빙틀(130)이 회동하여 상하부 제빙틀(121,130)이 개방된다. 이때, 모터 회전축(161)이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θ)를 넘어서 회전하는 순간 모터(160)에는 부하가 더 걸리게 되지만, 회전 유격 없이 회전 개시와 함께 링크 아암(170)을 구동해야 하는 경우에 비교하면, 이미 회전하고 있는 모터의 회전 관성에 의해 적은 부하가 걸리게 된다.
나아가, 모터 회전축(161)이 상기 소정 각도(θ)만큼 회전하는 동안 링크 아암(170)이 아닌 다른 부재에 의해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일부 개방해 놓음으로써, 링크 아암(170)의 부하를 더 줄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회전축(161')에 모터 회전축(161')과 함께 회동하는 개방 레버(165)를 고정하고, 노즐 플레이트(151)의 회동축(115)과 반대쪽(도면에서 좌측) 단부에 개방 레버(165)와 접촉하는 레버 받이(156)를 마련한다. 이때 모터 회전축(161')과 개방 레버(165)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회전 유격을 두지 않거나, 두더라도 모터 회전축(161)과 아암(171) 간의 회전 유격보다는 작은 각도의 회전 유격을 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모터 회전축(161)이 시계방향으로 상기 소정 각도(θ)만큼 회전하는 동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아암(170)은 동작하지 않지만, 개방 레버(165)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레버 받이(156)를 아래로 밀게 되고 그에 따라 상하부 제빙틀(121,130)이 일부 개방된다. 따라서, 이후의 과정(도 8에 도시된 과정)에서 링크 아암(170)은 적은 부하로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일부 개방할 때 개방 레버(165)에는 부하가 걸리게 되는데, 레버 받이(156)가 회동축(115)과 가장 먼 거리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큰 토크(회전 모멘트)를 하부 제빙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레버 받이(156)보다 회동축(115)과의 거리가 짧은 링크 연결축(155)에 결합된 링크 아암(170)의 경우에는 동일한 힘(모터의 회전력)으로 개방 레버(165)보다 적은 토크밖에 전달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링크 아암(170)으로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하는 경우보다, 개방 레버(165)로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하는 경우가 더 적은 힘으로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할 수 있고, 그만큼 모터(160)에의 부하가 적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탈빙을 위해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했을 때, 구형 얼음(I)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제빙틀(121)에 매달린 상태가 되어야 한다. 만약, 하나의 얼음(I)이라도 하부 제빙셀(131)에 안착된 상태로 상하부 제빙틀(121,130)이 개방되면, 하부 제빙셀(131)에 안착된 얼음(I)은 탈빙 동작을 실시하더라도, 즉 냉매 유로로 핫가스를 흘리거나 상부 제빙틀(121)을 히터 등으로 가열하더라도, 아래로 낙하하지 않고 하부 제빙셀(131)에 계속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빙 동작을 재개하기 위해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결합하면, 그 얼음은 통합 제빙셀 안에 그대로 있기 때문에 그 제빙셀의 아래에 있는 노즐로부터 제빙용수를 분사하면 얼음이 계속 성장하여 노즐을 막고, 탈빙을 위한 상하부 제빙틀(121,130)의 개방 실패나 나아가 제빙기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제빙셀(131)을 상부 제빙셀(122)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구성하고 있지만, 이에 더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더 제시한다.
먼저, 제어부(도시 생략)가 미리 정해진 시간의 경과 또는 얼음 크기 센서를 이용한 제빙된 얼음의 크기 측정에 따라 제빙 종료를 결정하면, 제어부는 노즐 유닛(150)에 의한 제빙용수의 분사를 정지한다. 이어서, 모터(160)를 구동하여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하는데, 이때 냉각 사이클, 즉 압축기(도시 생략)는 계속 동작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해,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하는 동안 증발기로 냉매를 계속 공급한다. 그러면, 얼음(I)의 상부 제빙틀(121)에 대한 부착력은 감소하지 않고, 상하부 제빙틀(121,130)을 개방했을 때 얼음(I)은 상부 제빙틀(121)에 매달린 상태가 된다. 상하부 제빙틀(121,130)의 개방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비로소 냉각 사이클을 정지하고 탈빙 동작을 개시한다. 이로써, 상하부 제빙틀(121,130)의 개방시 얼음(I)이 확실하게 상부 제빙틀(121)에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제빙틀(121,130)의 개방시 얼음(I)이 상부 제빙틀(121)에 매달린 상태가 되는지는, 탈빙후 제빙 재개시의 제어 동작과도 관련이 있다. 즉, 탈빙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에 핫가스를 흘리거나 상부 제빙틀(121)을 히터로 가열하게 되는데, 이후 다시 제빙을 위해 증발기에 냉매를 공급하더라도 가열되었던 상부 제빙틀(121)의 온도가 곧바로 영하로 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잔열은 특히 증발기의 출구, 즉 냉매 유출구(128)에 가까운 상부 제빙셀(122)일수록 오래 남는다. 이와 같이 잔열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노즐 유닛(150)에 의해 제빙용수를 분사하게 되면, 상부 제빙셀(122)의 하면에 분사된 제빙용수는 바로 결빙되지 못하고, 상부 제빙셀(122)의 하면 중 상대적으로 잔열이 빨리 제거된 부분에서부터 결빙이 시작되어 결과적으로 잔열이 늦게 제거된 부분에는 얼음이 형성되지 못하는 불완전한 구형의 얼음(도 1의 I' 참조)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불완전한 구형의 얼음(I')은 특히 냉매 배관(E) 또는 증발기의 냉매 흐름 방향 후단에 위치한 제빙셀에서 종종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불완전한 구형의 얼음(I')이 생성되면 얼음의 상부 제빙셀(122)에 대한 부착력이 떨어지고, 그 결과 상하부 제빙틀(121,130)의 개방시 얼음(I)이 하부 제빙셀(131)에 안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탈빙후 제빙 재개시 증발기에 냉매를 공급하여 상부 제빙셀(122)의 잔열이 제거될 때까지 대기하였다가 노즐 유닛(150)에 의해 제빙용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도시 생략)는 제빙 재개를 위해 증발기에 냉매를 공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노즐 유닛(150)이 제빙용수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소정 시간'은 실험을 통해 미리 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제빙 재개를 위해 증발기에 냉매를 공급하고, 증발기의 온도, 특히 냉매 유출구(128)쪽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 온도가 예컨대 -10℃ 이하가 되면 노즐 유닛(150)이 제빙용수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완전한 구형의 얼음(I)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하부 제빙틀(121,130)의 개방시 얼음(I)이 확실하게 상부 제빙틀(121)에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제빙 재개시의 제빙용수의 분사 개시 시점 제어는 탈빙후 제빙 재개시뿐만 아니라, 최초 가동시나 제빙기를 장시간 가동하지 않고 두었다가 가동을 개시하는 경우 등을 포함하여 단순히 제빙 동작을 개시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부 제빙셀(131)의 바닥 중앙이 개구되어 있고, 하부 제빙틀(130)의 하부에 노즐 유닛(150)을 구비하여 하부 제빙셀(131)의 바닥 중앙의 개구를 통해 상방으로 제빙용수를 분사함으로써 제빙하는 방식의 제빙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방식의 제빙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특허문헌 2와 같이 상하판 트레이를 결합한 다음 상판 트레이의 상부에 형성된 급수부(구멍)로 물을 공급하여 결합된 제빙틀 내부 공간에 물을 채워넣고 제빙하는 방식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제빙기
110 : 프레임
117 : 낙수 가이드
121 : 상부 제빙틀
122 : 상부 제빙셀
130 : 하부 제빙틀
131 : 하부 제빙셀
136 : 하부 제빙틀 플레이트
140 : 증발기 커버
150 : 노즐 유닛
151 : 노즐 플레이트
153 : 개구
156 : 개방 레버 받이
157 : 유로 플레이트
160 : 모터
161, 161': 모터 회전축
165 : 개방 레버
170 : 링크 아암
171, 172 : 아암
173 : 관절

Claims (7)

  1. 구형 또는 위아래로 볼록한 다면체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기로서,
    위로 볼록한 반구형 또는 반다면체 형상의 상부 제빙셀을 가지는 상부 제빙틀;
    아래로 볼록한 반구형 또는 반다면체 형상의 하부 제빙셀을 가지는 하부 제빙틀;
    상기 상부 제빙틀 및 하부 제빙틀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냉각하는 증발기; 및
    제빙시에는 상기 상부 제빙틀 및 상기 하부 제빙틀을 상호 결합하여 상기 상부 제빙셀과 상기 하부 제빙셀이 합쳐져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통합 제빙셀을 형성하도록 하고, 탈빙시에는 제빙된 얼음이 배출 가능하게 상기 상부 제빙틀 및 상기 하부 제빙틀을 개방하는 결합/개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제빙틀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제빙틀과 결합 또는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개방 수단은,
    모터 회전축이 상기 회동축과 평행하며 상기 하부 제빙틀의 상기 회동축과 대향하는 측변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제빙틀의 일측에 배치된 모터; 및
    일 단부가 상기 모터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관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아암과, 일 단부가 상기 관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모터 회전축 및 상기 회동축과 평행하며 상기 모터 회전축 및 상기 회동축의 사이에서 상기 하부 제빙틀에 연결되는 링크 연결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은 상기 모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되 상기 모터 회전축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때까지는 회동하지 않는 회전 유격을 가지도록 상기 일 단부가 상기 모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개방 수단은, 상기 모터 회전축에 모터 회전축과 함께 회동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모터 회전축이 상기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회전 유격에 의해 상기 제1 아암이 회동하지 않는 동안 상기 하부 제빙틀을 일부 개방시키는 개방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아암은, 상기 하부 제빙틀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제빙틀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축은 상기 하부 제빙틀의 일측과 반대쪽의 타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링크 아암 중 상기 하부 제빙틀의 타측에 배치된 링크 아암의 상기 제1 아암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링크 아암은 상기 모터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제빙셀은 바닥 중앙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상부 제빙틀을 냉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빙기는, 상기 하부 제빙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제빙셀의 개구된 바닥 중앙에서 상방으로 제빙용수를 분사하는 노즐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빙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빙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00120746A 2020-09-18 2020-09-18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KR102392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746A KR102392196B1 (ko) 2020-09-18 2020-09-18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746A KR102392196B1 (ko) 2020-09-18 2020-09-18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823A KR20220037823A (ko) 2022-03-25
KR102392196B1 true KR102392196B1 (ko) 2022-04-28

Family

ID=8093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746A KR102392196B1 (ko) 2020-09-18 2020-09-18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1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5041A (ja) * 1998-09-28 2000-04-11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JP2003336947A (ja) 2002-05-16 2003-11-28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の除氷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0974A (en) 1988-01-29 1990-03-27 Hoshizaki Electric Company Limited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KR101890939B1 (ko) * 2011-07-15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KR20130110874A (ko) * 2012-03-30 2013-10-10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5041A (ja) * 1998-09-28 2000-04-11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JP2003336947A (ja) 2002-05-16 2003-11-28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の除氷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823A (ko)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618B1 (ko) 얼음제조방법
KR100982700B1 (ko)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KR101156905B1 (ko) 제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44555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392196B1 (ko)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KR102392190B1 (ko)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KR20160084930A (ko) 제빙기
KR102392193B1 (ko) 제빙용수 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제빙하는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JP5138941B2 (ja) 噴射式製氷機の運転方法
KR102392197B1 (ko)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KR102392194B1 (ko)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JP2011038706A (ja) 流下式製氷機の製氷ユニット
KR102392198B1 (ko)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KR102491643B1 (ko) 아이스 메이커
JP2021103033A (ja) 製氷機及び製氷機を備えた冷蔵庫
KR20190018984A (ko)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JP4846547B2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US20230251008A1 (en) Refrigerator
KR100609920B1 (ko) 냉장고
WO2022017344A1 (zh) 制造透明冰的制冰系统以及方法
WO2021042776A1 (zh) 一种冰箱
JP2009216255A (ja) 逆セル型製氷機
JP2003336948A (ja) 自動製氷機の除氷運転方法
JP2005077028A (ja) 製氷機
KR20150097225A (ko)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